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516A -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516A
KR20080022516A KR1020070089832A KR20070089832A KR20080022516A KR 20080022516 A KR20080022516 A KR 20080022516A KR 1020070089832 A KR1020070089832 A KR 1020070089832A KR 20070089832 A KR20070089832 A KR 20070089832A KR 20080022516 A KR20080022516 A KR 20080022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olded
portabl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hous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께후미 마스다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80022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표시부를 외측을 향하게 하여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절첩한 형태로 텔레비전 방송을 시청할 경우에, 시청하기 쉬운 각도이고 또한 안정된 상태로 책상 등의 평면 상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표시부(111)를 갖는 제1 하우징(110)과, 조작부를 갖는 제2 하우징(120)과,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절첩 가능하게 하는 제1 연결부와, 제1 하우징(110)을 제1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로서 구성한다. 제2 연결부의 회전축을, 제1 하우징의 짧은 변의 중심점끼리를 연결한 중심선에 대해 소정량만큼 외측으로 시프트한 위치에 설치하고, 제1 하우징(110)의 표시부(111)를 외측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제1 연결부를 통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절첩하였을 때에,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어긋난 상태에서 중첩되도록 하였다.
표시부, 하우징, 휴대 단말, 연결부, 안테나

Description

휴대 단말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단말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2축 힌지라 일컬어지는 기구로 2개의 하우징을 연결한 것에 적용되는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 단말의 형상에 있어서, 조작부를 구비한 제1 하우징과, 표시부를 구비한 제2 하우징이, 서로 직교하는 2개의 회전축을 갖는 2축 힌지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 단말이 보급되고 있는 것을 수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의 휴대 전화 단말에 있어서도, 텔레비전 방송의 수신 기능을 갖게 한 것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휴대 전화 단말에 있어서는, 텔레비전 방송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텔레비전 방송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외측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절접할 수 있도록 한 것도 많다.
특허 문헌 1에는, 표시부를 표면 방향으로 하여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절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대한 개시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171189호 공보
그런데, 표시부를 외측을 향하게 하여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절첩한 상태에서 텔레비전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에는, 손으로 휴대 전화 단말을 보유 지지하고 있으면 보기 쉬운 각도에서의 시청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책상 등에 설치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설치면에 평행하게 눕히거나 수직으로 세울 수밖에 없고, 표시면을 보기 쉬운 각도로 조정한 후에 시청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용 받침대 상에 설치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표시부를 외측을 향하게 하여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절첩한 상태에서 텔레비전 방송을 시청할 경우에, 시청하기 쉬운 각도이고 또한 안정된 상태에서 책상 등의 평면 상에 설치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시부를 갖는 제1 하우징과, 조작부를 갖는 제2 하우징과,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절첩 가능하게 하는 제1 연결부와, 제1 하우징을 제1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에 적용한다. 제2 연결부의 회전 중심은, 소정량만큼 중심으로부터 시프트시키도록 하였다. 게다가, 제1 하우징의 표시부를 외측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제1 연결부를 통해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절첩하였을 때에, 제1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과 제2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이 어긋난 상태에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중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측면에 소정의 각도의 경사를 부여하고 있고, 제1 하우징의 표시부를 외측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절첩함으로써 제1 하우징의 한쪽의 측면과 제2 하우징의 한쪽의 측면이 대략 일치하여, 양 하우징의 경사면이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하우징의 표시부를 외측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절첩하여, 제1 하우징의 한쪽의 측면의 경사면과 제2 하우징의 한쪽의 측면의 경사면을 아래로 하여 배치하면, 표시부를 외측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약간 경사져 직립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를 외측을 향하게 하여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절첩한 상태에서 텔레비전 방송을 시청할 경우에, 시청하기 쉬운 각도이고 또한 안정된 상태에서 책상 등의 평면 상에 휴대 단말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텔레비전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전화 단말에 적용한 것이다. 우선, 본 예의 휴대 전화 단말의 전체 구성을,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본 예의 휴대 전화 단말(100)은, 절첩형 휴대 전화 단말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1은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2는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3에서는 하우징의 회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2를 참조하여, 휴대 전화 단말(100)이 열린 상태를 바탕으로 설명하면, 휴대 전화 단말(100)은 각각이 대략 가늘고 긴 형상의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힌지부(130)를 통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힌지부(130)는, 도2에 θ1로서 나타낸 회전 방향으로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1 회전축(131a)과, θ2로서 나타낸 회전 방향으로 제1 하우징(110)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2 회전축(132a)을 구비한 2축 힌지이다. 제1 회전축(131a)과 제2 회전축(132a)은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제2 회전축(132a)을, 제1 하우징(110)의 짧은 변의 중심점끼리를 연결한 중심선(C1)보다도, 외측으로 옮겨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힌지부(130)의 구성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2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0)에는 액정 표시 패널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부(111)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단에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가 배치되어 있다. 표시부(111)에는 전화로서의 사용시에 있어서는 전화 번호가, 메일로서의 사용시에는 송수신하는 메일 텍스트 등이 표시되고, 텔레비전 방송 수신시에는 텔레비전 방송의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표시부(111)에 표시되는 텔레비전 방송의 영상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1)가 세로로 긴 상태에 있어서는 세로로 길게 표시되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1)가 가로로 긴 상태에 있어서는 가로로 길게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제2 하우징(120)에는, 숫자 등의 다이얼 키나 각종 기능 키로 구성되는 조작 부(121)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하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폰을 배치하고 있다. 조작부(121)로서 준비된 기능 키 중에는, 텔레비전 방송 수신 기능에 관한 키도 있고, 텔레비전 방송의 수신을 개시시키는 키나, 채널의 지정을 행하는 키, 음성의 조정을 행하는 키 등이 있다. 또한, 텔레비전 방송 수신 기능에 관한 키는, 다이얼 키 등에 할당하여, 전화로서의 사용시와 텔레비전 방송 시청시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도 좋고, 다이얼 키 등의 키와는 상이한 면에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도1의 (a)는 본 예의 휴대 전화 단말(100)을 닫은 상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는 도2에 도시한 제1 하우징(110)에 마련된 표시부(111)나, 제2 하우징(120)에 마련된 조작부(121) 등은 내측에 수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제1 하우징(110)의 측면인 S1 및 S2에, θ3으로서 나타내어지는 경사를 부여하고 있고, 제2 하우징(120)의 측면인 S3 및 S4에, θ4로서 나타내어지는 경사를 부여하고 있다. θ3과 θ4는, 예를 들어 20°등의 대략 동일한 각도로 한다.
도3은 제1 하우징(110)이 힌지부(130)를 통해 회전한 상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표시부(111)를 구비한 제1 하우징(110)은, 힌지부(130)의 제2 연결부의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θ2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도3에서는 회전축(132a)을 중심으로, 제1 하우징(110)이 θ2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회전축(132a)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의 중심선(C1)보다 외측으로 옮겨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제1 하우징(110)이 회전한 상태에서는, 축이 중심선 상에 설치된 경우에 비해, 제1 하우징(110)이 도면에서 화살표 A1로 나타내어진 방향으로 어긋난다. 또한, 제1 하우징(110)은 힌지부(130)의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180°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제1 하우징(110)을 180°회전시킨 상태에서, 힌지부(130)의 제1 연결부의 회전축(131a)을 중심으로 제2 하우징(120)측으로 쓰러뜨리면, 표시부(111)가 외측을 향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닫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절첩한 예를, 도1의 (b)에 도시하고 있다. 도1의 (b)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110)에 설치된 표시부(111)가 외측을 향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절첩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절첩된 형상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본 예의 휴대 전화 단말(100)의 힌지부(130)의 구성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4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연결하는 힌지부(130)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에 있어서, 제1 연결부(131)는, 회전축(131a)을 중심으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θ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고 있다. 제2 연결부(132)는 회전축(132a)을 중심으로 하여 제1 하우징(110)이 θ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연결하고 있다.
도5는 힌지부(130)의 제2 연결부(132)의 회전축(132a)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0)의 짧은 변의 중심점끼리를 연결한 중심선을 중심선(C1)으로서 도시하고 있고, 회전축(132a)이, M1로서 나타내어진 소정의 양만큼 중심선(C1)보다 외측으로 옮겨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의 표시부(111)가 외측을 향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는, 도5에 있어서 M1로서 나타낸 어긋남량의 2배의 양인 M2분만큼 제1 하우징(110)이 제2 하우징(120)에 대해 화살표 A2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된다. 또한, 제1 하우징(110)의 측면(S1)과 제2 하우징(120)의 측면(S4)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각을 부여하고 있고, 그 경사각은 도6의 (a)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양 경사면끼리가 대략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한편, 도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의 표시부(111)와 제2 하우징(120)의 조작부(121)가 내측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어긋나지 않고 결합된다.
도7은 제2 하우징(120)의 측면(S4)을 아래로 하여 휴대 전화 단말(100)을 세운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의 (a)는 표시부(111)를 외부를 향하게 한 후에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절첩한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7의 (b)는 표시부(111)를 내측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절첩한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의 (a)에 있어서는, 제2 하우징(120)에 대해 제1 하우징(110)이 화살표 A2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으므로, 어긋난 분만큼 제1 하우징(110)의 무게 중심(G1)이 낮게 되어 있다. 도7의 (b)에 있어서는, 제1 하우 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어긋나지 않고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하우징(110)의 무게 중심(G2)은, 도7의 (a)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110)의 무게 중심(G1)보다도 높아진다. 따라서, 도7의 (a)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100)이 쓰러지는 방향(B1)의 지지점인 F1에 대해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는, 도7의 (b)에 도시된 휴대 전화 단말(100)의 지지점 F2에 대해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보다도 작아진다. 이로 인해,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의 쪽이, 보다 안정된 상태로 된다.
도8은 도7의 (a)에 도시된 휴대 전화 단말(100)을 우측 경사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8에 있어서는, 표시부(111)가, 설치면에 대한 수직면으로부터 θ5로서 나타내어진 각도만큼 수평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8에 있어서 θ5로서 나타내어진 각도는, 즉 제1 하우징(110)의 측면(S1)에 마련된 경사각 및 제2 하우징(120)의 측면(4)에 마련된 경사각이다.
다음에, 도9를 참조하여, 본 예의 휴대 전화 단말(100)의 내부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예의 휴대 전화 단말(100)은, 무선 전화용의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전화 통신용 안테나(11)를 구비하고, 그 안테나(11)가 무선 전화 통신용 통신부(12)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13)의 제어로,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통신부(12)에서 통화용 통신을 행할 때에는,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17)에 공급하여 출력시킨다. 이 스피커(17)로부터 출력시킬 때에는, 음성 처리부(19)에서 스피커 출력용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마이크로폰(13)이 포착한 음성 데이터를, 통신부(12)에 공급하여 송신시킨다. 이 송신시에도, 음성 처리부(19)에서 마이크로폰(18)의 출력을 송신용 음성 데이터로 하는 음성 처리가 행해진다. 음성 처리부(19)에는 후술하는 텔레비전 방송의 음성을 출력하는 텔레비전용 스피커(23)도 접속되어 있다. 표시부(111)와 조작부(121)에 대해서는, 도2의 구성예를 참조로 설명한 것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들 휴대 전화 단말(100) 내의 각 블록은, 제어 라인(25)을 통해 제어부(13) 등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라인(26)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메모리(16)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시키도록 하고 있다. 메모리(16)는,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고, 제어부(13)가 각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초기 설정치를 기억하고 있는 것 외에, 제어부(13)가 각종 데이터 처리를 행할 때의 작업 영역으로서도 사용된다. 또한, 메모리(16)와는 별도로, 대용량의 데이터 기억 수단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등을 구비하여, 기억 수단의 일부로서 사용되도록 해도 좋다.
제어부(13)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 제어 장치(프로세서)로 이루어지고, 메모리(16)에 기록되어 있는 각 컴퓨터·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위한 작업 영역으로서 메모리(16)를 사용하면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여, 휴대 전화 단말(100) 내의 각 부분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본 예의 휴대 전화 단말(100)은, 텔레비전 방송국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20)와, 안테나(20)가 얻은 전파로부터 특정한 채널의 방송 신호를 얻는 튜너(21)를 구비하여,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튜너(21)에서는, 조작부(121)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따라서 제어부(13)에서 생성되는 지령을 기초로 하여, 채널을 선택한다. 튜너(21)에서 얻어진 방송 신호는 복조부(復調部)(22)에서 복조되어,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된다.
복조부(22)에서 얻어진 음성 신호는 음성 처리부(19)에 공급되고, 음성 처리부에서 스피커 출력용 처리가 행해진 후에 텔레비전용 스피커(24)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복조부(22)에서 얻어진 영상 신호는 화상 처리부(23)에 공급되고, 화상 처리부(23)에서 화이트 밸런스 보정, 감마 보정 등의 각종 화상 보정이 실시된 후에, 표시부(111)에 표시된다. 또한, 본 예의 휴대 전화 단말(100)이 수신하는 텔레비전 방송은,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중 어느 것이라도 좋은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표시부(111)를 표면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절첩하고, 하우징의 긴 측의 측면을 아래로 하여 책상 위 등에 세우면,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된 경사 분만큼 후방으로 기울어지므로, 시청하기 쉬운 각도에서의 텔레비전 방송 시청이 가능해진다.
또한, 표시부(111)를 표면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절첩하고, 하우징의 긴 측의 측면을 아래로 하여 책상 위 등에 세우면, 제1 하우징(110)의 무게 중심이 낮아지므로, 안정된 상태에서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텔레비전의 채널 지정이나 음성 조정을 행하는 조작 키를, 제2 하우징에 설치된 조작부(121)의 일부로서 배치시킨 예를 설명하였지만,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이 어긋나 절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생기는 단차의 부분에, 집중하여 배치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10에 있어서는, 채널 지정이나 음성 조정을 행하기 위한 조작 키(123)와 텔레비전 방송용 스피커(24)가, 제2 하우징(120)의 상단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텔레비전 방송 시청 중에 채널이나 볼륨을 변경하고 싶어진 경우에도, 하우징을 개폐하거나 회전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텔레비전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나 휴대 게임기, 또는 동등한 기능을 갖는 그 밖의 장치 등이라도 좋고, 다양한 장치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도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이 닫힌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이 열린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하우징의 회전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힌지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힌지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이 닫힌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0 : 안테나
12 : 통신부
13 : 제어부
17 : 스피커
18 : 마이크로폰
19 : 음성 처리부
21 : 튜너
22 : 복조부
23 : 화상 처리부
24 : 텔레비전용 스피커
25 : 제어 라인
26 : 데이터 라인
100 : 휴대 전화 단말
110 : 제1 하우징
111 : 표시부
120 : 제2 하우징
121, 123 : 조작부
130 : 힌지부
131 : 제1 연결부
131a, 132b : 회전축
132 : 제2 연결부
θ1, θ2 : 회전 방향
G : 무게 중심
S : 측면

Claims (6)

  1. 표시부를 갖는 제1 하우징과, 조작부를 갖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고,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중심축과 직교하는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하우징을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대략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중심축을 소정량 시프트시킨 위치에 배치한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부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을 제1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절첩하였을 때에,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위치가 대략 중첩되고,
    상기 제2 연결부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을 제2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절첩하였을 때에,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2 중심축을 소정량 시프트시킨 것에 대응하여, 어긋난 상태로 중첩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은, 각각 소정의 각도 경사시키고 있고,
    상기 제2 연결부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을 제2 위치로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절첩하였을 때에, 양 하우징의 경사진 측면이 대략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경사진 측면을, 소정면에 적재한 경우에,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무게 중심 위치를, 양 하우징을 절첩하였을 때에 중심이 되는 위치보다도 상기 소정면측으로 시프트한 위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를 상기 제1 또는 제2 하우징이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의 수신 조작을 행하는 텔레비전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텔레비전 조작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한쪽의 측면을 대략 동일 평면 상에 배치한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다른 쪽의 측면의 사이에서 생기는 단차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에서 수신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한쪽의 측면을 대략 동일 평면 상 에 배치한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다른 쪽의 측면의 사이에서 생기는 단차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KR1020070089832A 2006-09-06 2007-09-05 휴대 단말 KR200800225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41885 2006-09-06
JP2006241885A JP4219946B2 (ja) 2006-09-06 2006-09-06 携帯端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516A true KR20080022516A (ko) 2008-03-11

Family

ID=3892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832A KR20080022516A (ko) 2006-09-06 2007-09-05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15504B2 (ko)
EP (1) EP1898604B1 (ko)
JP (1) JP4219946B2 (ko)
KR (1) KR20080022516A (ko)
CN (1) CN1011417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5241B2 (ja) * 2006-02-27 2010-09-2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4915448B2 (ja) * 2007-03-27 2012-04-1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12058934A (ja) * 2010-09-08 2012-03-22 Brother Ind Ltd 情報機器
JP6155979B2 (ja) * 2013-08-29 2017-07-05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102152733B1 (ko) * 2014-06-24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1189A (ja) 2000-11-30 2002-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
JP2003174495A (ja) 2001-09-28 2003-06-20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JP3839383B2 (ja) 2002-09-27 2006-11-0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0663573B1 (ko) 2004-06-21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3축 회전 폴더 타입 휴대 장치
JP2006157769A (ja) * 2004-12-01 2006-06-15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端末
JP2006241885A (ja) 2005-03-04 2006-09-14 Daigaku Sangyo Kk 簡易間仕切り
US7546152B2 (en) * 2006-02-17 2009-06-09 Nokia Corporation Portable swivel-fold electronic device with offset swi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15504B2 (en) 2013-08-20
US20080056485A1 (en) 2008-03-06
JP4219946B2 (ja) 2009-02-04
CN101141734B (zh) 2011-03-16
EP1898604A3 (en) 2009-07-15
EP1898604A2 (en) 2008-03-12
JP2008066996A (ja) 2008-03-21
CN101141734A (zh) 2008-03-12
EP1898604B1 (en)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1976B2 (ja) 携帯電話機
US8457690B2 (en) Multi-housing mobile terminal
JP4583344B2 (ja) 携帯電話機
JP3936956B2 (ja) 携帯通信端末
US7805163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data signal
KR20080022516A (ko) 휴대 단말
JP4874427B2 (ja) 携帯通信端末
JP4576812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用ホルダ、携帯情報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124201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404878B2 (ja) 携帯電話機
JP4538434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555241B2 (ja) 携帯端末装置
JP4619338B2 (ja) 携帯端末
JP4618764B2 (ja) 携帯端末
JP4667227B2 (ja) 携帯電話機
JP4236546B2 (ja) 携帯電話機
JP4566206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JP2009055565A (ja) 携帯端末装置
JP2001102825A (ja) 携帯型電話端末
KR20060107240A (ko) 다기능 휴대용 무선 단말기
JP2006246336A (ja) 携帯情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