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173B1 - 유체밸브용 케이싱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체밸브용 케이싱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173B1
KR100704173B1 KR1020050041260A KR20050041260A KR100704173B1 KR 100704173 B1 KR100704173 B1 KR 100704173B1 KR 1020050041260 A KR1020050041260 A KR 1020050041260A KR 20050041260 A KR20050041260 A KR 20050041260A KR 100704173 B1 KR100704173 B1 KR 100704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ides
steel pipe
small diameter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856A (ko
Inventor
오동혁
Original Assignee
오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동혁 filed Critical 오동혁
Priority to KR1020050041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173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001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valves or valv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6/00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 B21D26/02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by applying fluid pressure
    • B21D26/033Deforming tubular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18Butterfly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을 액압성형하여서 길이방향 중간부 양측에 융기된 소구경 원통들을 후가공하고 부싱을 삽입 고정하여, 자체적인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함은 물론이고, 밸브체의 양측단이 틈새없이 밀착되는 상태로 양측 회전축들이 끼움 조립되도록 한 양측 축받이들을 갖는 유체밸브용 케이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체밸브용 케이싱 및 그의 제조방법은 소요 단면두께와 직경크기를 가지는 강관(1)을 액압성형기(40)로 액압성형하여 길이방향 중간부 양측에 외측단이 막혀진 소구경 원통(2)들이 외부로 융기되도록 형성하고, 강관(1)의 양측에 융기되어 막혀있는 소구경 원통(2)들의 외측단을 절단 제거한 후 그 소구경 원통의 내주면을 절삭가공하며, 후가공된 양측의 소구경 원통(2)들 내부에 원통체의 형상을 가지는 부싱(3)을 삽입 고정시켜서, 밸브체(30)의 양측단이 밀착되는 상태로 양측 회전축(31)들이 끼움 조립되는 양측 축받이(20)들을 갖도록 제조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체밸브용 케이싱 및 그의 제조방법{Casing for fluid valu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유체밸브용 케이싱의 실시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2는 본 발명 유체밸브용 케이싱의 소재로 사용되는 강관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3a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유체밸브용 케이싱의 제조방법에 따른 작업공정을 순서대로 예시한 것임
도 6은 본 발명의 유체밸브용 케이싱의 실시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강관 2: 소구경 원통
3: 부싱 4: 접속구용 체결홈
10: 유체밸브용 케이싱 20: 양측 축받이
30: 밸브체 31: 양측 회전축
40: 액압성형기 50: 절단기
60: 절삭공구
본 발명은 밸브체의 양측 회전축이 끼움 조립되는 축받이를 가지는 유체밸브용 케이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돌발적인 충격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내부에 회전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밸브체가 유체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유체밸브용 케이싱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유체밸브는 원통체의 형상으로 유체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양측에 축받이를 가지는 유체밸브용 케이싱과, 그 유체밸브용 케이싱의 양측 축받이를 통하여 양측 회전축이 끼움 조립되어 회전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밸브체로 이루어져서, 이동하는 유체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체밸브를 구성하는 부품으로 사용되는 유체밸브용 케이싱은 주로 주물성형 방식으로 제조되어 왔다. 즉, 종래의 유체밸브용 케이싱은 주형에 쇳물을 주입하여 양측에 축받이를 가지도록 유체밸브용 케이싱을 주물 성형한 후, 유체밸브용 케이싱 및 양측 축받이를 다듬질하는 작업공정을 통하여 제조되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유체밸브용 케이싱은 그 유체밸브용 케이싱 자체와 양측 축받이의 내측단이 비교적 정밀하게 다듬질되어 있기 때문에, 양측 축받이에 양측 회전축들을 끼움 조립하여 밸브체가 회전 개폐되도록 설치할 때에, 서로 맞대어지는 양측 축받이의 내측단과 밸브체의 양측단 간에 틈새없이 밀착되어서, 밸브체를 폐쇄 조작한 상태에서 유체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하여 주므로, 유체의 이송량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주물 제작된 유체밸브용 케이싱은 단면이 치밀하지 못하여 취성을 띄게 되므로, 취급시 또는 배관라인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돌발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쉽게 깨져서 균열이 발생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아예 파손되는 등의 심각한 결함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강관을 액압성형하여서 원하는 형태의 배관자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강관을 액압성형하여 유체밸브용 케이싱을 제조하는 방법에 따르면, 재질적 특성상 단면이 치밀하고 인성을 가지는 강관을 액압성형기 내에 삽입하고 액체를 주입한 후 가압하여서, 강관의 길이방향 중간부 양측에 축받이가 융기되도록 만들어지기 때문에, 주물 제작된 유체밸브용 케이싱에 비하여 외적인 충격에 대응하는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유체밸브용 케이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액압성형하여 제조된 유체밸브용 케이싱(100)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유체밸브용 케이싱의 양측에 융기 형성된 양측 축받이(200)의 내측단 모서리부분이 완만히 만곡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그 양측 축받이(200)에 양측 회전축(310)들을 끼움 조립하여 밸브체(300)가 회전 개폐되도록 설치하면, 서로 맞대어지는 양측 축받이(200)의 내측단과 밸브체(300)의 양측단 간에 그 밸브체를 회전 폐쇄시킬 때에 유체가 임의로 통과되는 틈새가 발생되므로, 이동되는 유체의 통과량을 정확히 제어할 수 없게 되어서 유체밸브용 케이싱으로서 요구되는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강관을 액압성형하여서 길이방향 중간부 양측에 융기된 소구경 원통들을 후가공하고 부싱을 삽입 고정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여서, 자체적인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함은 물론이고, 밸브체의 양측단이 틈새없이 밀착되는 상태로 양측 회전축들이 끼움 조립되도록 한 양측 축받이들을 갖는 유체밸브용 케이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유체밸브용 케이싱 및 그의 제조방법은 소요 단면두께와 직경크기를 가지는 강관(1)을 액압성형기(40)로 액압성형하여 길이방향 중간부 양측에 외측단이 막혀진 소구경 원통(2)들이 외부로 융기되도록 형성하고, 강관(1)의 양측에 융기되어 막혀있는 소구경 원통(2)들의 외측단을 절단 제거한 후 그 소구경 원통의 내주면을 절삭가공하며, 후가공된 양측의 소구경 원통(2)들 내부에 원통체의 형상을 가지는 부싱(3)을 삽입 고정시켜서, 밸브체(30)의 양측단이 밀착되는 상태로 양측 회전축(31)들이 끼움 조립되는 양측 축받이(20)들을 갖도록 제조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체밸브용 케이싱 및 그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첫째 특성상 단면이 치밀하며 인성을 가지는 강관(1)을 소재로 하여 제조되므로, 취급시 또는 배관라인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돌발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유체밸브용 케이싱(10) 자체가 쉽게 깨져서 균열이 발생되거나 파손됨을 예방하여서 사용수명을 대폭적으로 연장시켜 주며, 둘째 강관(1)을 액압성형하여 융기된 소구경 원통(2)들을 후가공하고 부싱(3)을 삽입 고정하여, 밸브체(30)의 양측단이 틈새없이 밀착되는 상태로 양측 회전축(31)들이 끼움 조립될 수 있도록 한 양측 축받이(20)들을 갖게 하여 주므로, 밸브체(30)를 폐쇄 조작한 상태에서 유체가 임의로 통과하지 못하게 하여서 유체의 이송량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c는 강관(1)을 액압성형기(40)로 액압성형하는 작업공정을 예시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소구경 원통(2)들과 부싱(3)의 내측단은 강관(1)의 중심을 향하는 단부를 말하는 것이고, 외측단은 상기 내측단의 반대측 단부를 말하는 것이다.
액압성형하는 데 필요한 강관(1)은 완성품으로 제조될 유체밸브용 케이싱(10)의 길이가 길고 단면두께가 얇은 원통체로 된 것을 준비하고, 액압성형기(40)는 서로 맞물려지는 1쌍의 일측 및 타측금형(41, 42) 내부에 형성된 강관 삽입홀(43)을 중심으로 양측에 원통 성형홀(44)들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강관 삽입홀(43)의 선,후단에 출입하도록 설치되어 액체를 주입하고 가압할 수 있도록 액체주입공(45a)이 형성된 가압구(45)를 가지는 것을 준비한다.
준비된 상기 강관(1)은 상기 액압성형기(40)의 일측 및 타측금형(41, 42) 내에 형성된 강관 삽입홀(43)에 삽입하여 위치시키고 그 일측 및 타측금형(41, 42)을 동작시켜서 서로 맞물리게 한 다음, 원통 성형홀(44)에 끼워진 가압구(45)의 액체주입공(45a)을 통하여 액체를 주입하고, 액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시킨 상태로 가압구(45)를 가압하여서, 원통 성형홀(44)들을 통하여 강관(1)의 길이방향 중간부 양측에 외측단이 막아진 형태로 융기된 소구경 원통(2)들을 형성한다. 이때, 강관(1)은 완성품으로 제조될 유체밸브용 케이싱(10)의 길이로서 단면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액압성형하여 양측에 소구경 원통(2)들이 형성된 강관(1)은 상기 액압성형기(40)의 일측 및 타측금형(41, 42)을 벌려서 분리해 낸다.
도 4a 및 4b는 강관(1)의 양측에 형성된 소구경 원통(2)들을 후가공하는 작업공정을 예시하고 있다.
액압성형되어서 강관(1)의 양측에 융기되어 막혀있는 소구경 원통(2)들의 외측단을 절단기(50)로 절단 제거하여 트여지도록 하고, 그 소구경 원통(2)들의 내주면을 절삭공구(60)로 가공하여서 된다. 이와 같이 소구경 원통(2)들을 후가공하는 이유는, 그 각각의 소구경 원통(2)들 내부에 원통형의 부싱(3)을 타이트하게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소구경 원통(2)들의 내주면을 절삭가공할 때에 내측단에 단차지는 걸림턱(2a)을 형성하여서, 상기 소구경 원통(2)에 부싱(3)을 삽입 고정시킬 때에 그 부싱의 내측단 둘레에 외향 돌출되는 고정턱(3a)이 걸쳐지는 형태로서 견실히 조립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강관(1)의 외주면 양측 끝부분 근처에는 접속구용 체결홈(4)을 절삭가공한다. 상기 소구경 원통(2)들의 내주면을 절삭가공할 때에 동시에 절삭가공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 접속구용 체결홈(4)은 완성된 유체밸브용 케이싱(10)에 액체이송관(미도시)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구(미도시)를 결착시키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도 5는 후가공된 소구경 원통(2)들 내부에 부싱(3)을 삽입 고정시켜서 양측 축받이(20)들을 형성하는 작업공정을 예시하고 있다.
후가공된 소구경 원통(2)들의 내경과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부싱(3)을 준비하고, 상기 부싱(3)을 소구경 원통(2)들 내에 각각 억지끼움하여 타이트하게 삽입 고정시켜서 내측단이 정규의 대접면을 이루는 양측 축받이(20)들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구경 원통(2)들 내부에 부싱(3)을 삽입 고정시키는 작업을 통하여 내측단이 대접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양측 축받이(20)들은, 밸브체(30)의 양측단이 밀착되는 상태로 양측 회전축(31)들이 끼움 조립될 수 있게 하여 준다. 이때, 상기 부싱(3)은 그 외면에는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로 소구경 원통(2)들 내에 각각 삽입 고정시켜서, 소구경 원통(2)들 내에 상기 부싱(3)이 견고히 정착되게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부싱(3)의 내측단에는 밸브체(30)의 양측단에 대한 대접면을 확대하기 위한 돌출턱(3b)을 내향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부싱(3)을 소구경 원통(2)들 내부에 삽입 고정시켜서 양측 축받이(20)들을 구성하였을 때 밸브체(30)의 양측단이 틈새없이 밀착되는 상태로 양측 회전축(31)들이 끼움 조립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강관(1) 양측의 소구경 원통(2)들 내에 부싱(3)을 삽입 고정하여 양측 축받이(20)를 갖는 유체밸브용 케이싱(10)을 제조한 이후에는 도 6의 도 시와 같이, 그 양측 축받이(20) 주변 둘레를 남겨두고 강관(1)의 내주면 전체를 절삭가공하여서, 완성된 유체밸브용 케이싱(10)의 내부에 밸브체(30)를 끼워서 설치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게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밸브용 케이싱 및 그의 제조방법은 강관을 액압성형하여서 길이방향 중간부 양측에 융기된 소구경 원통들을 후가공하고 부싱을 삽입 고정되게 함으로써, 돌발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유체밸브용 케이싱 자체가 쉽게 깨져서 균열 또는 파손이 발생됨을 예방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주며, 내부에 회전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밸브체를 폐쇄 조작한 상태에서 유체가 임의로 통과하지 못하게 하여서 유체의 이송량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소요 단면두께와 직경크기를 가지는 강관(1)을 액압성형기(40)로 액압성형하여 길이방향 중간부 양측에 외측단이 막혀진 소구경 원통(2)들이 외부로 융기되도록 형성하고, 강관(1)의 양측에 융기되어 막혀있는 소구경 원통(2)들의 외측단을 절단 제거한 후 그 소구경 원통의 내주면을 절삭가공하며, 후가공된 양측의 소구경 원통(2)들 내부에 원통체의 형상을 가지는 부싱(3)을 삽입 고정시켜서, 밸브체(30)의 양측단이 밀착되는 상태로 양측 회전축(31)들이 끼움 조립되는 양측 축받이(20)들을 갖도록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밸브용 케이싱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구경 원통(2)들의 내주면을 절삭가공할 때에 내측단에 단차지는 걸림턱(2a)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밸브용 케이싱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구경 원통(2)들의 내주면을 절삭가공할 때에 상기 강관(1)의 외주면 양측 끝부분 근처에 접속구용 체결홈(4)을 동시에 절삭가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밸브용 케이싱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3)의 내측단에는 밸브체(30)의 양측단에 대한 대접면을 확대하기 위한 돌출턱(3b)을 내향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부싱(3)을 소구경 원통(2)들 내부에 삽입 고정시켜서 양측 축받이(20)들을 구성하였을 때 밸브체(30)의 양측단이 틈새없이 밀착되는 상태로 양측 회전축(31)들이 끼움 조립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밸브용 케이싱의 제조방법.
  5. 제1항 기재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밸브용 케이싱.
KR1020050041260A 2005-05-17 2005-05-17 유체밸브용 케이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4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260A KR100704173B1 (ko) 2005-05-17 2005-05-17 유체밸브용 케이싱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260A KR100704173B1 (ko) 2005-05-17 2005-05-17 유체밸브용 케이싱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856A KR20060118856A (ko) 2006-11-24
KR100704173B1 true KR100704173B1 (ko) 2007-04-06

Family

ID=3770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260A KR100704173B1 (ko) 2005-05-17 2005-05-17 유체밸브용 케이싱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1060B2 (ja) * 2019-03-28 2022-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逆止弁および空気調和装置、ならびに逆止弁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828B1 (ko) * 1995-07-25 1999-03-30 최창선 가스밸브의 몸체 및 그 가공방법
JP2001162319A (ja) * 1999-12-03 2001-06-19 Hitachi Ltd 環状リブ付分岐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41081B1 (ko) * 2001-11-01 2002-07-02 김진태 밸브용 패킹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83222A (ko) 2001-04-26 2002-1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드로 포밍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343265A (ja) * 2002-05-23 2003-12-03 Calsonic Kansei Corp 多枝管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828B1 (ko) * 1995-07-25 1999-03-30 최창선 가스밸브의 몸체 및 그 가공방법
JP2001162319A (ja) * 1999-12-03 2001-06-19 Hitachi Ltd 環状リブ付分岐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83222A (ko) 2001-04-26 2002-1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드로 포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41081B1 (ko) * 2001-11-01 2002-07-02 김진태 밸브용 패킹 및 그 제조방법
JP2003343265A (ja) * 2002-05-23 2003-12-03 Calsonic Kansei Corp 多枝管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856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06274A (ja) スライドスプール型弁
GB2286652A (en) Wire cutting insert for gate valve
WO2014024503A1 (ja) ロータリ式バルブ用シール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ロータリ式バルブ
US20190024806A1 (en) Spool valve
KR20210142206A (ko) 전자 팽창 밸브
KR100704173B1 (ko) 유체밸브용 케이싱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2113349A1 (en) Hydraulic cylinder and spool type hydraulic control valve with metallic seal ring
CN216158302U (zh) 防冻阀
JP4892536B2 (ja) 減圧鋳造システム
EP2366920B1 (en) Sealing system for industrial gate valves and gate valve comprising such a system
KR20110105769A (ko) 유압 방향 제어 밸브
CN214248395U (zh) 调模动作专用换向阀
EP0260288B1 (en) Method of moulding a ball valve by mounting elements held by cores and tool constituted by said cores
US3998504A (en) Keyed bearing with inserts
JP3892148B2 (ja) 圧力制御弁
JP2575472Y2 (ja) シート弁形3ポート弁
KR100902664B1 (ko) 파워스티어링용 밸브하우징 제조방법
KR20160002696U (ko) 터빈 밸브의 래핑 장치
US20130014845A1 (en) Spool type hydraulic control valve which spool is sealed with all metal seal ring
US20100062100A1 (en) Nozzle Shutoff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KR20050097253A (ko) 스풀밸브
JP2005016693A (ja) 自動排水弁
CN112004997B (zh) 在套筒形液力引导元件上具有密封轮廓的控制阀;及具有控制阀和凸轮轴相位器的部件
JP5536424B2 (ja) 電磁弁用ノズル
JP2001295807A (ja) 流体圧シリンダのエンド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