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152A -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152A
KR20080028152A KR1020060093566A KR20060093566A KR20080028152A KR 20080028152 A KR20080028152 A KR 20080028152A KR 1020060093566 A KR1020060093566 A KR 1020060093566A KR 20060093566 A KR20060093566 A KR 20060093566A KR 20080028152 A KR20080028152 A KR 20080028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automatic transmission
lock device
shift
fit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3516B1 (ko
Inventor
허재성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3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516B1/ko
Publication of KR20080028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P, R, N, D 순서로 레인지가 설정되는 게이트브라켓의 P 레인지와 N 레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R 레인지로 쉬프트레버가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쉬프트레버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와, 베이스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세 측벽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측벽지지턱과, 상기 액츄에이터의 나머지 일측벽을 지지하는 슬라이드지지판과,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단 및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지지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베이스브라켓에 액츄에이터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응력이 베이스브라켓에 균등하게 분산되므로 액츄에이터 작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쉬프트록, 쉬프트레버, 액츄에이터, 슬라이드지지판, 후크부, 걸림턱부, 지지턱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A shift-lock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를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쉬프트록 장치의 액츄에이터 고정 구조를 보인 개략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쉬프트록 장치의 슬라이드지지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게이트브라켓 20 : 베이스브라켓
21a,21b,21c : 측벽지지턱 21d : 상부지지턱
21e : 하부지지턱 22 : 제 1끼움홀
23 : 제 2끼움홀 30 : 쉬프트레버
40 : 캠바디 60 : 회동캠
80 : 액츄에이터 81 : 작동로드
90 : 슬라이드지지판 91 : 후크부
92 : 걸림턱부 93 : 분지부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되는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쉬프트록 장치는 초보 운전자나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의 운전에 미숙한 운전자가 차량 시동 후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고 가속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쉬프트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차량이 급발진되어 각종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차량의 주차시에는 쉬프트록 장치가 동작하여 쉬프트레버의 동작을 금지하고, 차량의 주행시에는 차량 시동 후 이그니션 스위치와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동작에 의해 쉬프트록 장치가 해제되어 운전자의 쉬프트레버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쉬프트록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바, 브레이크페달에 연결되어 있는 쉬프트록케이블(100)과, 상기 쉬프트록케이블(100)에 연결된 쉬프트록캠(102)이 구비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지 않으면, 쉬프트레버(104)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쉬프트록 장치는 브레이크페달의 조작력을 상기 쉬프트록캠(102)에 전달하도록 하는 쉬프트록케이블(100)을 장착하는 작업이 비교적 번거롭고 까다로와서 작업성이 떨어지며, 쉬프트록케이블(100)의 구조상 어쩔 수 없이 발생되는 무효 스트로크로 인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많이 밟아야만 쉬프트록이 적절히 해제될 수 있어서 작동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게이트 타입 변속장치는 운전자가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쉬프트레버의 위치 확인이 용이하고, 변속노브의 단추를 삭제할 수 있어서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구조적으로 쉬프트레버가 각 레인지를 바꿀 때마다 수직하게 만나는 두 세 개의 직선경로를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각 변속레인지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게이트 타입 변속장치는 브레이크페달스위치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회동캠을 구동시켜 쉬프트레버가 R단에 진입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게이트 타입 변속장치는 통상 변속장치의 베이스브라켓에 액츄에이터가 한 쌍의 스크류에 의해 고정 결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작동 시 스크류 체결부에 응력이 집중되게 되어 액츄에이터의 흔들림이 발생되고, 변속장치의 전체적인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쉬프트레버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는 액츄에이터를 베이스브라켓에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는 P, R, N, D 순서로 레인지가 설정되는 게이트브라켓의 P 레인지와 N 레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R 레인지로 쉬프트레버가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쉬프트레버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세 측벽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측벽지지턱과, 상기 액츄에이터의 나머지 일측벽을 지지하는 슬라이드지지판이 구비된 베이스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브라켓은 적어도 두 개의 끼움홀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지지판은 상기 끼움홀에 축방향으로 삽입된 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홀은 제 1끼움홀과, 실질적으로 상기 제 1끼움홀과 동축상에 위치하는 제 2끼움홀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지지판의 일단에는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끼움홀에 걸리게 되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 2끼움홀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지지판의 타단이 축방향으로 절개되어 복수의 분지부를 이루되 각 분지부에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끼움홀은 각 후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브라켓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상부지지턱과 하부지지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브라켓은 측방향으로 개방된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에 상기 액츄에이터가 안착된 후 상기 슬라이드지지판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벽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솔레노이드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쉬프트레버에 일체로 설치된 캠바디와, 상기 캠바디에 작용하여 상기 쉬프트레버가 P레인지와 N레인지에서 횡방향으로 선회 이동되는 것을 차단 및 해제하도록 설치된 회동캠과,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회동캠을 종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게이트 타입 변속장치를 도시한 외관도이고, 도 3에 본 발명의 쉬프트레버의 쉬프트록 장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게이트 타입 변속장치는 게이트브라켓(10)에 P, R, N, D순서로 레인지가 설정되고, 상기 P레인지와 N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쉬프트레버(3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P레인지와 N레인지에서 쉬프트레버(30)를 횡방향으로 선회 이동시킨 후, 재차 쉬프트레버(30)를 종방향으로 선회 이동시켜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 쉬프트레버(30)에 일체로 설치된 캠바디(40)와 상기 캠바디(40)에 작용하여 상기 쉬프트레버(30)가 P레인지와 N레인지에서 횡방향으로 선회 이동되는 것을 차단 및 해제하도록 설치된 회동캠(60)과, 운전자의 브레이크페달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페달스위치(5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회동캠(60)을 종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과, 운전자의 조작력으로 상기 회동캠(60)을 회동시키도록 설치된 비상레버(7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쉬프트레버(30)가 P레인지에서 다른 변속레인지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먼저 횡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이동의 가능/불가능 상태를 상기 캠바디(40)와 회동캠(60)에 의해 전환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쉬프트레버(30)가 N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이동되기 위해서도 먼저 횡방향으로 쉬프트레버(30)가 선회 이동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이동의 가능여부도 상기 캠바디(40)와 회동캠(60)에 의해 전환되도록 하여 쉬프트록 장치를 구현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캠바디(40)와 회동캠(60) 및 상기 회동캠(60)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캠바디(40)에는 상기 회동캠(60)의 회동평면에 평행한 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캠(60)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차단 하게 되는 캠벽(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캠(60)은 상기 캠바디(40)에 작용하는 록킹암(61)과, 후술하는 회동수단의 링크(64)에 연결되는 링크암(63)과, 상기 비상레버(70)에 연결되는 레버암(62)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회동수단은 운전자의 브레이크페달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페달스위치(5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작동로드(81)를 구비한 액츄에이터(80)와, 상기 작동로드(81)와 상기 회동캠(60)의 링크암(63)을 연결하여 상기 작동로드(81)의 직선운동을 회동캠(60)의 회동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6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80)는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아 브레이크페달스위치(50)가 온되면 상기 작동로드(81)를 당기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로드(81)에 연결된 링크(64)는 도 3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회동캠(6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액츄에이터(80)는 브레이크페달스위치(5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서 작동함에 따라 솔레노이드 방식의 액츄에이터(80)가 바람직하나, 그 외 유압식 또는 공압식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비상레버(70)는 상기 게이트브라켓(1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운전자가 누르면 회동되면서 상기 회동캠(6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80)의 고정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도 5은 액츄에이터(80)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는 게이트브라켓(10) 하부에 설치되어 회동수단 및 액츄에이터(80)가 설치되는 베이스브라켓(20)을 구비한다.
베이스브라켓(20)은 액츄에이터(80)의 세 측벽을 각각 지지하는 측벽지지턱(21a,21b,21c)을 구비하고, 이때 액츄에이터(80)의 작동로드(81)는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되게 되며, 액츄에이터(80)의 나머지 일측벽은 슬라이드지지판(90)에 의해 지지되게 되어 액츄에이터(80)의 전후 및 좌우 방향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베이스브라켓(20)은 슬라이드지지판(90)이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끼움홀(22,23)을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끼움홀(22,23)은 슬라이드지지판(90)의 삽입단과 대응되는 제 1끼움홀(22)과, 상기 제 1끼움홀(22)과 실질적으로 동축상에 형성되는 제 2끼움홀(23)로 구분되게 된다.
또한, 베이스브라켓(20)은 액츄에이터(8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상부지지턱(21d)과 하부지지턱(21e)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지지턱(21d)과 하부지지턱(21e)을 통해 베이스브라켓(20)의 상하 방향, 즉 액츄에이터(80)의 작동로드(81)의 진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베이스브라켓(20)에 측방향으로 개방된 홈부를 형성한 후 상기 홈부에 액츄에이터(80)를 삽입하고, 슬라이드지지판(90)으로 액츄에이터(80)의 일측벽을 지지하여 액츄에이터(80)의 고정을 이룰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80)는 측벽지지턱(21a,21b,21c)과, 슬라이드지지판(90), 상부지지턱(21d), 하부지지턱(21e)에 의해 육면체 형상의 액츄에이터(80)를 6방향으로부터 각각 지지하게 됨에 액츄에이터(80)가 전후, 좌우,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액츄에이터(80) 작동에 의해 발생한 응력이 베이스브라켓(20)에 균등하게 분산되게 되어 액츄에이터(80)의 작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쉬프트록 장치에 적용된 슬라이드지지판(9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드지지판(90)은 일단에 후크부(91)가 형성되고, 타단에 걸림턱부(92)가 형성되게 되는데, 슬라이드지지판(90)의 후크부(91)는 베이스브라켓(20)에 형성된 제 1끼움홀(22)에 걸리게 되며, 슬라이드지지판(90)의 걸림턱 부(92)는 제 2끼움홀(23)에 걸려 지지되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드지지판(90)의 일단은 축방향으로 절개되어 복수의 분지부(93)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분지부(93)에 후크부(91)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후크부(91)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제 2끼움홀(22)은 각각의 후크부(9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후크부(91)와 이에 각각 대응되는 제 2끼움홀(22)을 구비하고 있어, 슬라이드지지판(90)을 베이스브라켓(20)에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쉬프트록 장치는 액츄에이터가 복수의 측벽지지턱과, 슬라이드지지판과, 상부 및 하부지지턱에 의해 전후, 좌우, 상하 방향으로 지지됨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응력이 베이스브라켓에 균등하게 분산되게 되어 액츄에이터 작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P, R, N, D 순서로 레인지가 설정되는 게이트브라켓의 P 레인지와 N 레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R 레인지로 쉬프트레버가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쉬프트레버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세 측벽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측벽지지턱과, 상기 액츄에이터의 나머지 일측벽을 지지하는 슬라이드지지판이 구비된 베이스브라켓을; 포함하는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브라켓은 적어도 두 개의 끼움홀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지지판은 상기 끼움홀에 축방향으로 삽입된 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홀은 제 1끼움홀과, 실질적으로 상기 제 1끼움홀과 동축상에 위치하는 제 2끼움홀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지지판의 일단에는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끼움홀에 걸리게 되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 2끼움홀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지지판의 타단이 축방향으로 절개되어 복수의 분지부를 이루되 각 분지부에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끼움홀은 각 후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브라켓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상부지지턱과 하부지지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브라켓은 측방향으로 개방된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에 상기 액츄에이터가 안착된 후 상기 슬라이드지지판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벽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솔레노이드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레버에 일체로 설치된 캠바디와, 상기 캠바디에 작용하여 상기 쉬프트레버가 P레인지와 N레인지에서 횡방향으로 선회 이동되는 것을 차단 및 해제하도록 설치된 회동캠과,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회동캠을 종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
KR1020060093566A 2006-09-26 2006-09-26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 KR101233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566A KR101233516B1 (ko) 2006-09-26 2006-09-26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566A KR101233516B1 (ko) 2006-09-26 2006-09-26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152A true KR20080028152A (ko) 2008-03-31
KR101233516B1 KR101233516B1 (ko) 2013-02-14

Family

ID=3941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566A KR101233516B1 (ko) 2006-09-26 2006-09-26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5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529B1 (ko) * 2008-04-24 2009-07-14 에스엘 주식회사 쉬프트 록 장치
WO2016167627A1 (ko) * 2015-04-16 2016-10-20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Btsi 일체형 변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7940B2 (ja) * 1995-06-15 2005-03-09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装置のシフトロック機構
JP3476674B2 (ja) * 1998-05-13 2003-12-10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装置における疑似パーキング構造
KR100285496B1 (ko) * 1998-08-07 2001-04-02 정몽규 자동변속기 셀렉터 레버 쉬프트 록 장치
KR100494788B1 (ko) * 2002-10-24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쉬프트레버의 쉬프트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529B1 (ko) * 2008-04-24 2009-07-14 에스엘 주식회사 쉬프트 록 장치
WO2016167627A1 (ko) * 2015-04-16 2016-10-20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Btsi 일체형 변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3516B1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4788B1 (ko) 쉬프트레버의 쉬프트록 장치
JP5156744B2 (ja) 自動化された或いは自動式伝動装置の変速装置
JP5319676B2 (ja) シフトキャリッジロック機構を備えた操作装置
KR20090118048A (ko) 변속 레버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작동 장치
KR101317375B1 (ko)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JPH07119813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4746633B2 (ja) 車両変速機に用いられるシフト装置
KR101319415B1 (ko) 시프트 로크 어셈블리
KR101233516B1 (ko) 자동변속기의 쉬프트록 장치
US20200292061A1 (en) Vehicle shifter having a toggle cam with neutral lock
JP4436014B2 (ja) 車両自動運転装置
JP4504299B2 (ja) 建設機械の操作手段のロック構造
US6701798B2 (en) Shift device for a motor vehicle gearbox
JP3693800B2 (ja) コラムシフト装置
US7909731B2 (en) Vehicle shift module assembly
JPH08113120A (ja) 自動変速操作装置
JP2012036987A (ja) 変速機の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KR101954540B1 (ko) 자동차의 주차 잠금 장치
KR100461810B1 (ko)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 록 장치
KR100887827B1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JP4022596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4090797A (ja) 車両における足踏みペダルの開放位置調整装置
JP2021160587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501121B1 (ko) 트랜스퍼 조작레버의 오동작 방지장치
KR100192277B1 (ko) 클러치 조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