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2404A -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악음 발생 방법 및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악음 발생 방법 및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2404A
KR20080052404A KR1020070124366A KR20070124366A KR20080052404A KR 20080052404 A KR20080052404 A KR 20080052404A KR 1020070124366 A KR1020070124366 A KR 1020070124366A KR 20070124366 A KR20070124366 A KR 20070124366A KR 20080052404 A KR20080052404 A KR 20080052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vehicle
music data
uni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2458B1 (ko
Inventor
요시마사 이소자끼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29490A external-priority patent/JP49848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36673A external-priority patent/JP5109397B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2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8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e.g. radio, light, infrar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40Rhyth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6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itch analysis as part of wider processing for musical purposes, e.g. transcription, musical performance evaluation; Pitch recognition, e.g. in polyphonic sounds; Estimation or use of missing fundament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7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extraction of timing, tempo; Beat dete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375Tempo or beat alterations; Music timing control
    • G10H2210/391Automatic tempo adjustment, correction or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51Environmental parameters, e.g. temperature, ambient light, atmospheric pressure, humidity, used as input for musical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46File format, i.e. specific or non-standard musical file format used in or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 wavetables
    • G10H2240/056MIDI or other note-oriented file forma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21Musical libraries, i.e. musical databases indexed by musical parameters, wavetables, indexing schemes using musical parameters, musical rule bases or knowledge bases, e.g. for automatic composing methods
    • G10H2240/131Library retrieval, i.e. searching a database or selecting a specific musical piece, segment, pattern, rule or parameter se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21Musical libraries, i.e. musical databases indexed by musical parameters, wavetables, indexing schemes using musical parameters, musical rule bases or knowledge bases, e.g. for automatic composing methods
    • G10H2240/155Library update, i.e. making or modifying a musical database using musical parameters as ind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11Wireless transmission, e.g. of music parameters or control data by radio, infrared or ultrasou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285USB, i.e. either using a USB plug as power supply or using the USB protocol to exchan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악곡의 음량 등의 파라미터 변화에 상관없이 차량 상태에 따라서 변화되는 악곡을 재생할 수 있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차량의 제어 상태를 검지하는 차량 상태 검지 수단(11)과,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13)과, 상기 기억 수단(13)에 기억된 상기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곡을 재생하는 악곡 재생 수단(3)과, 상기 차량 상태 검지 수단(11)에 의해 검지된 상기 차량의 제어 상태에 따라서 상기 기억 수단(13)에 기억된 상기 악곡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지정하고, 상기 악곡 재생 수단(3)에 그 악곡 데이터의 그 재생 위치를 재생시키는 제어 수단(1)을 구비한다.
악곡 데이터베이스, 프레이즈, 악곡 데이터 테이블, 마커, 관련 테이블, 샘플링점

Description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악음 발생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MUSICAL SOUND GENERATING VEHICULAR APPARATUS, MUSICAL SOUND GENERAT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본 발명은,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악음 발생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6년 12월 6일에 출원된 일본 특원 2006-329490호, 및, 2007 년 2월 16일에 출원된 일본 특원 2007-036673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자동차 등의 차량이 승무원에 대하여 발생하는 음에는, 엔진 등의 차량의 기구부가 발생하는 기계음, 차량이 임의의 일정 이상의 스피드를 초과한 경우의 경보음, 좌우 회전을 행하는 경우의 윙커음, 충돌할 우려가 있는 물건이 접근해 온 경우의 경보음 등이 있다. 또한, 승무원이 차량 내에서 음악 CD(Compact Disk)나 라디오 방송을 듣기 위한 오디오 장치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오디오 장치에 의한 음악 CD의 재생 등에서는, 차량의 상태 나 승무원의 운전 조작과는 무관하게 악곡이 흐르기 때문에, 가정에서 감상하는 경우와 별반 다르지 않으며, 차량이라는 것에서의 악곡을 즐기는 것은 아니었다.
즉, 차량 상태 전반을 음으로 표현하는 종합적인 시스템은 지금까지 없으며, 운전자는 시각과 차량의 기구부가 발생하는 기계음과 경보음에 기초하여 차량을 운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중, 자동차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음을 제어하는 종래 기술로서, 엔진 회전수에 의해 오디오 장치의 음량 등을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1 참조).
[특허 문헌1] 일본 특개 2003-309891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 의해서도, 엔진 회전수에 따라서 오디오 장치의 음량 등이 변화되는 것 뿐이기 때문에 차량 상태에 따라서 전혀 다른 악곡을 발생시키는 것은 곤란하여, 승무원이 차량 상태에 따라서 즐길 수 있는 악곡을 제공할 수는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악곡의 음량 등의 파라미터 변화에 상관없이 차량 상태에 따라서 변화되는 악곡을 재생할 수 있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운전 상태에 따라서 재생할 악곡 데이터를 선택함으 로써 운전 상태의 변화에 따라서 재생하는 악곡을 변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및 악음 발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면, 이하의 수단을 갖는다. 제1 수단은, 차량의 제어 상태를 검지하는 차량 상태 검지 유닛과,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유닛과,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된 상기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곡을 재생하는 악곡 재생 유닛과, 상기 차량 상태 검지 유닛에 의해 검지된 상기 차량의 제어 상태에 따라서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된 상기 악곡 데이터의 재생 구간을 지정하고, 상기 악곡 재생 유닛이, 상기 지정한 재생 구간에 대응하는 그 악곡 데이터의 부분의 재생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이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차량의 제어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 상태를 판정하고, 그 차량 상태에 따라서 악곡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지정하여, 악곡 데이터의 그 재생 위치를 재생하므로, 차량 상태에 따라서 변화되는 악곡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단은, 상기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차량의 제어 상태에 따라서 상기 악곡 재생 유닛이 재생할 악곡 데이터를 상기 기억 유닛으로부터 선택하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이다.
이 수단에 의하면, 차량의 제어 상태에 따라서 악곡 데이터를 선택하여 재생하므로, 차량 상태에 따라서 변화되는 악곡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3 수단은, 상기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의 환경 상태를 검지하는 환경 상태 검지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 은, 상기 차량의 환경 상태 또는 제어 상태에 따라서 상기 악곡 재생 유닛이 재생할 악곡 데이터를 상기 기억 유닛으로부터 선택하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이다.
이 수단에 의하면, 차량의 환경 상태 또는 제어 상태에 따라서 악곡 데이터를 선택하여 재생하므로, 차량 상태에 따라서 변화되는 악곡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4 수단은, 상기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차량의 제어 상태가 소정 시간 변화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악곡 재생 유닛에 상기 악곡 데이터의 상기 지정된 재생 구간을 그 소정 시간 반복하여 재생시키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이다.
이 수단에 의하면, 차량의 제어 상태가 변화되지 않고, 즉 차량 상태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에, 악곡 데이터의 지정된 재생 위치를 반복하여 재생하므로, 차량 상태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라도 자율적으로 악곡이 변화되어, 승무원은 싫증나지 않게 악곡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제5 수단은, 상기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차량의 제어 상태가 상기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후에도 변화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악곡 데이터의 재생 구간을 변경하여, 상기 악곡 재생 유닛이, 상기 재생 구간을 반복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제6 수단은, 상기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악곡 데이터는, 소정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는, 상기 악곡 데이터의 소정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악곡 데이터의 복수의 재생 구간을 결정하는 재생 위치 결정 유닛과, 상기 재생 구간의 소정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상기 재생 구간 각각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상기 악곡 데이터에 관계지어 상기 악곡 데이터 기억 유닛에 기억하는 분석 유닛과, 상기 차량의 운전 상태와 그 운전 상태에 따라서 재생할 악곡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관계지어 기억하는 재생 룰 데이터 기억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재생 룰 데이터 기억 유닛을 참조하여, 상기 차량 상태 검지 유닛에 의해 검지된 상기 차량의 운전 상태에 관계지어진 상기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취득하고, 그 취득된 음악 요소 파라미터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상기 악곡 데이터의 재생 구간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상기 악곡 데이터의 재생 구간을, 상기 악곡 재생 유닛이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이다.
제6 수단에서는, 악곡 데이터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악곡 데이터를 복수의 프레이즈(재생 구간)로 분할함과 함께, 분할한 프레이즈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각 프레이즈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기억해 두고, 검지된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프레이즈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하였다. 이 때문에, 상기 수단에 의하면, 차량 운전 상태에 따라서 악곡을 변화시키는 자율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단에 의하면, 미리 재생 데이터를 작성하거나 준비할 필요가 없어, 이미 소유하고 있는 악곡 데이터를 사용하여,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른 악음을 자율적으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7 수단은, 상기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의 환경 상태를 검지하는 환경 상태 검지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환경 상태 검지 유닛에 의해 검지된 상기 차량의 환경 상태에 따라서 상기 악곡 재생 유닛이 재생할 악곡 데이터를 상기 악곡 데이터 기억 유닛으로부터 선택하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이다.
제8 수단은, 상기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악 요소 파라미터가, 피치, 음량, 템포 및 음색 중 어느 하나 혹은 그들의 조합인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이다.
제9 측면은, 차량의 상태를 검지하고, 상기 검지된 차량의 상태에 따라서,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유닛에 기억된 상기 악곡 데이터의 재생 구간을 선택하고,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된 상기 악곡 데이터의 상기 선택된 재생 구간을 재생하는 차량용 악음 발생 방법이다.
제9 측면에 의하면, 검지된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프레이즈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차량 운전 상태에 따라서 악곡을 변화시키는 자율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0 측면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차량용의 악음 발생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프로덕트로서, 차량의 상태를 검지하는 명령과, 상기 검지된 차량의 상태에 따라서,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유닛에 기억된 상기 악곡 데이터의 재생 구간을 선택하는 명령과,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된 상기 악곡 데이터의 상기 선택된 재생 구간을 재생하는 명령을 구비하는 차량용 악음 발생 프로 그램이다.
이상의 수단에 의하면, 차량 상태에 따라서 악곡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지정하여 재생하도록 하였으므로, 1개의 악곡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악곡의 파라미터 변화에 상관없이 차량 상태에 따라서 변화되는 악곡을 재생할 수 있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의 블록도이다. 또한,이하의 설명에서는, 다른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할당한다.
도 1에서,참조 부호 1은 제어부, 참조 부호 11은 차량 상태 검지부, 참조 부호 12는 환경 상태 검지부, 참조 부호 13은 악곡 데이터 DB(Data Base; 데이터베이스), 참조 부호 14는 조작부, 참조 부호 3은 악곡 재생부, 참조 부호 4는 스피커이다.
제어부(1)는, 차량 상태 검지부(11)와 환경 상태 검지부(12)와 악곡 데이터DB(13)와 조작부(14)와 악곡 재생부(3)에 접속되며, 이들을 제어하는 것이다.
차량 상태 검지부(11)는, 차량의 제어 상태(차속, 엔진 회전수, 액셀 개도, 브레이크 조작 상태, 시프트 상태 등)을 검지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다.
환경 상태 검지부(12)는, 차량의 환경 상태(차량 위치, 시간, 날씨 등)를 검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환경 상태 검지부(12)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타이머,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다.
조작부(14)는, 악곡 데이터나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의 설정 등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악곡 재생부(3)는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곡을 재생하는 것이다. 또한, 스피커(4)는 악곡 재생부(3)에 접속되며, 악곡을 음으로서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악곡 데이터 DB(13)는 악곡 데이터를 복수 저장하고 있으며, 그 악곡 데이터에는 재생 위치(재생 구간)를 나타내는 마커가 설정되어 있다. 이 악곡 데이터 DB(13)는, 본 발명에서의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악곡 데이터 DB(13)에 저장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와 마커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악곡 데이터에 설정된 마커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참조 부호 20은 악곡 데이터, 참조 부호 21은 마커(아이들링), 참조 부호 22는 마커(발진), 참조 부호 23은 마커(가속1), 참조 부호 24는 마커(가속2), 참조 부호 25는 마커(감속1), 참조 부호 26은 마커(감속2), 참조 부호 27은 마커(정지), 참조 부호 28은 마커(등속 순항), 참조 부호 32는 리피트 마커이다.
이들 마커(21∼28), 및 리피트 마커(32)는, 악곡 데이터(20)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악곡 데이터(20)는 음악용 CD 등의 시판되고 있는 악곡 데이터, 또는, 다양 한 프레이즈를 1개의 악곡 데이터로서 통합한 본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전용의 악곡 데이터이다. 악곡 데이터(20)의 데이터 형식은, 예를 들면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규격의 시퀀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이다.
또한, 도 2에서 횡축은 시간축을 나타내고 있다. 마커(21∼28)는, 차량 상태(아이들링, 발진, 가속1, 가속2, 감속1, 감속2, 정지, 등속 순항)에 관계지어, 악곡 데이터(20) 중의 소정의 데이터에 각각 설정된 것이다. 또한, 이들 마커(21∼28)는, 악곡 데이터(20)에 대응한 시간 혹은 샘플링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마커가 샘플링점에 대하여 설정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용자가 조작부(14)를 이용하여 마커의 추가나 마커의 설정 위치의 변경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리피트 마커(32)는 마커(28)가 설정된 위치 이후의 임의의 위치에 설정되며, 반복하여 재생하는 재생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악곡 데이터 DB(13)는, 마커(21∼28)와 리피트 마커(32)의 악곡 데이터 중의 설정 위치와 차량 상태와의 관계를 관련 테이블로서 저장하고 있다. 관련 테이블을 도 3에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련 테이블에는 마커마다 마커가 설정되는 악곡 데이터의 샘플링점과 차량 상태가 대응지어져 있다.
이 관련 테이블은, 각각의 악곡 데이터의 헤더부 등에 저장된다. 또한, 관련 테이블은 제어부(1)가 갖는 도시하지 않은 기억 영역에 저장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의 동작을 도 4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차량의 엔진이 온으로 되면, 환경 상태 검지부(12)는 차량의 환경 상태(차량 위치, 시간, 날씨 등)를 검지하고, 제어부(1)가 검지 결과를 확인한다(스텝 S1).
다음으로, 제어부(1)는 스텝 S1에서의 확인이 최초의 환경 상태의 확인인지 판정한다(스텝 S2). 최초의 확인이 아니었던 경우(스텝 S2; 아니오), 전회의 확인으로부터 환경 상태에 변화가 있어, 악곡 데이터의 변경이 필요한지 판정한다(스텝 S3).
최초의 확인이었던 경우(스텝 S2; 예), 또는 전회의 확인으로부터 차량의 환경 상태에 변화가 있어, 악곡 데이터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스텝 S3; 예), 제어부(1)는 검지된 차량의 환경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악곡 데이터(20)를 악곡 데이터DB(13)로부터 선택하여 악곡 재생부(3)에 설정하고(스텝 S4), 그 후 스텝 S5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차량의 환경 상태와 악곡 데이터는 미리 관계지어져, 악곡 데이터 DB(13)나 제어부(1)가 갖는 기억 영역에 저장되어 있다.
한편, 차량의 환경 상태를 확인한 결과, 악곡 데이터의 변경의 필요가 없었던 경우(스텝 S3; 아니오), 스텝 S5의 처리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차량 상태 검지부(11)는 차량의 제어 상태(차속, 엔진 회전수, 액셀 개도, 브레이크 조작 상태, 시프트 상태 등)를 검지하고, 제어부(1)가 검지 결과를 확인한다(스텝 S5).
다음으로, 제어부(1)는 스텝 S5에서의 차량의 제어 상태의 확인이 최초의 확 인인지 판정한다(스텝 S6). 최초의 확인이 아니었던 경우(스텝 S6; 아니오), 그 차량의 제어 상태를 확인한 결과, 도 3의 관련 테이블에 도시되어 있는 차량 상태에서, 금회의 확인 시의 차량 상태가 전회로부터 변화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7).
최초의 확인이었던 경우(스텝 S6; 예), 또는 차량의 제어 상태를 확인한 결과, 전회의 확인으로부터 차량 상태에 변화가 있었던 경우(스텝 S7; 예), 제어부(1)는 악곡 데이터(20)의 재생 위치를 결정한다(스텝 S8).
스텝 S8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1)는 스텝 S5에서 검지된 차량의 제어 상태에 따라서, 도 3에 도시되는 차량 상태(아이들링, 발진, 등속 순항 등)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는 악곡 데이터 DB(13)에 저장되어 있는 관련 테이블을 참조하고, 차량 상태에 대응한 마커의 설정되어 있는 위치(샘플링점)를 악곡 데이터(20)의 재생 위치로서 지정하여 악곡 재생부(3)에 설정한다.
다음으로, 악곡 재생부(3)는 악곡 데이터(20)를 스텝 S8에서 결정된 마커의 최초의 샘플링점으로부터 재생하고, 스피커(4)가 차량 상태에 따른 악곡을 출력한다(스텝 S9).
한편, 전회의 확인으로부터 차량 상태에 변화가 없었던 경우(스텝 S7; 아니오), 악곡 재생부(3)는 직전에 재생하고 있었던 마커의 재생을 계속하고, 마커의 종료의 위치의 샘플링점에 도달한 경우에는 제어부(1)는 악곡 재생부(3)를 제어하여 악곡 데이터(20)의 재생 위치를 마커의 최초의 샘플링점의 위치로 되돌려서 리 피트 재생시킨다(스텝 S10). 또한, 소정 시간 이상 차량 상태에 변화가 없었던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구체예와 함께 설명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는 차량 상태 검지부(11)의 검지 결과로부터 엔진이 오프인지 판정하고(스텝 S11), 오프가 아니었던 경우(스텝 S11; 아니오), 스텝 S1의 처리로 이행한다. 오프이었던 경우(스텝 S11; 예), 제어부(1)는 악곡 재생부(3)를 제어하여 악곡 데이터(20)의 재생을 정지한다.
또한, 전술한 처리를 제어부(1)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제어부(1)가 갖는 도시하지 않은 기억 영역에 저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으로 되돌아가서, 전술한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의 동작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차량이 아이들링을 하고 있을 때에는 마커(아이들링)(21)의 위치의 악곡 데이터(샘플링점 0∼100)가 재생된다. 다음으로, 차량이 발진하였을 때에는 마커(발진)(22)의 위치의 악곡 데이터(샘플링점 120∼150)가 재생된다.
다음으로, 차량이 가속하였을 때에는 마커(가속1)(23)의 위치의 악곡 데이터(샘플링점 260∼310)가 재생되고, 또한 다른 가속도로 가속하였을 때에는, 마커(가속2)(24)의 위치의 악곡 데이터(샘플링점 350∼400)가 재생된다.
다음으로, 차량이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는 등속 순항을 행하였을 때에는, 마커(등속 순항)(28)의 위치의 악곡 데이터(샘플링점 160∼250)가 재생되고, 이윽고 등속 순항을 유지한 채로 시간이 경과하면, 마커(등속 순항)(28)의 종료의 위치의 악곡 데이터(샘플링점 250)에 도달한다.
그 후, 제어부(1)는 악곡 재생부(3)를 제어하여 마커(28)의 최초의 샘플링점의 위치의 악곡 데이터(샘플링점 160)로 되돌아가서 재생시킨다. 또한 등속 순항이 계속되면, 제어부(1)는 전술한 재생 동작을 반복하여,마커(등속 순항)(28)의 위치의 악곡 데이터를 악곡 재생부(3)에 소정 횟수 반복하여 재생시킨다.
또한 등속 순항이 소정 시간을 경과한 후에도 계속되어 소정의 반복 횟수에 도달하면, 제어부(1)는 악곡 재생부(3)를 제어하여 리피트 마커(32)의 위치의 악곡 데이터(샘플링점 390)까지 재생을 계속시킨다. 악곡 데이터의 재생이 리피트 마커(32)의 위치에 도달하면, 제어부(1)는 악곡 재생부(3)를 제어하여 마커(28)의 최초의 샘플링점의 위치의 악곡 데이터로 되돌아가서 재생을 계속시킨다.
즉, 제어부(1)는, 차량의 제어 상태가 변화되지 않고 악곡 데이터의 재생이 마커의 종료 위치에 도달한 경우, 악곡 재생부(3)에 그 마커의 재생 위치를 소정 시간 반복하여 재생시킨다.
또한, 제어부(1)는 차량의 제어 상태가 소정 시간을 경과한 후에도 변화되지 않은 경우, 악곡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변경하여 악곡 재생부(3)에 반복하여 재생시킨다.
또한, 악곡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은 상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다른 마커(도 3의 마커(29))로 재생 마커를 옮기도록 해도 된다.
또한 등속 순항이 계속되면, 제어부(1)는 악곡 재생부(3)를 제어하여 악곡 데이터(20)의 최후까지 재생을 행하게 하고, 그 후, 도시하지 않은 다른 콘텐츠의 악곡 데이터로 이행시켜, 그 악곡 데이터의 마커(등속 순항)의 위치의 재생을 행하 게 한다. 그 후, 등속 순항이 종료되어 그 밖의 차량 상태에 들어가면, 그 새로운 악곡 데이터의 마커에 따른 재생 위치의 재생을 행하게 한다.
또한,이 등속 순항 시의 처리는, 다른 차량 상태(예를 들면 아이들링)에서 행해져도 된다.
또한, 차량이 감속되었을 때에는 마커(감속1)(25)의 위치의 악곡 데이터(샘플링점 440∼500)가 재생되고, 다른 감속도로 감속되었을 때에는, 마커(감속2)(26)의 위치의 악곡 데이터(샘플링점 520∼600)가 재생된다.
그리고, 차량이 정지하였을 때에는 마커(정지)(27)의 위치의 악곡 데이터(샘플링점 620∼690)가 재생된다.
또한, 제어부(1)는 전조등이 점등한 경우, 일단 주차하고 엔진을 정지한 후에 재차 엔진을 시동하여 주행 개시한 경우 등을 차량 상태 검지부(11)의 검지 결과로부터 판단하였을 때에, 악곡 데이터 DB(13)로부터 다른 콘텐츠의 악곡 데이터를 선택하여 악곡 재생부(3)에 재생시킨다.
또한, 제어부(1)는 환경 상태 검지부(12)가 검지한 위치 정보에 의해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지역(예를 들면 현 등)이 변화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차량이 일반 도로로부터 고속 도로에 들어갔다고 판단한 경우 등에도 악곡 데이터 DB(13)로부터 다른 콘텐츠의 악곡 데이터를 선택하여 악곡 재생부(3)에 재생시킨다.
즉, 제어부(1)는 차량의 환경 상태 또는 제어 상태에 따라서 악곡 재생부(3)에 재생시키는 악곡 데이터를 악곡 데이터 DB(13)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그 악곡 데이터에도 마커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차량 상태에 따른 재생 위치 를 재생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에 의하면, 차량 상태나 환경 상태에 따라서 악곡을 변화시키는 자율 재생을 행할 수 있으므로, 승무원이 싫증나지 않고, 차량을 주행시켜 악곡을 발생시키는 것을 즐길 수 있는 세계관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차량 상태가 항상 변화가 있는 악곡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차량이 어떠한 운전 상태에 있는지 항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가 발생하는 악곡을 즐길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차량의 운전이 보다 충실한 것으로 되며, 다양한 부가 정보가 악곡과 함께 승무원에게 전달되어, 쾌적하게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상태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라도 자율적으로 악곡이 변화되므로, 승무원은 싫증나지 않고 악곡을 감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술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마커의 수나 설정 위치, 마커가 대응하는 차량 상태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마커가 동일한 악곡 데이터의 위치에 겹쳐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리피트 마커의 수나 설정 위치도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리피트 마커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리피트 마커가 없는 경우, 마커를 소정 시간 반복하여 재생해도 여전히 동일한 차량 상태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재생을 종료하도록 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할당한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1은, 악음 발생 장치의 처리 동작을 통괄하여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부호 2는, 사용자가 악음 발생 장치의 설정 조작이나 새로운 악곡 데이터의 입수 조작 등을 행하는 조작부이며, 필요에 따라, 화면의 표시 내용을 보면서 조작을 행하기 위해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부호 3은,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곡을 재생하는 악곡 재생부이며, 재생한 악곡을 음으로서 스피커(4)로부터 발음시킨다. 악곡 재생부(3) 및 스피커(4)는, 차량에 구비하고 있는 카 오디오 장치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부호 5는, 악곡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 이동 통신을 이용하여 악곡 배신 서버 등에 접속하여 정보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이다. 부호 6은, 음악 CD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를 판독하는 CD 판독 장치이다. CD 판독 장치(6)는, 차량에 구비하고 있는 카 오디오 장치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부호 7은, 통신부(5) 및 CD 판독 장치(6)를 제어부(1)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하, I/F로 칭함)이다.
부호 8은, 악곡 재생부(3)에서 재생할 악곡 데이터가 기억되는 악곡 데이터베이스이다. 부호 10은, 차량의 운전 상태나 주위의 환경 상황에 따라서, 재생할 프레이즈를 선택하는 재생 룰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재생 룰 베이스이다. 여기서 말하는 프레이즈란, 1개의 악곡 데이터를 짧은 구간으로 분할함으로써 얻어지는 선율이 자연스러운 1단락의 악음 데이터이다. 부호 11은, 차량의 운전 상태(차속, 엔진 회전수, 액셀 개도, 브레이크 조작 상태, 시프트 상태 등)를 검지하는 차량 상태 검지부이며, 예를 들면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다. 차량 상태 검지부(11)는, 새롭게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차량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각 센서의 출력을 입력하도록 하여도 된다. 부호 12는, 차량의 환경 상태(차량 위치, 시간, 날씨 등)를 검지하는 환경 상태 검지부이며,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타이머,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용어에 대해서 정의한다. 「피치」란, 음고이며, 예를 들면 피치가 높다·낮다라고 표현한다. 「음량」이란, 음의 크기(강도)이며, 예를 들면, 음량이 크다·작다라고 표현한다. 「템포」란, 연주 속도이며, 예를 들면, 템포가 빠르다·느리다라고 표현한다. 「음색」이란, 음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며, 예를 들면, 음의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소정 주파수 대역에 음성 신호가 어느 정도 존재하는지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이들 「피치」, 「음량」, 「템포」 및 「음색」은, 음악 요소 파라미터로 부르고, 각 파라미터는, 레벨1∼3으로 표현한다. 레벨1은, 파라미터의 값이 큰 것을 의미하고, 레벨3은 파라미터의 값이 작은 것을 의미한다. 레벨2는, 레벨1과 레벨3의 중간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피치이면,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음고를 레벨1, 제2 임계값보다 작은 음고를 레벨3,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의 음고 를 레벨2로 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도 5에 도시하는 악곡 데이터베이스(8)의 테이블 구조를 설명한다. 악곡 데이터베이스(8)는,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악곡 데이터 테이블(81)과, 각 악곡 데이터마다, 복수의 프레이즈의 특징(피치, 음량, 템포, 음색)이 정의된 프레이즈 특징 테이블(82)과, 각 악곡 데이터마다, 복수의 프레이즈의 개시·종료 위치가 정의된 프레이즈 위치 테이블(83)로 이루어진다. 악곡 데이터 테이블(81)은, 악곡 재생부(3)에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포맷의 악곡 데이터에 대하여 악곡 식별명이 관계지어짐과 함께, 악곡 데이터 전체의 특징이 4개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로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면, 「M01」이라고 하는 악곡식별명이 부여된 악곡 데이터는, 악곡의 선두부터 끝까지의 평균 피치가 레벨1, 평균 음량이 레벨3, 평균 템포가 레벨2, 평균 음색이 레벨3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M01」이라고 하는 악곡은, 전체적으로 낮은 음고이며, 표준적은 템포이지만, 음량이 크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 악곡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음색 레벨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음성 신호의 양에 의해 레벨 나눔되는 것이지만, 이에 의해 연주되고 있는 악기의 종류가 간접적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이다.
프레이즈 특징 테이블(82)은, 「M01」이라고 하는 악곡이, A∼E의 5개의 프레이즈로 분할되고, 각각의 프레이즈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가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프레이즈A는, 프레이즈A 내의 평균 피치가 레벨2, 평균 음량이 레벨3, 평균 템포가 레벨3, 평균 음색이 레벨3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프레이즈 특징 테이블(82)은, 도 7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악곡 「M02」, 「M03」에 대해서도 마 찬가지로 정의되는 테이블이 관계지어져 있다.
프레이즈 위치 테이블(83)은, 프레이즈A∼E의 각각에 대해서, 악곡 「M01」 상의 위치가, 개시 위치와 종료 위치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프레이즈A는, 악곡의 처음부터 마크1까지이며, 프레이즈E는, 마크4부터 악곡의 끝까지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악곡 데이터 상에 마크를 부여하는 마킹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도 5에 도시하는 재생 룰 베이스(10)의 테이블 구조를 설명한다. 재생 룰 베이스(10)는, 악곡 선택 룰 테이블(101)과 프레이즈 선택 룰 테이블(102)로 구성한다. 처음에, 도 8을 참조하여, 악곡 선택 룰 테이블(101)로부터 설명한다. 악곡 선택 룰 테이블(101)은, 장소를 특정하는 정보마다(바다 주변, 산간부, 시가지 등), 날씨 정보(맑음, 흐림, 비)와 시각 정보(오전, 오후)로 특정되는 환경 상태에 대하여 재생할 악곡의 특징을 나타내는 음악 요소 파라미터가 미리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위치가 바다 주변이고, 시각이 오전이며, 날씨가 맑음인 경우, 피치가 레벨2, 음량이 레벨2, 템포가 레벨3, 음색이 레벨2인 특징을 갖는 악곡을 선택하여 재생해야 하는 것이 정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프레이즈 선택 룰 테이블(102)은, 차량의 운전 상태마다(아이들링, 발진, 등속 순항, 가속, 감속, …, 정지), 재생할 프레이즈의 특징을 나타내는 음악 요소 파라미터가 미리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각 운전 상태란, 차량의 속도나 엔진 회전수, 각종 조작의 유무 등에 의해 소정의 룰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운전 상태가 아이들링인 경우, 피치가 레벨1, 음량이 레벨2, 템포가 레벨1, 음색이 레벨2인 특징을 갖는 프레이즈를 선택하여 재생해야 하는 것 이 정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하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처음에, 새로운 악곡 데이터를 입수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조작부(2)를 사용하여, 새로운 악곡 데이터의 취득을 행하는 지시의 조작을 행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CD 판독 장치(6)에 음악용 CD를 삽입하여, 악곡 데이터의 취득을 지시하는 조작을 행한다. CD 판독 장치(6)는, 삽입된 CD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를 읽어들여, I/F(7)를 통해서 제어부(1)에 출력한다. 이것을 받아, 제어부(1)는, CD판독 장치(6)로부터 출력되는 악곡 데이터를 분석하여, 악곡 전체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피치, 음량, 템포, 음색)를 구하고, 이 악곡 데이터에 대하여 일의로 되는 악곡 식별명을 부여하여, 악곡 데이터베이스(8)의 악곡 데이터 테이블(81)에 악곡 데이터와 함께 기입한다. 악곡 식별명이 삽입된 CD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 판독한 악곡 식별명을 사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악곡 데이터를 통신을 이용하여 악곡 배신 서버로부터 입수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2)를 사용하여, 새로운 악곡 데이터를 배신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지시의 조작을 행한다. 이것을 받아, 통신부(5)는, 소정의 악곡 배신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악곡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통신부(5)는, 이 다운로드한 악곡 데이터를 I/F(7)를 통해서 제어부(1)에 출력한다. 이것을 받아, 제어부(1)는, 통신부(5)로부터 출력되는 악곡 데이터를 분석하여, 악곡 전체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피치, 음량, 템포, 음색)를 구하고, 이 악곡 데이터에 미리 부여되어 있는 악곡 식별명을 사용하여, 악곡 데이터베이스(8)의 악곡 데이터 테이블(81)에 악곡 데이 터와 함께 기입한다. 이들 동작에 의해, 악곡 데이터베이스(8)에는 새로운 악곡 데이터가 기억된 것으로 된다. 악곡 데이터 테이블(81)의 악곡 데이터 필드에 기억되는 악곡 데이터의 헤더 부분에는, 악곡 데이터 포맷, 악곡 장르를 식별 가능한 정보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도 5에 도시하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에서, 악곡 데이터에 대하여 마크를 부여하는 동작과 운전 상태에 따른 프레이즈의 재생을 행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악음 발생 장치의 전원이 ON으로 되면, 제어부(1)는, 악곡 데이터베이스(8)를 참조하여, 새로운 악곡 데이터가 입수되었는지(마크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악곡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하고(스텝 T1), 새로운 악곡 데이터가 입수되어 있으면, 마킹 처리를 행한다(스텝 T2). 새로운 악곡 데이터가 입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T4로 이행한다. 마킹 처리를 행하는 경우, 제어부(1)는, 악곡 데이터 테이블(81)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읽어내고, 이 악곡 데이터에 포함되는 악곡 장르 정보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는, 악곡 데이터를 악곡 데이터베이스(8)로부터 읽어내어, 일단 유지하고, 유지된 악곡 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는, 읽어낸 악곡 데이터의 4개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마킹을 행한다. 도 10은, 악곡 데이터베이스(8)로부터 읽어낸 악곡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어부(1)는, 피치, 음량, 템포 및 음색의 4개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임계값에 의해, 마크 위치를 구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는, 피치의 변화율이나 음량의 변화율 등이 미리 정해진 임계 값과 비교함으로써, 마크1∼4의 4개의 마크 위치(5개의 프레이즈)가 구해진다. 또한, 마킹을 행할 때에, 4개의 음악 요소의 파라미터 각각에 가중치 부여를 해 놓고,이 가중치 부여에 기초하여, 마킹 위치의 결정을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하는 각 마크1∼4에 대해서, 마크1은, 음량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임계값과의 비교를 행하거나, 마크4는 템포에 가중치를 부하여 임계값과의 비교를 행함으로써, 미리 악곡 장르별로 상정되어 있는 마크 위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조용한 프레이즈, 고조가 있는 프레이즈, 특정한 악기가 들어간 프레이즈 등의 특징이 있는 프레이즈로 분할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는, 구한 마크의 위치를 프레이즈 위치 테이블(83)에 기억한다. 마크 정보는, 예를 들면, 선두로부터의 재생 시간으로 특정되는 위치 정보이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하는 프레이즈 위치 테이블(83) 내에 각 프레이즈의 경계를 나타내는 마크 위치가 기억된 것으로 된다. 계속해서, 제어부(1)는, 복수의 프레이즈로 분할한 후, 각각의 프레이즈에 대해서, 4개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분석하고, 얻어진 각 레벨값을 프레이즈 특징 테이블(82)에 기억한다(스텝 T3).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하는 프레이즈 특징 테이블(82) 내에 각 프레이즈의 특징을 나타내는 음악 요소 파라미터가 기억된 것으로 된다. 도 6에 도시하는 스텝 T2, T3의 처리(마킹 처리)는, 이하에 설명하는 악음 재생 처리와 반드시 동시에 행할 필요는 없으며, 악곡 재생부(3)에서 악곡의 재생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타이밍에서 실행하면 된다.
한편, 엔진이 온으로 되면, 제어부(1)는, 환경 상태 검지부(12)가 검지한 차 량의 환경 상태(차량 위치, 시간, 날씨 등)를 읽어들여, 검지 결과를 체크한다(스텝 T4). 그리고, 제어부(1)는 스텝 T4에서의 체크 동작이 최초의 환경 상태의 체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T5). 최초의 체크가 아니었던 경우(스텝 T5; 아니오), 전회의 체크로부터 환경 상태에 변화가 있어, 악곡 데이터의 변경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T6).
최초의 체크이었던 경우(스텝 T5; 예), 또는 전회의 체크로부터 차량의 환경상태로 변화가 있어, 악곡 데이터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스텝 T6; 예), 제어부(1)는 검지된 차량의 환경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악곡 데이터를 악곡 데이터베이스(8)로부터 선택하여 악곡 재생부(3)에 설정하고(스텝 T7), 그 후 스텝 T8의 처리로 이행한다. 최적의 악곡 데이터의 선택은, 우선 도 8에 도시하는 악곡 선택 룰 테이블(101)을 참조하여, 검지한 차량 위치, 날씨, 시각의 정보에 합치하는 악곡의 특징을 나타내는 4개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읽어낸다. 그리고, 악곡 데이터 테이블(81)을 참조하여, 악곡 선택 룰 테이블(101)로부터 읽어낸 음악 요소 파라미터와 동일한 음악 요소 파라미터가 기억되어 있거나, 또는 가장 가까운 값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가 기억되어 있는 악곡을 선택한다. 이에 의해, 차량의 환경 상태에 따른 최적의 악곡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환경 상태를 체크한 결과, 악곡 데이터의 변경의 필요가 없었던 경우(스텝 T6; 아니오), 스텝 T8의 처리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는, 차량 상태 검지부(11)가 검지한 차량의 운전 상태(차속, 엔진 회전수, 액셀 개도, 브레이크 조작 상태, 시프트 상태 등)를 읽어들 여, 검지 결과를 체크한다(스텝 T8). 그리고, 제어부(1)는 스텝 T8에서의 차량의 운전 상태의 체크가 최초의 체크인지 판정한다(스텝 T9). 최초의 체크가 아니었던 경우(스텝 T9; 아니오), 그 차량의 운전 상태를 체크한 결과, 직전의 차량의 운전 상태와, 금회의 체크 시의 차량의 운전 상태에 변화가 있어, 재생할 프레이즈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T10).
최초의 체크이었던 경우(스텝 T9; 예), 또는 차량의 운전 상태를 체크한 결과, 전회의 체크로부터 차량의 운전 상태에 변화가 있었던 경우(스텝 T10; 예), 제어부(1)는, 재생할 프레이즈를 선택하여 결정한다(스텝 T11). 재생할 프레이즈의 선택은, 우선 도 9에 도시하는 프레이즈 선택 룰 테이블(102)을 참조하여, 검지한 차량의 운전 상태에 합치하는 프레이즈의 특징을 나타내는 4개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읽어낸다. 그리고, 프레이즈 특징 테이블(82)을 참조하여, 프레이즈 선택 룰 테이블(102)로부터 읽어낸 음악 요소 파라미터와 동일한 음악 요소 파라미터가 기억되어 있거나, 또는 가장 가까운 값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가 기억되어 있는 프레이즈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른 최적의 프레이즈를 선택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1)는, 프레이즈 위치 테이블(83)로부터, 앞서 선택한 재생할 프레이즈의 개시 위치와 종료 위치의 정보를 읽어낸다. 그리고,이 개시 위치와 종료 위치의 정보에 기초하여, 악곡 데이터 테이블(81)로부터 재생할 프레이즈의 프레이즈 데이터를 읽어내어, 악곡 재생부(3)에 대하여 출력한다. 이것을 받아, 악곡 재생부(3)는, 제어부(1)로부터 출력된 프레이즈 데이터를 재생하고, 스피 커(4)가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른 악곡(프레이즈)을 발음한다(스텝 T12).
한편, 전회의 체크로부터 차량의 운전 상태에 변화가 없었던 경우(스텝 T10; 아니오), 악곡 재생부(3)는 직전에 재생하고 있었던 프레이즈 데이터에 기초하는 재생 동작을 계속하고, 프레이즈 데이터의 종료의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제어부(1)로부터 출력된 프레이즈 데이터의 재생을 반복하여 행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는 악음 발생 장치의 전원이 오프인지 판정하고(스텝 T13), 오프가 아니었던 경우(스텝 T13; 아니오), 스텝 T1의 처리로 이행한다. 오프이었던 경우(스텝 T13; 예), 제어부(1)는 악곡 재생부(3)를 제어하여 프레이즈 데이터의 재생을 정지한다.
또한, 전술한 처리를 제어부(1)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제어부(1)가 갖는 도시하지 않은 기억 영역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소정 시간 이상 차량의 운전 상태에 변화가 없었던 경우, 재생할 프레이즈 데이터를 소정 시간 반복하여 재생시키지만, 또한, 반복 재생의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다른 프레이즈 데이터를 다시 선택하도록 하여, 동일한 프레이즈 데이터가 장시간 반복하여 재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다른 악곡 데이터를 다시 선택하여, 새로운 프레이즈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엔진 ON 후의 아이들링 또는 발진과 같은 운전(드라이브)의 초기에 상당하는 차량의 운전 상태 시에는, 악곡의 최초의 프레이즈(예를 들면 인트로)를 선택하고, 감속 또는 정지와 같은 운전(드라이브)의 종기에 상당하는 차량의 운전 상태 시에는 악곡의 최후의 프레이즈(엔딩)를 선택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프레이즈 선택 룰 테이블(102)에 기억되어 있는 차량의 운전 상태 외에, 전조등의 점등, 방향 지시기의 조작, 와이퍼의 조작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재생할 프레이즈의 특징을 나타내는 음악 요소 파라미터가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악곡 데이터는 음악용 CD 등의 시판되고 있는 악곡 데이터, 또는, 다양한 프레이즈를 1개의 악곡 데이터로서 통합한 본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전용의 악곡 데이터이어도 된다.
또한, 악곡 데이터의 포맷 형식은, 예를 들면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규격의 시퀀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이다.
이와 같이, 악곡 데이터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각 악곡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기억해 둠과 함께, 악곡 데이터를 복수의 프레이즈로 분할하고, 분할한 프레이즈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각 프레이즈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기억해 놓고, 차량의 환경 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악곡 데이터를 선택하고,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프레이즈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차량의 운전 상태나 환경 상태에 따라서 악곡을 변화시키는 자율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재생 데이터를 작성하거나 준비할 필요가 없이, 이미 소유하고 있는 악곡 데이터를 사용하여, 차량의 운전 상태 및 환경상태에 따른 악음을 자율적으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액셀을 밟아서 가속을 행하는 경우, 악곡 데이터 중에서 고조가 있는 프레이즈를 재생하고, 일정 속도로 순항하고 있는 경우, 온화한 프레이즈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승무원이 싫증나지 않고, 차량을 주행시켜 악곡을 발생시키는 것을 즐길 수 있는 세계관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운전 상태가 항상 변화가 있는 악곡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차량이 어떠한 운전 상태에 있는지 항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가 발생하는 악곡을 즐길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차량의 운전이 보다 충실한 것으로 되며, 다양한 부가 정보가 악곡과 함께 승무원에 전달되어, 쾌적하게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운전 상태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라도 자율적으로 악곡이 변화되므로, 승무원은 싫증나지 않게 악곡을 감상할 수 있다.
(1) 악곡 데이터에 한하지 않고, 동화상에도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하다.
(2) 악곡에 한하지 않고, 음성이나 자연의 소리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이들을 조합하여도 된다.
(3) 단일의 악곡 데이터의 재생 이외에도, 예를 들면, 복수의 악곡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해도 된다. 또한, 악곡과 화상이나 동화상을, 동기를 취하여 재생해도 된다.
(4) 음악 데이터의 입수원은 CD와 네트워크에 한하지 않고, MD나 DVD, USB 메모리나 휴대 전화 등에 기록, 저장된 것을 I/F 경유로 입수하거나 가정 내(퍼스널 컴퓨터나 DVD 등)에 축적된 것을 인터넷 경유로 입수하는 것 등도 가능하다. 또한,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의 방송파를 수신하여 입수해도 된다.
(5) 차량에는 오토바이나 전차, 자동차 등이 포함되어도 된다. 차량뿐만 아 니라, 모터 보트나 제트 스키, 스노우 모빌 등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6) 마커의 설정 등의 처리에는 퍼스널 컴퓨터 등을 이용해도 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의 악곡 데이터에 설정된 마커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의 악곡 데이터 중의 마커의 설정 위치와 차량 상태와의 관계를 기록한 관련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5에 도시하는 악곡 데이터베이스(8)의 테이블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도 5에 도시하는 재생 룰 베이스(10)의 테이블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도 5에 도시하는 재생 룰 베이스(10)의 테이블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악곡 데이터에 대하여 마킹한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부
2 : 조작부
3 : 악곡 재생부
5 : 통신부
6 : CD 판독 장치
10 : 제어부
11 : 차량 상태 검지부
12 : 환경 상태 검지부
13 : 악곡 데이터 DB
14 : 조작부
15 : 악곡 재생부

Claims (10)

  1. 차량의 제어 상태를 검지하는 차량 상태 검지 유닛과,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유닛과,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된 상기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곡을 재생하는 악곡 재생 유닛과,
    상기 차량 상태 검지 유닛에 의해 검지된 상기 차량의 제어 상태에 따라서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된 상기 악곡 데이터의 재생 구간을 지정하고, 상기 악곡 재생 유닛이, 상기 지정한 재생 구간에 대응하는 그 악곡 데이터의 부분의 재생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구비하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차량의 제어 상태에 따라서 상기 악곡 재생 유닛이 재생할 악곡 데이터를 상기 기억 유닛으로부터 선택하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환경 상태를 검지하는 환경 상태 검지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차량의 환경 상태 또는 제어 상태에 따라서 상기 악곡 재생 유닛이 재생할 악곡 데이터를 상기 기억 유닛으로부터 선택하는 차량용 악 음 발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차량의 제어 상태가 소정 시간 변화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악곡 재생 유닛에 상기 악곡 데이터의 상기 지정된 재생 구간을 그 소정 시간 반복하여 재생시키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차량의 제어 상태가 상기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후에도 변화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악곡 데이터의 재생 구간을 변경하여, 상기 악곡 재생 유닛이, 상기 재생 구간을 반복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곡 데이터는, 소정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는,
    상기 악곡 데이터의 소정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악곡 데이터의 복수의 재생 구간을 결정하는 재생 위치 결정 유닛과,
    상기 재생 구간의 소정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상기 재생 구간 각각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상기 악곡 데이터에 관계지어 상기 악곡 데이터 기억 유닛에 기억하는 분석 유닛과,
    상기 차량의 운전 상태와 그 운전 상태에 따라서 재생할 악곡의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관계지어 기억하는 재생 룰 데이터 기억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재생 룰 데이터 기억 유닛을 참조하여, 상기 차량 상태 검지 유닛에 의해 검지된 상기 차량의 운전 상태에 관계지어진 상기 음악 요소 파라미터를 취득하고, 그 취득된 음악 요소 파라미터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상기 악곡 데이터의 재생 구간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상기 악곡 데이터의 재생 구간을, 상기 악곡 재생 유닛이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환경 상태를 검지하는 환경 상태 검지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환경 상태 검지 유닛에 의해 검지된 상기 차량의 환경 상태에 따라서 상기 악곡 재생 유닛이 재생할 악곡 데이터를 상기 악곡 데이터 기억 유닛으로부터 선택하는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요소 파라미터는, 피치, 음량, 템포 및 음색 중 어느 하나 혹은 그들의 조합인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9. 차량의 상태를 검지하고,
    상기 검지된 차량의 상태에 따라서,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유닛에 기억된 상기 악곡 데이터의 재생 구간을 선택하고,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된 상기 악곡 데이터의 상기 선택된 재생 구간을 재생하는 차량용 악음 발생 방법.
  10. 차량용의 악음 발생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차량의 상태를 검지하는 명령과,
    상기 검지된 차량의 상태에 따라서,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유닛에 기억된 상기 악곡 데이터의 재생 구간을 선택하는 명령과,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된 상기 악곡 데이터의 상기 선택된 재생 구간을 재생하는 명령
    을 구비하는 차량용 악음 발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70124366A 2006-12-06 2007-12-03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악음 발생 방법 및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22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29490 2006-12-06
JP2006329490A JP4984861B2 (ja) 2006-12-06 2006-12-06 車両用楽音発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7-00036673 2007-02-16
JP2007036673A JP5109397B2 (ja) 2007-02-16 2007-02-16 車両用楽音発生装置及び楽音発生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404A true KR20080052404A (ko) 2008-06-11
KR100922458B1 KR100922458B1 (ko) 2009-10-21

Family

ID=39154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366A KR100922458B1 (ko) 2006-12-06 2007-12-03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악음 발생 방법 및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28316B2 (ko)
EP (1) EP1930875A3 (ko)
KR (1) KR100922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3625A1 (en) * 2006-12-12 2010-02-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sical composi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generation of a musical composition
US20100042236A1 (en) * 2008-08-15 2010-02-18 Ncr Corporation Self-service terminal
JP2011043710A (ja) * 2009-08-21 2011-03-03 Sony Corp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035023B2 (en) 2009-08-25 2011-10-11 Volkswagen Ag Predictive environment music playlist selection
JP2016066912A (ja) * 2014-09-25 2016-04-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音楽生成装置、車両用音楽生成方法、および車両用音楽生成プログラム
US10062395B2 (en) 2015-12-03 2018-08-28 Loop Labs, Inc. Spectral recognition of percussive sounds
CN109795408A (zh) * 2019-01-17 2019-05-24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预警方法及车辆
KR20210158706A (ko) * 2020-06-24 2021-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220019402A1 (en) * 2020-07-16 2022-01-20 Boris Salchow System to create motion adaptive audio experiences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43471C1 (de) * 1985-12-09 1992-01-09 Nixdorf Computer Ag In integrierter Technik hergestellter Baustein zur Erstellung integrierter Schaltungen
US4995294A (en) 1986-05-26 1991-02-26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US5062341A (en) 1988-01-28 1991-11-05 Nasta International, Inc. Portable drum sound simulator generating multiple sounds
JPH0299994A (ja) 1988-10-06 1990-04-11 Yamaha Corp 楽音制御装置
JPH0786737B2 (ja) * 1989-12-13 1995-09-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5832431A (en) 1990-09-26 1998-11-03 Severson; Frederick E. Non-looped continuous sound by random sequencing of digital sound records
US5267318A (en) * 1990-09-26 1993-11-30 Severson Frederick E Model railroad cattle car sound effects
US5438529A (en) 1994-01-26 1995-08-01 Immersion Human Interface Corporation Percussion input device for personal computer systems
JPH08248953A (ja) * 1995-03-07 1996-09-27 Ekushingu:Kk 音楽再生方法及び装置と、これらのための音楽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及び音楽データベース
US5557683A (en) 1995-07-20 1996-09-17 Eubanks; Terry L. In-vehicle drum simulator and mixer
US5885085A (en) 1995-11-24 1999-03-23 Yamaha Corporation Drive-in interactive system
JPH09292247A (ja) * 1996-04-25 1997-11-11 Ekushingu:Kk 自動ガイドシステム
JP2001189969A (ja) * 1999-12-28 2001-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楽配信方法、音楽配信システム、および車載情報通信端末
BR0001078A (pt) 2000-04-06 2003-05-13 Maria Amalia Rotolo De Moraes Método e aparelho de estìmulo positivo mental
JP2002114107A (ja) 2000-10-10 2002-04-16 Nissan Motor Co Ltd オーディオ装置及び音楽提供方法
JP2003150176A (ja) 2001-11-16 2003-05-23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音楽情報提供装置、自動車の音楽情報提供方法、自動車の音楽情報提供用プログラム、及び、車載の音楽情報提供装置
JP2003309891A (ja) 2002-04-17 2003-10-31 Sony Corp 車載用再生装置
JP2004051081A (ja) 2002-05-27 2004-02-19 Yamaha Corp 車両及びその音響発生方法
JP2004361845A (ja) * 2003-06-06 2004-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体における自動選曲システム
JP4290020B2 (ja) * 2004-01-23 2009-07-01 ヤマハ株式会社 移動装置および移動装置システム
JP4290021B2 (ja) 2004-01-23 2009-07-01 ヤマハ株式会社 移動装置および移動装置システム
JP4568506B2 (ja) 2004-02-05 2010-10-2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再生制御装置
JP2005227628A (ja) 2004-02-13 2005-08-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ズムパターンを用いた制御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60052167A1 (en) 2004-09-03 2006-03-09 Boddicker Michael L Mobile entertainment system and method
US20070234888A1 (en) 2005-10-03 2007-10-11 Audiobrax Industria E Comercio De Produtos Eletronicos S/A Rhythmic device for the production, playing, accompaniment and evaluation of s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63745A1 (en) 2008-07-10
EP1930875A2 (en) 2008-06-11
US7528316B2 (en) 2009-05-05
EP1930875A3 (en) 2008-07-02
KR100922458B1 (ko)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458B1 (ko) 차량용 악음 발생 장치, 악음 발생 방법 및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7529676B2 (en) Audio device control device, audio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8203338A (ja) 楽音発生装置及び楽音発生方法
CN111508482A (zh) 语义理解及语音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7633004B2 (en) Onboard music reproduction apparatus and music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11188293B2 (en) Playback sound provision device
WO2009141853A1 (ja) 曲再生装置、音声案内装置、音声出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402879A (zh) 车辆导航提示语音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10068620B1 (en) Affective sound augmentation for automotive applications
JP4984861B2 (ja) 車両用楽音発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071058A (ja) 音声再生装置、音声再生方法、プログラム
JP4797960B2 (ja) 車両用楽音再生装置、車両用楽音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019930B (zh) 一种提供实时播放音频中音乐信息的方法及系统
JP2006293697A (ja) 車載用音楽装置
WO2009139022A1 (ja) 音声出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93697A5 (ko)
JP5109397B2 (ja) 車両用楽音発生装置及び楽音発生方法
JP2006277220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選定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2007261526A (ja) 車両用制御装置、及び、情報通信システム
WO2018234848A1 (en) AFFECTIVE SOUND AMPLIFICATION FOR AUTOMOTIVE APPLICATIONS
JP2004348895A (ja) 車載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793243B2 (ja) 楽曲再生装置、楽曲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69288A (ja) 車載音楽生成装置及び車載エンタテイメントシステム
JP4411118B2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用制御方法
JP2006103520A (ja) オーディオ再生機能付き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情報端末、オーディオデータ再生方法、及びオーディオデータ再生設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