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086B1 -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086B1
KR100561086B1 KR1020040078221A KR20040078221A KR100561086B1 KR 100561086 B1 KR100561086 B1 KR 100561086B1 KR 1020040078221 A KR1020040078221 A KR 1020040078221A KR 20040078221 A KR20040078221 A KR 20040078221A KR 100561086 B1 KR100561086 B1 KR 100561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tilt
shaft
bracke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홍성종
Original Assignee
남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8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티어링컬럼의 컬럼튜브를 지지하는 틸트브라켓과, 차량의 소정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틸트브라켓이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마운팅브라켓과, 틸트브라켓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마운팅브라켓에 대한 틸트브라켓의 위치를 조작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틸팅장치에 있어서, 마운팅브라켓은, 차량의 소정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그 고정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2측부와, 제1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기어가 형성된 기어가이드홈과, 제2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기어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슬라이드가이드홈을 포함하고; 틸트브라켓은, 기어가이드홈과 슬라이드가이드홈을 관통하며 기어가이드홈에 치합되는 브레이크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된 틸트축과, 브레이크기어가 기어가이드홈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도록 그 틸트축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축이동부를 포함하며; 조작레버는 틸트축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축이동부에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레버축부와, 레버축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눌리어지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티어링컬럼, 틸팅, 브라켓

Description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STRUCTURE FOR PREVENTING STEERING COLUMN FROM ROTA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채용되는 제1캠부쉬와 제2캠부쉬가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된 캠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조절레버에 의하여 브레이크기어가 기어가이드홈에 치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 2에 대응하는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의 주요부분에 대한 분해조립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컬럼튜브 20 ... 마운팅브라켓
21 ... 고정부 22, 23 ... 제1,2측부
24 ... 기어가이드홈 25 ... 슬라이드가이드홈
30 ... 틸트브라켓 31 ... 틸트축
34 .. 브레이크기어 35 ... 제1캠부쉬
36 ... 제2캠부쉬 37 ... 너트
38 ... 접시스프링 40 ... 조작레버
41 ... 레버축부 42 ... 레버부
본 발명은 운전자의 체격이나 자세에 맞도록 위치 세팅된 스티어링컬럼이, 운행중 차량에 인가되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세팅된 위치에서 틸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티어링컬럼은 틸팅장치에 설치되어 틸팅이 되었는데, 이러한 틸팅장치는 통상적으로 스티어링컬럼의 컬럼튜브(Column Tube)를 지지하는 틸트브라켓(Tilt Bracket)과, 틸트브라켓이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차량의 소정부에 설치되는 마운팅브라켓(Mounting Bracket)과, 틸트브라켓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마운팅브라켓에 대한 틸트브라켓의 위치를 고정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컬럼튜브를 지지하는 틸트브라켓을 마운팅브라켓의 소정 위치로 이동하여 세팅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 차량에 충격이나 진동이 인가되면, 중량의 컬럼튜브를 지지하는 틸트브라켓이 마운팅브라켓으로부터 미끄러지면서 세팅 위치에서 벗어난다. 이럴 경우, 사용자는 다시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틸트브라켓의 위치를 가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에 충격이나 진동이 인가되더라도 세팅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는,
스티어링컬럼의 컬럼튜브를 지지하는 틸트브라켓과, 차량의 소정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틸트브라켓이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마운팅브라켓과, 상기 틸트브라켓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마운팅브라켓에 대한 상기 틸트브라켓의 위치를 조작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틸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차량의 소정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그 고정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2측부와, 상기 제1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기어가 형성된 기어가이드홈과, 상기 제2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어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슬라이드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틸트브라켓은, 상기 기어가이드홈과 슬라이드가이드홈을 관통하며 상기 기어가이드홈에 치합되는 브레이크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된 틸트축과, 상기 브레이크기어가 상기 기어가이드홈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도록 그 틸트축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축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틸트축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축이동부에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레버축부와, 상기 레버축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눌리어지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축이동부는, 상기 기어가이드홈을 관통하는 상기 틸트축이 관통되며 상기 제1측부에 고정되는 제1캠부쉬와, 상기 제1캠부쉬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틸트축이 관통되는 제2캠부쉬와, 상기 슬라이드가이드홈을 관통하는 상기 틸트축에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와 제2측부 사이에 설치되는 접시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캠부쉬와 제2캠부쉬의 마주보는 면에는 일측으로 경사진 제1,2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축부는, 상기 제2캠부쉬 및 그 제2캠부쉬를 관통하는 틸트축이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채용되는 제1캠부쉬와 제2캠부쉬가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된 캠면을 도시하면서 브레이크 기어가 취합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조절레버에 의하여 브레이크기어가 기어가이드홈에 치합이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의 주요부분에 대한 분해조립 사시도이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는, 스티어링컬럼의 컬럼튜브(10)를 지지하는 틸트브라켓(30)과, 차량의 소정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틸트브라켓(30)이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마운팅브라켓(20)과, 틸트브라켓(3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마운팅브라켓(20)에 대한 틸트브라켓(30)의 위치를 조작하는 조작레버(40)를 포함한다.
마운팅브라켓(20)은, 차량의 소정부에 고정되는 고정부(21)와, 그 고정부(2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2측부(22)(23)와, 제1측부(22)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기어가 형성된 기어가이드홈(24)과, 제2측부(23)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기어가이드홈(24)에 대응되는 슬라이드가이드홈(25)을 포함한다. 이때, 기어가이드홈(24)과 슬라이드가이드홈(25)은 일측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틸트브라켓(30)은, 기어가이드홈(24)과 슬라이드가이드홈(25)을 관통하며 기어가이드홈(24)에 치합되는 브레이크기어(34)가 외주면에 형성된 틸트축(31)과, 브레이크기어(34)가 기어가이드홈(24)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도록 그 틸트축(31)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축이동부를 포함한다.
이때, 축이동부는, 기어가이드홈(24)을 관통하는 틸트축(31)이 관통되며 제1측부(22)에 고정되는 제1캠부쉬(35)와, 제1캠부쉬(35)에 밀착된 상태에서 틸트축(31)이 관통되는 제2캠부쉬(36)와, 슬라이드가이드홈(25)을 관통하는 틸트축(31)에 결합되는 너트(37)와, 너트(37)와 제1측부(22) 사이에 설치되는 접시스프링(38)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캠부쉬(35)와 제2캠부쉬(36)의 마주보는 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경사진 제1,2경사면(35a)(36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대 회전각도에 따라서 제1,2캠부쉬(35)(36)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진다.
조작레버(40)는 축이동부에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레버축부(41)와, 레버축부(41)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눌리어지는 레버부(42)를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레버축부(41)에는 제2캠부쉬(36) 및 그 제2캠부쉬(36)를 관통하는 틸트축(31)이 고정된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조의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를 설명한다.
스티어링컬럼이 소정 위치에 세팅되어 있을 경우는, 제1측부(22)에 고정된 제1캠부쉬(35)와 레버축부(41)에 고정된 제2캠부쉬(36) 사이의 거리가 멀어진 상태이며, 이때에는 레버부(42)에 고정된 틸트축(31)이 제2캠부쉬(36) 측으로 이동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기어(34)가 기어가이드홈(24) 내부로 들어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이동방향은 화살표로 표시). 이 경우, 접시스프링(38)은 압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이나 운전 자세 또는 그 밖의 원인에 의해 스티어링 휠의 틸팅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조작레버(40)의 레버부(42)를 눌러서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2경사면(35a)(36a)에 의하여 제1캠부쉬(35)와 제2캠부쉬(36)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이에 접시스프링(38)에 탄성바이어스되는 틸트축(31)은 접시스프링(38) 측으로 이동되며, 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기어(34)가 기어가이드홈(2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틸트브라켓(30)을 마운팅브라켓(2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스티어링컬럼이 특정 위치에 오도록 한다.
특정 위치의 설정이 완료되면, 레버부(42)를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 그러면, 제2캠부쉬(36)와 제1캠부쉬(35)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틸트축(31)을 제2캠부쉬(36) 측으로 이동시키고,브레이크기어(34)는 다시 기어가이드홈(24)에 치 합됨으로써 스티어링컬럼을 지지하는 틸트브라켓(30)의 위치가 고정 세팅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의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에 따르면, 스티어링컬럼을 틸팅시킬 때에는 조작레버를 회전시켜 브레이크기어를 기어가이드홈으로부터 분리시키고, 특정위치에서 스티어링컬럼을 고정시킬 때에는 조작레버를 역회전시켜 브레이크기어를 기어가이드홈에 치합시킨다. 따라서, 스티어링컬럼이 특정위치에 고정될 경우에 차량에 충격이나 진동이 인가되더라도 세팅위치가 변동되지 않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스티어링컬럼의 컬럼튜브를 지지하는 틸트브라켓과, 차량의 소정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틸트브라켓이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마운팅브라켓과, 상기 틸트브라켓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마운팅브라켓에 대한 상기 틸트브라켓의 위치를 조작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틸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차량의 소정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그 고정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2측부와, 상기 제1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기어가 형성된 기어가이드홈과, 상기 제2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어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슬라이드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틸트브라켓은, 상기 기어가이드홈과 슬라이드가이드홈을 관통하며 상기 기어가이드홈에 치합되는 브레이크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된 틸트축과, 상기 브레이크기어가 상기 기어가이드홈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도록 그 틸트축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축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틸트축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축이동부에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레버축부와, 상기 레버축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눌리어지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이동부는,
    상기 기어가이드홈을 관통하는 상기 틸트축이 관통되며 상기 제1측부에 고정되는 제1캠부쉬와, 상기 제1캠부쉬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틸트축이 관통되는 제2캠부쉬와, 상기 슬라이드가이드홈을 관통하는 상기 틸트축에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와 제2측부 사이에 설치되는 접시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캠부쉬와 제2캠부쉬의 마주보는 면에는 일측으로 경사진 제1,2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축부는, 상기 제2캠부쉬 및 그 제2캠부쉬를 관통하는 틸트축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KR1020040078221A 2004-10-01 2004-10-01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KR100561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221A KR100561086B1 (ko) 2004-10-01 2004-10-01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221A KR100561086B1 (ko) 2004-10-01 2004-10-01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086B1 true KR100561086B1 (ko) 2006-03-15

Family

ID=3717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221A KR100561086B1 (ko) 2004-10-01 2004-10-01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0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387B1 (ko) 2007-10-30 2009-10-14 남양공업주식회사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KR20150093975A (ko) 2014-02-10 2015-08-19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장치
KR101593592B1 (ko) 2014-10-27 2016-02-12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장치
KR20160094093A (ko) 2015-01-30 2016-08-09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0610A (en) * 1995-06-30 1996-11-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djustable steering column
US5722299A (en) * 1994-06-30 1998-03-03 Fuji Kiko Co., Ltd.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a vehicle
JP2003002211A (ja) * 2001-06-27 2003-01-08 Koyo Seiko Co Ltd 衝撃吸収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3146224A (ja) * 2001-11-14 2003-05-21 Mitsubishi Motors Corp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チル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2299A (en) * 1994-06-30 1998-03-03 Fuji Kiko Co., Ltd.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a vehicle
US5570610A (en) * 1995-06-30 1996-11-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djustable steering column
JP2003002211A (ja) * 2001-06-27 2003-01-08 Koyo Seiko Co Ltd 衝撃吸収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3146224A (ja) * 2001-11-14 2003-05-21 Mitsubishi Motors Corp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チルト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387B1 (ko) 2007-10-30 2009-10-14 남양공업주식회사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KR20150093975A (ko) 2014-02-10 2015-08-19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장치
US9845104B2 (en) 2014-02-10 2017-12-19 Namyang Ind. Co., Ltd Steering column tilting device
KR101593592B1 (ko) 2014-10-27 2016-02-12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장치
KR20160094093A (ko) 2015-01-30 2016-08-09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4413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398371B1 (ko) 힌지구조
JP4716338B2 (ja) 車両用操向コラムのテレスコピック及びチルト装置
JP5685124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7261014B2 (en) Backlash preventing structure for steering column
EP2011718B1 (en) Vehicle steering column
KR102053708B1 (ko)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장치
JP2007168708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CN100406317C (zh) 刮水器装置
KR101104007B1 (ko) 전동식 로워 틸트 조향장치
KR100561086B1 (ko)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JP5357095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746665B1 (ko) 방사상 고정 기어를 구비한 틸트식 조향장치
EP1510434B1 (en) Steering column device for vehicle
JP6357378B2 (ja) シフト装置
JP2006205956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ガタ防止構造
JP3800864B2 (ja) 電動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591926B1 (ko)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JPH08295247A (ja) ステアリング機構
KR100465994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장치
JP2019018595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200280310Y1 (ko) 자동 틸트 및 텔레스코픽장치가 구비된 차량용스티어링컬럼
JPH0519229Y2 (ko)
JP3836917B2 (ja) 自動車の変速操作装置
JP2008049781A (ja) アームレス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