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6490A - 팁 드레서 - Google Patents

팁 드레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6490A
KR20080026490A KR1020070093472A KR20070093472A KR20080026490A KR 20080026490 A KR20080026490 A KR 20080026490A KR 1020070093472 A KR1020070093472 A KR 1020070093472A KR 20070093472 A KR20070093472 A KR 20070093472A KR 20080026490 A KR20080026490 A KR 20080026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cutting
holder
cutting edge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교꾸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교꾸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교꾸도
Publication of KR20080026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터 본체의 제조가 쉽고, 전극팁의 선단을 신속하고 깨끗하게 연마할 수 있는 팁 드레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팁 드레서는, 홀더에 보유된 커터 본체(39)가, 한 쪽 가장자리에 절삭날(46, 49)을 형성한 두 개의 판형상 절삭날부(44, 47)를 회전중심축(O) 근방에서 교차시키도록 대략 십자형상으로 조립하여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절삭날(46, 49)이 서로 교차하는 교점(P)이 회전중심축(O)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홀더가 정회전할 때, 절삭날(46)의 교점(P)으로부터 뻗도록 배치되는 부위(46a)와, 절삭날(49)의 교점(P)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부위(49b)에 의해 전극팁을 절삭할 수 있으며, 홀더가 역회전할 때, 절삭날(49)의 교점(P)으로부터 뻗도록 배치되는 부위(49a)와, 절삭날(46)의 교점(P)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부위(46b)에 의해 전극팁을 절삭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극팁, 드레서

Description

팁 드레서{Tip Dresser}
본 발명은 스팟(spot) 용접에 사용하는 한 쌍의 전극팁을 연마하는 팁 드레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팁 드레서로서는, 커터가 회전구동시의 회전중심축으로부터 사방으로 뻗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각각 회전중심축에 따른 방향쪽 끝부분의 가장자리에 절삭날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 정회전할 때에도 역회전할 때에도 각 전극팁을 연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있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 제3738432호 공보 참조).
그렇지만, 종래의 팁 드레서에서는 커터가 판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단순히 평판의 금속소재로부터 잘라내어 간편한 절삭가공을 하는 것만으로는 제조할 수 없고, 주조나 절삭량을 늘린 가공 등에 의한 제조가 필요하여 제조가 쉽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터 본체의 제조가 쉽고, 또한 전극팁의 선단을 신속하고 깨끗하게 연마할 수 있는 팁 드레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는, 스팟 용접에 사용하는 한 쌍의 전극팁 서로의 선단을 접근시키면서, 회전하는 커터에 닿게 하여 연마하는 구성으로,
커터가,
접근한 전극팁 서로의 축 중심과 일치시킨 회전중심축을 가지고 회전구동하는 홀더와,
홀더에 보유되며, 홀더가 회전할 때 각 전극팁의 선단 부근을 절삭할 수 있는 커터 본체로 구성되는 동시에,
커터 본체가, 홀더의 정회전 및 역회전시에 각 전극팁의 선단 부근을 절삭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고,
커터 본체와 홀더 사이에, 전극팁의 선단을 연마할 때 발생하는 절삭가루를 배출할 수 있도록, 회전중심축에 따라서 관통하는 배출구멍을 형성한 구성의 팁 드레서로서,
커터 본체가,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팁을 연마할 때 각 전극팁의 선단쪽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전극팁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에 거의 따르는 길이방향의 양쪽 가장자리에 두 개의 수납 오목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는 동시에, 수납 오목부를 구성하는 두 개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오목부 둘레가장자리가 되는 판두께 방향쪽의 한 쪽 가장자리부에 절삭날을 설치한 두 개의 판형상 절삭날부를, 회전중심축 근방에서 교차시키도록 대략 십자형상으로 조립하여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절삭날이, 서로 교차하는 교점을 회전중심축상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홀더가 정회전할 때, 한 쪽 절삭날에서의 교점으로부터 뻗도록 배치되는 부위와, 다른 쪽 절삭날에서의 교점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부위에 의해 전극팁을 절삭할 수 있고, 홀더가 역회전할 때, 다른 쪽 절삭날에서의 교점으로부터 뻗도록 배치되는 부위와, 한 쪽 절삭날에서의 교점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부위에 의해 전극팁을 절삭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팁 드레서에서는, 홀더에 보유되는 커터 본체가 두 개의 판형상 절삭날부를 교차시킨 대략 십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판의 금속소재로부터 와이어 커터에 의해 소정 형상의 판형상 절삭날용 소재를 잘라내어 서로 조립 부위를 형성하는 동시에 절삭날 부위를 형성함으로써 판형상 절삭날부를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조립 부위에서 조립하여 커터 본체를 제조할 수 있어, 종래의 팁 드레서와 비교하여 절삭량을 줄이고 커터 본체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팁 드레서에서는, 홀더의 회전방향을 제한하지 않고 홀더를 정회전시키거나 또는 역회전시켜도 한 쌍의 전극팁을 연마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홀더를 정회전시켜서 각 절삭날에 의해 한 쌍의 전극팁을 연마한 후, 다음 세트의 한 쌍의 전극팁을 연마할 때는 홀더를 역회전시켜서 연마하면, 만약 각 절삭날에 절삭가루가 붙어 있어도, 그 붙어 있는 절삭가루를 각 절삭날로부터 간단하게 박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팁 드레서에서는, 커터 본체에 배치되는 절삭날이 회전중심축 근방으로부터 사방으로 뻗도록 구성되어 있어, 홀더가 정회전하거나 역회전할 때, 그 절삭날의 네 부위 중 서로 이웃하는 두 부위를 이용하여 전극팁이 절삭되고, 나머지 두 부위에 의해 전극팁이 지지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팁 드레서에서는, 각 전극팁을 연마할 때 회전중심축 근방으로부터 사방으로 뻗는 절삭날의 네 부위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어, 연마시에 전극팁이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팁 드레서에서는, 홀더가 정회전하거나 역회전할 때에도 절삭날의 두 부위를 이용하여 전극팁을 절삭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전극팁의 선단을 신속하게 연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팁 드레서에서는, 커터 본체의 제조가 쉽고, 또한 전극팁의 선단을 신속하고 깨끗하게 연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팁 드레서에서의 커터 본체는 구체적으로, 각 판형상 절삭날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교차부위에 서로 끼워맞출 수 있는 끼워맞춤 오목홈을 구비하는 2장의 절삭날용 판재를, 끼워맞춤 오목홈에 의해 서로 끼워맞추어 조립하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커터 본체는, 한 쪽 판형상 절삭날부를 구성하는 1장의 절삭날용 메인 소재와, 다른 쪽 판형상 절삭날부를 회전중심축 부근에서 2분할하여 구성되는 2장 의 절삭날용 서브 소재의 3장으로 구성하고, 각 절삭날용 서브 소재를, 회전중심축쪽에 형성되는 끼워맞춤부를 절삭날용 메인 소재에 형성되는 끼워맞춤부와 끼워맞춤으로써, 각각 절삭날용 메인 소재에 조립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터 본체의 제조가 쉽고, 또한 전극팁의 선단을 신속하고 깨끗하게 연마할 수 있는 팁 드레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아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팁 드레서(M)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접건(welding gun)(1)의 섕크(shank)(3, 4)에 끼워넣어진 한 쌍의 전극팁(6A, 6B)을 연마하는 것이다. 용접건(1)은 도시하지 않은 다관절 용접 로봇의 암(arm) 선단에 보유되는 서보건(servo gun)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서보건(1)은 범용의 것으로, 한 쌍의 전극팁(6A, 6B)을 엔코더(encoder)를 내장한 서보 모터(2)에 의해 이동시키도록 보유하는 동시에, 서로 접근시키는 위치제어기능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서보건(1)은 연산기능을 구비하여, 서보 모터(2)의 회전횟수 및 탈크를 제어하고, 전극팁(6A, 6B)의 위치나 가압력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전극팁(6A, 6B)은, 용접할 때 장치에 접촉하는 선단쪽에, 원형의 선단면(6a)과, 그 선단면(6a)의 가장자리(각부(角部))(6b)로부터 원기둥형상의 받침부(6d)에 걸쳐서 직경이 확장되는 직경확장부(6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선단면(6a)은 반경(R1)을 40㎜로 한 대략 평면형상의 구면으로 하고, 직경확장부(6c)는 반경(R2)을 8㎜로 한 구면형상으로 하며, 선단면(6a)의 직경(d1)을 6㎜, 받침부(6d)쪽의 직경(d2)을 16㎜로 하고 있다(도 3 참조).
팁 드레서(M)는 용접 로봇의 작동에 의한 서보건(1)의 가동범위 내에 설치되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 가이드 블록(14), 기어 케이스(16), 구동 모터(22), 및 커터를 구성하는 드레서 본체(2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서보건(1)의 가동범위 내에 설치된 지지프레임(10)에는, 위아래로 브래킷(bracket)(11, 12)이 설치되어 있다. 위아래의 브래킷(11, 12) 사이에는, 좌우 양쪽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가이드 로드(13, 13)가 설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로드(13) 위아래의 대략 중간위치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블록(14)이 받침부쪽 위치에서 가이드 로드(13)의 축 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블록(14)의 받침부쪽에서의 상하면에는, 각 가이드 로드(13)의 주위에 외장된 총 4개의 압축 코일 스프링(15)이 맞닿아 있다. 이 스프링들(15)의 신축(伸縮)에 의해, 연마시 전극팁(6A, 6B)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 블록(14)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0)에 보유되게 된다.
가이드 블록(14)의 선단쪽에는, 위아래의 상부 플레이트(18)와 하부 플레이트(19)로 이루어지는 기어 케이스(16)가 설치되고, 선단쪽의 플레이트(18, 19) 사이에는 베어링(20, 20)을 개재시켜서, 드레서 본체(26)에 형성되는 톱니바퀴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18)의 윗면쪽이나 측면쪽은 커버(17)에 의해 덮 여 있다.
기어 케이스(16)의 받침부쪽 아랫면에는 홀더(27)를 회전구동할 수 있는 구동 모터(2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모터(22)에는 구동축(22a)에 기어(24)와 맞물리는 기어(23)가 설치되고, 기어(24)에는 드레서 본체(26)의 톱니바퀴부(31)가 맞물려져 있다.
커터를 구성하는 드레서 본체(26)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27)와, 홀더(27)에 보유되는 커터 본체(39)로 구성되어 있다.
홀더(27)는, 커터 본체(39)를 보유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통형상부(28)와, 통형상부(28)의 외주면에 원판형상으로 돌출 설치되어 기어(24)와 맞물리는 톱니바퀴부(3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홀더(27)는, 구동 모터(22)의 구동력이 기어(23, 24) 및 톱니바퀴부(31)를 지나 전달되어 회전하는 회전중심축(O)을, 연마시 전극팁(6A, 6B)의 축중심(C)과 일치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홀더(27)는, 톱니바퀴부(31)의 위아래가 되는 통형상부(28)의 외주면에 베어링(20, 20)을 설치시켜, 기어 케이스(16)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홀더(27)의 회전방향은, 연마시 전극팁(6A, 6B)의 축중심(C) 둘레방향(축 회전방향)으로서,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회전할 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에 따라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4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28)는 중앙에, 단면형상이 원형과 직사각형을 결합시킨 형상으로 되는 동시에, 위아래로 관통한 관통구멍(29)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관통구멍(29)은, 중심이 회전중심축(O)과 일치되어 형 성되며 단면이 대략 원형인 관통구멍 본체(29a)와, 커터 본체(39)의 후술하는 절삭날(46, 49)에서의 메인 절삭부위(46a, 49a) 사이 부위의 개구면적을 넓히도록, 관통구멍 본체(29a) 둘레가장자리에서의 메인 절삭부위(46a, 49a) 사이의 부위를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구성되는 배출구멍부(29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구멍 본체(29a)의 둘레가장자리에는, 커터 본체(39)의 끝부분(각 판형상 절삭날부(44, 47)에서의 폭방향(D3, D4)쪽 양끝)을 끼워맞출 수 있도록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상인 끼워맞춤 홈부(30)가, 회전중심축(O)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방사형상이 되는 4군데에서 상하방향에 따른 전체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부(28)의 윗면쪽에는, 나사(35)를 체결할 수 있는 나사구멍(28a)이 3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부(28)의 아랫면쪽으로서 각 끼워맞춤 홈부(30)의 아래쪽이 되는 위치에는, 커터 본체(39)의 아랫면쪽을 통형상부(28)에 보유시키기 위한 나사(36)를 체결할 수 있는 나사구멍(28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구멍(28b)은 각 끼워맞춤 홈부(3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커터 본체(39)의 아랫면쪽이 되는 각 판형상 절삭날부(44, 47)의 후술하는 테이퍼면부(44a, 47a)를 나사(36)의 선단과 맞닿게 함으로써, 커터 본체(39)를 통형상부(28)에 보유시키는 구성이다.
통형상부(28)의 상부쪽에는 상부 커버(33)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커버(33)는 커터 본체(39)의 윗면쪽을 보유하여 커터 본체(39)를 통형상부(28)에 보유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판형상으로 되어 중앙에 통형상부(28)에 형성되는 관통구멍(29)에 대응한 삽입구멍(33a)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커버(33) 바깥둘레의 3군데에는, 상부 커버(33)를 통형상 부(28)에 고정시키는 나사(35)(도 2 및 도 7 참조)를 삽입통과시킬 수 있는 연결구멍(3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드레서 본체(26)에서 커터 본체(39)는, 끝부분(각 판형상 절삭날부(44, 47)에서의 폭방향(D3, D4)쪽 양끝)을 통형상부(28)에 형성되는 끼워맞춤 홈부(30)에 끼워맞추고, 윗면쪽을 나사(35)를 이용하여 통형상부(28)에 고정되는 상부 커버(33)로 누르며, 아랫면쪽을 나사(36)로 눌러서, 통형상부(28)에 보유되는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드레서 본체(26)에서는, 통형상부(28)에 형성되는 관통구멍(29)과 상부 커버(33)의 삽입구멍(33a)이, 전극팁(6A, 6B)의 선단을 연마할 때 발생하는 절삭가루를 배출하는 배출구멍(38)을 구성하게 된다.
커터 본체(39)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길이방향(D1)쪽이 되는 위아래 양쪽 가장자리에 두 개의 오목부(45U, 45D, 48U, 48D)를 구비한 대략 장구판 형상의 2장의 판형상 절삭날부(44, 47)를, 회전중심축(O) 근방에서 교차하도록 대략 십자형상으로 설치한 구성으로, 각 판형상 절삭날부(44, 47)의 위아래 오목부(45U, 45D, 48U, 48D)가 각각, 커터 본체(39)에서의 길이방향(D1)쪽의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전극팁(6A, 6B)의 선단쪽을 수납할 수 있는 두 개의 수납 오목부(40U, 40D)를 구성하고 있다. 각 판형상 절삭날부(44, 47)에서의 폭방향(D2, D3)쪽 양끝에서의 하단쪽 부위에는, 커터 본체(39)를 통형상부(28)에 보유시키기 위한 나사(36)의 선단과 맞닿을 수 있는 테이퍼면부(44a, 4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판형상 절삭날부(44, 47)는, 오목부(45U, 45D, 48U, 48D)의 둘레가장자리가 되는 판두께 방향(D4, D5)쪽의 한 쪽 가장자리부(44b, 47b)에, 절삭날(46U, 46D, 49U, 49D)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절삭날(46U, 46D, 49U, 49D)은 본 실시예의 경우, 경사각(rake angle)을 약 3°로 설정하여 홀더(27)가 회전할 때 각 전극팁(6A, 6B)을 연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커터 본체(39)는 구체적으로, 절삭날(46U) 및 절삭날(46D)과 절삭날(49U) 및 절삭날(49D)이 서로 교차하는 교점(P)을 회전중심축(O)상에 위치시키도록, 판형상 절삭날부(44, 47) 서로를 폭방향(D3, D4)쪽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벗어난 위치에서 교차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각 절삭날 46U, 46D, 49U, 49D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두 교점(P)으로부터 뻗도록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면쪽에 설치되는 부위(46a, 49a)가 주로 전극팁(6A, 6B)을 절삭하는 메인 절삭부위를 구성하여, 각 전극팁(6A, 6B)의 선단면(6a), 선단면(6a)의 가장자리(각부)(6b), 직경확장부(6c)를 절삭연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각 절삭날 46U, 46D, 49U, 49D에 있어서, 교점(P)으로부터 떨어져서 설치되는 부위(46b, 49b)가 보조적으로 전극팁(6A, 6B)을 절삭하는 보조 절삭부위를 구성하여, 각 전극팁(6A, 6B)의 직경확장부(6c)만을 절삭연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커터 본체(39)를 구성하는 각 판형상 절삭날부(44, 47)의 판두께(t1, t2)(도 5 참조)가 각각 3.15㎜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커터 본체(39)에서는, 각 절삭날(46U, 46D)에서의 메인 절삭부위(46a)와 각 절삭날(49U, 49D)에서의 보조 절삭부위(49b)가, 홀더(27)의 정회전시에 전극팁(6A, 6B)을 절삭할 수 있게 하고, 각 절삭날(49U, 49D)에서의 메인 절삭부위(49a)와 각 절삭날(46U, 46D)에서의 보조 절삭부위(46b)가, 홀더(27)의 역회전시에 전극팁(6A, 6B)을 절삭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터 본체(39)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판형상 절삭날부(44, 47)를 구성하는 2장의 절삭날용 판재(51, 52)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절삭날용 판재(51, 52)는 고속 공구강(工具鋼) 등의 평판 금속소재로부터 와이어 커터에 의해 잘려서 구성되는 대략 장구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판형상 절삭날부(44)를 구성하는 절삭날용 판재(51)의 폭방향(D2) 중앙 부근에는, 다른 쪽 절삭날용 판재(52)의 중앙쪽 부위(52b)를 끼워맞출 수 있도록, 위쪽 가장자리를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잘라내서 구성되는 끼워맞춤 오목홈(5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형상 절삭날부(47)를 구성하는 절삭날용 판재(52)의 폭방향(D3) 중앙 부근에는, 다른 쪽 절삭날용 판재(51)의 중앙쪽 부위(51b)를 끼워맞출 수 있도록, 아래쪽 가장자리를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잘라내어 구성되어 끼워맞춤 오목홈(5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커터 본체(39)는, 각 절삭날용 판재(51, 52)를 끼워맞춤 오목홈(51a, 52a) 부위에서 서로 끼워맞춤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팁 드레서(M)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소정 횟수의 스팟 용접을 한 후, 용접 로봇이 서보건(1)을 팁 드레서(M) 근방에 배치시키는 동시에, 전극팁(6A, 6B)을 드레서 본체(26)의 위아래에서 상하방향에 따라 대향하도록 배치시킨다. 그러면, 그에 대응하여 팁 드레서(M)가 구동 모터(22)를 회전구동시킨다.
그리고, 서보건(1)이 작동되어 전극팁(6A, 6B)을 홀더(27) 안에 삽입시키도록 서로 근접시켜서 커터 본체(39)의 수납 오목부(40U, 40D)쪽으로 밀어붙이면, 커 터 본체(39)가 각 절삭날(46U, 46D)에서의 메인 절삭부위(46a)와 각 절삭날(49U, 49D)에서의 보조 절삭부위(49b)에 의해 전극팁(6A, 6B)을 절삭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팁 드레서(M)에서는, 홀더(27)에 보유되는 커터 본체(39)가 두 개의 판형상 절삭날부(44, 47)를 교차시킨 대략 십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판의 금속소재로부터 와이어 커터에 의해 소정 형상의 판형상 절삭날용 소재를 잘라내어, 서로의 조립부위로서의 끼워맞춤 오목부(51a, 52a)를 형성하는 동시에 절삭날(46U, 46D, 49U, 49D)을 형성함으로써, 판형상 절삭날부(44, 47)를 구성하는 절삭날용 판재(51, 52)를 제조할 수 있고, 그리하여 이 절삭날용 판재(51, 52)들을 조립부위로서의 끼워맞춤 오목부(51a, 52a)에서 조립하면 커터 본체(39)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팁 드레서와 비교하여 절삭량을 줄이고 커터 본체(39)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팁 드레서(M)에서는, 커터 본체(39)에 형성되는 절삭날(46U, 46D, 49U, 49D)이, 홀더(27)가 정회전할 때 전극팁(6A, 6B)을 절삭할 수 있는 메인 절삭부위(46a) 및 보조 절삭부위(49b)와, 홀더(27)가 역회전할 때 전극팁(6A, 6B)을 절삭할 수 있는 메인 절삭부위(49a) 및 보조 절삭부위(46b)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홀더(27)의 회전방향이 제한되지 않고 홀더(27)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켜도 한 쌍의 전극팁(6A, 6B)을 연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팁 드레서(M)에서는, 홀더(27)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각 절삭날(46U, 46D, 49U, 49D)의 메인 절삭부위(46a) 및 보조 절삭부위(49b)에 의해 한 쌍의 전극팁(6A, 6B)을 연마한 후, 다음 세트의 전극팁을 연마할 때는 홀더(27)를 역회전 방 향이 되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각 절삭날(46U, 46D, 49U, 49D)의 메인 절삭부위(49a) 및 보조 절삭부위(46b)에 의해 전극팁을 연마하면, 가령 각 절삭날(46U, 46D, 49U, 49D)의 메인 절삭부위(46a) 및 보조 절삭부위(49b)에 절삭가루가 붙어 있더라도, 그 붙어 있는 절삭가루를 각 절삭날(46U, 46D, 49U, 49D)의 메인 절삭부위(46a) 및 보조 절삭부위(49b)로부터 간단하게 박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팁 드레서(M)에서는, 커터 본체(39)에 배치되는 각 절삭날(46U, 46D, 49U, 49D)의 메인 절삭부위(46a, 49a) 및 보조 절삭부위(46b, 49b)가 회전중심축(O) 근방으로부터 사방으로 뻗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27)가 정회전할 때에는, 상기 절삭날(46U, 46D, 49U, 49D)의 네 부위(46a, 46b, 49a, 49b) 중 서로 이웃하는 메인 절삭부위(46a) 및 보조 절삭부위(49b)를 이용하여 전극팁(6A, 6B)이 절삭되고, 나머지 메인 절삭부위(49a) 및 보조 절삭부위(46b)에 의해 전극팁(6A, 6B)이 지지되게 된다. 역으로, 홀더(27)가 역회전할 때에는, 서로 이웃하는 메인 절삭부위(49a) 및 보조 절삭부위(46b)를 이용하여 전극팁(6A, 6B)이 절삭되고, 나머지 메인 절삭부위(46a) 및 보조 절삭부위(49b)에 의해 전극팁(6A, 6B)이 지지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팁 드레서(M)에서는, 각 전극팁(6A, 6B)을 연마할 때 회전중심축(O) 근방으로부터 사방으로 뻗는 절삭날(46U, 46D, 49U, 49D)의 네 부위(46a, 46b, 49a, 49b)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연마할 때 전극팁(6A, 6B)이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팁 드레서(M)에서는, 정회전하거나 역회전할 때에도 절삭날(46U, 46D, 49U, 49D)의 두 부위(46a, 49b(49a, 46b))를 이용하여 전극팁(6A, 6B)을 절삭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전극팁(6A, 6B)의 선단을 신속하게 연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팁 드레서(M)에서는, 커터 본체(39)의 제조가 쉽고, 또한 전극팁(6A, 6B)의 선단을 신속하고 깨끗하게 연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팁 드레서(M)에서는, 커터 본체(39)가 두 개의 판형상 절삭날부(44, 47)를 교차시킨 대략 십자형상으로 구성되는데, 각 판형상 절삭날부(44, 47)는 각각 폭방향(D3, D4) 양쪽 끝에서의 아랫면쪽을 나사(36)로 눌러서 통형상부(28)에 보유시키는 구성이다. 때문에, 커터 본체(39)가 덜컥거리지 않고 나사(36)에 의해 안정적으로 통형상부(28)에 보유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터 본체(39)를 2장의 절삭날용 판재(51, 52)로 구성하고 있는데, 커터 본체(39A)로서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 절삭날부(47A)를 구성하는 1장의 절삭날용 메인 소재(55)와, 판형상 절삭날부(44A)를 회전중심축(O) 부근에서 2분할하여 구성되는 2장의 절삭날용 서브 소재(56, 56)의 3장으로 구성되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커터 본체(39A)는, 1장의 절삭날용 메인 소재(55) 및 2장의 절삭날용 서브 소재(56, 56)로 구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상술한 커터 본체(39)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의 끝에 「A」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절삭날용 메인 소재(55)는, 고속 공구강 등의 평판 금속소재로부터 와이어 커터에 의해 잘라내어 구성되는 대략 장구판 형상으로 되는 것으로, 폭방향 및 길이방향의 중앙 부근에 각 절삭날용 서브 소재(56)에 형성되는 끼워맞춤 돌기(끼워맞춤부)(56a)를 끼워맞출 수 있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관통한 끼워맞춤 구멍부(끼워맞춤부)(55a)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절삭날용 서브 소재(56)는 판형상 절삭날부(47A)를 중앙 부근에서 2분할시킨 형상으로 되며, 고속 공구강 등의 평판 금속소재로부터 와이어 커터에 의해 잘라내어 구성되어 있다. 각 절삭날용 서브 소재(56)에서의 회전중심축(O)쪽 끝부분으로서, 길이방향의 중앙에는, 절삭날용 메인 소재(55)에 형성되는 끼워맞춤 구멍부(55a)에 끼워맞출 수 있는 끼워맞춤 돌기(5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터 본체(39A)는, 각 절삭날용 서브 소재(56)의 끼워맞춤 돌기(56a)를 절삭날용 메인 소재(55)의 끼워맞춤 구멍부(55a)에 끼워맞추어서 조립함으로써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절삭날용 서브 소재(56)에 끼워맞춤부로서의 끼워맞춤 돌기(56a)를 설치하고, 절삭날용 메인 소재(55)에 끼워맞춤부로서의 끼워맞춤 구멍부(55a)를 설치하였는데, 역으로, 각 절삭날용 서브 소재에 끼워맞춤 구멍부를 설치하고, 절삭날용 메인 소재에 끼워맞춤 돌기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커터 본체(39, 39A)를 비교하면, 커터 본체(39A)는 수납 오목부(42AU, 42AD)의 사이가 되는 부위에서, 두 개의 절삭날용 서브 소재(56)의 끼워맞춤 돌기(56a)를 절삭날용 메인 소재(55)의 끼워맞춤 구멍부(55a)에 끼워맞춤으로써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 오목부(42U, 42D) 사이 부위에서 끼워맞춤 오목홈(51a, 52a)을 서로 끼워맞춤으로써 형성되는 커터 본체(39)와 비교하여, 수납 오목부(42AU, 42AD) 사이 부위의 길이방향쪽 치수를 크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 즉, 커터 본체(39)는 커터 본체(39A)와 비교하여 길이방향쪽의 폭 치수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때문에, 커터 본체(39)는, 연마시의 전극팁 사이의 거리가 작게 설 정되는 전극팁의 연마에 바람직하고, 역으로 커터 본체(39A)는, 연마시의 전극팁 사이의 거리가 크게 설정되는 전극팁의 연마에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팁 드레서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팁 드레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팁 드레서 주요부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팁 드레서에서의 커터 본체와 회전기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팁 드레서에서의 커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커터 본체를 구성하는 절삭날용 판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팁 드레서에서의 커터 부위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팁 드레서에 사용되는 커터 본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커터 본체를 구성하는 절삭날용 메인 소재와 절삭날용 서브 소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6A, 6B: 전극팁 22: 구동 모터
26: 드레서 본체(커터) 27: 홀더
38: 배출구멍 39, 39A: 커터 본체
40U, 40D: 수납 오목부 44, 47: 판형상 절삭날부
45U, 45D, 48U, 48D: 오목부 46U, 46D, 49U, 49D: 절삭날
51, 52: 절삭날용 판재 51a, 52a: 끼워맞춤 오목홈
55: 절삭날용 메인 소재 55a: 끼워맞춤 구멍부(끼워맞춤부)
56: 절삭날용 서브 소재 56a: 끼워맞춤 돌기(끼워맞춤부)
M: 팁 드레서

Claims (3)

  1. 스팟 용접용에 사용하는 한 쌍의 전극팁 서로의 선단을 접근시키면서, 회전하는 커터에 닿게 하여 연마하는 구성으로,
    상기 커터가,
    접근한 상기 전극팁 서로의 축 중심과 일치시킨 회전중심축을 가지고 회전구동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보유되며, 상기 홀더가 회전할 때 상기 각 전극팁의 선단 부근을 절삭할 수 있는 커터 본체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커터 본체가, 상기 홀더의 정회전 및 역회전시에 상기 각 전극팁의 선단 부근을 절삭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커터 본체와 상기 홀더 사이에, 상기 전극팁 선단을 연마할 때 발생하는 절삭가루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중심축에 따라 관통하는 배출구멍을 형성한 구성의 팁 드레서로서,
    상기 커터 본체가,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전극팁을 연마할 때 상기 각 전극팁의 선단쪽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상기 전극팁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에 거의 따르는 길이방향의 양쪽 가장자리에 두 개의 수납 오목부를 구비하는 구성인 동시에, 상기 수납 오목부를 구성하는 두 개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 둘레가장자리가 되는 판두께 방향쪽의 한 쪽 가장자리부에 절삭날을 설치한 두 개의 판형상 절삭날부를, 상기 회전중심축 근방에서 교차시키도록 대략 십자형 상으로 조립하여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절삭날이, 서로 교차하는 교점을 상기 회전중심축상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홀더가 정회전할 때, 한 쪽 절삭날에서의 상기 교점으로부터 뻗도록 배치되는 부위와, 다른 쪽 절삭날에서의 상기 교점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부위에 의해 상기 전극팁을 절삭할 수 있고, 상기 홀더가 역회전할 때, 다른 쪽 절삭날에서의 상기 교점으로부터 뻗도록 배치되는 부위와, 한 쪽 절삭날에서의 상기 교점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부위에 의해 전극팁을 절삭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본체가, 각 판형상 절삭날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교차부위에 서로 끼워맞출 수 있는 끼워맞춤 오목홈을 구비하는 2장의 절삭날용 판재로 구성되고, 각 절삭날용 판재를 끼워맞춤 오목홈에 의해 서로 끼워맞추어 조립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본체가, 한 쪽 판형상 절삭날부를 구성하는 1장의 절삭날용 메인 소재와, 다른 쪽 판형상 절삭날부를 상기 회전중심축 부근에서 2분할하여 구성되는 2장의 절삭날용 서브 소재의 3장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절삭날용 서브 소재가, 회전중심축쪽에 형성되는 끼워맞춤부와 상기 절삭날용 메인 소재에 형성되는 끼워맞 춤부를 끼워맞춤으로써, 각각 상기 절삭날용 메인 소재에 조립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
KR1020070093472A 2006-09-20 2007-09-14 팁 드레서 KR200800264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54782 2006-09-20
JP2006254782A JP2008073716A (ja) 2006-09-20 2006-09-20 チップドレッ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490A true KR20080026490A (ko) 2008-03-25

Family

ID=3934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472A KR20080026490A (ko) 2006-09-20 2007-09-14 팁 드레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8073716A (ko)
KR (1) KR200800264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373B1 (ko) * 2011-06-28 2013-01-04 문상세 스폿 용접팁 드레서
KR101420300B1 (ko) * 2012-06-14 2014-07-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저항 점 용접 전극의 드레싱 바이트 및 이를 이용한 드레싱 장치
CN112476153A (zh) * 2020-11-25 2021-03-12 朱立怀 一种高压开关打磨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6703A1 (de) * 2008-01-30 2009-08-06 Cnc Precision S.R.O. Schneide für die Bearbeitung von Punktschweißelektroden, Fräswerkzeug und Kappenfräser
JP5737708B2 (ja) * 2011-01-31 2015-06-1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電極整形装置及び電極成形方法
JP5814580B2 (ja) * 2011-03-30 2015-11-17 株式会社キーレックス チップドレス用切削カッター
KR101583299B1 (ko) * 2014-07-21 2016-01-07 주식회사 조웰 너트 자동용접기의 용접전극 연마장치
CN110653622B (zh) * 2019-10-17 2021-06-11 江苏泰恩特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中央空调用冷媒管钎焊装置
CN112496763A (zh) * 2020-12-14 2021-03-16 广东速帕尔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高的封边规方生产线
CN114147335B (zh) * 2022-02-10 2022-05-17 中汽研(天津)汽车工程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修整双螺旋凸起焊接电极的修模刀具及修模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373B1 (ko) * 2011-06-28 2013-01-04 문상세 스폿 용접팁 드레서
KR101420300B1 (ko) * 2012-06-14 2014-07-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저항 점 용접 전극의 드레싱 바이트 및 이를 이용한 드레싱 장치
CN112476153A (zh) * 2020-11-25 2021-03-12 朱立怀 一种高压开关打磨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73716A (ja)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6490A (ko) 팁 드레서
US7458139B2 (en) Tip dresser
CN108367379B (zh) 电极头修磨用切削刀和电极头修磨器
US7257872B2 (en) Electrode tip dresser
JP4399435B2 (ja) チップ成形機
JP2008023589A (ja) チップドレッサ
JP3893332B2 (ja) チップドレッサ
US20130104706A1 (en) Method for processing an inner face of a housing having an opening
JP2010069553A (ja) 複合工具、工作機械および加工方法
JP5814580B2 (ja) チップドレス用切削カッター
JP3110023U (ja) 手持ち回転工具の根切り用補助具
JP4342354B2 (ja) 研磨方法及び装置
JP5000471B2 (ja) 卓上切断機における切断材の位置決めフェンス
KR100358200B1 (ko) 밸브시트 가공 및 연마공구
JP2013078864A (ja) 携帯用切断機
JP2006212685A (ja) ハンドドレッサー
JP4122127B2 (ja) 砥石溝入れ装置
JP3811855B2 (ja) 電極チップの研磨用カッタ
KR102416733B1 (ko) 면취장치
JP6871348B2 (ja) グラインダ及びカバー
JPS6010789Y2 (ja) スポツト溶接機のチツプドレツサ
JP2001062571A (ja) 電極チップの研磨用カッタ
JP2010069554A (ja) 複合工具、工作機械および加工方法
KR20070117766A (ko) 연마 겸용 면취장치
JPH069761Y2 (ja) 卓上丸のこ盤の回転テーブル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