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043B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043B1
KR101304043B1 KR1020110081051A KR20110081051A KR101304043B1 KR 101304043 B1 KR101304043 B1 KR 101304043B1 KR 1020110081051 A KR1020110081051 A KR 1020110081051A KR 20110081051 A KR20110081051 A KR 20110081051A KR 101304043 B1 KR101304043 B1 KR 101304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pace
humidifier
water tank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9102A (ko
Inventor
김보현
문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043B1/ko
Publication of KR20130019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는, 외형을 이루며 흡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이 구비되는 물 탱크; 상기 흡입를 커버하고,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인 제 1 공간부를 가지는 흡입 패널; 및 상기 흡입 패널의 반대면에 위치하고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간부의 반대면에는, 상기 핸들과 상기 측면 패널의 접촉시 형성되는 공간인 제 2 공간부가 배치된다.

Description

가습기{Humidifier}
본 명세서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공기 중의 습도를 높이기 위하여 공기에 수분을 포함시켜 토출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가습기는,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는 초음파 가습기와, 유동하는 공기가 수분과 접촉하도록 하여 공기에 수분이 포함되도록 하는 자연기화식 가습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자연기화식 가습기는, 물이 저장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크 어셈블리와, 공기를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 측으로 송풍하기 위한 팬을 포함한다.
상기 가습기는 손잡이를 형성하면 운반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손잡이가 형성되는 공간만큼 가습기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어 손잡이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손잡이를 구비하여 운반이 용이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는, 외형을 이루며 흡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이 구비되는 물 탱크; 상기 흡입를 커버하고,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인 제 1 공간부를 가지는 흡입 패널; 및 상기 흡입 패널의 반대면에 위치하고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간부의 반대면에는, 상기 핸들과 상기 측면 패널의 접촉시 형성되는 공간인 제 2 공간부가 배치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가습기에는 상부 손잡이와 하부 손잡이가 형성되므로, 가습기의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의 사시도.
도 2 및 도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본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의 사시도 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 예의 가습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의 사시도 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가습기(1)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과, 물을 저장하며 상기 하우징(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 탱크(20)와, 상기 하우징(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물 탱크(2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트레이(30)와, 상기 트레이(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크 어셈블리(40)와,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40) 측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팬 모터 어셈블리(50)와,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40)를 회전시키기 위한 디스크 구동부(60)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하우징(10)에 착탈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파지부(340) 하측에 제 4 공간부(14)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340)를 잡기 쉽게 한다.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40)가 설치된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하측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0)가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면,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40)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방에 위치된다. 즉, 공기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50)에서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를 향하여 하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물 탱크(20)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210)과, 상기 저수부(210)를 개폐하는 뚜껑(220)과, 상기 물 탱크(2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핸들(230)과, 상기 핸들(230) 및 저수부(210)을 연결하는 커넥터(24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230)은 상기 커넥터(2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물 탱크(20)가 상기 하우징(10)에서 분리된 때에, 사용자는 상기 핸들(230)을 파지하여 상기 물 탱크(20)를 운반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는 상기 트레이(30)가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는 상기 하우징(10)에 장착 되었을 때 상기 가습기(1)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패널(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250)에는 제 2 공간부(26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공간부(260)의 상측에 상기 핸들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물 탱크(20)가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물 탱크(20)가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된 때에, 상기 제 2 공간부(260)를 통해 상기 핸들(230)을 파지한 후 당기면, 상기 물 탱크(230)를 상기 하우징(10)에서 분리 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가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물 탱크(20)는 상기 트레이(30)의 상측에 안착된다. 상기 물 탱크(20)가 상기 트레이(30)의 상측에 안착되면, 상기 물 탱크(20)의 물이 상기 트레이(3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물 탱크(20)에서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공급 챔버(310)와, 상기 공급 챔버(310)에서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 챔버(320)와, 상기 저장 챔버(320)와 상기 공급 챔버(310)를 구획하는 구획벽(330)을 포함한다. 상기 구획벽(330)에는 상기 공급 챔버(310)의 물이 상기 저장 챔버(320)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홀(332)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40)는 다수의 디스크(410)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디스크(410)의 일 부분은 상기 저장 챔버(320)에 저장된 물에 잠긴다. 상기 저장 챔버(320)에는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4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2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322)에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4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40)는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40)가 상기 지지부(3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40)의 하단은 상기 저장 챔버(320)의 바닥과 이격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디스크 구동부(60)가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30)가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면 상기 디스크 구동부(60)가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40)에 연결된다.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50)는, 팬 하우징(510)과, 상기 팬 하우징(510) 내에 설치되는 팬(520)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 모터(5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팬 하우징(510)은 후술할 흡입구(101)와 연통된다. 상기 팬 하우징(510)의 토출부(512) 내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54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54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40) 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저장 챔버(320)에 저장된 물에 일부가 잠겨 차아염소산(HOCl)을 생성하는 전극 어셈블리(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어셈블리(70)는 상기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시되지 않은 링크에 연결된다. 상기 링크는 상기 물 탱크(20)에 의해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가 미장착되면, 상기 전극 어셈블리(70)는 상기 트레이(30)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에서 회피하여 위치하게 되고, 상기 물 탱크(20)가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면, 상기 링크가 상기 전극 어셈블리(70)를 동작시켜 상기 전극 어셈블리(70)의 전극이 상기 저장 챔버(320)에 저장된 물에 잠기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01)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01)는 흡입 패널(102)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흡입 패널(102)은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하우징(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흡입 패널(102) 내측에는 상기 흡입구(101)로 흡입되는 공기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01)는 일 례로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물 탱크(20)가 장착되는 면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에는 가습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103)가 형성된다. 일 례로 상기 토출구(103)는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토출구(103)를 개폐하며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루버(105)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흡입구(101)와 상기 토출구(103)의 형성 위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제 2 공간부(260)의 반대편에 제 1 공간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공간부(110)는 상기 팬 하우징(510)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공간부(110)를 통해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01)가 상기 물 탱크(20)가 장착되는 면의 반대편에 형성된 경우, 상기 제 1 공간부(11)는 상기 흡입 패널(10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부(11)의 높이는 상기 물 탱크(20)가 상기 하우징(20)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상기 제2공간부(11)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공간부(11)에 손을 넣어 상기 흡입패널(101)을 파지하여 상기 흡입 패널(101)을 회전시켜 상기 필터가 노출되도록 한 후, 상기 필터를 교체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제 4 공간부(14) 반대편에 제 3 공간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제 3 공간부(13)는 상기 흡입 패널(102)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부(11)가 형성 되는 상기 흡입패널(102)과 상기 제 2 공간부(260)가 형성되는 상기 핸들(230) 및 측면패널(250)은 상기 가습기(10)를 운반 할 때, 상부 손잡이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공간부(11) 주위의 상기 흡입패널(102)은 제 1 상부 손잡이로, 상기 제 2 공간부(260)주위의 상기 핸들(230) 및 측면패널(250)은 제 2 상부 손잡이가 된다.
또한, 상기 제 3 공간부(13) 주위의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제 4 공간부(14) 주위의 상기 파지부(340)는 상기 가습기(10)를 운반 할 때, 하부 손잡이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공간부(13) 주위의 상기 하우징(10)은 제 1 하부 손잡이로, 상기 제 4 공간부(14) 주위의 상기 파지부(340)는 제 2 하부 손잡이가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가습기(1)가 상부 손잡이와 하부 손잡이를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상부 손잡이나 하부 손잡이를 잡고 상기 가습기(1)를 운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가습기가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상부 손잡이를 잡고 상기 가습기를 운반할 수 있고, 가습기가 소정 높이에 놓여진 경우에는 사용자는 하부 손잡이를 잡고 상기 가습기를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공간부(11) 주위의 상기 흡입 패널(102)과 상기 제 2 공간부(260) 주위의 상기 물 탱크(20)가 상부 손잡이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손잡이를 하우징에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하우징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가습기에서의 공기 유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습기(1)의 전원이 온되면, 상기 팬(520)의 회전에 의해서 공기가 상기 흡입구(101)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팬 하우징(510)을 유동한 후에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40) 측으로 토출된다.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40)는 상기 디스크 구동부(60)에 의해서 도 3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어셈블리(4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각 디스크(410)는 물에 적셔지고, 상기 팬 하우징(51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각 디스크(410)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수분을 함유하게 된다.
가습된 공기는 상기 팬 하우징(510)과 상기 하우징(10) 사이 공간을 유동한 후에 상기 토출구(103)를 통하여 상기 가습기(1)의 외부로 토출된다.
10: 하우징 11: 제 1 공간부
13: 제 3 공간부 14: 제 4 공간부
20: 물 탱크

Claims (6)

  1. 외형을 이루며 흡입구(101)가 형성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230)이 구비되는 물 탱크(200);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고,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인 제 1 공간부(11)를 가지는 흡입 패널(102); 및
    상기 흡입 패널(102)의 반대면에 위치하고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패널(25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간부(11)의 반대면에는,
    상기 핸들(230)과 상기 측면 패널(250)의 접촉시 형성되는 공간인 제 2 공간부(260)가 배치되는 가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20)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210); 및
    상기 핸들(230) 및 저수부(210)를 연결하는 커넥터(240)를 포함하는 가습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20)가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공간부(11)의 높이와 상기 제2공간부(260)의 높이는 동일한 가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2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을 저장하고, 상기 하우징(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트레이(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30)에는 착탈 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3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30)가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면,
    상기 파지부(340) 및 하우징(10)은, 제 3 공간부(13)를 형성하는 가습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제 3 공간부(13)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4 공간부(14)를 포함하는 가습기.
KR1020110081051A 2011-08-16 2011-08-16 가습기 KR101304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051A KR101304043B1 (ko) 2011-08-16 2011-08-16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051A KR101304043B1 (ko) 2011-08-16 2011-08-16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102A KR20130019102A (ko) 2013-02-26
KR101304043B1 true KR101304043B1 (ko) 2013-09-04

Family

ID=4789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051A KR101304043B1 (ko) 2011-08-16 2011-08-16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0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9579A (ja) * 1993-02-05 1994-08-16 Matsushita Seiko Co Ltd 局所冷房機のドレンタンク装置
JP2008224188A (ja) * 2007-03-15 2008-09-25 Mitsubishi Electric Corp 加湿装置
KR100893476B1 (ko) * 2006-10-30 2009-04-1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제균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9579A (ja) * 1993-02-05 1994-08-16 Matsushita Seiko Co Ltd 局所冷房機のドレンタンク装置
KR100893476B1 (ko) * 2006-10-30 2009-04-1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제균 장치
JP2008224188A (ja) * 2007-03-15 2008-09-25 Mitsubishi Electric Corp 加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102A (ko)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0168B2 (ja) 加湿器
CN111238020B (zh) 加湿器
CN102042662B (zh) 空气清洁加湿器及其盘组件
KR101691259B1 (ko) 가습기
JP2003302077A (ja) 加湿器
KR102054286B1 (ko) 회전형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가습기
CN102003763A (zh) 空气清洁加湿器
KR101335145B1 (ko) 가습기
KR101325876B1 (ko) 가습기
KR101304043B1 (ko) 가습기
KR101335110B1 (ko) 가습기
KR101270356B1 (ko) 가습기
KR101304113B1 (ko) 가습기 및 그의 탱크
KR101304074B1 (ko) 가습기
KR20200086972A (ko) 가습기
KR101303999B1 (ko) 가습기
KR20200086971A (ko) 회전가습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KR20130074164A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335189B1 (ko) 가습기
JP5630787B2 (ja) 空気循環パネル
KR101335113B1 (ko) 가습기
KR20130019213A (ko) 가습기
KR101323972B1 (ko) 가습기
KR20130015446A (ko) 가습기 및 그의 디스크 어셈블리
KR101304161B1 (ko)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