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4578A - 변속레버 - Google Patents

변속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4578A
KR20080024578A KR1020060088841A KR20060088841A KR20080024578A KR 20080024578 A KR20080024578 A KR 20080024578A KR 1020060088841 A KR1020060088841 A KR 1020060088841A KR 20060088841 A KR20060088841 A KR 20060088841A KR 20080024578 A KR20080024578 A KR 20080024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hift
grip
flange
shif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8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4578A/ko
Publication of KR20080024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레버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 외주에 제1플랜지(110)가 확장 형성된 그립(100)과;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에는 손잡이(230)가 체결되며, 하단 외주에는 제2플랜지(210)가 확장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21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220)이 형성된 레버(200)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저면 중앙에 고정핀(310)이 돌출 형성된 삽입부(300)와; 상기 그립(100)의 내부에 상기 레버(200)가 관통 위치하며, 상기 그립(100) 하단에 상기 삽입부(300)가 고정되도록 관통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홈(220)을 관통하여 상하로 안내되는 삽입핀(130)과; 상기 레버(20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삽입부(30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40)과; 상기 제2플랜지(21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을 따라 다수의 고정홀(420)이 형성되며, 저면 중앙에 체결돌기(410)가 형성된 브라켓(400)과; 상단 중앙에 상기 체결돌기(410)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홈(510)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510)을 중심으로 다수의 고정홈(520)이 방사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그 저면이 변속시프트에 고정된 시프트패널(500)로 구성되어,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변속레버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변속레버, 그립, 브라켓

Description

변속레버{Shift lever}
도 1은 본 발명의 변속레버를 도시하는 하방향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변속레버를 도시하는 상방향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변속레버의 그립 하강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속레버의 그립 상승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속레버의 슬라이딩 이전 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속레버의 슬라이딩 이후 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속레버의 회동 이후 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그립 110 : 제1플랜지
120 : 제1삽입홀 130 : 삽입핀
200 : 레버 210 : 제2플랜지
220 : 가이드홈 230 : 손잡이
240 : 스프링 300 : 삽입부
310 : 고정핀 320 : 제2삽입홀
400 : 브라켓 410 : 체결돌기
420 : 고정홀 430 : 베어링
500 : 시프트패널 510 : 체결홈
520 : 고정홈
본 발명은 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레버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변속레버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속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변속레버에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잡기 편하도록 손잡이가 장착되는데, 이와 같이 변속레버는 통상적으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종래의 변속레버는 막대형상의 레버 상단에 손잡이가 고정 체결되어 운전자가 변속을 하기 위해 레버를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시프트조작이나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셀렉트조작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변속레버는 각기 다른 신체조건을 가진 운전자들이 차량을 운전할 때 자신의 체형에 맞춰 변속레버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변속레버 조작에 불편함을 겪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변속레버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변속레버의 위치가 바뀌게 되어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조작할 때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변속레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 외주에 제1플랜지가 확장 형성된 그립과;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에는 손잡이가 체결되며, 하단 외주에는 제2플랜지가 확장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레버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저면 중앙에 고정핀이 돌출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그립의 내부에 상기 레버가 관통 위치하며, 상기 그립 하단에 상기 삽입부가 고정되도록 관통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하로 안내되는 삽입핀과; 상기 레버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삽입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제2플랜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을 따라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되며, 저면 중앙에 체결돌기가 형성된 브라켓과; 상단 중앙에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을 중심으로 다수의 고정홈이 방사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그 저면이 변속시프트에 고정된 시프트패널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변속레버를 도시하는 하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변속레버를 도시하는 상방향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변속레버의 그립 하강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변속레버의 그립 상승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변속레버의 슬라이딩 이전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변속레버의 슬라이딩 이후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변속레버의 회동 이후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변속레버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 외주에 제1플랜지(110)가 확장 형성된 그립(100)과;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에는 손잡이(230)가 체결되며, 하단 외주에는 제2플랜지(210)가 확장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21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220)이 형성된 레버(200)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저면 중앙에 고정핀(310)이 돌출 형성된 삽입부(300)와; 상기 그립(100)의 내부에 상기 레버(200)가 관통 위치하며, 상기 그립(100) 하단에 상기 삽입부(300)가 고정되도록 관통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홈(220)을 관통하여 상하로 안내되는 삽입핀(130)과; 상기 레버(20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삽입부(30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40)과; 상기 제2플랜지(21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을 따라 다수의 고정홀(420)이 형성되며, 저면 중앙에 체결돌기(410)가 형성된 브라켓(400)과; 상단 중앙에 상기 체결돌기(410)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홈(510)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510)을 중심으로 다수의 고정홈(520)이 방사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그 저면이 변속시프트에 고정된 시프트패널(5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 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변속레버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립(100)은 상하단이 개구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 외주에는 원형 고리 형상의 제1플랜지(110)가 확장 형성된다.
그립(100) 하단 양측에는 작은 홀 형상의 제1삽입홀(120)이 형성된다.
레버(200)는 상하단이 개구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립(10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이때 그립(100)을 관통하여 외부에 위치하는 레버(200)의 상단은 그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구형상의 손잡이(230)와 체결되며, 하단 외주에는 원형 고리 형상의 제2플랜지(210)가 확장 형성된다.
레버(200)의 하단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20)은 그립(100) 하단에 형성된 제1삽입홀(120)에 나란하게 위치한다.
삽입부(300)는 그립(100)에 삽입된 레버(200) 중앙에 위치하며, 소정 높이를 가진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저면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고정핀(310)이 돌출 형성된다.
삽입부(300)의 원기둥 하단 양측에는 제1삽입홀(120)과 같은 형상의 제2삽입홀(320)이 관통 형성된다.
제2삽입홀(320)은 제1삽입홀(120)과 가이드홈(220)에 나란하게 위치한다.
스프링(240)은 레버(200) 내부에 마련되어 삽입부(300)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한다.
삽입핀(130)은 그립(100)의 일측에 형성된 제1삽입홀(120)로부터 삽입되어 그립(100) 내부에 위치하는 레버(200)의 가이드홈(220)을 통과하고, 상기 레버(200)의 하단 내부에 위치한 삽입부(300)의 제2삽입홀(320)을 관통한 후 레버(200)의 타측 가이드홈(220)을 지나 그립(100)의 타측에 형성된 제1삽입홀(12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그립(100)과 삽입부(300)는 삽입핀(130)으로 고정되어 레버(200)를 사이에 두고 일체로 움직이되, 레버(200)에 형성된 가이드홈(220)의 형성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 받게 된다.
브라켓(400)은 상단이 레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레버(200) 하단에 형성된 제2플랜지(2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며, 레일 중앙을 따라 고정핀(310)에 대응하는 크기의 고정홀(420)이 다수 형성된다.
또한 브라켓(400)의 저면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체결돌기(410)가 형성된다.
시프트패널(500)은 상단에 다수의 고정홈(520)이 방사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그 중앙에 체결홈(510)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브라켓(400)의 체결돌기(410)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체결돌기(410)의 외주와 체결홈(510)의 내주 사이에는 베어링(430)이 구비되어 브라켓(400)의 회동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변속레버는 그립(100)에 형성된 제1플랜지(110)를 손으로 쥐고 상방으로 올리게 되면 삽입핀(130)으로 연결된 삽입부(300)의 고정핀(310) 또한 일체로 상승하게 되어 시프트패널(500)의 고정홈(520)과 브라켓(400)에 형성된 고정홀(420)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00)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240)이 상단에 구비된 손잡이(230)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그립(100)을 상방으로 올릴 때에 반해 하방으로 내릴 때는 힘을 주지 않고 그냥 놓기만 해도 탄성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10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브라켓(400)과 시프트패널(500)에 삽입된 고정핀이 상승하게 되어 레버(200)가 브라켓(400)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이때 그립(100)의 최대 상승 높이는 레버(200)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홈(220)의 길이에 제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400)에서 슬라이딩된 레버(200)는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를 지정하여 그립(100)을 놓으면 고정핀이 하강하게 되어 고정홀(420)을 관통한 후 시프트패널(500)에 형성된 고정홈(520)에 삽입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400)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를 지정하여 회동시킨 후, 그립(100)을 하방으로 놓으면 고정핀이 하강하게 되어 시프트패널(500)에 방사상으로 위치하는 고정홈(520)에 삽입된 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에 레버(200)를 위치시킨 후에 그립(100)을 하방으로 내리면 고정핀(310)이 브라켓(400)을 관통하여 시프트패널(500)에 고정되며, 시프트패널(500)의 저면은 차량 내부의 변속시프트에 고정되어 변속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변속레버는 그립을 상방으로 올리게 되면 레버의 위치를 전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변속레버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 외주에 제1플랜지가 확장 형성된 그립과;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에는 손잡이가 체결되며, 하단 외주에는 제2플랜지가 확장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레버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저면 중앙에 고정핀이 돌출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그립의 내부에 상기 레버가 관통 위치하며, 상기 그립 하단에 상기 삽입부가 고정되도록 관통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하로 안내되는 삽입핀과;
    상기 레버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삽입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제2플랜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을 따라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되며, 저면 중앙에 체결돌기가 형성된 브라켓과;
    상단 중앙에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을 중심으로 다수의 고정홈이 방사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그 저면이 변속시프트에 고정된 시프트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의 외주와 상기 체결홈의 내주 사이에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
KR1020060088841A 2006-09-14 2006-09-14 변속레버 KR20080024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841A KR20080024578A (ko) 2006-09-14 2006-09-14 변속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841A KR20080024578A (ko) 2006-09-14 2006-09-14 변속레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578A true KR20080024578A (ko) 2008-03-19

Family

ID=3941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841A KR20080024578A (ko) 2006-09-14 2006-09-14 변속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45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0945A (zh) * 2011-08-18 2012-02-1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换档把手位置的调节装置
CN104179960A (zh) * 2014-08-26 2014-12-03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换挡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0945A (zh) * 2011-08-18 2012-02-1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换档把手位置的调节装置
CN104179960A (zh) * 2014-08-26 2014-12-03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换挡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54152A1 (ja) シフト装置
JP2005162064A (ja) サンルーフ装置
JP2012046096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6298074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20080024578A (ko) 변속레버
JP5357095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CN106470865B (zh) 换档装置
KR100535881B1 (ko) 차량의 스티어링칼럼 틸팅장치
KR100561086B1 (ko)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JP2018067446A (ja) 入力装置
JP2007055323A (ja) 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925824B1 (ko) 이동 및 회전 가능한 자동차의 콘솔박스
KR100591926B1 (ko)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JP3931345B2 (ja) ギヤ支軸を有する樹脂製シャーシ構造
KR100901570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KR100802410B1 (ko) 차량의 변속기어 시프트레버
KR100892379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중삽입방지 장치
JP4192921B2 (ja) ディスク装置
JP2008282445A (ja) 光ディスク装置
JP4633385B2 (ja) 変速機のチェンジ機構
JP3822623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494199B1 (ko) 차량의 스티어링칼럼 틸팅장치
JP2020026216A (ja) シフト装置
KR100469059B1 (ko) 차량용 컵 홀더 지지 구조
JP2016088229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