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2608A - 유압식 압력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유압식 압력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2608A
KR20080052608A KR1020087007258A KR20087007258A KR20080052608A KR 20080052608 A KR20080052608 A KR 20080052608A KR 1020087007258 A KR1020087007258 A KR 1020087007258A KR 20087007258 A KR20087007258 A KR 20087007258A KR 20080052608 A KR20080052608 A KR 20080052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edium
flow control
valve
housing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7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이너 푸어만
안드레아 디엔스트비어
슈테판 키에닝어
Original Assignee
쉐플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쉐플러 카게 filed Critical 쉐플러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5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414Plug channel at 90 degrees to the in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4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 F16K47/06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with a throttle in the form of a helical chan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7/00Proportioning devices
    • F16N27/005Proportioning devices using restri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식 압력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1a, 1b) 에 관한 것이다. 유량 제어 밸브(1a, 1b)는 밸브 하우징(6)의 외면 표면(5)을 사용하여 기계 하우징(2)의 압력 매체 채널(3) 내에 지지되며, 상기 기계 하우징은 기계 하우징(2) 주위로 합류하는 압력 매체 채널(3)의 합류부(7)에 압력 매체를 밀봉하는 차단 플러그(12)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 제어 밸브는 합류부(7) 반대 측면에서 제1 압력 매체 연결부(8)을 포함한다. 외부 표면(5)을 통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압력 매체 연결부(9)가 제공되며, 상기 제2 압력 매체 연결부는 압력 매체 채널(3) 내로 가로방향으로 합류하는 또 다른 압력 매체 채널(4)과 연결되고, 합류부(7) 쪽을 향한 밸브 하우징(6)의 단부 섹션(10)은 폐쇄된 하우징 바닥(11)을 포함하며, 상기 단부 섹션(10)은 유압 밀봉식 종방향 프레스 핏을 이용하여 압력 매체 채널(3) 내에 삽입됨으로써, 차단 플러그(12)는 유량 제어 밸브(1a, 1b) 자체에 의해 형성된다.
유압식 압력 매체, 유량 제어 밸브, 밸브 하우징, 차단 플러그, 합류부

Description

유압식 압력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Flow-Control Valve for Throttling Hydraulic Pressure Medium}
본 발명은 특히 엔진의 윤활제 사이클 내에서 유압식 압력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교축 횡단면을 구비한 유량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유량 제어 밸브는 밸브 하우징의 사실상 원통형 외부 표면을 구비하고 기계 하우징의 압력 매체 채널 내에 지지되며, 상기 기계 하우징은 기계 하우징 주위로 합류하는 압력 매체 채널의 합류부에 압력 매체를 밀봉하는 차단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 제어 밸브는 합류부 반대 측면에서 압력 매체 채널과 연결되는 제1 압력 매체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식의 유량 제어 밸브는 유압식 장치 및 유압식 제어 장치에서 교축 장치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감소한 체적 유량으로 압력하에 있는 유압 매체를 유압 사용처에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엔진 분야에서는 상기 방식의 유량 제어 밸브가 예를 들어, 피스톤을 냉각시키기 위한 분사 노즐로서 엔진의 윤활제 사이클 내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응용 분야에서는 유량 제어 밸브가 윤활제 사이클 내에 일체되며, 상기 윤활제 사이클은 윤활과 냉각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엔진의 밸브 제어 장치 중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제어 부재 또는 커플링 부재 를 제어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러한 응용은 예를 들어, 독일 특허 출원 제37 38 488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는 유압 매체 사이클 내에 유량 제어 밸브가 배치되며, 상기 유량 제어 밸브의 압력은 가스 교환 밸브 리프트를 작동점에 따라 설정하기 위해 유압식 밸브에 의해 모듈화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유량 제어 밸브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밸브 제어 장치의 커플링 수단을 스위칭 상태들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유량 제어 밸브의 중요한 목적은 저압 상태에서도 커플링 수단에 연결된 유압식 갤러리에서 유압식 갤러리를 통하는 소위 플러싱 유동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커플링 수단의 스위칭 시간에 바람직하지 않게 작용하는 공기 버블의 형성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문헌에서 유압 회로도에 의해 개략적만 도시되어 있는 이와 같은 유량 제어 밸브는 구성 부품으로서, 예를 들어 엔진의 원통 헤드 내에 심공 보어로서 형성된 유압 매체 채널 내에 설치된다. 원통 헤드의 주위에 대해 유압 매체 채널을 완전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밀봉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유압 매체 채널의 합류부에 차단 플러그가 사용된다. 상기 차단 플러그는 예를 들어, 독일 특허 출원 제24 39 842 A1호에 밀봉링을 구비한 스크류-인(screw-in) 부품과 같은 형태로 공지되어 있으며, 독일 특허 출원 제44 15 341 A1호와 독일 특허 출원 제198 46 379 A1호에는 특별한 외측 윤곽을 구비한, 합류부에 프레스 삽입된 차단 플러그와 같은 형태로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압력 매체 채널의 합류부 윤곽은 차단 플러그마다 개별적으로 매칭되므로, 특별히 밀봉의 목적 때문에 제조되고 조립될 차단 플러그는 일반적으로 기계 하우징의 제조시 또는 특히 엔진의 제조시에 상당한 비용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단점을 방지하고, 기계 하우징의 주위에 대한 압력 매체 채널의 내압성 및 내구성 밀봉부를 제조 및 조립하기 위한 비용이 전반적으로 감소되도록 도입부에 설명된 유형의 유량 제어 밸브를 형성하여, 압력 매체 채널 내에 배치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되며 양호한 계선예와 실시예는 종속항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차단 플러그는 유량 제어 밸브 자체에 의해 형성되는데, 외부 표면을 통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압력 매체 연결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2 압력 매체 연결부는 압력 매체 채널 내로 가로방향으로 합류하는 또 다른 압력 매체 채널과 연결되고, 합류부쪽을 향하고 제2 압력 매체 연결부와 인접한 밸브 하우징의 단부 섹션은 폐쇄된 하우징 바닥을 포함하며, 상기 단부 섹션은 유압 밀봉식 종방향 프레스 핏을 이용하여 압력 매체 채널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특별히 밀봉의 목적 때문에 제조되고 조립될 차단 플러그의 추가 비용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선행기술에서 스크류 형태 또는 직경 단차부의 형태로 공지된 바와 같이 합류부 윤곽을 차단 플러그마다 개별 매칭하여 제조하기 위한 제작 비용도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유량 제어 밸브를 방사 방향으로 압력 매체 채널 내에 조립하기 위해 하우징 바닥은 유량 제어 밸브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립 공구를 위한 결합 윤곽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윤곽은 제2 압력 매체 연결부의 방사상 위치의 명백한 배치와 함께 종방향에 대해 가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 윤곽은 압력 매체 채널 내에서 유량 제어 밸브를 회전 없이 프레스 삽입하기 위해 유량 제어 밸브를 조립 공구에 안정적이고 완전 자동적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제2 압력 매체 연결부는 항상 또 다른 압력 매체 채널과 유압식 연결된다. 결합 윤곽은 내측 윤곽으로서 뿐만 아니라 외측 윤곽으로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압력 매체 채널의 합류부 방향으로 유량 제어 밸브의 종방향 연장을 한정하기 위해, 결합 윤곽을 제1 압력 매체 연결부 방향으로 아치된 하우징 바닥 섹션의 내측 윤곽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량 제어 밸브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밸브 하우징과, 밸브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유격 없이 베어링되고, 교축 횡단면을 한정하는 밸브 코어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모듈식 원리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경우 유량 제어 밸브는 동일한 메인 크기를 갖지만 응용예에 따라 상이하게 매칭되는 교축 횡단면에 대해 매우 유연하고 특히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밸브 하우징은 추가로 비용을 감소하기 위해 딥 드로잉 방법에 의해 제조된, 벽이 얇은 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밸브 코어는 한편으로 하우징 바닥에서, 다른 한편으로 방사상 내부로 향하는 밸브 하우징의 칼라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또한, 밸브 코어를 위한 재료로서 양호하게 플라스틱제와 같은 가벼운 재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압력 매체 연결부는 유량 제어 밸브 내로 연장되는, 밸브 하우징의 링 칼라를 둘러싸는 개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코어는, 밸브 코어가 링 칼라를 거쳐 밸브 하우징 내로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고 밸브 하우징 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유량 제어 밸브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링 칼라를 둘러싸는 홈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유량 제어 밸브의 실시예는, 특히 종축에 대해 회전 대칭적이지 않게 형성되고, 압력 매체 연결부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교축 횡단면을 위해 적합하다.
또한 밸브 코어는, 하우징 바닥쪽으로 향하고 바닥에 의해 한정된 중공 원통형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는 한편으로 홈을 통해 제2 압력 매체 연결부와, 다른 한편으로 교축 횡단면과 유압식 연결된다. 상기 리세스는 유압식 연결 섹션으로서의 기능 외에, 동시에 도입부에서 언급된 공구 결합 윤곽을 구비한 하우징 바닥의 아치된 섹션을 위한 구조 공간으로서도 이용된다.
교축 횡단면은 한편으로 밸브 코어의 바닥을 관통하여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보어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대체예로서 교축 횡단면은 적어도 하나의 교축 채널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교축 채널은 제2 압력 매체 연결부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밸브 코어의 외부 표면 섹션에서 유량 제어 밸브의 종방향으로 곡류 형태로 연장된다. 교축 채널은 유량 제어 밸브의 제1 압력 매체 연결부로서 구성된 제1 채널로 합류하며 제2 채널에 의해 리세스와 유압식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교축 채널은 유량 제어 밸브에 의한 높은 압력 강하 및/또는 가장 작은 체적 유량을 발생시키기 위해 특히 적합한데, 교축 효과가, 아주 작고 좁은 공차를 가지며 오염에 민감한 보어에 의해서가 아니라 바람직하게 큰 횡단면을 구비한 긴 채널의 유동 저항에 의해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교축 채널의 곡류 형태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밸브 코어를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는데에 특히 적합한데, 교축 채널이 한편으로 사출 성형 공구의 주형 절반에서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밸브 코어의 외부 표면 주위를 나사 형태로 둘러싸는 채널이 형성되는 것과 같이, 밸브 코어를 사출 성형 공구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방해하는 후방 절단이 방지된다.
밸브 코어를 밸브 하우징 내에 방사 방향으로 그리고 회전 없이 조립하는 것을 단순화하기 위해, 바닥은 유량 제어 밸브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립 공구를 위한 결합 윤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윤곽은 홈의 방사상 위치의 명백한 배치와 함께 종방향에 대해 가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결합 윤곽은 밸브 하우징의 칼라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바닥 부착부의 외측 윤곽으로서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안으로서 상기 결합 윤곽은 내측 윤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하기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간단하게 도시된 도면에 제시된다.
도1은 기계 하우징의 압력 매체 채널 내에 조립된 유량 제어 밸브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제1 압력 매체 연결부의 평면도에서 밸브 코어를 유량 제어 밸브의 밸브 하우징 내에 조립하기 위해 조립 공구를 위한 결합 윤곽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3은 유량 제어 밸브를 압력 매체 채널 내에 조립하기 위해 유량 제어 밸브의 하우징 바닥에서 조립 공구를 위한 결합 윤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유량 제어 밸브의 제2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5는 곡류 형태의 교축 채널을 구비한 도4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의 밸브 코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1a)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다. 또 다른 압력 매체 채널(4)이 가로로 합류하는, 심공 보어로서 제조된 압력 매체 채널(3)을 구비한 기계 하우징(2)이 도시된다. 유량 제어 밸브(1a)는 밸브 하우징(6)의 원통형 외부 표면(5)과 압력 매체 채널(3)의 직경 확장된 합류부(7) 사이에 종방향 프레스 핏을 이용하여 삽입되어, 합류부(7) 반대 측면에서 제1 압력 매체 연결부(8)가 압력 매체 채널(3)과 연결되며 외부 표면(5)을 통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압력 매체 연결부(9)가 또 다른 압력 매체 채널(4)과 연결된다. 합류부(7) 쪽을 향하고 제2 압력 매체 연결부(9)와 인접한 밸브 하우징(6)의 단부 섹션(10)은 폐쇄된 하우징 바닥(11)을 포함하며, 상기 단부 섹션(10)은 종방향 프레스 핏을 이용하여 차단 플러그(12)로서 압력 매체 채널(4)과 유압 밀봉식으로 상호 작용함으로써, 기계 하우징(2)으로부터 주위로 배출되는 압력 매체의 배출이 지속적으로 방지된다.
유량 제어 밸브(1a)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딥 드로잉 방법으로 제조되고 벽이 얇은 박판으로 형성된 밸브 하우징(6)과,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밸브 코 어(13a)로 구성된다. 밸브 코어(13a)는, 밸브 코어(13a)가 링 칼라(15)를 거쳐 밸브 하우징(6) 내로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고 밸브 하우징(6) 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유량 제어 밸브(1a)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4)을 포함하며, 상기 홈은 유량 제어 밸브(1a) 내로 연장되는 링 칼라(15)를 둘러싼다. 가장자리를 구부리는 과정을 이용하여 밸브 하우징(6)에서 칼라(16)를 제조하기 전에 밸브 코어(13a)는 밸브 하우징(6) 내에 삽입되어, 밸브 코어(13a)는 가장자리를 구부린 후 한편으로는 하우징 바닥(11)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칼라(16)에서 축방향으로 유격 없이 지지된다. 또한 밸브 코어(13a)는 하우징 바닥(11) 쪽을 향하고 바닥(17)에 의해 한정된 중공 원통형 리세스(18)를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는 한편으로 홈(14)을 통해 위치한, 링 칼라(15)로 둘러싸인 개구(19)로서 형성된 제2 압력 매체 연결부(9)와, 다른 한편으로는 교축 횡단면(20)과 유압식 연결된다. 유량 제어 밸브(1a)의 제1 실시예에서 교축 횡단면(20)에는 종방향 보어(21)가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보어는 밸브 코어(13a)의 바닥(17)을 통해 연장되어 제1 압력 매체 연결부(8)에 합류한다.
도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6) 내에 방사 방향으로 조립하기 위해서 밸브 코어(13a)의 바닥(17)은, 유량 제어 밸브(1a)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종방향에 대해 가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조립 공구용 결합 윤곽(22)을 포함한다. 외측 윤곽(23)으로서 결합 윤곽(22)은 밸브 하우징(6)의 칼라(16)를 통해 연장되는 부착부(24)에서 서로 수직 대면하는 스패너 면들(25) 및 경사지게 연장된 면(26)을 구비한 외측 다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면(26)은 홈(14)에 대해 고 정된 방사 방향 관계를 갖기 때문에, 홈(14)의 방사상 위치는 외측 윤곽(23)에 대해 보완적인 조립 공구에 명백하게 할당된다. 밸브 코어(13a)의 배열에 상응하는 밸브 하우징(6)의 방사상 위치 설정은, 예컨대 조립핀에서 개구(19)의 배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써 밸브 코어(13a)는 밸브 하우징(6) 내에 공정상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도3에 따라, 유량 제어 밸브(1a)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종방향에 대해 가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조립 공구용 결합 윤곽(27)에 의해 유량 제어 밸브(1a)는 압력 매체 채널(3)에 방사 방향으로 조립된다. 도1에서 도시되지 않은 결합 윤곽(27)은 제1 압력 매체 연결부(8) 방향으로 아치된 하우징 바닥(11) 섹션(29)의 내측 윤곽(28)으로서 서로 수직 대면하는 스패너 면들(30) 및 경사지게 연장된 면(31)을 구비한 내측 다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면(31)은 개구(19)에 대해 고정된 방사 방향 관계를 갖기 때문에, 이의 방사 방향 위치와 제2 압력 매체 연결부(9)의 위치는 내측 윤곽(28)에 대해 보완적인 조립 공구에 명백하게 할당된다. 기계 하우징(2) 내에 또 다른 압력 매체 채널(4)의 위치가 알려져 있기 때문에, 유량 제어 밸브(1a)를 압력 매체 채널(3) 내에 공정상 안정적이고 회전 없이 프레스 삽입하는 것이 보장된다.
앞에서 기술된 공구 결합 윤곽(22 및 27)과 관련하여, 유량 제어 밸브를 방사 방향으로 배열하는 특징과 윤곽이 명백하게 관련되는 한, 상기 윤곽은 당연히 임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결합 윤곽(22)이 바닥(17) 내로 연장되는 내측 윤곽으로서 형성되거나 결합 윤곽(27)이 하우징 바닥(11)으로부터 합류부 방향으로 아치된 외측 윤곽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1b)의 제2 실시예는 도4와 도5에 도시되어 있다. 유량 제어 밸브(1b)의 유량 제어 밸브(1a)와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유량 제어 밸브(1b)의 교축 횡단면(20)은 바닥(17)에서 연장된 종방향 보어를 통해서가 아니라, 교축 채널(32)을 통해서 형성되는데, 상기 채널은 제2 압력 매체 연결부(9)와 대면하여 위치하는 밸브 코어(13b)의 외부 표면 섹션(33) 내에서 유량 제어 밸브(1b)의 종방향으로 곡류 형태로 연장되며 밸브 하우징(6)에 의해 한정된다. 교축 채널(32)은 제1 압력 매체 연결부(8)를 갖는 제1 채널(34)로 합류하고 제2 채널(35)에 의해 리세스(18)와 유압식 연결되는데, 상기 리세스는 유량 제어 밸브(1a)에 상응하게 홈(14)과 개구(19)를 통해 또 다른 압력 매체 채널(4)과 유압식 연결된다.
<도면부호 리스트>
1a,1b: 유량 제어 밸브
2: 기계 하우징
3: 압력 매체 채널
4: 추가 압력 매체 채널
5: 외부 표면
6: 밸브 하우징
7: 합류부
8: 제1 압력 매체 연결부
9: 제2 압력 매체 연결부
10: 단부 섹션
11: 하우징 바닥
12: 차단 플러그
13a,13b: 밸브 코어
14: 홈
15: 링 칼라
16: 칼라
17: 바닥
18: 리세스
19: 개구
20: 교축 횡단면
21: 종방향 보어
22: 결합 윤곽
23: 외측 윤곽
24: 부착부
25: 스패너 면
26: 면
27: 결합 윤곽
28: 내측 윤곽
29: 섹션
30: 스패너 면
31: 면
32: 교축 채널
33: 외부 표면 섹션
34: 제1 채널
35: 제2 채널

Claims (12)

  1. 유압식 압력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1a, 1b)이며, 유량 제어 밸브(1a, 1b)는 밸브 하우징(6)의 사실상 원통형 외부 표면(5)을 사용하여 기계 하우징(2)의 압력 매체 채널(3) 내에 지지되며, 상기 기계 하우징(2)은 기계 하우징(2) 주위로 합류하는 압력 매체 채널(3)의 합류부(7)에 압력 매체를 밀봉하는 차단 플러그(12)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 제어 밸브는 합류부(7) 반대 측면에서 압력 매체 채널(3)과 연결되는 제1 압력 매체 연결부(8)를 포함하는, 특히 엔진의 윤활제 사이클 내에서 유압식 압력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교축 횡단면(20)을 구비한 유량 제어 밸브에 있어서,
    외부 표면(5)을 통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압력 매체 연결부(9)가 제공되며, 상기 제2 압력 매체 연결부는 압력 매체 채널(3) 내로 가로방향으로 합류하는 또 다른 압력 매체 채널(4)과 연결되고, 합류부(7)쪽을 향하고 제2 압력 매체 연결부(9)와 인접한 밸브 하우징(6)의 단부 섹션(10)은 폐쇄된 하우징 바닥(11)을 포함하며, 상기 단부 섹션(10)은 유압 밀봉식 종방향 프레스 핏을 이용하여 압력 매체 채널(3) 내에 삽입됨으로써, 차단 플러그(12)는 유량 제어 밸브(1a, 1b) 자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압력 매체 채널(3) 내에 유량 제어 밸브(1a, 1b)를 방사 방 향으로 조립하기 위해 하우징 바닥(11)은 유량 제어 밸브(1a, 1b)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립 공구를 위한 결합 윤곽(27)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윤곽(27)은 제2 압력 매체 연결부(9)의 방사상 위치의 명백한 배치와 함께 종방향에 대해 가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결합 윤곽(27)은 제1 압력 매체 연결부(8) 방향으로 아치된 하우징 바닥(11) 섹션(29)의 내측 윤곽(28)으로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유량 제어 밸브(1a, 1b)는 두 부분, 즉 밸브 하우징(6)과, 밸브 하우징(6) 내에서 축방향으로 유격 없이 지지되고 교축 횡단면(20)을 한정하는 밸브 코어(13a, 13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밸브 하우징(6)은 딥드로잉 방법에 의해 제조된, 벽이 얇은 박판으로 형성되며, 밸브 코어(13a, 13b)는 한편으로 하우징 바닥(11)에서, 다른 한편으로 방사상 내부로 향하는 밸브 하우징(6)의 칼라(16)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6. 제4항에 있어서, 밸브 코어(13a, 13b)가 플라스틱과 같은 가벼운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7. 제4항에 있어서, 제2 압력 매체 연결부(9)는 유량 제어 밸브(1a, 1b) 내로 연장되는, 밸브 하우징(6)의 링 칼라(15)로 둘러싸인 개구(19)로서 형성되며, 밸브 코어(13a, 13b)는, 밸브 코어(13a, 13b)가 링 칼라(15)를 거쳐 밸브 하우징(6) 내로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고 밸브 하우징(6) 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유량 제어 밸브(1a, 1b)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링 칼라(15)를 둘러싸는 홈(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밸브 코어(13a, 13b)는, 하우징 바닥(11)쪽으로 향하고, 바닥(17)에 의해 한정된 중공 원통형 리세스(18)를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는 한편으로 홈(14)을 통해 위치한 제2 압력 매체 연결부(9)와, 다른 한편으로는 교축 횡단면(20)과 유압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교축 횡단면(20)은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보어(21)를 통해 형성되며, 상기 종방향 보어(21)는 밸브 코어(13a)의 바닥(17)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10. 제8항에 있어서, 교축 횡단면(20)은 적어도 하나의 교축 채널(32)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교축 채널(32)은 제2 압력 매체 연결부(9)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밸브 코어(13b)의 외부 표면 섹션(33)에서 유량 제어 밸브(1b)의 종방향으로 곡류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교축 채널은 유량 제어 밸브(1b)의 제1 압력 매체 연결부(8)로서 구성된 제1 채널(34)로 합류하며 제2 채널(35)에 의해 리세스(18)와 유압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11. 제8항에 있어서, 밸브 하우징(6) 내에 밸브 코어(13a, 13b)를 방사 방향으로 조립하기 위해 바닥(17)은 유량 제어 밸브(1a, 1b)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립 공구를 위한 결합 윤곽(22)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윤곽(22)은 홈(14)의 방사상 위치의 명백한 배치와 함께 종방향에 대해 가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12. 제11항에 있어서, 결합 윤곽(22)은 밸브 하우징(6)의 칼라(16)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바닥(17)의 부착부(24)의 외측 윤곽(23)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KR1020087007258A 2005-09-27 2006-08-30 유압식 압력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KR200800526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46065A DE102005046065A1 (de) 2005-09-27 2005-09-27 Stromventil zum Drosseln hydraulischer Druckmittel
DE102005046065.8 2005-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608A true KR20080052608A (ko) 2008-06-11

Family

ID=37450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258A KR20080052608A (ko) 2005-09-27 2006-08-30 유압식 압력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31860A1 (ko)
KR (1) KR20080052608A (ko)
CN (1) CN101273187B (ko)
DE (1) DE102005046065A1 (ko)
WO (1) WO20070364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4002A1 (de) * 2008-10-30 2010-05-0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Kompressor zur Drucklufterzeug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0008773A1 (de) 2010-02-22 2011-08-25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91074 Betätigungselement einer elektromagnetischen Stelleinheit eines Hydraulikventils
CN102588033A (zh) * 2012-03-23 2012-07-18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润滑系统用限油螺塞
CN103670581A (zh) * 2012-09-18 2014-03-2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润滑系统用限油螺塞
DE202013004009U1 (de) * 2013-04-27 2014-07-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Drosselstopfen für ein Ölversorgungssystem eines Zylinderkopfsund Zylinderkopf
DE102018115343A1 (de) 2018-06-26 2020-01-0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teuerventil mit Dichtkontur auf einem hülsenförmigen Hydraulikleitelement; sowie Bausatz mit Steuerventil und Nockenwellenversteller
DE102018217383A1 (de) * 2018-10-11 2020-04-16 Thyssenkrupp Ag Hochdruckventil für eine gesteuerte Druckabsenk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2074A (en) * 1938-09-29 1940-05-28 Thexton Mfg Company Inc Oil pressure regulator
US2664109A (en) * 1948-09-24 1953-12-29 Babcock & Wilcox Co Fluid circuit resistor construction
GB8618336D0 (en) * 1986-07-28 1986-09-03 Interlube Syst Ltd Flow restrictor unit
FR2680387B1 (fr) * 1991-08-13 1993-10-01 Renault Regie Nale Usines Culasse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CN2284650Y (zh) * 1995-01-01 1998-06-24 象山县久源润滑件厂 方向可调式定量喷、射油器
CN2462220Y (zh) * 2000-08-31 2001-11-28 宁波市三浪润滑元件有限公司 油脂润滑多功能控制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1860A1 (de) 2008-06-18
WO2007036408A1 (de) 2007-04-05
CN101273187B (zh) 2010-06-16
CN101273187A (zh) 2008-09-24
DE102005046065A1 (de) 200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2608A (ko) 유압식 압력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
US6966340B2 (en) Slide spool valve
JPH11270512A (ja) 油圧シリンダユニット
JP3650971B2 (ja) スプール弁の構造
KR101537432B1 (ko) 유압 액추에이터 내 제어 밸브용 압력 매체 유도 인서트
JP4327681B2 (ja) 樹脂製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US5222715A (en) Valve construction
JP2005525502A (ja) 改良された高圧強度を有する燃料噴射システムのためのラジアルピストンポンプ
US20120073282A1 (en) Hydraulic system
JP2000240609A (ja) 流体圧シリンダにおける流路成形方法
JP2020180678A (ja) マニホールド
JP2005188602A (ja) ピストン構造体
KR100522499B1 (ko) 2포트 밸브
JP2001295807A (ja) 流体圧シリンダのエンドキャップ
KR100876468B1 (ko) 피씨브이 밸브
CN112004997B (zh) 在套筒形液力引导元件上具有密封轮廓的控制阀;及具有控制阀和凸轮轴相位器的部件
JP3814525B2 (ja) 油圧シリンダ
JP2005076477A (ja) デリバリパイプ
CN219529838U (zh) 一种控制阀
CN212744547U (zh) 通断阀
KR200334660Y1 (ko) 유체이송제어용 개폐밸브의 오링 조립구조
CN220600452U (zh) 截止阀
IT9067232A1 (it) Sistema di tenuta ad attuatore torsionale che lo incorpora
KR100876469B1 (ko) 피씨브이 밸브
KR100704173B1 (ko) 유체밸브용 케이싱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