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109A - 전자 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판독가능하게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판독가능하게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109A
KR20080027109A KR1020070009558A KR20070009558A KR20080027109A KR 20080027109 A KR20080027109 A KR 20080027109A KR 1020070009558 A KR1020070009558 A KR 1020070009558A KR 20070009558 A KR20070009558 A KR 20070009558A KR 20080027109 A KR20080027109 A KR 20080027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otation
display
display unit
movabl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7985B1 (ko
Inventor
히로노부 다니구찌
게네쯔 후루끼
요꼬 후지이
유꼬 나까지마
마꼬또 스기모또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7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ground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회전 가능한 케이스부에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기능 호출이나 확정 처리에 필요한 조작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회전 가능한 케이스부에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휴대 단말 장치(2))에서, 회전에 의해 제1 화면(예를 들면, 세로 화면(124)) 또는 제2 화면(예를 들면, 가로 화면(172))을 표시하는 표시부(18)와,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2 화면으로의 절환에 의해 기능을 기동하고, 절환된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항목을,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키는 제어부(CPU(90))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회전 가능, 케이스부, 표시부, 기능 할당, 절환, 확정

Description

전자 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가능하게 저장한 기록매체{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OF}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휴대 단말 장치의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휴대 단말 장치의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열린 상태에 있는 휴대 단말 장치의 가동측 케이스부의 우회전(좌회전)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휴대 단말 장치의 회전 로크 기구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가동측 리어 케이스부의 상면 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가동 암부의 이면 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스토퍼 기구 및 중심 정지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스토퍼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스토퍼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휴대 단말 장치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세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가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세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가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세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세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제어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2는 화면의 절환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4는 화면의 절환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6은 화면의 절환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화면의 절환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PC(세로 화면 표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PC(가로 화면 표시)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휴대 단말 장치
4 : 고정측 케이스부
6 : 가동측 케이스부
8 : 가동 암부
10 : 힌지부
12 : 회전 모듈
18 : 표시부
42, 44 : 회전 센서
90 : CPU(제어부)
124, 202, 234 : 세로 화면
172, 214 : 가로 화면
[특허 문헌1] 일본 특개 2004-228767호 공보(요약, 도 7 등)
본 발명은, 회전 및/또는 개폐 가능한 케이스부 측에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화면 절환, 기능 절환 등을 행할 수 있는 전자 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가능하게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케이스부에 절첩 기능이나 회전 기능을 구비하고, 표시부와 입력 조작부를 서로 다른 케이스부에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허 문헌 1에는, 표시부를 가지는 제1 케이스와, 이 제1 케이스에 겹쳐져서 닫힌 상태로 되는 제2 케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제2 케이스에 대하여, 제1 케이스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표시부에 제1 화면, 제2 케이스에 대하여, 제1 케이스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표시부에 제2 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표시부를 회전시켜서 상이한 화면으로 절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복수의 화면을 이용해서 다수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우회전에서 제1 화면, 좌회전에서 제2 화면을 표시시키고, 제1 화면의 표시 내용과 제2 화면의 표시 내용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화면으로 표시 내용을 풍부하게 하고 있지만, 각 화면에 메뉴 화면이나 어드레스북 화면을 표시한 뒤, 케이스의 조작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할당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메일 작성에서는 메일 작성 화면을 기동하고, 그 단일의 화면 상에서 메일 작성 처리를 행하고, 그 메일 작성 화면으로부터 케이스의 조작에 의해 다른 기능으로 이행시킬 수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어플리케이션과 화면 조작에 복잡한 처리 조작이 필요하다. 유저는,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 기능과 조작의 관계를 숙지하고, 그 조작에 익숙해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제에 대해서, 특허 문헌 1에는 그 개시나 시사는 없고, 그것을 해 결하는 구성 등에 관한 개시나 시사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가능한 케이스부에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기능 호출이나 확정 처리에 필요한 조작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가능한 케이스부에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기능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케이스부에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회전에 의해 제1 화면 또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이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2 화면으로의 절환에 의해 기능을 기동하고, 절환된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항목을,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킨다. 이 때문에, 화면 절환과, 화면 상에서 선택된 항목의 확정을 화면의 회전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어, 조작의 용이화가 도모된다. 또한, 기능 호출이 표시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행해지므로, 기능성 및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따라서,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회전 가능한 케이스부에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 회전에 의해 제1 화면 또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2 화면으로의 절환에 의해 기능을 기동하고, 절환된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항목을,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1 화면 및/또는 상기 제2 화면에 문자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에 선택 가능한 그림 문자 또는 장식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를 회전하여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그림 문자 및/또는 상기 장식 화상을 확정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화면이 세로로 긴 세로 화면이면, 상기 제2 화면이 가로로 긴 가로 화면이며, 상기 제2 화면이 상기 세로 화면이면,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가로 화면인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는 가동측 케이스부에 설치되고, 그 가동측 케이스부는, 고정측 케이스부에 힌지부로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은, 우회전 또는 좌회전 또는 쌍방인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의 회전의 유무 및 그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회전 가능한 케이스부에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표시부에 제1 화면 또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2 화면으로의 절환에 의해 기능을 기동하는 스텝과, 절환된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항목을,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되는, 회전 가능한 케이스부에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가능하게 저장한 기록매체로서, 표시부에 제1 화면 또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2 화면으로의 절환에 의해 기능을 기동하는 스텝과 절환된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항목을,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키는 스텝을 포함하여,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 및 각 실시 형태 를 참조함으로써,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휴대 단말 장치의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휴대 단말 장치의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열린 상태에 있는 휴대 단말 장치의 가동측 케이스부의 우회전(좌회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휴대 단말 장치(2)는, 개폐부나 회전부 등의 복수의 가동부를 구비하고, 회전 및/또는 개폐 가능한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측 케이스부로서 고정측 케이스부(4)와, 표시측 케이스부로서 가동측 케이스부(6)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측 케이스부(4)에는 가동 암부(8)가 개폐부인 힌지부(10)에 의해 부착되고, 또한, 가동 암부(8)에는 회전 지지부로서의 회전 모듈(12)이 부착되고, 이 회전 모듈(12)에 가동측 케이스부(6)가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힌지부(10)를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가동측 케이스부(6)를 개폐할 수 있고, 회전 모듈(12)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가동측 케이스부(6)를 중심 위치(회전의 기준 위치)로부터 좌우의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가동측 케이스부(6)의 회전 중심 O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10)의 근방의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가동측 케이스부(6)에는, 반원 형상의 가장자리로서 주연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케이스부(4)에는, 부호키나 커서키 등 의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입력 조작부(16) 등이 설치되고, 또한, 가동측 케이스부(6)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소자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 유닛으로서 표시부(18)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18)는, 세로와 가로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한 장방 형상이며, 가동측 케이스부(6)의 회전 각도 θ(0도 또는 좌우 각 90도)에 따라서 제1 화면으로서 예를 들면, 세로로 긴 세로 화면, 제2 화면으로서 예를 들면, 가로로 긴 가로 화면을 표시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 장치(2)에 따르면, 힌지부(10)를 구비한 것에 의해, 가동측 케이스부(6)를 가동 암부(8)와 함께 개폐시킬 수 있다. 즉, 가동측 케이스부(6)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암부(8)와 함께 닫히거나,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측 케이스부(6)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모듈(12)에 의해 중심 위치로부터 우방향 또는 좌방향으로 소정 각도 예를 들면, 90도 회전시켜, 고정측 케이스부(4)에 대하여 L자형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열린 상태(표시부(18)를 상면으로 한 경우)에서, a는 가동측 케이스부(6)의 중심선에 일치하는 중심 위치(좌우 회전 개시점), b는 가동측 케이스부(6)의 우회전 위치(우측 회전 종점), c는 가동측 케이스부(6)의 좌회전 위치(좌측 회전 종점)이다.
따라서, 가동측 케이스부(6)의 열린 상태에서, 가동측 케이스부(6)가 중심 위치 a에 있으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8)에는 세로 화면, 가동측 케이스부(6)가 우회전 위치 b에 있으면, 도 4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8)에는 가로 화면, 또한, 가동측 케이스부(6)가 좌회전 위치 c에 있으면, 도 4 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8)에는 가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화살표 A는, 중심 위치 a로부터 우회전 위치 b로의 회전, 우회전 위치 b으로부터 중심 위치 a로의 회전(되돌림 회전)을 나타내고, 이것이 세로 화면으로부터 우측 가로 화면으로의 화면 절환 조작에 상당한다. 마찬가지로, 화살표 B는, 중심 위치 a로부터 좌회전 위치 c로의 회전, 좌회전 위치 c으로부터 중심 위치 a로의 회전(되돌림 회전)을 나타내고, 이것이 세로 화면으로부터 좌측 가로 화면으로의 화면 절환 조작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 장치(2)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휴대 단말 장치(2)의 제어 방법의 일례인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제어 방법에서는, 가동측 케이스부(6)가 열린 상태인가 닫힌 상태인가를 검출하여(스텝 S1), 닫힌 상태이면, 고정측 케이스부(4)에 가동측 케이스부(6)가 겹쳐져서, 표시부(18)가 은폐 상태에 있기 때문에, 표시부(18)는 비표시로 한다(스텝 S2).
가동측 케이스부(6)가 열린 상태(도 3)이고, 가동측 케이스부(6)의 회전 각도가 0도이면, 가동측 케이스부(6)는 중심 위치 a에 있으므로, 표시부(18)는 세로 화면 상태로 되어(스텝 S3), 제1 화면으로서 세로 화면이 표시된다.
가동측 케이스부(6)가 열린 상태(도 3)이며, 가동측 케이스부(6)가 우측으로 회전되거나, 또는 좌측으로 회전되면, 그 회전 검출(스텝 S4)에 기초하여, 그 회전, 회전 방향에 할당된 기능이 호출되고, 그 기능이 기동되고(스텝 S5), 표시 부(18)는 가로 화면 상태로 이행하고(스텝 S6), 제2 화면으로서 가로 화면이 표시된다. 회전 방향에 서로 다른 기능을 할당해도 되고, 동일한 기능을 할당해도 된다.
메일 작성 모드에서는, 그것에 부수되는 기능이 기동하여, 가로 화면에는, 작성 메일에 삽입해야 할 항목으로서 예를 들면, 그림 문자나 장식 화상(이하, 「데코 메일 픽쳐」라고 칭함) 등이 표시되고, 이러한 항목의 선택이 가능하다(스텝 S7). 이 가로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항목은, 가동측 케이스부(6)를 우회전 위치 b 또는 좌회전 위치 c로부터 중심 위치 a로 회전시켜서 세로 화면 상태로 되돌리는(스텝 S8) 것에 의해 확정되고, 작성 메일 내에 삽입된다. 여기에서, 「그림 문자」란, 기호, 도형, 그림 등으로서, 문자나 용어를 보완하고, 감정이나 의사의 전달 등에 이용되는 것이다. 또한, 「장식 화상」은, 애니메이션 캐릭터, 사진, 디자인 화상, 회화 등이며, 문장의 정경이나 감정 등의 표현에 이용되는 것이다. 이 경우, 우측의 가로 화면과 좌측의 가로 화면은, 서로 다른 항목을 표시해도 되고, 동일한 항목을 표시해도 된다. 서로 다른 항목을 표시하면, 표시 내용의 풍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어 방법에는, 고정측 케이스부(4)와 가동측 케이스부(6)의 개폐 조작, 가동측 케이스부(6)의 회전 조작 등에 대응하고, 세로 화면 또는 가로 화면의 표시, 그 절환, 기능의 호출, 선택된 항목의 확정 등의 처리 수순을 포함하고 있다.
a) 가동측 케이스부(6)의 개폐 또는 회전의 검출
고정측 케이스부(4)에 대하여, 가동측 케이스부(6)는 가동 암부(8) 및 힌지부(10)에 의해 개폐된다. 가동측 케이스부(6)는,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의 어느 경우에도, 가동 암부(8) 상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동측 케이스부(6)가 열린 상태이건 닫힌 상태이건, 그 회전 각도에 따라서 표시 형태를 변경하기 때문에, 열린 상태인가 닫힌 상태인가를 센서부(96)의 개폐 센서(112)(도 13)에 의해 검출하고, 가동측 케이스부(6)의 회전 각도 θ는 회전 센서(42, 44)(도 6, 도 13)에 의해 검출된다.
b) 화면 표시 및 그 절환
가동측 케이스부(6)가 열린 상태이고, 중심 위치 a에 있는 경우, 표시부(18)에는 세로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가동측 케이스부(6)가 우회전 위치 b로 회전하면, 표시부(18)에는 가로 화면이 표시되고, 또한, 가동측 케이스부(6)가 좌회전 위치 c로 회전하면, 표시부(18)는 가로 화면의 표시 양태로 절환된다. 이 가로 화면의 표시 위치로부터 가동케이스부(6)를 중심 위치 a로 되돌리면, 표시부(18)는 세로 화면의 표시로 절환된다. 이들 개폐 검출이나 회전 검출에 기초하여, 표시부(18)의 화면의 표시 양태의 절환은, 후술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다.
c) 기능 호출 제어
가동측 케이스부(6)를 중심 위치 a로부터 우회전 위치 b 또는 좌회전 위치 c로 회전함으로써, 그 회전 방향 또는 전개되는 가로 화면에 할당된 기능을 기동시킨다. 이 기능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나 데이터베이스 내의 선택 항목 등의 표시이며, 예를 들면, 메일 작성 모드에서는, 우측의 가로 화면에 데코 메일 픽쳐, 좌 측의 가로 화면에 그림 문자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된다. 이러한 기능의 호출이나 그 내용의 제어는, 후술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다.
d) 항목 선택 및 그 확정 제어
가로 화면 상에 표시된 항목은, 그 화면 상에서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항목을 확정하기 위해서는, 가동측 케이스부(6)를 가로 화면으로부터 세로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후술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다. 또 확정된 항목은, 작성 중의 문서 내의 원하는 위치에 첨부된다.
다음으로, 이 휴대 단말 장치(2)의 구성예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휴대 단말 장치(2)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휴대 단말 장치의 회전 로크 기구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가동측 리어 케이스부의 상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가동 암부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 도 11 및 도 12는, 스토퍼 구조 및 그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2에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케이스부(4)는 고정측 프론트 케이스부(20) 및 고정측 리어 케이스부(22)를 구비하고, 이 고정측 프론트 케이스부(20)의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 측에는 힌지부(10)의 베어링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24)에는 베어링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리어 케이스부(22)에는 고정측 기판 등이 탑재되어 있다.
가동측 케이스부(6)는 가동측 프론트 케이스부(28) 및 가동측 리어 케이스부(30)를 구비하고, 가동측 리어 케이스부(30)의 원형부(32) 측에는 회전 모듈(12) 이 부착되어 있다. 이 회전 모듈(12)의 회전 중심부에는 관통홀(36)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36)은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의 통과에 이용된다.
가동측 프론트 케이스부(28)에는 가동측 기판(40)이 설치되고, 이 가동측 기판(40)에는, 가동측 케이스부(6)의 회전 방향,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 센서(42, 44)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 암부(8)는, 암부(46)와 암 커버부(48)를 구비한다. 암부(46)의 원형부(50)측에는, 전술한 회전 모듈(12)과 함께 가동측 케이스부(6)의 가동측 리어 케이스부(30)가 고정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복수의 나사(52)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암부(46)에는, 힌지부(10)의 베어링부(54, 56)가 형성되고, 각 베어링부(54, 56)의 간격(58) 내에 고정측 케이스부(4)의 베어링부(24)가 삽입된다. 베어링부(54)에는 고정측 케이스부(4)의 베어링부(24)에 도달하는 힌지 축으로서의 힌지 모듈(60)이 삽입되어서 고정되고, 또한, 베어링부(56)에도 힌지 축으로서의 힌지 모듈(62)이 삽입되어서 고정된다. 힌지 모듈(62)은,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해서, 케이블 가이드로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이 가동 암부(8)의 암부(46)에는, 가동측 케이스부(6)의 가동측 프론트 케이스부(28) 측에 설치된 회전 센서(42, 44)와 동일 궤도 상에 복수의 마그네트로서 3개의 마그네트 M2, M3, M4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하는 가동측 케이스부(6)의 중심 위치 a, 우회전 위치 b 또는 좌회전 위치 c가, 이들 회전 센서(42, 44)와 마그네트 M2, M3, M4에 의해 검출된다.
암 커버부(48)는, 암부(46)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64)와, 각 베어링부(54, 56)를 덮는 피복부(66, 68)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부(64)는, 암부(46)에 접합되어서 암부(46)의 상면을 방호하고, 피복부(66, 68)는, 각 베어링부(54, 56)의 주벽부를 덮어, 각 베어링부(54, 56)를 보강하고, 방호한다.
힌지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측 케이스부(4)의 베어링부(24)와, 가동 암부(8)의 베어링부(54, 56)와, 힌지 모듈(60, 62)에 의해 구성되고, 고정측 케이스부(4)에 가동 암부(8)를 개폐 가능(이 실시 형태에서는, 180도로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회전 모듈(12)은, 가동 암부(8)에 가동측 케이스부(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가동측 케이스부(6)를 회전 모듈(12)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 암부(8), 가동 암부(8) 상에서 회전 모듈(12)에 의해 회전 가능한 가동측 케이스부(6)에는, 가동측 케이스부(6)의 좌우 허용 회전 각 90도의 중심 위치 즉, 0도 위치를 결정하는 회전 로크 기구(70)(도 7 등)와, 좌우 허용 회전 각 90도의 회전 범위를 결정하는 스토퍼 기구(72)(도 10 등)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로크 기구(70)의 핀 결합부(74)가 가동측 리어 케이스부(30)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핀 결합부(74)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모듈(12)보다 외측에 설치되고, 가동측 리어 케이스부(30)의 상면에 돌출하고 있다. 핀 결합부(74)과 결합하는 로크 핀(76)은, 가동 암부(8)의 암부(46)에 부착되고,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암부(46)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로크 기구(7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암부(8)에 회전 모 듈(12)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가동측 케이스부(6)를 고정측 케이스부(4)에 일치하는 위치 즉, 중심 위치 a에 고정하고, 유지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여기에서, 가동측 케이스부(6)를 가동 암부(8)에 고정, 유지시키는 것은, 유저에 그 위치가 기준 위치인 것을 인식시키고, 또한, 유저가 회전할 의사를 갖고 좌 또는 우방향으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이동하지 않을 정도의 유지 상태로서, 이동을 허가하지 않는다고 하는 로크 상태를 상정한 것은 아니다. 통상의 회전 조작을 위한 부하에서는 회전하지 않을 정도의 유지를 행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측 케이스부(6)를 고정측 케이스부(4)에 일치하는 위치 즉, 중심 위치 a에 고정하고, 유지시키기 위해서, 가동 암부(8)에 고정된 회전 모듈(12)의 회전 중심 Oa를 관통하는 가상 중심축(78)(도 7) 상에 회전 로크 기구(7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 기구(72)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로크 기구(70)를 중심으로, 가동 측 케이스부(6)의 좌우 회전의 최대 회전 각도를 설정하고, 그 최대 회전 각도에서 가동측 케이스부(6)를 정지시키는 구조이며,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핀 결합부(74)를 스토퍼부에 공용하고 있어, 핀 결합부(74)에는, 스토퍼면(80, 8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핀 결합부(74)에 대하여, 핀 결합부(74)가 삽입되는 원호 형상의 홈부(84)가 형성되고, 홈부(84)의 종단부에서 핀 결합부(74)의 스토퍼면(80, 82)을 접촉시키는 스토퍼(86, 88)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토퍼면(80)이 스토퍼(86), 스토퍼면(82)이 스토퍼(88)에 닿아서, 가동측 케이스부(6)의 회전이 저지 된다. 이 저지되는 위치가 중심 위치 a로부터 좌우 90도의 위치 b, c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도 10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는 가동측 케이스부(6)를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결합부(74)의 스토퍼면(80)이 홈부(84)의 종단부인 스토퍼(86)에 닿아서, 가동측 케이스부(6)가 좌측 90도의 위치에서 정지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는 가동측 케이스부(6)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결합부(64)의 스토퍼면(82)이 홈부(84)의 종단부인 스토퍼(88)에 닿아서, 가동측 케이스부(6)가 우측 90도의 각도에서 정지한다.
다음으로, 이 휴대 단말 장치(2)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휴대 단말 장치(2)의 전기 회로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에서, 도 1 내지 도 12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휴대 단말 장치(2)에는, 전화 기능이나 메일 송수신 기능 등 외에, 전술한 고정측 케이스부(4)와 가동측 케이스부(6)의 개폐 조작, 가동측 케이스부(6)의 회전 조작 등에 대응하여, 전술한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한 화면 절환, 기능 호출, 선택 항목의 확정 등의 각종의 제어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 휴대 단말 장치(2)에는, 입력 조작부(16), 표시부(18), CPU(Central Processing Unit)(90), 메모리부(92), 전원부(94), 센서부(96), 무선부(98), 음향부(100)가 구비되어 있다. 입력 조작부(16)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고, 전화 번호 입력이나 메일 문서 작성을 위한 문자 입력 등에 이용된다. 표시부(18)는, 세로 화면 또는 가로 화면이 표시되고, 가동측 케이스부(6)의 개폐 상태나 회 전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 양태로 절환되며, 세로 화면 또는 가로 화면의 각 화면에 대응한 화면 레이아웃으로 제어된다.
CPU(90)은, 메모리부(92)에 있는 제어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고, 입력 조작부(16)의 입력, 센서부(96)의 검출 신호의 취득 등, 검출 정보나 제어 정보의 취득, 메모리부(92)의 정보의 판독/기입, 표시부(18)의 화면 제어 등, 각종의 제어를 행한다. 이 경우, 세로 화면 또는 가로 화면에 대해서, 각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 레이아웃의 제어나, 각 화면에 최적인 기능을 기동하고, 세로 화면에 대응하는 기능에서는, 세로로 긴 세로 화면의 상하 방향의 넓이를 이용해서 메뉴 리스트의 표시, 데이터 일람 표시, 전화 이력 등의 표시에 이용한다. 또한, 가로 화면에 대응하는 기능에서는, 가로 길이의 가로 화면의 폭 방향의 넓이를 이용해서 카메라 화상의 파노라마 표시나, 영문 텍스트 표시, 그 가공, 텔레비전 방송 수신 화면의 전개 등에 이용한다.
메모리부(92)에는, 화면 절환, 화면 레이아웃의 절환, 개폐 또는 회전(화면)에 대응하는 기능의 실행 등의 처리를 포함하는 제어 프로그램, 그 밖의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고, 기록 매체로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Access Memory)(102), 실행용 Flash 메모리(104) 및 보존용 Flash 메모리(106)로 구성되고, SDRAM(102), 실행용 Flash 메모리(104) 및 보존용 Flash 메모리(106)는, 버스(108)를 통해서 CPU(90)에 접속되어 있다.
SDRAM(102)은, 작업 에리어를 구성하고, 보존용 Flash 메모리(106)로부터 읽 어내어 로딩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처리나 제어 정보를 생성시킨다. 실행용 Flash 메모리(104)에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 등이 구축된다. 보존용 Flash 메모리(106)에는, OS(Operating System)나 제어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외부 메모리 IF(인터페이스)(110)에는, 메모리 카드 등의 외부 메모리가 접속되고, 이 외부 메모리에는, 전화 번호나 메일 어드레스 등의 어드레스 데이터, 각종 콘텐츠 등이 저장된다.
전원부(94)는, 배터리, CPU(90)에 의해 제어되는 배터리 충전 회로, 안정화 회로, 전원 제어 회로 등을 구비하고 있고, 무선부(98) 등의 각종 기능부에 급전한다.
센서부(96)는, 가동 암부(8)에 의한 가동측 케이스부(6)의 개폐나, 가동측 케이스부(6)의 회전 각도 θ(=0 도 또는 좌우 각 90도) 및 회전 방향을 검출한다. 따라서, 이 센서부(96)에는, 개폐 센서(112), 회전 센서(42, 44)가 포함되어 있다. 개폐 센서(112)는, 마그네트 M1(도 6)으로부터의 자속의 유무를 검출하여, 그 가동측 케이스부(6)가 열린 상태에 있는지, 닫힌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검출 출력을 발생한다. 회전 센서(42, 44)는 가동측 케이스부(6)의 가동측 기판(40)에 설치되어 있고, 3개의 마그네트 M2, M3, M4(도 6)의 설치 위치는, 회전하는 가동측 케이스부(6)의 회전 센서(42, 44)의 궤도 상의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예를 들면, 가동측 케이스부(6)의 중심 위치 a(도 3)에 있는 회전 센서(42)에 마그네트 M2, 회전 센서(44)에 마그네트 M3이 겹쳐지므로, 회전 센서(42, 44)로 부터 가동측 케이스부(6)의 중심 위치 a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출력이 얻어진다. 중심 위치 a에서는, 회전 센서(42, 44)로부터 예를 들면, 고레벨 출력 또는 저레벨 출력의 동일 출력이 얻어진다. 또한, 가동측 케이스부(6)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센서(42, 44)에는 마그네트 M2, M3, M4로부터 작용하는 자력에 변화가 발생하고, 그 변화에 따른 출력이 회전 센서(42, 44)에 발생한다. 이 출력 변화는, 좌우의 회전 각도 θ=20도로부터 발생하므로, 그것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우측 90도의 위치 또는 좌측 90도의 위치를 나타내는 출력이 회전 센서(42, 44)에 의해 얻어진다. 예를 들면, 회전 센서(42)로부터 고레벨 출력, 회전 센서(44)로부터 저레벨 출력이 얻어지는 경우에는 우측 90도의 위치, 이것과는 반대의 출력이 얻어지는 경우에는 좌측 90도의 위치를 나타낸다.
무선부(98)는, 음성 통신 또는 메일 등의 데이터 통신의 송수신을 안테나(118)를 통해서 행하고, 음성이나 데이터의 변조 처리, 무선 신호로부터 음성이나 데이터의 복조 처리 등을 행한다.
음향부(100)는, 착신 음성을 스피커(120)를 통과해서 출력하고, 또는, 마이크로폰(122)으로부터의 송화 음성의 취득 및 증폭 등을 행한다.
다음으로, 표시부(18)의 세로 화면 및 가로 화면에 대해서,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메일 작성 모드의 메일 작성 도중의 세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데코 메일 픽쳐의 가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데코 메일 픽쳐가 첨부된 세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메일 문서 및 그림 문자군이 표시된 가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그림 문자가 첨부된 메일 문서의 세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데코 메일 픽쳐 및 그림 문자가 첨부된 메일 문서의 세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9에서, 도 1 내지 도 13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표시부(18)의 화면 표시는, 다음과 같은 표시 양태로 된다.
1) 가동측 케이스부(6)의 중심 위치 a에서의 세로 화면(도 14)
가동측 케이스부(6)의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 표시부(18)는 세로 화면 상태로 되고, 제1 화면으로서 세로로 긴 세로 화면(124)이 표시된다. 메뉴 화면으로부터 메일 작성 모드를 선택하고, 메일 본문의 작성 화면에는, 상태 표시란(126), 모드 등 표시란(128), 확정 문서 표시란(130), 입력 표시란(132), 후보 선택 표시란(134), 메뉴 등 선택란(136)이 표시되어 있다.
상태 표시란(126)에는, 전지 잔량 상태를 나타내는 전지 마크(138), 전파 강도 상태를 나타내는 전파 강도 마크(140), 미판독 메일의 유무를 나타내는 메일 마크(142),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표시(144)가 표시되어 있다.
모드 등 표시란(128)에는, 메일 작성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모드 마크(146), 전화 마크(147), 사용 중인 문자를 나타내는 캐릭터 마크(148)가 표시되어 있다. 확정 문서 표시란(130)에는 스크롤 바(131)가 표시되어 있고, 작성 중인 메일 문서의 확정 문서가 표시된다. 이 경우, 「리어 패널에는, 깊은 광택과, 아름다운 투명감이 넘치는 아크릴 패널을」과 함께, 말미 마크(150)가 표시되어 있다. 입력 표시란(132)에는 스크롤 바(133)가 표시되어 있어, 입력 문자 등의 입력에 이용되 고, 현재, 입력 문자가 없기 때문에, 공란 상태에 있다.
후보 선택 표시란(134)에는, 후보 선택란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152), 현재의 페이지를 나타내는 페이지 표시(154), 후보 선택 표시란(134)을 닫기 위한 아이콘(156), 복수의 선택 후보(158)가 표시되어 있다.
메뉴 등 선택란(136)에는, 중앙에 확정 버튼(160)이 표시되고, 커서키(162)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 버튼(164), 앞 페이지로 이행시키기 위한 앞 페이지 버튼(166), 그림이나 기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168), 다음 페이지를 표시시키기 위한 다음 페이지 버튼(170)이 표시되어 있다.
2) 중심 위치 a로부터 우회전 위치 b로 회전시킨 경우의 가로 화면(도 15)
가동측 케이스부(6)를 중심 위치 a로부터 우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화면으로서 가로로 긴 가로 화면(172)이 표시된다. 이 가로 화면(172)은, 메인 표시란(174)과 서브 표시란(176)을 구비하고 있고, 메인 표시란(174)에는, 표시된 내용을 나타내는 타이틀 란(178)이 설정되고, 이 타이틀 란(178)에는, 표시된 내용이 「데코 메일 픽쳐」인 것이 표시되어 있다. 이 타이틀 란(178)에 인접해서 페이지(180)가 표시되어 있다. 타이틀 표시란(178)의 하측에는 데코 메일 픽쳐의 타이틀을 표시하기 위한 타이틀 바(182)가 배치되고, 이 타이틀 바(182)에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을 나타내는 GIF 마크(184) 등이 표시되어 있다. 이 타이틀 바(182)의 하측에는, 선택될 항목으로서, 서로 다른 복수의 데코 메일 픽쳐(186)로 이루어지는 데코 메일 픽쳐군(188)이 표시되고, 이 데코 메일 픽쳐군(188)의 하측에는, 데코 메일 픽쳐(186)의 사이즈를 나타내기 위한 사이즈 바(190)가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157×77, 4.7KB는, 선택되어 있는 데코 메일 픽쳐(186)의 사이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데코 메일 픽쳐(186)를 포위하는 틀(192)은, 선택 항목인 데코 메일 픽쳐(186)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서브 표시란(176)에는, 전지 마크(138), 전파 강도 마크(140), 메일 마크(142), 일시 표시(194), 선택 버튼(196)을 중심으로 그 상측에 표시를 선택하는 표시 버튼(198), 표시의 절환을 선택하기 위한 절환 버튼(200)이 표시되고, 선택 버튼(196), 표시 버튼(198) 및 절환 버튼(200)은, 커서키(162)에 의해 선택되어서 조작된다.
3) 우회전 위치 b로부터 중심 위치 a로 되돌린 경우의 세로 화면(도 16)
가동측 케이스부(6)를 회전시켜서 가로 화면(172)으로부터 중심 위치 a로 되돌리면, 세로로 긴 세로 화면(202)이 표시된다. 이 세로 화면(202)은, 세로 화면(124)(도 14)과 달리, 확정 문서 표시란(130)이 확대되어 있다. 앞 화면에서 선택된 데코 메일 픽쳐(186)는, 가동측 케이스부(6)를 회전시켜, 즉, 표시부(18)의 회전에 의해 세로 화면(202) 상에서 확정한다. 데코 메일 픽쳐(186)는, 확정 문서 표시란(130)의 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확정 문서 표시란(130)의 하측에는, 데코 메일 픽쳐(186)가 첨부된 메일인 것을 나타내는 데코 메일 마크(204), 확정 문서 표시란(130)의 허용량의 잔량 표시(206), 문자나 편집 등의 조작을 나타내는 복수의 처리 마크(208)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메뉴 등 선택란(136)의 메뉴 버튼(164)의 하측에는, 범위 선택을 위한 범위 선택 버튼(210), 선택 버튼(168)의 하측에는 데코레이션을 선택하 기 위한 데코레이션 버튼(212)이 표시되어 있다. 기타, 세로 화면(124)과 공통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4) 중심 위치 a로부터 좌회전 위치 c로 회전시킨 경우의 가로 화면(도 17)
가동측 케이스부(6)를 중심 위치 a로부터 좌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로로 긴 가로 화면(214)이 표시된다. 이 가로 화면(214)은, 메인 표시란(216)과 서브 표시란(218)이 설정되고, 메인 표시란(216)에는, 타이틀 란(220) 및 그림 문자 선택 표시란(222)이 설정되고, 타이틀 란(220)에는 「그림 문자1」를 나타내는 타이틀(224) 및 페이지(226)가 표시되고, 그림 문자 선택 표시란(222)에는 복수의 그림 문자(228)로 이루어지는 그림 문자군(230)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서브 표시란(218)에는, 가로 화면(172)(도 15)과 마찬가지로, 전지 마크(138), 전파 강도 마크(140), 메일 마크(142), 일시 표시(194)가 표시되고, 가로 화면(172)(도 15)과는 달리, 모드 마크(146), 전화 마크(147), 캐릭터 마크(148)가 표시됨과 함께, 일시 표시(194) 아래 란에 선택 버튼(196)을 중심으로 하여, 그 상측에 「그림 문자2」를 나타내는 타이틀 버튼(232), 연속 입력 버튼(234), 선택 버튼(196)의 하측에 앞 페이지 버튼(166), 다음 페이지 버튼(170)이 표시되어 있다.
5) 좌회전 위치 c로부터 중심 위치 a로 되돌린 경우의 세로 화면(도 18)
가동측 케이스부(6)를 회전시켜서 가로 화면(214)으로부터 중심 위치 a로 되돌리면, 세로 화면(236)이 표시된다. 이 세로 화면(236)에는, 세로 화면(202)(도 16)과 달리, 확정 문서 표시란(130)에 있는 문서에 앞 화면에서 선택된 그림 문자(228)가 표시되어 있다. 그림 문자(228)는, 가동측 케이스부(6)를 회전시켜, 즉, 표시부(18)의 회전에 의해 세로 화면(236) 상에서 확정한다. 그림 문자(228)는, 확정 문서 표시란(130)의 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확정 문서 표시란(130)의 상측 및 하측은, 세로 화면(124)(도 14) 또는 세로 화면(202)(도 16)과 마찬가지의 표시이다.
6) 데코 메일 픽쳐 및 그림 문자가 첨부된 메일 문서의 세로 화면(도 19)
세로 화면(202)(도 16)은 데코 메일 픽쳐 삽입 화면, 세로 화면(236)(도 18)은 그림 문자 삽입 화면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 경우의 세로 화면(238)에서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림 문자(228) 및 데코 메일 픽쳐(186)의 쌍방을 삽입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코 메일 픽쳐(186)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도 16에 나타내는 세로 화면(202)과 마찬가지의 화면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6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표시부(18)의 화면 동작에 대해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표시부(18)의 제어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닫힌 상태로부터, 가동측 케이스부(6)를 개방하면, 고정측 케이스부(4)에 대하여 가동측 케이스부(6)는 도 3에 나타내는 열린 상태로 된다. 이 열린 상태에 있는 표시부(18)는 세로 화면 상태로 되고(스텝 S11), 메뉴 화면으로부터 메일 작성 모드를 선택하고, 메일 본문의 작성 화면에서는, 예를 들면, 세로 화면(124)(도 14)이 표시된다.
가동측 케이스부(6)의 회전이 감시되어, 회전 센서(42, 44)로부터 검출 정보가 CPU(90)에 입력되고, 그 검출 정보로부터 표시부(18)가 우회전인가 좌회전인가 가 판단된다(스텝 S12). 도 4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측 케이스부(6)가 우회전인 경우에는, 우회전에 할당된 기능이 호출되어, 이 기능이 기동된다(스텝 S13). 이 경우, 표시부(18)는 가로 화면 상태로 되어(스텝 S14), 예를 들면, 가로 화면(172)(도 15)이 표시된다. 가로 화면(172)은 데코 메일 픽쳐 삽입 모드이기 때문에, 표시된 데코 메일 픽쳐(186)를 선택한다(스텝 S15, 도 15). 이 데코 메일 픽쳐의 선택 후, 가동측 케이스부(6)를 중심 위치 a로 되돌리면, 표시부(18)는 세로 화면 상태로 되돌려지고(스텝 S16), 포커스되어 있는 데코 메일 픽쳐(186)가 확정되고(스텝 S17), 데코 메일 픽쳐(186)는 확정 문서 내의 일부로 된다(도 16).
또한, 도 4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측 케이스부(6)가 좌회전인 경우에는 좌회전에 할당된 기능이 호출되고, 이 기능이 기동된다(스텝 S18). 즉, 우회전과는 다른 기능이 기동된다. 이 경우, 표시부(18)는 가로 화면 상태로 되어(스텝 S19), 예를 들면, 가로 화면(214)(도 17)이 표시된다. 가로 화면(214)은 그림 문자 입력 모드이기 때문에, 표시된 그림 문자(228)를 선택한다(스텝 S20, 도 17). 이 그림 문자의 선택 후, 가동측 케이스부(6)를 중심 위치 a로 되돌리면, 표시부(18)는 세로 화면 상태로 되돌려지고(스텝 S21), 포커스되어 있는 그림 문자가 확정되어(스텝 S22), 그림 문자는 확정 문서 내의 일부로 된다(도 18).
상기 설명에서는, 우회전과 좌회전을 선택적으로 행하여, 데코 메일 픽쳐나 그림 문자를 선택적으로 부가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데코 메일 픽쳐의 삽입 후, 그림 문자를 입력해도 되고, 그림 문자의 입력 후, 데코 메일 픽쳐를 삽입 하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이러한 처리를 행하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림 문자(228)와 데코 메일 픽쳐(186)가 부가된 확정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특징 사항을 추출하여, 작용 효과에 언급한다.
휴대 단말 장치(2)는, 화면 부분 즉, 표시부(18)가 회전하는 구조를 구비함과 함께, 절첩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표시부(18)를 탑재한 가동측 케이스부(6), 통상의 세로 화면 상태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각각 90도씩 회전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18)를 탑재한 가동측 케이스부(6)의 회전이나 개폐는, 센서부(96)에 의해 검출되고, 또한, 표시부(18)가 우회전했는지 좌회전했는지를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통상의 세로 화면 상태로부터 좌우로 90도씩 회전해서 가로 화면으로 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세로 화면(124)을 연 상태로부터, 좌우 중 어느 것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써, 문자의 표시를 90도 회전시킬 뿐만 아니라, 회전이나 회전 방향에 할당된 기능으로서 예를 들면, 데코 메일 픽쳐의 선택이나 그림 문자의 선택 등의 처리를 표시부(18)의 회전만으로 실행시켜, 선택한 데코 메일 픽쳐나 그림 문자 등을 원래의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켜, 확정 문서의 일부에 데코 메일 픽쳐나 그림 문자 등을 삽입할 수 있다.
즉, 가동측 케이스부(6)를 우회전하면, 가로 화면(172)(도 15)에 데코 메일 픽쳐(186)의 일람이 표시되고, 그것을 선택한 후, 중심 위치 a로 되돌림으로써, 선 택되어 있는 데코 메일 픽쳐(186)가 확정됨과 함께, 데코 메일 픽쳐군(188)의 윈도우가 닫힌다. 또한, 가동측 케이스부(6)를 좌회전하면, 가로 화면(214)(도 17)에 그림 문자(228)의 일람이 표시되고, 그것을 선택한 후, 중심 위치 a로 되돌림으로써, 선택되어 있는 그림 문자(228)가 확정됨과 함께, 그림 문자군(230)의 윈도우가 닫힌다.
이러한 표시부(18)의 회전 조작에 의해 데코 메일 픽쳐(186)나 그림 문자(228)의 표시, 그 선택 등의 기능을 기동시켜, 선택한 항목을 확정시킬 수 있으므로, 기능성이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2는, 화면의 절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도 1 내지 도 4,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구성이 이용되고, 마찬가지의 제어 방법(도 5)이 적용된다. 이 실시 형태는, 회전 센서(42, 44)의 회전 검출 정보를 이용한 기능의 기동, 데코 메일 픽쳐로서 화상이나 문자열의 선택 및 문서 내에의 삽입의 처리를 포함하는 처리 수순을 설명하고 있다.
메일 작성 모드를 기동하면,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화면(240)이 표시되어, 메일문의 입력이 행해진다. 이 경우, 가동측 케이스부(6)의 회전이 감시되어, 우회전인가 좌회전인가가 판정된다(스텝 S31). 회전 센서(42, 44)에 의해 우회전이 검출되고(스텝 S32), 그 검출 정보가 CPU(90)에 입력되면, 표시부(18)의 우회전이 판정된다. 따라서, 우회전에 할당된 기능이 기동하고(스텝 S33), 표시부(18)는 가로 화면 상태로 되고(스텝 S34),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화면(242)이 표시된다. 이 가로 화면(242)에는 타이틀 란(178)에는 「데코 메일 픽쳐」, 타이틀 바(182)에는 그 테마인 「즐겨봐요」가 표시됨과 함께, 데코 메일 픽쳐군(188)이 표시된다. 데코 메일 픽쳐(186)는 화상이나 문자열로 구성되어 있다. 즉, 데코 메일 픽쳐군(188)의 표시는 우회전에 할당된 기능이며, 데코 메일 픽쳐(186)가 선택 가능한 항목이다.
따라서, 가로 화면(242)에 표시된 데코 메일 픽쳐군(188)으로부터 커서키 조작에 의해 화상이나 문자열을 선택한다(스텝 S35). 가로 화면(242)의 틀(192)은 선택 대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 가로 화면(242)의 상태로부터 가동측 케이스부(6)를 좌향으로 회전시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면, 회전 센서(42, 44)가 그 회전 동작 및 중심 위치 a인 0도를 검출한다(스텝 S36). 이 검출 정보는 CPU(90)에 입력되어, 선택한 화상이나 문자열이 확정되고 입력되어, 문서 내에 삽입된다(스텝 S37). 도 2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화면(244)의 문서 내에 데코 메일 픽쳐(186)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회전 센서(42, 44)가 좌회전을 검출하고(스텝 S38), 그 검출 정보가 CPU(90)에 입력되면, 표시부(18)의 좌회전이 판정된다. 따라서, 좌회전에 할당된 기능이 기동하여(스텝 S39), 표시부(18)는 가로 화면 상태로 되고, 가로 화면이 표시된다(스텝 S40). 이 가로 화면에는 화상이나 문자열이 표시되어, 화상이나 문자 열이 선택 가능한 항목을 구성한다.
따라서, 이 가로 화면으로부터 커서키 조작에 의해 화상이나 문자열을 선택하고(스텝 S41), 가동측 케이스부(6)를 회전시켜서 원래의 위치, 즉, 중심 위치 a로 되돌리면, 회전 센서(42, 44)가 그 회전 동작 및 중심 위치 a인 0도를 검출한다(스텝 S36). 이 검출 정보는 CPU(90)에 입력되어, 우회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선택한 화상이나 문자열이 확정되고 입력되어, 세로 화면의 문서 내에 삽입된다(스텝 S37).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4는, 화면의 절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에서, 도 2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도 1 내지 도 4,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구성이 이용되고, 마찬가지의 제어 방법(도 5)이 적용된다. 이 실시 형태는, 회전 센서(42, 44)의 회전 검출 정보를 이용한 기능의 기동이나 데코 메일 픽쳐로서 화상이나 문자열의 삽입에 대해서, 연속한 처리 수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도 23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가 도 21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와 다른 점은, 스텝 S37의 처리 후, 스텝 S31에 귀환시켜, 연속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31 내지 스텝 S37의 처리 수순이 실행된 결과,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화면(244)에는 문서 내에 삽입된 데코 메일 픽쳐(186)가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처리는, 도 22의 (A) 내지 (C)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같다.
스텝 S37의 처리 종료 후, 다시, 가동측 케이스부(6)를 우회전시키면, 회전 센서(42, 44)에 의해 우회전이 검출되고(스텝 S32), 그 검출 정보가 CPU(90)에 입력되면, 표시부(18)의 우회전이 판정된다. 따라서, 우회전에 할당된 기능이 기동하여(스텝 S33), 표시부(18)는 가로 화면 상태로 되어(스텝 S34),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화면(246)이 표시된다. 이 가로 화면(246)에는 가로 화면(242){도 22의 (B)}와 마찬가지의 표시가 행해진다.
따라서, 가로 화면(246)에 표시된 데코 메일 픽쳐군(188)으로부터 커서키 조작에 의해 화상이나 문자열을 선택한다(스텝 S35). 이 가로 화면(246)의 상태로부터 가동측 케이스부(6)를 좌향으로 회전시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면, 회전 센서(42∼44)가 그 회전 동작 및 중심 위치 a인 0도를 검출한다(스텝 S36). 이 검출 정보는 CPU(90)에 입력되어, 선택한 화상이나 문자열이 확정되고 입력되어, 문서 내에 삽입된다(스텝 S37). 도 2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화면(248)의 문서 내에 새로운 데코 메일 픽쳐(186)가 삽입되고, 이 경우, 2개의 데코 메일 픽쳐(186)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스텝 S31에 되돌아가서, 우회전 또는 좌회전에 기초하여, 그 검출 정보에 의해 우회전 또는 좌회전에 할당된 기능을 기동시켜, 데코 메일 픽쳐(186) 등의 삽입을 행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6 및 도 27은, 화면의 절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 형태는, 가로 화면에서 메일 작성 처리를 개시하고, 작성된 문서를 세로 화면에서 표시시킨 후, 데코 메일 픽쳐나 그림 문자 등을 삽입하는 경우로서, 가로 방향으로의 넓이를 갖는 가로 화면에서의 메일 문서 작성의 용이화를 도모한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일 작성 모드를 기동했을 때에, 세로 화면 상태인가 가로 화면 상태인가를 회전 센서(42, 44)로부터의 검출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판정하고(스텝 S51), 가로 화면 상태로부터 메일문을 입력한다(스텝 S52). 도 2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 케이스부(6)가 예를 들면, 우회전하면, 표시부(18)에는 가로 화면(250)이 표시되므로, 이 가로 화면(250)에 메일문을 입력한다. 폭 방향으로 넓이를 갖는 가로 화면(250)에 의해, 가로 방향의 넓이를 활용하여,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이 메일문 작성에서, 가동측 케이스부(6)를 좌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센서(42, 44)가 그 회전 및 중심 위치 a에의 이행을 검출하고(스텝 S53), 이 경우, 가동측 케이스부(6)는 세로 화면 상태로 이행한다(스텝 S54). 세로 화면 상태로의 이행에 의해, 표시부(18)에는, 도 2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화면(252)이 표시되고, 이 세로 화면(252)에는 가로 화면(250)에서 작성된 문서가 세로 화면(252) 측의 행 중의 글자수로 변환되어서 표시된다. 통상적으로, 메일문은 세로 화면에서 입력되므로, 다시 메일문의 입력인가 아닌가가 판정되고(스텝 S55), 메일문 입력이면, 메일문 입력(스텝 S56)이 가능하고, 메일문 입력이 아니면, 데코 메일 픽쳐(186)나 그림 문자(228)의 삽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데코 메일 등의 삽입 모드 DM에서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12 내지 스텝 S17, 스텝 S18 내지 스텝 S22의 처리가 실행되고, 이것은, 제1 실시 형태의 처리(도 20)와 동일한 처리 즉, 우회전과 좌회전에 서로 다른 기능이 할당되고, 선택된 항목이 세로 화면 상태로 이행시킴으로써 확정되므로,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삽입 모드 DM에는, 도 21에 도시하는 처리 수순, 도 23에 도시하는 처리 수순을 이용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가동측 케이스부(6)를 예를 들면, 우회전시키면, 가로 화면 상태로 되고, 표시부(18)에는, 도 2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화면(254)이 표시되고, 이 가로 화면(254)으로부터 데코 메일 픽쳐(186)를 선택하고, 가동측 케이스부(6)를 좌회전시켜서 가로 화면 상태로부터 세로 화면 상태로 되돌리면, 선택된 데코 메일 픽쳐(186)가 확정되어, 도 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코 메일 픽쳐(186)가 삽입된 문서가 세로 화면(256)에 표시된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로서 휴대 단말 장치(2)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PC)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는, PC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8은, 열린 상태에서 가동측 케이스부(6)를 세로 길이로 유지시킨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열린 상태에서 가동측 케이스부(6)를 우방향 으로 회전시켜서 가로 길이로 유지시킨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 및 도 29에서, 도 1 내지 도 2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이 PC(300)에도 전술한 기구(도 1 내지 도 4, 도 6 내지 도 12), 전기 회로(도 13), 전술한 제어 방법(도 5), 제어 프로그램(도 20, 도 21 등)을 실행시켜 메일 작성 중에 가동측 케이스부(6)를 우회전 또는 좌회전시켜서 세로 화면으로부터 가로 화면으로 이행하는 것에 의해, 우회전에 할당된 기능이나, 좌회전에 할당된 기능을 호출하여, 기동시키고, 그 기능 중에서 선택한 항목을, 가동측 케이스부(6)의 회전에 의해 원래의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켜, 문서 내에 그 항목을 삽입하는 등의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2) 그림 문자나 데코 메일 픽쳐 등의 입력 방법에 대해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측 케이스부(6)의 우회전이나 좌회전에 의해 가로 화면에 표시하고, 가동측 케이스부(6)를 원래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그림 문자나 데코 메일 픽쳐를 확정시키고 있는데, 상기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2)에 있어서도, 다음과 같은 입력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하나는, 「그림·기호」를 지정하는 소프트 키의 누름에 의해, 그림 문자 일람을 호출하고, 그것을 선택한 후, 확정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다른 방법은, 「메뉴」를 지정하는 소프트 키에 의해 서브메뉴를 호출하고, 메뉴 화면으로부터 그림 문자·기호·얼굴 문자를 거쳐서, 그림 문자에 도달하고, 그 그림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이다. 모두 메뉴를 찾아가 그림 문자 일람을 내는 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호출되는 그림 문자 일람의 화면은 상이한 레이아웃을 갖고, 또한, 결정 키로 그림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의 방법에서 는, 그림 문자 일람으로부터, 결정 키를 눌러서 그림 문자를 확정하여도, 그림 문자 일람의 윈도우는 닫지 않고, 그림 문자의 연속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후자의 방법에서는, 그림 문자 일람으로부터, 결정 키를 눌러서 그림 문자를 확정 하면, 그림 문자 일람의 윈도우가 닫히고, 통상의 문자 입력의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측 케이스부(6)의 예를 들면, 좌회전에 의해 그림 문자 일람이 호출되고, 좌회전 위치로부터 중심 위치로 되돌렸을 때에 그림 문자가 확정되고, 그림 문자 일람의 윈도우를 닫는 구성이기 때문에 그림 문자나 데코 메일 픽쳐의 표시, 그 선택, 확정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로서 휴대 단말 장치(2)이나 PC(300)를 예시했지만, 가동측 케이스부를 구비해 메일 작성 기능 등을 구비하는 게임 기기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부터 추출되는 기술적 사상을 청구항의 기재 형식에 준해서 부기로서 열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 은 상위 개념부터 하위 개념까지, 다양한 레벨이나 바리에이션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며, 이하의 부기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기1) 회전 가능한 케이스부에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
회전에 의해 제1 화면 또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2 화면으로의 절환에 의해 기능을 기동하고, 절환된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항목을,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2) 부기1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1 화면 및/또는 상기 제2 화면에 문자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에 선택 가능한 그림 문자 또는 장식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를 회전하여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그림 문자 및/또는 상기 장식 화상을 확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3) 부기1 또는 부기2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제1 화면이 세로로 긴 세로 화면이면, 상기 제2 화면이 가로로 긴 가로 화면이며, 상기 제2 화면이 상기 세로 화면이면,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가로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4) 부기1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표시부는 가동측 케이스부에 설치되고, 그 가동측 케이스부는, 고정측 케이스부에 힌지부로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5) 부기1 또는 부기2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회전은, 우회전 또는 좌회전 또는 쌍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6) 부기1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표시부의 회전의 유무 및 그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7) 회전 가능한 케이스부에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표시부에 제1 화면 또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2 화면으로의 절환에 의해 기능을 기동하는 스텝과,
절환된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항목을,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키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부기8) 부기7의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1 화면 및/또는 상기 제2 화면에 문자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에 선택 가능한 그림 문자 또는 장식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를 회전하여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그림 문자 및/또는 상기 장식 화상을 확정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부기9) 부기7 또는 부기8의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제1 화면이 세로로 긴 세로 화면이면, 상기 제2 화면이 가로로 긴 가로 화면이며, 상기 제2 화면이 상기 세로 화면이면,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가로 화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부기10) 부기7 또는 부기8의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회전은, 우회전 또는 좌회전 또는 쌍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부기11)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회전 가능한 케이스부에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표시부에 제1 화면 또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2 화면으로의 절환에 의해 기능을 기동하는 스텝과,
절환된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항목을,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키는 스텝
을 포함하여,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
(부기12) 부기11의 전자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에서,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1 화면 및/또는 상기 제2 화면에 문자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에 선택 가능한 그림 문자 또는 장식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를 회전하여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그림 문자 및/또는 상기 장식 화상을 확정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
(부기13) 부기11 또는 부기12의 전자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에서,
상기 제1 화면이 세로로 긴 세로 화면이면, 상기 제2 화면이 가로로 긴 가로 화면이며, 상기 제2 화면이 상기 세로 화면이면,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가로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
(부기14) 부기11 또는 부기12의 전자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에서, 상기 회전은, 우회전 또는 좌회전 또는 쌍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
(부기15) 회전 가능한 케이스부에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저장한 기록 매체로서,
표시부에 제1 화면 또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2 화면으로의 절환에 의해 기능을 기동하는 스텝과,
절환된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항목을,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키는 스텝
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저장한 기록 매체.
(부기16) 부기15의 기록 매체에서,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1 화면 및/또는 상기 제2 화면에 문자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에 선택 가능한 그림 문자 또는 장식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를 회전하여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그림 문자 및/또는 상기 장식 화상을 확정시키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저장한 기록 매체.
(부기17) 부기15 또는 부기16의 기록 매체에서,
상기 제1 화면이 세로로 긴 세로 화면이면, 상기 제2 화면이 가로로 긴 가로 화면이며, 상기 제2 화면이 상기 세로 화면이면,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가로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저장한 기록 매체.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 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되고, 또는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요지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회전 및/또는 개폐 가능한 케이스부 측에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부의 회전에 의한 세로 화면으로부터 가로 화면, 가로 화면으로부터 세로 화면 등, 화면 양태가 변경되는 경우, 우회전 또는 좌회전에 서로 다른 기능을 할당해서 기동시키고, 그 기능에 있어서 선택된 항목을 회전에 의해 원래의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 기기의 기능성이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제1 화면으로부터 제2 화면으로 이행시켰을 때에, 기능을 기동시키고, 제2 화면에서 선택한 항목을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키므로, 화면의 회전 조작에 의해 기능 호출이나 선택 항목의 확정이 가능하여, 조작의 용이화가 도모된다.
(2) 제1 화면으로부터 제2 화면으로 이행시켰을 때에, 기능을 기동시키고, 제2 화면에서 선택한 항목을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키므로, 전자 기기의 기능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회전 가능한 케이스부에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
    회전에 의해 제1 화면 또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2 화면으로의 절환에 의해 기능을 기동하고, 절환된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항목을,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1 화면 및/또는 상기 제2 화면에 문자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에 선택 가능한 그림 문자 또는 장식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를 회전하여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그림 문자 및/또는 상기 장식 화상을 확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이 세로로 긴 세로 화면이면, 상기 제2 화면이 가로로 긴 가로 화면이며, 상기 제2 화면이 상기 세로 화면이면,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가로 화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가동측 케이스부에 설치되고, 그 가동측 케이스부는, 고정측 케이스부에 힌지부로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은, 우회전 또는 좌회전 또는 쌍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회전의 유무 및 그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회전 가능한 케이스부에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표시부에 제1 화면 또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2 화면으로의 절환에 의해 기능을 기동하는 스텝과,
    절환된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항목을,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키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8.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회전 가능한 케이스부에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가능하게 저장한 기록매체로서,
    표시부에 제1 화면 또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2 화면으로의 절환에 의해 기능을 기동하는 스텝과,
    절환된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항목을,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1 화면으로 되돌림으로써 확정시키는 스텝
    을 포함하여,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가능하게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70009558A 2006-09-22 2007-01-30 전자 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판독가능하게 저장한 기록매체 KR1008179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57323A JP4709719B2 (ja) 2006-09-22 2006-09-22 電子機器
JPJP-P-2006-00257323 2006-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109A true KR20080027109A (ko) 2008-03-26
KR100817985B1 KR100817985B1 (ko) 2008-03-31

Family

ID=39224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558A KR100817985B1 (ko) 2006-09-22 2007-01-30 전자 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판독가능하게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33072B2 (ko)
JP (1) JP4709719B2 (ko)
KR (1) KR100817985B1 (ko)
CN (1) CN1011506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46754A (zh) * 2007-02-13 2008-08-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设备
US8217964B2 (en) * 2008-02-14 2012-07-10 Nokia Corporation Information presentation based on display screen orientation
US9386139B2 (en) * 2009-03-20 2016-07-0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motion-based user interface
US8269847B2 (en) * 2009-04-17 2012-09-18 Casio Computer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for selectively creating one of an animation file and a moving image file from a plurality of continuously shot images
FR2946214A1 (fr) * 2009-05-29 2010-12-03 Guillemot Corp Camera du type webcam destinee a etre montee sur un ecran
US9304591B2 (en) * 2010-08-10 2016-04-05 Lenovo (Singapore) Pte. Ltd. Gesture control
US20120068940A1 (en) * 2010-09-20 2012-03-22 Pixart Imaging Inc. Electronic device
JP5709205B2 (ja) * 2010-12-21 2015-04-30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892630B1 (ko) * 2011-01-10 2018-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JP5470350B2 (ja) * 2011-10-21 2014-04-16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入力制御装置、入力制御方法、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US8654518B2 (en) * 2012-01-20 2014-02-18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KR101870704B1 (ko) * 2012-03-28 2018-06-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두 개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US8976202B2 (en) 2013-01-28 2015-03-10 Dave CAISSY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portable computing device
CN104376018A (zh) * 2013-08-15 2015-02-25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提供网页浏览的浏览装置、系统及其方法
KR20170006432A (ko) * 2015-07-08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9814828A (zh) * 2019-01-31 2019-05-28 深圳市炬力北方微电子有限公司 镜像同屏自动满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7554B2 (ja) * 1996-04-26 2008-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WO2002065303A1 (fr) * 2001-02-13 2002-08-22 Fujitsu Limited Terminal de reseau a mode d"economie d"energie
KR100470172B1 (ko) * 2001-06-22 2005-02-04 주식회사 임팩트라 디스플레이부를 수직 및 수평으로 변환가능한 이동단말기
JP2003008695A (ja) 2001-06-25 2003-01-10 Pioneer Electronic Corp 携帯情報端末機
JP3871949B2 (ja) 2002-03-27 2007-01-24 株式会社東芝 マスクデータ作成装置及びマスクデータ作成方法
JP2003298698A (ja) * 2002-03-29 2003-10-17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JP4063571B2 (ja) * 2002-04-10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
JP4061473B2 (ja)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3949048B2 (ja) * 2002-11-18 2007-07-25 京セラ株式会社 重ね型携帯端末装置
JP4402355B2 (ja) * 2003-01-21 2010-01-20 京セラ株式会社 重ね型携帯端末装置
JP4366965B2 (ja) * 2003-03-10 2009-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20050091431A1 (en) * 2003-10-23 2005-04-28 Robert Olodor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7162030B2 (en) * 2003-12-23 2007-01-09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with rotating housing
JP4615212B2 (ja) * 2003-12-24 2011-01-19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及び携帯電話機
KR100621401B1 (ko) * 2004-03-31 2006-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상태를 인식하여 저장된 정보를 탐색하는이동통신기기 및 그 방법
US7339600B2 (en) * 2004-04-26 2008-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picture in a wireless terminal
US7280857B2 (en) * 2004-06-25 2007-10-09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rotating display and camera
KR20060004427A (ko) * 2004-07-09 200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화면 자동 전환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화면 자동전환 방법
JP4533098B2 (ja) * 2004-11-16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33072B2 (en) 2012-07-31
CN101150609B (zh) 2012-05-30
KR100817985B1 (ko) 2008-03-31
US20080074443A1 (en) 2008-03-27
JP2008079095A (ja) 2008-04-03
CN101150609A (zh) 2008-03-26
JP4709719B2 (ja)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985B1 (ko) 전자 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판독가능하게 저장한 기록매체
KR100854850B1 (ko) 전자 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판독가능하게 저장한 기록매체
US8009144B2 (en) Portable terminal unit
EP256837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CN100452805C (zh) 显示装置、其显示切换方法及包括显示设备的电子设施
US8606327B2 (en) Mobile terminal, display switching method and display switching program
JP2010128140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053368B1 (ko) 전자 기기, 그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10135967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5080242A (ja) 携帯通信機器、携帯通信機器の機能表示方法、携帯通信機器の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KR100927294B1 (ko) 전자 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판독가능하게 저장한 기록 매체
US938381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JP5246773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234083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5067094B2 (ja) 携帯端末、操作ガイダンス表示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の表示制御方法
JP2008289081A (ja) 携帯情報端末
JP202303956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5157951A (ja) 情報処理装置
JP2009251880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キー配置方法
JP2019046370A (ja) 電子機器
JP2018189909A (ja) 誘導装置
JP2005234713A (ja) 入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装置
JP2012038340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