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236A - 펜 수납이 가능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펜 수납이 가능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236A
KR20210016236A KR1020190094567A KR20190094567A KR20210016236A KR 20210016236 A KR20210016236 A KR 20210016236A KR 1020190094567 A KR1020190094567 A KR 1020190094567A KR 20190094567 A KR20190094567 A KR 20190094567A KR 20210016236 A KR20210016236 A KR 20210016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ver
electronic device
pe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1583B1 (ko
Inventor
강남현
고민아
김민근
김학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4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583B1/ko
Priority to US16/941,762 priority patent/US11184989B2/en
Priority to PCT/KR2020/010046 priority patent/WO2021025373A1/en
Publication of KR20210016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펜 수납이 가능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는, 전자 장치에 부착되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 영역에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인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인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3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펜 수납부,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면을 감싸는 외피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제3 플레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외피를 통해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 구조를 통해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펜 수납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다른 경도를 가지는 제2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펜 수납이 가능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A COVER CAPABLE OF STORING A PEN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COVER}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펜 수납이 가능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전자 장치에는 사용 편의성을 고려하여 대화면으로 입출력을 동시에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어 있으며, 전자 장치의 비약적인 발전에 부응하여 전자 장치의 주변 기기 또한 발전하고 있다.
터치 스크린 영역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입력 장치의 일종인 전자 펜(예: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이 제안되었으며, 사용자는 전자 펜을 활용하여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터치 스크린에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펜을 활용하여 문자 데이터 이외에 그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테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이 대화면의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장치에서는 전자 펜이 활용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자 펜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한 전자 펜의 손상 또는, 전자 펜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에 부착되는 크래들(cradle) 일 측면에 전자 펜 수납을 위한 홈을 형성하고, 형성된 홈을 활용하여 전자 펜을 수납하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다만, 전자 펜이 홈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홈에서 전자 펜을 꺼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홈에 손가락을 넣고, 손가락으로 전자 펜을 밀어서 내는 방식으로 빼내야만 해서 전자 펜의 탈착이 번거롭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 다른 방안으로, 전자 장치에 부착되는 커버의 일 측면 또는 후면에 펜을 고정하는 파우치(pouch)를 형성하고, 파우치에 전자 펜을 끼워 고정하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다만, 상기 방안의 경우, 전자 펜을 파우치에 고정하여 수납하다 보니 수납이 불편하고, 전자 펜이 외부 충격에 쉽게 노출될 수 있어 전자 펜의 보호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개시는 펜 수납부를 포함하는 커버를 제공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일면과 커버 사이에 전자 펜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상술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다양한 실시예를 따른 커버는, 전자 장치에 부착되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 영역에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인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인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3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펜 수납부,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면을 감싸는 외피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제3 플레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외피를 통해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 구조를 통해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펜 수납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다른 경도를 가지는 제2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를 따른 커버는, 전자 장치에 부착되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덮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 적어도 일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제1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펜 수납부,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면을 감싸는 외피 및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타면을 감싸는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간격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펜 수납부는 상기 제1 소재와 다른 경도를 가지는 제2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를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는 커버,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형성되는 안착 홈 및 상기 안착 홈에 안착될 수 있는 펜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일 영역에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인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인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3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펜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펜 수납부,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면을 감싸는 외피,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제3 플레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외피를 통해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 구조를 통해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펜 수납부는 상기 제1 소재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2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는, 전자 장치의 일면과 커버 사이에 전자 펜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전자 펜이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는, 수납의 편의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자 펜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전자 장치의 일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의 커버를 후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2d는, 도 2b의 커버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2e는 도 2b의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전자 장치의 일면에 형성된 안착 홈과 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펜 수납부 내에 펜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커버의 일부 영역이 전자 장치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에 의해 전자 장치가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전자 장치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커버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커버가 펼쳐진(unfolding)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펜 수납부 내에 펜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커버의 일부 영역이 전자 장치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전자 장치의 전면, 후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커버의 일부 영역이 접혀져, 커버에 의해 전자 장치가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100)가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100)는,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되어, 전자 장치(10)의 일면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커버(100)는 전자 장치(10)의 후면(12)에 부착되어, 전자 장치(10)의 후면(12)을 보호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버(100)는 전자 장치(10)의 전면(11)에 부착되어, 전자 장치(10)의 전면(11)에 보여지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보호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100)는, 제1 영역(110), 제2 영역(120), 제3 영역(130), 및 제1 영역(110)의 일 영역에 결합되는 펜 수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110), 제2 영역(120), 제3 영역(130) 내부에는 자석(미도시)이 실장되어, 상기 제1 영역(110), 제2 영역(120), 제3 영역(130)은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되어, 전자 장치(10)의 일면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120)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1 영역(110)과 제3 영역(130)은 제2 영역(120)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일 예시(도 1 참조)로, 제2 영역(120)이 전자 장치(10)의 후면(12)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영역(120)은 제2 영역(120)을 일정한 각도(θ)만큼 회동하여, 전자 장치(10)를 거치할 수 있다. 다만, 제1 영역(110)과 제3 영역(130)은 제2 영역(120)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펜 수납부(140)는 제1 영역(110)의 적어도 일 영역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펜 수납부(140)는 상기 제1 영역(110)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되었을 때, 제1 영역(110)과 전자 장치(10)의 일면 사이에 펜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펜 수납부(140)의 일 영역에는 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100)가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홀(150)에 의해 전자 장치(10)의 일 영역이 커버(100) 외부로 보여질 수 있다. 일 예시로, 커버(100) 전자 장치(10)의 후면(12)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홀(150)을 통해 전자 장치(10) 후면의 카메라 모듈이 커버(100) 외부로 보여질 수 있어, 사용자는 커버(100)가 부착된 상태에서도 카메라 모듈을 활용할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의 정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의 커버(200)를 후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2d는, 도 2b의 커버(200)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2e는 도 2b의 커버(200)의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는 제1 플레이트(210a), 제2 플레이트(220a), 제3 플레이트(230a), 펜 수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의 커버(2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의 커버(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210a)는 제1 폭(w1)과 제1 높이(h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는, 제2 폭(w2)과 제1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플레이트는, 제3 폭(w3)과 제1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폭(w1), 제2 폭(w2), 제3 폭(w3)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폭(w1), 제2 폭(w2), 제3 폭(w3)은 모두 상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레이트(210a), 제2 플레이트(220a), 제3 플레이트(230a)의 일면에는 외피(201)가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외피(201)는 상기 제1 플레이트(210a), 제2 플레이트(220a), 제3 플레이트(230a)의 일면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200)는 상기 외피(201)가 어떤 플레이트에 부착되는지에 따라, 제1 영역(210), 제2 영역(220), 제3 영역(2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외피(201)가 부착된 영역 중 제1 플레이트(210a)에 대응되는 영역은 제1 영역(210)으로 구분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220a)에 대응되는 영역은 제2 영역(22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3 플레이트(230a)에 대응되는 영역은 제3 영역(2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외피(201)는 일 예시로,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가죽, 합성소재, 패브릭(fabric)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플레이트(210a)와 제2 플레이트(220a)는, 상기 제1 플레이트(210a), 제2 플레이트(220a)의 일면에 부착된 외피(201)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플레이트(210a)는 상기 외피(201)를 통해 제2 플레이트(220a)를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2 플레이트(220a)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1 플레이트(210a)는 전자 장치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220a)와 제3 플레이트(230a)는, 제2 플레이트(220a)와 제3 플레이트(230a) 사이에 위치하는 힌지 구조(29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구조(290)는 외피(201)에 의해 커버(200)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제3 플레이트(230a)는 힌지 구조(290)를 통해 제2 플레이트(220a)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θ) 범위 내에서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3 플레이트(230a)는 제2 플레이트(220a)를 기준으로 10˚ 내지 180˚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플레이트(220a)가 전자 장치의 일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3 플레이트(230a)는 상기 제2 플레이트(220a)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3 플레이트(230a)가 전자 장치를 거치할 수도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210a)의 일 영역에는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펜 수납부(240)는 상기 개구부에 조립되는 방식으로 제1 플레이트(210a)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펜 수납부(240)는 테이프(tape) 또는 본드(bond)를 통해 개구부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제1 플레이트(210a)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펜 수납부(240)는 개구부에 융착되는 방식으로 제1 플레이트(210a)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펜 수납부(240)는, 개구부에 사출(예: 이중 사출, 인서트 사출)되는 방식으로 제1 플레이트(210a)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210a), 제2 플레이트(220a), 제3 플레이트(230a)와 펜 수납부(240)는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200)의 사용 환경에 따라, 펜 수납부(240)가 지면에 접촉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펜 수납부(240)가 경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지면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펜 수납부(240)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펜 수납부(240)는 상기 제1 플레이트(210a), 제2 플레이트(220a), 제3 플레이트(230a)보다 경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210a), 제2 플레이트(220a), 제3 플레이트(230a)는 강성과 평탄도가 우수하고, 내부식성이 좋은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펜 수납부(240)는 폴리카보네이트보다 경도가 낮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펜 수납부(240)는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펜 수납부(240)가 커버(200) 사용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210a), 제2 플레이트(220a), 제3 플레이트(230a)는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커버(200)의 강성과 평탄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펜 수납부(240)의 일 영역에는 펜 수납부(240)의 일 영역을 관통하는 홀(25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250)은 펜 수납부(240)의 일부 영역을 가공(예: 절삭)하여 형성되는 홀일 수도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250)은 펜 수납부(240)가 형성되지 않는 개구부의 일부 영역을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210a), 제2 플레이트(220a), 제3 플레이트(230a)에는 적어도 하나의 실장 공간(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장 공간에는 자석(281, 282, 283)이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210a)에 형성된 실장 공간에는 제1 자석(281)이 실장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220a)에 형성된 실장 공간에는 제2 자석(282)이 실장될 수 있으며, 제3 플레이트(230a)에 형성된 실장 공간에는 제3 자석(283)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석(281), 제2 자석(282), 제3 자석(283)은, 각각 제1 플레이트(210a), 제2 플레이트(220a), 제3 플레이트(230a)가 전자 장치의 일면 예: 도 1의 후면(12))에 부착될 때, 제1 플레이트(210a), 제2 플레이트(220a), 제3 플레이트(230a)가 전자 장치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210a), 제2 플레이트(220a), 제3 플레이트(230a)의 외피(201)가 부착되는 일면(예: 도 2a)과 반대 방향인 다른 일면(예: 도 2b)에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필름(260)이 부착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1 플레이트(210a)의 다른 일면에는 제1 필름(261)이 부착될 수 있으며, 제1 필름(261)은 제1 플레이트(210a)의 실장 공간 내에 실장된 제1 자석(281)이 커버(200)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2 플레이트(220a)의 다른 일면에는 제2 필름(262)이 부착되고, 제3 플레이트(230a)의 다른 일면에는 제3 필름(263)이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필름(262), 제3 필름(263)은 제2 플레이트(220a), 제3 플레이트(230a)의 실장 공간 내에 실장된 제2 자석(282), 제3 자석(283)이 커버(200)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200)가 전자 장치의 일면에 부착될 때, 제2 플레이트(220a)의 전자 장치의 일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1 플레이트(210a)와 제3 플레이트(230a)는 제2 플레이트(220a)를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2 플레이트(220a)는 전자 장치의 일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1 플레이트(210a) 및/또는 제3 플레이트(230a)는 전자 장치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플레이트(210a) 및/또는 제3 플레이트(230a)를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제2 플레이트(220a)가 전자 장치의 일면에서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제2 플레이트(220a)의 일면에는 패드(270)가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드(270)는 마찰력 높은 재질(예: 고무)로 형성되어, 제2 플레이트(220a)가 전자 장치의 일면에 부착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드(270)는 제2 플레이트(220a)에 부착되는 제2 필름(262)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패드(270)는 일 예시로, 사각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필름(262)의 가장자리를 모두 감싸는 형태로 부착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드(270)는 제2 필름(262)의 상단과 하단 가장자리에만 부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패드(270)는 제2 플레이트(220b)의 일면에 부착되며, 제2 플레이트(220a)의 일면의 일부 영역에 부착된 제2 필름(262)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상기 패드(270)는 사각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필름(262)을 감싸는 형태로 제2 플레이트(220b)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미도시)로, 패드(270)는 직사각형 형상의 복수의 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패드는 제2 필름(262)의 상단에 대응되는 제2 플레이트(220b)의 일 영역과 제2 필름(262)의 하단에 대응되는 제2 플레이트(220b)의 일 영역에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210a)와 제3 플레이트(210c)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실장 공간이 형성되고, 제2 플레이트(210b)에는 자석 실장 공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플레이트(210a)에 형성된 자석 실장 공간에는 제1 자석(281)이 실장되고, 상기 제3 플레이트(210c)에 형성된 자석 실장 공간에는 제3 자석(283)이 실장되나, 상기 제2 플레이트(210b) 내부에는 별도의 자석이 실장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210b)는, 별도의 자석 없이 제2 플레이트(210b)의 일면에 부착되는 패드(270)의 마찰력을 통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제2 플레이트(210b)는 상기 제2 플레이트(210b) 내부에 실장되는 제2 자석(282), 및 제2 플레이트(210b) 일면에 부착되는 패드(270)를 통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플레이트(210b)는 별도의 자석 없이 패드(270)만으로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3은,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형성된 안착 홈(13)과 펜(2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입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펜(20)에 의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제1 패널과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제2 패널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입력과 펜(20)에 의한 입력을 모두 인식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상기 제1 패널은, 펜(20)이 제1 패널에 접근할 때 생기는 전자기 공명의 변화를 이용하는 EMR(eletro magnetic resonance) 방식으로 펜(20)에 의한 입력을 인식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로, 상기 제1 패널은, 펜(20)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이용한 AES(active electrostatic) 방식으로 펜(20)에 의한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15)이 실장될 수 있으며, 펜(20) 내부에도 적어도 하나의 자석(21)이 실장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전자 장치(10) 내부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15)은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으며, 펜(20) 내부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21)은 전자 장치(10) 내부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2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의 일면(예: 후면(12))에 펜(20)이 부착되는 경우, 상기 펜(20)은 펜(20) 내부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21)과 전자 장치(601) 내부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15) 사이의 자석 결합을 통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는 전자 장치(10) 내부와 펜(20) 내부에 각각 2개의 자석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배치되는 자석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 내부와 펜(20) 내부에 3개의 자석이 배치되거나, 4개의 자석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무선 충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부는 전자 장치(10) 내부에서, 펜(20)이 부착되는 전자 장치(10)의 일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ES 방식의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10)에 사용되는 펜(20)은 내부에 정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부는, 펜(20)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될 때, 펜(20) 내부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는 안착 홈(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펜(20)은 안착 홈(13)에 안착되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안착 홈(13)은 펜(2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는 커버(3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자 장치(1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제1 영역(310)(예: 도 1의 제1 영역(110), 도 2b의 제1 영역(210))을 포함하며, 제1 영역(310)에는 상기 제1 영역(31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펜(20)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펜 수납부(340)(예: 도 1의 펜 수납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펜(20)은 1차적으로 자석 결합을 통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고정 부착되고, 2차적으로는 펜 수납부(340) 내부에 수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펜(20)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거나, 펜(20)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펜 수납부(340)의 펜(20) 수납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도 4a, 도 4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400)의 펜 수납부(440) 내에 펜(20)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커버(400)의 일부 영역(410)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400)는 전자 장치(10)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410a)(예: 도 2a의 제1 플레이트(210a)), 제2 플레이트(420a)(예: 도 2a의 제2 플레이트(220a)), 제1 플레이트(410a)와 제2 플레이트(420a)의 일면에 부착되는 외피(401), 및 펜 수납부(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400)는 상기 외피(401)가 어떤 플레이트에 부착되는지에 따라, 제1 영역(410), 제2 영역(4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상기 외피(401)가 부착된 영역 중 제1 플레이트(410a)에 대응되는 영역은 제1 영역(410)(예: 도 2a의 제1 영역(21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2 플레이트(420a)에 대응되는 영역은 제2 영역(420) (예: 도 2a의 제2 영역(2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a, 도 4b의 커버(400)의 구성요소들 적어도 하나는 도 1의 커버(100) 또는 도 2a 내지 도 2e의 커버(2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410a)와 제2 플레이트(420a)가 외피(401)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커버(400)의 제1 영역(410)과 제2 영역(420)은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일 예시(예: 도 4a)로, 상기 제1 영역(410)과 상기 제2 영역(420)은 모두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될 수도 있으나, 다른 예시(예: 도 4b)에 따르면, 상기 제2 영역(420)은 전자 장치(10)이 일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역(410)은 상기 제2 영역(420)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전자 장치(1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410a)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481)(예: 도 2c의 제1 자석(281))이 실장되고, 제2 플레이트(420a)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미도시)(예: 도 2c의 제2 자석(282))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410a)와 상기 제2 플레이트(420a) 내부에 실장된 자석은, 각각 상기 제1 영역(410)과 제2 영역(420)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될 때, 상기 제1 영역(410)과 제2 영역(420)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펜 수납부(440)는, 제1 플레이트(410a)의 일 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펜 수납부(440) 내부에는 홈(4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410)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펜 수납부(440) 내부에 형성된 홈(441)에 의해, 상기 펜 수납부(440)와 전자 장치(10)의 일면 사이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에는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된 펜(20)(예: 도 3의 펜(20))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홈(441)은 일 예시로, 펜(2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펜(20)이 수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면 홈(441)은 펜(2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성과 다른 형상(예: 사각형,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예: 도 4a)에 따르면, 사용자는 펜(2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납부(440) 내부에 펜(20)을 보관하여, 펜(20)이 분실되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펜(20) 사용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커버(400)의 제1 영역(410)을 회동시켜, 상기 제1 영역(410)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410)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면, 펜 수납부(440)도 상기 제1 영역(410)과 함께 이격되게 되어, 펜 수납부(440)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펜(20)이 커버(4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노출된 펜(20)을 꺼내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500)에 의해 전자 장치(10)가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일면(예: 후면)에는 커버(50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10)의 일면은 상기 커버(500)에 의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의 일 측면(예: 포고 단자가 형성된 측면)에는 키보드(30)가 탈착 또는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30)를 전자 장치(10)의 일 측면에 부착시키거나, 상기 키보드(30)를 전자 장치(10)의 일 측면으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500)는 제1 영역(510)(예: 도 2a의 제1 영역(210)), 제2 영역(520)(예: 도 2a의 제2 영역(220)), 및 제3 영역(530) (예: 도 2a의 제3 영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520)과 제3 영역(530)은 힌지 구조(미도시)(예: 도 2d의 힌지 구조(29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3 영역(530)은 상기 제2 영역(520)을 기준으로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3 영역(530)은, 상기 제2 영역(520)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 영역(520)과 제3 영역(530) 사이의 각도가 제1 각도(θ1)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영역(530)의 일단은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된 제2 영역(520)에 맞닿고, 상기 제3 영역(530)의 다른 일단은 지면에 맞닿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 영역(520)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3 영역(530)이 제2 영역(520)을 기준으로 제1 각도(θ1)만큼 회동함에 따라, 전자 장치(10)는 상기 커버(500)의 제2 영역(520), 제3 영역(530)에 의해 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3 영역(530)은, 상기 제2 영역(520)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 영역(520)과 제3 영역(530) 사이의 각도가 상기 제1 각도(θ1)보다 작은 제2 각도(θ2)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520)과 제3 영역(530) 사이의 각도가 제2 각도(θ2)인 경우, 상기 제2 영역(520)과 제3 영역(530) 사이의 각도가 제1 각도(θ1)일 때보다 전자 장치(10)와 지면 사이의 각도가 줄어, 전자 장치(10)가 지면에 가까워지게 된다. 즉, 제2 영역(520)과 제3 영역(530) 사이의 각도가 줄어들수록, 전자 장치(1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줄어들게 된다. 반대로, 제2 영역(520)과 제3 영역(530) 사이의 각도가 증가할수록, 전자 장치(10)와 지면 사이의 각도도 증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제2 영역(520)과 제3 영역(530)의 각도를 조절하여, 전자 장치(10)가 거치되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전자 장치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커버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커버가 펼쳐진(unfolding)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600)는, 전면 커버(610), 후면 커버(620), 및 측면 커버(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600)는 북 커버(book cover) 형태로 전자 장치(10)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착되어, 전자 장치(10)의 전면(11), 후면(12), 및/또는 일 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610)는 전자 장치(10)의 전면(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을 수 있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노출되는 구성요소들(예: 터치 스크린(14))을 보호할 수 있다. 후면 커버(620)는 상기 전자 장치(10)의 전면(11)과 마주보는 전자 장치(10)의 후면(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어, 전자 장치(10)의 후면(12)을 보호할 수 있다. 측면 커버(630)는 상기 전면 커버(610)와 상기 후면 커버(620)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전자 장치(10)의 일 측면을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커버(610)와 상기 후면 커버(620)가 상기 측면 커버(630)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전면 커버(610)는 후면 커버(620)를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600)는, 전면 커버(610)가 전자 장치(10)의 전면(11)을 덮고, 후면 커버(620)는 전자 장치(10)의 후면(12)을 덮는 접힌 상태(folded state)가 되어, 전자 장치(10)의 전면(11)과 후면(12)을 각각 보호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600)는, 후면 커버(620)가 전자 장치(10)의 후면(12)에 부착된 상태에서 전면 커버(610)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전면 커버(610)와 후면 커버(620)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또는 flat state)가 될 수 있다. 상기 커버(600)가 펼쳐진 상태일 때, 전자 장치(10)의 전면(11)이 커버(6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커버(600)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전자 장치(10)의 터치 스크린(14)이 커버(6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10)의 사용 상황에 따라, 전면 커버(610) 및/또는 후면 커버(620)를 회동시켜, 커버(600)의 상태(예: 접힌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후면 커버(620)는 제1 영역(620a)과 상기 제1 영역(620a)과 제1 간격(L1)만큼 이격된 제2 영역(620b)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제1 영역(620a)은 상기 제2 영역(620b)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다만, 제1 영역(620a)은 상기 제2 영역(620b)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620a)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펜 수납부(6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펜 수납부(640)는 상기 제1 영역(620a)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영역(620a)이 전자 장치(10)의 후면에 부착되었을 때, 전자 장치(10)의 후면과 제1 영역(620a) 사이에 펜(미도시)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펜 수납부(640)의 일 영역에는 펜 수납부(640)를 관통하는 홀(6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650)을 통해 전자 장치(10)의 일부 영역이 커버(600) 외부로 보여질 수 있다. 일 예시로, 후면 커버(620)가 전자 장치(10)의 후면(12)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홀(650)을 통해 전자 장치(10)의 후면(12)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이 후면 커버(620) 외부로 보여질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전면 커버(610)는 후면 커버(620)의 제2 영역(620b)과 측면 커버(630)를 통해 연결되는 제3 영역(610a), 상기 제3 영역(610a)과 제3 간격(611)만큼 이격된 제4 영역(610b), 상기 제4 영역(610b)과 제4 간격(612)만큼 이격된 제5 영역(610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610a)은 측면 커버(630)를 통해 제2 영역(620b)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영역(610b)은 제3 영역(610a)과 제3 간격(L3)만큼 이격됨에 따라, 제3 영역(610a)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영역(610c)은 제4 영역(610b)과 제4 간격(L4)만큼 이격됨에 따라, 제4 영역(610b)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즉, 제3 영역(610a), 제4 영역(610b), 제5 영역(610c)은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3 영역(610a), 제4 영역(610b), 제5 영역(610c)을 통해 전자 장치(10)를 거치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600)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600)는, 제1 플레이트(621), 제2 플레이트(622), 제3 플레이트(611), 제4 플레이트(612), 제5 플레이트(613)의 일면은 외피(601)에 의해 압착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621), 제2 플레이트(622), 제3 플레이트(611), 제4 플레이트(612), 제5 플레이트(613)의 다른 일면은 내피(602)에 의해 압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폭(w1)과 제1 높이(h1)를 갖는 제1 플레이트(621)와 제2 폭(w2)과 제1 높이(h1)를 갖는 제2 플레이트(622)의 일면과 타면이 외피(601) 및 내피(602)에 의해 압착됨에 따라, 후면 커버(6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621)와 제2 플레이트(622)는 상기 외피(601)와 내피(602)에 의해 감싸져, 후면 커버(620)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폭(w2)의 길이는 제1 폭(w1)의 길이의 2배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제1 플레이트(621)가 내재된 후면 커버(620)의 일 영역은 제1 영역(620a)으로 지칭하며, 상기 제2 플레이트(622)가 내재된 후면 커버(620)의 다른 일 영역은 제2 영역(620b)으로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621)와 제2 플레이트(622)는 제1 간격(L1)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외피(601)와 내피(602)에 의해 압착됨에 따라, 제1 영역(620a)과 제2 영역(620b) 사이에는 제1 연결 영역(6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620a)과 제2 영역(620b)은 상기 제1 연결 영역(623)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1 영역(620a)은 상기 제2 영역(620b)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외피(601)와 내피(602)는 일 예시로,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가죽, 합성소재, 패브릭(fabric)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621)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펜 수납부(640)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621)의 일 영역에는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펜 수납부(640)는 상기 개구부에 조립되는 방식으로 제1 플레이트(621)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펜 수납부(640)는 테이프(tape) 또는 본드(bond)를 통해 개구부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제1 플레이트(621)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펜 수납부(640)는 개구부에 융착되는 방식으로 제1 플레이트(621)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펜 수납부(640)는, 개구부에 사출(예: 이중사출, 인서트 사출)되는 방식으로 제1 플레이트(621)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레이트(621), 제2 플레이트(622)와 상기 펜 수납부(640)는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600)의 사용 환경에 따라, 펜 수납부(640)가 지면에 접촉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펜 수납부(640)가 경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지면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펜 수납부(640)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펜 수납부(640)는 상기 제1 플레이트(621), 제2 플레이트(622)보다 경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621)와 상기 제2 플레이트(622)는 강성과 평탄도가 우수하고, 내부식성이 좋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시로 상기 제1 플레이트(621)와 상기 제2 플레이트(622)는 에폭시(epoxy)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펜 수납부(640)는 에폭시 소재보다 경도가 낮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펜 수납부(640)는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펜 수납부(640)가 커버(600) 사용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621), 제2 플레이트(622)는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커버(600)의 강성과 평탄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펜 수납부(640)의 일 영역에는 펜 수납부(640)의 일 영역을 관통하는 홀(65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650)은 펜 수납부(640)의 일부 영역을 가공(예: 절삭)하여 형성되는 홀일 수도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650)은 펜 수납부(640)가 형성되지 않는 개구부의 일부 영역을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폭(w3)과 제1 높이(h1)를 갖는 제3 플레이트(611), 제4 폭(w4)과 제1 높이(h1)를 갖는 제4 플레이트(612), 및 제5 폭(w4)과 제1 높이(h1)를 갖는 제5 플레이트(613)의 일면과 타면이 각각 외피(601) 및 내피(602)에 의해 압착됨에 따라, 전면 커버(6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플레이트(611), 제4 플레이트(612), 및 제5 플레이트(613)는 상기 외피(601)와 내피(602)에 의해 감싸져, 전면 커버(620)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폭(w3), 제4 폭(w4), 제5 폭(w5)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는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제3 폭(w3), 제4 폭(w4), 제5 폭(w5) 길이가 동일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플레이트(611), 제4 플레이트(612), 및 제5 플레이트(613)는 상기 제1 플레이트(621), 제2 플레이트(622)와 동일한 에폭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제3 플레이트(611)가 내재된 전면 커버(610)의 일 영역은 제3 영역(610a)으로 지칭하고, 상기 제4 플레이트(612)가 내재된 전면 커버(610)의 다른 일 영역은 제4 영역(610b)으로 지칭하며, 상기 제5 플레이트(613)가 내재된 전면 커버(610)의 또 다른 일 영역은 제5 영역(610c)으로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플레이트(611)는 상기 제2 플레이트(622)와 제2 간격(L2)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외피(601)와 내피(602)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그 결과, 후면 커버(620)의 제2 영역(620a)과 전면 커버(610)의 제3 영역(610a) 사이에는 플레이트가 내재되지 않은 연결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영역은 측면 커버(630)(예: 도 6a의 63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플레이트(611)와 제4 플레이트(612)는 제3 간격(L3)만큼 이격되고, 제4 플레이트(612)와 제5 플레이트(613)는 제4 간격(L4)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외피(601)와 내피(602)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 플레이트(611)와 제4 플레이트(612) 사이에는 제2 연결 영역(614)이 형성되고, 제4 플레이트(612)와 제5 플레이트(613) 사이에는 제3 연결 영역(6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영역(610a)은 후면 커버(620)의 제2 영역(620a)과 측면 커버(630)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제2 영역(620a)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제4 영역(610b)은 상기 제3 영역(610a)과 제2 연결 영역(614)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3 영역(610a)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5 영역(610c)은 상기 제4 영역(610b)과 제3 연결 영역(615)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4 영역(610b)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영역(610a), 제4 영역(610b), 제5 영역(610c)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커버(610)는 제3 영역(610a), 제4 영역(610b), 제5 영역(610c)의 회동 상태에 따라 전자 장치(10)를 거치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800)의 펜 수납부(840) 내에 펜(20)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커버(800)의 일부 영역(820a)이 전자 장치(10)의 일면(12)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800)는 전자 장치(10)의 적어도 일면(예: 후면(12))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제1 영역(820a)(예: 도 7의 제1 영역(620a)) 과 제2 영역(820b)(예: 도 7의 제2 영역(620b)), 및 펜 수납부(840)(예: 도 7의 펜 수납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8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6a 내지 도 6c의 커버(600) 또는 도 7의 커버(6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820a)과 제2 영역(820b)은 일정 간격(예: 도 7의 L1)만큼 이격되어, 제1 연결 영역(823)(예: 도 7의 제1 연결 영역(62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영역(820a)과 제2 영역(820b)이 제1 연결 영역(823)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제1 영역(820a)은 제2 영역(820b)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θ) 범위 내에서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820a)은 제2 영역(820b)을 기준으로 25˚ 내지 180˚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각도 범위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일 예시(예: 도 8a)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820a)과 제2 영역(820b)은 모두 전자 장치(10)의 후면(12)에 부착될 수 있으나, 다른 예시(예: 도 8b)에 따르면, 2 영역(820b)은 전자 장치(10)의 후면(12)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1 영역(820a)은 제2 영역(820b)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전자 장치(10)의 후면(12)으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820a)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88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360)은 제1 영역(820a)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될 때, 제1 영역(300a)을 전자 장치(301)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펜 수납부(840)는 제1 영역(820a)을 기준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펜 수납부(840) 내부에는 홈(841)이 형성될 수 있다. 펜 수납부(840) 내부에 형성된 홈(841)에 의해, 제1 영역(820a)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되었을 때, 펜 수납부(840)와 전자 장치(10)의 일면 사이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된 펜(20)(예: 도 3의 펜(2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홈(841)은 펜(2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펜(20)이 수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면 홈(441)은 펜(2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성과 다른 형상(예: 사각형,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예: 도 8a)에 따르면, 사용자는 펜(2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납부(840) 내부에 펜(20)을 보관하여, 펜(20)이 분실되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펜(20)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2 영역(820b)을 기준으로 제1 영역(820a)을 회동시켜, 상기 제1 영역(820a)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820a)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면, 펜 수납부(840)도 함께 이격되게 되어, 펜 수납부(840)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펜(20)이 커버(8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커버(800) 외부로 노출된 펜(20)을 꺼내 사용할 수 있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900)가 전자 장치(10)의 전면, 후면(12)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커버(900)의 일부 영역(910a, 910b, 910c)이 접혀져, 커버(900)에 의해 전자 장치(10)가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900)는 전면 커버(910), 후면 커버(920), 전면 커버(910)와 후면 커버(920)를 연결하는 측면 커버(9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9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7의 커버(6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하며,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 커버(920)는 전자 장치(1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후면 커버(920)는 제1 영역(920a) 및 상기 제1 영역(920a)과 일정 간격(예: 도 7의 L1)만큼 이격된 제2 영역(920b)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영역(920a)과 제2 영역(920b)은 제1 연결 영역(923)(예: 도 7의 제1 연결 영역(62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영역(920a)과 제2 영역(920b)이 제1 연결 영역(923)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제1 영역(920a)은 제2 영역(920b)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상기 제1 영역(920a)은 제2 영역(920b)이 전자 장치(10)의 후면(12)에 부착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의 후면(12)과 지정된 각도(θe)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각도(θe) 범위는 일 예시로, 0˚ 내지 15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920a)에는 펜 수납부(940)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제1 영역(920a)이 회동함에 따라, 펜 수납부(940)가 전자 장치(10)의 일면(예: 후면(12))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시(예: 도 9a)로, 제1 영역(920a)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된 경우에는 펜 수납부(940)와 전자 장치(10)의 일면 사이에 펜(20)이 수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예: 도 9b)로, 제1 영역(920a)가 회동하여, 전자 장치(1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된 경우에는 펜 수납부(940)도 전자 장치(1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된 펜(20)이 커버(9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920a)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981)이 실장되고, 제2 영역(920b)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982)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981)과 제2 자석(982)은 전자 장치(10)에 내재된 자석(미도시)과 자석 결합하여, 상기 제1 영역(920a)과 제2 영역(920b)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부착될 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1 자석(981)은 펜 수납부(940)와 인접한 영역 및 제1 영역(920a)의 가장자리 일 영역에 실장될 수 있으며, 제2 자석(982)은 제2 영역(920b)의 가장자리 부근에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910)는 전자 장치(1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커버(910)는 제3 영역(910a)(예: 도 7의 제3 영역(610a)), 제4 영역(910b) (예: 도 7의 제4 영역(610b)), 제5 영역(910c) (예: 도 7의 제5 영역(610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910a)과 제4 영역(910b)은 제3 간격(예: 도 7의 L3)만큼 이격되어, 제2 연결 영역(예: 도 7의 제2 연결 영역(614))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영역(910a)과 제4 영역(910b)이 제2 연결 영역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4 영역(910b)은 제3 영역(910a)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제3 영역(910a)은 후면 커버(920)의 제2 영역(920b)과 측면 커버(930)(예: 도 7의 측면 커버(630))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3 영역(910a)은 제2 영역(920b)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영역(910b)과 제5 영역(910c)은 제4 간격(예: 도 7의 L4)만큼 이격되어, 제3 연결 영역(예: 도 7의 제3 연결 영역(61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영역(910b)과 제5 영역(910c)이 제3 연결 영역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 5 영역(910c)은 상기 제4 영역(910b)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즉, 전면 커버(910)의 제3 영역(910a), 제4 영역(910b), 제5 영역(910c)은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영역(910a), 제4 영역(910b), 제5 영역(910c)의 회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전면 커버(910)는 전자 장치(10)를 거치할 수도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910a)은 제2 영역(920b)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제3 영역(910)의 일면은 지면에 접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제4 영역(910b)은 상기 제3 영역(910a)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제4 영역(910b)의 일단은 지면에 접하고, 타단은 후면 커버(220)의 제2 영역(920a)에 접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제5 영역(910c)은 제4 영역(910b)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제5 영역(910c)의 일면이 후면 커버(920)의 제2 영역(920a)의 일 영역에 부착되는 상태가 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제3 영역(910a), 제4 영역(910b), 제5 영역(910c)은 측면에서 봤을 때, 삼각형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전면 커버(910)는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구조(예: 삼각형 구조)로 구부려져, 전자 장치(10)를 거치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영역(9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제3 자석(983)이 지정된 간격으로 실장될 수 있고, 제2 영역(920b)의 제5 영역(910)이 부착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복수의 자석(982a)이 실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5 영역(910)이 제2 영역(920b)의 일 영역에 부착될 때, 상기 제5 영역(910) 내부에 실장된 복수의 제3 자석(983)과 제2 영역(920b) 내부에 실장된 복수의 자석(982a)이 자석 결합될 수 있다. 즉, 제5 영역(910) 내부에 실장된 복수의 제3 자석(983)과 제2 영역(920b) 내부에 실장된 복수의 자석(982a)을 통해, 제5 영역(910)이 제2 영역(920b)에 고정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자 장치(10)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예: 도 2a의 커버(200))는, 전자 장치에 부착되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 영역에 개구부(미도시)를 가지며,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1 플레이트(예: 도 2a의 제1 플레이트(210a)),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인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2 플레이트(예: 도 2a의 제2 플레이트(220a)),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인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3 플레이트(예: 도 2a의 제3 플레이트(230a)),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펜 수납부(예: 도 2a의 펜 수납부(240)),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면을 감싸는 외피(예: 도 2a의 외피(201))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제3 플레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구조(예: 도 2d의 힌지 구조(29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외피를 통해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 구조를 통해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펜 수납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다른 경도를 가지는 제2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레이트 내부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예: 도 2c의 제1 자석(281)), 및 상기 제3 플레이트 내부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자석(예: 도 2c의 제3 자석(28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상기 외피가 부착되는 일면과 반대 방향의 다른 일면에는 필름(예: 도 2c의 필름(260))이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다른 일면에 부착되는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부착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10˚ 내지 180˚ 각도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소재는 폴리카보네이트(PC)이고, 상기 제2 소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펜 수납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커버가 전자 장치에 부착될 때, 상기 전자 장치 후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커버 외부로 보여지도록 하는 홀(예: 도 1의 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폭(w1)과 제1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제2 폭(w2)과 제1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제3 폭(w3)과 제1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따른 커버(예: 7의 커버(600))는, 전자 장치에 부착되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덮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예: 도 7의 611, 612, 613), 적어도 일 영역에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1 플레이트(예: 도 7의 제1 플레이트(621)),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제1 간격(예: 도 7의 L1)만큼 이격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2 플레이트(예: 도 7의 제2 플레이트(622)),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펜 수납부(예: 도 7의 펜 수납부(640)),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면을 감싸는 외피(예: 도 7의 외피(601)) 및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타면을 감싸는 내피(예: 도 7의 내피(60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간격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펜 수납부는 상기 제1 소재와 다른 경도를 가지는 제2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25˚ 내지 180˚ 각도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소재는 에폭시(epoxy)이고, 상기 제2 소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레이트 내부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예: 도 9a의 제1 자석(981)),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내부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예: 도 9a의 제2 자석(9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폭(w1)과 제1 높이(h1)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제2 폭(w2)과 제1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폭(w2)의 길이는 상기 제1 폭(w1)의 길이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제2 간격(예: 도 7의 L2)만큼 이격되며, 제3 폭(w3)과 제1 높이(h1)를 갖는 제3 플레이트(예: 도 7의 제3 플레이트(611)), 상기 제3 플레이트와 제3 간격(예: 도 7의 L3)만큼 이격되며, 제4 폭(w4)과 제1 높이(h1)를 갖는 제4 플레이트(예: 도 7의 제4 플레이트(612)), 및 상기 제4 플레이트와 제4 간격(예: 도 7의 L4)만큼 이격되며, 제5 폭(w5)과 제1 높이(h1)를 갖는 제5 플레이트(예: 도 7의 제5 플레이트(613))를 포함하며,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간격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3 간격을 기준으로 상기 제3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5 플레이트는 상기 제4 간격을 기준으로 상기 제4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5 플레이트는, 상기 제5 플레이트 내부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자석(예: 도 9b의 제3 자석(98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10))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는 커버(예: 도 3의 커버(300)),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형성되는 안착 홈(예: 도 3의 안착 홈(13)) 및 상기 안착 홈에 안착될 수 있는 펜(예: 도 3의 펜(20))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일 영역에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1 플레이트(예: 도 2a의 제1 플레이트(210a)),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인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2 플레이트(예: 도 2a의 제2 플레이트(220a)),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인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3 플레이트(예: 도 2a의 제3 플레이트(230a)),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펜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펜 수납부(예: 도 2a의 펜 수납부(240)),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면을 감싸는 외피(예: 도 2a의 외피(201)),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제3 플레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구조(예: 도 2d의 힌지 구조(29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외피를 통해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 구조를 통해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펜 수납부는 상기 제1 소재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2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부착되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 영역에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인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인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3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펜 수납부;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면을 감싸는 외피;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제3 플레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외피를 통해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 구조를 통해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펜 수납부는 상기 제1 소재와 다른 경도를 가지는 제2 소재로 형성되는,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내부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 및
    상기 제3 플레이트 내부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자석;을 더 포함하는,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부착될 수 있는,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상기 외피가 부착되는 일면과 반대 방향의 다른 일면에는 필름이 부착되는, 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다른 일면에 부착되는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부착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10˚ 내지 180˚ 각도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는, 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인, 커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재는 폴리카보네이트(PC)이고, 상기 제2 소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인, 커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 수납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커버가 전자 장치에 부착될 때, 상기 전자 장치 후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커버 외부로 보여지도록 하는 홀이 형성되는, 커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폭(w1)과 제1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제2 폭(w2)과 제1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제3 폭(w3)과 제1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되는, 커버.
  11. 전자 장치에 부착되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덮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
    적어도 일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제1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펜 수납부;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면을 감싸는 외피; 및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타면을 감싸는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간격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펜 수납부는 상기 제1 소재와 다른 경도를 가지는 제2 소재로 형성되는, 커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25˚ 내지 180˚ 각도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는, 커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인, 커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재는 에폭시(epoxy)이고, 상기 제2 소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인, 커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내부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내부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을 더 포함하는, 커버.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폭(w1)과 제1 높이(h1)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제2 폭(w2)과 제1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되는, 커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폭(w2)의 길이는 상기 제1 폭(w1)의 길이의 2배 이상인, 커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제2 간격만큼 이격되며, 제3 폭(w3)과 제1 높이(h1)를 갖는 제3 플레이트;
    상기 제3 플레이트와 제3 간격만큼 이격되며, 제4 폭(w4)과 제1 높이(h1)를 갖는 제4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플레이트와 제4 간격만큼 이격되며, 제5 폭(w5)과 제1 높이(h1)를 갖는 제5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간격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3 간격을 기준으로 상기 제3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5 플레이트는 상기 제4 간격을 기준으로 상기 제4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커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플레이트는,
    상기 제5 플레이트 내부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자석을 포함하는, 커버.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는 커버;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형성되는 안착 홈; 및
    상기 안착 홈에 안착될 수 있는 펜;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일 영역에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인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인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 제3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펜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펜 수납부;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면을 감싸는 외피;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제3 플레이트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외피를 통해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 구조를 통해 제2 플레이트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펜 수납부는 상기 제1 소재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2 소재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KR1020190094567A 2019-08-02 2019-08-02 펜 수납이 가능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61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567A KR102661583B1 (ko) 2019-08-02 2019-08-02 펜 수납이 가능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6/941,762 US11184989B2 (en) 2019-08-02 2020-07-29 Cover capable of storing pe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PCT/KR2020/010046 WO2021025373A1 (en) 2019-08-02 2020-07-30 Cover capable of storing pe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567A KR102661583B1 (ko) 2019-08-02 2019-08-02 펜 수납이 가능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236A true KR20210016236A (ko) 2021-02-15
KR102661583B1 KR102661583B1 (ko) 2024-04-30

Family

ID=74259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567A KR102661583B1 (ko) 2019-08-02 2019-08-02 펜 수납이 가능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84989B2 (ko)
KR (1) KR102661583B1 (ko)
WO (1) WO202102537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382A1 (ko) * 2021-09-27 2023-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커버 및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00127U (ko) * 2022-07-13 2024-01-22 (주)파란마당 단말기 케이스
WO2024085587A1 (ko) * 2022-10-17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지지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89814U (zh) * 2019-08-19 2020-01-2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USD986871S1 (en) * 2020-12-01 202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11630489B2 (en) 2021-08-25 2023-04-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ing device with stylus retention
USD1024044S1 (en) * 2022-06-08 2024-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D1018515S1 (en) * 2022-06-08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508U (ja) * 2011-09-07 2012-03-22 緻君國際實業有限公司 携帯装置用プロテクタ
KR200461377Y1 (ko) * 2010-11-04 2012-07-09 주식회사 뉴빛 태블릿피씨용 케이스
KR20140030427A (ko) * 2012-08-29 201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및 다중 각도의 지지를 구현하는 보호 커버
KR20160001563A (ko) * 2014-06-27 2016-01-06 이청명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케이스
US20170005687A1 (en) * 2015-06-30 2017-01-05 Stm Management Pty Ltd Case for a tablet shaped device
US10310557B1 (en) * 2018-05-17 2019-06-04 Atenbo Enterprise Co., Ltd Mobile device protecting cover capable of storing a touch p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90689U (en) * 2010-05-27 2010-10-21 Xiu-Ping Han Improved protection cover
CN202774736U (zh) 2012-07-30 2013-03-13 冯有如 电子产品外套
US20150237979A1 (en) 2014-02-21 2015-08-27 Chen-Yuan Huang Protective and supporting cover for a tablet
US20160026218A1 (en) 2014-07-25 2016-01-28 Lenovo (Singapore) Pte. Ltd. Foldable tablet covers
CN205809783U (zh) 2016-06-12 2016-12-14 广州市中佰信息科技有限公司 多功能支架
US10031557B1 (en) * 2017-01-25 2018-07-24 Dell Products, L.P. Hybrid thermal foot and pen storage well
CN208400044U (zh) 2018-07-27 2019-01-18 深圳鑫睿展科技有限公司 一种平板保护壳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377Y1 (ko) * 2010-11-04 2012-07-09 주식회사 뉴빛 태블릿피씨용 케이스
JP3174508U (ja) * 2011-09-07 2012-03-22 緻君國際實業有限公司 携帯装置用プロテクタ
KR20140030427A (ko) * 2012-08-29 201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및 다중 각도의 지지를 구현하는 보호 커버
KR20160001563A (ko) * 2014-06-27 2016-01-06 이청명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케이스
US20170005687A1 (en) * 2015-06-30 2017-01-05 Stm Management Pty Ltd Case for a tablet shaped device
US10310557B1 (en) * 2018-05-17 2019-06-04 Atenbo Enterprise Co., Ltd Mobile device protecting cover capable of storing a touch p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382A1 (ko) * 2021-09-27 2023-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커버 및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00127U (ko) * 2022-07-13 2024-01-22 (주)파란마당 단말기 케이스
WO2024085587A1 (ko) * 2022-10-17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지지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37666A1 (en) 2021-02-04
KR102661583B1 (ko) 2024-04-30
US11184989B2 (en) 2021-11-23
WO2021025373A1 (en) 202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583B1 (ko) 펜 수납이 가능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91848B1 (ko) 가요성 힌지 구조물을 갖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EP3391175B1 (en) Electronic device with cradling function
EP2757438B1 (en) An electronic device case
KR20200127744A (ko) 히든 댐퍼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101265220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US10098430B2 (en) Protection cover
CN117223277A (zh) 包括铰链盖的电子装置
KR20160112145A (ko) 휴대폰용 플립 케이스
EP3445025B1 (en) Protection cover
US10659577B2 (en) Hinge for a foldable-type mobile device
KR102086718B1 (ko) 멀티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보호 장치
US20220142315A1 (en) Cover including pen receiving par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102580451B1 (ko) 보호 커버
KR20110011234U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87167Y1 (ko) 보호 커버
US20240122320A1 (en) Supporting cover for electronic device
KR102002392B1 (ko) 보호 커버
JP6310231B2 (ja) 付属部品一体型筐体
KR20230166793A (ko)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
KR200476665Y1 (ko) 다이어리형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230044673A (ko) 전자 장치의 커버
KR20240039543A (ko)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