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725A - 지폐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725A
KR20080042725A KR1020070113788A KR20070113788A KR20080042725A KR 20080042725 A KR20080042725 A KR 20080042725A KR 1020070113788 A KR1020070113788 A KR 1020070113788A KR 20070113788 A KR20070113788 A KR 20070113788A KR 20080042725 A KR20080042725 A KR 20080042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handling apparatus
conveyance path
discrimination
b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0533B1 (ko
Inventor
미노르 카도와키
리이치 카토
아츠코 우오즈미
신지 시바타
쥰지 후지타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2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취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폐 취급 장치 (1)에서 지폐 입출금구 (20)의 후방에 일시 수납부 (40)을 배치하고 상기 일시 수납부 (40)의 후방에 지폐 판별부 (30)을 배치하고, 상기 지폐 조출부 (20b)의 아래쪽으로부터 상기 지폐 판별부 (30)의 전방까지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 (51a, 51b)와, 상기 지폐 판별부 (30)의 후방으로부터 일단 윗쪽에 올라 상기 일시 수납부 (40)까지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 (52, 53, 54)와 상기 지폐 판별부 (30)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반송로 (52)에 진행되어 최초로 반송처를 배분하는 지폐 배분 게이트 (50a)를 구비하고, 상기 지폐 배분 게이트 (50a)를 상기 일시 수납부 (40)의 후방 상부에 배치하여 소형 대용량화의 요망을 따르는 지폐 취급 장치 (1)을 제공하여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폐 취급 장치{BILL HANDLING MACHINE}
도 1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제어 블럭도이다.
도 3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내의 지폐 취급 장치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제어 블럭도이다.
도 4는 지폐 취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지폐 취급 장치의 다른 배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지폐 취급 장치의 다른 배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주요부위를 나타내는 도면부호의 설명**
1···지폐 취급 장치
20···지폐 입출금구
20b···지폐 조출부
20c···지폐 집적부
30···지폐 판별부
40···일시 수납부
50a, 50c···지폐 배분 게이트
51a, 51b, 52, 53, 54, 57, 59···반송로
60···리젝트고
71~74···리사이클고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금융기관 등에서 사용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실장 되는 바와 같은 지폐 취급 장치에 관한다.
종래, 예를 들면 금융기관 등에서 사용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실장 되는 지폐 취급 장치에는 이용자에게 입금된 지폐를 한 장씩 계속 내보내는 기능과 출금 지폐를 방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지폐 입출금구와 입금 지폐 혹은 출금 지폐를 판별하는 지폐 판별부와 입금한 지폐를 일단 수납하는 일시 수납부와 지폐 판별부에서 소정의 기준에 이르지 않는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는 리젝트고와 입금 지폐를 수납·보관해, 출금 지폐 등으로서 계속 내보내는 리사이클고와 이들의 각 유니트를 접속하는 지폐 반송로가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지폐 취급 장치에서는 최근이 되어 다금종화나 대용량화가 진행됨으로써, 리사이클고는 장치의 하부에 나열하여 배치하고, 그 외의 부분을 지폐 취급 장치 상부의 상부 유니트에 모아 배치하는 구성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상기 특허 문헌에 기재의 지폐 입출금기는 지폐 입출금로, 지폐 판별부, 일시 수납부가 장치 상부의 상부 유니트에 배치되고 있고, 입금된 지폐를 지폐 판별 부에 의해 판별하고, 받아들일 수 있다고 판별 가능한 지폐는 일시 수납부로 반송한다. 이 때문에 입출금구와 일시 수납부는 지폐 판별부를 사이에 두어 전후에 배치되고 있다. 이와 같이, 지폐 입출금기에서는 장치 전방으로부터 입출금로, 지폐 판별부, 일시 수납부의 순서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여기서, 지폐 판별부에서 지폐를 판별하고 받아들이기 가능한 지폐만을 일시 수납부에 반송하기 위해서는 지폐 판별부의 판별 결과를 갖고 지폐의 반송처를 배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폐 판별부에 의한 판별에는 일정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지폐가 지폐 판별부를 통과 후 판정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고 나서 일시 수납부 또는 입출금로에 지폐를 배분할 필요가 있다. 이 일정시간을 두기 위해여유시간용의 반송로를 지폐 판별부의 후단에 설치하고 상기 반송로의 후단에 배분하도록 분기가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반송로를 마련하기 위해서 지폐 입출금기의 상부 유니트를 길이 방향, 또는 높이 방향으로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근래에 지폐 입출금기의 전체 사이즈를 소형화하고 한편 지폐의 수납 용량을 대량화 하는 소형 대용량화가 요구되고 있어 상부 유니트가 커지는 것은 시장의 요구에 위반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3-208654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의 문제에 비추어 소형 대용량화의 요망을 따르는 지폐 취급 장치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폐 취급 장치로서 지폐 입출금부의 후방에 일시 수납부를 배치 하고, 상기 일시 수납부의 후방에 지폐 판별부를 배치하고, 상기 지폐 조출부의 아래쪽으로부터 상기 지폐 판별부의 전방까지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제 1 반송로와 상기 지폐 판별부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제 2 반송로로 진행하는 제일 처음 반송처를 분배하는 제 1 분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분기부를 상기 일시 수납부의 후방 상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이하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1)의 좌부 내부에는 상부 정면판 (101a)에 설치된 카드 슬롯 (102a)와 연통하고 이용자의 카드를 처리하고 거래 명세표를 인자해 방출하는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 (102)와 거래의 내용을 표시 및 입력하는 고객 조작부 (105)가 구비되고 있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1) 전체는 장치프레임체 (101c)로 둘러싸여 있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1)의 우부 내부에는 지폐를 처리하는 지폐 취급 장치 (1)이 구비되어져 있고 상부가 기울어진 정면판 (101b)에 입출금구의 셔터 (20a)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1)은 카드, 지폐, 명세표를 매체로 하고 전면을 접객면으로서 이용자에 의한 예입, 지불, 이체등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도 2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1)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제어 블럭도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1)에 수납되어진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 (102), 지폐 취급 장치 (1) 및 고객 조작부 (105)는 각각 USB 등의 회선에 의해 본체 제어부 (107)에 접속되고 있고 본체 제어부 (107)의 제어하에서 필요한 동작을 행한다. 또 본체 제어부 (107)에는 그 밖에 외부 인터페이스부 (107b), 계원 조작부 (107c), 외부 기억장치 (107d)가 버스 접속 등에 의해 접속되고 있고 필요한 데이터의 절환을 행한다. 또한 101d는 상기 각 기구 부분이나 구성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이다.
도 3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1)안에 배치되는 지폐 취급 장치 (1)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제어 블럭도이다.
지폐 취급 장치 (1)의 제어부 (10)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1)의 본체 제어부 (107)과 회선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본체 제어부 (107)으로부터의 지령 및 입출금기인 지폐 취급 장치 (1)의 상태 검출에 따라 지폐 취급 장치 (1)의 제어를 실시하고, 또, 지폐 취급 장치 (1)의 상태를 필요에 따라서 본체 제어부 (107)에 보낸다.
상기 지폐 취급 장치 (1)은 각 유니트(지폐 입출금부로서의 지폐 입출금구 (20), 지폐 판별부 (30), 일시 수납부 (40), 반송로 (50), 리젝트고 (60), 지폐 수납부로서의 리사이클고 (71~74)에 구동 모터나 전자 솔레노이드나 센서 등(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후술의 거래에 따라 센서로 상태를 감시하면서 액츄에이터(구동 모터나 전자 솔레노이드 등 )를 구동 제어한다.
도 4는, 지폐 취급 장치 (1)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지폐 취급 장치 (1)은 크게 나누어 상부 지폐 기구 (1a)와 하부 지폐 기구 (1b)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있다.
상부 지폐 기구 (1a)는 주로 이용자와의 지폐의 수수에 필요한 기구가 집합되고 이용자가 지폐의 투입· 빼냄을 행하는 지폐 입출금구 (20)과 지폐의 판별을 행하는 지폐 판별부 (30)과 입금한 지폐를 거래 성립까지의 사이 일단 수납하는 일시 수납부 (40)과 출금으로 공급하지 않는 지폐를 수납하는 리젝트고 (60)과 제어부 (10)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4에서는 제어부 (10)이 도시 생략되고 있다. 또 일시 수납부 (40)은 지폐를 일시적으로 수납하는 공간과 상기 공간에 지폐를 집적해가기 위한 반송 롤러나 날개차 등이 구비되어져 있고, 도에 점선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유니트화 되어 있다.
하부 지폐 기구 (1b)에는 입금된 지폐를 금종별로 수납하고 출금하는 지폐를 계속 내보내기 위한 리사이클고 (71~74)가 복수개 설치되고 있다.
상부 지폐 기구 (1a)에 대해서 상술하면 접객면이 되는 전면 측에 지폐 입출금구 (20)이 배치되고 상기 지폐 입출금구 (20)의 후방에 일시 수납부 (40)이 인접하여 배치되고 있다. 일시 수납부 (40)의 후방에는 상기 일시 수납부 (40)과 약간 이간하여 지폐 판별부 (30)이 배치되고 있다.
지폐 입출금구 (20)은 윗쪽의 셔터 (20a)가 열린 상태로 위로부터 투입된 지폐를 아래쪽으로 계속 내보내는 지폐 조출부 (20b)와 아래쪽으로부터 반송되어 온 지폐를 집적하는 지폐 집적부 (20c)가 이 순서로 전후로 배치되어 구성되고 있다.
상기 지폐 조출부 (20b)의 하단으로부터 지폐 판별부 (30)의 전면까지는 전 후방향으로 늘어나는 제1 반송로로서의 반송로 (51a) 및 반송로 (51b)에 의해 접속되고 있다. 반송로 (51a)의 도중에는 하부 지폐 기구 (1b)로 지폐를 배분하기 위한 제2 분기부로서의 지폐 배분 게이트 (50c)가 설치되고 있다.
지폐 판별부 (30)의 후면으로부터 일시 수납부 (40)의 뒤하부까지는, 제2 반송로로서의 반송로 (52, 53, 54)에 의해 접속되고 있다. 반송로 (52)는 지폐 판별부 (30)의 후면의 상하 방향 대략 중앙부로부터 일단 윗쪽으로 상승하고, 지폐 판별부 (30)의 윗쪽을 전방으로 대략 수평으로 나아가 지폐 판별부 (30)의 전면 근방의 윗쪽 위치에 설치된 제1 분기부로서의 지폐 배분 게이트 (50a)에 접속되고 있다.
상기 지폐 배분 게이트 (50a)는 일시 수납부 (40)의 후방 상부의 위치에서 일시 수납부 (40)의 배후면이 되도록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또, 지폐 배분 게이트 (50a)는 지폐 판별부 (30)의 전면보다 후방측에서 지폐 판별부 (30)의 상면보다 윗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실시예 1에서는 지폐 판별부 (30)로부터 볼때 지폐 판별부 (30)의 윗쪽 앞부분의 근방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반송로 (53)은 지폐 배분 게이트 (50a)로부터 사선 앞부분 아래 방향으로 진행하고, 일시 수납부 (40)의 뒤 아래쪽으로 설치된 지폐 배분 게이트 (50b)에 접속되고 있다. 반송로 (54)는 지폐 배분 게이트 (50b)로부터 일시 수납부 (40)까지를 접속하고 있다.
지폐 배분 게이트 (50b)로부터 지폐 집적부 (20c)의 하단까지는 반송로 (55)에 의해 접속되고 있다. 상기 반송로 (55)는 전후방향에 대략 수평으로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지폐 판별부 (30)의 뒷부분으로부터 지폐 집적부 (20c)까지는 반송로 (52, 53, 55)에 의해 접속되고 있다.
지폐 배분 게이트 (50a)로부터 리젝트고 (60)의 앞 상단까지는 반송로 (56)에 의해 접속되고 있다. 이 반송로 (56)은 지폐 배분 게이트 (50a)로부터 후방으로 대략 수평에 연장한 후, 사선 뒤 아래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지폐 입출금구 (20)과 지폐 판별부 (30)을 연결하는 반송로 (51a)의 도중에 설치된 지폐 배분 게이트 (50c)의 하부에는 하부 지폐 기구 (1b)의 지폐의 수수를 행하는 제3 반송로로서의 반송로 (57)이 설치되고 있다. 상기 반송로 (57)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 반송로 (51a)와 반송로(51b)의 사이에는 지폐 배분 게이트 (50j)가 설치되고 상기 지폐 배분게이트 (50j)로부터 지폐 집적부 (20c)를 접속하는 제 4 반송로로서의 반송로 (59)가 설치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지폐 판별부 (30)을 전후 어느쪽 방향으로 반송하고 판별한 지폐라도 지폐 입출금구 (20)의 지폐집적부 (20c)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들의 반송로 가운데 적어도 (51b, 52, 53, 54, 57)은 지폐가 상류에서 하류 및 하류에서 상류의 어느쪽의 방향에서도 반송 가능한 쌍방향 반송로로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해 상류에서 하류로 향하여 입출금구 (20)의 지폐 조출부 (20b), 반송로 (51a, 51b), 지폐 판별부 (30), 반송로 (52), 지폐 배분 게이트 (50a), 반송로 (53), 지폐 배분 게이트 (50b), 반송로 (55, 59), 지폐 집적부 (20c)의 순서 로 접속되고 있다. ·
하부 지폐 기구 (1b)에는 금종별로 지폐를 수납, 재투입하기 위한 리사이클고 (71~74)가 설치되고 또 리사이클에 제공하지 않는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고 (61)이 실장되고 있다. 또 상기 각 리사이클고 (71~74), 수납고 (61)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지폐 기구 (1a) 하부에 설치된 반송로 (57)과 접속하는 쌍방향에 반송 가능한 전후방향에 늘어나는 대략 수평인 반송로 (58)이 설치되고 있다. 또 리사이클고 (71~74), 수납고 (61) 상부에는, 각각 수납해야 할 지폐를 배분하기 위한 지폐 배분 게이트 (50d~50h)가 설치되고 있다.
다음에, 입금 거래 처리시의 지폐 취급 장치 (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폐 입출금구 (20)의 지폐 조출부 (20b)는 입금된 복수매의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해 아래쪽으로 계속 내보낸다. 지폐 조출부 (20b)로부터 아래쪽으로 계속 내보내진 지폐는 반송로 (51a, 51b)에 의해 대략 수평으로 후방으로 반송되고, 지폐 판별부 (30)을 전면에서 후방으로 통과한다. 지폐 판별부 (30)은 내부에 실장되고 있는 센서등에 의해 통과하는 지폐의 진위, 금종 및 손상 상태를 판별한다.
지폐 판별부 (30)을 통과한 지폐는 지폐 판별부 (30)의 후면에서 반송로 (52)에 의해 일단 윗쪽으로 반송되고 또 전방으로 대략 수평으로 반송된다. 상기 반송로 (52)에서 반송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지폐 판별부 (30)에 의한 판별이 완료 함과 동시에, 상기 판별 결과에 의한 지폐 배분 게이트 (50a, 50b)의 절환이 실행된다.
지폐 판별부 (30)에 의해 입고 가능한 지폐라고 판별된 경우는 지폐 배분 게 이트 (50a, 50b)를 일시 수납부 (40)로 향하여 절환하고 반송로 (53, 54)에 의해 지폐를 아래쪽 전방으로 반송하고 상기 지폐를 일시 수납부 (40)내에 집적한다.
지폐 판별부 (30)에 의해 입고 가능한 지폐라고 판별된 경우는 지폐 배분 게이트 (50a, 50b)를 지폐 집적부 (20c)에 향하여 절환하고, 입금 리젝트 지폐로서 지폐 집적부 (20c)에 수납하고 그 후, 도시하지 않는 누름판에 의해 셔터 (20a)하부로 이동한 후, 셔터 (20a)가 열려 이용자에게 반환된다.
이와 같이 해 지폐 입출금구 (20)에 투입된 모든 지폐를 처리하고 입금된 금액과 지폐 취급 장치 (1)의 계수 한 금액이 일치하고, 이용자에 의해 고객 조작부 (105)(도 2 참조)로 입금 거래 확정이 입력되면 일시 수납부 (40)에 일시 수납하고 있던 지폐를 리사이클고 (71~74)로 수납하는 수납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수납 처리에서는 우선 지폐 배분 게이트 (50a, 50b)를 일시 수납부 (40)로부터 지폐 판별부(30)까지를 접속하도록 절환하고 지폐 배분 게이트 (50c)를 지폐 판별부 (30)과 반송로 (57)을 접속하도록 절환한다.
일시 수납부 (40)에 의해 한매씩 계속 내보낸 지폐는 반송로 (54), 지폐 배분 게이트 (50b), 반송로 (53), 지폐 배분 게이트 (50a), 반송로 (52)를 통하여 지폐 판별부 (30)으로 반송된다. 지폐 판별부 (30)을 통과한 지폐는 반송로 (51b, 51a)에 의해 반송되고, 지폐 배분 게이트 (50c)에 의해 반송로 (57)에 반송된다. 지폐는 하부 지폐 기구 (1b)의 반송로 (58)에 의해 반송되어 금종 등에 의해 절환된 지폐 배분 게이트 (50d~50h)로 배분할 수 있고 수납고 (61) 및 리사이클고 (71~74)의 어느 쪽이든 하나에 수납된다.
또 상기 수납 처리 동안 지폐 판별부 (30)에 의해 지폐의 금종 등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에 의해 지폐 배분 게이트 (50d~50h)를 절환하는 구성으로 했을 경우, 지폐를 반송로 (51b, 51a, 57)으로 반송하고 있는 동안에 판별을 완료해 지폐 배분 게이트 (50d~50h)를 절환할 수가 있다.
다음에 출금 거래 처리 시에 지폐 취급 장치 (1)이 실행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출금 거래 처리에서는 각 리사이클고 (71~74)로부터 금종별로 지폐를 한 장씩 소정 매수까지 계속 내보낸다. 계속 내보내진 지폐는 반송로 (58, 57, 51a, 51b)에 의해 지폐 판별부 (30)에 반송된다.
지폐 판별부 (30)은 통과하는 지폐가 출금 가능한 지폐인지 아닌지를 판정 한다.
출금 가능한 지폐이면 지폐 배분 게이트 (50a, 50b)를 지폐 판별부 (30)과 지폐 집적부 (20c)를 접속하도록 절환하여 (52, 53, 55)에 의해 지폐 집적부 (20c)까지 지폐를 반송하고 지폐 집적부 (20c)에 지폐를 집적한다.
출금 불가능한 지폐이면 지폐 배분 게이트 (50a)를 지폐 판별부 (30)과 리젝트고 (60)을 접속하도록 절환하여 지폐를 리젝트고 (60)에 반송한다. 상기 판별과 판별 결과에 의한 지폐 배분 게이트 (50a, 50b)의 절환은 반송로 (52)로 지폐를 반송하고 있는 동안에 완료한다.
이와 같이 행하여 지폐의 반송 동작이 종료하면 지폐 입출금구 (20)의 셔터 (20a)를 열어 지폐 집적부 (20c)에 집적한 지폐를 이용자가 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용자에 의해 지폐가 빼내지면 셔터 (20a)를 닫아 출금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구성과 동작에 의해 소형 대용량화의 요망을 따르는 지폐 취급 장치 (1)을 제공할 수가 있다. 상세히 기술하면 입출금구 (20), 일시 수납부 (40) 및 지폐 판별부 (30)을 전방에서 후방에 이 순서로 일렬로 배치하고 반송로 (51~55)를 이들 지폐 입출금구 (20), 일시 수납부 (40) 및 지폐 판별부 (30)의 주위를 따라 배치했기 때문에 여분의 스페이스를 삭제해 효율적으로 공간을 사용하고 상부 지폐 기구 (1a)를 컴팩트하게 소형화할 수가 있다.
특히, 지폐 판별부 (30)의 바로 뒤의 하류가 되는 반송로 (52)는 지폐 판별부 (30)의 후방 출구에서 윗쪽으로 상승하고, 지폐 판별부 (30)의 상부에서 장치 전방으로 향해 방향을 바꾸어 수납부 (40) 부근에 실장된 지폐 배분 게이트 (50a)와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판별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갖기 위한 반송로를 겸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지폐 판별부 (30)과 일시 수납부 (40)의 사이에 판별 결과 대기 전용의 반송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불필요하지 않은 효율적인 실장이 가능해진다.
또, 지폐 판별부 (30)의 상부에 실장되는 반송로 (52, 56)은, 전후방향에 대략 수평으로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벨트가 실장되는 것만으로 좋고 높이 방향의 실장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지폐 판별부 (30)과 그 상부의 반송로 (52, 56)을 맞추어도 높이 방향의 실장 스페이스를 작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반송로 (52, 56)의 높이 방향의 실장 스페이스를 작게 함으로써 상기 높 이를 지폐입출금구 (20) 이나 일시수납부 (40)와 비교하여도 충분히 낮게 할 수 있고 상부 지폐기구 (1a)에 있는 지폐입출금구 (20), 일시수납구 (40) 및 지폐판별부 (30)의 각 유니트를 대략 수평으로 실장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상부 지폐 기구 (1a)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깊이 방향에 있어서도, 지폐 입출금구 (20), 일시 수납부 (40) 및 지폐 판별부 (30)을 나열하여 실장한 만큼의 스페이스가 있으면 충분하여 지폐 판별부 (30) 후단에서 판별 결과 대기 전용의 반송로를 전후 방향에 설치하는 스페이스가 불필요해져 깊이 방향으로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부 지폐 기구 (1a)하부에는 일반적으로 지폐 수납고(본 실시예에서는 리사이클고 (71~74)가 실장되지만, 일시 수납부 (40)으로의 반송 루트를 지폐 판별부 (30) 뒷부분에서 윗쪽으로 올려 지폐 판별부 (30) 윗쪽을 통과하여 일시 수납부 (40)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반송 루트가 일시 수납부 (40)으로부터 상부 지폐 기구 (1a) 하부의 리사이클고 (71~74)로의 반송 루트와 교착하는 경우가 없고, 보다 효율적인 실장이 가능해진다.
또, 반송로 (59)에 의해 일시 수납부 (40)에 집적된 지폐를 지폐 판별부 (30)에 반송하고 판별한 후에 지폐 입출금구 (20)에 반환할 수가 있다. 또 반송로 (59)에 의해 입금 거래시에 거래의 도중 취소 등이 발생한 경우 등으로 일시 수납부 (40)에 집적한 지폐를 반환하는 경우에 반환 지폐를 계수해 반환할 수 있다. 또 반송로 (59)에 의해 일시 수납부 (40)으로부터 계속 내보낸 지폐를 직접 지폐 입출금구 (20)에 반송하기 위해서 별도의 반송 루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일시 수납부 (40)으로부터 계속 내보내는 지폐는 지폐 수납 동작 등에서 반송로 (54, 53, 52)를 통해 지폐 판별부 (30)으로 반송하는 동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시 수납부 (40)으로부터 계속 내보낸 직후에 지폐 입출금구 (20)측과 반송로 (54) 측에 절환하는 것은 구조상 곤란하지만, 상기와 같이 반송로 (51b)의 도중에 지폐 입출금구 (20)의 지폐 집적부 (20c)에 연결되는 반송로 (59)를 설치하는 것으로, 지폐 입출금구 (20)에 반송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상부 지폐 기구 (1a)의 상하 방향의 높이를 작게 하는 것으로 지폐 취급 장치 (1) 전체의 높이는 종래대로 수납고 (61)이나 리사이클고 (71~74)의 높이를 높게 할 수가 있고 수납고 (61)이나 리사이클고 (71~74)의 지폐 수납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지폐 배분 게이트 (50a)의 끝에 리젝트고 (60)을 설치함으로써 지폐 판별부 (30)에서의 판별로 필요한 거리를 반송로 (52)로 마련한 후에 지폐를 리젝트고 (60)으로 반송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반송로 (51a)를 앞부분에서 후방으로 한 방향 반송로에서 구성되고 있지만, 상기 반송로 (51a)를 쌍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반송로에서 실현되어도 괜찮다. 이것에 의해, 반송로 (51a, 51b)등으로 체류 한 지폐 등을 반송로 (51a, 51b)등을 역전함으로써 지폐 입출금구 (20)으로 반환 가능해진다. 특히, 지폐 판별부 (30)내의 반송로는 판별용 센서의 성능상 반송로의 두께를 좁게 해 둘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지폐가 지폐 판별부 (30)과 지폐 입출금구 (20)의 사이에 체류한 경우 지폐 판별부 (30)을 경유해 지폐를 입출금구에 반환하는 것보 다도 반송로 (51a, 51b)를 역전시켜 직접 지폐 입출금구 (20)에 반환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지폐를 지폐 입출금구 (20)에 반환 가능해진다. 지폐 입출금구 (20)에 되돌린 지폐를 상면의 셔터 (20a)를 열어 이용자에게 반환해 재투입 받는 것으로 지폐 취급 장치 (1)은 거래를 계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실시예 1에서는 반송로 (51a)의 도중에, 하부 지폐 기구 (1b)로의반송로 (57)과 접속하는 지폐 배분 게이트 (50c)를 설치하고 있지만 상기 지폐 배분 게이트 (50c)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거나 혹은 복수의 지폐 배분 게이트 (50c)를 설치하여 복수개소에서 분기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현금자동 거래장치 (101) 등의 장치로의 실장의 경우에서 하부지폐 기구 (1b)에 대해서 상부 지폐 기구 (1a)의 실장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빗겨 놓을 필요가 생긴 경우 지폐 배분 게이트 (50c)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는 상부 지폐 기구 (1a)를 도 4로 나타낸 실장 상태보다 전방으로 빗겨 놓은 예를 나타내고, 도 6은, 상부 지폐 기구 (1a)를 후방으로 빗겨 놓은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많은 실시의 형태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소형 대용량화의 요망을 따르는 지폐 취급 장치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16)

  1. 지폐취급장치로서,
    투입된 지폐를 계속 내보내는 지폐 조출부와 방출하는 지폐를 집적하는 지폐 집적부를 가지는 지폐 입출금부와,
    지폐를 판별하는 지폐 판별부와,
    지폐를 일시 집적 보관하기 위한 일시 수납부와,
    지폐를 수납해 재분리하는 지폐 수납부와,
    상기 지폐 조출부의 아래쪽으로부터 상기 지폐 판별부의 앞쪽까지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제1 반송로와,
    상기 지폐 판별부의 뒤쪽으로부터 일단 윗쪽으로 올라 상기 일시 수납부까지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제2 반송로와,
    상기 지폐 판별부의 뒤쪽으로부터 상기 제2 반송로로 나아가 최초로 반송처를 배분하는 제1 분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폐 입출금부의 뒤쪽에 상기 일시 수납부를 배치하고,
    상기 일시 수납부의 뒤쪽에 상기 지폐 판별부를 배치하고,
    상기 제 1 분기부를 상기 일시 수납부의 뒤쪽 상부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2. 청구항 1 기재의 지폐 취급 장치로서,
    상기 제2 반송로에서 상기 지폐 판별부로부터 상기 제1 분기부까지의 사이를, 상기 지폐 판별부의 뒷부분에서 윗쪽으로 상승하고 상기 지폐 판별부의 상면을 따라 상기 지폐 판별부의 앞부분으로 향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3. 청구항 1 기재의 지폐 취급 장치는 또한,
    상기 제1 반송로의 도중에서 상기 수납부로 향하여 반송 방향을 절환하는 제2 분기부와,
    상기 제 2 분기부로부터 상기 지폐 수납부까지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제3 반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송로의 적어도 상기 지폐 판별부로부터 상기 제2 분기부까지의 사이와,
    상기 제2 반송로의 적어도 상기 일시 수납부로부터 상기 지폐 판별부까지의 사이와,
    상기 제3 반송로를 어느 것이나 쌍방향으로 반송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4. 청구항 2 기재의 지폐 취급 장치는 또한,
    상기 제1 반송로의 도중에서 상기 수납부에 향하여 반송 방향을 절환하는 제2 분기부와,
    상기 제 2 분기부로부터 상기 지폐 수납부까지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제3 반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송로의 적어도 상기 지폐 판별부로부터 상기 제2 분기부까지의 사이와,
    상기 제2 반송로의 적어도 상기 일시 수납부로부터 상기 지폐 판별부까지의 사이와,
    상기 제3 반송로를 어느 것이나 쌍방향으로 반송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5. 청구항 1 기재의 지폐 취급 장치는 또한,
    상기 지폐 판별부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지폐 집적부까지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제4 반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일시 수납부로부터 계속 내보낸 지폐를 상기 지폐 판별부에서 판별하여 상기 지폐 집적부에 반송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6. 청구항 2 기재의 지폐 취급 장치는 또한,
    상기 지폐 판별부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지폐 집적부까지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제4 반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일시 수납부로부터 계속 내보낸 지폐를 상기 지폐 판별부에서 판별하여 상기 지폐 집적부에 반송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7. 청구항 3 기재의 지폐 취급 장치는 또한,
    상기 지폐 판별부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지폐 집적부까지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제4 반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일시 수납부로부터 계속 내보낸 지폐를 상기 지폐 판별부에서 판별하여 상기 지폐 집적부에 반송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8. 청구항 1 기재의 지폐 취급 장치는 또한,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리젝트고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분기부를, 상기 제2 반송로에서 상기 지폐 판별부로부터의 반송 방향을 상기 일시 수납부와 상기 리젝트고로 절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9. 청구항 2 기재의 지폐 취급 장치는 또한,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리젝트고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분기부를 상기 제2 반송로에서 상기 지폐 판별부로부터의 반송 방향을 상기 일시 수납부와 상기 리젝트고로 절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10. 청구항 3 기재의 지폐 취급 장치는 또한,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리젝트고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분기부를 상기 제2 반송로에서 상기 지폐 판별부로부터의 반송 방향을 상기 일시 수납부와 상기 리젝트고로 절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11. 청구항 5 기재의 지폐 취급 장치으로서,
    상기 제2 반송로를 상기 지폐 판별부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지폐 집적부로 지폐를 반송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12. 청구항 6 기재의 지폐 취급 장치로서,
    상기 제2 반송로를 상기 지폐 판별부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지폐 집적부에 지폐를 반송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13. 청구항 7 기재의 지폐 취급 장치로서,
    상기 제2 반송로를 상기 지폐 판별부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지폐 집적부에 지폐를 반송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14. 청구항 1 기재의 지폐 취급 장치로서,
    상기 제1 반송로를 상기 지폐 조출부로부터 상기 지폐 판별부까지의 사이 전체에 쌍방향으로 반송 가능하게 구성한다.
  15. 청구항 2 기재의 지폐 취급 장치로서,
    상기 제1 반송로를 상기 지폐 추출부로부터 상기 지폐 판별부까지의 사이 전체에 쌍방향으로 반송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16. 청구항 3 기재의 지폐 취급 장치로서,
    상기 제1 반송로를 상기 지폐 조출부로부터 상기 지폐 판별부까지의 사이 전체에 쌍방향으로 반송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KR1020070113788A 2006-11-09 2007-11-08 지폐 취급 장치 KR100940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03496A JP5089138B2 (ja) 2006-11-09 2006-11-09 紙幣取扱装置
JPJP-P-2006-00303496 2006-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725A true KR20080042725A (ko) 2008-05-15
KR100940533B1 KR100940533B1 (ko) 2010-02-10

Family

ID=3892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788A KR100940533B1 (ko) 2006-11-09 2007-11-08 지폐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80076B2 (ko)
EP (1) EP1921585B1 (ko)
JP (1) JP5089138B2 (ko)
KR (1) KR100940533B1 (ko)
CN (1) CN100576263C (ko)
AT (1) ATE542203T1 (ko)
TW (1) TW2008449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06B1 (ko) * 2009-04-16 2011-09-28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처리 장치
KR101231691B1 (ko) * 2010-08-27 2013-02-08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취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4268B2 (ja) * 2008-05-28 2011-03-1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JP5212090B2 (ja) * 2008-12-25 2013-06-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JP2010231262A (ja) * 2009-03-25 2010-10-14 Fujitsu Frontech Ltd 紙葉取扱装置
JP5284843B2 (ja) * 2009-03-27 2013-09-11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5384278B2 (ja) * 2009-10-05 2014-01-0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CN102044107B (zh) * 2009-10-20 2012-02-29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可换向的纸币传输通道装置
JP5410932B2 (ja) * 2009-11-25 2014-02-0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KR101398364B1 (ko) * 2010-04-30 2014-05-23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2066730A1 (ja) * 2010-11-19 2012-05-2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JP5622199B2 (ja) * 2011-02-01 2014-11-1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5870008B2 (ja) * 2012-11-21 2016-02-2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KR101678981B1 (ko) * 2015-07-03 2016-12-0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US9646465B2 (en) * 2015-10-12 2017-05-09 Diebold Self-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escrow
GB2560315A (en) * 2017-03-06 2018-09-12 Innovative Tech Ltd A safe condui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0594A (ja) * 1982-09-29 1984-04-06 富士通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S6395595A (ja) * 1986-10-13 1988-04-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JP2752087B2 (ja) * 1988-06-30 1998-05-18 株式会社東芝 自動取引装置
JP2614312B2 (ja) * 1989-04-27 1997-05-2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金入出金装置
JP2731649B2 (ja) * 1991-11-28 1998-03-25 甲府日本電気株式会社 紙葉類搬送装置
US5422467A (en) * 1993-01-15 1995-06-06 Interbold Article depositing apparatus
EP0714078B2 (en) * 1994-05-20 2010-01-27 Fujitsu Limited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and paper sheet transacting apparatus
JPH08221639A (ja) * 1995-02-09 1996-08-30 Hitachi Ltd 紙幣自動取扱い装置
JP3418896B2 (ja) * 1996-01-31 2003-06-23 オムロン株式会社 紙葉類収納繰出し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JPH09208134A (ja) * 1996-02-01 1997-08-12 Omron Corp 紙幣処理装置および取引処理装置
JP3977982B2 (ja) * 2000-05-19 2007-09-1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収納放出庫及び紙幣入出金機
JP2003208654A (ja) * 2002-01-16 2003-07-25 Hitachi Ltd 紙幣入出金機
JP3986855B2 (ja) * 2002-03-18 2007-10-0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JP4200048B2 (ja) * 2003-06-03 2008-12-2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収納放出装置
JP4346474B2 (ja) 2004-03-02 2009-10-2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US7870997B2 (en) * 2005-07-01 2011-01-18 Diebold Self-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ATM that can center different sized cash stacks in a cash outlet opening
JP2007062918A (ja) * 2005-08-31 2007-03-15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堆積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06B1 (ko) * 2009-04-16 2011-09-28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처리 장치
KR101231691B1 (ko) * 2010-08-27 2013-02-08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취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21722A1 (en) 2008-05-29
US7780076B2 (en) 2010-08-24
TW200844906A (en) 2008-11-16
ATE542203T1 (de) 2012-02-15
EP1921585A2 (en) 2008-05-14
CN101178820A (zh) 2008-05-14
JP5089138B2 (ja) 2012-12-05
EP1921585B1 (en) 2012-01-18
KR100940533B1 (ko) 2010-02-10
TWI354244B (ko) 2011-12-11
JP2008123072A (ja) 2008-05-29
EP1921585A3 (en) 2009-03-04
CN100576263C (zh)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533B1 (ko) 지폐 취급 장치
JP5178146B2 (ja) 紙幣取扱装置
KR100323491B1 (ko) 지폐류 취급장치의 일시보관고
KR101077194B1 (ko) 지폐 취급 장치
US20130140133A1 (en) Bill handling apparatus
WO2016038963A1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2005208954A (ja) 紙幣入出金装置
JP2004310653A (ja) 現金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運用方法
JP3986855B2 (ja) 紙幣入出金機
JP2013238944A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4932298B2 (ja) 紙幣入出金機
KR100852408B1 (ko) 페이퍼 처리 장치
JP5922216B2 (ja) 紙幣取扱装置
JP3418896B2 (ja) 紙葉類収納繰出し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JP2004280226A (ja) 現金自動取扱装置
JP5674987B2 (ja) 紙幣取扱装置
JPH09208134A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取引処理装置
JP5670596B2 (ja) 紙幣取扱装置
JP5501485B2 (ja) 紙幣取扱装置
KR100372586B1 (ko) 지폐 입출금기
JPH05324982A (ja) 紙幣処理装置
WO2018025308A1 (ja) 紙幣取扱装置
JP5610555B2 (ja) 紙幣取扱装置
JP2002373358A (ja) 紙幣処理機
JP2013242930A (ja) 紙幣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