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135A -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135A
KR20080028135A KR1020060093528A KR20060093528A KR20080028135A KR 20080028135 A KR20080028135 A KR 20080028135A KR 1020060093528 A KR1020060093528 A KR 1020060093528A KR 20060093528 A KR20060093528 A KR 20060093528A KR 20080028135 A KR20080028135 A KR 20080028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ing valve
vehicle
air
open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1099B1 (ko
Inventor
황재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3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099B1/ko
Publication of KR20080028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60G2400/252Stroke; Height; Displacement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60G2400/256Stroke; Height; Displacement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2Height or leveling valve for air-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탱크와 에어 스프링 사이에 설치되어서 에어 스프링의 고저 변위에 따라 에어 탱크의 공기 통로를 개폐하는 레벨링 밸브를 로드 어셈블리를 통해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로드 어셈블리는,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어서 에어 스프링의 고저 변위를 전달해주는 수직 로드; 및 상기 수직 로드와 연결되어서 고저 변위를 레벨링 밸브로 전달하여 에어 탱크의 통로가 개폐되도록 작동하며,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수평 로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차고 변위에 따라 작동하는 수평 로드의 형상을 재구성하여 레벨링 밸브에 미작동 구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압축 에어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레벨링 밸브, 에어 탱크, 에어 스프링, 로드 어셈블리, 수직 로드, 수평 로드

Description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Controlling device of Levelling valve in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에 있어서 수평 로드의 길이가 증대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에 있어서 수평 로드의 길이가 축소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로드 어셈블리 3: 지지 프레임
4, 20: 수평 로드 5: 레벨링 밸브
6: 에어 스프링 10: 수직 로드
21: 이동로 22: 이동 안내부재
23: 결합공 24: 개폐 유도부재
26: 볼트 27: 회전 데드 구간
28: 압축링
본 발명은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고 변위에 따라 작동하는 수평 로드의 형상을 재구성하여 레벨링 밸브에 미작동 구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압축 에어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의 레벨링 밸브(5)는 에어 탱크(미도시)와 에어 스프링(6) 사이에 장착되어 차량의 움직임, 즉 에어 스프링(6)의 높이 변위에 따라 에어 탱크로부터 에어의 공급과 배기를 자유로이 반복하여 차량 높이를 차량 운전상태와 무관하게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벨링 밸브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용 에어 현가장치의 수평 로드(4)가 변위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압력 실(pressure seal)과 로터(rotor)의 디스크 부위가 밀착되어 있게 때문에 공기 유동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차량의 범핑(bumping) 시에는 수평 로드(4)가 상승하면서 로터를 돌리게 되고, 압력 실 중 중앙의 홀(hole)과 로터의 홀이 관통되어 공기의 흐름이 발생함으로써 에어 탱크로부터 에어가 각 에어 스프링(6)으로 공급된다.
하부의 위치한 압력 실의 홀은 로터와 밀착되어 공기 흐름이 차단되며, 이때 배기는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반대로, 차량 리바운드(rebound)시에는 수평 로드(4)가 하강하면서 로터를 돌리게 되고, 하부측 압력 실의 홀과 로터의 홀이 관통되어 에어 스프링 내의 공기가 내부 통로를 따라 대기로 배기되며, 상부 압력 실의 홀은 로터와 밀착되어 에어 탱크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수평 로드(4)를 갖춘 레벨링 밸브를 사용하게 되면, 차량마다 각기 다른 길이의 수평 로드(4)를 제작하여야 하고 설계 시에도 각각의 검토를 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슬측에 입력되는 불규칙한 충격 및 진동에 의해 레벨링 밸브가 수시로 불필요하게 작동하여 승차감 저하 및 에너지 손실(압축공기)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로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량 마다의 다른 로드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지고 운전자가 용이하게 수평 로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레벨링 밸브의 불감영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조종안정성 및 승차감을 운전자의 특성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에어 탱크와 에어 스프링 사이에 설치되어서 에어 스프링의 고저 변위에 따라 에어 탱크의 공기 통로를 개폐하는 레벨링 밸브를 로드 어셈블리를 통해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 어셈블리는,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어서 에어 스프링의 고저 변위를 전달해주는 수직 로드; 및 상기 수직 로드와 연결되어서 고저 변위를 레벨링 밸브로 전달하여 에어 탱크의 통로가 개폐되도록 작동하며,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수평 로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 로드는, 양측이 폐쇄된 이동로를 구비하여서 일측이 수직 로드에 장착된 이동 안내 부재와, 상하 및 좌우 유동할 수 있게 일측이 이동 안내 부재의 상기 이동로에 결합되며, 타측이 레벨링 밸브와 결합된 개폐 유도부재와, 상기 개폐 유도부재가 결합공을 통해서 상기 이동로와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 유도부재는 상기 볼트에 끼워진 압축링의 압축력에 의해 고정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볼트에는 상기 개폐 유도부재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베어링을 삽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 유도부재가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안내부재에 회전 데드(dead) 구간(27)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에 있어서 수평 로드의 길 이가 증대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에 있어서 수평 로드의 길이가 축소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에어 탱크(미도시)와 에어 스프링(미도시) 사이에 설치되어서 에어 스프링의 고저 변위에 따라 에어 탱크의 공기 통로를 개폐하는 레벨링 밸브(5)를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의 로드 어셈블리(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로드(10) 및 수평 로드(20)로 구성되되, 상기 수평 로드(20)는 이동 안내부재(22), 개폐 유도부재(24), 및 볼트(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 로드(10)는, 종래와 동일하게 지지 프레임(3)과 연결되어서 에어 스프링(6)의 고저 변위를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 로드(20)는 수직 로드(10)와 연결되어서 고저 변위를 레벨링 밸브(5)로 전달하여 에어 탱크의 통로가 개폐되도록 작동하며,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 로드(20)는 수직 로드(10)에 힌지 결합되어서 차종에 따른 에어 스프링의 고저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에어 탱크의 공기 통로를 개폐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조절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평 로드(20)의 구성 요소인 이동 안내부재(22)는, 양측이 폐쇄된 이동로(21)를 구비하여서 일측이 수직 로드(10)에 장착되며, 타측은 개폐 유도부재(24)가 이동로(21)를 벗어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 유도부재(24)가 차종에 따른 에어 스프링의 고저 변위에 따라 이동로(21)를 이동하면서 에어 탱크의 공기 통로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수평 로드(20)가 설치되게 한다.
상기 개폐 유도부재(24)는 상하 및 좌우 유동할 수 있게 일측이 이동 안내 부재(22)의 이동로(21)에 결합되며, 타측이 레벨링 밸브(5)와 결합된다.
상기 개폐 유도부재(24)를 이동로(21)에 결합시키는 기구로는 볼트(26)가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26)를 개폐 유도부재(24)의 결합공(23)을 통해서 이동로(21)와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되, 개폐 유도부재(24)가 볼트(26)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안내부재(22)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 데드(dead) 구간(27)을 구비한다.
상기 개폐 유도부재(24)는 그의 결합공(23)을 통해 이동 안내부재(22)와 결합되게 하는 볼트(26)에 끼워진 압축링(28)의 압축력에 의해 고정되되, 소정의 범위로 상하 회전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볼트(26)에는 개폐 유도부재(24)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베어링(미도시)이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은 개폐 유도부재(24)가 차종에 따른 에어 스프링의 변위에 따라 용이하게 회전함으로써 수평 로드(20)의 길이뿐만 아니라, 상기 에어 탱크의 공기 통로를 개폐하는데 적합한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 역할을 안내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 밸브(5) 제어장치를 이용하면, 수평 로 드(20)의 길이를 차종의 에어 스프링의 변위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량 마다의 다른 로드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지고 운전자가 용이하게 수평 로드(20)의 길이를 조절하여 레벨링 밸브(5)의 불감영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조종안정성 및 승차감을 운전자의 특성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차고 변위에 따라 작동하는 수평 로드의 형상을 재구성하여 레벨링 밸브에 미작동 구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압축 에어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수평 로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량 마다의 다른 로드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지고 운전자가 용이하게 수평 로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셋째. 레벨링 밸브의 불감영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조종안정성 및 승차감을 운전자의 특성에 따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Claims (5)

  1. 에어 탱크와 에어 스프링 사이에 설치되어서 에어 스프링의 고저 변위에 따라 에어 탱크의 공기 통로를 개폐하는 레벨링 밸브를 로드 어셈블리를 통해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 어셈블리(1)는,
    지지 프레임(3)과 연결되어서 에어 스프링(6)의 고저 변위를 전달해주는 수직 로드(10); 및
    상기 수직 로드(10)와 연결되어서 고저 변위를 레벨링 밸브(5)로 전달하여 에어 탱크의 통로가 개폐되도록 작동하며,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수평 로드(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로드(20)는,
    양측이 폐쇄된 이동로(21)를 구비하여서 일측이 수직 로드(10)에 장착된 이동 안내부재(22)와,
    상하 및 좌우 유동할 수 있게 일측이 이동 안내 부재(22)의 상기 이동로(21)에 결합되며, 타측이 레벨링 밸브(5)와 결합된 개폐 유도부재(24)와,
    상기 개폐 유도부재(24)가 결합공(23)을 통해서 상기 이동로(21)와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볼트(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도부재(24)는 상기 볼트(26)에 끼워진 압축링(28)의 압축력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26)에는 상기 개폐 유도부재(24)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베어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도부재(24)가 볼트(26)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안내부재(22)에 회전 데드(dead) 구간(2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
KR1020060093528A 2006-09-26 2006-09-26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 KR100831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528A KR100831099B1 (ko) 2006-09-26 2006-09-26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528A KR100831099B1 (ko) 2006-09-26 2006-09-26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135A true KR20080028135A (ko) 2008-03-31
KR100831099B1 KR100831099B1 (ko) 2008-05-20

Family

ID=39414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528A KR100831099B1 (ko) 2006-09-26 2006-09-26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0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4007A (zh) * 2015-01-07 2015-04-22 青岛思锐科技有限公司 高度阀内置式空气弹簧减振器总成
KR20180057335A (ko) * 2016-11-22 2018-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206B1 (ko) * 2008-09-29 2010-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715A (ja) * 1994-05-30 1995-12-12 Hino Motors Ltd エアサスペンション車のクラウチング・車高調整装置
KR19980018738U (ko) * 1996-09-30 1998-07-06 양재신 레벨링밸브의 로드길이조정레버
KR100325230B1 (ko) * 1999-10-08 2002-03-04 이계안 레벨링 밸브 조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4007A (zh) * 2015-01-07 2015-04-22 青岛思锐科技有限公司 高度阀内置式空气弹簧减振器总成
CN104534007B (zh) * 2015-01-07 2016-06-08 青岛思锐科技有限公司 高度阀内置式空气弹簧减振器总成
KR20180057335A (ko) * 2016-11-22 2018-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099B1 (ko) 200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0208B2 (ja) ダンパ
JP2005076881A (ja) 空圧懸架装置
KR102239011B1 (ko) 전기 발전 장치
US20060049013A1 (en) Integrated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CN104417304B (zh) 车辆悬架系统和控制悬架系统的方法
JP2009046119A (ja) 車両用緩衝椅子の高さ調節用弁集約型操作ボタン
KR100831099B1 (ko) 차량용 레벨링 밸브 제어장치
JP6231694B2 (ja) タイヤ組立体のフィッティング装置及びタイヤ組立体のフィッティング方法
JP6209540B2 (ja) 空気ばね用の制御弁、及び制御弁を有する車両座席
KR200293230Y1 (ko) 차량용 의자의 완충높이 조정장치
KR100471811B1 (ko)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
KR100511395B1 (ko) 차량용 의자의 완충높이 조정장치
JP2007045315A (ja) 車両の姿勢制御装置
JPH11268665A (ja) 作業車両
EP2006131B1 (en) Vertical air spring control
CN112498043A (zh) 一种高敏调节水平高度的空气弹簧和阻尼器单元
JP5988606B2 (ja) 車両用高さ調整装置
KR100845382B1 (ko) 운전석 시트의 에어밸브
KR100444456B1 (ko) 에어 서스펜션 차량의 레벨링 시스템
KR100565374B1 (ko)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KR100458189B1 (ko) 감쇠력 가변 서스펜션
KR101002095B1 (ko) 운전석 시트의 에어밸브
KR20030049214A (ko)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
KR100345116B1 (ko) 레벨링 밸브 조작장치
JPS60244688A (ja) 自動二輪車用姿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