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9263A - 공기 제균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제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9263A
KR20080039263A KR1020070108742A KR20070108742A KR20080039263A KR 20080039263 A KR20080039263 A KR 20080039263A KR 1020070108742 A KR1020070108742 A KR 1020070108742A KR 20070108742 A KR20070108742 A KR 20070108742A KR 20080039263 A KR20080039263 A KR 20080039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gas
liquid contact
contac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3476B1 (ko
Inventor
요오이찌 우찌다
히로아끼 우스이
노부히로 오구라
도오루 아라까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935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1099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9345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1099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936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109983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2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using wet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전해수를 생성해서 기액 접촉 부재에 침윤시키고, 송풍 팬에 의해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기를 보냄으로써 당해 공기를 제균하는 공기 제균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내에, 상기 전해수를 배출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수를 받아 저류하는 배수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 탱크는 세로로 긴 탱크 본체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출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전해수, 기액 접촉 부재, 송풍 팬, 배수관, 배수 탱크

Description

공기 제균 장치 {AIR STERILIZING DEVICE}
본 발명은, 세균, 바이러스, 진균류 등의 공중 부유 미생물(이하, 단순히 「바이러스 등」이라고 한다)의 제거가 가능한 공기 제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돗물을 전기 분해해서 전해수를 생성시키고, 이 전해수를 이용해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바이러스 등의 제거를 꾀한 제균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O2-181358호 공보). 이 제균 장치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습 엘리먼트에 전해수를 공급하고, 가습 엘리먼트 상에서 공기 중의 바이러스 등을 전해수에 접촉시켜, 바이러스 등을 비활성화함으로써, 공기를 제균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제균 장치 등에 있어서는, 가습 엘리먼트에 공급된 전해수는, 그대로 배출되는 경우도 있고, 순환해서 이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중 어느 경우나, 전해수를 적절한 타이밍에서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공기 중의 악취 성분 등이 용해된 물을 새로운 물로 교환함으로써, 높은 제균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이유에 의한다. 상기 종래의 제균 장치 등은, 장시간에 걸쳐서 고빈도로 사용되는 것이 생각되기 때문에, 전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유저의 조작은, 간단하고 간편한 것이 요망된다.
또한, 이런 종류의 제균 장치에서는, 가습 엘리먼트에의 송풍(통풍)량의 분포에 불균일이 생겨 버려, 제균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나, 지역에 따라서 수돗물의 수질이 다른 것으로부터, 생성된 전해수에 포함되는 활성 산소종의 농도가 다른 경우가 있어, 전기 분해시에 소정 농도의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목적은, 전해수를 이용한 공기 제균 장치에 있어서, 전해수를 간편하게 배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해수를 이용한 공기 제균 장치에 있어서, 가습 엘리먼트(기액 접촉 부재)에의 송풍량의 분포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제균능력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해수를 이용한 공기 제균 장치에 있어서, 전기 분해시의 통전 상태를 물의 수질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해수를 생성해서 기액 접촉 부재에 침윤시켜, 송풍 팬에 의해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기를 보냄으로써 당해 공기를 제균하는 공기 제균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내에, 상기 전해수를 배출하는 배수 관과,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수를 받아 저류하는 배수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 탱크는 세로로 긴 탱크 본체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출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액 접촉 부재에 침윤된 전해수를 배수관으로부터 배수 탱크에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배수 탱크는 세로로 긴 탱크 본체를 가지고 있고, 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수 탱크를 간편하게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배수 탱크에 고인 물을 간단하게 버릴 수 있다. 또한, 배수 탱크의 탱크 본체가 세로로 길기 때문에, 케이스 내부의 간극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설계 자유도를 해치지 않고서, 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꺼내기 쉬운 위치에 배수 탱크를 배치하여, 배수에 따른 작업을 간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공기 제균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수 탱크는, 회전운동 가능하게 상기 탱크 본체에 장착된 파지부를 구비하고, 그 회전운동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적어도 상기 탱크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위치와 상기 탱크 본체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수 탱크의 파지부가, 탱크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위치와 상방으로 돌출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배수 탱크가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파지부를 탱크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시켜 두면, 이 파지부를 쥐고 배수 탱크를 케이스 전면으로부터 꺼내는 등, 출납이 보다 간단해지고, 또한, 케이스 내부에 있어서의 수용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수 탱크를 케이스 로부터 꺼낸 상태에서는, 파지부를 상방으로 돌출한 위치로 이동시키면, 이 파지부를 손에 쥐고 배수 탱크를 취급할 수 있어, 취급이 보다 용이해진다. 따라서, 케이스 내에 있어서의 배수 탱크의 수납을 해치지 않고서, 취급이 간단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에는, 상기 탱크 본체 내의 물을 배출 가능한 배수구를 가지는 뚜껑이 부착되고, 상기 파지부는, 그 회전운동 범위의 일단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배수구를 막는 폐색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수 탱크에는 배수구를 가지는 뚜껑이 부착되고, 이 배수구가, 물탱크의 파지부를 구비하는 폐색부에 의해 막히므로, 예를 들면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 등, 물의 배출을 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배수구를 막음으로써 배수 탱크로부터의 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파지부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배수 탱크로부터의 물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배수에 따른 작업의 간편함을 해치지 않고서, 배수 탱크로부터의 의도하지 않은 물의 유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유하하는 물을 받아 상기 탱크 본체 내로 유도하는 배수받이가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수관으로부터의 물을 탱크 본체 내로 유도하는 배수받이를 뚜껑에 형성함으로써, 부재를 증가시키지 않고서, 케이스 내에 있어서의 누수 및 물 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 내의 수위에 따라서 변위하는 변위 부재와, 상기 변위 부재의 변위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탱크 본체 내의 수위를 검지할 수 있으므로, 배수 탱크로부터의 물 넘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위 부재는, 상기 탱크 본체 내의 물에 떠오르는 플로트부와, 이 플로트와 일체로 되어 변위하는 마그넷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뚜껑으로의 상기 마그넷부의 접근을 검지하는 것이며,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마그넷부의 접근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탱크 본체 내의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장의 우려가 극히 낮은 심플한 구성에 의해, 탱크 본체 내의 수위가 소정 레벨 이상으로 상승한 것을 확실히 검지할 수 있으므로, 배수 탱크로부터의 물 넘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본체 내의 수위의 상승을 검지한 경우에, 유저에 대해서 물의 배출을 안내하므로, 유저가 배수 탱크의 수위를 염려하지 않고서 공기 제균 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 관리에 따른 부담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순환 공급하는 전해수 순환부로부터 분기해서 전해수를 배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전해수를 순환시켜 사용하는 공기 제균 장치에 있어서, 전해수를 적당히 배출하고 새로운 물로 바꿔 넣음으로써 높은 제균 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가 능해지는데다가, 이 전해수를 버리는 작업은 극히 간단하다. 따라서, 높은 제균 효과를 유지 가능한 공기 제균 장치를, 유저의 부담을 늘리지 않고서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케이스 내에 세워 설치된 기액 접촉 부재와, 이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급되는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 유닛과,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팬을 구비하는 공기 제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송풍 팬으로부터 뿜어져 나온 공기를 상기 기액 접촉 부재로 유도하는 풍로를 형성하고, 이 풍로에는,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상기 송풍 팬으로부터 먼 측에 있어서의 통풍량을 억제하는 억제 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풍로에 배치된 억제 부재에 의해, 기액 접촉 부재의 송풍 팬으로부터 먼 측에 있어서의 통풍량을 억제함으로써, 이 기액 접촉 부재의 송풍 팬으로부터 가까운 측의 통풍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액 접촉 부재에 있어서의 통풍량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액 접촉 부재에 거의 균일하게 공기를 내뿜을 수 있기 때문에, 이 기액 접촉 부재의 제균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풍로는,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하방에 배치된 상기 송풍 팬으로부터 상방으로 뿜어져 나온 공기를 당해 기액 접촉 부재로 유도하는 것이며, 상기 억제 부재는, 상기 풍로에 있어서의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상부의 통풍량을 억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억제 부재에 의해, 기액 접촉 부재의 상부에 있어서의 통풍량을 억제함으로써, 이 기액 접촉 부재의 하부의 통풍 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액 접촉 부재에 있어서의 통풍량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액 접촉 부재에 거의 균일하게 공기를 내뿜을 수 있기 때문에, 이 기액 접촉 부재의 제균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억제 부재는, 상기 풍로의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상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액 접촉 부재의 상부에 있어서의 통풍량을 억제함으로써, 이 기액 접촉 부재의 하부의 통풍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액 접촉 부재에 있어서의 통풍량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억제 부재는,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상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분류판과, 이 제1 분류판보다 하방에 배치된 제2 분류판을 구비하고, 이들 제1 및 제2 분류판은, 각각 상기 기액 접촉 부재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공기 제균 장치는, 공기의 흡입구 및 분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분출구로 향하는 공기의 송풍 경로를 케이스 내에 형성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송부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를 제균하는 공기 제균부와,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가지고, 소정의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부와, 상기 전극 간의 통전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케이스 내에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전극 간의 통전 상태를 변경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을 설치하고, 이 조작 수단을,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는 전장 상자에 형성한 구 멍으로부터 상기 전장 상자의 외측에 노출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풍기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분출구로 향하는 송풍 경로가 케이스 내에 형성된다. 송풍 경로 상에 배치되는 공기 제균부에 있어서, 송풍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전해수에 의해 제균된다. 전해수 생성부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가지고, 소정의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해수를 생성한다. 이 전해수 생성부가 가지는 전극 간의 통전 상태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이 때의, 통전 상태를 변경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이 제어부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수단은, 제어부를 수용하는 전장 상자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전장 상자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장 상자를 열지 않고서 간이하게 전기 분해시의 통전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장 상자는 케이스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유저 등에 의해 부주의하게 전극 간의 통전 상태가 변경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공기 제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전극 간의 통전 상태를 미리 설정된 복수 단계의 통전 상태로 단계적으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 조작함으로써 유저 등은 간이하게 미리 설정된 복수 단계의 통전 상태로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제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탈거 가능한 외장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외장 패널을 탈거했을 때에, 상기 조작 수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장 상자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장 패널을 탈거하면, 조작 수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장 상자가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외장 패널을 탈거함으로써 간이하게 조작 수단을 조작해서 전극 간의 통전 상태를 변경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외장 패널을 부착함으로써, 조작 수단이 형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유저 등에 의해 부주의하게 전극 간의 통전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제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장 상자에는, 전장 상자의 외부로 돌출하는 차양부가 설치되고, 이 차양부의 하방에 상기 조작 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장 상자에는, 전장 상자의 외부로 돌출하는 차양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하방에 조작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수단은, 전장 상자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전장 상자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차양부에 의해 이 구멍 내부에 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제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전극에의 공급 전력량을 변경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전극 간의 통전 시간을 변경 조작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치를 변경 조작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해수를 이용한 공기 제균 장치에 있어서, 전해수를 간편하게 배수할 수 있고, 또한 가습 엘리먼트(기액 접촉 부재)에의 송풍량의 분포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제균능력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전기 분해시의 통전 상태를 물의 수질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의 형태에 따른 공기 제균 장치(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제균 장치(1)는 세로로 길게(예를 들면 대략 직방체 형상) 형성된 상자 형태의 케이스(11)를 가지고, 예를 들면 스탠드형으로 설치된다. 케이스(11)에는, 이 케이스(11)의 양측면의 하부에, 당해 케이스(11) 내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2)가 형성되어 있고, 이 흡입구(12)에는, 예를 들면 긴 날개판을 수평 방향으로 복수 평행하게 배치한 흡입 그릴(12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1)의 전면의 하단부에는 흡입구(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1)의 상면에는 분출구(13)가 형성되고, 이 분출구(13)에는 공기가 뿜어져 나오는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루버(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루버(20)는, 운전 정지시에는 상기 분출구(13)를 폐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기 제균 장치(1)는, 흡입구(12) 및 흡입구(15)를 통해 설치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균하고, 이 제균된 공기를 분출구(13)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청정화시키는 장치이다.
케이스(11)의 상면에는, 분출구(13)의 전면측에 배치된 조작 뚜껑(개폐 뚜 껑)(16A)과, 이 조작 뚜껑(16A)에 가로배열(예를 들면, 정면에서 봐서 우측방)로 배치된 탱크용 개폐 뚜껑(14A)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뚜껑(16A)을 열면, 공기 제균 장치(1)의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 패널(16)(도2)이 노출되고, 탱크용 개폐 뚜껑(14A)을 열면, 탱크 취출구(14)를 통해 후술하는 급수 탱크(41)(도2)를 출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 패널(16)은, 예를 들면 분출구(13)와 평행하게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1)의 양측면의 상부에는 각각 파지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파지부(17)는 케이스(11)를 소지할 때에 손을 걸기 위한 오목부이며, 운반시에 공기 제균 장치(1)를 혼자서 들어올려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1)의 전면(정면, 일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상측 전면 패널(18)(외장 패널) 및 하측 전면 패널(19)이 각각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들 상측 전면 패널(18) 및 하측 전면 패널(19)을 탈거하면 케이스(11)의 내부 구성이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측 전면 패널(19)은, 이 하측 전면 패널(19)의 하단부에, 케이스(11)의 배면측을 향해 만곡한 원호부(19A)를 구비하고, 이 원호부(19A)에 상기 흡입구(15)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공기 제균 장치(1)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케이스(11)에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케이스(11)의 내부를 칸막이하는 지지판(칸막이 판)(21)이 설치되어, 상측실(22)과 하측실(23)로 구분되어 있다. 이 하측실(23)에는, 예를 들면, 정면에서 봐서 케이스(11)의 좌측에, 송풍 팬(31) 및 팬 모터(32)를 구비하는 송풍기(33)이 배치됨과 함께, 칸막이 판(24)을 통해, 핸들(파지부)(62)을 가지는 배수 탱크(6)가 케이스(11)의 전면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들 송풍기(33)[송풍 팬(31) 및 팬 모터(32)]와 배수 탱크(6)는 가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송풍 팬(31)와 흡입구(15)의 사이, 즉, 하측실(23)에 있어서의 하측 전면 패널(19)(도1)과 대향하는 위치에 프리 필터(34)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프리 필터(34)는, 흡입구(12) 및 흡입구(15)를 통해서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 등 입경이 큰 것을 포집하는 제1 필터(25)와, 이 제1 필터(25)를 통과하는, 예를 들면 입경 10(㎛) 이상의 것을 포집하는 제2 필터(2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프리 필터(34)에 의해 공기 중에 부유하는 꽃가루나 먼지 등이 제거되고, 이 제거된 공기가 송풍 팬(31)을 통해 상측실(22)에 공급된다.
한편, 상측실(22)에는, 송풍기(33)(송풍 팬(31) 및 팬 모터(32))의 상방에 전장 상자(39)가 배치되고, 이 전장 상자(39)의 상방에 기액 접촉 부재(53)가 세워 설치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기액 접촉 부재(53)와 전장 상자(39)의 사이에는, 기액 접촉 부재(53)로부터 적하한 물을 받는 물받이 접시(42)가 배치되어 있다. 이 물받이 접시(42)는, 깊은 바닥에 형성된 저류부(42A)를 구비하고, 이 저류부(42A)는 상기 배수 탱크(6)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장 상자(39)에는, 공기 제균 장치(1)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각종 디바이스가 실장된 제어 기판이나, 팬 모터(32)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 등의 각종 전장 부품이 수용되어 있다.
저류부(42A) 위에는, 전해수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수돗물 등을 저장 하기 위한 급수 탱크(41)가 배치되고, 이 급수 탱크(41)로부터 저류부(42A)에 물을 공급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급수 탱크(41)의 하단에 형성된 급수구에는 플로트 밸브가 설치되어, 저류부(42A)의 수면이 급수구보다 아래로 되면, 이 플로트 밸브가 개방됨으로써, 급수 탱크(41)로부터 필요량의 물이 공급되어, 저류부(42A)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저류부(42A) 위에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액 접촉 부재(53)에 공급하는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 유닛(45)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전해수 생성 유닛(45)은, 순환 펌프(44)와 전해조(46)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순환 펌프(44)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회전수를 변경함으로써, 순환량을 변경 가능하게 동작한다. 순환 펌프(44)의 토출구에는, 저류부(42A)에 저류된 물을 퍼 올려 기액 접촉 부재(53)에 공급하는 공급관(71)이 접속되고, 이 공급관(71)에는 순환 펌프(44)와 기액 접촉 부재(53)의 사이에서 분기하는 분기관(72)를 통해 전해조(46)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전해조(4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전극을 내장하고, 이들 전극 간에,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물을 전해해서 전해수를 생성한다. 전해조(46)의 상면에는, 이 전해조(46)에서 생성한 전해수를 배출하는 배출구(46A)가 형성되고, 이 배출구(46A)에는 전해수를 저류부(42A)에 반송하는 반송관(73)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저류부(42A) 위에는, 이 저류부(42A)의 입구 부분에 당해 저류부(42A)에 흘러드는 물에 혼입되는 고형물을 포집하는 필터 부재(74)가 배치되어 있다. 이 필터 부재(74)는, 기액 접촉 부재(53)로부터 흘러 떨어진 물에 포함되는 고형 물(불용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상기 반송관(73)이 필터 부재(74)의 상방에 배치되어, 이 반송관(73)으로부터 배출된 물은 필터 부재(74)를 통해 물받이 접시(42)의 저류부(42A)에 유입된다. 이 필터 부재(74)에 의해, 물받이 접시(42)를 통해 기액 접촉 부재(53)와 전해수 생성 유닛(45)을 순환되는 물에 포함되는 고형물(예를 들면, 전해조(46)로부터 배출된 스케일 등)이 포집되기 때문에, 이 고형물이 기액 접촉 부재(53)에 유입되어, 이 기액 접촉 부재(53)의 눈막힘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필터 부재(74)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물받이 접시(42)의 저류부(42A)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 부재(74)의 교환 시기를 눈으로 봐서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 필터 부재(74)를 교환하는 경우, 저류부(42A)의 입구 부분에 배치된 필터 부재(74)를 손가락으로 탈거하여 교환하면 되기 때문에,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 메인터넌스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물받이 접시(42)와, 전해수 생성 유닛(45)(순환 펌프(44) 및 전해조(46))과, 기액 접촉 부재(53)를 구비하여, 이들 기기 사이에 전해수를 순환시키는 전해수 순환부(2)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물받이 접시(42)에 저류된 물을 적당히 배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류부(42A)의 하부에는 배수관(55)(도8a)이 연결됨과 함께, 이 배수관(55)을 개폐시키는 배수 밸브(56)(도8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관(55)의 선단은, 상기 배수 탱크(6)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배수 밸브(56)를 개방함으로써, 물받이 접시(42) 상의 물이 배수 탱크(6)로 배출된 다.
기액 접촉 부재(53)는, 후술하는 송풍 경로를 통해 기액 접촉면(53A)에 공급되는 공기에 전해수를 접촉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이 기액 접촉 부재(53)에 있어서 케이스(11) 내에 흡입된 공기가 소정의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에 접촉함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되는 바이러스 등이 비활화되는 것 등에 의해, 공기의 제균이 행해진다.
기액 접촉 부재(53)의 상부에는, 이 기액 접촉 부재(53) 상에 균일하게 전해수를 분산시키기 위한 살수 박스(51)가 조립되어 있다. 이 살수 박스(51)는, 전해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트레이 부재를 구비하고, 이 트레이 부재의 측면에 복수의 살수 구멍(도시 생략)이 개구되고, 이 살수 구멍으로부터 기액 접촉 부재(53)에 대해서 전해수를 적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53)는, 벌집 구조를 가진 필터 부재(여과재)이다. 상세하게는, 기액 접촉 부재(53)는, 기체에 접촉하는 엘리먼트부를 프레임에 의해 지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엘리먼트부는, 물결판 모양의 파형판 부재와 평판 모양의 평판 부재가 적층되어 구성되고, 이들 파형판 부재와 평판 부재의 사이에 대략 삼각형상의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먼트부에 공기를 통과시킬 때의 기체 접촉 면적이 넓게 확보되어, 전해수 적하가 가능하고, 눈막힘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53)의 상면에는, 살수 박스(51)로부터 적하되는 전해수를 엘리먼트부에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서, 분류 시트(도시 생략)가 배치되 어 있다. 이 분류 시트는, 액체의 침투성을 가지는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직물, 부직포 등)이며, 기액 접촉 부재(53)의 두께 방향 단면을 따라 하나 또는 복수 설치된다.
여기서, 기액 접촉 부재(53)의 각 부(프레임, 엘리먼트부, 및 분류 시트를 포함한다)에는, 전해수에 의한 열화가 적은 소재,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염화 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PTFE, PFA, ETFE 등) 또는 세라믹스계 재료 등의 소재가 사용되고, 본 구성에서는, PET수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53)의 각 부에는 친수성 처리가 실시되어, 전해수에 대한 친화성이 높아져 있고, 이것에 의해, 기액 접촉 부재(53)의 전해수의 보수성(습윤성)이 유지되어, 후술하는 활성 산소종(활성 산소 물질)과 실내 공기의 접촉이 장시간 지속된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53)에는 곰팡이 방지 작용을 가지는 전해수가 적하되기 때문에, 기액 접촉 부재(53)에 곰팡이 방지 대책(곰팡이 방지제의 도포 등)을 실시하지 않아도, 곰팡이의 번식 등을 피할 수 있다.
다음에, 공기 제균 장치(1)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전술과 같이, 케이스(11)의 하측실(23)에는 송풍 팬(3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송풍 팬의 송풍구(31A)는,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배면측 부분에 있어서 상향으로 설치되고, 지지판(21)에는, 송풍구(31A)와 겹쳐지는 위치에 있어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판(21)의 개구는, 상측실(22)의 배면측에 있어서 상하로 연장되는 풍로(송풍 경로)로서의 공간(배면측 공간)(1A)에 연이어 통한다. 이 때문에, 송풍 팬(31)의 송풍구(31A)로부터 뿜어져 나온 공기는, 도4중에 화살표로 가리키는 바와 같이 공간(1A)을 통과하여, 기액 접촉 부재(53)의 배면에 내뿜어진다.
본 구성에서는,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간(1A)은, 케이스(11)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제1 도풍 부재(81)와, 이 제1 도풍 부재(81)에 대향 배치되어, 지지판(21)으로부터 물받이 접시(42)까지 연장되는 도풍판(84)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공간(1A)의 하방, 즉 지지판(21)의 개구의 가장자리에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개구(송풍 팬(31)의 송풍구(31A))로부터 뿜어져 나온 공기를 공간(1A)의 폭 방향(도5중 X방향)으로 넓히는 한 쌍의 풍향판(85, 85)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도풍 부재(81)는,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부(81A)와, 이 배면부(81A)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측면부(81B, 81C)와, 상기 배면부(81A)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상면부(81D)를 구비한다. 이 상면부(81D)는, 상기 측면부(81B, 81C)의 상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도풍 부재(81)는 전면부와 하면부를 개방해서 대략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제1 도풍 부재(81)는, 예를 들면 스티롤 수지 등의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도풍 부재(81)가 형성하는 공간(1A)을 통해, 송풍 팬(31)으로부터 뿜어져 나온 공기를 기액 접촉 부재(53)로 유도하는 경우, 이 기액 접촉 부재(53)의 전면에 균일하게 이 공기를 내뿜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기액 접촉 부 재(53)에 있어서는, 송풍 팬(31)으로부터 먼 위치(본 구성에서는 기액 접촉 부재(53)의 상부) 쪽이, 가까운 위치(기액 접촉 부재(53)의 하부)에 비해 송풍 팬(31)으로부터의 공기가 통과하기 쉽다고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 기액 접촉 부재(53)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공기 분포에 불균일이 생겨 기액 접촉 부재(53)의 제균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구성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공간(1A)의 상방에는,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액 접촉 부재(53)의 상부에 있어서의 통풍량을 억제하기 위한 분류 부재(억제 부재)(82)가 배치되어 있다. 이 분류 부재(82)는, 공간(1A)의 상방에 있어서의 통풍 저항이 증가함으로써, 기액 접촉 부재(53)의 상부에 있어서의 통풍량을 억제하여, 송풍 팬(31)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기액 접촉 부재(53)에 거의 균일하게 내뿜음으로써, 이 기액 접촉 부재(53)의 제균능력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이다.
분류 부재(82)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도풍 부재(81)에 부착되는 지지 부재(93, 94)와, 이들 지지 부재(93, 94) 사이에 걸쳐지는 2매의 제1 분류판(91), 제2 분류판(9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1 분류판(91) 및 제2 분류판(92)은, 지지 부재(93, 94)에, 예를 들면, 나사 고정이나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들 지지 부재(93, 94)의 상단부(93A, 94A)는, 제1 도풍 부재(81)의 배면부(81A)의 상방의 양 각부에 형성된 지착(止着)부(84A1, 84A2)에 각각 나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93, 94)의 하단부(93B, 94B)는, 제1 도풍 부재(81)의 측면부(81B, 81C)의 전면측에 형성된 지착부(81B1, 81C1)에 각각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들 각 지착부(84A1, 84A2, 81B1 및 81C1)는, 스티롤 수지의 표면에, 나사 구멍을 가지는 금속판을 메워넣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2매의 분류판(91, 92)을 가지는 분류 부재(82)는, 지지 부재(93, 94)를 이용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이 분류 부재(82)는 제1 도풍 부재(81)의 전면측으로부터 나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분류 부재(82)의 부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제1 분류판(91) 및 제2 분류판(92)은,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높이 방향의 위치를 달리함과 함께, 각각 기액 접촉 부재(53)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이 도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지지 부재(93, 94)를 생략해서 기재하고 있다. 제1 분류판(91)은, 기액 접촉 부재(53)의 상단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고, 제2 분류판(92)은, 제1 분류판(91)보다 하방에서, 상기 기액 접촉 부재(53) 위로부터 대략 1/4의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분류판(91)과 제1 도풍 부재(81)의 상면부(81D)의 사이, 및, 제1 분류판(91)과 제2 분류판(92)의 사이에는, 기액 접촉 부재(53)로 유도되는 도풍로(95, 96)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1 분류판(91) 및 제2 분류판(92)은, 제1 도풍 부재(81)의 배면부(81A)로부터 소정의 각도α를 나타내며 배치되어 있다. 이 각도α를 크게 하면(각도α를 90도에 근접시키면), 통풍 저항을 크게 할 수 있는 반면, 이들 분류판(91, 92)에서의 풍절음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험 등에 근거해서, 이 각도α는 약 60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류 부재(82)는, 기액 접촉 부재(53)의 상 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분류판(91)과, 이 제1 분류판(91)보다 하방에 배치된 제2 분류판(92)을 구비하고, 이들 제1 분류판(91) 및 제2 분류판(92)은, 각각 기액 접촉 부재(53)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제1 분류판(91) 및 제2 분류판(92)이 협동함으로써, 송풍 팬(31)으로부터 뿜어져 나온 공기는, 도7중의 화살표로 가리키는 바와 같이 분류되어 각 도풍로(95, 96)를 흐르기 때문에, 기액 접촉 부재(53)의 상부에 있어서의 통풍 저항이 증가한다. 이것에 의하면, 기액 접촉 부재(53)의 상부의 통풍량이 억제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이 기액 접촉 부재(53)의 하부의 통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분류판(92)은, 그 선단부(92A)가 기액 접촉 부재(53)에 거의 접촉하도록, 기액 접촉 부재(53)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분류판(91)은, 그 선단부(91A)가 상면에서 봐서 상기 제2 분류판(92)의 말단부(92B)와 겹치도록, 상기 공간(1A)의 깊이 방향(도7중 Y방향)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분류판(91)과 제2 분류판을, 상면에서 봐서 겹쳐 배치함으로써, 이들 제1 분류판(91)과 제2 분류판의 사이를 공기가 곧장 상방으로 지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이들 제1 분류판(91)과 제2 분류판(92)의 겹침 부분의 길이(L)는, 실험 등에 근거해서, 제2 분류판(92) 폭의 약 30퍼센트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기액 접촉 부재(53)를 통해, 상기 공간(1A)과 반대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11)의 전면측)의 공간(1B)에는,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기액 접촉 부재(53)를 통과한 공기를 분출구(13)로 유도하는 제2 도풍 부재(하우징)(8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도풍 부재(83)는, 상기 제1 도풍 부재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스티롤 수지 등의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도6 및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부와 배면부를 개방해서 대략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도풍 부재(83)는, 공간(1B) 내의 공기를 분출구(13)로 유도하는 기능에 부가해서, 기액 접촉 부재(53)로부터 공기와 함께 이 공간(1B)으로 뿜어져 나온 물(이른바 비수)을 받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제2 도풍 부재(83)는,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제2 도풍 부재(83)의 내측의 저면(83A)이 기액 접촉 부재(53)를 향해 내리막 구배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저면(83A)의 선단부(83A1)는 물받이 접시(42)의 상방으로 연장한다. 또한, 이 저면(83A)은, 기액 접촉 부재(53)에 대향하는 제2 도풍 부재(83)의 내측면(83B)에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액 접촉 부재(53)로부터 공기와 함께 공간(1B)에 뿜어져 나온 물방울(P)은, 제2 도풍 부재(83)의 내측면(83B)에 충돌한 후, 도7중에 파선 화살표로 가리키는 바와 같이, 이 내측면(83B) 및 저면(83A)을 타고 흘러 물받이 접시(42)로 되돌려진다. 따라서, 송풍 공기와 함께 기액 접촉 부재(53)로부터 뿜어져 나온 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아, 예를 들면, 제2 도풍 부재의 하방에 위치하는 전장 상자(39)(도2)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53)를 통과한 공기는, 제2 도풍 부재(83)의 내측면(83B)으로 유도되어 분출구(13)의 하방에 배치된 분출구 필터(36)를 통과하여 배기된다. 이 분출구 필터(36)는, 분출구(13)로부터 케이스(11) 내부로의 이물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이다. 분출구 필터(36)는, 그물이나 직물 또는 부직포 등(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재료로서는, 합성수지, 바람직하게는 기액 접촉 부재(53)를 구성하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분출구 필터(36)는, 기액 접촉 부재(53)를 통과한 공기의 통풍 저항을 현저하게 증가시키지 않게, 적당히 눈이 성긴 것이 바람직하다.
도8a 및 도8b는, 전해수의 공급의 모습을 설명하는 도이며, 도8a는, 공기 제균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도8b는 전해조(46)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이다. 이 도8a 및 도8b를 참조하여, 기액 접촉 부재(53)에 대한 전해수의 공급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1)에 수돗물을 넣어 공기 제균 장치(1)를 동작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수돗물을 넣은 급수 탱크(41)가 공기 제균 장치(1)에 세트되면, 전술과 같이, 급수 탱크(41)로부터 물받이 접시(42)에 수돗물이 공급되어, 물받이 접시(42)의 수위가 소정 레벨에 이른다. 물받이 접시(42) 내의 물은 순환 펌프(44)에 의해 퍼 올려져, 그 일부가 전해조(46)에 공급된다. 이 전해조(46)에는,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편이 플러스, 한편이 마이너스로 되는 쌍의 전극(47, 48)을 구비하고, 이들 전극(47, 48)간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해조(46)에 유입한 수돗물이 전기 분해되어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생성된다. 여기서, 활성 산소종이란, 통상의 산소보다 높은 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소와, 그 관련 물질로서, 슈퍼옥시드 음이온, 1중항산소, 히드록시라디칼, 또는 과산화수소라고 하는, 이른바 협의의 활성 산소에, 오존, 차아할로겐산 등이라고 하는, 이른바 광의의 활성 산소를 포함한 것으로 한다.
전극(47, 48)은, 예를 들면 베이스가 티탄(Ti)이고 피막층이 이리듐(Ir), 백 금(Pt)으로 구성된 전극판이며, 이 전극(47, 48)에 흐르는 전류치는, 전류 밀도로 수mA(밀리암페어)/㎠(평방센티미터) 내지 수십mA/㎠로 되도록 설정되어, 소정의 유리 잔류 염소 농도(예를 들면 1㎎(밀리그램)/1(리터))를 발생시킨다.
상술하면, 상기 전극(47, 48)에 의해 수돗물에 통전하면, 음극 전극에서는,
4H+ + 4e- + (4OH-) → 2H2 + (4OH-)
의 반응이 일어나고, 양극 전극에서는,
2H2O → 4H+ + O2 + 4e-
의 반응이 일어나는 것과 동시에, 물에 포함되는 염화물 이온(Cl-:수돗물에 미리 첨가되어 있는 것)이,
2Cl- → Cl2 + 2e-
과 같이 반응하여, 염소(Cl2)가 발생한다. 또한, 이 염소는 물과 반응하여,
Cl2 + H2O → HClO + HCl
차아염소산(HClO)과 염화수소(HC1)가 발생한다.
양극 전극에서 발생한 차아염소산은 광의의 활성 산소종에 포함되는 것으로, 강력한 산화 작용이나 표백 작용을 가진다. 차아염소산이 용해한 수용액, 즉 공기 제균 장치(1)에 의해 생성되는 전해수는, 바이러스 등의 비활화, 살균, 유기 화합물의 분해 등, 여러 가지 공기 청정 효과를 발휘한다. 이와 같이,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살수 박스(51)로부터 기액 접촉 부재(53)에 적하되면, 송풍 팬(31)에 의해 뿜어져 나온 공기가 기액 접촉 부재(53)에 있어서 차아염소산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공기 중에 부유하는 바이러스 등이 비활화 됨과 함께, 당해 공기에 포함되는 악취 물질이 차아염소산과 반응해서 분해되거나, 또는 이온화되어 용해된다. 따라서, 공기의 제균 및 탈취가 이루어져, 청정화된 공기가 기액 접촉 부재(53)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기액 접촉 부재(53)에 공급함으로써, 이 기액 접촉 부재(53)에 있어서의 잡균의 증식이 방지된다.
활성 산소종에 의한 바이러스 등의 비활화의 작용 기서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예를 든다. 전술한 활성 산소종은, 인플루엔자의 감염에 필수라고 여겨지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스파이크)을 파괴, 소실(제거)하는 작용을 가진다. 이 표면 단백이 파괴된 경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감염되는데 필요한 수용체(리셉터)가 결합하지 않게 되어, 감염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공기 중에 부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기액 접촉 부재(53)에 있어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에 접촉함으로써, 이를테면 감염력을 잃게 되어, 감염이 저지된다.
따라서, 이 공기 제균 장치(1)가, 예를 들면 유치원이나 초·중·고등학교, 개호보험 시설, 병원 등의 이른바 대공간에 설치된 경우라도, 전해수에 의해 청정화(제균, 탈취 등)된 공기를 대공간 내에서 널리 고루 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대공간에서의 공기 제균 및 탈취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살수 박스(51)로부터 기액 접촉 부재(53)에 적하된 전해수는 기액 접촉 부재(53)를 타고 하방으로 이동하여, 물받이 접시(42)에 떨어진다. 물받이 접시(42)에 떨어진 전해수는 다시 순환 펌프(44)에 의해 퍼 올려지고, 전해조(46)를 거쳐 기액 접촉 부재(53)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에서는 물이 순환식으로 되어 있고, 소량의 물을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장시간에 걸쳐서 효율적으로 공기의 제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증발 등에 의해 전해수 순환부(2)를 순환하는 수량이 줄어든 경우에는, 급수 탱크(41) 내의 물이 물받이 접시(42)에 적당량 공급된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제균 장치(1)에서는, 전술한 것처럼, 케이스(11)의 전면에는, 상측 전면 패널(18) 및 하측 전면 패널(19)이 각각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측 전면 패널(19)은,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하측 전면 패널(19)의 하단부(원호부(19A))에 형성된 하부 후크(184)와, 상단부에 형성된 상부 후크(185)를 구비한다.
하부 후크(184)는, 하측 전면 패널(19)의 패널면(19B)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갈고리 부재이며, 케이스(11)의 양측판(191)의 전면측 하부에 형성된 걸어 당김 홈부(192)에 걸어 당겨 걸어 맞추는 것이다. 또한, 상부 후크(185)는, 하측 전면 패널(19)의 패널면(19B)의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돌기이며, 선단부(185A)가 기부(185B)보다 확경되어 형성되어 있다.
하측 전면 패널(19)을 케이스(11)에 부착한 경우, 케이스(11)의 양측판(191)의 전면측에는, 상부 후크(185)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 상부 후크(185)가 걸려 고정 되는 래치부(19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래치부(193)는, 케이스(11)의 깊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부(193A)와, 이 기부(193A)의 상하에 힌지 연결된 갈고리부(193B)를 구비한다. 이들 갈고리부(193B)는, 기부(193A)의 위치에 따라서 개폐한다. 상부 후크(185)의 선단부(185A)가 기부(193A)의 표면에 맞닿고, 이 기부(193A)를 케이스(11)의 깊이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이 기부(193A)의 이동에 수반해서 갈고리부(193B)가 닫힌다. 기부(193A)는 한 번 깊이 방향으로 밀리면, 밀어 넣어진 위치(도시하지 않음)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갈고리부(193B)에 선단부(185A)가 협지됨으로써, 하측 전면 패널(19)을 간단하게 닫을 수 있다.
한편, 상부 후크(185)를 개재시켜, 래치부(193)의 기부(193A)를 다시 밀어넣으면, 이 기부(193A)의 유지가 해제되고, 당해 기부(193A)는 초기 위치(도9)로 복귀한다. 이것에 수반해서, 갈고리부(193B)가 열림으로써, 상부 후크(185)의 선단부(185A)가 갈고리부(193B)로부터 이탈함으로써, 하측 전면 패널(19)을 간단하게 열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측 전면 패널(19)은,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 간단하게 케이스(11)에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전면 패널(18)에 대해서도, 상기한 하측 전면 패널(19)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하측 전면 패널(19)을 탈거하면,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1) 내에 수납된 프리 필터(34)와, 배수 탱크(6)가 노출된다. 배수 탱크(6)는, 프리 필터(34)에 인접해서 케이스(11)의 하측실(23)에 수용되고, 측판(191)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어, 하측 전면 패널(19)을 탈거한 상태로 케이스(11)의 전면으로부터 출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수 탱크(6)의 깊이는 실(23)의 깊이보다 짧아지고, 배수 탱크(6)를 케이스(11)에 수용한 상태로, 배수 탱크(6)의 전면측에는 공간이 생긴다. 이 공간은, 측판(91)의 흡입구(12)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프리 필터(34)로 흐르는 통풍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전면 패널(19)을 탈거함으로써, 배수 탱크(6)를 전면측으로 인출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수 탱크(6) 내에 고인 물을 버릴 수 있다. 또한, 프리 필터(34)를 케이스(11)의 전면측으로 탈거하여, 프리 필터(34)에 부착된 먼지를 청소해서 제거할 수 있다.
도10은, 배수 탱크(6)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11은 배수 탱크(6)의 단면도이다. 도11중에 부호 W를 붙인 사선 부분은, 물이다. 도12의 (A)는 케이스(11)로부터 꺼낸 배수 탱크(6)의 사시도, 도12의 (B)는 배수 탱크(6)를 소지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13은, 배수 탱크(6)로부터 물을 버리는 동작의 설명도이다. 이들 도를 참조하여, 이하, 배수 탱크(6)에 대해 설명한다.
도10 및 도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 탱크(6)는, 세로형의 탱크 본체(61)에, 배수 탱크(6)를 취급할 때의 손잡이로 되는 핸들(62)과, 탱크 본체(61)의 상부를 막는 뚜껑(63)을 부착해서 구성되고, 탱크 본체(61) 내부에는 플로트 센서(64)(변위 부재)가 배치된다.
탱크 본체(61)는, 전해수 순환부(2)(도8a)로부터 배수관(55)을 경유해서 배출된 물을 저류하는 세로형의 용기이며, 상면이 개구되어 있다. 탱크 본체(61)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해도 되고, 다각형이어도 된다. 또한, 탱크 본체(61)의 하부에는, 배수 탱크(6)의 주위에 배치되는 케이스(11)의 프레임 등의 돌출부에 맞춰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수 탱크(6)는, 케이스(11)로부터 꺼낸 상태로 자립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배수 탱크(6)의 저면 구조는, 도8a 및 도8b의 예와 같이, 저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되거나, 또는, 접지면에 돌출하는 돌기(다리)를 형성하면 된다.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61)의 양측면의 상단부에는, 탱크 본체(61)의 깊이 방향 대략 중앙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축(6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61A)에는, 핸들(62)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핸들(62)은, 탱크 본체(61)의 양측면에 형성된 합계 2개의 축(61A)에 각각 걸어 맞춤하는 2개의 지지 암을 가지고, 이 지지 암의 선단부에는, 축(61A)과 끼워 맞춤하는 계지 구멍(62A)이 뚫어져 형성되어 있다. 핸들(62)은, 계지 구멍(62A)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운동 가능하다. 이 핸들(62)은, 평판 모양의 기부(62B)와, 이 기부(62B)로부터 신장되는 막대모양의 파지부(62C)를 가진다. 기부(62B)는, 축(61A)에 걸어 맞춤하는 2개의 지지 암을 잇는 판모양 부재이며, 후술하는 배수구(63A)를 막는 폐색부(62D)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기부(62B)의 선단측에는, 기부(62B)와 대략 평행하게 신장되는 파지부(62C)가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62C)는, 유저가 배수 탱크(6)를 취급할 때에 손잡이로 되는 막대모양 또는 판모양의 부재이 다.
또한, 도7 및 도8a 및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뚜껑(63)은, 탱크 본체(61)의 상면의 개구부에 끼워 맞춤하여, 이 개구부를 덮는 형상 및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뚜껑(63)의 일단부에는, 탱크 본체(61) 내의 물을 버리기 위한 배수구(6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63), 전해수 순환부(2)(도5)로부터 배수관(55)을 통과해서 배출된 물을 탱크 본체(61) 내에 넣기 위한 배수받이구(63B) 및 배수받이(63C)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받이(63C)는, 배수관(55)으로부터 유하하는 물을 배수받이구(63B)로 유도하기 위해, 뚜껑(63)의 변 가장자리로부터 배수받이구(63B)로 향하는 내리막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배수 탱크(6)를 실(23)에 수용한 상태에서는, 배수받이(63C)의 상방에, 배수관(55)의 하단의 개구부가 위치하고 있어, 배수관(55)으로부터 배출된 물은 누수없이 배수받이구(63B)로부터 탱크 본체(61) 내에 떨어진다.
뚜껑(63)에 형성된 배수구(63A)는, 탱크 본체(61) 내에 저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멍이다. 배수구(63A)는, 통상, 기부(62B)의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폐색부(62D)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핸들(62)을 이동시킴으로써 배수구(63A)가 개구된다.
또한, 뚜껑(63)의 하면에는, 플로트 센서(64)가 부착된다. 플로트 센서(64)는, 기다란 형상의 본체의 중앙에 지지축부(64A)를 설치하고, 본체의 일단에 플로트부(64B)를, 타단에 마그넷부(64C)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플로트 센서(64)의 지지축부(64A)는 뚜껑(63)의 이면측에 부착되고, 플로트 센서(64), 지지축부(64A)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운동 가능하다. 마그넷부(64C)는, 자석을 수지 등에 의해 피복 또는 둘러싼 구성을 가진다. 플로트부(64B)는 비중이 가벼운 수지 등에 의해 구성된다.
플로트 센서(64)는, 지지축부(64A)를 지점으로 해서 회전운동하는 것이며, 통상시, 즉 외부로부터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플로트부(64B)측이 내려가 있다. 여기서, 도11에 부호 W로 가리키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61) 내에 만수위 근처까지 물이 저류되면, 플로트부(64B)가 물에 뜨고, 플로트 센서(64)가 지지축부(64A)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운동하여, 마그넷부(64C)가 뚜껑(63)으로부터 멀어진다. 또한, 탱크 본체(61) 내의 물이 만수위에 비해 상당히 적은 상태에서는, 플로트부(64B)가 충분히 내려간 위치에 있어, 마그넷부(64C)가 뚜껑(63)의 이면에 접한다.
이 구성은, 플로트부(64B)의 중량 및 부력과, 마그넷부(64C)의 중량과, 지점으로 되는 지지축부(64A)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플로트부(64B)의 부력은, 플로트부(64B)의 비중 및 체적에 근거해서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다.
그리고, 케이스(11)의 실(23)에는, 배수 탱크(6)를 수용하는 위치의 상방에, 마그넷부(64C)의 접근을 검지하는 검지부(58)를 갖춘 수위 센서부(57)가 배치되어 있다. 수위 센서부(57)는, 실(23)에 배수 탱크(6)를 수용한 상태로 뚜껑(63)의 바로 위에 접근하는 위치에 있다. 검지부(58)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자성체(도시 생략)와, 이 자성체의 이동에 수반해서 통전 상태가 변화하는 검지 회로(도시 생략)를 내장하고, 마그넷부(64C)가 접근하는 위치에 대응해서 배치되고, 상기 검지 회로는, 전장 상자(39)(도2) 내의 제어 기판에 실장된 제어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는, 검지부(58)를 이용해서, 마그넷부(64C)의 접근의 유무를 검지함으로써, 탱크 본체(61) 내의 수위가 만수위 또는 그 근방인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검지부(58)와 함께 검지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예를 들면, 배수 탱크(6)가 만수위에 가까운 것을 검지한 경우에, 조작 패널(16)(도2)에 있어서 램프를 점등시키는 등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유저에 대해, 배수 탱크(6)의 물을 버리도록 안내한다. 또한, 제어부는, 예를 들면, 소정 시간마다 배수 밸브(56)를 열어 물받이 접시(42)의 물을 배수 탱크(6)로 배출시키는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배수 탱크(6)가 만수위에 가까운 것을 검지한 경우, 배수 밸브(56)를 개방시키지 않도록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배수 탱크(6)의 각 부, 즉 탱크 본체(61), 핸들(62), 뚜껑(63), 및 플로트 센서(64)를 구성하는 재료는 임의이지만, 전해수에 접하는 부분에는, 기액 접촉 부재(53)의 각 부와 마찬가지로, 전해수에 의한 열화가 적은 소재,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염화 비닐 수지, 스티롤 수지, 불소계 수지(PTFE, PFA, ETFE 등) 또는 세라믹스계 재료 등의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 탱크(6)의 취급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도12의 (A)에 도시하는 세워진 위치의 상태에서는, 핸들(62)은 뚜껑(63)에 접하고 있고, 폐색부(62D)에 의해 배수구(63A)가 막혀 있다. 또한, 파지부(62C)가 배수 탱크(6)의 전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전면 패널(19)을 열어 배수 탱크(6)를 꺼낼 때에는, 핸들(62)을 손에 쥐고 배수 탱크(6)를 앞에 인출하면 되고, 간편하게 배수 탱크(6)를 꺼낼 수 있다.
또한, 도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62C)를 끌어올리면, 핸들(62)이 계지 구멍(62A)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파지부(62C)를 손에 쥐고 배수 탱크(6)를 들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배수 탱크(6) 내에 고인 물을 버리는 경우, 도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62C)를 끌어올린 상태로 배수 탱크(6)를 기울이면 된다. 여기서, 뚜껑(63)은 탱크 본체(61)의 상단에 밀착해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구(63A)를 제외한 개소로부터 물이 누출되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해수 순환부(2)로부터 분기한 배수관(55)을 통해 배출되는 전해수를 배수 탱크(6)에 저류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배수 탱크(6)는, 세로로 긴 탱크 본체(61)을 가지므로, 케이스(11)의 전면으로부터 배수 탱크(6)를 간편하게 꺼내, 탱크 본체(61)에 고인 물을 간편하게 버릴 수 있다. 탱크 본체(61)가 세로로 긴 것으로부터, 케이스(11)에 있어서 배수 탱크(6)를 수납하는 장소의 확보는 용이하고,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케이스(11)의 하측의 실(23)에 있어서, 팬 모터(32)에 인접한 간극에 배치하고, 하측 전면 패널(19)을 떼어내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꺼내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공기 제균 장치(1)의 설계 자유도를 해치지 않고서, 케이스(11)의 전면으로부터 꺼내기 쉬운 위치에 배수 탱크(6)를 배치하여, 배수에 따른 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공기 제균 장치(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 순환부(2)에 있어서 전해수를 순환시켜 사용하는 경우에, 전해수를 적당히 배출하고 새로운 물로 바꿔 넣음으로써, 높은 제균 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높은 제균 효과를 유지 가능한 공기 제균 장치를, 유저의 부담을 늘리지 않고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배수 탱크(6)는, 탱크 본체(61)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핸들(62)을 구비하고, 핸들(62)을 탱크 본체(61)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위치와 상방으로 돌출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수 탱크(6)가 케이스(11)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핸들(62)을 탱크 본체(61)의 전방으로 돌출시켜 두면, 이 핸들(62)의 파지부(62C)를 쥐고 배수 탱크(6)를 케이스(11)의 전면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어, 출납이 보다 간단해진다. 부가해서, 핸들(62)을 탱크 본체(61)의 앞에 넘어뜨린 상태로 하면, 실(23)에 있어서의 배수 탱크(6)의 수용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수 탱크(6)를 케이스(11)로부터 꺼낸 상태에서는, 핸들(62)을 상방으로 돌출한 위치로 이동시키면, 핸들(62)을 손에 쥐고 배수 탱크(6)를 취급할 수 있어, 취급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탱크 본체(61)에는 뚜껑(63)이 부착되고, 뚜껑(63)에는, 탱크 본체(61)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6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62)을 탱크 본체(61)의 앞쪽으로 넘어뜨린 상태에서는, 배수구(63A)는, 핸들(62)에 형성된 폐색부(62D)에 의해 폐색된다. 이것에 의해, 배수 탱크(6)가 케이스(11)에 수용된 경우 등, 물의 배출을 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배수구(63A)를 막음으로써 배수 탱크(6)로부터의 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핸 들(62)을 회전운동시킴으로써, 탱크 본체(61) 내의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수에 따른 작업의 간편함을 해치지 않고서, 배수 탱크(6)로부터의 의도하지 않은 물의 유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뚜껑(63)에, 배수관(55)으로부터 유하하는 물을 받아 탱크 본체(61) 내로 유도하는 배수받이(63C)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재를 증가시키지 않고서, 케이스(11) 내에 있어서의 누수 및 물 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탱크 본체(61) 내의 수위에 따라서 변위하는 플로트 센서(64)를 구비하고, 이 플로트 센서(64)의 변위를 검지하는 수위 센서부(57)가 케이스(11)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탱크 본체(61) 내의 수위를 검지하여, 배수 탱크로부터의 물 넘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 플로트 센서(64)는, 탱크 본체(61) 내의 물에 뜨는 플로트부(64B)와, 자석을 내장한 마그넷부(64C)를, 지지축부(64A)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을 가지고, 수위 센서부(57)가 구비하는 검지부(58)에 의해, 마그넷부(64C)의 접근을 검지하므로, 고장의 우려가 극히 낮은 심플한 구성에 의해, 탱크 본체(61) 내의 수위가 소정 레벨 이상, 예를 들면 만수위 또는 그 근방으로 상승한 것을 확실히 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탱크 본체(61) 내의 수위가 높은 경우에 배수 밸브(56)를 개방시키지 않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물 넘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패널(16)에 있어서의 램프 점등 등에 의해 유저에 대해서 물의 배출을 안내하면, 유저가 배수 탱크(6)의 수위를 염려하지 않고서 공기 제균 장치(1)를 사용할 수 있어, 관리에 따른 부담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측 전면 패널(19)은, 이 하측 전면 패널(19)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후크(184)와 상부에 형성된 상부 후크(185)를 구비하고, 케이스(11)는, 이 케이스(11)의 측판(191)의 전면측에 하부 후크(184)를 걸어 당기는 걸어 당김 홈부(192)와, 상부 후크(185)를 걸어 고정하는 래치부(193)를 구비하고, 하부 후크(184)를 걸어 당김 홈부(192)에 걸어 당긴 상태로, 상부 후크(185)을 래치부(193)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당해 하측 전면 패널(19)을 케이스(11)에 부착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 하측 전면 패널(19)을 케이스(11)에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수 탱크(6)를 케이스(11)로부터 꺼내는 작업을, 극히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케이스(11) 내에 세워 설치된 기액 접촉 부재(53)와, 이 기액 접촉 부재(53)에 공급되는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 유닛(45)과, 기액 접촉 부재(53)의 하방에 배치되어, 당해 기액 접촉 부재(53)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팬(31)을 구비하고, 케이스(11) 내에 송풍 팬(31)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뿜어져 나온 공기를 기액 접촉 부재(53)로 유도하는 풍로로서의 공간(1A)을 형성하고, 이 공간(1A)에는, 기액 접촉 부재(53)의 상부에 있어서의 통풍량을 억제하는 분류 부재(82)를 배치했기 때문에, 이 분류 부재(82)에 의해, 기액 접촉 부재(53)의 상부에 있어서의 통풍량을 억제함으로써, 이 기액 접촉 부재(53)의 하부의 통풍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액 접촉 부재(53)에 있어서의 통풍량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액 접촉 부재(53)에 거의 균일하게 공기를 내뿜을 수 있기 때문에, 이 기액 접촉 부재(53)의 제균 능력 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분류 부재(82)는, 공간(1A)에 있어서의 기액 접촉 부재(53)의 상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액 접촉 부재(53)의 상부에 있어서의 통풍량을 억제함으로써, 이 기액 접촉 부재(53)의 하부의 통풍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액 접촉 부재(53)에 있어서의 통풍량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액 접촉 부재(53)에 거의 균일하게 공기를 내뿜을 수 있기 때문에, 이 기액 접촉 부재(53)의 제균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분류 부재(82)는, 기액 접촉 부재(53)의 상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분류판(91)과, 이 제1 분류판(91)보다 하방에 배치된 제2 분류판(92)을 구비하고, 이들 제1 분류판(91) 및 제2 분류판(92)은, 각각 기액 접촉 부재(53)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제1 분류판(91) 및 제2 분류판(92)이 협동함으로써, 송풍 팬(31)으로부터 뿜어져 나온 공기는 분류되어 각 도풍로(95, 96)를 흐르기 때문에, 기액 접촉 부재(53)의 상부에 있어서의 통풍 저항이 증가한다. 이것에 의하면, 기액 접촉 부재(53)의 상부의 통풍량이 억제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이 기액 접촉 부재(53)의 하부의 통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제1 분류판(91)과 제2 분류판(92)을, 상면에서 봐서 겹쳐 배치함으로써, 이들 제1 분류판(91)과 제2 분류판(92)의 사이를 공기가 곧장 상방으로 지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공기 제균 장치(1)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이며, 본 발 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활성 산소종으로서 오존(O3)이나 과산화수소(H2O2)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전극으로서 백금 탄탈 전극을 이용하면, 이온종이 희박한 물이어도, 전기 분해에 의해 고효율로 안정되게 활성 산소종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양극 전극에서는,
2H2O → 4H+ + O2 + 4e-
의 반응과 동시에,
3H2O → O3 + 6H+ + 6e-
2H2O → O3 + 4H+ + 4e-
의 반응이 일어나 오존(O3)이 생성된다. 또 음극 전극에서는,
4H+ + 4e- + (4OH-) → 2H2 + (4OH-)
O2 - + e- + 2H+ → H202
와 같이, 전극 반응에 의해 생성한 O2 -와 용액 중의 H+가 결합하여, 과산화수소(H2O2)가 생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1)에 의해 수돗물을 공급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수돗물에는 살균을 목적으로 해서 염소 화합물이 첨가되어 있기 때문에, 염화물 이온이 포함되어 있고, 이 염화물 이온이 반응하여 차아염소산 및 염산이 생성된다. 이것은 수돗물을 이용한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해조(46)에 공급된 물이, 할로겐 화합물의 첨가 또는 혼입에 의해 할로겐화물 이온을 포함한 물로 되어 있으면, 마찬가지의 반응에 의해 할로겐을 포함하는 활성 산소종이 생성된다.
또한, 공기 제균 장치(1)에 있어서, 이온종이 희박한 물(순수, 정제수, 우물물, 일부의 수돗물 등을 포함한다)을 이용한 경우도 마찬가지의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온종이 희박한 물에 할로겐 화합물(식염 등)을 첨가하면, 마찬가지의 반응이 일어나고, 활성 산소종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출납 가능한 급수 탱크(41)에 의한 급수 방식으로 했지만, 이 급수 탱크(41) 대신에, 예를 들면 수도관을 접속해서, 수돗물을 직접 유도하는 수배관 급수 방식으로 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다음에,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 제균 장치에서는, 전극 간의 통전 상태(공급 전력량(전류치, 통전 시간 등))이 동일한 경우, 전기 분해에 제공하는 수돗물 등의 수질에 따라, 전해수의 생성 상황이 달라진다. 예를 들면, 도시지역과 산간부 등에서는 수돗물에 포함되는 염화물 이온 등의 전해질 농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수질에 따라서는 출하시에 미리 표준적인 수돗물의 수질에 근거해서 설정된 전류치로, 전 극 간에 소정의 통전 시간, 전력을 공급해도 공기 제균에 필요한 소정 농도의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공기 제균 장치를 설치할 때에는, 그 지역에 있어서의 수돗물의 수질에 따라서 전극 간의 통전 상태를 변경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공기 제균 장치를 한 번 설치한 후에는, 수돗물의 수질이 변동하는 경우는 적은 것으로부터, 통전 상태에 관한 설정을 변경할 기회는 적고, 또한, 부주의하게 통전 상태에 관한 설정이 변경되면, 전해수에 포함되는 활성 산소종의 농도가 변동되어, 원하는 공기 제균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전해수를 생성해서, 공기를 제균하는 공기 제균 장치에 있어서, 전해수를 생성할 때에 이용하는 전극 간의 통전 상태를 수질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을, 도14에 도시된 공기 제균 장치(100)를 예로 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제균 장치(100)는, 상기한 공기 제균 장치(1)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기 때문에, 이 동일한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공기 제균 장치(100)는,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내부에, 케이스(11)에 형성된 흡입구(12 및 15)로부터 분출구(13)로 향하는 송풍 경로를 케이스(11) 내에 형성하는 송풍기(33)와, 이 송풍기(33)에 의한 송풍 경로 상에 배치되어, 이 송풍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전해수를 접촉시키는 기액 접촉 부재(53)를 가지는 공기 제균부(130)와, 이 기액 접촉 부재(53)에 전해수를 순환 공급하는 전해수 순환 공급부(140)의 구성요소인 급수 탱크(41), 순환 펌프(44), 전 해조(전해수 생성부)(46) 및 물받이 접시(42)를 구비하고 있다.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칸막이 판(21)의 상방의 정면에서 봐서 좌측에는, 상기 기액 접촉 부재(53) 외에, 칸막이 판(21) 위에 전장 상자(39)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전장 상자(39)의 상방에는 물받이 접시(42)가 배치되고, 이 물받이 접시(42)를 통해 상기 기액 접촉 부재(53)가 배치된다. 또한, 칸막이 판(21)의 상방의 우측에는 상기의 조작 뚜껑(16A)의 하방에 배치되는 급수 탱크(41)와, 급수 탱크(4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전해조(46), 물받이 접시(42) 내의 물을 전해조(46) 및 기액 접촉 부재(53)에 공급하는 순환 펌프(44)가 배치되고, 이것들에 의해 전해수 순환 공급부(140)가 구성된다.
급수 탱크(41)는, 전해수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수돗물 등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이다. 급수 탱크(41)의 급수구는 물받이 접시(42)의 저류부(42A)에 배치되어, 물받이 접시(42)에 적당량의 물을 공급한다. 단, 전해수의 생성에 제공하는 물은 수돗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수돗물 외, 우물물, 순수, 정제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단, 전해조(46)에서는 후술과 같이 물(전해조(46)에 있어서 생성된 전해수를 포함한다)의 전기 분해에 의해 전해수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급수 탱크(41)에는, 예를 들면, 염화물 이온 등의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이 저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이온종 농도가 낮은 수돗물이나 우물물, 순수, 정제수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식염 등의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질을 전기 분해를 촉진하기 위한 전해 촉진제로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액 접촉 부재(53)의 상부에는, 전해수 순환 공급부(140)의 구성요소의 하나인 살수 박스(51)가 조립되고, 기액 접촉 부재(53)의 하방에는 상기의 물받이 접시(42)가 배치되어 있다. 물받이 접시(42)는, 급수 탱크(41)의 흡수구가 배치되는 저류부(42A)와 기액 접촉 부재(53)의 하방에 배치되어 기액 접촉 부재(53)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수를 받는 물받이부(42B)를 구비하고 있다. 순환 펌프(44)는 저류부(42A)에 배치되고, 전해조(46)에 있어서 생성된 전해수에 포함되는 스케일 등의 불용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부재(74)가 물받이부(42B)와 저류부(42A)의 연접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필터 부재(74)에 의해, 기액 접촉 부재(53)로부터 배출된 전해수에 포함되는 불용물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필터 부재(74)를 배치함으로써, 순환 펌프(44)에 의해 퍼 올리는 물에, 스케일이나 꽃가루 등의 불용물이 혼입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도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해조(46)에 있어서 생성된 전해수는 필터 부재(74)를 통해 저류부(42A)에 공급되고, 저류부(42A)에 저류된 전해수는 순환 펌프(44)에 의해 일부가 살수 박스(51)를 통해 기액 접촉 부재(53)에 공급되고, 나머지의 일부가 전해조(46)에 다시 공급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해조(46)에 있어서는 전해수를 이용해서 반복 전기 분해를 행하게 함으로써, 활성 산소종의 농도가 높은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53)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수를 순환 이용함으로써, 급수 탱크(41)로부터는 수량의 부족분만을 보충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어, 수자원을 유효 활용할 수 있다.
전해수를 생성할 때에, 전해수 중의 활성 산소종의 농도는, 제균하는 바이러스 등을 비활화시키는 농도로 되도록 조정된다. 활성 산소종의 농도의 조정은, 전극(47, 48) 간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하여, 전극(47, 48) 사이에 흘리는 전류치를 조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예를 들면, 이 전극(47, 48) 간에 흐르는 전류치를, 전류 밀도로 20mA/㎠로 하면, 차아염소산의 경우, 소정의 유리 잔류 염소 농도(예를 들면, 1㎎/리터)를 발생시킨다. 전극(47, 48) 간에 인가하는 전압을 변경하여, 전류치를 조정함으로써 전해수 중에 포함되는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조정할 수 있고, 기본적으로는 전류치를 높게 함으로써, 전해수 중의 정성 산소종의 농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16a 및 도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제균 장치(100)를 설치할 때 또는 설치 후에 있어서도 전해조(46)의 전극(47, 48) 간의 통전 상태를 변경 조작하기 위한 회전 조작 손잡이(151)(조작 수단)가 전장 상자(39)에 수용되는 제어부(152)(제어 기판(152A))에 설치되어 있다(도16b 참조). 전장 상자(39)는, 제어부(152)의 구성요소인 CPU, RAM, ROM 등이 배치되는 제어 기판(152A, 152B) 외, 전술한 대로 각종 전장 부품을 수용하는 것이다.
도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조작 손잡이(151)는, 도시예에 있어서, 전장 상자(39)의 전면의 좌측 상방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 기판(152A)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장 상자(39)의 전면 패널(153)에 형성된 구멍(154)으로부터 이 회전 조작 손잡이(15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장 상자(39)는, 도14에 있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 판(21)의 상면에 얹어 놓여져 있고, 도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1)로부터 상부 전면 패널(상측 전면 패널)(18)을 탈거했을 때에, 이 회전 조작 손잡이(15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장 상자(39)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 위치에 상부 전면 패널(18)과 하부 전면 패널(19)의 경계 위치가 위치하고 있어, 상부 전면 패널(18)을 케이스(11)로부터 탈거하면 전장 상자(39)의 상부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단, 도17에 있어서, 전장 상자(39), 송풍기(33), 배수 탱크(6)를 파선에 의해 가리키고 있다.
또한, 도14, 도18a 및 도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장 상자(39)의 상면에는,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는 판상 부재(155)가 나사 고정되어 있고, 이 판상 부재(155)는 전장 상자(39)의 전면측에 소정의 양 L만큼 돌출하고, 이 돌출부분에 있어서 차양부(156)를 구성하고 있다. 전장 상자(39)의 상방에는 물받이 접시(42)나 기액 접촉 부재(53) 등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전장 상자(39)의 외부로 돌출하는 차양부(156)를 설치함으로써, 전장 상자(39)의 상방으로부터 구멍(154)의 내부에 물 등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도19a 내지 도1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조작 손잡이(151)는, 「0」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전해 조건 지정 번호(통전 상태 지정 번호)가 소정의 각도마다 기재된 원반 형상의 전해 조건 지정 번호 기재부(151a)와, 이 전해 조건 지정 번호 기재부(151a)에 기재된 전해 조건 지정 번호 중 하나의 번호를 남기고, 다른 번호를 은미함과 함께, 손잡이(151c)가 외부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회전 조작부(151b)를 가지고 있다. 또한, 회전 조작부(151b)를 전장 상자(39)의 전면 패널(153)로부터 전장 상자(39)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해도 되고, 전장 상자(39)의 전면 패널(153)에 형성된 구멍(154) 내에 내포되도록 배치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회전 조작 손잡이(151)는 구멍(154)에 내포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1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펜 끝(160) 등으로, 손잡이(151c)를 회전 조작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회전 조작부(151b)를 소정의 각도씩 회전 조작을 함으로써, 「0」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전해 조건 지정 번호(통전 상태 지정 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152)는 회전 조작 손잡이(151)에 의해 선택된 전해 조건 지정 번호에 대응 지워진 통전 상태로 되도록, 전극(47, 48) 간에 소정의 전류치를 소정의 통전 시간 흘리도록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전해 조건 지정 번호에는 소정의 통전 상태가 대응 지워져 있고, 이것은 전해 조건 지정 번호가 커짐에 따라, 전극(47, 48)에의 공급 전력량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출하시에는, 예를 들면, 전해 조건 지정 번호를 중간의 번호인 「5」에 맞춰져 있고, 공기 제균 장치(100)의 설치 지역에 있어서의 수돗물의 수질 등, 전기 분해에 제공하는 물의 이온종 농도에 따라서, 전해 조건 지정 번호를 변경 조작함으로써, 전극(47, 48) 간의 통전 상태가 변경된다.
전극(47, 48)에의 공급 전력량을 증감하려면, 전극(47, 48) 간에 흘리는 전류치를 증감함으로써 행해도 되고, 전극(47, 48) 간의 통전 시간을 증감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또한, 「0」 내지 「9」의 전해 조건 지정 번호 중, 전해 조건 지정 번호의 일부에 대해서 상기와 같이 전극에의 공급 전력량이 단계적으로 변경하도록 대응 지워두고, 나머지의 일부의 전해 조건 지정 번호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수한 운전 모드시에 있어서의 소정의 통전 상태에 대응 지우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특수한 운전 모드로서, 예를 들면, 전극(47, 48)에 퇴적한 스케일 등을 제거시키기 위해서 극성을 반전시켜 전극(47, 48) 간에 통전을 행하는 스케일 제거 운전 모드나, 통상보다 활성 산소종의 농도가 진한 전해수를 생성해서, 기액 접촉 부재(53) 등에 공급함으로써 기액 접촉 부재(53) 등의 청소를 행하는 클리닝 모드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송풍기(33)에 의해 흡입구(12 및 15)로부터 분출구(13)로 향하는 송풍 경로가 케이스(11) 내에 형성되고, 송풍 경로 상에 배치되는 생각액 접촉 부재(53)에 있어서 전해수에 공기가 접촉함으로써, 흡입한 실내의 공기에 포함되는 바이러스 등이 제균된다. 전해조(46)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47, 48)을 가지고, 소정의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해수를 생성한다. 이 전해조(46)가 가지는 전극(47, 48) 간의 통전 상태는, 제어부(152)에 의해 제어된다. 이 때의, 통전 상태를 변경 조작하기 위한 회전 조작 손잡이(151)가 제어부(152)에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 조작 손잡이(151)는 제어부(152)를 수용하는 전장 상자(39)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전장 상자(39)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장 상자(39)를 열지 않고서 간이하게 전기 분해시의 통전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장 상자(39)는 케이스(11)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유저 등에 의해 부주의하게 전극 간의 통전 상태가 변경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작 손잡이(151)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유저 등 간이하게 미리 설정된 복수 단계의 통전 상태로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로부터 상부 전면 패널(18)을 탈거하면, 회전 조작 손잡이(15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장 상자(39)가 케이스(11)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부 전면 패널(18)을 탈거함으로써 간이하게 회전 조작 손잡이(151)를 조작해서 전극(47, 48) 간의 통전 상태를 변경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전면 패널(18)의 내측에 전장 상자(39)를 수용함으로써, 회전 조작 손잡이(151)가 케이스(11)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유저 등에 의해 부주의하게 전극(47, 48) 간의 통전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작 손잡이(151)는 전장 상자(39)의 전면 패널(153)에 설치된 구멍 내에 내포되어 있으므로, 유저 등에 의한 부주의한 조작이 더욱 방지되어 있다.
단, 상기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이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공기 제균 장치(100)는 스탠드식의 케이스(11)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공기 제균 장치(100)의 설치 형식은 스탠드식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벽걸이식이어도 괜찮고, 천정에 매다는 식이어도 되고, 천정 매립형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또한, 케이스(11)로부터 상부 전면 패널(18)을 탈거했을 때에, 회전 조작 손잡이(15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장 상자(39)를 케이스(11) 내에 배치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하부 전면 패널(19)을 탈거했을 때에 회전 조작 손잡이(15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장 상자(39)를 배치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요점은, 탈거 가능하게 또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외장 패널의 내측에, 이러한 외장 패널을 열었을 때 탈거했을 때에, 회전 조작 손잡이(15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장 상자(39)가 배치되어 있으면, 케이스(11) 내에 있어서의 전장 상자(39)의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공기 제균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공기 제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기액 접촉 부재와 전해수 생성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공기 제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우측 단면시도.
도5는 송풍 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흐르는 공간을 도시하는 정면측단면도.
도6은 기액 접촉 부재의 전후에 형성된 공간을 구성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7은 도4의 부분 확대도.
도8a 및 도8b는 전해수의 공급의 모습을 설명하는 도이며, 도8a는 공기 제균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도8b는 전해조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
도9는 상측 전면 패널 및 하측 전면 패널을 착탈하는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10은 배수 탱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11은 배수 탱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12는 배수 탱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12의 (A)는 케이스로부터 꺼낸 배수 탱크를 도시하고, 도12의 (B)는 배수 탱크를 소지하는 상태를 도시.
도13은 배수 탱크로부터 물을 버리는 동작의 설명도.
도14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제균 장치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5는 공기 제균 장치에 있어서의 전해수의 순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16a는 공기 제균 장치의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전장 상자의 외관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16b는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7은 전장 상자의 케이스 내에 있어서의 배치를 파선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18a는 전장 상자에 설치된 차양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18b는 그 측면도.
도19a 내지 도19c는, 전장 상자의 조작 수단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제균 장치
11 : 케이스
12 : 흡입구
13 : 분출구
15 : 흡입구
16 : 조작 패널
18 : 전면 패널
20 : 루버

Claims (18)

  1. 전해수를 생성해서 기액 접촉 부재에 침윤시키고, 송풍 팬에 의해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기를 보냄으로써 당해 공기를 제균하는 공기 제균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내에, 상기 전해수를 배출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수를 받아 저류하는 배수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 탱크는 세로로 긴 탱크 본체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출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탱크는, 회전운동 가능하게 상기 탱크 본체에 부착된 파지부를 구비하고, 그 회전운동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적어도 상기 탱크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위치와 상기 탱크 본체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에는, 상기 탱크 본체 내의 물을 배출 가능한 배수구를 가지는 뚜껑이 부착되고, 상기 파지부는, 그 회전운동 범위의 일단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배수구를 막는 폐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유하하는 물을 받아 상기 탱크 본체 내로 유도하는 배수받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 내의 수위에 따라서 변위하는 변위 부재와, 상기 변위 부재의 변위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부재는, 상기 탱크 본체 내의 물에 떠오르는 플로트부와, 이 플로트와 일체로 되어 변위하는 마그넷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뚜껑으로의 상기 마그넷부의 접근을 검지하는 것이며,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마그넷부의 접근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탱크 본체 내의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순환 공급하는 전해수 순환부로부터 분기해서 전해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8. 케이스 내에 세워 설치된 기액 접촉 부재와, 이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급되는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 유닛과,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팬을 구비하는 공기 제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송풍 팬으로부터 뿜어져 나온 공기를 상기 기액 접촉 부재로 유도하는 풍로를 형성하고, 이 풍로에는,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상기 송풍 팬으로부터 먼 측에 있어서의 통풍량을 억제하는 억제 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풍로는,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하방에 배치된 상기 송풍 팬으로부터 상방으로 뿜어져 나온 공기를 당해 기액 접촉 부재로 유도하는 것이며, 상기 억제 부재는, 상기 풍로에 있어서의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상부의 통풍량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부재는, 상기 풍로의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상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부재는,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상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분류판과, 이 제1 분류판보다 하방에 배치된 제2 분류판을 구비하고, 이들 제1 및 제2 분류판은, 각각 상기 기액 접촉 부재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12. 전해수를 이용해서 공기를 제균하는 공기 제균 장치에 있어서,
    공기의 흡입구 및 분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 상기 흡입구 로부터 상기 분출구로 향하는 공기의 송풍 경로를 케이스 내에 형성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를 제균하는 공기 제균부와,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가지고, 소정의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부와 상기 전극 간의 통전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전극 간의 통전 상태를 변경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을 설치하고, 이 조작 수단을,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는 전장 상자에 형성한 구멍으로부터 상기 전장 상자의 외측에 노출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전극 간의 통전 상태를 미리 설정된 복수 단계의 통전 상태로 단계적으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탈거 가능한 외장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외장 패널을 탈거했을 때에, 상기 조작 수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장 상자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 상자에는, 전장 상자의 외부로 돌출하는 차양부가 설치되고, 이 차양부의 하방에 상기 조작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전극으로의 공급 전력량을 변경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전극 간의 통전 시간을 변경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치를 변경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KR1020070108742A 2006-10-30 2007-10-29 공기 제균 장치 KR100893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93505A JP2008109975A (ja) 2006-10-30 2006-10-30 空気除菌装置
JP2006293452A JP2008109968A (ja) 2006-10-30 2006-10-30 空気除菌装置
JPJP-P-2006-00293452 2006-10-30
JPJP-P-2006-00293610 2006-10-30
JPJP-P-2006-00293505 2006-10-30
JP2006293610A JP2008109983A (ja) 2006-10-30 2006-10-30 空気除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263A true KR20080039263A (ko) 2008-05-07
KR100893476B1 KR100893476B1 (ko) 2009-04-17

Family

ID=3898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742A KR100893476B1 (ko) 2006-10-30 2007-10-29 공기 제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67900B2 (ko)
EP (1) EP1930664A3 (ko)
KR (1) KR100893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522B1 (ko) * 2020-09-16 2021-04-13 삼다도환경(주) 기화분사장치용 하우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7871A (ja) * 2008-06-24 2010-01-14 Daikin Ind Ltd 換気装置
EP2145631B1 (en) * 2008-07-11 2012-09-05 SANYO Electric Co., Ltd. Air filtering apparatus
WO2010091553A1 (en) * 2009-02-13 2010-08-19 Mass Technology (H.K.)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lytically producing alkaline water and use of the alkaline water produced
TW201215764A (en) * 2010-10-13 2012-04-16 jun-qing Xu Air filter assembly and air cleaner
KR101304043B1 (ko) * 2011-08-16 2013-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US9435555B2 (en) * 2011-10-06 2016-09-06 Tech Oil Products, Inc. Misting fan system and method
US8747526B2 (en) * 2012-02-10 2014-06-10 Hung Hsing Electric Co., Ltd. Vertical type air humidifying and purifying machine
US9211353B2 (en) * 2012-04-19 2015-12-15 Daelim B&Co Co., Ltd. Clarifier for bidet with phytoncide filter
USD787036S1 (en) * 2015-02-13 2017-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ucket for dehumidifier
USD791925S1 (en) * 2015-07-13 2017-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box for dehumidifier
WO2017213440A1 (ko) * 2016-06-08 2017-12-14 탁승호 공기 청정기
CN107327968A (zh) * 2017-06-29 2017-11-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空调室外机
CN109985263B (zh) * 2019-04-22 2021-05-04 上海阜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细胞存储设备
CN110279882A (zh) * 2019-07-03 2019-09-27 合肥卓畅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猪场用的消毒净化设备
CN111939704B (zh) * 2020-08-19 2022-04-15 东营市美城环境清洁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工程用除尘装置
CN112535914B (zh) * 2020-12-03 2023-02-28 江西天缘禽业有限公司 一种养禽业空气防病除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2109A (en) * 1932-05-23 1934-09-04 Air Way Electric Appl Corp Air conditioner
US2502137A (en) * 1946-04-25 1950-03-28 Walter L Fleisher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nd humidifying gaseous fluids such as air
US4943002A (en) * 1989-05-18 1990-07-24 Daniel Fraher Ash container
JPH05184992A (ja) * 1992-01-13 1993-07-27 Toshiba Corp 加湿器
JPH05340556A (ja) 1992-06-08 1993-12-21 Matsushita Seiko Co Ltd 局所冷房機の凝縮水処理装置
US5507543A (en) * 1993-01-26 1996-04-16 Shefflin; Joanne Reusable container for carrying baby feeding products
JP2700294B2 (ja) 1993-12-10 1998-01-19 日立冷熱株式会社 空調機
JPH08312993A (ja) * 1995-05-19 1996-11-26 Sharp Corp 室内設置型空気調和機の排水装置
US5944978A (en) * 1997-08-21 1999-08-31 Omco Co., Ltd. Cleaning method of an electrolyzed water forming apparatus and an electrolyzed water forming apparatus having mechanism for conducting the method
JP2002181358A (ja) 2000-10-04 2002-06-26 Denso Corp 加湿装置および加湿装置付き空調装置
US6843835B2 (en) * 2001-03-27 2005-0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ir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ir
JP2003001043A (ja) 2001-06-18 2003-01-07 Shimizu Corp 湿式汚染ガス除去装置の洗浄装置
JP2003093479A (ja) * 2001-07-18 2003-04-02 Sanyo Electric Co Ltd 殺菌方法及び電解水生成装置
US7407624B2 (en) * 2002-04-16 2008-08-05 Prompt Care, Inc. Method for abatement of allergens, pathogen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US7754157B2 (en) * 2002-07-08 2010-07-13 Panasonic Corporation Humidifier
JP2004245474A (ja) * 2003-02-13 2004-09-02 Sharp Corp 排水装置
JP2005007102A (ja) * 2003-06-16 2005-01-13 Mututry:Kk 小型電解水手洗装置
ES2223303B1 (es) 2003-08-14 2005-12-16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Equipo de climatizacion.
DE102004002461A1 (de) * 2004-01-16 2005-08-11 Siemens Ag Füllstandssensor zur Ermittlung eines Füllstandes an Kraftstoff in einem Kraftstoffbehälter und Bausatz für einen Füllstandssensor
JP4471742B2 (ja) * 2004-03-26 2010-06-02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および電解水噴霧装置
JP2005282902A (ja) 2004-03-29 2005-10-13 Toyotomi Co Ltd 空気調和機の満水制御装置
JP4913486B2 (ja) * 2006-07-05 2012-04-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ダクト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522B1 (ko) * 2020-09-16 2021-04-13 삼다도환경(주) 기화분사장치용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67900B2 (en) 2011-06-28
EP1930664A2 (en) 2008-06-11
KR100893476B1 (ko) 2009-04-17
EP1930664A3 (en) 2010-09-29
US20080098899A1 (en) 200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476B1 (ko) 공기 제균 장치
KR100872243B1 (ko) 공기 제균 장치
KR100875032B1 (ko) 공기 제균 장치
KR100884879B1 (ko) 공기 제균 장치
JP5261062B2 (ja) 空気除菌装置
JP5305770B2 (ja) 空気除菌装置
KR100924211B1 (ko) 공기 제균 장치
JP2008049002A (ja) 空気除菌装置
JP2008183182A (ja) 空気除菌装置
JP2009118903A (ja) 空気除菌装置
JP5340856B2 (ja) 空気除菌装置
JP5340850B2 (ja) 空気除菌装置
KR100802280B1 (ko)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KR20080018115A (ko) 이물질 제거 기구를 갖는 공기 제균 장치
JP2008109984A (ja) 空気除菌装置
JP2011177293A (ja) 空気除菌装置
JP2009106706A (ja) 空気除菌装置
JP2008109975A (ja) 空気除菌装置
JP2012029782A (ja) 空気浄化エレメント、及びこの空気浄化エレメントを組み込んだ空気清浄装置
JP2008109983A (ja) 空気除菌装置
JP2011045563A (ja) 空気除菌装置
JP2008125570A (ja) 空気除菌装置
JP2010207425A (ja) 空気除菌装置
JP2008183187A (ja) 空気除菌装置
JP2012010829A (ja) 空気除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