KR20090084856A -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856A
KR20090084856A KR1020097009330A KR20097009330A KR20090084856A KR 20090084856 A KR20090084856 A KR 20090084856A KR 1020097009330 A KR1020097009330 A KR 1020097009330A KR 20097009330 A KR20097009330 A KR 20097009330A KR 20090084856 A KR20090084856 A KR 20090084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wig
circumference
head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사 소토카와
가쓰오 스가이
에미코 엔도
사나에 사쿠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090084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75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w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가발 베이스(11)가 제1 베이스(12)와 제2 베이스(13)로 이루어지고, 제1 베이스(12)는 프론트부(12a), 사이드부(12b, 12c), 백부(12d) 및 탑부(12e)를 구비하고, 가발 장착자의 두부 형상과 유사한 볼록한 만곡 형상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며, 제2 베이스(13)를 제1 베이스(12)의 배면측에서 제1 베이스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백부(12d)로부터 좌우의 사이드부(12b, 12c)에 밴드형으로 연장 설치하고, 제2 베이스부(13)의 백부(13a)를 제1 베이스(12)의 백 둘레부(12D)의 배면에 고정시키는 한편, 제1 베이스(12)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와 제2 베이스(13)의 좌우의 사이드부(13B, 13C)를 고정 장착구(16a, 16b)에 의해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제1 베이스(12)의 프론트부(12a)로부터 가발의 전방측을 들어올려서, 가발을 장착한 채로 두부를 세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발 및 그 제조 방법{WIG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발을 장착한 상태에서도 가발 베이스의 일부를 장착자의 두부(頭部)로부터 탈착 가능한 가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발 베이스의 프론트부 측을 두부로부터 장착 및 분리 가능한 가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발은 네트 소재나 인공 피부로 이루어지는 가발 베이스에 모발을 식설(植設)하여 구성되며, 가발 장착자의 두부에 장착됨으로써 전체 모발량이 증가하고, 가발 장착자는 자기 모발이 적어져도 자유로운 헤어스타일을 형성할 수 있다.
가발에는 전체 두부 가발과 부분 가발이 있으며, 전체 두부 가발은 장착자의 전두부, 양쪽 두부 및 후두부의 소정의 헤어라인을 따른 주위둘레를 가지는 전체 두부를 커버하고, 부분 가발은 두부의 필요한 부위만을 은폐하도록 장착된다. 특히 부분 가발을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가발에 장착된 머리핀으로 가발 장착자의 자기 모발를 끼우는 방법,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로 가발과 자기 모발를 직접 접착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착 방법은 가발의 착탈이 비교적 용이하지만, 일반적으로 고착력이 약하고, 격렬한 움직임이나 발한(發汗) 등으로 고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장기간 계속적으로 장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가발 장착자의 두부의 탈모부 주변에 나 있는 두발을 일정 간격으로 꼬아 짜서 두발에 의한 베이스를 형성하고, 이 베이스에 재봉실로 결착하면서 가발 베이스에 대하여 봉착하는 방법이나, 자기 모발를 가발 베이스의 주위둘레에 설치한 슬릿에 삽입하여 결착하는 방법에 의해, 일정기간 가발을 계속 장착하는, 이른바 연속 착용 상태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들 고착 방법에 의하면 가발과 두부와의 고착력이 매우 크며, 격렬하게 운동을 해도 가발이 비뚤어지거나 벗겨질 우려가 적으므로, 가발 장착자에게 불안감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전술한 가발 장착 방법으로는 장착자에 의한 가발의 착탈이 곤란하기 때문에, 가발을 장착한 채 머리를 감아야만 한다. 따라서, 가발 장착 영역 내의 두피 및 자기 모발를 직접 깨끗하게 씻지 못하며, 또한 자기 모발과 가발의 고정 부분에는 간극이 없기 때문에, 두피나 모발의 더러움이나 피지 및 샴푸액이 이 고정 부분에 잔존하여, 가발 장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동시에, 두피에 가려움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가발 장착자는, 가발 장착 영역 내의 두피 및 자기 모발을 씻지 못하고 충분히 씻었다고 실감하지 못하여, 상쾌하게 느낌도 받을 수 없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특허 문헌 1에는, 모발 형에 제약을 두지 않고 자기 모발를 씻을 수 있는 개폐식 가발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폐식 가발은 인공 모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루프형의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양단에 연결된 개폐부로 이루어지고, 이 개폐부가 두부에 장착될 때 전두부에 맞닿는 전복부(前覆部)와 실질적으로 두부 전체를 덮는 커버부로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출원 공개번호 평11-93011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가발은 복수 조(組)의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한쪽 접속 부재가 고정부에 설치되고, 다른 쪽 접속 부재가 고정부에 대응하는 커버부의 주위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발 장착자는, 커버부의 주위부와 고정부에 설치된 접속 부재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커버부 중 후두부 측을 앞쪽으로 열 수 있고, 자신의 두피를 후두부 측으로부터 손질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가발에서는, 개폐부의 전두부 측은 가발 장착자의 두피에 맞닿은 채로 있다. 따라서, 가발 장착자는, 스스로 전두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지 못하고, 이미용 기술자 등 전문가에게 의지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미용 기술자에 의지하지 않고 가발 장착자 스스로가 용이하게 가발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두피로부터 떼어내고, 두피 및 거기서 자라고 있는 자기 모발의 세정이나 손질을 행할 수 있는, 가발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발 베이스에 모발을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가발에 있어서, 가발 베이스가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를 포함하고, 제1 베이스가, 프론트부, 좌측 사이드부, 우측 사이드부, 백(back)부 및 탑(top)부를 구비하고 가발 장착 영역을 덮도록 장착자의 두부 형상과 유사한 볼록한 만곡 형상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제2 베이스가 제1 베이스의 배면에서 그 외측 둘레를 따라 백부로부터 좌우의 사이드부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제2 베이스부의 일부가 제1 베이스의 백 둘레부 배면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제1 베이스에서의 백 둘레부 배면에 제2 베이스의 백부가 고정되고, 제1 베이스의 좌우에서의 사이드 둘레부와 제2 베이스에 있어서의 좌우의 사이드부를 고정 장착구에 의해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제1 베이스에서의 좌측 사이드부, 우측 사이드부 및 백부의 외주 둘레는, 가발 장착자의 가발 장착 영역의 외주 둘레로부터 탑부 측으로 약간, 예를 들면 2∼4mm 정도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제2 베이스의 외측 둘레부를 제1 베이스의 좌우의 사이드부 배면측으로부터 약간, 예를 들면 2∼4mm 정도 나오도록 짜집기부를 형성하면, 가발 장착자의 두발을 짜집기부에 걸어서 고정시킴으로써 제2 베이스를 가발 장착자의 두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베이스는 선형 또는 밴드형으로 형성되고, 제1 베이스에서의 백 둘레부로부터 좌우 양 사이드의 둘레부를 따라 앞쪽주위 근방까지, 예를 들면, 전환부까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베이스에서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장착구를 사용하여 제2 베이스에서의 좌우의 사이드부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2 선형 또는 밴드형의 베이스가 폭이 좁은 경우에는 제2 베이스에서의 좌우의 사이드부에 각각 그 내측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대좌부(臺座部)를 들어가도록 형성하고, 각 대좌부에 제1 베이스에서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 장착구가 고정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가발의 제조 방법은, 프론트부, 좌측 사이드부, 우측 사이드부, 백부 및 탑부를 구비하고, 가발 장착 영역을 덮도록 장착자의 두부 형상과 유사한 볼록한 만곡 형상의 제1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1 베이스의 배면측으로 그 외측 둘레를 따라 백부로부터 좌우의 사이드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2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1 베이스의 배면측에서 백 둘레부 및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에 제2 베이스를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제1 베이스의 백 둘레부와 제2 베이스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베이스에서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가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 배면에 대향하는 제2 베이스에서의 좌우의 사이드부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면 지퍼와 같은 고정 장착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가발에 의하면, 가발 장착자 혼자서 용이하게 가발 베이스의 일부를 전두부 측으로부터 열고, 가발 베이스의 프론트부를 포함하여 가발 베이스의 일부를 후방으로 들어올리고, 가발 베이스로 덮여진 두피나 이 두피로부터 자라고 있는 자기 모발의 손질이나 세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가발 장착자 자신이, 손질 전과 마찬가지의 장착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가발 베이스의 일부를 전두부 측으로부터 열어서 세발 및 그 외의 손질을 행하여, 손질 전과 마찬가지의 헤어스타일을 만들 수 있는, 가발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발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가발 베이스의 일부를 이루는 제1 베이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가발 베이스의 일부를 이루는 제2 베이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제1 베이스의 제작 단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제2 베이스의 제작 단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각각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가발을 장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가발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가발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자기 모발 2: 숫형
2a: 스테이플 3: 제1 베이스 제작용 주위둘레선
3a: 전환점 3b: 외주 둘레 가상선
4, 4a, 4b, 8, 8a, 8b: 네트 부재 5: 밴드형 네트 부재
5a: 전환 단부 6a, 6b, 8d: 재봉실
7: 제2 베이스 제작용 주위둘레선 7a: 외주 둘레선
8c: 외주 둘레부 8e: 내주 둘레부
9: 레이스 테이프 10, 20, 30: 가발
11: 가발 베이스 12: 제1 베이스
12a: 프론트부
12b, 12c, 13b, 13c, 23b, 23c, 33b, 33c: 사이드부
12d, 13a, 23a, 33a: 백부 12e: 탑부
12f, 12g: 전환부 12A: 프론트 둘레부
12B, 12C, 13B, 13C: 사이드 둘레부
12D: 백 둘레부 13, 23, 33: 제2 베이스
14: 모발 15: 보강부
16: 노출 방지용 네트부 16a, 16b: 면 지퍼(고정 장착구)
17: 짜집기부 18, 33d: 대좌부
19: 봉제 영역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가발(10)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좌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가발 베이스(11)의 일부를 이루는 제1 베이스(12)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가발 베이스(11)의 일부를 이루는 제2 베이스(13)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 중의 화살표는, 가발 장착자의 전두부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가발(10)은, 가발 베이스(11)에 다수의 모발(14)을 장착하여 구성된다. 도 1에서 모발(14)은 일부만 나타내고 있다.
가발 베이스(11)는, 도 2에 나타낸 제1 베이스(12)와 도 3에 나타낸 제2 베이스(13)로 구성되고, 부분 가발용으로 성형되어 있다. 제1 베이스(1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두부의 가발 장착 영역을 덮도록, 프론트부(12a), 좌우의 사이드부(12b, 12c), 백부(12d) 및 탑부(12e)를 구비하고, 제1 베이스(12)는 가발 장착자의 두부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둘레형의 제2 베이스(1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베이스(12)의 배면측에서 제1 베이스(12)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백부(12d)로부터 좌우의 사이드부(12b, 12c) 방향으로 두부 형상에 맞추어서 연장되고, 전체적으로 편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2 베이스(13)는, 제1 베이스(12)에서의 백부(12d)의 둘레부, 즉 백 둘레부(12D)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가발 장착 영역은, 가발 장착자의 두발의 상태에 따라 모발이 빠져 있는 탈모부나, 두피에서 자라고 있는 자기 모발의 개수가 전체와 비교하여 머리숱이 적은 박모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가발 베이스(1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베이스(12)는, 가발 장착자의 가발 장착 영역을 덮는 형상 및 치수가 되도록 유사한 형상으로, 바람직하게는 장착자의 두부를 모양을 따서 장착자의 전두 부, 두정부 및 좌우의 사이드부의 각 형상을 가능한 따른 유사 형상이 되도록 팽출하여 볼록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베이스(12)는, 앞머리가 식설되어 두부의 앞이마부를 덮는 프론트부(12a)와, 제1 베이스(12)의 중심 영역을 구획하여 두부의 꼭대기에 대응하는 탑부(12e)와, 탑부(12e)의 좌측단에 인접하는 좌측 사이드부(12b)와, 탑부(12e)의 우측단에 인접하는 우측 사이드부(12c)와, 탑부(12e)의 후단에 인접하면서 프론트 부(12a), 좌측 사이드부(12b) 및 우측 사이드부(12c)로 주위 둘레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백부(12d)로 가상적으로 구분되고, 이들을 연결한 외측 둘레가 가발의 외형을 구성한다. 도 2에서는, 이 가상적인 구분의 경계를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1 베이스(12)의 외주 둘레부에서 프론트부(12a)와 좌측 사이드부(12b) 및 우측 사이드부(12c)와 각각 인접하는 부분은 전환부(12f, 12g)이며 약간 파여져 있다. 이 좌우의 전환부(12f, 12g)는, 꼭대기부(12e)의 중심으로부터 앞쪽 대각선 방향으로 약 45° 방향에 위치하고, 가발 장착자의 두부에 있는 파인 개소에 해당한다. 좌우의 전환부(12f, 12g)를 묶는 만곡형의 선이 프론트부(12a)의 헤어라인을 구성한다.
여기서, 제1 베이스(1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부(12a), 좌측 사이드부(12b), 우측 사이드부(12c) 및 백부(12d)의 전체 주위 둘레부에 그 표면측 또는 배면측에 보강부(15)를 구비하고, 또한 외측 방향으로 노출 방지용 네트부(16)를 구비하여, 제1 베이스(12)로서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프론트부(12a), 좌우의 사이드부(12b, 12c), 백부(12d)의 둘레부의 폭은, 보강부(15)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리고, 이들 둘레부를, 프론트 둘레부(12A), 좌우의 사이드 둘 레부(12B, 12C) 및 백 둘레부(12D)라고 칭하기로 한다.
제2 베이스(13)는, 제1 베이스(12)의 배면측의 외측 둘레에 따라 백 둘레부(12D)로부터 제1 베이스(12)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를 따르도록 연장 설치되고, 백부(13a)와 좌우의 사이드부(13b, 13c)에서 U자형, 특히 편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좌우의 사이드부(13b, 13c)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12)에서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와 프론트 둘레부(12A)의 경계까지, 즉 제1 베이스(11)에서의 백 둘레부(12D)로부터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의 앞쪽주위 근방까지 연장된다. 좌우의 사이드부(13b 및 13c)의 연장 설치된 길이가 짧으면, 제2 베이스(13)를 가발 장착자의 두부에 고정시켜도 가발 베이스(11)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가 부분적으로 가발 장착자의 두부에 고정되지 않으며, 가발이 떠오를 가능성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제2 베이스(13)는, 그 백부(13a), 좌우의 사이드부(13b, 13c)가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밴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폭은, 제1 베이스(12)에 설치한 보강부(1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1cm∼3cm 정도의 폭이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베이스(12)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의 배면과 제2 베이스(13)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3B, 13C)의 표면에 대향하여, 면 지퍼(16a, 16b) 등의 고정 장착구가 각각 고정된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지만, 제2 베이스(13)의 주위 둘레부에는, 제2 베이스를 구성하는 네트 부재와는 상이한 별도의 가는 밴드형 네트 부재를 장착하여 에지컷부가 형성됨으로써, 제2 베이스(13)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에지컷부 는, 후술하는 짜집기부(17)의 일부로 해도 된다. 짜집기부(17)는, 가발 장착자의 두발을 걸어서 고정시키고, 제2 베이스(13)를 가발 장착자의 두부에 고정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1 베이스(12)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가 제2 베이스(13)에서의 좌우의 사이드부(13b, 13c)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 장착구(16a, 16b)가 고정되어 있다. 즉, 제1 베이스(12)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와 제2 베이스(13)의 좌우의 사이드부(13b, 13c)에는, 각각 대향 측에, 한쌍의 고정 장착구(16a, 16b)가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 장착구로서, 예를 들면 오목형과 볼록형이 한쌍을 이루는 버튼이나 면 지퍼(16a, 16b)나, 반복적으로 점착시킬 수 있는 점착 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면 지퍼(16a, 16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베이스(12) 측에는 볼록형 면 지퍼(16a)를 설치하고, 제2 베이스(13) 측에는 오목형의 면 지퍼(16b)를 설치해도 되고, 전술한 바와 반대로 해도 된다. 면 지퍼(16a, 16b)는, 제1 베이스(12)와 제2 베이스(13)가 대향할 수 있는 면에서,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 및 좌우의 사이드부(13b, 13c)의 일부 또는 전체 면에 각각 고정된다. 면 지퍼(16b)는,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단이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의 각 전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의 실질적으로 중심부위에만 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면 지퍼(16b)의 전후단이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의 전후 단 근방까지 접근하고 있어도 된다. 면 지퍼(16a)는, 제1 베이스(12)의 배면측에, 제2 베이스(13)의 표면측에 고정시킨 면 지퍼(16b)와 대향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고정 장착구가 점착 테이프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 3에 나타낸 제2 베이스(13)는, 백부(13a) 및 좌우의 사이드부(13b, 13c)의 각 둘레부, 즉 백 둘레부(13A) 및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3B, 13C)에 짜집기부(17)를 가지고 있다. 이 짜집기부(17)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베이스(13)의 외측 둘레가 제1 베이스(12)의 배면측에서 그 외측 둘레를 따라 소정 길이만큼 나와 있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가발(10)에서는, 제1 베이스(12) 뿐만아니라, 제2 베이스(13)의 짜집기부(17)에도, 모발(14)이 식설되어 있다. 짜집기부(17)는, 가발 장착자의 두부에 가발 베이스(11)를 탑재하고, 가발 장착자의 두발에 제2 베이스(13)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 베이스(13)의 외측 둘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베이스(12)의 외측 둘레로부터 나와 있지 않고, 예를 들면 제1 베이스(12)의 외측 둘레와 실질적으로 동일 라인 또는 그보다 내측일 수도 있지만, 이들 경우에는, 제2 베이스에 모발은 식설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제1 베이스(12)의 좌우의 사이드부(12b, 12c) 및 백부(12d)의 외주 둘레는, 가발(10) 전체의 가발 장착 영역에서의 외주 둘레로부터 소정 길이, 바람직하게는 2mm∼4mm 정도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로 되어 있고, 내측으로부터 제2 베이스(13)가 부분적으로 나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발 장착자의 가발 장착 영역의 외주 둘레에는 자기 모발이 자라고 있고, 이 자기 모발을 짜서, 제2 베이스(13)의 짜집기부(17)로 가발(10)을 고정시키기 위해서이다.
도 1에 나타낸 가발(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베이스(12)를 제작한다. 도 4는 제1 베이스(12)의 제작 단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제1 베이스(12)를 제작할 때 사용하는 숫형(2)의 측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의 숫형(2)의 평면도이지만, 숫형(2)의 주위둘레 선은 생략하고 있다. 숫형(2)은, 가발 장착자의 두부 형상이 되도록 석고로 성형한 것이다. 이 숫형(2)에는, 도 4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베이스(12)를 장착할 영역의 외주 둘레 선이 되는 제1 베이스 제작용 주위둘레 선(3)이 기입되어 있다. 이 제1 베이스 제작용 주위둘레 선(3)은, 제1 베이스(12)에서의 프론트부(12a), 좌우의 사이드부(12b, 12c) 및 백부(12d)의 주위둘레 선에 대응하므로, 도 1에 나타낸 가발(10) 전체의 주위둘레 선과 일치하고 있지 않다. 즉, 도 1 혹은 도 2에 나타낸 전환부(12f, 12g)에 대응하는 전환점(3a)으로부터 프론트부 측의 주위둘레 선은, 제1 베이스(12)에서의 프론트부(12a)의 주위둘레 선에 일치하는데 비해, 전환점(3a)으로부터 백부 측의 주위둘레 선은, 가발(10) 전체의 주위둘레 선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내측에 기입되어 있다. 도 4의 (B)에 점선으로 나타낸 외주 둘레 가상선(3b)은, 전환점(3a)으로부터 백 측에서의 가발 전체(10)의 주위둘레 선에 해당한다. 여기서, 제1 베이스 제작용 주위둘레 선(3)은, 외주 둘레 가상선(3b)으로부터, 예를 들면 3mm만큼 내측에 기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베이스 제작용 주위둘레 선(3)이 기입된 숫형(2)에, 제1 베이스(12)의 소재로서 네트 부재(4)를 2장 중첩시키고, 도 4의 (C)의 측면도와 같이, 상하 2개의 네트 부재(4)를 숫형(2) 전체에 스테이플(2a)로 고정시킨다. 여기서 사용하는 네트 부재(4)는 소정의 실 직경 및 메쉬 수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실 직경 100㎛, 메쉬 수 60개/인치의 폴리에스테르제이다. 그 후, 예를 들면 2제 혼 합형의 열강화성 우레탄 수지에 메틸 에틸 케톤 등의 유기 용제로 희석한 용액을 네트 부재(4)에 도포하고, 100℃로, 8시간 동안 건조를 행함으로써, 네트 부재(4)에 두부 형상의 형을 성형한다.
그리고 숫형(2)을 냉각시킨 후에, 2개의 네트 부재(4) 중 위쪽의 네트 부재(4b)를 숫형(2)으로부터 떼어내고, 숫형(2)에 고정되어 있는 아래쪽의 네트 부재(4a) 상에 도 4의 (D)의 평면도와 같이, 노출 방지용 네트부(16)의 소재로서 밴드형 네트 부재(5)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반을 절곡시키고, 전환 단부(5a)를 제1 베이스 제작용 주위둘레 선(3)의 외측을 향해 전환 단부(5a)의 전체 주위를 제1 베이스 제작용 주위둘레 선(3)을 따라 재봉실에 의해 장착한다. 그리고, 도 4의 (D)에서는 숫형(2)의 외주선은 생략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밴드형 네트 부재(5)로서 네트 부재(4)보다 실 직경이 작고 메쉬 수가 많은, 예를 들면 실 직경 50㎛, 메쉬 수 70개/인치, 폭 1cm인 네트 부재를 사용한다.
그 후, 위쪽의 네트 부재(4b)를 아래쪽의 네트 부재(4a)와 중첩되도록 위치맞춤하면서 숫형(2)에 위쪽의 네트 부재(4b)를 고정한다. 그 상태에서 위쪽의 네트 부재(4b)와 아래쪽의 네트 부재(4a)를 시침용 바늘로 가고정시킨 후, 가고정된 네트 부재(4)를 숫형(2)으로부터 떼어낸다. 그리고, 상하의 네트 부재(4a, 4b)의 외주 둘레 부근을 전체 주위에 걸쳐서 재봉실(6a)로 봉착하며, 외주 둘레로부터 내측에 소정 거리, 예를 들면, 2cm만큼 들어간 부근을 외주 둘레 선을 따라 전체 주위에 걸쳐서 재봉실(6b)로 봉착함으로써, 위쪽의 네트 부재(4b)와 아래쪽의 네트 부재(4a)를 일체화한다. 아래쪽의 네트 부재(4a) 중 도 4의 (E)의 평면도에 나타 낸 재봉실(6b)의 내측 영역 부분을 재단하여 도려내고, 위쪽의 네트 부재(4b)는 재단하지 않고 남긴다.
이상의 단계를 거쳐서, 제1 베이스(12)는, 외주 둘레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내측까지는 상하의 네트 부재(4a, 4b)가 2장 중첩되어 이루어지는 보강부(15)를 구비하고, 두정부를 포함하는 그 외의 영역은 위쪽의 네트 부재(4b)만으로 이루어지고, 보강부(15)의 외주 둘레에는 노출 방지용 네트(16)를 구비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실 직경, 메쉬 수의 네트 부재를 2장 사용하여, 제1 베이스(12)를 제작하였지만, 상이한 실 직경 및/또는 메쉬 수의 네트 부재를 사용하여 제1 베이스를 제작해도 된다.
이어서, 제2 베이스(13)를 제작한다.
도 5는 제2 베이스(13)를 제작하는 단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제2 베이스(13)를 제작할 때 사용하는 숫형(2)의 측면도이다. 제2 베이스(13)를 제작할 때도, 제1 베이스(12)를 제작할 때 사용한 숫형(2)과 마찬가지로, 가발 장착자의 두부 형상으로 석고로 성형한 숫형(2)을 사용한다. 다만, 도 5의 (A)에 측면도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베이스(13)에서의 백부(13a)로부터 전환점까지 연장 형성된 좌우의 사이드부(13b, 13c)의 외주 둘레에 대응하는 외주 둘레 선(7a)이 기입되어 있다. 이 외주 둘레 선(7a)은 도 4의 (B)에 점선으로 나타낸 외주 둘레 가상선(3b)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2 베이스(13)의 윤곽이 되는 제2 베이스 제작용 주위둘레 선(7)이 기입되어 있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 제작용 주위둘레 선(7) 또는 외주 둘레 선(7a) 이 기입된 숫형(2)에, 제2 베이스(13)의 소재로서의 네트 부재(8)를 2장 중첩시켜서 도 5의 (B)의 측면도와 같이, 상하 2개의 네트 부재(8)를 숫형(2) 전체에서 스테이플(2a)로 고정시킨다. 여기서, 사용하는 네트 부재(8)는 소정의 실 직경 및 메쉬 수, 예를 들면 실 직경 130㎛, 메쉬 수 85개/인치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제이다. 그 후, 제1 베이스(12)를 제작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2제 혼합형의 열강화성 우레탄 수지에 메틸 에틸 케톤 등의 유기 용제로 희석한 용액을 도포하여 100℃에서 8시간 동안 건조를 행하여, 네트 부재(8)에 두부 형상을 성형한다.
숫형(2)을 냉각시키고, 위쪽의 네트 부재(8a)와 아래쪽의 네트 부재(8b)를 시침용 바늘로 가고정시킨 후, 서로 가고정된 네트 부재(8)를 숫형(2)으로부터 떼어낸다. 그리고, 먼저 상하의 네트 부재(8a, 8b)의 외주 둘레부(8c)를 재봉실(8d)로 봉착하여 위쪽의 네트 부재(8a)와 아래쪽의 네트 부재(8b)를 일체화시키고, 그 후 제2 베이스(13)의 내주 에지부(8e)를 형성하도록, 실질적으로 외주 둘레부(8c)를 따라서 위쪽 및 아래쪽의 네트 부재(8a, 8b)를 재단한다. 위쪽 및 아래쪽의 네트 부재(8a, 8b)를 재단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 도 5의 (C)의 평면도이다.
이어서, 도 5의 (D)에 나타낸 평면도와 같이, 소정 폭의 밴드형 레이스 테이프(9)를 길이 방향을 따라 반으로 절곡하고, 일체로 된 네트 부재(8)의 전체 주위 둘레부를 싸서, 레이스 테이프(9)의 단부와 네트 부재(8)를 봉착한다.
이상의 단계를 거쳐서, U자형 네트 부재(8)의 외주 둘레에 레이스 테이프(9)로 되는 에지컷부를 구비한, 제2 베이스(13)를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베이스(13)의 소재로서는, 제1 베이스(12)의 소재로서 사용하는 네트 부재(4)와 상이한 실 직경 및 메쉬 수를 가지는 상이한 네트 부재(8)를 사용하고 있다. 제2 베이스(13)의 소재인 네트 부재는, 제1 베이스의 소재인 네트 부재(4)와 비교하여 실 직경 및 메쉬 수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베이스(13)는 직접 두부의 자기 모발에 짜서 넣어지고 제1 베이스(12)를 고정하는 베이스로서 기능하므로, 당겨져서 형상이 쉽게 망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제1 베이스(12)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와 제2 베이스(13)의 좌우의 사이드부(13b, 13c)에, 좌우 각각 한쌍의 고정 장착구로서의 면 지퍼(16a, 16b)를 대향할 수 있도록 고정시킨다. 이 때, 제1 베이스(12) 측에는 볼록형의 면 지퍼(16a)를 고정시키고, 제2 베이스(13) 측에는 오목형의 면 지퍼(16b)를 고정시킨다. 면 지퍼(16a, 16b)의 고정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켜도 되지만, 실 부재를 사용하여 봉착 등으로 고정시켜도 된다.
그 후, 제1 베이스(12)의 백 둘레부(12D)의 배면측에 제2 베이스(13)의 백부(13a)를 배치하고, 백 둘레부(12D)와 백부(13a)를 소정 영역만큼 봉제나 접착 등에 의해 고정시킨다. 도 6의 (A)∼(C)는, 제1 베이스(12)와 제2 베이스(13)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봉제에 의해 고정시킬 때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제 영역(19)을 구획하는 좌우의 변이 가발 베이스(11)의 주위 둘레부와 직교하도록 상하로 연장되어 봉제 영역(19)이 직사각형이 되므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제 영역(19)이 좌우로 연장된 타원형이나,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제 영역(19)을 구획하는 좌우의 변이 위쪽으 로 연장됨에 따라 접근하도록 봉제 영역(19)이 사다리꼴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베이스(12)를 전두부 측으로부터 들어올리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봉착 시에, 제1 베이스(12)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의 배면과 제2 베이스(13)의 좌우의 사이드부(13b, 13c)에 설치한 고정 장착구(16a, 16b)끼리 걸어맞추면 양호한 효율로 작업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베이스(12)에 대하여 제2 베이스(13)의 백부(13a)가 고정되는 영역, 즉 도 2에서 빗금 친 영역은, 예를 들면, 탑부(12e)의 정점을 중심으로 하여 약 45°∼60°의 범위에서 5cm∼6cm의 길이가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범위보다 봉제 영역이 좁으면 제1 베이스(12)를 제2 베이스(13)로부터 부분적으로 떼어내기 용이하지만, 제2 베이스(13)에 대한 제1 베이스(12)를 다시 위치맞춤하기 용이하지 않게 되어, 시간이 소요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반대로, 봉제 영역이 전술한 바람직한 범위보다 크면, 제1 베이스(12)의 들어올림에 의해 가발 장착자가 손질할 수 있는 두피의 범위가 좁아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가발 베이스(11)의 제1 베이스(12)에, 소정 부위마다 소정 개수의 모발(14)을 식설함으로써, 가발(10)이 완성된 제2 베이스(13)의 외측 둘레가 제1 베이스(12)의 외측 둘레로부터 나와 있는 경우에는, 이 나온 영역, 즉 짜집기부(17)의 표면측에도 모발(14)을 식설함으로써, 제2 베이스(13)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 베이스(11) 및 제2 베이스(12)가 모두 네트 부재로 완성되어 있는 경우이지만, 각 베이스가 인공 피부라도 되며, 또한 이들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져도 된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된 가발(10)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가발(10)을 장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의 자기 모발(1) 중, 가발 베이스(11)를 장착하는 영역의 근방의 자기 모발(1)을, 소정 간격마다 묶어 자기 모발 다발로 만든다. 이 자기 모발 다발을 사용하여 가발(10)의 제2 베이스(13)를 가발 장착자의 두부에 고정시킨다. 이 고정 방법으로서 하기와 같은 방법이 있다. 제1 방법으로서, 적절한 복수개의 자기 모발를 다발로 만들어 제2 베이스(13)의 짜집기부(17)에 결착시킨다. 제2 방법으로서, 먼저 간격을 두고 형성된 자기 모발 다발의 인접하는 다발끼리를 실 부재로 결착시키고, 가발 장착자의 두부에서 가발 장착 영역의 외주를 따라, 예를 들면 U자형으로 앵커를 소정 간격을 두고 작성한다. 이 앵커와 제2 베이스(13)의 짜집기부(17)를 실 부재에 의해 결착시킴으로써, 가발 장착자의 자기 모발(1)에 제2 베이스(13)를 고정시킨다. 제3 방법으로서, 제2 베이스(13)에 도시하지 않은 삽입 구멍을 좌측 사이드부(13b), 백부(13a) 및 우측 사이드부(13c)를 따라 복수개 형성하고, 각각의 삽입 구멍에 각각 자기 모발 다발을 삽입하고 이 삽입된 자기 모발 다발을 결착시킨다. 이와 같이, 자기 모발 다발을 사용하여 가발 장착자의 두부에 제2 베이스(13)를 고정시킨다. 전술한 어느 방법을 이용하여 가발을 사용자의 두부에 고정시켜도 되지만, 제1 베이스(11)에는 자기 모발을 결착시키지 않는 점에 주의해야한다.
그 후, 제1 베이스(12)의 프론트 둘레부(12A)의 배면의 전체 또는 스폿형으로 의료용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여, 제1 베이스(12)의 프론트 둘레부(12A) 및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를 모발이 식설되어 있는 표면측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제1 베이스(12)의 프론트 둘레부(12A)에 도포된 접착제 또는 부착된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 두피에 프론트 둘레부(12A)가 접착되고, 한쌍의 고정 장착구(16a, 16b)끼리 각각 걸어맞추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가발(10)을 두부에 장착한 후, 가발 장착자의 두부로부터 자라는 모발(자기 모발)(1)과 가발 베이스(11)에 식설된 모발(14)을, 이발용 브러시 등으로 가볍게 브러싱함으로써 혼합시키면서, 원하는 모발형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가발 장착자의 두부에 가발(10)을 장착하면, 가발(10) 전체를 떼어내지 않고도 가발 장착자의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점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가발 장착자는, 자택 등에서, 가발 베이스(11) 중, 제1 베이스(12)와 제2 베이스(13)의 좌우 각각에 설치된 한쌍의 고정 장착구(16a, 16b)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이 때, 예를 들면 제1 베이스(12)의 프론트 둘레부(12A)에 접착제를 도포한 경우에는, 소정의 용제로 접착제를 용해시켜서 제1 베이스(12)의 프론트 둘레부(12A)를 두피로부터 격리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 장착구(16a, 16b)로서 면 지퍼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베이스(12)와 두피 사이에 분리용 핀을 삽입하면서 제1 베이스(12)의 전환부(12f, 12g)를 손가락으로 잡아서 들어올리거나 하여, 제1 베이스(12)와 제2 베이스(13)를 고정시킨 고정 장착구(16a, 16b)의 걸어맞춤을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가발 장착자는 거울을 볼 필요없이, 간단하게 고정 장착구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1 베이스(12)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에 설치한 고정 장착구(16a)와, 제2 베이스(13)의 좌우의 사이드부(13b, 13c)에 설치한 고정 장착구(16b)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가발 장착자의 두부에 덮여 있는 제1 베이스(12)를 들어올려서 제1 베이스(12)로 덮혀 있던 두피나 자기 모발의 손질을 행할 수 있다. 이 때, 제1 베이스(12)는, 가발 장착자의 후방 측으로 들어 올려질 수 있으므로, 제1 베이스(12)에 식설한 모발(14)과 두부의 자기 모발(1)을 특별히 분리하지 않고 함께 세발할 수도 있다. 가발 장착자의 두부의 탑으로부터 앞이마부 측에는 손질을 방해할 가발 부재가 없다. 따라서, 가발 장착자는 자기 자신이 두부의 프론트나 탑 등의 두피의 손질을 꼼꼼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손질을 행한 후, 가발 장착자는 거울을 향하고, 먼저 제1 베이스(12)의 프론트 둘레부(12A)의 배면 또는 두피의 프론트 소정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다음으로, 두부에 고정되어 있는 제2 베이스(13)의 좌우의 사이드부(13b, 13c)에 대하여 각각 제1 베이스(12)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를 적절하게 할당하고, 제1 베이스(12)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장착구(16a)와 제2 베이스(13)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장착구(16b)를 대향시킨다. 이어서, 제1 베이스(12)의 프론트 둘레부(12A) 및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를 표면측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제1 베이스(12)의 프론트 둘레부(12A)가 접착제에 의해 두피에 접착되며, 한쌍의 고정 장착구(16a, 16b)끼리 각각 걸어맞추어진다. 그리고, 가발 장착자의 두부의 모발(1)과 가발 베이스(11)에 식설된 모발(14)을 이발용 브러시 등으로 가볍게 브러싱함으로써 혼합시키면서 원하는 모발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발(10)을 두부에 장착해도, 제1 베이스(12)의 좌우의 사이드부(12b, 12c)를 제2 베이스(13)로부터 이탈시키고, 제1 베이스(12)를 후방측으로 들어올림으로써, 가발 장착 영역 내의 두피 등을 직접 만지면서 손질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가발 장착자는 연속적으로 가발을 장착할 수 있다.
다음에,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1 변형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가발 베이스에 있어서, 제1 베이스(12) 및 제2 베이스(13)에 면 지퍼(16a, 16b) 등의 고정 장착구를 고착하지 않는 점에서 상이하다. 고정 장착구로서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을 사용하고, 제1 베이스(12)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와 제2 베이스(13)의 좌우의 사이드부(13b, 13c)를 장착 및 분리할 때 양면 접착 테이프의 접착력이 약해지므로, 양면 테이프를 벗겨내고 새로운 양면 테이프를 접착시킬 필요가 있다.
제2 변형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가발 베이스에 있어서, 제1 베이스(12)에만 고정 장착구로서의 스토퍼를 고정시키는 점에서 상이하다. 제1 베이스(12)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의 배면측에 스토퍼의 대좌부를 가지고 있고, 이 대좌부에 스토퍼의 기부(基部)가 실 부재 등에 의해 결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발을 가발 장착자의 두부에 장착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13)를 가발 장착자의 두부에 고정시킨 후, 제1 베이스(12)의 프론트 둘레부(12A) 또는 두피의 소정 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 베이스(12)를 두피에 씌우고, 좌우의 스토퍼의 빗살(comb teeth)을 가발 장착자의 두발에 밀어넣듯이 하여, 스토퍼에 의해, 제1 베이스(12)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를 제2 베이스(13)의 좌우의 사이드부(13b, 13c)를 개재시켜서 두부에 고정시킨다.
제3 변형예는, 제2 베이스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형이 아니라, 제1베이스(12)의 배면측으로 그 외측 둘레를 따라 백부(12e)로부터 좌우의 사이드부(12b, 12c)의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 앞쪽주위 근방까지 연장 설치되도록, 선형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가발의 제3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동일한 부재 혹은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베이스(23)가, 제1 베이스(12)에서의 백 둘레부(12D)에 소정 길이만큼 봉제 등으로 고정되는 백부(23a)와, 이 백부(23a)로부터 좌우의 사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사이드부(23b, 23c)에서, 수 밀리 폭을 가지는 선형으로 되어 있다. 제2 베이스(23)가 제1 베이스(12)와 봉제 등으로 고정되는 범위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가발(10)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며, 도면에서 빗금 친 영역이다. 이 제2 베이스(23)는, 제1 베이스(12)의 배면측으로 그 외측 둘레보다 약간 내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1 베이스(12)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에는, 제2 변형예와 같이 스토퍼의 대좌부(18)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3 변형예에 따른 가발(20)을 두부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먼저 적절한 실 부재를 사용하여 두부의 자기 모발을 제2 베이스(23)에 짜넣고, 제2 베이스(23) 를 두부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2 변형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베이스(12)의 프론트 둘레부(12A) 또는 두피의 소정 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 베이스(12)를 두피에 씌우고, 좌우의 스토퍼의 빗살을 가발 장착자의 두발에 밀어넣듯이 하여, 스토퍼에 의해, 제1 베이스(12)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를 제2 베이스(23)의 좌우의 사이드부(23b, 23c)를 개재시켜서, 두부에 고정시킨다.
제4 변형예는, 제3 변형예에 있어서의 스토퍼 등을 이용하지 않고, 면 지퍼나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변형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가발의 제4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동일 부재 또는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베이스(33)가, 제1 베이스(12)에서의 백 둘레부(12D)에 소정 길이만큼 봉제 등으로 고정되는 백부(33a)와, 이 백부(33a)로부터 좌우의 사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사이드부(33b, 33c)에서, 수 밀리 폭을 가지는 선형으로 된다. 이 좌우의 사이드부(33b, 33c)에는, 대좌부(33d)가 제1 베이스(12)의 둘레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대좌부(33d)에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 장착구로서의 면 지퍼가 고정된다. 이 경우, 제1 베이스(12)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에도 도시하지 않은 면 지퍼가 설치된다.
이 제4 변형예에 따른 가발(30)을 가발 장착자의 두부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먼저, 적절한 실 부재를 사용하여 두부의 자기 모발을 제2 베이스(33)에 짜넣고, 제2 베이스(33)을 두부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1 베이스(12)의 프론트 둘레부(12A)의 배면의 전체 또는 스폿형으로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 베이스(12)를 두 피에 씌워서 제1 베이스(12)의 프론트 둘레부(12A) 및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12B, 12C)를 표면측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제1 베이스(12)의 프론트 둘레부(12A)가 접착제에 의해 두피에 접착되며, 한쌍의 고정 장착구 끼리 각각 걸어맞추어진다. 따라서, 가발(30)을 두부에 장착할 수 있다.
전술한 각 변형예에서도, 제1 베이스의 백 둘레부와 제2 베이스의 백부만 고정되어 있을 뿐이며, 제1 베이스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와 제2 베이스의 좌우의 사이드부가 고정 장착구에 의해 고정 장착되고, 또는 제1 베이스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가 제2 베이스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를 끼워서 두피에 고정 장착구에 의해 고정 장착되므로, 고정 장착구에 의한 고정 장착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처럼 후두부 측을 고정시키고 전두부 측을 개폐하는 방식은, 특허문헌 1과 같이 전두부 측을 고정시키고 후두부 측을 개폐하는 방식과는 달리, 하기와 같은 사용상의 이점이 있다.
첫째, 후두부 측을 개폐하는 방식에서는, 이른바 가발 베이스를 이루는 고정부와 개폐부를 측두부로부터 후두부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는 고정 도구들을 떼어낼 필요가 있고, 후두부 측에 배치된 고정 도구 자체 및 후두부는 볼 수 없기 때문에, 재장착 시에 고정 도구끼리를 걸어맞추어서 개폐부를 고정부의 소정 위치에 확실하게 고정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이에 비해, 전두부 측을 개폐하는 방식에서는, 후두부 측에는 고정 장착구를 배치하고 있지 않으므로, 그와 같이 번거롭게 할 필요가 없다.
둘째, 후두부 측을 개폐하는 방식에서는, 가발 베이스의 프론트부 측은 두부 에 고정시킨 그대로 이므로, 헤어라인이 프론트로부터 탑을 향해 후퇴하는 것과 미스매치(mismatch)하고 있다. 즉, 프론트 측은 쉽게 탈모되거나 박모가 되기 때문에, 가발 장착자가 두피를 손질할 필요성이 높지만, 이를 자유롭게 행할 수 없다. 이에 비해, 전두부 측을 개폐하는 방식에서는, 프론트 측의 두피를 항상 손질할 수 있다.
셋째, 후두부 측을 개폐하는 방식에서는, 가발의 장착 및 분리에 의해 가발에 식설된 모발과 두피, 특히 후두부 측의 자기 모발이 분리되므로, 가발의 장착이 노출되지 않도록 가발에 식설된 모발과 자기 모발을 얽히게 하여 자연스럽게 할 필요가 있으며, 다시 헤어스타일을 가다듬는 데에도 수고를 필요로 한다. 이에 비해, 전두부 측을 개폐하는 방식에서는, 후두부나 측두부의 자기 모발과 가발에 식설한 자기 모발을 함께 손질할 수 있고, 또한, 다시 헤어스타일을 가다듬을 경우에도 수고할 필요가 없다.

Claims (10)

  1. 가발 베이스에 모발을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가발에 있어서,
    상기 가발 베이스가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가, 프론트부, 좌측 사이드부, 우측 사이드부, 백(back)부 및 탑(top)부를 포함하고, 가발 장착 영역을 덮도록 장착자의 두부 형상과 유사한 볼록한 만곡 형상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베이스가 상기 제1 베이스의 배면에서 그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백부로부터 상기 좌측 사이드부 및 상기 우측 사이드부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부가 상기 제1 베이스의 백 둘레부 배면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가발.
  2. 가발 베이스에 모발을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가발에 있어서,
    상기 가발 베이스가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가, 프론트부, 좌측 사이드부, 우측 사이드부, 백부 및 탑부를 포함하고, 가발 장착 영역을 덮도록 장착자의 두부 형상과 유사한 볼록한 만곡 형상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베이스가 상기 제1 베이스의 배면에서 그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백부로부터 상기 좌측 사이드부 및 상기 우측 사이드부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이 루어지고,
    상기 제2 베이스부의 백부가 상기 제1 베이스의 백 둘레부의 배면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제1 베이스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와 상기 제2 베이스의 좌우의 사이드부는 고정 장착구에 의해 장착 및 분리 가능한, 가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에서의 상기 좌측 사이드부, 상기 우측 사이드부 및 상기 백부의 상기 외주 둘레가, 가발 장착자의 가발 장착 영역의 외주 둘레로부터 상기 탑부 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들어가 위치하는, 가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는 밴드형으로 형성되는, 가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착구는, 상기 제1 베이스에서의 상기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가 상기 제2 베이스에서의 상기 좌우의 사이드부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베이스의 배면 및 상기 제2 베이스의 표면에, 각각 대향하여 고정되어 있는, 가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에서의 상기 좌우의 사이드부의 상기 외측 둘레가 상기 제1 베이스에서의 상기 좌우의 사이드부 배면측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나와서 이루어지는 짜집기부를 가지고, 가발 장착자의 두발을 상기 짜집기부에 걸어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제2 베이스가 가발 장착자의 두부에 고정되는, 가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는, 상기 제1 베이스에서의 상기 백 둘레부로부터 상기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 앞쪽 주위 근방까지 연장되어 선형으로 형성되는, 가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에서의 상기 좌우의 사이드부는 그 내측 에지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간 대좌부(臺座部)를 포함하고,
    상기 대좌부가 상기 제1 베이스에서의 상기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각각 상기 고정 장착구가 고정되어 있는, 가발
  9. 프론트부, 좌측 사이드부, 우측 사이드부, 백부 및 탑부를 포함하고, 가발 장착 영역을 덮도록 장착자의 두부 형상과 유사한 볼록한 만곡 형상의 제1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베이스의 배면측에서 그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백부로부터 상기 좌측 사이드부 및 상기 우측 사이드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2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이스의 배면측에서 백 둘레부 및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에 제2 베이스를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제1 베이스의 백 둘레부와 상기 제2 베이스를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발 제조 방법.
  10. 프론트부, 좌측 사이드부, 우측 사이드부, 백부 및 탑부를 포함하고, 가발 장착 영역을 덮도록 장착자의 두부 형상과 유사한 볼록한 만곡 형상의 제1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이스의 배면측에서 그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백부로부터 상기 좌측 사이드부 및 우측 사이드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2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이스에서의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가 상기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 배면에 대향하는 제2 베이스에서의 좌우의 사이드부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 장착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베이스의 배면측에서 백 둘레부 및 상기 좌우의 사이드 둘레부에 제2 베이스를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제1 베이스의 상기 백 둘레부와 상기 제2 베이스를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발 제조 방법.
KR1020097009330A 2006-11-21 2007-11-16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84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14662 2006-11-21
JP2006314662 2006-1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856A true KR20090084856A (ko) 2009-08-05

Family

ID=39429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330A KR20090084856A (ko) 2006-11-21 2007-11-16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00071714A1 (ko)
EP (1) EP2084979A1 (ko)
JP (1) JPWO2008062737A1 (ko)
KR (1) KR20090084856A (ko)
CN (1) CN101541198A (ko)
AU (1) AU2007322792A1 (ko)
CA (1) CA2667179A1 (ko)
RU (1) RU2009114861A (ko)
TW (1) TWI445507B (ko)
WO (1) WO200806273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980B1 (ko) * 2009-12-14 2012-05-15 박명원 분리형 가발
KR101148045B1 (ko) * 2010-07-13 2012-05-24 안기순 지퍼를 이용한 가발 부착방법
JP2016017238A (ja) * 2014-07-04 2016-02-01 小林製薬株式会社 かつらベースおよびかつ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3568B2 (ja) * 2006-08-31 2012-02-22 株式会社アデランス 自毛活用型かつら
US8186361B2 (en) * 2008-03-26 2012-05-29 Alice Hampton Weftless extensions
US20090241973A1 (en) * 2008-03-26 2009-10-01 Alice Hampton Instant wig liners
US20110073122A1 (en) * 2008-06-05 2011-03-31 Sayuri Shigematsu Wig base
JP5290647B2 (ja) * 2008-06-30 2013-09-18 株式会社アートネイチャー かつらベース、及び、かつら
JP2013002025A (ja) * 2011-06-21 2013-01-07 Artnature Co Ltd かつらの製造方法
US20130025612A1 (en) * 2011-07-25 2013-01-31 Erica Hunter SwigCap
US20150068546A1 (en) 2013-09-09 2015-03-12 Healthy Hair Inc. Hair Replacement and Method of Use
US10897944B2 (en) 2013-11-25 2021-01-26 Sherri ROMM Multiple layer hair enhancement, addition, or extension
US9743698B2 (en) * 2013-11-25 2017-08-29 Sherri ROMM Multiple layer hair enhancement, addition, or extension
USD756608S1 (en) * 2014-07-09 2016-05-24 Elle Victoria Jamala Eichenberger Hair covering
USD756609S1 (en) * 2014-07-09 2016-05-24 Elle Victoria Jamala Eichenberger Hair covering
USD799166S1 (en) * 2014-07-09 2017-10-10 Elle Victoria Jamala Eichenberger Hair covering
USD756607S1 (en) * 2014-07-09 2016-05-24 Elle Victoria Jamala Eichenberger Hair covering
USD771355S1 (en) * 2014-07-09 2016-11-15 Elle Victoria Jamala Eichenberger Hair covering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5305A (en) * 1966-01-11 1968-05-28 Frank D. Buzzelli Detachable coiffure
US3458943A (en) * 1967-03-30 1969-08-05 Alice M Trowbridge Model and method for teaching hair and wig styling
FR2120203A5 (ko) * 1970-08-21 1972-08-18 Huvelin Charles
US3809100A (en) * 1971-10-18 1974-05-07 S Megna Wig
US3788332A (en) * 1972-05-11 1974-01-29 Abbott Tresses Wig foundation and wig
US3871389A (en) * 1973-01-22 1975-03-18 Gail Ann Bauer Hair piece and method of forming and attaching
US3835868A (en) * 1973-05-16 1974-09-17 W Heck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hairpieces
US4825886A (en) * 1986-07-09 1989-05-02 Allen Jan W Wig
JPH0527457Y2 (ko) * 1989-10-26 1993-07-13
US5592957A (en) * 1995-08-28 1997-01-14 Gazerro; Carmine M. Hairpiece with detachable portions having continuous fastening segments
JPH1193011A (ja) 1997-09-11 1999-04-06 Art Nature:Kk 開閉かつら
US6012460A (en) * 1998-02-06 2000-01-11 Kikuchi; Naomi Wig
US5853008A (en) * 1998-02-16 1998-12-29 Apollo Products, Inc. Scalp hair foundation to provide additional hair
US5992424A (en) * 1999-04-02 1999-11-30 Flash For Hair Perth Amboy, Inc Hairpiece and method of attaching hairpiece to user's head
US6561197B2 (en) * 2001-04-18 2003-05-13 Hair Addition Studio, Inc. Hair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of attachment
US7537014B1 (en) * 2004-10-04 2009-05-26 Youngbo Yoo Open self-part for wigs
US7131449B2 (en) * 2005-01-27 2006-11-07 Aderans Co., Ltd. Wig
JP4883568B2 (ja) * 2006-08-31 2012-02-22 株式会社アデランス 自毛活用型かつら
ES2624599T3 (es) * 2007-05-30 2017-07-17 Aderans Company Limited Elemento de fijación de peluca y método para fijar una peluca con el elemento
US20090255547A1 (en) * 2008-04-15 2009-10-15 Bridget Gay Starks Interchangeable Wiglet with Anchor Cap Apparatus and Method
US20100170523A1 (en) * 2009-01-06 2010-07-08 Depalma Michele L Multi-style wig
IL199592A (en) * 2009-06-28 2015-01-29 Samuel Karsenti Separable wig system
US7862613B1 (en) * 2010-04-07 2011-01-04 James Costabile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hai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980B1 (ko) * 2009-12-14 2012-05-15 박명원 분리형 가발
KR101148045B1 (ko) * 2010-07-13 2012-05-24 안기순 지퍼를 이용한 가발 부착방법
JP2016017238A (ja) * 2014-07-04 2016-02-01 小林製薬株式会社 かつらベースおよびかつ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9114861A (ru) 2010-12-27
US20100071714A1 (en) 2010-03-25
JPWO2008062737A1 (ja) 2010-03-04
EP2084979A1 (en) 2009-08-05
AU2007322792A1 (en) 2008-05-29
WO2008062737A1 (fr) 2008-05-29
TW200836654A (en) 2008-09-16
CN101541198A (zh) 2009-09-23
CA2667179A1 (en) 2008-05-29
TWI445507B (zh) 201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4856A (ko)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US5937867A (en) Hairpiece and method of using same
JP4650650B2 (ja) 自毛活用型かつら
US9930919B1 (en) Hair extension integration system
JP3264886B2 (ja) おしゃれ増毛装具
US6910486B2 (en) Artificial hair material, hair restoring apparatus, and hair restoring method
CA2688566A1 (en) Apparatus for fixing a wig and method for fixing a wig using the apparatus
US3662766A (en) Method of attaching a hairpiece
JPH03213501A (ja) かつらの装着方法及び装着部材
KR101396543B1 (ko)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가발
JPH09268413A (ja) 増毛装具
JP4883584B2 (ja) 自毛活用型かつら
KR100542328B1 (ko) 벨크로 부착가발
KR0152992B1 (ko) 고정 장착식의 개폐형 가발
JP2939246B1 (ja) かつら
KR200487950Y1 (ko)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JP4753400B2 (ja) 自毛活用型かつ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2355Y1 (ko) 가모전용 부분가발
JPH0527457Y2 (ko)
JP2004277903A (ja) カツラの取付方法
KR100272114B1 (ko) 가발(假髮)의결속방법
JPH047145Y2 (ko)
KR20190001071U (ko)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WO2024038649A1 (ja) 汎用かつら
JPH042178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