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988B1 - 휴대단말 - Google Patents

휴대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988B1
KR100985988B1 KR1020080020511A KR20080020511A KR100985988B1 KR 100985988 B1 KR100985988 B1 KR 100985988B1 KR 1020080020511 A KR1020080020511 A KR 1020080020511A KR 20080020511 A KR20080020511 A KR 20080020511A KR 100985988 B1 KR100985988 B1 KR 100985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amera
vertical
disposed
cam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7664A (ko
Inventor
스나오 가지하라
기미아끼 이마이
사또시 미즈노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7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용이하게 표시부를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 자유롭게 하는 것과, 전체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양립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 1 케이싱(3)의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긴 종형 액정표시부(2)를 배치한다. 제 2 케이싱(5) 상단 쪽으로 표면에서 좌우방향에 걸쳐 팽출되는 카메라수용부(6)를 배치하고, 이 카메라수용부(6)보다 하측에 조작부(4)를 배치한다. 제 1 케이싱(3)을, 제 2 케이싱(5)에 배치한 캠기구(10)(지지기구)를 개재하고 제 2 케이싱(5) 표면 위를 회전하면서, 제 2 케이싱(5) 표면 쪽에서 보아 제 2 케이싱(5)과 겹치는 종형상태, 또는 제 2 케이싱(5)에 수직이 되어 조작부(4)가 노출되는 횡형상태로 전환 자유롭게 지지한다.
휴대전화기, 휴대기기, 액정표시부, 캠기구, 가이드플레이트, 연결부재, 비틀림 코일스프링

Description

휴대단말{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표시부를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 자유롭게 지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본 국내의 지상디지털 방송에 의한 휴대단말 지향 방송서비스(ISDB-T:Interated Service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의 방송이 개시됨에 힘입어, 휴대단말, 특히 휴대전화기는 TV수신기능을 탑재한 것이 많아지고 있다.
지상디지털 TV방송은, 종래의 아날로그 TV방송과 달리, TV를 통해 퀴즈프로그램에 참가하거나, TV쇼핑이나 은행송금 등을 TV를 통해 이용하거나 하는, 이른바 쌍방향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지상디지털 TV방송을 휴대전화기로 시청 가능하게 할 경우, 표시부로 화상을 보면서 조작부로 키 조작을 할 필요성이 더욱 높아진다. 통상, TV화상은 횡형이므로 작은 액정표시부로 가능한 한 크게 TV화상을 보기 위해서는, 액정표시부를 횡형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2004-215180호 공보에서, 본체는 복수의 조작키가 배치된 제 1 케이싱과, 소정의 아스펙트비를 갖는 사각형 화면을 구비한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제 2 케이싱과, 양 케이싱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기구를 구비하 며, 연결기구는 제 1 케이싱에 대하여 제 2 케이싱을 화면과 평행인 면을 따라 회전시키기 위한 피봇기구를 구비한 휴대형 무선단말기가 개시되었다. 무선통신 시에는, 화면이 종형으로 되는 화면배치형태에서 표시가 이루어지고, TV 시청 시에는 화면이 횡형으로 되는 화면배치형태에서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 일본특허공개 2006-211576호 공보에서는, 조작부가 배치된 제 2 케이싱과 표시부를 갖는 제 1 케이싱을 힌지부로 폴더 개폐 자유롭게 연결하고, 캠 기구에 의해 표시부를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의 전환조작 시, 그 하단측 코너부가 힌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 지지시킴으로써, 전체 크기를 억제하면서 표시부를 크게 하고, 또 표시부를 간단히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하여, 횡형상태에서도 표시부를 보면서 조작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일본특허공개 2004-215180호 공보에서는, 비사용 시부터 TV 시청에 이르기까지의 동작은, 제 2 케이싱을 열고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회전시켜 제 2 케이싱을 슬라이드 시킨다는 번잡함을 갖고 있다.
한편, 일본특허공개 2006-211576호 공보에서는, 비사용 시부터 TV 시청에 이르기까지의 동작은, 제 1 케이싱을 열고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회전하는 것만으로 좋으나, 표시부와, 표시부를 지지하는 제 1 케이싱, 및 제 2 케이싱의 3개의 케이싱이 결합된 구조이므로 전체 두께를 얇게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용이하게 표시부를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 자유롭게 하는 것과, 전체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양립시키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발명에서는,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긴 종형표시부가 배치된 제 1 케이싱과, 상부에 표면에서 팽출되는 카메라수용부를 가지며, 이 카메라수용부보다 하측에 조작부를 갖는 제 2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싱은, 상기 제 2 케이싱에 배치된 지지기구를 개재하고 상기 제 2 케이싱의 표면 위를 회전하면서, 이 제 2 케이싱의 표면 쪽에서 보아 제 2 케이싱과 겹치는 종형상태 또는 이 제 2 케이싱에 수직이 되는 횡형상태로 전환 자유롭게 지지되며, 상기 지지기구는 캠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을 제 2 케이싱 표면 상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하고, 이로써 조작부가 나타나므로, 통상의 조작부 배치로 키 입력 가능한 상태에서 횡형상태의 표시부를 볼 수 있다. 따라서, TV쇼핑 등의 쌍방향 서비스를 받을 경우에도 매우 용이하게 조작이 이루어진다. 또, 지지기구가 제 2 케이싱에 배치되므로, 휴대단말의 전체 두께는 제 1 케이싱 및 제 2 케이싱 두께로만 제한되게 되어 박형화가 가능하다.
제 2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수용부에는,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가 수용되는 것으로 한다.
즉, 광학줌 기능에서는, 디지털 줌 기능에 비해 화질열화가 발생하지 않으나, 그만큼 설치하는 데 높이가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의하면, 카메라수 용부 높이의 범위 내에서, 제 2 케이싱 조작부와, 제 1 케이싱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에 필요한 면적이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제 3 발명에서는,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상기 제 1 케이싱이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 조작될 때, 한쪽의 상단측 코너부가 상기 카메라수용부와 평행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이 카메라수용부에 닿지 않도록,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되므로 제 1 케이싱의 코너부를 둥글릴 필요가 없어, 표시부가 큰 것이 된다.
제 4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3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의 횡형상태에서 좌우방향 중앙부는, 제 2 케이싱의 좌우방향 중앙부에 위치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이 제 2 케이싱에 대하여 보기 좋게 배치됨과 더불어, 제 2 케이싱을 쥐었을 때의 균형이 좋다.
제 5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제 2 케이싱에 배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이어져 가운데가 오목하게 만곡된 곡선형의 제 1 가이드홈과, 제 2 케이싱에서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아래쪽에 배치된 제 2 가이드홈과, 제 1 케이싱 이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 1 가이드핀과, 제 1 케이싱 이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 2 가이드핀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간단하면서 소형인 구성으로 제 1 케이싱이 카메라수용 부에 닿지 않도록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되므로, 소형이면서 조작성 좋은 휴대단말이 얻어진다. 또, 캠기구의 작용에 의해, 제 1 케이싱이 카메라수용부에 닿지 않으므로, 제 1 케이싱의 코너부를 둥글릴 필요가 없어 표시부가 큰 것이 된다.
제 6 발명에서는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핀과 제 2 가이드핀은 연결부재로 연결되며, 이 연결부재가 상기 제 1 케이싱의 이면 쪽에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가이드핀과, 제 1 및 제 2 가이드홈이 유닛 구성 가능하므로, 조립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연결부재에 의해 제 1 가이드핀과 제 2 가이드핀이 연동하여, 제 1 케이싱이 안정되게 회전함과 더불어, 제 1 가이드핀과 제 2 가이드핀의 위치결정이 용이해진다.
제 7 발명에서는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일단이 상기 제 1 가이드핀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2 케이싱에 고정되며, 제 1 케이싱이 적어도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가 되도록 힘을 주는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표시부에 대한 탄성부재의 탄성력 부여방법을 조정함으로써, 표시부를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또는 횡형상태에서 종형상태로의 전환, 혹은 그 양쪽으로의 전환이 탄성부재에 의해 보조된다.
제 8 발명에서는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인 것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쉬이 고장나지 않는 저가의 탄성부재가 실현된다.
제 9 발명에서는 제 8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홈 및 제 2 가이드홈 은, 프레스 성형된 가이드플레이트에 배치되며, 이 가이드플레이트에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 및 연결부재가 유닛 조립되어 상기 제 2 케이싱에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플레이트 상에 비틀림 코일스프링과 연결부재가 유닛 조립된 상태에서 제 2 케이싱에 설치되므로, 소형이며 조립성 좋은 캠기구가 실현된다.
제 10 발명에서는 제 5 내지 제 9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홈은, 우측 또는 좌측으로 경사져 상하방향으로 이어진다. 또 제 11 발명에서는 제 5 내지 제 9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홈은 만곡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어진다.
이들 발명에 의하면, 제 2 가이드홈의 형상에 맞추어 제 1 가이드홈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적절한 제 1 케이싱의 움직임이 실현된다.
제 12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11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휴대단말은 휴대전화기인 것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동작으로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 자유로움과 더불어, 박형의 휴대전화기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수용부를 갖는 제 2 케이싱 표면 상에서, 제 1 케이싱을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 자유롭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표시부를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 자유롭게 함과 더불어, 전체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양립시킬 수 있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종형상태의 휴대전화기를 표면 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형상태의 휴대전화기를 이면 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휴대단말로서의 휴대전화기(1)는,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긴 종형의 액정표시부(2)가 배치된 제 1 케이싱(3)과, 표면에서 팽출되도록 배치된 직방체형의 카메라수용부(6) 및 이 카메라수용부(6)보다 하측에 배치된 조작부(4)를 상부에 갖는 제 2 케이싱(5)을 구비한다.
도 3 내지 도 5에, 제 1 케이싱(3)의 상태가 이동해 갈 때의 지지기구로서의 캠기구(10)를 제 1 케이싱(3) 및 제 2 케이싱(5)의 일부를 파단시켜 나타낸다. 캠기구(10)는, 제 1 케이싱(3)을 제 2 케이싱(5)에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거의 사각형 판상의 제 1 케이싱(3)은, 상기 제 2 케이싱(5)의 표면상을 회전하면서, 제 2 케이싱(5) 표면 쪽에서 보아 제 2 케이싱(5)과 겹치는 종형상태(도 1에 도시) 또는 제 2 케이싱(5)에 수직이 되는 횡형상태(도 5에 도시)로 전환 자유롭게 지지된다.
상기 제 2 케이싱(5)의 카메라수용부(6) 하방에 상기 캠기구(10)가 배치되며, 그 하방에 조작부(4)가 배치된다. 즉, 캠기구(10)와 조작부(4)는, 상하방향으 로 오프셋 배치된다. 이로써, 면적이 효과적으로 이용되어 휴대전화기(1)의 두께가 억제된다. 조작부(4)에는, 복수의 조작키(7)가 배치되며, 이 조작키(7)는 제 1 케이싱(3)을 횡형상태로 하고, 제 2 케이싱(5)을 종형으로 쥐었을 때 키 입력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또 그 표면에 표시가 부착된다. 이 조작키(7)를 조작함으로써, 휴대전화기(1)의 다수 기능이 이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 1 케이싱(3)의 액정표시부(2) 하방에는, 예를 들어 3개의 기능버튼(31)이 배치된다. 기능버튼(31)은, 예를 들어 통화이력 호출버튼, 착신이력 호출버튼 등으로 구성된다.
이 휴대전화기(1)에서 제 1 케이싱(3)이 횡형상태일 때, 사용자는 횡형의 액정표시부(2)를 보면서 조작부(4)의 조작키(7)를 조작할 수 있다. 또, 종형상태의 휴대전화기(1)를 상하방향으로 긴 쪽이 오도록 쥐거나, 좌우방향으로 긴 쪽이 오도록 쥐거나 하여, 기능버튼(31)을 조작하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3)의 횡형상태에서 좌우방향 중앙부는, 제 2 케이싱(5)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한다. 이로써, 제 1 케이싱(3)이 제 2 케이싱(5)에 대하여 보기 좋게 배치됨과 더불어, 제 2 케이싱(5)을 쥐었을 때의 균형이 좋아진다.
상기 카메라수용부(6)는, 상기 제 2 케이싱(5) 상단에 좌우방향에 걸쳐 배치되며, 그 하면은 좌우 직선형으로 이어진다. 카메라수용부(6) 내부에는,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9)(도 2에만 도시)가 수용된다. 광학줌 기능을 갖는 카메라에서는, 디지털 줌 기능에 비해 화질열화가 발생하지 않으나, 그만큼, 설치하는데 높이가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제 2 케이싱(5)의 조작부(4)와, 제 1 케이싱(3)과, 이를 지지하는 캠기구(10)가, 카메라수용부(6) 높이의 범위 내로 배치되므로, 카메 라(9)에 필요한 면적이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제 2 케이싱(5)의 측면에 카메라(9)를 조작하기 위한 카메라용 버튼(32)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케이싱(3)은, 캠기구(10)의 작용에 의해 종형상태에서의 상단부도 직선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 1 케이싱(3)의 표면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사각형의 액정표시부(2)가 배치된다. 또, 제 1 케이싱(3)의 각 코너부는 상단측 코너부(3a)를 포함하여, 디자인상 또는 안전상의 관점 등에서 둥근 면깎기 처리된다.
도 6 및 도 7에 종형상태의 캠기구(10) 및 마그네슘 프레임(17)을 나타낸다. 제 2 케이싱(5)은, 보강용 마그네슘 프레임(17)과, 이 마그네슘 프레임(17)에 연결되는 가이드플레이트(16)를 구비한다. 가이드플레이트(16)는, 스테인리스스틸 등의 판금으로 구성된다. 마그네슘 프레임(17)은, 금속성형품이라도 되고 프레스성형품이라도 된다.
상기 캠기구(10)는, 제 2 케이싱(5)에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이어지며 또 가운데가 오목하게 만곡된 곡선형의 제 1 가이드홈(12)과, 제 2 케이싱(5)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직선형의 제 2 가이드홈(14)과, 제 1 케이싱(3) 이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가이드홈(12)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 1 가이드핀(13)과, 제 1 케이싱(3) 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가이드홈(14)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 2 가이드핀(15)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제 1 가이드홈(12)과 제 2 가이드홈(14)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6)에 형성된다. 제 1 가이드홈(12)은, 가운데가 오목하게 만곡된 곡선형 개구 의 주연부에 구성되며, 휴대전화기(1)를 표면 쪽에서 보았을 때 그 중심부는 제 2 케이싱(5)의 오른쪽 위에 배치된다. 제 2 가이드홈(14)은, 제 1 가이드홈(12)의 가운데가 오목한 곡선형 최하부 근방의 하방에, 카메라수용부(6) 하면과 경사지게(우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직선형 개구의 주연부로 이루어진다. 양 가이드홈(12, 14)의 제 1 케이싱(3)과 반대쪽 개구 주연에는, 그 밖의 부분보다 낮아진 단차부(12a, 14a)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플레이트(16)는, 제 2 케이싱(5)의 표면 쪽에 위치하도록, 그 관통공에 비스(모두 도시 생략)를 삽입시켜 체결하는 등으로써 마그네슘 프레임(17)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 1 케이싱(3) 이면에는, 금속제의 연결부재(18)가 장착된다. 이 연결부재(18)는, 제 1 케이싱(3) 이면에 체결 또는 위치 결정하기 위한 관통공(18a)이 형성된 판상의 설치부(18b)와, 이 설치부(18b)로부터 측면에서 보아 L자형으로 연속되는 선단부(18c)를 갖는다. 상기 제 1 가이드핀(13)은, 연결부재(18)의 일단측, 즉 설치부(18b) 선단에 제 1 케이싱(3) 쪽으로 수직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2 가이드핀(15)은, 상기 연결부재(18)의 타단측, 즉 선단부(18c) 단부에 제 1 케이싱(3) 쪽으로 수직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된다. 이들 가이드핀(13, 15)의 선단에 원형의 원판부(13a, 15a)가 각각 형성되며, 이 원판부(13a, 15a)가 상기 단차부(12a, 14a) 위를 각각 미끄럼운동 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가이드핀(13, 15)이 가이드홈(12, 14)으로부터 각각 이탈 방지되어, 제 1 케이싱(3)이 제 2 케이싱(5)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 연결부재(18)에 의해 제 1 가이드핀(13)과 제 2 가이드핀(15)이 연동하여, 제 1 케이싱(3)이 안정되게 회전함과 더불어 제 1 가이드핀(13)과 제 2 가이드핀(15)의 위치결정이 용이해진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6)의 위쪽에는, 스프링 고정핀(19)이 제 1 케이싱(3) 쪽으로 수직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된다. 이 스프링 고정핀(19)에는, 탄성수단으로서의 비틀림 코일스프링(20)이 고정된다.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20)의 양 단부(20a, 20b)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20a)이 상기 설치부(18b)와 가이드플레이트(16) 사이의 제 1 가이드핀(13)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타단(20b)이 스프링 고정핀(19)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로써 비틀림 코일스프링(20)은, 스프링 고정핀(19)을 중심으로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탄성력에 의해, 제 1 케이싱(3)이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되는 것에 힘을 주고, 또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되는 것에 힘을 주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핀(13)이 스프링 고정핀(19)에 가장 가까워졌을 때(제 2 가이드핀(15)이 제 2 가이드홈(14)의 상단부에 위치했을 때)의 근방에서, 비틀림 코일스프링(20)은 최대 휨각이 되어 가장 압축되도록 배치되며, 이때부터 제 1 가이드핀(13)이 좌우 어느 한쪽 방향으로 비껴감으로써, 제 1 케이싱(3)이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되게 힘을 주도록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가이드핀(13, 15)과, 제 1 및 제 2 가이드홈(12, 14)과, 비틀림 코일스프링(20)과 연결부재(18)는, 유닛 조립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로써, 조립작업이 매우 용이해짐과 더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으나, 제 1 케이싱(3)과 제 2 케이싱(5)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신호선은, 일단이 액정표시부(2) 이면의 액정기판에 접속되고, 타단이 연 결부재(18) 근방을 지나 제 2 케이싱(5) 쪽의 메인기판에 접속된다. 신호선은, 제 1 케이싱(3)이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될 때도, 캠기구(10)의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도록, 그 중간부분이 마그네슘프레임(17) 표면에 형성된 신호선 배선용 오목홈(24)(도 7에 도시)에 수납된다.
상기 캠기구(10)에 의해, 제 1 케이싱(3) 왼쪽 위의 상단측 코너부(3a)가 카메라수용부(6) 하면에 대하여 일정 틈새를 유지하면서, 또 제 1 케이싱(3)의 좌측면이 카메라수용부(6) 하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를 갖고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작동-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관한 휴대전화기(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기상태에서는, 제 1 케이싱(3)이 제 2 케이싱(5)과 컴팩트하게 겹치는 종형상태이다. 이 때, 조작키(7)는, 제 1 케이싱(3) 아래 가려진다. 통상의 통화는 이 종형상태에서 기능버튼(31)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새로운 전화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있을 때는, 종형상태에서 도 4에 나타낸 횡형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조작부(4)에서 키 입력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키(7)로 입력한 후, 제 1 케이싱(3)을 종형상태로 되돌려 통화를 실행한다.
TV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종형상태인 휴대전화기(1)의 긴쪽 방향이 좌우로 되도록 양손으로 보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TV쇼핑과 같은 쌍방향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조작부(4) 사용이 가능한 상태에서 TV기능을 사용한다. 이로써, 제 1 케이싱(3)을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하고 TV기능버튼을 눌러 시청 한다.
카메라(9)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1의 상태에서 제 2 케이싱(5)의 측면에 배치한 카메라용 버튼(32)으로 카메라(9)를 기동시킨 후, 카메라(9)를 촬상대상 쪽으로 향하게 하고 그 구도를 액정표시부(2)로 확인하면서 카메라용 버튼(32)을 조작하여 촬영한다.
이와 같이, 휴대전화기(1)의 각 기능을 사용할 때, 제 1 케이싱(3)을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제 1 케이싱(3)을 제 2 케이싱(5)의 표면상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캠기구(10)에 설치한 비틀림 코일스프링(20)에 의해, 제 1 케이싱(3)을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및 횡형상태에서 종형상태로의 전환이 보조되므로, 전환조작이 한 손만으로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실시예의 효과-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카메라수용부(6)를 갖는 제 2 케이싱(5)의 표면상에서, 제 1 케이싱(3)을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 자유롭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액정표시부(2)를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 자유롭게 하는 것과 전체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 전환 시에는, 제 1 케이싱(3)이 카메라수용부(6)에 닿지 않도록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되므로, 제 1 케이싱(3)의 코너부를 둥글릴 필요가 없어 액정표시부(2)를 큰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캠기구(10)가 제 2 케이싱(5)에 배치되므로, 휴대전화기(1) 전체 두께 는 제 1 케이싱(3) 및 제 2 케이싱(5) 두께로만 제한되게 되어 박형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캠기구(10)에 의해, 간단하며 컴팩트한 구성으로 제 1 케이싱(3)이 카메라수용부(6)에 닿지 않도록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되므로, 소형이며 조작성 좋은 휴대전화기(1)를 얻을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제 2 가이드홈(14)은, 우측으로 경사진 방향 상하로 이어지나, 제 2 가이드홈(14)은 상하방향 직선형으로 이어져도 되고, 만곡되어 이어져도 된다. 즉, 제 2 가이드홈(14)의 형상에 맞추어 제 1 가이드홈(12)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적절한 제 1 케이싱(3)의 움직임이 실현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휴대단말은 휴대전화기로 했으나, PC, 모바일도구, 전자사전, 전자계산기, 복사기 등이라도 된다. 또, PHS, PDA 등의 휴대통신기기라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 1 케이싱(3)은, 액정표시부(2)를 갖고 있는 것으로 했으나, 유기EL디스플레이를 구비해도 된다. 유기EL디스플레이는, 자발광을 발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작고, 액정디스플레이에 비해 시야각이 넓으며, 또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박형화가 가능하다.
여기서, 이상의 실시예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이나 용도 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제 1 케이싱이 종형상태일 때의 양상을 표면 쪽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제 1 케이싱이 종형상태일 때의 양상을 이면 쪽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제 1 케이싱이 종형상태일 때의 휴대전화기를 일부 파단시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제 1 케이싱이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하는 도중을 나타낸 도 3 상당도.
도 5는, 제 1 케이싱이 횡형상태일 때의 도 3 상당도.
도 6은, 종형상태에서의 캠기구 및 마그네슘 프레임을 표면 쪽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종형상태에서의 캠기구 및 마그네슘 프레임을 이면 쪽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종형상태의 캠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종형상태에서 약 45도 회전된 상태의 도 8 상당도.
도 10은, 횡형상태의 도 8 상당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전화기(휴대기기) 2 : 액정표시부(표시부)
3 : 제 1 케이싱 3a : 상단측 코너부
4 : 조작부 5 : 제 2 케이싱
6 : 카메라수용부 9 : 카메라
10 : 캠기구(지지기구) 12 : 제 1 가이드홈
13 : 제 1 가이드핀 14 : 제 2 가이드홈
15 : 제 2 가이드핀 16 : 가이드플레이트
18 : 연결부재 20 : 비틀림 코일스프링(탄성수단)
20a : 일단 20b : 타단

Claims (12)

  1.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긴 종형표시부(2)가 배치된 사각형 판상의 제 1 케이싱(3)과,
    상단측에 표면에서 좌우방향에 걸쳐 하면이 수평이 되도록 팽출되는 카메라수용부(6)를 가지며, 또한 상기 카메라수용부(6)보다 하측에 조작부(4)를 갖는 제 2 케이싱(5)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싱(3)은, 상기 제 2 케이싱(5)에 배치된 지지기구(10)를 개재하여 상기 제 2 케이싱(5)의 표면 위를 회전하면서, 상기 제 2 케이싱(5)의 표면 쪽에서 보아 상기 제 2 케이싱(5)과 겹치는 종형상태 또는 상기 제 2 케이싱(5)에 수직이 되어 상기 조작부(4)가 노출되는 횡형상태로 전환 자유롭게 지지되고,
    상기 지지기구(10)는 캠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기구는, 상기 제 1 케이싱(3)이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 조작될 때, 한쪽의 상단측 코너부(3a)가 상기 카메라수용부(6)의 하면에 평행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싱(5)에서 상기 카메라 수용부 및 상기 조작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 상기 제 1 케이싱 및 상기 캠기구가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높이의 범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케이싱(3)의 횡형상태에서의 좌우방향 중앙부는, 상기 제 2 케이
    싱(5)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하여, 횡형 상태에서 상기 캠기구는 상기 제 1 케이싱의 이면에 숨겨지고, 또한 상기 조작부가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수용부(6)에는,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9)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10)는,
    제 2 케이싱(5)에 배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이어져 가운데가 오목하게 만곡된 곡선형의 제 1 가이드홈(12)과,
    제 2 케이싱(5)에서 상기 제 1 가이드홈(12)의 아래쪽에 배치된 제 2 가이드홈(14)과,
    제 1 케이싱(3) 이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가이드홈(12)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 1 가이드핀(13)과,
    제 1 케이싱(3) 이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가이드홈(14)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 2 가이드핀(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80020511A 2007-03-26 2008-03-05 휴대단말 KR100985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78230A JP4416804B2 (ja) 2007-03-26 2007-03-26 携帯端末
JPJP-P-2007-00078230 2007-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664A KR20080087664A (ko) 2008-10-01
KR100985988B1 true KR100985988B1 (ko) 2010-10-07

Family

ID=3959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511A KR100985988B1 (ko) 2007-03-26 2008-03-05 휴대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25313B2 (ko)
EP (1) EP1976239B1 (ko)
JP (1) JP4416804B2 (ko)
KR (1) KR100985988B1 (ko)
CN (1) CN101277322A (ko)
TW (1) TW2008403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3989B2 (en) * 2006-04-18 2009-09-0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Sliding-type hinge
KR100803784B1 (ko) * 2006-11-24 200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스윙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4341925B2 (ja) * 2007-05-11 2009-10-14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US7779509B2 (en) * 2007-11-21 2010-08-24 Shin Zu Shing Co., Ltd. Sliding hinge
US20090145337A1 (en) * 2007-12-05 2009-06-11 Shin Zu Shing Co., Ltd. Slidable hinge
US7752712B2 (en) * 2008-01-21 2010-07-13 Shin Zu Shing Co., Ltd. Hinge
JP5082920B2 (ja) * 2008-02-25 2012-11-28 富士通株式会社 防水型ヒンジ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TW200942031A (en) * 2008-03-27 2009-10-01 Jarllytec Co Ltd Plane revolving mechanism for the support apparatus
US7715191B2 (en) * 2008-04-07 2010-05-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compact and expanded configurations
CN101568240B (zh) * 2008-04-25 2012-07-2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结构及具该滑盖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JP5217910B2 (ja) * 2008-10-30 2013-06-19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8830684B2 (en) 2009-02-25 2014-09-09 Nec Corporation Cable storage structure of slide components, slide unit, electronic device, and cable storage method
JP5110022B2 (ja) * 2009-03-31 2012-12-2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
US8213181B2 (en) * 2009-06-29 2012-07-0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for a movable chassis configuration
TW201104330A (en) * 2009-07-24 2011-02-01 Asia Optical Co Inc Photography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tecting the lens set and the display
US20110061484A1 (en) * 2009-09-16 2011-03-17 Kabushiki Kaisha Strawberry Corporation Device for urging relative movement and electronic apparatus employing device for urging relative movement
JP2011091560A (ja) * 2009-10-21 2011-05-06 Panasonic Corp 表示デバイス保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
JP5479148B2 (ja) * 2010-02-19 2014-04-2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TWM388828U (en) * 2010-04-30 2010-09-11 Hon Hai Prec Ind Co Ltd Sliding apparatus
CN102252017A (zh) * 2010-05-20 2011-11-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旋转机构及具有该旋转机构的电子装置
CN102252016A (zh) * 2010-05-20 2011-11-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旋转机构及具有该旋转机构的电子装置
CN102255987A (zh) * 2010-05-20 2011-11-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旋转机构及具有该旋转机构的电子装置
CN102255986B (zh) * 2010-05-20 2014-04-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旋转机构及具有该旋转机构的电子装置
CN102264204A (zh) * 2010-05-31 2011-11-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连接机构及应用该连接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TWI450672B (zh) * 2010-06-11 2014-08-21 Fih Hong Kong Ltd 連接機構及應用該連接機構之攜帶式電子裝置
US8300394B2 (en) * 2010-06-15 2012-10-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ack guided hing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775155B1 (ko) * 2010-12-01 201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스위블 힌지 장치
USD657329S1 (en) * 2011-05-19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lephone
USD654452S1 (en) * 2011-05-19 2012-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lephone
US8693188B2 (en) 2011-05-24 2014-04-08 Blackberry Limited Pivotable display guide mechanism for an electronic mobile device
US9982470B2 (en) * 2012-11-09 2018-05-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oft close mechanism for a closure
TWI527975B (zh) * 2012-12-14 2016-04-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轉動機構及其相關電子裝置
DE102017107282B4 (de) * 2017-04-05 2021-02-25 Precitec Gmbh & Co. Kg Kartesische Positioniervorrichtung und Laserbearbeitungskopf mit derselben
JP6879830B2 (ja) * 2017-06-09 2021-06-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保持装置
US10750002B2 (en) * 2018-01-08 2020-08-18 Compal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device
USD885359S1 (en) * 2018-05-29 2020-05-26 Compal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conferenc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9507A (ja) * 2003-03-24 2004-10-14 Takashi Shimada 携帯用電話機及び無線通信端末機
KR20060045505A (ko) * 2004-05-06 2006-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윙 타입 휴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2021B2 (ja) 1994-08-22 2002-09-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機器
JP2004128908A (ja) * 2002-10-03 2004-04-22 Hitachi Ltd 携帯端末
JP3796222B2 (ja) 2003-01-08 2006-07-12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型無線端末機
JP4192024B2 (ja) * 2003-04-17 2008-12-03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用取付装置
JP4321707B2 (ja) 2003-09-30 2009-08-26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KR100631670B1 (ko) * 2003-12-09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JP4276569B2 (ja) 2004-03-31 2009-06-1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0631517B1 (ko) * 2005-01-13 2006-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삼축 회전방식 이동통신 단말기
JP4384059B2 (ja) 2005-01-31 2009-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折畳み式携帯電話
US20060217148A1 (en) * 2005-03-23 2006-09-28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phone with large sensor
KR100709808B1 (ko) * 2005-03-31 2007-04-23 주식회사 팬택 회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0069B1 (ko) 2005-04-06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CN1933497A (zh) 2005-09-12 2007-03-21 海尔集团公司 一种滑动/旋转型移动终端设备
US7636591B2 (en) * 2006-04-28 2009-12-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wo-way sliding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9507A (ja) * 2003-03-24 2004-10-14 Takashi Shimada 携帯用電話機及び無線通信端末機
KR20060045505A (ko) * 2004-05-06 2006-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윙 타입 휴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25313B2 (en) 2011-04-12
US20080242380A1 (en) 2008-10-02
EP1976239B1 (en) 2013-04-10
CN101277322A (zh) 2008-10-01
EP1976239A2 (en) 2008-10-01
TW200840310A (en) 2008-10-01
KR20080087664A (ko) 2008-10-01
JP4416804B2 (ja) 2010-02-17
EP1976239A3 (en) 2012-01-18
JP2008244542A (ja)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988B1 (ko) 휴대단말
KR100932329B1 (ko)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KR100993095B1 (ko) 폴더식 휴대기기
KR100709652B1 (ko) 폴더식 휴대전화
US7925317B2 (en) Keypad, sliding module and sliding module flexible circuit for portable terminal
JP4783847B2 (ja) 携帯端末
KR100893976B1 (ko) 폴더식 휴대통신기기
US20110105204A1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JP2011049805A (ja) 携帯端末
EP2266298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slider hinge assembly
US20070123320A1 (en) Key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4384218B2 (ja) 折畳み式携帯電話
KR100662443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JP4547354B2 (ja) 折畳み式携帯通信機器
JP4317889B2 (ja) 折畳み式携帯電話
JP2008010981A (ja) 携帯端末装置
JP2007312330A (ja) 折畳み式携帯通信機器
JP2008028846A (ja) 折畳み式携帯通信機器
JP2011204544A (ja) キーパッド及び携帯端末装置
JP2009038471A (ja) 折り畳み式通信端末
JP2008067409A (ja) 折畳み式携帯電話
WO2007129470A1 (ja) 携帯情報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