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067B1 - 미끄러지는 이동 또는 회전/경사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기기 - Google Patents

미끄러지는 이동 또는 회전/경사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067B1
KR101335067B1 KR20110073330A KR20110073330A KR101335067B1 KR 101335067 B1 KR101335067 B1 KR 101335067B1 KR 20110073330 A KR20110073330 A KR 20110073330A KR 20110073330 A KR20110073330 A KR 20110073330A KR 101335067 B1 KR101335067 B1 KR 101335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display
main body
fixing member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73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812A (ko
Inventor
오준수
Original Assignee
오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05851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20011778A/ko
Application filed by 오준수 filed Critical 오준수
Priority to KR20110073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067B1/ko
Priority to US13/812,214 priority patent/US9137923B2/en
Priority to CN201180036575.3A priority patent/CN103026633B/zh
Priority to PCT/KR2011/005585 priority patent/WO2012015266A2/ko
Publication of KR20120011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6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on hinges or piv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본체부를 포함하는 휴대기기로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좌우측면에 정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측벽은 그 일단이 측벽의 일부영역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가 관통하는 이동구멍이 형성되는, 휴대 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미끄러지는 이동 또는 회전/경사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기기 {PORTABLE DEVICE WHICH HAS THE SLIDING MOVEMENT AND TILT, ROTARY TYPE DISPLAY MODULE}
본 발명은 미끄러지는(sliding, gliding) 이동(移動: 옮겨 움직임) 또는 회전/경사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기기의 디스플레이부 전면 또는 후면에 디스플레이창을 갖추고서 디스플레이부를 본체에 대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며 슬라이딩 이동 또는 일정각도의 경사 또는 180도로 뒤집어지는 회전을 시킬 수 있으면서 사용할 수 있게 한 휴대기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기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휴대기기가 제안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휴대기기는 휴대폰 기능에 MP3재생과 DMB방송수신 또는 PDA기능, 동영상 감상, 엔터테인먼트 앱(App: 응용 프로그램, 즉 application program의 약자임)을 즐기기, 메일 확인, 정보검색(인터넷), 문서 작업(예: MS Off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창을 가져야 다양한 영상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앱 등을 표현할 수 있지만, 종래의 휴대폰 기능을 갖는 휴대기기는 디스플레이창이 위치하는 부분에 각종 기능 버튼이 구비되어 있어서 디스플레이창의 크기가 한정될 수 밖에 없다.
상기의 휴대기기의 종래 PMP는 대화면(예: 4.3", 4.0" 등)을 가지므로 소화면(예: 2.2", 2.0" 등)보다는 소비전력이 크므로, MP3P기능이나 음성통화 기능 등에서는 기존의 PMP는 불필요한 “고전력의 대화면”을 사용하게 되어 사용시간이 짧아지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MP3P 기능에서 “저전력의 소화면”을 사용함으로 사용시간의 연장과, 배터리의 소모의 최소화가 요구되며, 시각적으로나 제품의 기능적인 측면에서도 PMP, 내비게이터, UMPC, 게임, 웹서핑, E-메일 등의 기능일 때는 대화면(예: 4.3", 4.0" 등)의 사용과, 휴대전화, MP3P, 단문 메시지 등에서는 소화면(예: 2.2", 2.0" 등)을 사용함으로써 유용성, 편리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휴대기기 즉, MP3P, DMB, PMP, PDA, PSP, UMPC, 네비게이터, 휴대단말기 등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개별로 구매함으로 인해 구매에 따른 비용 낭비가 초래되며, 각 개별장치의 폐기에 따라 환경오염 및 자원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기기 구조에 따른 문제점과 불편함을 해결하여 휴대기기를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가 있으면서, 본체에서 미끄러지는(sliding, gliding) 이동 또는 회전/경사를 가능하게 하도록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양쪽면에 음성통화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소형 디스플레이창과 영상이나 엔터테인먼트 앱 등을 즐기기 위한 넓은 디스플레이창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고, 디스플레이창에 표시되는 정보를 편리하게 쳐다보거나 작업을 할 수 있게 한 휴대기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개별적 제품으로 존재하여 기능을 구현하는 휴대기기들(예: MP3P를 비롯한DMB, PMP, PDA, PSP, UMPC, 내비게이터, 휴대폰 등)을 하나의 단말기로 통합하여 전면의 디스플레이창은 MP3플레이어(MP3P), 휴대폰 고유의 음성통화 기능 등과, 뒷면의 디스플레이창에는 비디오 게임을 제공하는 플레이스테이션(PSP), DMB, 메모리에 저장된 영화 재생(PMP), 정보표시의 PDA, 손안의 PC(UMPC),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기능을 원하는 동작상태로 디스플레이창을 회전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휴대기기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하여 디스플레이부를 들어 올리면, 전후면 디스플레이창이 세워진 상태가 되어 전후면 디스플레이창에 표시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편리한 각도로 판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가 세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더를 한쪽으로 밀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돌리면 상기 디스플레이창이 전면 또는 후면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휴대기기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될 때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디스플레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두께를 줄이고,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휴대 및 사용하기 간편한 휴대기기 장치를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에 대하여 미끄러져 올라감이 끝나면서(슬라이딩이 완료되어 멈추면서) 즉, 일정각도의 경사 또는 180도로 뒤집어지는 회전을 시작하기 직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아래쪽이 회전축(즉, 회전고정부재 또는 고정부재)의 수평선보다 더 이상 위로 들려 올라가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위쪽부분이 회전축의 수평선보다 아래로 떨어져 내려가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좌우 외측면 하단부에 들려 올라감 방지턱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들려 올라감 방지턱이 본체부의 측벽의 내측면을 따라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들려 올라감 방지턱에 대응하여 방지턱 미끄러짐 가이드홈을 양쪽 측벽을 따라 구비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는 정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본체부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디스플레이부가 안착할 수 있도록 본체부의 좌우측면에 정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본체부의 측벽은 그 일단이 측벽의 일부영역에 고정되는 고정힌지축을 포함하고, 고정힌지축의 일부는 디스플레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고정힌지축의 일부가 관통하는 이동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는 양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돌출부는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에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돌출부는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의 아래쪽을 제외한 일부에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본체부의 측벽의 내측면에는 디스플레이부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본체부의 측벽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를 중심으로 회전된 후 본체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제 2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고정힌지축이 본체부의 측벽과 결합되는 부위는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된 곳보다 위쪽이며, 본체부의 측벽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본체부의 양 측벽 사이의 영역의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의 아랫부분에는 키보드가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측벽은 그 내부에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배터리는 측벽의 폭 및 두께를 최소화시키도록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본체부는 그 중앙의 내부에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본체부의 후면은 발열의 기능을 수행하는 금속판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제 1 면에는 디스플레이창이 제 1 면을 실질적으로 채우도록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의 제 2 면에는 그 일부에 디스플레이창을 형성하고, 나머지 영역의 내부에는 PCB 기판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와 본체부 사이에서 신호 및 전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전달하는 케이블선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케이블선의 일부는 고정힌지축의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부로 인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케이블선의 일부는 고정힌지축의 내부로부터 본체부의 아래방향으로 인출된 후에, 본체부의 윗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힌지축의 후방으로 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케이블선의 일부는 디스플레이부의 정면 내벽의 천정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부 내부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케이블선은 정면 내벽의 천정과 부착되는 지점 전에 한 번 꼬이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케이블선은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포함되는 회로 사이에서 리소스를 배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본체부의 측벽을 향하는 면에 홈을 구비하여 고정힌지축과 결합하는 연동부재;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딩 할 때에는 디스플레이부와 일체로 이동하며, 디스플레이부가 회전할 때에는 연동부와 결합하여 회전의 중심이 되는 회전고정부재; 회전고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고정힌지축은 그 중앙부가 휘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탄성부재(475)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탄성부재(475)의 일단 주위를 감싸며 고정시키는 고정턱(476)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연동부재는 고정힌지축과 결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디스플레이부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제 1 일자형 홈, 및 제 1 일자형 홈과 다른 각도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자형 홈을 포함하고, 회전고정부재는 본체부의 측벽을 향하는 면에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일자형 돌기를 포함하고, 회전고정부재의 일자형 돌기는 제 1 일자형 홈, 및 하나 이상의 제 2 일자형 홈 중 하나 이상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는 그 전면의 내벽 또는 후면의 내벽에 고정힌지축의 휘어진 중앙부가 슬라이딩 시 움직이는 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가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고정힌지축의 일부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의 내부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내측을 향하는 면에 디스플레이부의 슬라이딩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형성된 일자형 돌기를 포함하는 회전고정부재; 회전고정부재를 외부로 밀어내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고정힌지축을 향하는 면에 디스플레이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제 1 일자형 홈, 및 제 1 일자형 홈과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자형 홈이 형성된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고정힌지축은 그 말단에 형성된 삽통홈을 포함하고, 삽통홈의 입구는 중앙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탄성부재(475)는 삽통홈(411)의 내부에 배치되고, 고정힌지축의 중앙부는 편평(판판,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연동부재는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딩 할 때에는 디스플레이부와 일체로 이동하며, 디스플레이부가 회전할 때에는 회전고정부재와 결합하여 회전의 중심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삽통홈(411)은 고정턱(476)을 구비하고, 회전고정부재는 외측의 두께가 더 두껍도록 단차를 가지며, 회전고정부재는 삽통홈의 고정턱 및 단차에 의하여 삽통홈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는 그 측벽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며, 보호막은 디스플레이부의 이동구멍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며, 보호막은 신축성이 있는 물질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보호막이 고정힌지축과 만나는 부분은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의 내측벽면 근처에는 수평 방향으로 보호막수납홈이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보호막의 일부가 보호막수납홈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고정힌지축은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힌지축은 두 개의 부재가 외력에 의하여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두 개의 부재를 감싸는 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에 대하여 미끄러져 올라감이 끝나면서(슬라이딩이 완료되어 멈추면서) 즉, 일정각도의 경사 또는 180도로 뒤집어지는 회전을 시작하기 직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아래쪽이 회전축(즉, 회전고정부재 또는 고정부재)의 수평선보다 더 이상 위로 들려 올라가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위쪽부분이 회전축의 수평선보다 아래로 떨어져 내려가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좌우 외측면 하단부에 들려 올라감 방지턱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들려 올라감 방지턱이 본체부의 측벽의 내측면을 따라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들려 올라감 방지턱에 대응하여 방지턱 미끄러짐 가이드홈을 양쪽 측벽을 따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본체부를 포함하는 휴대기기로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좌우측면에 정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측벽은 그 일단이 측벽의 일부영역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가 관통하는 이동구멍이 형성되는, 휴대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부에는 개방부를 갖는 C형상의 링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힌지축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슬라이딩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딩을 완료하는 시점에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C형상의 링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힌지축 내부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며, 외경이 상기 회전힌지축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회전힌지축 내부로 안착되었을 시에는 상기 회전힌지축과 접촉하는 연동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연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 중 상기 본체부의 측벽에 배치되는 일단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재를 감싸는 탄성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힌지축과 상기 연동부재의 접촉면에는 복수의 돌출부와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회전힌지축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연동부재에 형성된 돌출부가 접촉할 때 최대가 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에는 축 방향으로 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는, 상기 회전힌지축의 개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슬라이딩 시 상기 고정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정면의 가이드홈은 후방의 한쪽 끝이 막혀져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가 플립되어 뒤집혀서 디스플레이부의 제 2 면이 정면을 향할 때, 디스플레이부의 양 측면의 돌출부가 본체부의 정면의 홈에 삽입 고정될 수 있고, 턱이 형성되기 때문에 손으로 잡기가 편해지고, 디스플레이부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본체부는 고정된 힌지축을 가지며, 고정된 힌지축의 일부를 통하여 케이블선이 인출되기 때문에 케이블선의 마모가 방지된다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본체부는 홈을 가지며, 디스플레이부는 위 본체부의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에 슬라이딩될 때 발생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고정된 힌지축의 일부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구멍을 가지며 위 이동구멍을 내부에서 차단하는 보호 레일 또는 보호막을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외부로부터 삽입된 펜 또는 송곳 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 내부의 케이블 등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딩되어 소정의 각만큼 회전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제 2 면이 상부를 향해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를 구성하는 각 부분을 분해한 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고정힌지축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고정힌지축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 첨부된 도면은 실시예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전체 휴대 기기의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휴대 기기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본체부(120)를 구비한다. 디스플레부(110)는 제 1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하며, 제 1 면(135)이 정면을 향하도록 위치해 있다. 본체부(120)의 좌우측의 상부에는 버튼(140)이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넓은 디스플레이인 제 1 디스플레이(130)가 정면을 향하는 상태는 휴대 기기의 제 1 모드라고 정의하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130)보다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인 제 2 디스플레이(170)가 정면을 향하는 상태를 휴대 기기의 제 2 모드라고 정의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디스플레이 (130)가 제 2 디스플레이(170)보다 큰 것으로 정의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설계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딩되어 소정의 각만큼 회전하여 경사진 후의 모습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부(120)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으로 평행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슬라이딩이 완료된 후에는 소정의 기준축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회전할 될 수 있다. 특정 각도만큼 회전된 휴대기기(100)는 본체부(120)의 내부에 키보드(160)를 포함할 수 있다. 키보드(160)은 휴대기기가 제 1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바뀔 때 외부로 드러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키보드(160) 및 제 1 디스플레이(130)를 이용하여 휴대기기를 컴퓨터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제 2 면이 상부를 향해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기기의 디스플레이부(110)를 더 회전(예: 180도까지)시키면, 디스플레이부는 본체부와 결합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10)의 제 2 면(175)이 상부를 향하도록 휴대기기가 배치된다. 제 2 면(175)에는 제 2 디스플레이(170) 및 키패드(180)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정의하였듯이, 제 2 디스플레이(170)가 상부를 향해 위치하는 휴대기기의 상태를 제 2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 디스플레이(170) 및 키패드(180)을 이용하여 휴대기기를 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키패드(180) 및 제 2 디스플레이(170)의 일 예를 도 3 에 도시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키패드(180) 키의 배열 및 제 2 디스플레이(170) 의 형태, 크기 등은 바뀔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4a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를 구성하는 각 부분을 분해한 후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b 는 이 중에서 디스플레이부만을 도시한다.
휴대 기기의 본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안착할 수 있도록 본체부(120)의 좌우측면에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우양쪽 측면과 정면으로 마주보게 될 수도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측벽(410)을 포함하고, 본체부(120)의 측벽(410)은 그 일단이 상기 측벽(410)의 일부 영역에 고정되는 고정힌지축(400)을 포함하고, 고정힌지축(400)의 일부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측면에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부(120)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고정힌지축(400)의 일부가 관통하는 이동구멍(425)이 형성된다. 이동구멍(425)의 끝부분에는 원형구멍(435)이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110) 가 회전할 때 고정힌지축(400)이 이 원형구멍(435) 내에서 회전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양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4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부(120)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돌출부(4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측면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20)의 측벽(410)의 내측면에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돌출부(43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제1 가이드홈(405)이 형성되고, 본체부(120)의 측벽(41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부(120)를 중심으로 회전된 후 본체부(120)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홈(415)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20)의 제1 가이드홈(405) 및 디스플레이부(110)의 돌출부(43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슬라이딩 시 진동이 방지되어 매끄러운 슬라이딩이 될 수 있다.
고정힌지축(400)이 본체부(120)의 측벽(410)과 결합되는 부위는 제1 가이드홈(405)이 형성된 곳보다 위쪽이며, 본체부(120)의 측벽(410)의 내측면에 위치한다. 즉, 고정힌지축(400)은 측벽(410)의 끝부분 근처에 존재하여,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할 때는 회전의 중심축의 역할을 하며, 디스플레이부(110) 가 제1 모드에서 슬라이딩하여 제2 모드로 움직일 때에는 더 이상의 슬라이딩 동작을 막는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본체부(120)의 양 측벽(410) 사이의 영역의 상부에는 좌우측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홈(480)이 형성될 수 있다. 홈(480)은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할 때에 그 회전작용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하게 하며, 디스플레이부(110)를 지지하며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홈(480)의 아랫부분에는 키보드(16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20)의 측벽을 향하는 면에 홈을 구비하여 고정힌지축(400)과 결합하는 연동부재(450)가 상기 고정힌지축(40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되기 위해서는 연동부재(45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가 슬라이딩 할 때에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일체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할 때에는 연동부재(450)와 결합하여 그와 함께 회전의 중심축이 되는 회전고정부재(48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고정부재(485)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75)를 일단에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고정부재(485)의 측단면의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 다각형 등 모두 가능하다.
고정힌지축(400)은 그 중앙부가 휘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동부재(450)는 고정힌지축(400)과 결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디스플레이부(110)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제1 일자형 홈(455), 및 제1 일자형 홈과 다른 각도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일자형 홈(46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고정부재(485)는 본체부(120)의 측벽(410) 쪽을 향하는 면에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일자형 돌기(470)를 포함하고, 회전고정부재의 일자형 돌기(470)는 제1 일자형 홈(455), 및 하나 이상의 제2 일자형 홈(460) 중 그 하나 이상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일자형 홈(455)은 한쪽 방향만 막혀 있다. 왜냐하면, 디스플레이부(110)가 제1 모드에서 슬라이딩되어 회전직전의 상태에서 고정되기 위해서는 제1 일자형 홈(455)의 한쪽 방향이 막혀 있어, 회전고정부재(480)의 일자형 돌기(470)가 걸려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그 전면의 내벽 또는 후면의 내벽에 고정힌지축(400)의 휘어진 중앙부가 슬라이딩 시 움직이는 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20)에 의하여 이동구멍(425)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내부가 보호될 수 있다. 특히, 이동구멍(425)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케이블선 등이 손상될 수 있는데, 가이드 레일(420)은 이를 보호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은 이러한 역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가 진동이 없이 고정힌지축(400)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고정힌지축(400)의 일부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내부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디스플레이부(110)에 형성된 원형구멍(435)은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다.
도 5a 내지 5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는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면이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와 본체부(120)가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도면 상의 2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시 디스플레이부(110)의 돌출부(430)는 측벽의 제1 가이드 홈(405)에 밀착되어 이동하기 때문에 진동이 줄어들어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475) 및 회전고정부재(485)는 디스플레이부(110)와 함께 고정되어 일체로 움직인다.
도 5b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슬라이딩이 완료되어 디스플레이부가 더 이상 슬라이딩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슬라이딩을 시작하여 연동부재(450)의 홈에 회전고정부재(485)의 돌기(470)가 삽입된 순간에 슬라이딩이 멈추게 된다. 연동부재(450)의 홈의 일부가 턱에 의하여 막혀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는 더 이상 외측으로 수평 운동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슬라이딩 중에 디스플레이부(110)의 내부는 가이드 레일(420)에 의하여 이동구멍(425)가 차단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송곳 등과 같이 날카로운 기구에 의하여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선(510)은 본체부(120)로부터 인출되어 고정힌지축(40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고정힌지축(400)의 중심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120) 의 아래방향으로 인출된 후 한 번 꼬인 후에 고정힌지축(400)의 아래 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고정힌지축(400)의 아래공간을 통과한 케이블선(510)은 한 번 꼬인 이후 디스플레이부(120)의 천장 쪽 영역에 접촉 결합되거나 꼬이지 않은 상태로 디스플레이부(120)의 천장 반대 쪽 영역에 접촉되어 결합된다.
도 5c 는 본체부(410)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110)를 회전시킬 때 회전되어 경사진 상태의 디스플레이부(11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슬라이딩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고정힌지축(400)의 끝에 부착된 연동부재(450)의 수평 방향 홈에 회전고정부재의 돌기(470)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를 회전시키는 힘을 가하게 되면, 탄성부재(475)를 일단에 삽입하여 갖고 있는 회전고정부재(485)는 탄성 수축작용에 의해서 살짝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를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고정부재(485)의 돌기(470)는 연동부재(450)의 수평 방향 홈과 다른 각도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홈과 결착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475)에 의하여 작용하게 되는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고정부재(485)의 돌기(470)가 연동부재(450)의 홈으로 삽입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은 본체부(120)과 소정의 각을 이룬 상태 (예를 들어, 30°, 45°, 60° 등) 에서 고정이 되므로, 사용자는 본체부(120)에 형성된 키보드(160) 및 위 디스플레이부(110) 의 제1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휴대 기기를 소형 컴퓨터로 사용할 수 있다. 휴대 기기에는 상용화된 여러 가지 운영체재(OS)를 탑재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 5d 는 도 3c 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를 더 회전시켜 디스플레이부의 제2 디스플레이(170) 및 키패드(180) 가 정면을 바라보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가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의 회전고정부재의 끝에 형성된 돌기(470)가 연동부재(450)로부터 이탈하는 힘을 받게 되며, 이 힘에 의하여 탄성부재(475)가 뒤쪽으로 밀리면서 돌기(470)가 홈으로부터 이탈된다. 회전고정부재(485)의 돌기(470)가 연동부재(450)의 홈으로부터 이탈이 되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10)는 작은 힘에 의하여서도 회전이 될 수 있다. 회전의 중심축은 고정힌지축(400)이며, 디스플레이부(110)의 측면에 원통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원형구멍(435)이 고정힌지축(400)을 감싸게 되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회전이 완성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돌출부(430)은 본체부(120)의 제 2 가이드홈(415)에 밀착 삽입된다. 측벽(410)과 삽입된 상태의 돌출부(430)는 상호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상술한 점 외에 본체부(120)는 배터리(610)를 양 측면에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함으로써, 본체부(120) 중앙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체부(120) 의 바닥면을 금속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다. 본체부의 바닥면을 금속재질로 제작할 경우, 본체부 중앙에 위치한 부품소자 및 회로를 실장하고 있는 PCB 기판(615)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쉽게 발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발열체를 본체부(120)의 내부에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존재한다. 본체부(120) 는 그 상부에 키보드(160)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 디스플레이(130) 및 제2 디스플레이(170) 및 키패드(18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디스플레이(130)는 기본적으로 본체부(120)의 키보드(160)와 함께 동작하며, 이는 본체부(120) 내에 탑재된 프로세서, 메모리 등에 의하여 제어된다. 케이블선(400)을 통하여, 키보드(160) 및 제1 디스플레이(130) 사이에서의 신호를 상호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선(400)은 본체부(120)의 PCB 기판(615) 내에 포함된 반도체, 프로세서 및 메모리들과 디스플레이부(110)의 PCB 기판(630) 내에 포함된 반도체, 프로세서 및 메모리들이 서로 리소스를 공유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즉, 한쪽 프로세스 또는 메모리가 그 용량이 부족할 때, 다른 쪽의 프로세스 또는 메모리의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양측면에는 이동구멍(425) 또는 돌출부(43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동구멍(425)의 말단에는 원형구멍(4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30)는 본체부의 제2 가이드 홈(415)내에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고정힌지축(400)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고정힌지축(400)은 본체부(120)의 측벽(410)에 고정되며,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을 할 때에도 본체부(12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고정힌지축(400)의 내부를 통하여 케이블선(510)이 배치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케이블선(510)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110)의 돌출부(430)는 본체부(120)의 제1 가이드 홈(405)에 안착이 되므로, 디스플레이부(110)가 슬라이딩되더라도 진동이 가해지지 않는다.
가이드 레일(420)은 이동 구멍을 막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하거나, 날카로운 물건에 의하여 내부 케이블 및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475)는 돌기(470)가 홈(450)에 탈착될 수 있는 복원력을 회전고정부재(485)에 제공한다. 본체부(120)는 또한 PCB 기판을 그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힌지축(800)이 직선의 형태(직선 고정힌지축)를 갖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110)의 폭을 더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정힌지축(800)이 직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110)는 그 측벽의 내부에 보호막(85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그 측벽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호막(850)을 포함하며, 보호막(850)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이동구멍(425)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며, 보호막(850)은 신축성이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이전의 실시예에서 설명되었던 가이드 레일(420) 대신에 이동 구멍(425)을 차단할 수 있는 보호막(850)을 포함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0)의 내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보호막(850)은 신축성있는 물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110)가 슬라이딩될 때 휘어질 수 있다. 또한, 보호막(850)은 원형의 구멍을 포함하며, 고정힌지축(800)의 중앙부는 보호막(850)에 형성된 원형의 구멍이 에워싸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의 내측벽면 근처에는 수평 방향으로 보호막수납홈(860)이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본체부(120)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보호막의 일부가 보호막수납홈(860)으로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가 제1 모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어 본체부(12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를 상정하면, 디스플레이부(110)가 제1 모드에 있을 경우에는 보호막(850)이 보호막수납홈(860)에 존재하게 되나, 제1 모드에서 슬라이딩됨에 따라 보호막(850)은 보호막수납홈(860)에서 빠져 나오면서, 디스플레이부(110)에 형성된 이동구멍(425)을 차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힌지축(800)은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힌지축(800)은 두 개의 부재가 외력에 의하여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두 개의 부재를 감싸는 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고정힌지축(800)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고정힌지축(800)은 굴곡없는 직선의 형태를 가지며, 탄성부재(810)가 고정힌지축(800) 측(쪽, 편)에 형성된다. 탄성부재의 외곽에는 결합돌기(830)가 형성되며, 반대편의 회전고정부(820)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840)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결합홈(840) 중에서 수평방향의 홈은 한쪽 끝이 막혀져 있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던 디스플레이부(110)가 고정 멈추게 된다. 회전력을 디스플레이부(110)에 가할 경우, 탄성부재(810)에 의하여 지지되던 결합돌기(830)가 결합홈(840)으로부터 이탈하며, 소정의 다른 각도를 가지는 결합홈(840)과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10)는 본체부(12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룬 상태로 고정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힌지축(800)에 굴곡 대신에 직선의 형태를 사용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110) 내부에 존재하는 빈 공간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부(110)의 폭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존재한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 또한, 본체부(120a), 디스플레이부(110a), 측벽(410a), 돌출부(430a), 가이드홈(405a), 홈(480a), 키보드(160a)의 구성은 대응되는 참조 부호로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에서의 회전고정부재(485)에 대응된다고 볼 수 있는 고정부재(485a)가 디스플레이부(110a) 내부가 아닌 측벽(410a) 내부에 일부 삽입된다. 즉, 고정부재(485a)의 일부는 측벽(410a)에 삽입되며, 나머지 일부는 디스플레이부(110a)에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의 고정힌지축(400)에 대응된다고 볼 수 있는 회전힌지축(400a)은 제1 실시예에서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10a) 내부에 삽입된다. 회전힌지축(400a)은 고정부재(485a) 중 디스플레이부(110a)에 삽입되는 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C형상의 링 형태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110a)가 본체부(120a)에 대해 슬라이딩 할 때, 고정부재(485a)는 C형상의 링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힌지축(400a)의 개방된 쪽으로 인입되게 된다. 고정부재(485a)가 회전힌지축(400a) 내부로 인입된 후에는 회전힌지축(400a)이 스토퍼의 기능을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0a)와 본체부(120a)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동작을 멈추게 한다.
디스플레이부(110a)의 측면에는 디스플레이부(110a)가 본체부(120a)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485a)의 일부가 관통하는 이동구멍(425a)이 형성된다. 이동구멍(425a)의 폭은 연동부재(470a)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출부와 오목부보다 더 앞으로 튀어나와 있는 고정부재(485a)의 미끄럼면 폭 이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재(485a)가 마찰 없이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재(485a)는 본체부(120a)의 측벽(410a)의 내측면에 위치하되, 내측면 중 일단 근처(즉, 끝부분 근처)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110a)가 회전할 때 회전의 중심축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부(110a)가 제1 모드에서 슬라이딩하여 제2 모드로 움직일 때에는 더 이상의 슬라이딩 동작을 막는 스토퍼의 역할도 한다.
고정부재(485a)의 적어도 일부에는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회전힌지축(400a)과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연동부재(470a)가 형성된다. 연동부재(470a)의 일단은 회전힌지축(400a)과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연동부재(470a)의 타단과 고정부재(480a)의 양단 중 본체(120a) 내부에 장착되는 일단은 고정부재(485a)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부재(475a)에 의해 연결된다. 탄성부재(475a)는 고정부재(485a)의 일단을 고정단으로 하여 고정부재(485a)의 축 방향 탄성력을 연동부재(470a)에 제공한다. 고정부재(485a)의 외주면을 감싸는 연동부재(470a)가 고정부재(485a)를 이탈하여 분리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탄성부재(475a)의 양단 중 일단은 고정부재(485a)의 끝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연동부재(470a)의 일단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재(485a)의 양단 중 본체(120a) 내부에 장착되는 일단에는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턱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고정턱에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고, 용수철 형태의 탄성부재(475a) 끝단이 삽입홈에 삽입되어 휘어지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연동부재(470a)의 양단 중 탄성부재(475a)와 접하는 일단에도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턱이 형성될 수 있는데, 탄성부재(475a)의 끝단이 연동부재(470a)의 고정턱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휘어지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탄성부재(475a)는 고정부재(485a)의 일단과 연동부재(470a)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연동부재(470a)의 분리 및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연동부재(470a)는 그 외경이 회전힌지축(400a)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그 가장자리가 회전힌지축(400a)의 가장자리와 접촉되어 맞물린다. 연동부재(470a)의 가장자리와 회전힌지축(400a)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부와 오목부가 형성된다. 즉, 연동부재(470a)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부와 오목부가 형성되며, 회전힌지축(400a)의 가장자리에는 연동부재(470a)의 가장자리와 맞물릴 수 있도록 동일하게 돌출부와 오목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연동부재(470a)의 가장자리와 회전힌지축(400a)의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동부재(470a)의 오목부와 회전힌지축(400a)의 돌출부, 연동부재(470a)의 돌출부와 회전힌지축(400a)의 오목부가 맞물릴 때, 탄성부재(475a)의 탄성력은 최소가 되고, 반대로 연동부재(470a)의 돌출부와 회전힌지축(400a)의 돌출부가 접할 때 탄성부재(475a)의 탄성력은 최대가 된다. 이로 인해, 연동부재(470a)와 회전힌지축(400a)은 탄성부재(475a)의 탄성력이 최소가 되는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즉, 연동부재(470a)와 회전힌지축(400a)는, 디스플레이부(110a)와 본체부(120a)가 소정의 각(예를 들면, 30°, 45°, 60° 등)을 이룬 상태에서 고정이 되는 형태로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110a)가 본체부(120a)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a는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110a)의 제1 면이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a)와 본체부(120a)가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a)를 도면 상의 2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도 11b는 디스플레이부(110a)가 슬라이딩이 완료되어 더 이상 슬라이딩 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110a)는 슬라이딩을 시작하여, 고정부재(485a)가 C형상의 링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힌지축(400a)의 개방된 측으로 삽입되어 회전힌지축(400a)에 의해 멈춰질 때, 슬라이딩을 멈추게 된다. 회전힌지축(400a)의 개방된 측은 가이드 레일(420a)과 접촉하여 있을 수 있다. 가이드 레일(420a)은 슬라이딩 시 고정부재(485a)의 안정감 있는 이동을 돕고, 고정부재(485a)가 회전힌지축(400a) 내부로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재(485a)가 회전힌지축(400a) 내부로 안착되는 순간 고정부재(485a)의 외주면을 감싸는 연동부재(470a)의 돌출부와 회전힌지축(400a)의 오목부, 연동부재(470a)의 오목부와 회전힌지축(400a)의 돌출부가 맞물리게 된다.
그 후, 고정부재(485a)는 회전힌지축(400a) 내부에서 회전하게 되며, 회전 시, 연동부재(470a)와 회전힌지축(400a)이 맞물린다. 연동부재(470a)와 회전힌지축(400a)이 맞물려 회전할 때, 탄성부재(475a)의 탄성력은 고정부재(485a)의 축 방향으로 조절된다. 고정부재(485a)와 회전힌지축(400a)이 상대적인 회전을 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a)는 본체부(120a)에 대해 일정 각도를 가지며, 회전을 하게 된다. 이 때, 연동부재(470a)와 회전힌지축(400a)도 상대적인 회전을 하게 되는데, 그 과정 중 연동부재(470a)의 돌출부와 회전힌지축(400a)의 돌출부가 만날 때, 탄성부재(475a)의 탄성력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연동부재(470a)와 회전힌지축(400a)은 돌출부와 오목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는 성질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연동부재(470a)와 회전힌지축(400a)은 돌출부와 오목부가 맞물릴 때마다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부(110a)는 본체부(120a)와 소정의 각(예를 들면, 30°, 45°, 60° 등)을 이룬 상태에서 고정이 되는 형태로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10a)가 계속적으로 회전하여 본체부(120a)와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관계가 되는 과정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체부(120a)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선(미도시됨)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관통홀(H)이 고정부재(485a)의 축 방향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케이블 관통홀(H)을 관통한 케이블선은 디스플레이부(120a)로 인출되어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선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힌지축(400a)이 C형상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그 폭은 가이드 레일(420a)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고정부재(485a)와 탄성부재(475a)가 디스플레이부(110a)가 아닌 본체부(120a)에 장착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a)에 격납되어야 하는 부품이 간소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10a)의 디스플레이창 너비는 더욱 커지고, 그 두께 또한 얇아질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디스플레이부(110, 110a)의 슬라이딩이 멈추고 경사 또는 회전을 시작하기 직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10, 110a)의 아래쪽이 회전축(즉, 회전고정부재 또는 고정부재)의 수평선보다 더 이상 위로 들려 올라갈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110, 110a)가 본체부(120, 120a)에 대하여 미끄러져 올라감이 끝나면서(슬라이딩이 완료되어 멈추면서) 즉, 일정각도의 경사 또는 180도로 뒤집어지는 회전을 시작하기 직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10, 110a)의 아래쪽이 회전축(즉, 회전고정부재 또는 고정부재)의 수평선보다 더 이상 위로 들려 올라가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 110a)의 위쪽부분이 회전축의 수평선(200)보다 아래로 떨어져 내려가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10, 110a)의 좌우 외측면 하단부에 들려 올라감 방지턱(201)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들려 올라감 방지턱(201)이 본체부(120, 120a)의 측벽의 내측면을 따라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들려 올라감 방지턱(201)에 대응하여 방지턱 미끄러짐 가이드홈(202)이 양쪽 측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휴대 기기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본체부
130 : 제 1 디스플레이
135 : 제 1 면
140 : 버튼
160 : 키보드
180 : 키패드
170 : 제 2 디스플레이
175 : 제 2 면
400 : 고정힌지축
405 : 제 1 가이드 홈 ( 내측의 홈 )
410 : 측벽
415 : 제 2 가이드 홈 ( 외측의 홈)
420 : 가이드 레일
425 : 이동 구멍
430 : 돌출부
435 : 원형구멍
450 : 연동부재
475 : 탄성부재
485 : 회전고정부재
510 : 케이블선
610 : 배터리
615 : PCB 기판 ( 본체부)
630 : PCB 기판 (디스플레이부)
850 : 보호막
830 : 결합돌기
840 : 결합홈
860 : 삽통홈

Claims (34)

  1. 정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본체부를 포함하는 휴대기기로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좌우측면에 정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측벽은 그 일단이 측벽의 일부영역에 고정되는 고정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힌지축의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힌지축의 일부가 관통하는 이동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측벽의 내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측벽의 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회전된 후 상기 본체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제 2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휴대 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축이 상기 본체부의 측벽과 결합되는 부위는 상기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된 곳보다 위쪽이며, 상기 본체부의 측벽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휴대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양 측벽 사이의 영역의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의 아랫부분에는 키보드가 배치된, 휴대 기기.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그 중앙의 내부에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후면은 발열의 기능을 수행하는 금속판 재질로 이루어진, 휴대 기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측벽을 향하는 면에 홈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힌지축과 결합하는 연동부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딩 할 때에는 디스플레이부와 일체로 이동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연동부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의 중심이 되는 회전고정부재;
    상기 회전고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힌지축은 그 중앙부가 휘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휴대 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을 감싸서 지지하고 고정하여, 상기 탄성부재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턱을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고정힌지축과 결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한쪽 방향이 막혀있는 제 1 일자형 홈, 및 제 1 일자형 홈과 다른 각도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자형 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고정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측벽을 향하는 면에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일자형 돌기를 포함하고, .
    상기 회전고정부재의 일자형 돌기는 상기 제 1 일자형 홈,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일자형 홈 중 하나 이상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휴대 기기.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그 전면의 내벽 또는 후면의 내벽에 상기 고정힌지축의 휘어진 중앙부가 슬라이딩 시 움직이는 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가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20. 삭제
  21. 제 1 항에 있어서,
    내측을 향하는 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슬라이딩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형성된 일자형 돌기를 포함하는 회전고정부재;
    상기 회전고정부재를 외부로 밀어내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힌지축을 향하는 면에 디스플레이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제 1 결합홈, 및 제 1 결합홈과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결합홈이 형성된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힌지축은 그 말단에 형성된 삽통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통홈의 입구는 중앙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삽통홈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힌지축의 중앙부는 편평한 형상을 가지는, 휴대 기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딩 할 때에는 디스플레이부와 일체로 이동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회전고정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의 중심이 되는, 휴대 기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삽통홈은 고정턱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고정부재는 외측의 두께가 더 두껍도록 단차를 가지며, 상기 회전고정부재는 상기 삽통홈의 고정턱 및 상기 단차에 의하여 상기 삽통홈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휴대 기기.
  24. 제 21 내지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그 측벽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막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이동구멍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며,
    상기 보호막은 신축성이 있는 물질로 구성된, 휴대 기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이 상기 고정힌지축과 만나는 부분은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휴대 기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의 내측벽면 근처에는 수평 방향으로 보호막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보호막의 일부가 상기 보호막수납홈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휴대 기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축은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힌지축은 상기 두 개의 부재가 외력에 의하여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두 개의 부재를 감싸는 링을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28. 정면과 후면 각각에 모두 디스플레이창을 포함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안착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방으로 슬라이딩된 후 180도 회전되므로 후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창도 정면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측벽은 그 일단이 측벽의 일부영역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가 관통하는 이동구멍이 형성되는, 휴대 기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부에는 개방부를 갖는 C형상의 링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슬라이딩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딩을 완료하는 시점에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C형상의 링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힌지축 내부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기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며, 외경이 상기 회전힌지축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회전힌지축 내부로 안착되었을 시에는 상기 회전힌지축와 접촉하는 연동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연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 중 상기 본체부의 측벽에 배치되는 일단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재를 감싸는 탄성부재가 형성되는, 휴대 기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힌지축과 상기 연동부재의 접촉면에는 복수의 돌출부와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회전힌지축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연동부재에 형성된 돌출부가 접촉할 때 최대가 되는 휴대 기기.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축 방향으로 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되는, 휴대 기기.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힌지축의 개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슬라이딩 시 상기 고정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34. 제1항과 제5항 내지 6항, 그리고 제9항과 제16항 내지 18항, 그리고 제21항 내지 23항, 그리고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에 대하여 미끄러져 올라감이 끝나면서(슬라이딩이 완료되어 멈추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아래쪽이 회전축의 수평선보다 더 이상 위로 들려 올라가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좌우 외측면 하단부에 들려 올라감 방지턱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들려 올라감 방지턱이 본체부의 측벽의 내측면을 따라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들려 올라감 방지턱에 대응하여 방지턱 미끄러짐 가이드홈을 양쪽 측벽을 따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KR20110073330A 2010-07-29 2011-07-23 미끄러지는 이동 또는 회전/경사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기기 KR101335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3330A KR101335067B1 (ko) 2010-07-29 2011-07-23 미끄러지는 이동 또는 회전/경사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기기
US13/812,214 US9137923B2 (en) 2010-07-29 2011-07-29 Portable device having a sliding motion or rotating/tilting display unit
CN201180036575.3A CN103026633B (zh) 2010-07-29 2011-07-29 具有滑动型移动或旋转/倾斜型显示部的便携设备
PCT/KR2011/005585 WO2012015266A2 (ko) 2010-07-29 2011-07-29 미끄러지는 이동 또는 회전/경사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3671 2010-07-29
KR1020100073671 2010-07-29
KR1020110058510A KR20120011778A (ko) 2010-07-29 2011-06-16 미끄러지는 이동 또는 회전/경사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기기
KR1020110058510 2011-06-16
KR20110073330A KR101335067B1 (ko) 2010-07-29 2011-07-23 미끄러지는 이동 또는 회전/경사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812A KR20120011812A (ko) 2012-02-08
KR101335067B1 true KR101335067B1 (ko) 2013-11-29

Family

ID=4553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73330A KR101335067B1 (ko) 2010-07-29 2011-07-23 미끄러지는 이동 또는 회전/경사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37923B2 (ko)
KR (1) KR101335067B1 (ko)
CN (1) CN103026633B (ko)
WO (1) WO201201526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5231A1 (de) * 2012-03-14 2013-09-19 Constin Gmbh Schiebergehäuse für ein elektronisches kommunikationsgerät
GB2506923A (en) * 2012-10-15 2014-04-16 Renergy Sarl Releasably join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an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provide a larger, substantially seamless display screen
CN103793005A (zh) * 2012-11-01 2014-05-14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键盘的保护壳
US9843657B1 (en) * 2016-10-27 2017-12-12 W. Jason Guzek Mobile computing/communicating attachment device
US20180210504A1 (en) * 2017-01-23 2018-07-26 George Moser Laptop computer with multiple integrated displays
US10272847B1 (en) * 2018-10-26 2019-04-30 Eagle Fan Foldable clamping device
KR102111376B1 (ko) * 2019-06-19 2020-05-18 (주)파인테크닉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TWI748704B (zh) * 2020-10-23 2021-12-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轉軸結構與電子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512A (ko) * 2006-08-18 2006-08-29 주식회사 엠투시스 2방향 개폐장치
KR100822649B1 (ko) 2007-10-30 2008-04-17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4268B2 (en) * 2004-09-17 2009-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4344887B2 (ja) * 2004-10-13 2009-10-14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情報端末
KR101144414B1 (ko) * 2005-05-27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US20080161075A1 (en) * 2006-04-04 2008-07-03 M2Sys Co., Ltd. Slide-U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Portable Terminal
KR100675734B1 (ko) * 2006-04-04 2007-01-30 주식회사 엠투시스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개폐장치
JP4484859B2 (ja) * 2006-10-19 2010-06-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スライド式携帯機器
TWI362209B (en) * 2008-10-08 2012-04-11 Ht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397799B (zh) * 2008-12-17 2013-06-01 Htc Corp 可攜式電子裝置及其操作方法
KR101539465B1 (ko) * 2009-02-18 2015-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CN101861063A (zh) * 2009-04-13 2010-10-1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8284554B2 (en) * 2010-02-15 2012-10-09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pivoting and sliding por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512A (ko) * 2006-08-18 2006-08-29 주식회사 엠투시스 2방향 개폐장치
KR100822649B1 (ko) 2007-10-30 2008-04-17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26633A (zh) 2013-04-03
CN103026633B (zh) 2015-06-10
WO2012015266A3 (ko) 2012-04-19
KR20120011812A (ko) 2012-02-08
US9137923B2 (en) 2015-09-15
WO2012015266A2 (ko) 2012-02-02
US20130128465A1 (en)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067B1 (ko) 미끄러지는 이동 또는 회전/경사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기기
US11360525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multiple displays
JP4773284B2 (ja) ディスプレイパートおよびキーパッドパートを含む個人携帯端末機
KR100886852B1 (ko) 휴대기기 구조
US20150031452A1 (en) Game Controller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20138429A (ko)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000029031A (ko) 휴대용 컴퓨터 키보드 시스템
JP2009033750A (ja) スライディング及びローテーション複合メカニズムとこれを採用した携帯用電子機器
US8463326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different configurations
US20090186662A1 (en) Clamshell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pivotally coupled interconnector
KR20210016236A (ko) 펜 수납이 가능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5103406B2 (ja) 置き台
KR101192635B1 (ko) 다운로드 서비스되는 앱의 보안방법과 이를 이용한 미끄러지는 이동 또는 회전/경사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JP4950966B2 (ja) 排水装置
CA2688591C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different configurations
CN117640809A (zh) 折叠式便携设备用附着型自动铰链保护罩
KR20120011778A (ko) 미끄러지는 이동 또는 회전/경사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기기
JP3356396B2 (ja) 蓋体の変位を抑制したノートブック・コンピュータ
KR100658207B1 (ko) 개인휴대단말기
KR100883539B1 (ko) 복수의 키패드를 구비한 피디에이
WO2009025473A2 (en) Portable device which has slide and rotary type display module
KR101106775B1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입력장치
CN114520667A (zh) 卡托结构及电子设备
EP2081367A1 (en) Clamshell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pivotally coupled inter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