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7508A - 셀프태닝 화장료 - Google Patents

셀프태닝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7508A
KR20080047508A KR1020077029914A KR20077029914A KR20080047508A KR 20080047508 A KR20080047508 A KR 20080047508A KR 1020077029914 A KR1020077029914 A KR 1020077029914A KR 20077029914 A KR20077029914 A KR 20077029914A KR 20080047508 A KR20080047508 A KR 20080047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oil
tanning
metal
containing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489B1 (ko
Inventor
요시히토 다카쿠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80047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4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tan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6Interference pigments, e.g. Iridescent, Pearl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12By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2Coated by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1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2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organic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히드록시아세톤 0.2∼20.0질량%와, 소수화 처리 금속 함유 분말 0.01∼3.0질량%와, 상기 소수화 처리 금속 함유 분말에 대하여 질량비로 5∼20배량의 고형 유분을 함유하는 셀프태닝 화장료로서, 상기 금속 함유 분말이 상기 고형 유분으로 캡슐화된 유성 입자가, 디히드록시아세톤이 용해된 수상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태닝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펄제에 의한 연출 효과와 장기적인 디히드록시아세톤에 의한 염색 효과를 양립시킬 수 있고, 보존 안정성과 사용감이 뛰어난 셀프태닝 화장료가 제공된다.
셀프태닝, 보존 안정성, 디히드록시아세톤, 수상, 화장료.

Description

셀프태닝 화장료{SELF-TANNING COSMETIC}
본 발명은 셀프태닝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펄제를 안정적으로 배합 가능하며 사용감도 뛰어난 디히드록시아세톤 함유 셀프태닝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셀프태닝 화장료란 피부를 착색시키는 화장료이다. 염색제에 의한 착색 효과는 통상 도포후 수 시간부터 시작되며, 1∼2일을 피크로 감쇄하고, 1주일 후에는 원래의 피부색으로 돌아온다.
셀프태닝 화장료는 유해한 자외선의 폭로를 받지 않고 외관상 자연스럽고 건강한 그을린 색깔의 피부를 제공하는 화장료이다. 지속적인 착색 효과를 갖는 것으로는 염색제인 디히드록시아세톤을 배합하는 셀프태닝 화장료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5).
한편, 보디용 셀프태닝 화장료로는 잘 퍼짐, 잘 마름이라는 관점에서, 젤형 셀프태닝 화장료가 선호되고 있다. 또한, 피부를 연출하기 위하여 펄제를 배합한 셀프태닝 화장료가 대단한 인기가 있다.
그리고, 보디용 셀프태닝 화장료에는 수성 젤형 화장료와 같이 산뜻하고 신선한 사용감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 7-10184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 7-101848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01-213747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2002-338448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2005-145860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셀프태닝 화장료에 배합되어 있는 디히드록시아세톤은 경시적으로 분해되고, 화장료의 색조가 변화되어 불쾌한 악취를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디히드록시아세톤은 무기 금속 산화물 등의 금속 함유 분말을 배합하면 극단적으로 불안정해진다. 따라서, 디히드록시아세톤과 안료나 펄제를 병용한 수성 젤형 화장료를 제조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디히드록시아세톤을 함유하는 수상에 펄제를 고형 유분에 의해 캡슐화하여 배합하면 디히드록시아세톤의 불안정화가 방지되고, 나아가 그 사용감도 매우 뛰어난 수성 젤형 셀프태닝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성과 사용감이 매우 뛰어난, 펄제가 배합된 셀프태닝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즉 본 발명은, 디히드록시아세톤 0.2∼20.0질량%와, 소수화 처리 금속 함유 분말 0.02∼3.0질량%와, 상기 소수화 처리 금속 함유 분말에 대하여 질량비로 5∼20배량의 고형 유분을 함유하는 셀프태닝 화장료로서, 상기 금속 함유 분말이 상기 고형 유분으로 캡슐화된 유성 입자가, 디히드록시아세톤이 용해된 수상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태닝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금속 함유 분말이 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셀프태닝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고형 유분을 고온 하에서 융해시키고, 여기에 소수화 처리를 실시한 상기 금속 함유 분말을 분산시킨 유상을 교반 하에서 수상에 첨가한 후 급냉함으로써 상기 금속 함유 분말이 상기 고형 유분으로 캡슐화되어 이 캡슐화된 유성 입자가 상기 수상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셀프태닝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슐화된 유성 입자 중에 아크릴산/아크릴산 알킬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셀프태닝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캡슐화된 유성 입자의 입자 지름이 50μm∼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셀프태닝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상 중에 증점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셀프태닝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셀프태닝 화장료가 보디용 셀프태닝 화장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셀프태닝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1)본 발명의 셀프태닝 화장료는 펄제(금속 함유 분말의 일종)에 의한 디히드록시아세톤의 불안정화가 방지되고 있다. 즉, 펄제에 의한 연출 효과와 장기적인 디히드록시아세톤에 의한 염색 효과를 양립시킬 수 있고, 보존 안정성과 사용감이 뛰어난 셀프태닝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2)본 발명의 셀프태닝 화장료는 사용감이 매우 뛰어나다. 즉, 수성 젤형 화장료이므로 잘 퍼지고, 산뜻하며 신선한 사용감을 갖는다.
(3)본 발명의 셀프태닝 화장료는 투명감이 있는 기제에 펄제를 안정적으로 배합할 수 있으므로, 과립 함유 수성 젤과 같은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4)본 발명의 셀프태닝 화장료는 건조가 빠르므로 도포 후 즉석에서 옷을 입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보디용 셀프태닝 화장료로서 적합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디히드록시아세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디히드록시아세톤은 DHA라고도 약칭되며, 셀프태닝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화장료 원료(피부용 염색제)이다. 셀프태닝 화장료 중의 함유량은 셀프태닝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0.2∼20.0질량%일 필요가 있으며, 1.0∼1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0.2질량% 미만이면 셀프태닝 효과가 얻을 수 없다. 한편, 20.0질량%를 초과하면 보존 안정성이 악화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디히드록시아세톤의 순도로는 90,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7.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히드록시아세톤은 수상 중에 용해되어 함유된다.
[고형 유분으로 캡슐화된 금속 함유 분말]
본 발명에 사용하는 금속 함유 분말은 공지의 방법으로(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3-73230호 공보 참조) 고형 유분에 의해 캡슐화되어 있다. 고형 유분에 의한 캡슐화란 고형 유분으로 이루어지는 유성 입자 중에 금속 함유 분말이 내포화된 상태에서 존재해 있는 상태를 말한다(유성 입자의 표면에 금속 함유 분말이 단지 부착되어 있는 상태는 아님). 이해하기 쉽게 비유하면, 립스틱과 같은 고형 유지 중에 금속 함유 분말이 함유되고, 이것이 수상 중에 분산 가능한 입자 지름으로 되어 있는 상태이다.
유성 입자는 고형 유분, 금속 함유 분말 이외에, 다른 유분이나 기타 소수성 성분이 존재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유성 입자는 수상 중에 분산되는데, 그 평균 입자 지름은 50μm∼0.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함유 분말을 캡슐화하는 고형 유분의 셀프태닝 화장료 중의 함유량은 소수화 처리 금속 함유 분말의 함유량에 대하여 질량비로 5배 이상 20배량 이하이다. 즉, 소수화 금속 함유 분말에 대한 고형 유분의 비율(질량비)은 5/1∼20/1이다. 소수화 처리 금속 함유 분말에 대한 고형 유분의 질량비가 5/1 미만이면 금속 함유 분말의 캡슐화가 완전하지 않아 보존 안정성이 악화된다. 고형 유분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성 젤형으로서의 사용감을 잃게 되기 때문에, 사용감의 관점에서는 금속 함유 분말에 대한 고형 유분의 비율은 적은 것이 바람직하고, 셀프태닝 화장료 중의 함유량으로도 3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화 처리 금속 함유 분말의 셀프태닝 화장료 중의 함유량은 0.02∼3.0질량%일 필요가 있으며, 0.1∼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0.01질량% 미만이면 피부나 기제의 연출 효과가 부족해진다. 한편, 3.0질량%를 초과하면 캡슐화에 필요한 유분량이 많아짐에 따른 기름짐이 사용감으로서 나타나 수성 젤형으로서의 사용감을 잃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 함유 분말이란 금속 원자 화합물의 분말이다. 예컨대,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등의 무기 백색계 안료; 산화철(벵갈라), 티타늄산철 등의 무기적색계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흑색계 안료; 망고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의 무기자색계 안료;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타늄산 코발트 등의 무기녹색계 안료; 군청, 감청 등의 무기 청색계 안료; 산화티타늄 피복 마이카, 산화철 피복 마이카, 산화티타늄 피복 옥시염화 비스무트, 산화티타늄 피복 탈크, 착색산화티타늄 피복 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어린박 등의 펄 안료; 알루미늄 파우더, 코퍼 파우더 등의 금속 분말 안료가 포함된다.
피부나 화장료 기제의 연출 효과의 관점에서, 금속 함유 분말은 펄제가 바람직하다. 펄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펄제란 간섭색을 갖는 분말이며, 예컨대 운모 티타늄, 산화티타늄 피복 합성 운모, 산화티타늄 및 산화규소 피복 운모, 산화티타늄 피복 유리 플레이크, 산화티타늄 피복 실리카 플레이크, 산화티타늄 피복 산화알루미늄 플레이크, 산화티타늄 플레이크, 실리카 피복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펄제 등의 금속 함유 분말은 그 표면이 소수화 처리되어야 한다. 소수화 처리를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고형 유분 중에 캡슐화된다.
소수화 처리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공지의 방법으로 처리된다. 예컨대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디메틸폴리실록산코폴리머, 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류를 이용한 처리; 옥틸트리에톡시실란, 헥실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실란 화합물을 이용한 처리;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을 이용한 처리; 상기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 등을 이용한 금속 비누 처리; 퍼플루오로알킬인산 디에탄올아민염, 퍼플루오로알킬트리메톡시실란 등을 이용한 불소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 처리한 펄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유성 입자 중에 배합하는 바람직한 임의 함유 성분]
고형 유분으로 이루어지는 유성 입자 중에는 유성 캡슐의 응집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아크릴산/아크릴산 알킬(C10-30) 코폴리머(PEMULEN TR-2 BF Goodrich사)를 배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산/아크릴산 알킬(C10-30) 코폴리머의 셀프태닝 화장료 중의 함유량은 셀프태닝 화장료 중의 유성 입자를 구성하는 전체 유분의 양에 대하여 0.02∼4.0질량%일 필요가 있으며, 0.3∼0.4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전체 유분량에 대하여 0.02질량% 미만이면 유성 입자의 입자 형성능이 부족하고, 유성 입자가 응집되어 캡슐화가 어려워진다. 한편, 4.0질량%를 초과하면 수상을 증점시키는 효과가 과잉되어 캡슐의 제조가 어려워진다.
[증점제]
본 발명의 셀프태닝 화장료의 수상에는 증점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증점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수상 중에 디히드록시아세톤과 공존시키는 점, 투명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점, 알코올을 고배합할 수 있는 점에서, 일본 특허 공개 2005-14586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마이크로 겔로 이루어지는 증점제가 바람직하다.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마이크로 겔로 이루어지는 증점제"란 유기 용매 또는 유분을 분산매로 하고 물을 분산상으로 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분산상에 용해하고 분산 상 중에서 역상 유화 중합법이라 칭해지는 중합법에 의해 라디칼 중합하여 얻어지는 합성 고분자의 마이크로 겔이다. "마이크로 겔"이란 역상 마이크로 에멀전 중합법으로 제조된 합성 고분자 전해질의 미립자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겔로 이루어지는 증점제는 물, 에탄올 또는 물-에탄올 혼합 용액 중에서 팽윤하여 외관상 육안적으로 균일한 고점도 용액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적당히 선택된 친수소수 밸런스(HLB)로 조절된 계면 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역상 유화 중합에서의 중합계가 1상 마이크로에멀전 또는 미세 W/O 에멀전을 형성하는 조건 하에서 마이크로 겔로 이루어지는 증점제가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는 비이온성 모노머와 이온성 모노머(음이온성 모노머 또는 양이온성 모노머)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낸 디알킬아크릴아미드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91948945-PCT00001
(R1은 H 또는 메틸기,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를 나타낸다.)
"이온성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2에 나타낸 음이온성 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또는 하기 화학식 3에 나타낸 양이온성 아크릴아미드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91948945-PCT00002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메틸기, R6는 탄소원자수 1∼6의 직쇄 또는 분기된 알킬기, X는 금속 이온 또는 NH3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91948945-PCT00003
(R7은 H 또는 메틸기, R8은 H 또는 탄소원자수 1∼6의 직쇄 또는 분기된 알킬기, R9는 탄소원자수 1∼6의 직쇄 또는 분기된 알킬기, R10, R11, R12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 Y는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한 디알킬아크릴아미드는 디메틸아크릴아미드, 디에틸아크릴아미드이다.
특히 바람직한 이온성 아크릴아미드 유도체는 2-아크릴아미드 2-메틸프로판술폰산 및 그 염이다.
특히 바람직한 양이온성 아크릴아미드 유도체는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메틸클로라이드이다.
비이온성 모노머와 이온성 모노머의 중합계에 있어서 모노머 조성비(중합계의 주입비)는 목적으로 하는 마이크로 겔의 모노머 구성비에 따라 적당히 임의로 결정된다. 마이크로 겔의 모노머 구성비와 중합계에의 주입비는 대략 동일해진다. 비이온성 모노머와 이온성 모노머의 중합계의 주입비(몰비)는 통상 비이온성 모노 머:이온성 모노머=0.5:9.5∼9.5:0.5, 바람직하게는 1:9∼9:1, 더욱 바람직하게는 7:3∼9:1의 범위에서 공중합에 제공된다. 최적 비율은 비이온성 모노머:이온성 모노머=8:2이다.
상기한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임의로 선택하여 증점제가 중합된다. 특히 바람직한 증점제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에 디메틸아크릴아미드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을 이용하여, 이들 모노머로부터 공중합 되는 2원 공중합체의 마이크로 겔이다. 이 경우에, 가교 모노머는 필요가 없으며, 자기 가교에 의해 뛰어난 증점 효과와 사용감이 발휘되는 증점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교 모노머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가교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특히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가 바람직하다.
디알킬아크릴아미드와 아크릴아미드계 이온성 모노머를 공중합한 마이크로 겔에 있어서는 자발적인 가교 반응이 진행되고, 특히 제3 성분으로서 다작용성 가교 모노머를 공중합하지 않아도 화학적으로 자기 가교된 마이크로 겔을 얻을 수 있어 본 발명에 특히 바람직한 증점제가 된다.
제3 성분의 다작용성 가교 모노머는 필요하지 않으나, 이것을 첨가하고 공중합하여도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겔은 합성 가능하다. 다작용성 가교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4에 나타낸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하기 화학식 4에 나타낸 가교 모노머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하여 가교할 수 있다. 이들 가교성 모노머는 디알킬아크릴아미드와 이온성 아크릴아미드 유도체의 중합계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가교 구조를 취할 수 있을 것이 필수적이다.
Figure 112007091948945-PCT00004
Figure 112007091948945-PCT00005
바람직한 가교성 모노머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디아크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N,N'-에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이소시아눌산 트리알릴, 펜타에리스리톨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공중합체 중의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단위와 디알킬아크릴아미드 단위의 함유량의 몰비는 통상 2-아크릴아미드 2-메틸프로판술폰산 단위:디알킬아크릴아미드 단위=0.5:9.5∼9.5:0.5, 바람직하게는 1:9∼9: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7∼1:9이다.
최적비는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단위:디알킬아크릴아미드 단위=2:8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증점제의 점성은 강해리기인 술포닐기에 따른 정전 반발에 의한 분자쇄의 신전 및 디알킬아크릴아미드의 자발 가교 반응 또는 가교성 단량체에 의한 가교 구조에 기인하고 있는데,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단위 또는 그 염의 함유량이 디알킬아크릴아미드 단위에 대하여 5몰% 미만에서는 충분히 분자쇄의 신전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점도를 얻을 수 없을 수가 있다.
가교성 모노머의 사용량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또는 그 염과 디알킬아크릴아미드의 전체 몰수에 대하여 0.0001∼2.0몰%의 범위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01몰% 미만에서 조제된 증점제는 가교의 효과가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2몰%를 초과하여 조제된 경우, 가교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 마이크로 겔이 충분히 팽윤될 수 없기 때문에 충분한 증점 효과를 발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마이크로 겔의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 10만∼500만(PEG 환산: GPC에 의한 측정) 정도로서, 증점제로서 요구되는 점도에 따라 조절된다.
본 발명에 증점제로 사용하는 마이크로 겔은 중합 후 간단한 침전 정제 공정을 거쳐 분말 상태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말 형태로 분리된 마이크로 겔은 물 또는 에탄올 또는 물/에탄올의 혼합 용제에 용이하게 분산되어 신속하게 팽윤되어 증점제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투명한 기제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겔에 공중합되는 이온성 모노머를 강산성의 모노머(예컨대 술폰산 잔기를 포함하는 모노머)를 선택함으로써 종래의 카르복시비닐폴리머에서는 증점이 불가능했던 산성제제의 증점도 가능하다.
더욱이, 이 마이크로 겔은 종래 증점 또는 겔화가 어려웠던 알코올의 증점 또는 겔화도 가능하다. 특히 고농도의 알코올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증점제로서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증점제는 수상 중에서 증점 또는 겔화 기능하며, 디히드록시아세톤의 염색성이 대폭으로 개선된다. 더욱이, 매우 뛰어난 사용감을 갖는 셀프태닝 화장료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상기 증점제는 수상에 배합된다. 증점제의 배합량은 적당히 결정되며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배합량은 셀프태닝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0.01∼10%(질량 백분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질량 백분률)이다.
셀프태닝 화장료에 에탄올을 배합하는 경우, 에탄올의 함유량은 셀프태닝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1∼70질량%, 바람직하게는 5∼20질량%이다. 그러나, 에탄올이 30질량% 이상의 고배합인 경우, 예컨대 30∼50질량% 배합하는 제품에 있어서도 증점 효과가 뛰어난 안정적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에탄올 고배합의 경우에는 증점제의 배합량은 다소 많게 하여 0.01∼10질량%가 바람직하다.
[셀프태닝 화장료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셀프태닝 화장료는 유성 입자(비유하면 립스틱과 같은 고형 유성 조성물을 입자화한 것)를 수상 중에 분산시킨 조성물이다. 단, 유성 입자가 커서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 지름 50μm∼0.5mm)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외관을 갖는다. 그리고, 사용감으로는 유성의 과립을 함유한 수성 젤과 동일한 뛰어난 사용감으로 되어 있다.
유상을 구성하는 유분은 상온에서(15℃) 고형인 유분으로서, 고온에서 융해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하기의 유분을 사용할 수 있다.
(1)"고체 유지"로는 예컨대, 카카오유, 야자유, 경화 야자유, 팜유, 팜핵유, 목납 핵유, 경화유, 목납, 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2)"납"으로는 예컨대, 밀납, 칸데릴라납, 면납, 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 백납, 경납, 몬탄 왁스, 쌀겨 왁스, 라놀린, 케이폭 왁스(kapok wax), 아세트산 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르산 헥실, 환원 라놀린, 호호바 왁스, 경질 라놀린, 셀락 왁스, POE 라놀린알코올에테르, POE 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알코올에테르,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하기의 유분을 상기 고형 유분에 배합할 수도 있다.
"액체 유지"로는 예컨대 아보카도유, 동백유, 터틀유, 마카다미아 너츠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깨유, 살구씨/복숭아씨 오일(persic oil), 밀배아유, 애기동백유, 피마자유, 아마씨유(linseed oil), 홍화유, 면실유, 들깨유, 대두유, 낙화생유, 차씨유, 비자나무유, 쌀겨유, 중국 오동나무유, 일본 오동나무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유"로는 예컨대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프리스탄(pristane), 파라핀, 스쿠알렌, 바셀린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는 예컨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운데실렌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산, 리놀레산, 에이코사펜타에노산(EPA), 도코사헥사에노산(DHA)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로는 예컨대 직쇄 알코올(예컨대 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 분지쇄 알코올(예컨대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트스테롤, 헥실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등)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유"로는 예컨대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옥타노산 세틸,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 부틸, 라우르산 헥실,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올레산 데실, 디메틸옥타노산 헥실데실, 락트산 세틸, 락트산 미리스틸, 아세트산 라놀린,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사노산 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카노산 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사노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사노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사노산 글리세린, 트리옥타노산 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 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 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트산 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카노산 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올레산 올레일, 아세토글리세라이드, 팔미트산 2-헵틸운데실, 아디프산 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탐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 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박산 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2-헥실데실, 세박산 디이소프로필, 숙신산 2-에틸헥실, 시트르산 트리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는 예컨대 쇄상 폴리실록산(예컨대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페닐폴리실록산 등); 환상 폴리실록산(예컨대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 3차원 그물코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각종 변성 폴리실록산(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알킬 변성 폴리실록산, 불소 변성 폴리실록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수상에는 염색제의 디히드록시아세톤을 용해시킨다. 수상을 구성하는 물의 함유량은 셀프태닝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통상 40∼99질량%이며, 50∼95질량%가 바람직하다.
수상에는 에탄올을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보습 성분으로서 글리세린, 소르비톨 등의 다가 알코올류, 히알루론산 등의 다당류, 카라멜 등의 염색제류, 에데트산염 등의 킬레이트제류, 피로아황산 Na 등의 안정화제류, 메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등의 방부제류,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등의 아미노산류나 다른 수용성 성분을 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셀프태닝 화장료는 경일적인 보존 안정성이 뛰어난 화장료를 얻을 수 있는 점에서 하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고형 유분과 액상 유분을 혼합하고, 고온(유상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70∼100℃)에서 융해한다. 유용성의 활성제를 배합하는 경우는 여기에서 배합한다.
(2)고온에서 융해되어 있는 상기 유분 중에 소수화 처리를 실시한 금속 함유 분말 및 아크릴산/아크릴산 알킬 코폴리머(수용성 활성제로서 분말형인 것)를 첨가하고, 충분히 분산한다. 분산한 것을 유상 부분로 한다.
(3)고온 하(유상의 융해 온도 이상)에서 교반한 일부의 물(유상 부분에 대하여 1배 이상) 중에 유상 부분를 서서히 첨가하고, 유성 입자를 형성시킨다(이하, A부분라고 함).
(4)A부분를 교반하면서 급냉(유분의 융해 온도 이하까지)함으로써 금속 함유 분말을 캡슐화한 고형 유성 입자를 조제한다.
(5)히드록시아세톤, 증점제(필요에 따라 알코올, 다가 알코올류나 각종 수용성 성분도)를 물에 용해시켜 디히드록시아세톤 함유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수상을 얻는다(수상).
(6)A부분을 수상에 혼합하고 교반하여 균일화한다. 이에 따라, 금속 함유 분말을 캡슐화한 유성 입자(과립상인 것)가 함유되어 있는 수성 젤형의 셀프태닝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
교반의 회전 수는 적당히 조정된다. 고회전수일수록 유성 입자는 미세화된다. 저회전수인 경우에는 유성 입자를 거대화하는 것이 가능한데, 제조 스케일에 대하여 회전 스케일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는 분산 과정에서 기름뜸이나 입자의 응집을 유발한다.
패들 믹서와 같이 약한 교반력을 갖는 교반 장치가 바람직하다.
유성 입자의 입자 지름으로는 캡슐화할 금속 함유 분말의 입자 지름 이상으로서 2mm 이하가 필요하다. 50μm∼0.5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입자 지름이 금속 함유 분말의 입자 지름 이하인 경우에는 금속 함유 분말과 디히드록시아세톤의 접촉으로 인한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없다. 또한, 유성 입자의 미세화로 인해 투명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수성 젤형의 외관도 얻을 수 없다.
상기 입자 지름이 2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 시에 캡슐화된 과립상의 금속 함유 분말 유성 입자가 잘 파괴되지 않고, 피부 상에서 금속 함유 분말이 얼룩져서 양호한 피부 연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A부분을 수상에 혼합하고 교반할 때의 액온은 유성 입자를 구성하는 유분 조성에 따라 적당히 조정된다. 15∼50℃가 바람직하고, 20∼4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 시의 액온이 수치 범위 내이면 디히드록시아세톤의 안정성이 보다 뛰어난 화장료가 제공된다.
교반에 있어서는, 패들 믹서, 호모 믹서, 디스퍼 등의 통상의 유화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약한 교반력의 패들 믹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셀프태닝 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증점제, 피막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이온 봉쇄제,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당, 아미노산, 유기 아민, 고분자 에멀전, pH 조정제, 피부 영양제, 비타민,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 조제, 염료, 향료를 필요에 따라 적당히 배합하여 본 발명의 셀프태닝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상품 형태>
본 발명의 셀프태닝 화장료는 펄제를 함유한 유성 입자가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외관(투명 젤 속에 과립형으로 보이는 외관)을 갖는 보디용의 수성 셀프태닝 젤이 바람직하다.
다음,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배합량은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질량%이다.
"표 1"∼"표 3"에 나타낸 처방에 있어서, 수성 젤의 셀프태닝 화장료를 제조하고 하기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외관·냄새 안정성의 평가>
-20℃, -5℃, 0℃, 실온(25℃), 37℃, 50℃의 각 온도의 항온조 중에 각 화장료를 유지하고, 1개월 후 외관 및 냄새의 안정성을 육안에 의한 색조 및 악취 발생의 유무에 의해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색조 변화, 악취 발생은 없음 ○
색조 변화나 악취가 다소 발생하였음 △
색조 변화나 악취의 발생이 매우 큼 ×
<점도 안정성의 평가>
-20℃, -5℃, 0℃, 실온(25℃), 37℃, 50℃의 각 온도의 항온조 중에 각 화장료를 유지하고, 1개월 후 점도 안정성을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제조 직후와 커다란 변화가 없음 ○
제조 직후와 비교하여 50℃에서만 커다란 점도 저하가 있음 △
제조 직후와 비교하여 실온∼50℃에서 커다란 점도 저하가 있음 ×
<염색 효과의 지속성의 평가>
7명의 피험자의 전완부 3×3cm2에 화장료를 18㎕ 도포하고, 2시간후 씻어내고, 염색 효과의 지속성(장기적인 착색 효과)을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4일 후에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도포한 곳을 완전히 인식할 수 있을 만큼 염색 효과가 지속되고 있음 ○
도포한 곳은 대체로 인식가능하나, 염색 부위와의 경계선은 인식 불능 △
완전히 원래의 피부색으로 돌아와 도포한 곳을 인식할 수 없음 ×
<사용감의 평가>
각 화장료를 안면에 도포하고, 도포 시의 사용감을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수성 젤과 같은 신선한 사용감으로 건조도 빠름 ○
유액에 가까운 사용감으로 기름기가 있고 건조도 느림 ×
<피부 연출 효과의 평가>
각 화장료를 안면에 도포하고, 도포 직후의 펄제에 의한 피부 연출 효과를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육안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간섭광을 관찰하기 위하여 평가는 태양 광선 하에서 행하였다.
"평가 기준"
도포 전후에서 피부색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고, 펄제에 의한 광 간섭 효과가 확인됨 ○
도포 전후에서 피부색의 변화는 확인되지만, 펄제의 얼룩짐이 확인됨 △
도포 전후에서 피부색의 변화가 확인되지 않음 ×
Figure 112007091948945-PCT00006
Figure 112007091948945-PCT00007
Figure 112007091948945-PCT00008
*1: 하기 합성예 1에서 제조한 마이크로 겔
"합성예 1 디메틸아크릴아미드(고진 제품)를 40g과 2-아크릴아미드 2-메틸프로판술폰산(Sigma 제품) 9g을 250g의 이온 교환수에 용해하고 수산화 나트륨으로 pH=7.0으로 조절한다. 환류 장치를 구비한 1000ml 3구 플라스크에 n-헥산 250g과 폴리옥시에틸렌(3)올레일에테르(에머렉스 503, 닛폰 에멀전 제품) 8.2g 및 폴리옥시에틸렌(6)올레일에테르(에머렉스 506, 닛폰 에멀전 제품) 16.4g을 넣고 혼합 용해하여 N2 치환한다. 이 3구 플라스크에 모노머 수용액을 첨가하여 N2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오일 배스에서 65℃∼70℃로 가열한다. 계의 온도가 65℃∼70℃에 도달한 시점에서 계가 반투명한 마이크로 에멀전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과황산 암모늄 2g을 중합계에 첨가하고 중합을 시작한다. 중합계를 65℃∼70℃로 3시간 교반하면서 유지함으로써 마이크로 겔이 생성된다. 중합 종료 후 마이크로 겔 현탁액에 아세톤을 가하여 마이크로 겔을 침전시키고, 계속하여 아세톤으로 3회 세정하고, 잔존 모노머 및 계면 활성제를 제거한다. 침전물은 여과 후 감압 건조하고, 백색 분말형의 마이크로 겔 건조물을 얻는다.
"*2: SA-티미카 골든 브론즈(TIMICA GOLDEN BRONZE): 미요시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3: 티미카 골든 브론즈: 마르사
*4: PEMULEN TR-2: 닛코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5: 세피겔 305: 세픽사 제품
*6: 살케어(SALCARE) SC96: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
*7: 벵갈라에 1,3,5,7-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을 기상 접촉시킨 후, 테트라데센을 부가하고, 여과·세정 후 건조시킨 것
*8: 황산화철에 1,3,5,7-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을 기상 접촉시킨 후, 테트라데센을 부가하고, 여과·세정 후 건조시킨 것
*9: 흑산화철에 1,3,5,7-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을 기상 접촉시킨 후, 테트라데센을 부가하고, 여과·세정 후 건조시킨 것
상기 "표 1"∼"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펄제로 인한 디히드록시아세톤의 불안정화가 방지되어 있다. 매우 보존 안정성이 뛰어난 수성 젤형 셀프태닝 화장료이다. 또한, 사용감이 매우 뛰어나다. 즉, 젤과 같은 수계 화장료의 산뜻하고 신선한 사용감이 있다. 더욱이 투명감이 있어, 피부 및 화장료 기제에 대하여 연출 효과를 갖는 셀프태닝 화장료이며, 도포하였을 때의 건조가 빠른 것이다.
본 발명의 셀프태닝 화장료는 태양광선(자외선)을 쬐지 않고도 피부를 그을린 색깔로 착색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화장료이며, 펄제에 의한 연출 효과와 장기적인 착색 효과를 갖는 셀프태닝 화장료이다. 사용감이 뛰어난 보디용 셀프태닝 화장료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Claims (7)

  1. 디히드록시아세톤 0.2∼20.0질량%와, 소수화 처리 금속 함유 분말 0.02∼3.0질량%와, 상기 소수화 처리 금속 함유 분말에 대하여 질량비로 5∼20배량의 고형 유분을 함유하는 셀프태닝 화장료로서,
    상기 금속 함유 분말이 상기 고형 유분으로 캡슐화된 유성 입자가, 디히드록시아세톤이 용해된 수상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태닝 화장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함유 분말이 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태닝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유분을 고온 하에서 융해시키고, 여기에 소수화 처리를 실시한 상기 금속 함유 분말을 분산시킨 유상을 교반 하에서 수상에 첨가한 후 급냉함으로써 상기 금속 함유 분말이 상기 고형 유분으로 캡슐화되어, 그 캡슐화된 유성 입자가 상기 수상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태닝 화장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화된 유성 입자 중에 아크릴산/아크릴산 알킬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태닝 화장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화된 유성 입자의 입자 지름이 50μm∼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태닝 화장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중에 증점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태닝 화장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태닝 화장료가 보디용 셀프태닝 화장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태닝 화장료.
KR1020077029914A 2005-09-05 2005-09-05 셀프태닝 화장료 KR101197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16208 WO2007029299A1 (ja) 2005-09-05 2005-09-05 セルフタンニング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508A true KR20080047508A (ko) 2008-05-29
KR101197489B1 KR101197489B1 (ko) 2012-11-09

Family

ID=3783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914A KR101197489B1 (ko) 2005-09-05 2005-09-05 셀프태닝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74823A1 (ko)
EP (1) EP1932508A4 (ko)
JP (1) JPWO2007029299A1 (ko)
KR (1) KR101197489B1 (ko)
CN (1) CN101257888B (ko)
WO (1) WO2007029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0986A1 (de) * 2007-03-05 2008-09-11 Merck Patent Gmbh Übergangsmetallhaltige Effektpigmente
JP2009057308A (ja) * 2007-08-31 2009-03-19 Shiseido Co Ltd 油性化粧料
US7780954B2 (en) * 2008-02-19 2010-08-24 Conopco, Inc. Glow and sunless tanning color enhancement by cationic copolymers
US20110091396A1 (en) * 2009-10-16 2011-04-21 Conopco, Inc., D/B/A Unilever Sunless tanning composition insuring effective application to skin
US8999302B1 (en) 2009-10-22 2015-04-07 Aplicare, Inc. Skin dye protectant formulations
US9238774B2 (en) 2012-11-02 2016-01-19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Soil fixation, dust suppression and water retention
US9174871B2 (en) 2012-11-02 2015-11-03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Cement slurries having pyranose polymers
WO2014088555A1 (en) 2012-12-04 2014-06-12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High performance acrylamide adhesives
EP3421131A1 (en) * 2017-06-30 2019-01-02 Blink AG A sample cartridge for incubating and/or analyzing a dispersion of particles, cells or droplets
CN109806182B (zh) * 2019-03-15 2022-02-11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透明质酸和氨基酸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2827A (en) * 1974-06-27 1980-03-11 Ciba-Geigy Corporation Water-insoluble hydrophilic copolymers
JPS58177911A (ja) * 1982-04-12 1983-10-18 Shiseido Co Ltd 化粧料
JP2731845B2 (ja) * 1988-02-19 1998-03-2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線状模様入り透明ゲル化粧料
US5229104A (en) * 1991-04-29 1993-07-20 Richardson-Vicks Inc. Artificial tann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sitively charged paucilamellar vesicles
ES2106508T5 (es) * 1993-01-11 2001-03-01 Procter & Gamble Composiciones cosmeticas que contienen pigmentos tratados en la superficie.
EP0645135A1 (de) * 1993-09-29 1995-03-29 Solco Basel AG Hämodialysat enthaltendes Sonnenschutzmittel
FR2716622B1 (fr) * 1994-02-28 1996-04-12 Oreal Compositions cosmétiques autobronzantes à base de dihydroxyacétone,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utilisation.
US6036945A (en) * 1997-04-11 2000-03-14 Shamrock Technologies, Inc. Delivery systems for active ingredients including sunscreen activ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EP0884045A1 (en) * 1997-06-06 1998-12-16 Pfizer Products Inc. Self-tanning dihydroxyacetone formulations having improved stability and providing enhanced delivery
US20030180235A1 (en) * 1998-02-27 2003-09-25 Laboratoires Serobiologiques Matrix for preparing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method for making said particles and resulting particles
FR2775441B1 (fr) * 1998-02-27 2000-04-28 Serobiologiques Lab Sa Matrice pour la preparation de microparticules ou de nanoparticules, procede de fabrication de telles particules et particules obtenues
FR2780281B1 (fr) * 1998-06-26 2000-08-18 Oreal Compositions comprenant des nanopigments d'oxydes de fer pour la coloration artificielle de la peau et utilisations
DE19949826A1 (de) * 1999-10-15 2001-04-19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in Form von O/W-Makroemulsionen oder O/W-Mikroemulsionen, mit einem Gehalt an Dihydroxyaceton
US6290941B1 (en) * 1999-11-23 2001-09-18 Color Access, Inc. Powder to liquid compositions
JP4798899B2 (ja) * 2001-08-29 2011-10-19 株式会社 資生堂 カプセル含有外用組成物
JP2003113065A (ja) * 2001-09-28 2003-04-18 Masato Tagawa 化粧料
JP2004107249A (ja) * 2002-09-18 2004-04-08 Kanebo Ltd 紫外線防御能力増強方法、化粧料および化粧方法
DE10319373A1 (de) * 2003-04-30 2004-11-18 Beiersdorf Ag Selbstbräuner enthaltende kosmetische Stifte
DE10321147A1 (de) * 2003-05-12 2004-12-02 Beiersdorf Ag Stabilisierung von Selbstbräunungsprodukten durch Schichtsilikate
EP1648395A1 (de) * 2003-07-10 2006-04-26 Beiersdorf AG Hauttönungsprodukt enthaltend selbstbräuner zur farbangleichung unterschiedlich pigmentierter hautstellen
JP4400779B2 (ja) * 2003-09-24 2010-01-20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水性ポイント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2005145860A (ja) * 2003-11-13 2005-06-09 Shiseido Co Ltd 皮膚着色用外用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489B1 (ko) 2012-11-09
EP1932508A1 (en) 2008-06-18
WO2007029299A1 (ja) 2007-03-15
EP1932508A4 (en) 2012-08-29
CN101257888B (zh) 2012-04-25
US20090074823A1 (en) 2009-03-19
JPWO2007029299A1 (ja) 2009-03-12
CN101257888A (zh)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489B1 (ko) 셀프태닝 화장료
KR101186472B1 (ko) 셀프 태닝 화장료
EP0331833A1 (en) Water-in-oil emulsion type cosmetics
JP5073031B2 (ja) 皮膚化粧料
KR20070121033A (ko) 표면 피복 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JP5295440B2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4577721B2 (ja) 化粧料
KR20160077756A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2012067024A (ja) 皮膚外用剤
AU726438B2 (en) Stable high SPF foundation
JP5484710B2 (ja) 油中水型乳化ベース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08044901A (ja) 水中油型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5085850B2 (ja) 油性化粧料
JPH0525019A (ja) 化粧用粉体及び該粉体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4175736A (ja)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2003277233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CN1572287A (zh) 用于化妆和/或护理皮肤特别是脸部的化妆组合物
JP2005306849A (ja) 水中油型固形化粧料
CN1572288A (zh) 用于化妆和/或护理皮肤特别是脸部的化妆组合物
JP2006225347A (ja) 皮膚外用組成物
JPH08319218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00302644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03113042A (ja) 水中油型メ−キャップ化粧料
JPH06305935A (ja) 固型粉末化粧料
JP2004292396A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