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0754A -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0754A
KR20080030754A KR1020060097014A KR20060097014A KR20080030754A KR 20080030754 A KR20080030754 A KR 20080030754A KR 1020060097014 A KR1020060097014 A KR 1020060097014A KR 20060097014 A KR20060097014 A KR 20060097014A KR 20080030754 A KR20080030754 A KR 20080030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screw bar
agcs
motor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6401B1 (ko
Inventor
최해용
이언구
이상호
성현
김정원
김성준
김영광
이인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휴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휴모테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7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401B1/ko
Priority to US11/648,438 priority patent/US7621539B2/en
Priority to DE102007002964.2A priority patent/DE102007002964B4/de
Priority to JP2007017342A priority patent/JP2008087753A/ja
Priority to CN200710089103XA priority patent/CN101157329B/zh
Publication of KR20080030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pneumati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6Attaching arms to sprung or unsprung part of vehicle,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ttachment means controlled by an external actuator, e.g. a fluid or electrical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4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steer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2Electric actuator
    • B60G2202/422Linear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576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crew and nut
    • Y10T74/1868Deflection re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와 직선 왕복 운동부의 경계부 위치에 새로운 구조의 완충 구조를 적용하여, 축방향 및 축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용이하게 견딜 수 있는 내충격성을 갖도록 한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후단부에 체결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스크류바와, 이 스크류바의 제자리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AGCS용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바와 모터의 경계 영역에 축방향 하중을 완충시키는 충격완충수단 및 축수직방향 하중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AGCS, 액츄에이터, 내충격성, 모터, 스크류바, 충격완충수단, 충격흡수수단, 트러스트 베어링, 디스크 트러스트, 부시-오일리스 금속체, 플레이트 트러스트 베어링,

Description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Actuator for AGCS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의 축방향 하중에 대한 완충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의 축수직방향 하중에 대한 충격 흡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의 종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차량용 AGCS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6은 차량용 AGCS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스크 트러스트 12 : 트러스트 베어링
14 : 플레이트 트러스트 베어링 16 : 부시-오일리스 금속체
100 : 액츄에이터 102 : 어시스트 링크
104 : 제어레버 106 : 후륜
108 : 차속센서 110 : 조향각센서
112 : ECU 114 : 피스톤
116 : 수평레버 118 : 수직레버
120 : 스크류바 122 : 모터
124 : 볼베어링
본 발명은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와 직선 왕복 운동부의 경계부 위치에 새로운 구조의 완충 구조를 적용하여, 축방향 및 축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용이하게 견딜 수 있는 내충격성을 갖도록 한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AGCS(Active Geometry Controlled Suspension)는 차량의 선회시, 후륜의 토우각을 능동적으로 가변 제어하여, 후륜을 선회 가능 영역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선회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첨부한 도 5를 참조로 AGCS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AGCS는 후륜(106) 휠쪽에 연결되어 있는 어시스트 링크(102: assist link)와, 상기 어시스트 링크(102)의 일끝단에 연결된 제어레버(104)와, 상기 제어레버(104)의 일끝단에 연결된 액츄에이터(100)와, 차속센서(108) 및 조향각 센서(110) 등의 신호를 받아 상기 액츄에이터(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11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레버(104)는 상기 어시스트 링크(102)에 힌지 연결되는 수평레버(116)와 상기 액츄에이터(100)의 피스톤(114)에 힌지 연결된 수직레버(118)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레버(118)의 하단과 상기 수평레버(116)의 후단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100)는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114)과, 상기 피스톤(114)의 후단부에 삽입 체결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스크류바(120)와, 이 스크류바(120)를 제자리 회전시키는 모터(1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모터(122)와 스크류단(120) 사이의 경계영역에는 스크류바(120)의 제자리 회전을 지지하는 볼베어링(124)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AGCS의 작동상태를 첨부한 도 6을 참조로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속센서(108) 및 조향각센서(110)의 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이 선회 주행하고 있음을 판단한 ECU(112)에서 상기 모터(122)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모터(122)의 회전과 함께 상기 스크류바(120)가 제자리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114)이 스크류바(120)의 제자리 회전으로 인하여 전방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피스톤(114)이 전방(후륜쪽)으로 직선 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레버(104)의 수직레버(118) 상단이 함께 전방으로 이동(도 6의 화살표 'a' 참 조)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수직레버(118)의 하단과 수평레버(116)의 후단의 연결지점이 뒤쪽으로 들어 올려지며 전방(후륜쪽)으로 각회전(도 6의 화살표 'b' 참조)을 하게 되며, 동시에 수평레버(116)의 전단부는 하방향으로 각회전(도 6의 화살표 'c' 참조)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레버(104)의 수평레버(116)의 전단부가 하향으로 각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어시스트 링크(102)가 뒤로 당겨지면서 아래쪽으로 이동(도 6의 화살표 'd' 참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어시스트 링크(102)의 차체측 연결점(A: 수평레버의 전단부와의 연결점) 위치를 아래로 변경시켜 줌으로써, 차량의 범프 토우-인 값이 증대되어, 결국 차량의 고속 선회시 또는 급차선 변경시 선회 안정성을 제공하여 안정된 차량 주행 성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 및 작동을 하는 종래의 AGCS 구성중 액츄에이터는 다음과 같이 내구성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액츄에이터의 구성중, 첨부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와 스크류단 사이의 경계영역 즉, 스크류바(120)의 후단부 둘레면에 배치되어 스크류바(120)의 제자리 회전을 지지하는 볼베어링(124)이 축방향 하중 및 축수직방향 하중을 모두 받게 되어 볼베어링(124)의 파손 내지 파손에 따른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바퀴에서 발생되는 충격(축방향 하중 또는 축수직방향 하중)이 어시스트 링크(102) 및 제어레버(104)를 통하여 액츄에이터(100)의 피스톤(114) 및 스크류 바(120)에 그대로 전달되고, 결국 스크류바(120)의 제자리 회전을 지지하는 볼베어링(124)쪽으로 충격이 집중되어, 볼베어링의 파손 내지 파손에 따른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본공개특허 소 62-139767호에는 내측에 트러스트 베어링을 갖는 액츄에이터 구조가 개시되어 있는 바, 트러스트 베어링이 외부력의 직접적인 하중이 전달되지 못하는 부분에 적용되어 있고, 또한 외부력이 크게 작용하는 경우에는 트러스트 베어링이 파손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바퀴에서 발생되는 충격(축방향 하중 또는 축수직방향 하중)을 견고하게 견딜 수 있는 충격 완화 및 소음 흡수 구조를 갖는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후단부에 체결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스크류바와, 이 스크류바의 제자리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AGCS용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바와 모터의 경계 영역에 축방향 하중을 완충시키는 충격완충수단 및 축수직방향 하중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구현예로서, 상기 충격완충수단은 상기 모터와의 결합지점이 되는 상기 스크류바의 후단부 둘레면에 배치되는 디스크 트러스트와; 상기 디스크 트러스트의 양쪽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트러스트 베어링과; 상기 각 트러스트 베어링의 외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트러스트 베어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트러스트 베어링중 하나의 외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부시-오일리스 금속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AGCS는 후륜(106)쪽에 연결되어 있는 어시스트 링크(102: assist link)와, 상기 어시스트 링크(102)의 일끝단에 연결된 제어레버(104)와, 상기 제어레버(104)의 일끝단에 연결된 액츄에이터(100)와, 차속센서 (108) 및 조향각 센서(110) 등의 신호를 받아 상기 액츄에이터(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11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액츄에이터(100)는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114)과, 상기 피스톤(114)의 후단부에 삽입 체결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스크류바(120)와, 이 스크류바(120)를 제자리 회전시키는 모터(122)를 포함 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바(120)와 모터(122)의 경계 영역 즉, 결합 지점에 바퀴쪽으로부터 액츄에이터(100)쪽에 전달되는 축방향 하중을 완충시키는 충격완충수단을 설치하고, 또한 바퀴쪽으로부터 액츄에이터(100)쪽에 전달되는 축수직방향 하중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충격완충수단은 상기 모터(122)와의 결합지점이 되는 상기 스크류바(120)의 후단부 둘레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바퀴쪽으로부터 액츄에이터(100)쪽에 전달되는 축방향 하중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충격완충수단은 상기 모터(100)와의 결합지점이 되는 상기 스크류바(120)의 후단부 둘레면에 장착되는 디스크 트러스트(10)와, 이 디스크 트러스트(10)의 양쪽면에 밀착되며 배치되는 한 쌍의 트러스트 베어링(12)과, 상기 각 트러스트 베어링의 외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트러스트 베어링(1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22)의 회전 구동과 함께 상기 스크류바(120)가 제자리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스크류바(120)의 후단부 둘레면에 압입 체결된 디스크 트러스트(10)도 제자리 회전을 하게 되고, 이 디스크 트러스트(10)의 양측면은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12)과 구름접촉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 트러스트 베어링(14)은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12)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트러스트 베어링(12)의 구름 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의 축방향 하중에 대한 완충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바퀴에서 발생되는 축방향 하중이 어시스트 링크(102) 및 제어레버(104)를 통하여 액츄에이터(100)의 피스톤(114) 및 스크류바(120)에 그대로 전달되는 바, 이때의 축방향 하중이 스크류바(120)의 직접 밀착되어 있는 디스크 트러스트(10)에 직접 전달되고, 디스크 트러스트(10)의 양측면에 밀착된 트러스트 베어링(12)에는 전달되지 않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하중이 스크류바(120)의 둘레면과 밀착된 디스크 트러스트(10)의 하단부에 전달되어 분산 및 완화됨에 따라, 트러스트 베어링(12)에는 직접 전달되지 않게 되어, 결국 축방향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디스크 트러스트(10)에서 완충시켜 분산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기존에 볼베어링쪽으로 충격이 집중되어, 볼베어링의 파손 내지 파손에 따른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트러스트 베어링(14)중 하나(바람직하게는, 액츄에이터의 피스톤쪽의 것)의 외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부시-오일리스 금속체(16)이며, 이 부시-오일리스 금속체(16)는 원형의 링 타입으로서 상기 스크류바(120)의 둘레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22)의 회전 구동과 함께 상기 스크류바(120)가 제자리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스크류바(120)는 별도의 윤활제 사용없이 부시-오일리스 금속체(120)의 내부에서 제자리 회전을 하게 된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의 축수직방향 하중 에 대한 충격 흡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바퀴에서 발생되는 축수직방향 하중이 액츄에이터(100)의 피스톤(114) 및 스크류바(120)에 그대로 전달되는 바, 이때의 축수직방향 하중이 스크류바(120)의 둘레면에 직접 밀착되어 있는 부시-오일리스 금속체(16)에 전달되며, 이에 부시-오일리스 금속체(16)는 축수직방향 하중을 분산 및 완화시키는 흡수작용을 하게 되며, 결국 축수직방향 하중도 트러스트 베어링(12)에 직접 전달되지 않게 되어, 스크류바와 모터간의 결합 지점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에 의하면, 바퀴에서 발생되는 충격(축방향 하중 또는 축수직방향 하중)을 견고하게 견딜 수 있는 새로운 충격 완화 및 소음 흡수 구조를 액츄에이터의 스크류바 및 모터의 경계 지점에 적용함으로써, 축방향 하중 및 축수직방향의 하중이 액츄에이터에 전달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완충 및 흡수시킬 수 있으므로, 액츄에이터의 스크류바 및 모터간의 경계부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후단부에 체결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스크류바와, 이 스크류바의 제자리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AGCS용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바와 모터의 경계 영역에 축방향 하중을 완충시키는 충격완충수단 및 축수직방향 하중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수단은:
    상기 모터와의 결합지점이 되는 상기 스크류바의 후단부 둘레면에 배치되는 디스크 트러스트와;
    상기 디스크 트러스트의 양쪽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트러스트 베어링과;
    상기 각 트러스트 베어링의 외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트러스트 베어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트러스트 베어링중 하나의 외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부시-오일리스 금속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
KR1020060097014A 2006-10-02 2006-10-02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 KR100836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014A KR100836401B1 (ko) 2006-10-02 2006-10-02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
US11/648,438 US7621539B2 (en) 2006-10-02 2006-12-29 Actuator for AGCS of vehicle
DE102007002964.2A DE102007002964B4 (de) 2006-10-02 2007-01-19 Betätigungselement für eine AGCS eines Fahrzeugs
JP2007017342A JP2008087753A (ja) 2006-10-02 2007-01-29 車両のagcs用アクチュエータ
CN200710089103XA CN101157329B (zh) 2006-10-02 2007-03-19 用于车辆agcs的致动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014A KR100836401B1 (ko) 2006-10-02 2006-10-02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754A true KR20080030754A (ko) 2008-04-07
KR100836401B1 KR100836401B1 (ko) 2008-06-09

Family

ID=3913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014A KR100836401B1 (ko) 2006-10-02 2006-10-02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21539B2 (ko)
JP (1) JP2008087753A (ko)
KR (1) KR100836401B1 (ko)
CN (1) CN101157329B (ko)
DE (1) DE10200700296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401B1 (ko) * 2006-10-02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
DE102006052253B3 (de) * 2006-11-03 2008-07-10 Zf Friedrichshafen Ag Verstellantrieb zur örtlichen Verstellung einer Fahrwerkskomponente
JP4464955B2 (ja) * 2006-12-27 2010-05-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伸縮アクチュエータ
JP4603561B2 (ja) * 2007-02-27 2010-1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アライメント変更制御装置
US8070169B2 (en) * 2008-07-10 2011-12-06 Hyundai Motor Company Actuator for active roll control system
DE102008039304A1 (de) * 2008-08-22 2010-02-25 Audi Ag Lenkungsaktuator für eine hintere Radaufhängung
KR101090804B1 (ko) * 2009-08-21 201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CN102049986B (zh) * 2009-10-29 2014-10-29 汪国胜 一种车辆悬挂装置
KR101241207B1 (ko) * 2010-03-29 2013-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구동장치
KR101198800B1 (ko) * 2010-08-31 2012-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DE102010041407A1 (de) 2010-09-27 2012-03-29 Zf Friedrichshafen Ag Radaufhäng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0052920A1 (de) * 2010-11-30 2012-05-3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Fahrwerkaktuator
CN102121491A (zh) * 2011-04-15 2011-07-13 厦门大学 一种带位置传感装置的液压缸
EP2604454A1 (en) * 2011-12-16 2013-06-19 Edai Technical Unit, A.I.E. Variable length vehicle stabiliser and vehicle with the variable length stabiliser
DE102014222895B4 (de) * 2014-11-10 2022-04-28 Zf Friedrichshafen Ag Aktuatorgehäuse für einen Fahrwerksaktuator
DE102014224259A1 (de) * 2014-11-27 2016-06-02 Robert Bosch Gmbh Linearaktuator
KR102463210B1 (ko) * 2018-06-05 2022-11-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1518A (en) * 1957-10-02 1961-04-25 Anderson Co Lifting mechanism
US4588198A (en) * 1983-08-20 1986-05-13 Mazda Motor Corporation Steering system having controllable damper
JPS62139767A (ja) 1985-12-16 1987-06-23 Jidosha Kiki Co Ltd アクチユエ−タ
US5157987A (en) * 1986-04-18 1992-10-2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Tie rod device
US4666014A (en) 1986-05-08 1987-05-19 Trw Inc. Floating ball-nut for an electric assist steering system
US5083626A (en) 1986-10-20 1992-01-2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i Rear wheel steering device for vehicle with four steerable wheels
US4890858A (en) 1988-02-16 1990-01-02 Monroe Auto Equipment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hock absorbers
JPH0242224A (ja) 1988-08-01 1990-02-13 Nhk Spring Co Ltd 気液圧式緩衝装置
DE3827039A1 (de) 1988-08-10 1990-02-1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r radstellungsaenderung von kraftfahrzeugraedern
JPH03272354A (ja) * 1990-03-20 1991-12-04 Tachi S Co Ltd シリンダモータ
US5449193A (en) * 1993-07-27 1995-09-12 Illinois Tool Works Inc. End link for a vehicle stabilizer bar
JP3487932B2 (ja) * 1994-11-30 2004-01-19 株式会社ショーワ 車高調節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可変減衰機構
US5529316A (en) * 1995-02-16 1996-06-25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Adjustable tie rod assembly
JPH0965607A (ja) 1995-08-23 1997-03-07 Shinko Electric Co Ltd インナロータ型モータ
US5797607A (en) * 1995-08-30 1998-08-25 Kopczynski; John F. Vehicle with vertically movable and vertically pulsating wheels
JP2938795B2 (ja) * 1995-12-26 1999-08-25 テイエチケー株式会社 伸縮継手
US5934696A (en) * 1997-08-08 1999-08-10 Chrysler Corporation Variable rate anti-roll bar end link
WO2002073049A1 (de) * 2001-03-09 2002-09-19 Ina-Schaeffler Kg Axiallager
JP4202761B2 (ja) 2001-03-28 2008-12-24 コンティネンタル・テーベ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ウント・コンパニー・オッフェネ・ハンデルスゲゼルシヤフト 転動体ねじ装置並びに自動車のアクスルステアリングモジュールの駆動装置
EP1419081B1 (de) 2001-08-15 2005-09-21 Thyssen-Krupp Presta AG Kompakte rohrförmige, elektrisch unterstützte lenkhilfe
KR20030096712A (ko) 2002-06-17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휠 얼라인먼트 조절 장치
DE10228370A1 (de) * 2002-06-25 2004-01-22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Pendelstütze aus einem Strangpressprofil
JP4190905B2 (ja) * 2003-02-06 2008-12-03 日本精工株式会社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5036943A (ja) 2003-07-18 2005-02-10 Toyota Motor Corp 車両懸架装置
JP4313280B2 (ja) * 2003-11-28 2009-08-12 アスモ株式会社 シート駆動用モータおよびパワーシート装置
JP2005289293A (ja) * 2004-04-02 2005-10-20 Koyo Seiko Co Ltd 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これの製造方法
EP1853443A1 (en) * 2005-03-01 2007-11-14 The Timken Company Active to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otive vehicle
KR100667425B1 (ko) * 2005-10-06 2007-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의 컨트롤레버 구조
KR100751683B1 (ko) 2005-12-19 2007-08-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능동제어 현가장치의 횡 방향 유격 차단 구조를갖는 토우제어장치
DE102006037479A1 (de) 2006-08-10 2008-02-14 Zf Lenksysteme Gmbh Servolenkung
KR100836401B1 (ko) * 2006-10-02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7002964A1 (de) 2008-04-03
CN101157329A (zh) 2008-04-09
US7621539B2 (en) 2009-11-24
US20080079225A1 (en) 2008-04-03
CN101157329B (zh) 2010-12-01
JP2008087753A (ja) 2008-04-17
KR100836401B1 (ko) 2008-06-09
DE102007002964B4 (de)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401B1 (ko)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
KR101198800B1 (ko)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US8905185B2 (en)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294070B1 (ko) 능동 제어 현가장치
JP2007238075A (ja) 電動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H11227434A (ja) 自動車の懸架装置
JP2006306247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491359B1 (ko) 전동식 차량 자세제어장치
KR20140073134A (ko) 차체 자세 제어장치
JP3551630B2 (ja)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
KR10080705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베어링 조립구조
JP4577259B2 (ja) 緩衝器の取付構造
KR102109426B1 (ko) 스트럿 어셈블리
KR101321315B1 (ko) 틸팅 거동 타입 감속기를 갖춘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
JP4256285B2 (ja) 緩衝器の搭載構造
KR101371484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용 액추에이터
KR101317572B1 (ko) 측 하중 저감 타입 맥퍼슨 스트러트 현가장치
JP2007050786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394054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용 액추에이터
KR102419583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0422550B1 (ko) 차량용 속업소버의 상부체결구조
JPH0649508Y2 (ja) フロントフオ−ク
KR100629801B1 (ko) 액티브 지오메트리 콘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
JP2006182134A (ja) 車両用補強部材
JP2000145874A (ja) バンプストッパラバーの高さ位置調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