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5480A -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5480A
KR20080035480A KR1020070104863A KR20070104863A KR20080035480A KR 20080035480 A KR20080035480 A KR 20080035480A KR 1020070104863 A KR1020070104863 A KR 1020070104863A KR 20070104863 A KR20070104863 A KR 20070104863A KR 20080035480 A KR20080035480 A KR 20080035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vertical
slide
stat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2329B1 (ko
Inventor
아야꼬 구우가
고오이찌 마쯔다
기미아끼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5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에 있어서, 전체적인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제 1 케이싱을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 및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 1 케이싱을 횡형상태로 했을 때 통상 키 배치에서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긴 종형 액정표시부(2)를 갖는 제 1 케이싱(3)과, 표면에 조작부(4)를 갖는 제 2 케이싱(5)을 슬라이드 자유롭게 연결하는 슬라이드기구(25)를 배치한다. 이 슬라이드기구(25)는, 제 2 케이싱(5)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된 레일부(26)를 포함하며, 슬라이드기구(25)에 의해, 제 1 케이싱(3)을 제 2 케이싱(5)의 상단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켰을 때, 제 2 케이싱(5)의 조작부(4)가 나타나도록 구성된다. 또한, 캠기구(10)(지지기구)에 의해, 제 1 케이싱(3)을 제 2 케이싱(5)에 대하여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한다.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캠기구, 슬라이드기구, 링부재, 제 1 규제부재, 회전방지용 돌기, 제 2 규제부재

Description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나 휴대통신기기 등의,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이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연결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근래, 지상디지털TV방송 고유의 서비스로서 주목을 모으고 있는, 휴대전화기나 휴대통신기기를 위한 1세그먼트 부분수신 서비스가 개시되고, 이 서비스는 "원세그"라 불린다.
"원세그"는, 지상디지털TV방송의 6MHz 대역을 13개의 세그먼트로 나누어 송신하는, 일본 독자적인 방송방식에 의해 실현된 서비스로서, 13개 중 가운데의 세그먼트 하나만으로 영상, 음성, 데이터가 얻어진다. 또, 통상의 텔레비전과 다른 점은, 이동 중에도 TV영상이 흔들리지 않고 수신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어, 앞으로 더욱 이용자가 늘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써, 휴대전화기나 휴대통신기기는, TV수신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불가결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휴대전화기에서, 그 주된 기능은 여전히 통화기능이며, 또 그 휴대성을 위해 소형화, 경량화가 상품성 면에서 중요해졌다. 사용이 편리한 면을 중시하여 휴대전화기는, 가로 폭을 제한한 종형 형상을 취한다.
상기 휴대전화기의 표시부가 종형상태로 고정되면, 횡형 화상을 표시할 경우에 세로로 긴 화면에 들어가도록 축소표시 하거나, 또는 가로 스크롤 조작으로 화상 전체를 보도록 해야했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2006-115109호 공보와 같이, 조작부가 형성된 본체와, 본체 조작부 쪽에 겹쳐 조정된 상태에서 조작부를 따라 슬라이딩 자유롭게 접속된 덮개체로 이루어진 휴대정보단말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식 휴대정보단말에서는, 덮개체와 본체를 겹친 상태에서, 덮개체에 구성된 표시부가 횡형상태로 되도록 가로로 하여 쥐면 횡형상태에서의 TV수신은 가능하다.
그런데, 지상디지털TV방송은, 종래의 아날로그TV방송과 달리, TV 퀴즈방송에 참가하거나, TV쇼핑, 은행송금 등을 TV를 통해 이용하거나 하는, 이른바 쌍방향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지상디지털TV방송을 휴대전화기 등으로 시청 가능하게 할 경우, 표시부에서 화상을 보면서 조작부에서 키 조작을 할 필요가 더욱 높아진다.
그러나, 상기 일본특허공개 2006-115109호 공보에서는, 덮개체에는 간단한 조작키밖에 배치되지 않으며, 또 덮개체를 슬라이딩시켜 표시부를 나타낸 상태에서 횡형상태로 하여 쥐면, 조작부도 90도 회전된 상태가 되므로, 조작키에 표시된 표시도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보게 되고, 또한 보통 때와 다른 조작키 배치가 되므로 입력조작이 매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2003-33866호 공보에서는, 휴대전화기를 다이얼버튼 등의 버튼군 및 각종 전자회로를 수납한 본체와, 본체에 겹쳐 설치하도록 이 본체와 동일 사이즈를 갖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한다. 본체는, 그 표면 쪽 상부에, 돌기 위에 원형의 판이 붙여진 핀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부는, 단면 T자형 홈으로 구성되는 캠부를 구비하며, 이 캠부는 디스플레이부 이면의 종형방향으로 상단에서 거의 중앙위치까지 이어지고, 상기 본체에 설치된 핀과 결합하여, 즉, 이 본체 핀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캠부를 삽입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휴대전화기에서는, TV쇼핑 등의 쌍방향서비스 TV방송을 수신하는 경우나 영문메일을 작성하는 등의 경우, 표시부를 횡형상태로 한 상태에서 통상의 키 조작이 이루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특허공개 2003-33866호의 휴대전화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슬라이드이동이나 회전 중심인 핀은 본체 상단에 위치하며, 또 1개의 핀만으로 디스플레이부가 외팔보형 지지되어 슬라이드이동 및 회전시키기 위한 균형이 나쁘며, 경시적으로는 흔들림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핀이 본체 상단에 있는 점에서, 디스플레이부를 횡형상태로 했을 때 디스플레이부 상단이 본체 상단에서 더 위로 배치되어, 테이블 위에 방치했을 때의 안정감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역으로, 핀을 본체 상단에서 아래로 내려 안정감을 증대시키도록 하면, 조작부 영역을 좁게 해야 하므로, 이상적인 버튼배치를 원하는 대로 할 수 없게 되어 조작성이 나빠진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제품의 외형을 크게 할 수밖에 없으며, 그리되면 휴대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여러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전체적인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제 1 케이싱을 안정되게 슬라이드이동 및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하여, 제 1 케이싱을 횡형상태로 했을 때, 통상의 키 배치로 조작이 가능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을 얻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레일부 위 슬라이딩이 자유로운 제 1 케이싱을, 제 2 케이싱에 대해 다시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구성시킨다.
구체적으로 제 1 발명에서는,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긴 종형 표시부를 갖는 제 1 케이싱과, 표면에 조작부를 갖는 제 2 케이싱과, 상기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슬라이딩 자유롭게 연결하는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을 대상으로 하며, 상기 슬라이드기구는, 상기 제 2 케이싱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된 레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싱을 제 2 케이싱의 상단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제 2 케이싱의 조작부가 나타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은, 상기 제 1 케이싱을 제 2 케이싱에 대해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은, 슬라이드기구의 레일부에 의해 제 2 케이싱의 상단 쪽으로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한 후, 제 2 케이싱 조작부가 나타나 통화나 메일 통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지기구에 의해, 제 1 케이싱이 제 2 케이싱에 대해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해지므로, 표시부를 출현시킨 상태에서 제 1 케이싱을 횡형상태로 전환함으로써, 횡형상태의 화면을 보면서 통상의 키 배치로 조작이 가능해진다.
제 2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드기구는, 상기 제 1 케이싱 이면과 상기 제 2 케이싱 표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부 위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플레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플레이트부에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레일부 위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플레이트부에 지지기구를 구성시키는 구조로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슬라이드이동 및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 플레이트부나 지지기구가 제 1 케이싱 이면과 제 2 케이싱 표면 사이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배치되므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이 소형화된다.
제 3 발명에서, 상기 지지기구는 캠기구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캠기구의 홈 형상이나 배치를 응용함으로써, 적절한 제 1 케이싱 전환조작에서의 회전이동 궤적의 제어가 가능해져, 슬라이드식 휴대기 전체적인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제 4 발명에서 상기 캠기구는, 제 1 케이싱의 하단측 코너부가 직선형상의 궤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케이싱의 종형상태와 횡형상태 전환을 안내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의 종형상태와 횡형상태 전환의 궤적이 직선형으로 되므로, 제 1 케이싱의 종형상태와 횡형상태 전환 시의 움직임이 원활해져 전환조작이 용이해진다.
제 5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케이싱의 종형상태와 횡형상태에서 좌우방향 중앙부가, 각각 제 2 케이싱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이 횡형상태에서도, 이 제 1 케이싱이 제 2 케이싱의 거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하므로, 한 손에 쥐었을 때나 테이블에 놓았을 때 안정성이 좋으며, 또 외관상으로도 좋다.
제 6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케이싱이 횡형상태로 됐을 때, 아래쪽에 조작부가 나타나며, 표면에서 보았을 때 T자형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횡형상태의 표시부를 보면서, 한 손에 제 2 케이싱을 쥐고 통상의 키 배치로 조작이 이루어진다.
제 7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케이싱을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시켰을 때, 횡형상태의 제 1 케이싱 윗변과 제 2 케이싱 윗변이 일치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이 횡형상태일 때 제 1 케이싱이 제 2 케이싱 상단에서 튀어나오지 않으므로, 테이블에서도 안정되며 외관상으로도 좋다.
제 8 발명에서 상기 캠기구는 상기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이어지면서 중앙이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된 곡선형 좌우방향 가이드 홈과, 상기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상하방향 가이드 홈과, 상기 제 1 케이싱의 이면 쪽에 형성되며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하는 제 1 가이드핀과, 상기 제 1 케이싱 이면 쪽에 형성되며 상기 상하방향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하는 제 2 가이드핀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캠기구에 의해, 제 1 케이싱의 제 1 가이드핀이 좌우방향 가이드 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시에, 제 1 케이싱의 제 2 가이드핀이 상하방향 가이드 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캠기구에 의한 이동규제에 따라 제 1 케이싱은, 그 하단측 코너부가 직선형 궤적을 갖고 이동하도록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된다. 또, 캠기구에 의해, 한번에 상하방향의 이동과 회전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제 1 및 제 2 가이드핀을 제 2 케이싱 상단 쪽에 배치할 필요 없이, 이들 제 2 케이싱 중간부에 배치된 2개의 가이드핀으로 제 1 케이싱이 제 2 케이싱에 지지되므로, 제 1 케이싱의 흔들림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제 9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케이싱이 제 2 케이싱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안, 이 제 1 케이싱이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규제하는 제 1 규제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규제부재에 의해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이동 도중에 제 1 케이싱이 회전하는 일은 없으므로, 슬라이드이동이 확실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제 10 발명에서 상기 제 1 케이싱 이면에는, 회전방지용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규제부재는, 상기 회전방지용 돌기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규제부재가 제 1 케이싱 이면에 형성된 회전방지용 돌기의 움직임을 규제하므로, 제 1 케이싱이 슬라이드이동 도중에 회전하는 일이 없으며, 슬라이드이동이 확실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제 11 발명에서 상기 제 1 규제부재는, 상기 제 2 케이싱 표면에 형성된 직선형 규제용 돌기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방지용 돌기 근방에 위치하여 제 1 케이싱이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회전방지용 돌기의 규제를 실행하여, 슬라이드이동이 확실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제 12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케이싱이 제 2 케이싱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회전방지용 돌기가 상기 규제용 돌기봉 근방을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드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회전방지용 돌기가 상기 규제용 돌기봉에 서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이 슬라이드 이동할 때는, 제 1 케이싱을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면, 회전방지용 돌기가 규제용 돌기봉에 접촉하므로, 그 전환 이동이 규제되어 제 1 케이싱이 횡형상태로 전환되는 일이 없다. 한편, 슬라이드이동이 완료되어 회전방지용 돌기가 규제용 돌기봉에서 떨어짐으로써, 회전방지용 돌기의 규제가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해지므로, 제 1 케이싱이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된다.
제 13 발명에서 상기 회전방지용 돌기는, 상기 제 1 가이드핀 및 제 2 가이드핀보다 상기 제 2 케이싱 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규제용 돌기봉의 높이를 제 1 가이드핀 및 제 2 가이드핀에는 접촉하지 않고 회전방지용 돌기에는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슬라이드이동 도중에는 제 1 케이싱이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규제하면서, 슬라이드이동 후에는 제 1 케이싱의 전환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 14 발명에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회전방지용 돌기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위쪽이 개방된 접촉방지용 개구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회전방지용 돌기가 제 1 케이싱을 횡방향상태 또는 종방향상태로 전환 도중에 플레이트부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잘린 부분의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제 15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이동을 완료시켜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시킨 상태에서, 제 1 케이싱이 다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규 제하는 제 2 규제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이 횡형상태로 되었을 때, 제 2 규제부재에 의해 제 1 케이싱이 다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일이 없으므로 횡형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로써 횡형상태에서의 조작성이 좋아진다. 한편, 횡형상태에서 종형상태로 돌아온 후에는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해지도록 하면 된다.
제 16 발명에서 상기 제 2 규제부재는, 제 1 가이드 핀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의 전환조작에 있어서, 좌우로 이동하는 제 1 가이드 핀을 제 2 규제부재로 규제하도록 함으로써, 횡형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제 1 케이싱이 다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면서, 제 1 케이싱이 횡형상태에서 종형상태로 돌아옴으로써 제 1 가이드 핀이 이동하여 제 2 규제부재로부터 떨어지고, 제 1 케이싱이 슬라이딩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이동 해제가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제 17 발명에서 상기 제 2 규제부재는, 제 1 케이싱이 횡형상태일 때의 제 2 케이싱에서 제 1 가이드 핀 근방에 돌출 형성된 규제용 돌기로 이루어지며, 제 1 케이싱이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의 전환조작으로 좌우 이동하는 제 1 가이드 핀을, 돌기로 이루어진 제 2 규제부재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함으로써,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이동이 방지된다. 제 2 규제부재는 돌기로 이루어지므로, 작은 면적을 점유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제 1 케이싱의 전환조작이나 슬라이드이동에 있어서 제 2 규제부재가 이들 움직임의 장애가 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 18 발명에서 상기 상하방향 가이드 홈은, 상기 레일부에 평행이다.
제 19 발명에서 상기 상하방향 가이드 홈은, 상기 레일부에 경사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하방향 가이드 홈의 경사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좌우방향 가이드 홈을 원호형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케이싱의 전환조작이 원활해진다. 또 상하방향 가이드 홈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상하방향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부재를 상하방향 가이드 홈 근방까지 컷팅할 수 있어, 그 부분의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제 20 발명에서 상기 상하방향 가이드 홈은, 만곡된 곡선형상을 갖는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하방향 가이드 홈을 적절히 만곡시키고, 그에 맞추어 좌우방향 가이드 홈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제 1 케이싱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거나, 상하방향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부재를 컷팅하여, 그 부분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도모하거나 할 수 있다.
제 21 발명에서 상기 지지기구에는, 한끝이 상기 제 1 가이드핀에 고정되고, 다른 끝이 상기 플레이트부에 고정되며, 제 1 케이싱이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되도록 힘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에 대한 탄성부재 탄성력의 작용을 조정함으로써, 제 1 케이싱을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혹은 횡형상태에서 종형상태로의 전환, 또는 그 양쪽 전환이 탄성부재에 의해 보조된다.
제 22 발명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홈의 최상점 근방에서 가장 압축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좌우방향 가이드 홈의 최상점 근방에서 탄성부재의 힘이 가장 크게 모아지고, 이 최상점을 초과함으로써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혹은 횡형상태에서 종형상태로의 전환이 탄성부재에 의해 보조된다.
제 23 발명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꼬임코일스프링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간단하며 쉬이 망가지지 않는 구성으로 탄성부재가 실현된다.
제 24 발명에서 상기 지지기구는 링부재를 구비하며, 이 링부재의 이면 쪽에 상기 제 1 가이드핀과 제 2 가이드핀이 배치되고, 표면 쪽이 상기 제 1 케이싱에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링부재를 제 1 케이싱에 설치함으로써, 제 1 가이드핀과 제 2 가이드핀이 제 1 케이싱의 정해진 위치에 설치된다.
제 25 발명에서 상기 플레이트부와 링부재는 유닛 조립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레이트부와 링부재를 유닛 조립함으로써, 제 1 가이드핀과 제 2 가이드핀을 각 가이드 홈 내에 정밀도 좋게 배치할 수 있음과 더불어, 지지기구가 제 1 케이싱에 용이하게 조립된다. 또, 플레이트부를 레일부에 끼움으로써, 제 1 케이싱이 제 2 케이싱에 용이하게 조립된다.
제 26 발명에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판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공이 용이하며 저가이다.
제 27 발명에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마그네슘합금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강성이 높고 내구성을 가진 경량 박형의 플레이트부를 얻을 수 있어, 가이드 홈을 형성해도 전체적인 강도가 유지된다.
제 28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는, 액정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정디스플레이는 유기EL디스플레이에 비해 저가이며 수명이 길다.
제 29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는, 유기EL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유기EL디스플레이는 자발광을 발하므로 소비전력이 작고, 액정디스플레이에 비해 시야각이 넓으며, 또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박형화가 가능하다.
제 30 발명에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은 휴대통신기기인 것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횡형상태의 표시부를 보면서 통상의 키 배치로 조작이 가능한 슬라이드식 휴대통신기기가 얻어진다.
제 31 발명에서 휴대통신기기는 휴대전화기인 것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휴대성이나 디자인이 중시되는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소형이며 조작성이 좋아 쾌적한 TV시청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적인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제 1 케이싱을 안정되게 슬라이드이동 및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 1 케이싱을 횡형상태로 했을 때, 통상의 키 배치로 조작이 가능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이 얻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슬라이딩 전 상태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로서의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를 나타낸 정면도와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제 1 케이싱(3)을 제 2 케이싱(5)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한 슬라이딩 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와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슬라이딩 후 상태인 다음, 제 1 케이싱(3)을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시키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와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제 1 케이싱(3)을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와 우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는, 표면에 표시부로서의 액정표시부(2)를 갖는 제 1 케이싱(3)과, 표면에 조작부(4)를 갖는 제 2 케이싱(5)을 구비한다. 이들 제 1 케이싱(3)과 제 2 케이싱(5)은, 슬라이드기구(25)에 의해 제 2 케이싱(5)의 길이방향(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자유롭게 연결된다. 제 1 케이싱(3)과 제 2 케이싱(5)은, 도시하지 않는 접속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는, 도 1에 나타낸 소형의, 슬라이딩 전 상태와 도 2에 나타낸 슬라이딩 후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 1 케이싱(3)은, 종형상태에서의 하단부가 직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액정표시부(2)는, 상하방향으로 긴 장방형이며, 제 1 케이싱(3) 표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치된다. 제 1 케이싱(3)의 종형상태에서 상단 쪽에 통화용 스피커부(도시 생략)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케이싱(3)의 각 코너부는 하단쪽 코너부(3a)를 포함하여, 디자인 또는 안전상의 관점에서 둥근 모깎기 처리된다.
상기 제 2 케이싱(5)의 조작부(4)에는 아래쪽에 복수의 입력버튼(7)이 배치되고, 그 위쪽에 기능버튼(8)이 배치된다. 이들 입력버튼(7) 및 기능버튼(8)은,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 전체를 종형으로 쥐었을 때 키 입력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또 그 표면에 표시가 부착된다. 이 입력버튼(7) 및 기능버튼(8)을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의 다수 기능이 이용되도록 구성된다. 조작부(4)는, 제 1 케이싱(3)을 제 2 케이싱(5)에 대해 위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켰을 때 출현하도록 구성된다. 또, 제 2 케이싱(5)에는, 도시하지 않는 통화용 마이크부가 배치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에서는 액정표시부(2)가 종형상태와 횡형상태 어느 쪽에서도, 사용자는 액정표시부(2)를 보면서 같은 종형상태의 배치인 조작부(4)의 입력버튼(7) 및 기능버튼(8)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 1 케이싱(3)이 횡형상태가 됐을 때도 아래쪽에 조작부(4)가 출현하고, 표면에서 보았을 때 거의 T자형이 되어, 횡형상태의 액정표시부(2)를 보면서 한 손에 제 2 케이싱(5)을 쥐고 통상의 키 배치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제 1 케이싱(3)의 종형상태와 횡형상태에서의 좌우방향 중 앙부가, 각각 제 2 케이싱(5)의 거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한다. 또한, 횡형상태의 제 1 케이싱(3) 윗변(3b)(종형상태에서의 좌변)과 제 2 케이싱(5) 윗변(5a)이 일치하여, 외관상으로도 좋게 구성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기구(25)는, 상기 제 2 케이싱(5)의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레일부(26)를 구비한다. 이 레일부(26)는, 제 2 케이싱(5) 표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평행 봉형부재(26a)와, 이 봉형부재(26a) 안쪽에 형성된 오목형 홈(26b)을 구비한다. 슬라이드기구(25)는, 상기 제 1 케이싱(3) 이면과 상기 제 2 케이싱(5) 표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부(26) 위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플레이트부(16)를 구비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플레이트부(16)는, 예를 들어 판금으로 이루어진다. 판금이라면, 가공이 용이하고 저가이다. 이 플레이트부(16)는, 좌우 이면 쪽으로 구부러진 절곡부(16a)를 가지며, 이 절곡부(16a)를 상기 레일부(26)에 끼움으로써, 플레이트부(16)가 레일부(26) 위를 상하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 레일부(26)에서의 이탈이 방지된다. 예를 들어, 레일부(26) 상하단부에 스토퍼(26c)를 형성함으로써, 이 슬라이드이동 범위가 규제된다. 플레이트부(16)에 제 1 케이싱(3)이 지지기구로서의 캠기구(10)를 개재하고 지지되며, 이 제 1 케이싱(3)을 제 2 케이싱(5) 상단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켰을 때, 제 2 케이싱(5)의 조작부(4)가 나타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제 1 케이싱(3)이 위로 슬라이드 이동한 상태와 각 핀이나 돌기가 이동한 위치를 나타낸다. 도 7은, 제 1 케이싱(3)이 위로 슬라이드 이동한 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제 1 케이싱(3)이 도 7의 상태에서 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캠기구(10)는, 상기 플레이트부(16)에 구성된다. 캠기구(10)에 의해, 제 1 케이싱(3)이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된다. 캠기구(10)는, 플레이트부(16)에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이어지며 또 가운데가 볼록형상으로 만곡된 곡선형의 좌우방향 가이드 홈(12)과, 플레이트부(16)에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직선형의 상하방향 가이드 홈(14)과, 제 1 케이싱(3) 이면 쪽에 배치되며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홈(12)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 1 가이드 핀(13)과, 제 1 케이싱(3) 이면 쪽에 배치되며 상기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 2 가이드 핀(15)을 구비한다.
즉, 좌우방향 가이드 홈(12)은, 가운데가 볼록형으로 만곡된 곡선형 개구로 구성되며,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를 표면에서 보았을 때, 그 중심부가 제 1 케이싱(3) 좌측으로 오프셋 배치된다.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은, 좌우방향 가이드 홈(12)의 중앙부 볼록형상의 최상부 위쪽에 형성된 직선형 개구의 주연부로 이루어진다. 제 1 케이싱(3)이 종형상태일 때, 제 2 가이드 핀(15)은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의 표면 쪽에서 보아 제 1 케이싱(3) 중앙에서 약간 왼쪽 아래에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 1 케이싱(3) 배면에는, 금속제의 링부재(18)가 장착된다. 이 링부재(18)는, 제 1 케이싱(3)의 이면 쪽에 체결 또는 위치결정을 위한 관통공(18a)이 형성된 판상의 설치부(18b)와, 이 설치부(18b)에서 측면시 L자형으로 연 속되는 선단부(18c)를 갖는다. 상기 제 1 가이드 핀(13)은, 링부재(18)의 일단측, 즉, 설치부(18b) 선단에 플레이트부(16) 쪽으로 수직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2 가이드 핀(15)은, 상기 링부재(18)의 타단측, 즉, 선단부(18c) 단부에 플레이트부(16) 쪽으로 수직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들 가이드 핀(13, 15)은, 선단에 가이드 홈(12, 14)보다 큰 지름의 환형부(13a, 15a)가 형성된다. 이 환형부(13a, 15a)가 가이드 홈(12, 14) 둘레를 각각 미끄럼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가이드 핀(13, 15)이 가이드 홈(12, 14)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며, 제 1 케이싱(3)이 플레이트부(16)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제 1 가이드 핀(13)의 환형부(13a)는, 제 2 가이드 핀(15)의 환형부(15a)보다 더 뒤쪽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링부재(18)는, 이면 쪽으로 상기 제 1 가이드 핀(13)과 제 2 가이드 핀(15)이 배치되며, 표면 쪽을 관통공(18a)에 삽입시킨 비스(40)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 1 케이싱(3)에 설치된다. 링부재(18)를 제 1 케이싱(3)에 설치함으로써, 제 1 가이드 핀(13)과 제 2 가이드 핀(15)이 제 1 케이싱(3)의 정해진 위치에 설치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은, 상기 레일부(26)(절곡부(16a))에 대해 경사진다. 또, 플레이트부(16)의 위쪽 중앙에는, 상단이 개방된 접촉방지용 개구(16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의 경사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좌우방향 가이드 홈(12)을 원호형으로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 1 케이싱(3)의 전환동작이 원활해진다. 또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접촉방지용 개구(16b)를 형성한 경우에도, 상하방향 가이드 홈(14)과 접촉방지용 개구(16b) 사이에 보강을 취하기 쉽다. 상기 플레이트부(16)의 하측 중앙 표면에는, 스프링 고정핀(19)이 표면 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캠기구(10)에는, 한끝(20a)이 상기 제 1 가이드 핀(13)에 고정되고, 다른 끝(20b)이 스프링 고정핀(19)에 고정되어, 제 1 케이싱(3)이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되도록 힘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로서의 꼬임코일 스프링(20)이 배치된다. 꼬임코일 스프링(20)은, 스프링 고정핀(19)을 중심으로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탄성력으로, 제 1 케이싱(3)이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되는 것에 힘을 작용시키며, 또 횡형상태에서 종형상태로 되는 것에 힘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된다. 혹은,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될 때만을 우선하여 힘을 작용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한 손만으로 원터치 조작하여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꼬임코일 스프링(20)은,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홈(12)의 최상점 근방(도 7에 도시)에서 가장 압축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좌우방향 가이드 홈(12)의 최상점 근방에서 꼬임코일 스프링(20)의 힘이 가장 모아지고, 이 최상점을 초과함으로써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혹은 횡형상태에서 종형상태로의 전환이 꼬임코일 스프링(20)에 의해 보조된다.
이와 같이, 레일부(26) 위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플레이트부(16)에 캠기구(10)를 배치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슬라이드이동 및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의 전환조작이 가능해진다. 또, 플레이트부(16)나 캠기구(10)가 제 1 케이싱(3) 이면과 제 2 케이싱(5) 표면 사이의 한정된 면적에 배치 되므로,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가 소형화된다.
플레이트부(16)와 링부재(18) 및 꼬임코일 스프링(20)은, 유닛 조립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유닛 조립된 캠기구(10)를 제 1 케이싱(3)에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캠기구(10)의 조립 설치가 용이해짐과 더불어, 제 1 가이드 핀(13)과 제 2 가이드 핀(15)이 각 가이드 홈(12, 14) 내에 정밀도 좋게 배치된다. 또, 플레이트부(16)를 레일부(26)에 끼움으로써, 제 1 케이싱(3)이 제 2 케이싱(5)에 용이하게 조립 설치된다. 또, 캠기구(10)를 금속부재로 구성함으로써, 그 움직임이 유연해지며, 또 그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케이싱(5) 표면에는, 제 1 규제부재로서의 규제용 돌기봉(30)이 형성된다. 규제용 돌기봉(30)은, 상하방향 일정 높이로 이어지는 직선형 돌기봉으로 이루어지며, 제 1 케이싱(3)이 제 2 케이싱(5)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안, 제 1 케이싱(3)이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한편, 제 1 케이싱(3)의 표면에서 보아 중심에서 약간 왼쪽 이면에는, 회전방지용 돌기(31)가 돌출 형성된다. 회전방지용 돌기(31)는, 상기 제 1 가이드 핀(13) 및 제 2 가이드 핀(15)보다 제 2 케이싱(5) 쪽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규제용 돌기봉(30)은, 회전방지용 돌기(31) 근방에 위치하여 회전방지용 돌기(31)의 움직임을 규제함으로써, 제 1 케이싱(3)이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케이싱(3)이 제 2 케이싱(5)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안, 회전방지용 돌기(31)가 규제용 돌기봉(30) 근방을 슬라이드 이동하며, 그 동안 회전방지용 돌기(31)가 규 제용 돌기봉(30)에 닿아 왼쪽으로 이동하지 못함으로써 제 1 케이싱(3)의 회전이 규제되고, 슬라이드이동이 완료되면 회전방지용 돌기(31)가 규제용 돌기봉(30)에서 떨어져 왼쪽으로 이동 가능해져, 제 1 케이싱(3)의 회전규제가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간단한 구성으로 회전방지용 돌기(31)의 규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 플레이트부(16)에는, 상기 접촉방지용 개구(16b)가 형성되므로, 플레이트부(16)의 회전방지용 돌기(31)와의 접촉이 방지된다. 또, 접촉방지용 개구(16b)를 잘라내므로, 그 부분의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해지며, 또, 회전방지용 돌기(31)가 제 1 케이싱(3)을 횡형상태 또는 종형상태로 전환 도중에 플레이트부(16)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 1 케이싱(3)이 횡형상태일 때의 제 1 가이드 핀(13) 근방에 위치하는 제 2 케이싱(5)의 표면에는, 제 2 규제부재로서의 규제용 돌기(35)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규제용 돌기(35)는, 제 1 가이드 핀(13)의 움직임을 규제하며, 이로써 제 1 케이싱(3)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 1 케이싱(3)의 슬라이드이동을 완료시키고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시킨 상태에서는, 규제용 돌기(35)가 제 1 가이드 핀(13)의 환형부(13a)에 접촉함으로써, 제 1 케이싱(3)이 다시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작용-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가 대기상태일 때 등에는, 제 1 케이싱(3)이 제 2 케이싱(5)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는 슬라이딩 전 상태이다. 이 때, 액정표시부(2)가 표면에 나타나므로, 이 상태에서도 TV시청은 가능하다.
이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3)을 제 2 케이싱(5)에 대하여 위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 제 1 케이싱(3)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도중에 제 1 케이싱(3)을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방지용 돌기(31)가 규제용 돌기봉(30)에 접촉하므로, 회전방지용 돌기(31)의 왼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제 1 케이싱(3)이 횡형상태로 전환하는 일은 없다. 이로써 슬라이드이동이 확실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또, 플레이트부(16)가 제 2 케이싱(5)의 레일부(26) 위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캠기구(10)를 개재하고 지지된 제 1 케이싱(3)이 제 2 케이싱(5) 위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조작부(4)가 나타난다. 통상의 통화 시나 메일 송수신 시 등에는, 액정표시부(2)를 종형상태로 하고 조작부(4)에서 키로 입력하면서 사용한다.
한편, 지상디지털TV방송 시청이나, 영문으로 메일을 작성하거나 읽을 때 등, 횡형화상을 보고자 할 때는, 사용자가 조작부(4)를 출현시킨 상태로 제 1 케이싱(3)을 회전시켜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한다. 이 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이동이 완료되어 회전방지용 돌기(31)가 규제용 돌기봉(30)에서 떨어짐으로써, 회전방지용 돌기(31)의 규제가 해제되어 왼쪽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즉, 제 1 케이싱(3)이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 가능해진다. 규제용 돌 기봉(30)의 높이를 제 1 가이드 핀(13) 및 제 2 가이드 핀(15)에는 접촉하지 않고, 회전방지용 돌기(31)에는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슬라이드이동 도중에는 제 1 케이싱(3)이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규제하면서, 슬라이드이동 후에는 제 1 케이싱(3)의 전환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는 도 6의 상태인 제 1 케이싱(3)을 꼬임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표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하단측 코너부(3a)를 도 7에 나타낸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 표면에서 보아 상하방향 가이드 홈(14) 하단에 있던 제 2 가이드 핀(15)이 상단으로 이동하고, 좌우방향 가이드 홈(12) 우단에 있던 제 1 가이드 핀(13)이 중앙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꼬임코일 스프링의 최대 휨각을 초과하면, 그 탄성력에 의해 제 1 케이싱(3)이 보조되면서 횡형상태로 전환된다. 이 때,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의 표면에서 보아 상하방향 가이드 홈(14) 상단에 있던 제 2 가이드 핀(15)이 하단으로 이동하고, 좌우방향 가이드 홈(12)의 중앙에 있던 제 1 가이드 핀(13)이 좌단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캠기구(10)에 의해, 제 1 케이싱(3) 배면의 제 1 가이드 핀(13)이 좌우방향 가이드 홈(12) 내를 왼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시에, 제 1 케이싱(3) 배면의 제 2 가이드 핀(15)이 상하방향 가이드 홈(14) 내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10에, 하단측 코너부(3a)가 캠기구(10)에 의한 이동규제에 따라 그려진 궤적을 나타낸다. 전환 시의 최하단부는, 기능버튼(8)과의 사이에 소정 틈새를 유 지한 직선형 궤적을 갖고 이동하도록 안내 지지된다. 이로써, 제 1 케이싱(3)이 이 궤적보다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으므로, 제 1 케이싱(3)이 기능버튼(8)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또, 제 1 케이싱(3)의 종형상태와 횡형상태 전환 시의 움직임이 원활해져 전환조작이 용이해진다.
도 4에 나타낸 횡형상태에서도, 상기 제 1 케이싱(3)의 좌우방향 중앙부는, 제 1 케이싱(3)의 거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한다. 제 1 케이싱(3)이 횡형상태로 됐을 때, 아래쪽에 조작부(4)가 나타나며 표면에서 보아 거의 T자형이 된다. 그리고, 액정표시부(2)에 횡형화상이 크게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조작부(4)에서 키 입력하면서 TV 퀴즈프로그램에 참가하거나, TV쇼핑, 은행송금 등을 TV를 통해 이용하거나 한다. 제 1 케이싱(3)이 횡형상태에 있어서도, 제 1 케이싱(3)이 제 2 케이싱(5)의 거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케이싱(3)을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시켰을 때, 횡형상태의 제 1 케이싱(3) 윗변(3b)과 제 2 케이싱(5) 윗변(5a)이 일치한다. 이로써, 제 1 케이싱(3)이 횡형상태일 때 제 1 케이싱(3)이 제 2 케이싱(5) 상단에서 튀어나오지 않는다. 이로써 한 손에 쥐었을 때나 테이블에 놓았을 때 안정감이 좋으며, 또 외관상으로도 좋다.
제 1 케이싱(3)이 횡형상태로 됐을 때, 제 1 케이싱(3)의 전환조작으로 좌우 이동하는 제 1 가이드 핀(13)의 환형부(13a)가 규제용 돌기(35)에 접촉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된다. 이로써, 제 1 케이싱(3)의 슬라이드이동이 방지된다. 제 1 가이드 핀(13)이 이 위치에 있는 한, 규제용 돌기(35)에 의해 제 1 케 이싱(3)이 다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일은 없으므로 횡형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로써, 횡형상태에서의 조작성이 좋아진다. 규제용 돌기(35)는 돌기로 이루어지므로, 작은 면적을 점유하면 되며, 제 1 케이싱(3)의 전환조작이나 슬라이드이동에 있어서 규제용 돌기(35)가 이들 움직임에 장애가 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횡형상태에서 종형상태로 돌아온 후에는, 제 1 가이드 핀(13)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규제용 돌기(35)에서 떨어지므로, 제 1 케이싱(3)은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제 1 케이싱(3)의 슬라이드이동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용 후는 상기와 반대로, 제 1 케이싱(3) 우측의 상기 하단측 코너부(3a)를 꼬임코일 스프링(20)의 탄성력에 저항하도록, 표면에서 보아 역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꼬임코일 스프링(20)이 그 최대 휨각을 초과하면, 그 탄성력에 의해 제 1 케이싱(3)이 보조되면서 종형상태로 돌아온다.
또한, 제 1 케이싱(3)을 제 2 케이싱(5)에 대해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대기상태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전체적인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제 1 케이싱(3)을 안정되게 슬라이드이동 및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하여, 제 1 케이싱(3)을 횡형상태로 했을 때 통상의 키 배치로 조작이 가능해진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은, 레일부(26)에 대해 경사진 것으로 했으나, 레일부(26)에 대해 평행으로 배치해도 된다. 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은, 만곡된 곡선형상을 가져도 된다. 이로써,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을 적절히 만곡시키고, 그에 맞추어 좌우방향 가이드 홈(12)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제 1 케이싱(3)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거나,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을 형성하는 부재를 커팅하여, 그 부분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도모하거나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캠기구(10)에 의해 제 1 케이싱(3)을, 그 하단측 코너부(3a)가 직선형 궤적을 갖고 이동하도록 안내 지지되나, 곡선의 궤적을 갖고 이동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캠기구(10)는, 제 1 케이싱(3)을 표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시키나, 역시계방향으로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캠기구(10)의 홈 형상이나 배치를 응용함으로써, 적절한 제 1 케이싱(3) 전환조작의 회전이동 궤적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케이싱(3)의 종형상태 및 횡형상태에서 좌우방향 중앙부를 제 1 케이싱(3)의 거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시키나, 좌우 어느 한쪽에 오프셋시켜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표시부는, 액정표시부(2)로 했으나, 유기EL디스플레이로 해도 된다. 유기EL디스플레이는, 자발광을 발하므로 소비전력이 작고, 액정디스플레이에 비해 시야각이 넓으며, 또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박형화가 가능하 다.
상기 플레이트부(16)는, 마그네슘합금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해도 된다. 이로써, 강성이 높으며 내구성 있는 경량 박형의 플레이트부(16)가 얻어져, 가이드 홈(12, 14)이나 접촉방지용 개구(16b)를 형성해도 전체적인 강도가 유지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은 휴대전화기인 것으로 했으나, PHS, PDA, PC, 모바일 도구의 휴대통신기기 등이라도 된다. 요컨대, 제 1 케이싱(3)과 제 2 케이싱(5)이 슬라이딩 자유롭게 연결되어, 종형의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이면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긴 종형 액정표시부(2)를 갖는 제 1 케이싱(3)을 구비한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를 대상으로 했으나, 표면에 좌우방향으로 긴 횡형 액정표시부(2)를 갖는 제 1 케이싱(3)을 구비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이라도 된다. 이 경우 슬라이드기구는, 제 2 케이싱 표면에 좌우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된 레일부를 구비하고, 제 1 케이싱을 제 2 케이싱의 우단측 또는 좌단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켰을 때, 제 2 케이싱의 조작부가 나타나도록 구성하고, 제 1 케이싱을 제 2 케이싱에 대하여 횡형상태와 종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구성시키면 된다. 이로써, 통상의 횡형상태에서의 키 조작을, 표시부를 종형상태로 하면서 실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상의 실시예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이나 용도 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슬라이딩 전 상태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를 나타내며, (a)가 정면도이고, (b)가 우측면도.
도 2는, 제 1 케이싱을 제 2 케이싱에 대하여 슬라이딩한 슬라이딩 후 상태를 나타내며, (a)가 정면도이고, (b)가 우측면도.
도 3은, 도 2의 슬라이딩 후 상태인 다음, 제 1 케이싱을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며, (a)가 정면도이고, (b)가 우측면도.
도 4는, 제 1 케이싱을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한 상태를 나타내며, (a)가 정면도이고, (b)가 우측면도.
도 5는, 슬라이딩 전 상태인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의 제 1 케이싱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며, (a)가 정면도이고, (b)가 저면도.
도 6은, 제 1 케이싱이 위로 슬라이드 이동한 상태와 각 핀이나 돌기가 이동한 위치를 나타내며, (a)가 정면도이고, (b)가 저면도.
도 7은, 제 1 케이싱이 위로 슬라이드 이동한 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며, (a)가 정면도이고, (b)가 저면도.
도 8은, 제 1 케이싱이 도 7의 상태에서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며, (a)가 정면도이고, (b)가 저면도.
도 9는, 플레이트부의 정면도.
도 10은, 제 1 케이싱 하단측 코너부의 궤적을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그 밖의 실시예에 관한 상하방향 가이드 홈과 좌우방향 가이드 홈 의 형상을 나타낸 도 9 상당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슬라이드식 휴대단말)
2 : 액정표시부(표시부) 3 : 제 1 케이싱
3a : 하단측 코너부 3b, 5a : 윗변
4 : 조작부 5 : 제 2 케이싱
10 : 캠기구(지지기구) 12 : 좌우방향 가이드 홈
13 : 제 1 가이드 핀 14 : 상하방향 가이드 홈
15 : 제 2 가이드 핀 16 : 플레이트부
16b : 접촉방지용 개구 18 : 링부재
20 : 코일스프링(탄성부재) 25 : 슬라이드기구
26 : 레일부 30 : 규제용 돌기봉(제 1 규제부재)
31 : 회전방지용 돌기 35 : 규제용 돌기(제 2 규제부재)

Claims (22)

  1.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긴 종형 표시부(2)를 갖는 제 1 케이싱(3)과,
    표면에 조작부(4)를 갖는 제 2 케이싱(5)과,
    상기 제 1 케이싱(3)과 제 2 케이싱(5)을 슬라이딩 자유롭게 연결하는 슬라이드기구(25)를 구비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3)을 제 2 케이싱(5)에 대해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10)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기구(25)는, 상기 제 2 케이싱(5)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된 레일부(26)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싱(3)을 제 2 케이싱(5)의 상단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제 2 케이싱(5)의 조작부(4)가 나타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기구(25)는, 상기 제 1 케이싱(3)의 이면과 상기 제 2 케이싱(5) 표면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레일부(26) 위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플레이트부(16)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기구(10)는, 상기 플레이트부(1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캠기구(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10)는, 제 1 케이싱(3)의 하단측 코너부(3a)가 직선형의 궤적을 갖고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케이싱(3)의 종형상태와 횡형상태 전환을 안내 지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3)의 종형상태와 횡형상태에서 좌우방향 중앙부가, 각각 제 2 케이싱(5)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3)이 횡형상태로 됐을 때, 아래쪽에 조작부(4)가 나타나고, 표면에서 보았을 때 T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3)을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시켰을 때, 횡형상태의 제 1 케이싱(3) 윗변(3b)과 제 2 케이싱(5) 윗변(5a)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8. 청구항 3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10)는,
    상기 플레이트부(16)에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이어지면서 중앙이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된 곡선형의 좌우방향 가이드 홈(12)과,
    상기 플레이트부(16)에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상하방향 가이드 홈(14)과,
    상기 제 1 케이싱(3) 이면 쪽에 형성되며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홈(12)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 1 가이드핀(13)과,
    상기 제 1 케이싱(3) 이면 쪽에 형성되며 상기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 2 가이드핀(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3)이 제 2 케이싱(5)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안, 이 제 1 케이싱(3)이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규제하는 제 1 규제부재(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3) 이면에는, 회전방지용 돌기(3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규제부재(30)는, 상기 회전방지용 돌기(31)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부재는, 상기 제 2 케이싱(5) 표면에 형성된 직선형의 규제용 돌기봉(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방지용 돌기(31) 근방에 위치하며 제 1 케이싱(3)이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3)이 제 2 케이싱(5)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회전방지용 돌기(31)가, 상기 규제용 돌기봉(30) 근방을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드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회전방지용 돌기(31)가 상기 규제용 돌기봉(30)에서 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용 돌기(31)는, 상기 제 1 가이드핀(13) 및 제 2 가이드핀(15) 보다 상기 제 2 케이싱(5) 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16)는, 상기 회전방지용 돌기(31)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위쪽이 개방된 접촉방지용 개구(16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3)의 슬라이드이동을 완료시켜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시킨 상태에서는, 제 1 케이싱(3)이 다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 2 규제부재(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2 규제부재(35)는, 제 1 가이드핀(13)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 2 규제부재는, 제 1 케이싱(3)이 횡형상태일 때의 제 2 케이싱(5)에서 제 1 가이드핀(13) 근방에 돌출 형성된 규제용 돌기(35)로 이루어지며, 제 1 케 이싱(3)이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18.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10)에는, 한끝(20a)이 상기 제 1 가이드핀(13)에 고정되고, 다른 끝(20b)이 상기 플레이트부(16)에 고정되며, 표시부(2)가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되도록 힘을 주는 탄성부재(2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0)는,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홈(12)의 최상점 근방에서 가장 압축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꼬임코일 스프링(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2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10)는 링부재(18)를 구비하며, 이 링부재(18)의 이면 쪽에 상기 제 1 가이드핀(13)과 제 2 가이드핀(15)이 배치되고, 표면 쪽이 상기 제 1 케이 싱(3)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16)와 링부재(18)는 유닛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KR1020070104863A 2006-10-19 2007-10-18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KR100932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84825A JP4484859B2 (ja) 2006-10-19 2006-10-19 スライド式携帯機器
JPJP-P-2006-00284825 2006-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480A true KR20080035480A (ko) 2008-04-23
KR100932329B1 KR100932329B1 (ko) 2009-12-16

Family

ID=39145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863A KR100932329B1 (ko) 2006-10-19 2007-10-18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14842B2 (ko)
EP (1) EP1914962A3 (ko)
JP (1) JP4484859B2 (ko)
KR (1) KR100932329B1 (ko)
CN (1) CN101166204B (ko)
HK (1) HK11184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673B1 (ko) * 2004-12-06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채용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US7583989B2 (en) * 2006-04-18 2009-09-0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Sliding-type hinge
DE102006042077B4 (de) * 2006-09-05 2008-06-12 Lumberg Connect Gmbh Mechanismus zum Öffnen bzw. Schließen eines Gerätes
EP2202948B1 (en) 2007-10-11 2016-02-17 NEC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JP2009111878A (ja) * 2007-10-31 2009-05-21 Fujifilm Corp 携帯機器及び撮像装置
US7779509B2 (en) * 2007-11-21 2010-08-24 Shin Zu Shing Co., Ltd. Sliding hinge
WO2009081638A1 (ja) * 2007-12-20 2009-07-02 Nec Corporation 携帯端末
CN101470530B (zh) * 2007-12-26 2010-09-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键盘装置及具有该键盘装置的便携式电子装置
CN101472431B (zh) * 2007-12-27 2011-12-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开合机构
KR20090070351A (ko) * 2007-12-27 2009-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힌지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7752712B2 (en) * 2008-01-21 2010-07-13 Shin Zu Shing Co., Ltd. Hinge
JP5082920B2 (ja) * 2008-02-25 2012-11-28 富士通株式会社 防水型ヒンジ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5112214B2 (ja) * 2008-08-04 2013-01-09 スタッフ株式会社 スライド回転ヒンジ
CN201336778Y (zh) * 2008-10-20 2009-10-28 康准电子科技(昆山)有限公司 滑盖式电子设备及其滑动装置
US8504115B2 (en) * 2008-11-21 2013-08-06 Plantronics, Inc. Automatic sidetone control
TW201023595A (en) * 2008-12-10 2010-06-16 Asustek Comp Inc Slide type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great sliding range
US8509863B2 (en) * 2008-12-15 2013-08-13 Nvidia Corporation Expandable hous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00159992A1 (en) * 2008-12-18 2010-06-24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liding display screen and screen-dividing member
JP5262769B2 (ja) * 2009-01-30 2013-08-14 富士通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及びヒンジユニット
JP5169945B2 (ja) * 2009-03-30 2013-03-2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
JP5212222B2 (ja) 2009-03-30 2013-06-19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5177054B2 (ja) 2009-03-30 2013-04-03 富士通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
JP5218212B2 (ja) 2009-03-30 2013-06-2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
JP5316165B2 (ja) * 2009-03-30 2013-10-16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5110024B2 (ja) * 2009-03-31 2012-12-2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
JP5110022B2 (ja) * 2009-03-31 2012-12-2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
JP5110025B2 (ja) 2009-03-31 2012-12-2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
JP5348690B2 (ja) * 2009-06-19 2013-11-20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スライド回転ヒンジ、及び携帯機器
JP5348691B2 (ja) * 2009-06-19 2013-11-20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スライド回転ヒンジ、及び携帯機器
KR101037849B1 (ko) * 2009-07-20 2011-05-31 한 상 이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형 전자기기
JP4783847B2 (ja) 2009-11-09 2011-09-28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
JP2011205501A (ja) * 2010-03-26 2011-10-13 Fujitsu Ltd 携帯端末装置
JP5651974B2 (ja) * 2010-03-26 2015-01-14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CN102255986B (zh) * 2010-05-20 2014-04-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旋转机构及具有该旋转机构的电子装置
US20110299230A1 (en) * 2010-06-02 2011-12-08 Noriaki Kubota Relative movement urg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relative movement urging device
US20120026649A1 (en) * 2010-07-29 2012-02-02 Albert Pegg Slide and offset pivot display for an electronic mobile device
KR101335067B1 (ko) * 2010-07-29 2013-11-29 오준수 미끄러지는 이동 또는 회전/경사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기기
EP2413571B1 (en) * 2010-07-29 2012-10-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lide and offset pivot display for an electronic mobile device
JP2012199713A (ja) * 2011-03-18 2012-10-18 Fujitsu Ltd 電子機器
JP5849414B2 (ja) 2011-03-18 2016-01-27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US8471820B2 (en) 2011-03-28 2013-06-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Pivotable display guide mechanism for an electronic mobile device
US8693188B2 (en) 2011-05-24 2014-04-08 Blackberry Limited Pivotable display guide mechanism for an electronic mobile device
CN102858117A (zh) * 2011-06-30 2013-01-0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动机构
USD716252S1 (en) * 2012-10-18 2014-10-28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18268S1 (en) * 2013-01-14 2014-11-25 Huawei Device Co., Ltd. Mobile phone
USD739392S1 (en) * 2013-02-12 2015-09-22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33085S1 (en) * 2013-02-12 2015-06-30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42368S1 (en) * 2013-02-12 2015-11-03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46250S1 (en) * 2014-01-20 2015-12-29 Suzhou Snail Digital Technology Co., Ltd. Handset
USD770999S1 (en) * 2014-04-22 2016-11-08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91095S1 (en) * 2014-10-01 2017-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24356S1 (en) * 2015-12-22 2018-07-3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10890288B2 (en) 2018-04-13 2021-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 multipositional display
KR20200124989A (ko) * 2019-04-25 2020-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
US11493953B2 (en) * 2019-07-01 2022-11-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osition display with an unfixed center of ro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8866A (ja) 2002-05-22 2003-11-28 Fujitsu Ltd 携帯電話機
US7529571B2 (en) 2003-09-03 2009-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JP4321707B2 (ja) 2003-09-30 2009-08-26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KR100677337B1 (ko) 2004-07-20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KR100663542B1 (ko) 2004-07-3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용 슬라이딩 스윙 장치
WO2006030607A1 (ja) * 2004-09-14 2006-03-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携帯機器
US8005516B2 (en) * 2004-10-01 2011-08-23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information terminal
EP1796350A4 (en) 2004-10-01 2008-01-23 Sharp Kk MOBILE INFORMATION TERMINAL
JP4344887B2 (ja) 2004-10-13 2009-10-14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情報端末
JP4384059B2 (ja) * 2005-01-31 2009-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折畳み式携帯電話
JP4436268B2 (ja) 2005-02-23 2010-03-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0790088B1 (ko) * 2005-03-17 2007-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스윙 장치
KR100709808B1 (ko) 2005-03-31 2007-04-23 주식회사 팬택 회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99869Y1 (ko) * 2005-06-23 2005-10-31 주식회사 디자인 지오 슬라이드 및 회전식 힌지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84859B2 (ja) 2010-06-16
KR100932329B1 (ko) 2009-12-16
CN101166204B (zh) 2011-03-09
HK1118408A1 (en) 2009-02-06
CN101166204A (zh) 2008-04-23
US20080096619A1 (en) 2008-04-24
EP1914962A2 (en) 2008-04-23
EP1914962A3 (en) 2010-01-27
US8014842B2 (en) 2011-09-06
JP2008103989A (ja) 200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329B1 (ko)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KR100985988B1 (ko) 휴대단말
KR1008102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슬라이딩 모듈 및 그의 연성 회로
KR100993095B1 (ko) 폴더식 휴대기기
EP1883206B1 (en) Foldi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4783847B2 (ja) 携帯端末
EP1898605B1 (en) Key input device for a portable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a sliding module therefor
EP2309705A1 (en) Mobile terminal
JP2011049805A (ja) 携帯端末
KR20110014304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KR20060040357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US20030155216A1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radio terminal
KR20070071462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732736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KR100802598B1 (ko) 휴대전화 슬라이딩 부재
JP2007312330A (ja) 折畳み式携帯通信機器
JP4547354B2 (ja) 折畳み式携帯通信機器
JP2008086039A (ja) 折畳み式携帯電話
KR20070078192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92489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90094586A (ko) 휴대단말기의 다단 슬라이드 모듈
JP2007312329A (ja) 折畳み式携帯通信機器
KR20060114088A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