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949A - 상품 진열 장치 - Google Patents

상품 진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949A
KR20080033949A KR1020087001274A KR20087001274A KR20080033949A KR 20080033949 A KR20080033949 A KR 20080033949A KR 1020087001274 A KR1020087001274 A KR 1020087001274A KR 20087001274 A KR20087001274 A KR 20087001274A KR 20080033949 A KR20080033949 A KR 20080033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ods
product
arm
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0355B1 (ko
Inventor
도루 우다가와
Original Assignee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3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2Tiltable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81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 A47F5/0087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movable around an axi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좌측 브래킷(1)과, 좌측 브래킷(1)과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우측 브래킷(1)과, 좌측 브래킷(1)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좌측 아암부(2)와, 우측 브래킷(1)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자지된 우측 아암부(2)와, 양측 아암부(2)에 지지 위치(6)보다 후방 측으로 건너지르게 설치된 후방 바 부재(3)와, 후방 바 부재(3)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설치된 2개 이상의 상품 걸이용 훅 부재(4)를 갖는 상품 진열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조작으로 모든 훅 부재에 걸린 상품을 한 번에 전출할 수 있는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품 진열 장치{COMMODITY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슈퍼나 약국 등의 상품 진열장의 훅 부재에 다수개의 상품을 건 상태로 진열함과 함께, 걸려 있는 모든 상품을 한 번에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품의 전출(前出)에 적합한 상품 진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슈퍼나 약국 등에 있어서, 칫솔 등 가로가 긴 상품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대략 수평 상태의 막대 모양 부재(훅 부재)에 건 상태로 다수 진열된다. 일본국 공개특허 평10-272042호 공보에는, 훅 부재와 상기 훅 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훅 부재에 걸려 있는 상품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가압체와, 상기 가압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조작 바와, 상기 가압체를 상시 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탄성체를 구비한 상품 진열 도구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평10-272042호 공보에 기재된 상품 진열 도구에 의하면, 상품의 전출은, 가압체에 설치된 조작 바를 수동으로 인출함으로써 실시하여, 전출 후에는, 가압체가 자동적으로 원상복귀하기 때문에, 상품의 과다한 가압에 의한 변형 등도 발생하지 않고, 또 손님 통행의 방해도 되지 않아 안전하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평10-272042호 공보(청구항 1)]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 평10-272042호 공보에 기재된 상품 진열 도구의 상품 전출 작업은, 전략 상품을 진열한 진열 도구와 그렇지 않은 진열 도구가 다르기 때문에, 진열 도구마다 수동으로 행할 필요가 있어 번잡하다.
또, 이 상품 진열 도구는, 가압체를 갖지 않는 종래 훅 부재와 비교하면 제조 비용의 상승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간단한 조작으로 모든 훅 부재에 걸린 상품을 한 번으로 전출할 수 있는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실정에 있어서, 본 발명자는 열심히 검토를 한 결과, 훅 부재가 설치된 가로가 긴 가로 부재(바 부재)를 가동 프레임체로서, 모든 훅 부재가 앞쪽으로 내리막 경사가 있도록 가동 프레임체를 회전시키면, 걸려 있는 상품 모든 것을 일제히 전출할 수 있는 것 등을 찾아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좌측 고정부와, 상기 좌측 고정부와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우측 고정부와, 상기 양측 고정부에 건너지르게 설치됨과 동시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가로 부재와, 상기 가로 부재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설치된 2이상의 상품을 걸 수 있는 훅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좌측 고정부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좌측 아암부 또는 상기 우측 고정부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우측 아암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더 설치하고, 상기 가로 부재와 상기 양측 아암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일체화시켜, 상기 가로 부재는 상기 양측 아암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통해 상기 양측 고정부 사이에서 회전 자유롭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상품 걸이용 훅 부재는, 앞쪽 방향으로 연장된 상품을 거는 막대 모양 부재와, 상기 막대 모양 부재의 첨단으로부터 위쪽으로 굴곡하는 상품 전락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로 부재는 상기 양측 아암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대하여, 상기 지지 위치에서 후방 측에 설치되고, 상기 양측 아암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의 후방 측이 탄력 부재로 아래쪽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로 부재는 상기 양측 아암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대하여, 상기 지지 위치 또는 상기 지지 위치에서 전방 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양측 아암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와 상기 양측 고정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는 서로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로 부재에, 조작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좌측 아암부 또는 상기 우측 아암부에, 조작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조작부가, 상기 양측 아암부의 상기 지지하는 위치에서 전방 측으로 건너질러 설치된 바 부재로서, 상품 진열 자세의 정면에서 볼 때, 상기 바 부재는 상기 가로 부재보다 위쪽 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바 부재의 전면부는, 오목한 상태의 단면을 가지는 상품 정보 표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하 2단 이상으로 설치되어 적어도 상하 2단의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좌측 아암부 또는 상기 우측 아암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조작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좌측 아암부 또는 상기 우측 아암부는 장척 형상 케이스 부재이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장척 형상 케이스 부재 내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감합(嵌合)하는 장척 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로 부재가, 바 부재 또는 그물코 모양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상품 걸이용 훅 부재에 걸린 상품의 마지막 끝에, 추를 매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품 진열 장치에 의하면, 양측 고정부에 건너질러 설치된 가로 부재가 회전 자유롭게 또는 양측 아암부를 통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따라서, 가로 부재에 장착된 훅 부재가 앞쪽으로 내리막 경사가 되도록 손으로 양측 아암부 등을 아래쪽에 내리면, 걸린 상품 모두가 일제로 전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상품 진열 도구의 전출 상태를 신경 쓰는 일 없이, 간단하게 전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상품 걸이용 막대 모양 부재가 병설된 2련의 훅 진열 도구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훅 부재를 지지하는 가로 부재는, 탄력 가압 등에 의해 대략 수평 상태(상품 진열 자세)가 유지되고, 사소한 외력으로는 회전하지 않고, 안정인 진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조작부가 있기 때문에 조작하기 쉽다. 특히 양측 아암부의 전방 측에 설치된 전방 조작 바 부재를 이용할 경우, 조작 위치가 넓어져 한층 더 조작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상품 정보 표시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 조작부가 양측 아암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있어서, 양측 아암부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부재일 경우, 상품 진열 상태에 있어서, 양측 고정부에 수용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없는 돌출을 없앨 수 있다. 또, 훅 부재가 앞쪽으로 내리막 경사가 됨으로써 더 앞쪽으로 이동하여, 상품의 전출이 한층 원활하게 행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 예의 상품 진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제1 실시 형태 예에서의 상품 진열 상태이며, 전출 조작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제1 실시 형태 예에서의 전출 조작 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제1 실시 형태 예에서의 전출 조작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제2 실시 형태 예의 상품 진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제2 실시 형태 예의 상품 진열 상태이며, 전출 조작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제2 실시 형태 예에서의 전출 조작 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제2 실시 형태 예에서의 전출 조작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품 진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제4 실시 형태 예에서의 상품 진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제4 실시 형태 예에서의 전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2는, 제5 실시 형태 예의 상품 진열 장치의 진열 상태를 나타낸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3은, 제5 실시 형태 예의 상품 진열 장치 전출 상태를 나타낸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4는, 제6 실시 형태 예의 상품 진열 장치의 진열 상태를 나타낸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제7 실시 형태 예의 상품 진열 장치의 진열 상태를 나타낸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훅 부재의 걸림부 형상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는, 훅 부재의 걸림부 형상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 18도는, 상품 걸이용 훅 부재에 거는 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좌측 고정부 또는 우측 고정부(왼쪽 브래킷 또는 오른쪽 브래킷)
2, 2 a~2 e 좌측 아암부 또는 우 측아암부
3 후방 바 부재
4 후크 부재
5 지주
6 축
8 코일 스프링
9 전방 바 부재
10~10f 상품 진열 장치
41 부착부
42 막대 모양 부재
A 진열 상품
다음,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품 진열 장치를 도 1~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예의 상품 진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통상적인 상품 진열 상태이며, 전출 조작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전출 조작 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전출 조작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본 명세서 중, 「전」은 고객 측을 뜻하며, 「후」는 그 반대 방향을 뜻하고, 「좌우」는 고객 측에서 본 방향을 뜻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품 진열 장치(10)는, 지주(5)의 슬릿(51)에 장착되는 좌측 고정부인 왼쪽 브래킷(1)과, 왼쪽 브래킷(1)에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우측 고정부인 오른쪽 브래킷(1)과, 왼쪽 브래킷(1)의 축(6)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좌측 아암부(2)와, 오른쪽 브래킷(1)에 축(6)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우측 아암부(2)와, 양측 아암부(2, 2)에 축(6)(지지 위치)으로 후방 측에서 건니지르게 설치된 후방 바 부재(3)와, 후방 바 부재(3)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설치된 2개 이상의 상품 걸이용 훅 부재(4)를 가진다. 또한, 좌측 고정부 및 우측 고정부가 고정되는 것으로서는, 상기 지주의 슬릿으로 한정되지 않고, 벽 등이어도 좋다.
상품 진열 장치(10)에 있어서, 왼쪽 브래킷(1)은 지주(5)의 슬릿(51)에 거는 걸림편(13)과, 좌측 아암부(2)를 지지하는 본체부(14)로 구성된다. 본체부(14)는 축(6)과, 축(6)의 후방 측에 가이드 구멍(8a)을 가진다. 또한, 왼쪽 브래킷(1)은 좌측 아암부(2)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기 때문에, 축(6)은 좌측 아암부(2) 측이 축이면 축의 구멍이 되고, 가이드 구멍(8a)은 좌측 아암부(2)가 가이드 구멍이면, 가이드 돌기라도 좋다. 또한, 오른쪽 브래킷(1)은 왼쪽 브래킷(1)으로 좌우 대칭 위치에 있는 동일한 것이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좌측 아암부(2)는 장척판 형태물로서, 왼쪽 브래킷(1)의 축(6)과 결합하는 축 구멍과, 상기 축 구멍의 후방 측에 왼쪽 브래킷(1)의 가이드 구멍(8a)에 걸린 가이드 돌기(7a)를 가진다. 가이드 구멍(8a)은 회전하는 범위를 정하는 동시에, 회전을 안정적으로 한다. 즉, 진열 자세에 있어서, 가이드 돌기(7a)가, 가이드 구멍(8a)의 상단 둘레로 규제되고, 최대 각도로 회전할 경우, 가이드 돌기(7a)가, 가이드 구멍(8a)의 하단 둘레로 규제된다. 좌측 아암부(2)에서의 축(6)의 설치 위치는, 전후방향의 거의 중앙이다. 전방 측으로 가까워질수록, 회전시, 힘이 필요해지며, 후방 측으로 가까워질수록, 회전 범위가 좁아지고 전출이 실시하기 어려워진다. 좌측 아암부(2)는 후단부에서 후방 바 부재(3)에 접합하여 양자는 일체화된다.
후방 바 부재(3)는 구형 단면의 장척 형상이다. 후방 바 부재(3)의 양단은 좌측 아암부(2)로 우측 아암부(2)로 접합되어 있다. 또, 후방 바 부재(3)에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다수개의 상품 걸이용 훅 부재(4)가 설치되어 있다. 상품 걸이용 훅 부재(4)는, 본 예에서는 후방 바 부재(3)에 고정되는 부착부(41)와, 부착부(41)의 표면에 그 후방측이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막대 모양 부재(42)라도 된다. 대 모양 부재(42)는 상품이 전후방향으로 다수, 걸리는 것이어서, 통상 대략 수평이나 혹은 전방으로 약간 오르막 경사로 하는 것으로, 진열의 안정성을 높인 다. 또, 막대 모양 부재(42)의 첨단은 위쪽으로 굴곡되어 걸림부(43)로 하여, 상품의 전락을 방지한다. 또한, 상품 걸이용 훅 부재(4)는 후방 바 부재(3)에 고정된 것이어도, 탈착 가능한 것이어도 괜찮다.
걸림부(43)에는, 상품의 전락을 더욱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관계되는 고정부(43)에 상품을 걸어 주는 옆의 주위면에 계지부를 형성해도 좋다. 걸림부의 일례로서는, 부분 원형 단면 돌기(44)(도 16(A)), 구형 단면상 돌기(44a)(도 16(B)), 나사(44b)(도 17(A)) 및 널링(44c)(도 17(B))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 중, 상단은 하단 도면의 평면도이며, 도 16(A)의 하단 도면에 나타낸 부분 원형은 오목부를 나타낸다.
좌측 아암부(2), 후방 바 부재(3) 및 우측 아암부(2)로 형성되는 평면시 ㄷ자형 모양의 프레임체(이하, 단지 「ㄷ자형 모양의 프레임체」라고 한다)은 그 후방 측이 탄력 부재로 아래쪽에 가압을 받는다. 본 예에서는 좌측 아암부(2)의 후방부와, 왼쪽 브래킷(1)의 후방 하단부가 코일 스프링(8)으로 연결되어 우측 아암부(2)의 후방부와, 오른쪽 브래킷(1)의 후방 하단부가 코일 스프링(8)으로 연결된다(도 2 참조). 또한, 코일 스프링(8)은 어느 쪽 한쪽만 사용되는 것도 좋다.
상품 진열 장치(10)는, 진열 자세에 있어서, ㄷ자형 모양의 프레임체가, 코일 스프링(8)에 의해 후방 측으로 회전하도록 가압을 받고, 그 회전력을 좌우의 양 브래킷(1)의 가이드 구멍(8a)으로 규제하기 때문에, 상품 걸이용 훅 부재(4)의 막대 모양 부재(42)는 대략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상품(A)을 안정적으로 진열한다. 이 상태로, 상품(A)은 앞쪽으로부터 순차, 팔려 빼내져 간다(도 1의 하단 상품 진 열 장치, 도 2 참조).
상품(A)이 전출될 경우, ㄷ자형 모양의 프레임체를 아래쪽에 회전시킨다(도 1의 하단의 상품 진열 장치, 도 3의 X방향). 구체적으로는, 양측 아암부(2)의 전방단(22)을 조작부로서 이 조작 부분을 아래 쪽에 누르면 된다. 그 아래쪽에 가해진 힘으로 인해, ㄷ자형 모양의 프레임체는 코일 스프링(8)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아래쪽으로 회전한다. 아래쪽으로의 조작은 좌우의 양 브래킷(1)의 가이드 구멍(8a) 하단 둘레에 대해 양측 아암부의 가이드 돌기(7a)가 부딪쳐 그 움직임을 규제함으로써 조작 범위가 결정된다. 아래쪽으로의 회전이 지나치면 진열 상품은 훅 부재(4)의 걸림부(43)를 초과하여 전락한다. 또, 아래쪽으로의 회전이 작으면 안정된 전출을 실시할 수 없다. ㄷ자형 모양의 프레임체가 아래쪽으로 회전하면, 훅 부재(4)의 막대 모양 부재(42)가 전방쪽으로 내리막 경사가 되기 때문에, 상품(A)은 중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다(도 3 참조).
전출이 완료되면, 조작부(22)의 아래쪽에 대한 힘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22)의 아래쪽에 대한 가압력을 서서히 없어지도록 한다. 조작부(22)의 가압력이 저하하면, 코일 스프링(8)의 스프링 힘이 이기고, ㄷ자형 모양의 프레임체는 후방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ㄷ자형 모양의 프레임체는 원래 진열 자세가 되고, 훅 부재(4)의 막대 모양 부재(42)는 대략 수평 상태가 되고, 상품(A)은 전출 상태로 진열된다(도 4 참조).
또, 상품 걸이용 훅 부재(4), 즉 그 막대 모양 부재(42)에 전후 방향으로 다수 걸린 상품의 마지막 끝에, 추(44)를 매달아도 좋다. 추(44)의 형태로서는, 특별 히 제한되지 않고, 도 18에 나타낸 판상물(板狀物)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판상물의 상부에 막대 모양 부재(42)가 삽통하는 구멍(47)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삽통공 이외에 판상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훅 부재를 막대 모양 부재(42)에 건 형태의 것도 좋다. 이에 의해, 훅 부재(4)가 앞쪽으로 내리막 경사가 짐으로써 추(44)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품의 전출이 더 원활하게 실행된다. 도 18은 상품 기재는 생략했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상품 진열 장치를 도 5~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도 8에 있어서, 도 1~도 4의 상품 진열 장치와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예의 상품 진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통상 상품 진열 상태이며, 전출 조작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전출 조작 중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전출 조작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제2 실시 형태의 상품 진열 장치(10a)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의 상품 진열 장치(10)와 다른 점은, 양 브래킷(양측 아암부)의 형상 및 조작부의 형상이다.
즉, 상품 진열 장치(10a)의 왼쪽 브래킷(1) 또는 오른쪽 브래킷(1)은, 각 2개의 수평 부재와 1개의 수직 부재를 이용하고, 2개의 수평 부재(20)를 위쪽 수평 부재와 아래쪽 수평 부재로 하여, 위쪽 수평 부재의 후단과 아래쪽 수평 부재의 전방단을 수직 부재로 결합하여, 대략 Z 모양의 아암부(2a)로 한 것이다. 또, 상품 진열 장치(10a)는, 양측 아암부(2a)의 전방단으로 건너지르게 전방 바 부재(9)를 설치하고, 이 전방 바 부재(9)를, 상품 진열 자세의 평면에서 볼 때, 후방 바 부 재(3)보다 위쪽 측에 위치시킨다. 또, 전방 바 부재(9)의 전면부는, 오목한 모양의 단면을 가진 상품 정보 표시부(91)로 한다.
상품 진열 장치(10a)는, 진열 자세에 대하여, 좌측 아암부(2a), 후방 바 부재(3), 우측 아암부(2a), 전방 바 부재(9)로 형성되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ㅁ자형 모양의 프레임체(이하, 「ㅁ자형 모양의 프레임체」라고 한다)가, 코일 스프링(8)에 의해 후방 측에 회전하도록 가압 되어, 그 회전력을 좌우의 양 브래킷(1)의 가이드 구멍(8a)으로 규제하기 때문에, 상품 걸이용 훅 부재(4)의 막대 모양 부재(42)는 대략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상품(A)을 안정적으로 진열한다. 이 상태로, 상품(A)은 앞쪽으로부터 순차, 팔려 빼내져 간다(도 5의 하단의 상품 진열 장치, 도 6 참조).
상품(A)을 전출할 경우, ㅁ자형 모양의 프레임체를 아래쪽에 회전시킨다(도 5의 하단의 상품 진열 장치, 도 7의 X방향). 구체적으로는, 전방 바 부재(9)를 조작부로서 이 조작 부분을 아래 쪽으로 누르면 된다. 이 아래 쪽으로 가해진 힘으로 인해, ㅁ자형 모양의 프레임체는 코일 스프링(8)의 스프링 가압에 저항하여 아래쪽으로 회전한다. 아래쪽으로의 조작은 좌우의 양브래킷(1)의 가이드 구멍(8a)에 하단 둘레에 양측 아암부의 가이드 돌기(7a)가 맞아 그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으로 조작 범위가 결정된다. ㅁ자형 모양의 프레임체가 아래쪽으로 회전하면, 훅 부재(4)의 막대 모양 부재(42)가 전방 내리막 경사가 되기 때문에, 상품(A)은 중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다(도 7 참조).
전출이 완료되면, 전방 바 부재(9)에 대한 아래쪽으로의 가압을 해제한다.구 체적으로는, 전방 바 부재(9)로의 아래쪽으로의 가압력은 서서히 없어진다. 전방 바 부재(9)로의 가압력이 저하하면, 코일 스프링(8)의 스프링 가압이 우세하여, ㅁ자형 모양의 프레임체는 후방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ㅁ자형 모양의 프레임체는 원래 진열 자세가 되고, 훅 부재(4)의 막대 모양 부재(42)는 대략 수평 상태가 되어, 상품(A)은 전출 상태로 진열된다.
상품 진열 장치(10a)에 의하면, 상품을 전출할 때 , 양측 아암부(2)의 전방측에 설치된 전방 바 부재(9)를 조작하면 되고, 조작 위치가 넓어지고 더 조작하기 쉬운 것이 됨과 동시에, 전방 바 부재(9)의 전면부가 상품 정보 표시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편리하다.
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상품 진열 장치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도 1 ~ 도 4의 상품 진열 장치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즉, 제3 실시 형태의 상품 진열 장치(10b)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의 상품 진열 장치(10)와 다른 점은, 상하 2단의 양측 아암부(조작부)(2)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1)를 더 구비한 점에 있다. 연결 부재(11)는 장척 형상이며, 상단이 위쪽 상품 진열 장치(10)의 양측 아암부(2)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고, 아래쪽의 도중 부분이 아래쪽 상품 진열 장치(10)의 양측 아암부(2)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다. 상품 진열 장치(10b)에 의하면, 연결 부재(11)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상하의 훅 부재(4)에 진열된 상품을 한번에 전출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진열 장치(10b)는 상하 3단 이상도 좋고, 연결 부재(11)는 그 일부 또는 전부의 양측 아암부(2)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것으로도 괜찮다. 또, 연결부재(11)의 설치 장소 및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설치 장소 및 형상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상품 진열 장치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도 1~도 4의 상품 진열 장치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즉, 제4 실시 형태의 상품 진열 장치(10c)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의 상품 진열 장치(10)와 주로 다른 점은, 양측 아암부의 형태 및 양측 고정부와 양측 아암부의 지지 위치에 있다.
즉,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품 진열 장치(10c)에 있어서, 우측 아암부(2b)는 장척 형상의 케이스 부재이며, 오른쪽 브래킷(1)의 첨단 근방에 있는 축 또는 축 구멍(6)(도 10에서는 안 보임)으로 우측 아암부(2b)의 첨단 근방에 있는 축 구멍 또는 축이 걸려 있다. 그리고, 우측 아암부(2b)에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조작부, 즉, 장척 형상의 케이스 부재 내에는 장척 형상 부재(21b)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다. 우측 아암부(2b)의 길이는 오른쪽 브래킷(1)의 길이와 대략 같고, 상품 진열 자세에 대하여, 우측 아암부(2b)는 오른쪽 브래킷(1)으로 일체화되어 있는 것처럼 보여 조작부인 장척 형상 부재(21b)는 우측 아암부(2b)에 완전하게 수용된 상태가 되고, 이로 일체화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장척 형상 부재(21b)의 첨단부 근방에는 인출이 용이하도록 손가락이 걸리는 구멍(21b)이 형성된다. 장척 형상 부재(21b)는 전방으로 꺼내면, 도시하지 않은 공지의 스톱퍼로 정지될 때까지 길어지며, 대략 오른쪽 브래킷(1)의 2배의 길이를 가지는 조작부 로 할 수 있다. 또, 오른쪽 브래킷(1)의 후단부 아래 쪽으로는 본체로부터 안쪽에 직각으로 굴곡한 수평 부재인 대판(11)이 설치된다.
좌측 아암부(2c)는 후단이 안쪽으로 직각으로 굴곡한 걸림편(23c)을 갖는 장척 형상 부재로서, 왼쪽 브래킷(1)의 첨단 근방에 있는 축 또는 축 구멍(6)으로 왼쪽측 아암부(2c)의 첨단 근방에 있는 축 구멍 또는 축이 걸려 있다. 그리고, 좌측 아암부(2c)의 걸림편(23c)과 후방 바 부재(3)가 일체적으로 접합한다. 또한, 좌측 아암부(2c)의 길이는 왼쪽 브래킷(1)의 길이와 대략 같고, 상품 진열 자세에 대하여, 좌측 아암부(2c)와 왼쪽 브래킷(1)은, 외관적으로는 일체화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좌측 아암부(2c)에 대해서도, 우측 아암부(202b)와 동일 케이스 형태라도 괜찮다. 또, 왼쪽 브래킷(1)의 후단 부하분에게는 오른쪽 브래킷(1)과 같게, 본체로부터 안쪽으로 직각으로 굴곡한 수평 부재인 대판(도 10에서는 도시안됨)이 설치된다.
상품 진열 장치(10c)는, 상품 진열 자세에 있어서, 좌측 아암부(2c), 후방 바 부재(3), 우측 아암부(2b)로 형성되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ㄷ자형 모양의 프레임체가, 양측 브래킷(1)의 첨단 근방에서 지지되고, 중력에 의해 후방 측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력을 좌우의 양 브래킷(1)의 대좌(11)로 규제된다.
브래킷(1)의 대좌(11)는, 대좌(11)에 ㄷ자형 모양의 프레임체가 접촉할 경우, 상품 걸이용 훅 부재(4)의 막대 모양 부재(42)가 대략 수평 상태가 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상품 걸이용 훅 부재(4)의 막대 모양 부재(42)는 대략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상품(A)을 안정적으로 진열한다. 이 상태로, 상품(A)은 앞쪽으로부터 순 차, 팔리어 빼내져 간다(도 10 참조).
상품(A)을 전출할 경우, 장척 형상 부재(21b)를 전방으로 꺼내, 장척 형상 부재(21b)의 첨단 부분에 대해 아래쪽으로 향한 힘을 가함으로써, ㄷ자형 모양의 프레임체의 전방 측을 아래쪽에 회전시킨다. 이 아래쪽으로 향한 힘을 가함으로써, ㄷ자형 모양의 프레임체는 축 지지 위치에서 후방 측 무게에 대항하여 축(6)을 중심으로 전방 측이 아래쪽으로 회전한다. ㄷ자형 모양의 프레임체가 축(6)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 측이 아래쪽으로 회전하면, 훅 부재(4)의 막대 모양 부재(42)가 전방 내리막 경사가 되기 때문에, 상품(A)은 중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다(도 11 참조). 이에 의해, 훅 부재(4)의 막대 모양 부재(42)에 걸린 상품(A)은 모두 일제히 전출된다.
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품 진열 장치를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 도 10 및 도 11의 상품 진열 장치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즉, 제5 실시 형태의 상품 진열 장치(10d)에 대하여, 제4 실시 형태의 상품 진열 장치(10c)와 주로 다른 점은, 양측 고정부 및 양측 아암부의 형태에 있다.
상품 진열 장치(10d)의 양측 고정부(1d)에 있어서, 상품 진열 장치(10c)와 양측 고정부(1)가 주로 다른 점은, 양측 아암부(2d)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원호상의 가이드 홈(8d)을 마련한 점 및 양측 아암부(2d)의 후방부의 아래쪽 이동을 규제하는 대좌(11a)를 전방으로 길게 연장한 점에 있다. 또, 양측 아암부(2d)의 후단은 가로 부재(3)의 전면에 고정되어 가이드 홈(8d)에 가이드되는 돌기(도시)를 마련한 점에 있다. 상품 진열 장치(10d)에 의하면, 상품 진열 장치(10c)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외, 양측 아암부(2d)의 회전 범위는 가이드 홈(8d)으로 규제되어 쓰기 편하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서의 상품 진열 장치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있어서, 도 10 및 도 11의 상품 진열 장치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즉, 제6 실시 형태의 상품 진열 장치(10e)에 대하여, 제4 실시 형태의 상품 진열 장치(10c)와 주로 다른 점은, 양측 고정부의 형태, 아암부의 형태 및 양자의 지지 형태에 있다.
상품 진열 장치(10e)는, 좌측 고정부(11e)로 좌측 고정부(11e)와 소정 간격 을 두고 대향하는 우측 고정부(1e)와, 좌측 고정부(11e)와 우측 아암부(2e)에 건너지르게 설치됨과 동시에, 좌측 고정부(11e)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가로 부재(3)와, 가로 부재(3)의 우단에 후방단이 고정되고, 우측 고정부(1e)의 앞부분에 있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우측 아암부(2e)와, 가로 부재(3)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설치된 2개 이상의 상품 걸이용 훅 부재를 구비한다. 또, 우측 고정부(1e)의 첨단 상부에는 우측 아암부(2e)에 걸려 고정하는 돌기(12e)를 가진다. 우측 고정부(1e)와 우측 아암부(2e)의 걸림 방법으로서는, 진열 상태(자연 상태)에 있어서, 양자가 고정되고, 한편 외력으로 인해 그 걸림이 벗겨지는 걸림 방해이면 되고, 공지의 걸림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상품 진열 장치(10e)는, 진열 자세에 있어서, 우측 아암부(2e)가 우측 고정부(1e)의 돌기(12e)에 걸려 고정되기 때문에, 상품 걸이용 훅 부재(4)의 막대 모양 부재(42)는 대략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상품(A)을 안정적으로 진열한다. 이 상태로, 상품(A)은 앞쪽으로부터 순차, 팔려 빼내져 간다(도 14의 하단의 상품 진열 장치 참조).
상품(A)을 전출할 경우, 우측 아암부(2e)를 아래쪽으로 회전시킨다(도 14의 상단의 상품 진열 장치). 구체적으로는, 우측 아암부(2e)의 전방단을 조작부로서 이 조작 부분을 아래 쪽으로 누르면 된다. 이 아래쪽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우측 아암부(2e)와 우측 고정부(1e)의 걸림이 빠져, 우측 아암부(2e)는 아래쪽으로 회전한다. 조작 범위의 하한, 즉 최대 내리막 경사각은 손의 조작으로 적절히 결정된다. 전출이 완료되면, 조작부를 위쪽으로 올리고, 다시, 우측 아암부(2e)를 우측 고정부(1e)의 돌기(12e)에 걸리게 한다. 그리고, 가로 부재(3)와 우측 아암부(2e)가 형성하는 대략 L자형의 프레임체는 원래 진열 자세가 되고, 훅 부재(4)의 막대 모양 부재(42)는 대략 수평 상태가 되고, 상품(A)은 전출 상태로 진열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서의 상품 진열 장치를 도 15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15에 있어서, 도 14의 상품 진열 장치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즉, 제7 실시 형태의 상품 진열 장치(10f)에 있어서, 제6 실시 형태의 상품 진열 장치(10e)와 주로 다른 점은, 양측 아암부의 형태 및 가로 부재와 양측 아암부의 접합 형태에 있다.
상품 진열 장치(10f)는, 좌측 고정부(11e)와 좌측 고정부(11e)와 소정 간격 을 두고 대향하는 우측 고정부(13e)와, 좌측 고정부(11e) 및 우측 고정부(13e)에 대하여, 각 후부에 있는 축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좌측 아암부(21e) 및 우측 아암부(21e)와, 좌측 아암부(21e)와 우측 아암부(21e)의 첨단부에 건너지르게 설치되고 고정된 가로 부재(3)와, 가로 부재(3)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설치된 2이상의 상품 걸이용 훅 부재를 구비하여, 우측 아암부(21e)는 전방으로 연장된 조작부(21f)를 가진다. 또, 우측 고정부(13e)의 첨단 상부에는 조작부(21f)에 걸리는 돌기(12e)를 가진다.
상품 진열 장치(10f)는, 진열 자세에 있어서, 우측에 있는 조작부(21f)가 우측 고정부(13e) 돌기(12e)에 걸려 고정되기 때문에, 상품 걸이용 훅 부재(4)의 막대 모양 부재(42)는 대략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상품(A)을 안정적으로 진열한다. 이 상태로, 상품(A)은 앞쪽으로부터 순차, 팔리어 빼내져 간다(도 15의 하단의 상품 진열 장치 참조).
상품(A)을 전출할 경우, 우측 조작부(21f)를 아래쪽으로 회전시킨다(도 15의 상단의 상품 진열 장치). 구체적으로는, 우측 조작부(21f)의 전방단을 아래 쪽으로 누르면 된다. 이 아래쪽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우측 조작부(21f)와 우측 고정부(13e)의 걸림이 빠지고, 조작부(21f)를 가진 우측 아암부(21e)는 아래쪽으로 회전한다. 아래쪽의 조작 범위는 손의 조작에 의해 적절히 결정된다. 전출이 완료되면, 조작부를 위쪽으로 올리고, 다시, 우측 조작부(21f)를 우측 고정부(13e)의 돌기(12e)에 걸리게 한다. 그리고, 가로 부재(3)와 오른쪽 측 아암부(21e)로 형성된 대략 L자형의 프레임체는 원래 진열 자세가 되고, 훅 부재(4)의 막대 모양 부 재(42)는 대략 수평 상태가 되어, 상품(A)은 전출 상태로 진열된다.

Claims (14)

  1. 좌측 고정부와, 상기 좌측 고정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우측 고정부와,
    상기 양측 고정부에 건너지르게 배치되는 동시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가로 부재와,
    상기 가로 부재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설치된 2개 이상의 상품 걸이용 훅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고정부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좌측 아암부 또는 상기 우측 고정부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우측 아암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더 설치하고
    상기 가로 부재와 상기 양측 아암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일체화하고, 상기 가로 부재는 상기 양측 아암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통하여 상기 양측 고정부 사이에서 회전 자유롭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품 걸이용 훅 부재는, 전방향으로 연장된 상품을 거는 막대 모양 부재와, 상기 막대 모양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위쪽으로 굴곡하는 상품의 전락을 방지하는 걸림 고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가로 부재는 상기 양측 아암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대하여, 상기 지지 위치보다 후방 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양측 아암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후방 측이 탄력 부재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가로 부재는 상기 양측 아암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대해, 상기 지지 위치 또는 상기 지지 위치보다 전방 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양측 아암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과 상기 양측 고정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서로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 부재에, 조작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아암부 또는 상기 우측 아암부에, 조작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상기 양측 아암부의 상기 지지 위치보다 전방 측으로 건너지르게 설치된 바 부재로서, 상품 진열 자세의 정면에서 볼 때, 상기 바 부재는 상기 가로 부재보다 위쪽 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 부재의 전면부는, 오목한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상품 정보 표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하 2단 이상으로 설치되고, 적어도 상하 2단의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11.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아암부 또는 상기 우측 아암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조작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좌측 아암부 또는 상기 우측 아암부는 장척 형상의 케이스 부재이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장척 형상의 케이스 부재 내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끼워 맞춰지 는 장척 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부재가, 바 부재 또는 그물코 모양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걸이용 훅 부재에 걸어진 상품의 마지막 끝에, 추를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KR1020087001274A 2005-07-22 2008-01-16 상품 진열 장치 KR101270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12711A JP4293457B2 (ja) 2005-07-22 2005-07-22 商品陳列装置
JPJP-P-2005-00212711 2005-07-22
PCT/JP2006/314703 WO2007011049A1 (ja) 2005-07-22 2006-07-19 商品陳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949A true KR20080033949A (ko) 2008-04-17
KR101270355B1 KR101270355B1 (ko) 2013-05-31

Family

ID=3766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274A KR101270355B1 (ko) 2005-07-22 2008-01-16 상품 진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93457B2 (ko)
KR (1) KR101270355B1 (ko)
CN (1) CN101227848B (ko)
WO (1) WO20070110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8279A (zh) * 2020-08-21 2020-12-01 北京博恒瑞成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文物托架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4278A1 (de) * 1990-02-13 1991-08-14 Linde Ag Warenverkaufsregal
JPH1176015A (ja) * 1997-09-10 1999-03-23 Chuniti Sangyo Kk フックバー受け
US6585120B2 (en) * 1997-10-01 2003-07-01 Display Industries, Llc. Display shelf having an anti-rotation member
CN2358778Y (zh) * 1998-06-26 2000-01-19 易德湘 一种活动式挂物架
JP2001275800A (ja) * 2000-04-03 2001-10-09 Sun Yamato:Kk フック陳列アームに吊り下げられた商品の送出方法と該方法に使用される移動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8279A (zh) * 2020-08-21 2020-12-01 北京博恒瑞成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文物托架及其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355B1 (ko) 2013-05-31
CN101227848B (zh) 2010-12-15
CN101227848A (zh) 2008-07-23
WO2007011049A1 (ja) 2007-01-25
JP4293457B2 (ja) 2009-07-08
JP2007029155A (ja)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1932B2 (en) Bracket and wall standard assembly
KR101270350B1 (ko) 상품 진열 장치
KR101270355B1 (ko) 상품 진열 장치
EP2886012B1 (en) Fastening system for furnitures
JP5085183B2 (ja) 陳列用ハンガー
JP4338203B2 (ja) 商品陳列具
WO2005046401A1 (ja) スライド式商品陳列棚
US20190021520A1 (en) Promotion device
JP5274729B1 (ja) 商品陳列装置
JP3813116B2 (ja) 商品陳列装置
US20090050759A1 (en) Clamping system for support hardware
JP5926572B2 (ja) 物品棚における物品落下防止装置
JP2005204824A (ja) カードホルダ及びその取付け構造
EP2708163B1 (en) Device for hanging up a display panel
JP3078243B2 (ja) 商品陳列用具
JP3124840U (ja) 商品陳列器具
JP7137529B2 (ja) 棚装置
JP3125483U (ja) パネル装置
JP3137183U (ja) ダブルフックハンガー用アダプター及びこれを装着したダブルフックハンガー
JP3172462B2 (ja) 商品吊支具
JPH08131302A (ja) 商品吊下型陳列器具
JP2020058703A (ja) 陳列棚用表示装置
JP2005192587A (ja) 商品陳列棚用表示装置
JP2023033885A (ja) スライド式棚装置
JP3122041U (ja) 陳列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