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041A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041A
KR20080022041A KR1020070085468A KR20070085468A KR20080022041A KR 20080022041 A KR20080022041 A KR 20080022041A KR 1020070085468 A KR1020070085468 A KR 1020070085468A KR 20070085468 A KR20070085468 A KR 20070085468A KR 20080022041 A KR20080022041 A KR 20080022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circuit
semiconductor integrated
pattern
semiconductor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4197B1 (ko
Inventor
유키히로 다네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2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e.g. registration marks, alignment structures, wafer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4Automatically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e.g. using the back-scattered light
    • B23K26/042Automatically aligning the laser b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51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trimming or tuning of electric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 H01L23/5256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comprising fuses, i.e. connections having their state changed from conductive to non-conductive
    • H01L23/525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comprising fuses, i.e. connections having their state changed from conductive to non-conductive the change of state resulting from the use of an external beam, e.g. laser beam or ion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 H01L23/585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plates or strips or rods or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26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align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53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use prior to di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53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use prior to dicing
    • H01L2223/5446Located in scribe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73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use after dicing
    • H01L2223/5448Located on chip prior to dicing and remaining on chip after di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얼라인먼트 패턴의 위치 검출을 정밀하게 행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반도체 집적 회로(17)가 형성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을 복수 개 갖는 반도체 기판(11)과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에 형성된 반도체 집적 회로(17)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10)로서,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의 외주 부근에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20)을 마련하였다.
Figure P1020070085468
화상 인식, 반도체 집적 회로, 반도체 기판, 얼라인먼트 패턴, 위치 검출, 트리밍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에는 복수의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은 반도체 장치의 임의의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은 노광 장치나 트리밍 장치 등의 반도체 제조용 장치가 반도체 장치의 얼라인먼트를 행할 때 사용된다. 반도체 장치의 얼라인먼트는 반도체 제조용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 장치 및 카메라에 의해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을 인식함으로써 행해진다. 따라서,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의 콘트라스트가 낮으면 반도체 장치의 얼라인먼트를 행하기가 어려워진다.
도 11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에서는 트리밍 장치(도시 생략)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에 포함되는 반도체 장치(100) 부분을 도시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반도체 장치(100)는 반도체 기판(101)과, 반도체 집적 회로(102) 및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103)을 갖는다. 반도체 기판(101)은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E)과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E)을 분리하도록 배치된 스크라이브 영역(F)을 갖는다. 반도체 집적 회로(102)는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E)에 대응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설치되어 있다.
얼라인먼트 패턴(103)은 트리밍 장치(도시 생략)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에 대응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E) 중 하나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E) 전체에 마련되어 있다. 얼라인먼트 패턴(103)은 임의의 개소에서 반도체 기판(101) 상에 복수 개 마련되어 있다.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103)으로는 예컨대 콘트라스트가 양호한 TEG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반도체 장치(100)에서는 하나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E) 전체에 얼라인먼트 패턴(103)을 마련하였기 때문에, 하나의 반도체 기판(101)에 형성 가능한 반도체 집적 회로(102)의 수가 감소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로서, 도 12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110)가 있다.
도 12는 종래의 다른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100)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또한 도 12에서는 트리밍 장치(도시 생략)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포함되는 반도체 장치(110) 부분을 도시하였다.
도 12를 참조하면, 종래의 다른 반도체 장치(110)는, 반도체 기판(101)과, 반도체 집적 회로(102) 및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111)을 갖는다. 얼라인먼트 패턴(111)은 트리밍 장치(도시 생략)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배치된 스크라이브 영역(F)에 마련되어 있다. 얼라인먼트 패턴(111)의 재료로는 예컨대 금속인 Al이 사용된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0-323576호 공보
그러나, 최근의 반도체 집적 회로(102)의 미세화에 따라, 스크라이브 영역(F)의 폭(W5)의 협소화로 인해 반도체 장치(110)와 같이 스크라이브 영역(F)에 얼라인먼트 패턴(111)을 마련한 경우, 얼라인먼트 패턴(111)의 폭(W6)이 좁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얼라인먼트 패턴(111)의 상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얼라인먼트 패턴(111)의 위치 검출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얼라인먼트 패턴의 위치 검출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반도체 집적 회로(17)가 형성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을 복수 개 갖는 반도체 기판(11)과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에 형성된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17)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10)로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 중 소정의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1∼B-4)의 외주 부근에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20)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10)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1∼B-4)의 외주 부근에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20)을 마련함으로써 스크라이브 영역(C)의 폭(W1)이 좁은 경우에도 얼라인먼트 패턴(20)에 의해 얼라인먼트에 필요한 빛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얼라인먼트 패턴(20)의 위치 검출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반도체 집적 회로(17)가 형성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을 복수 개 갖는 반도체 기판(11)과,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에 형성된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17)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17)가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17)의 전기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퓨즈 패턴(34)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10)의 제조 방법으로서, 레이저 트리밍 장치에 의해 소정의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1∼B-4)의 외주 부근에 마련된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20)을 이용하여 얼라인먼트를 행하는 얼라인먼트 공정과, 상기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17) 중 전기 특성의 조정이 필요한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17)에 마련된 상기 퓨즈 패턴(34)을 절단하는 퓨즈 패턴 절단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10)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1∼B-4)의 외주 부근에 마련된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20)을 이용하여 얼라인먼트를 행함으로써 얼라인먼트 패턴(20)이 반사하는 빛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얼라인먼트 패턴(20)의 위치 검출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얼라인먼트 패턴(20)의 위치 검출의 정밀도가 향상됨으로써 퓨즈 패턴(34)의 위치 검출 정밀도도 향상되기 때문에, 퓨즈 패턴(34)의 폭이 좁은 경우에도 절단할 필요가 있는 퓨즈 패턴(34)을 정밀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조 부호는 어디까지나 참고이며, 이에 의해 본원 발명이 도시한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얼라인먼트 패턴의 위치 검출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는, 반도체 기판(11)과, 절연막(12, 13)과, 패시베이션막(14)과, 반도체 집적 회로(17)와, 가드 링(18)과, 러프한 얼라인먼트를 행할 때 사용하는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20)과, 도시하지 않은 칩 얼라인먼트 패턴을 갖는다.
반도체 기판(11)은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과,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을 분리하도록 배치된 스크라이브 영역(C)을 갖는다.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은 반도체 집적 회로(17) 및 가드 링(18)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은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2개의 변(D1)(제1 변)과, 변(D1)에 대하여 직교하는 2개의 변(D2)(제2 변)을 갖는다(후술하는 도 2 참조). 변(D1, D2)의 길이는 예컨대 4mm로 할 수 있다.
스크라이브 영역(C)은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을 개편화할 때 다이서가 반도체 기판(11)을 절단하는 영역이다. 반도체 기판(11)으로는 예컨대 Si 웨이퍼를 이용할 수 있다.
절연막(12)은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 및 스크라이브 영역(C)에 대응하는 반도체 기판(11) 상을 덮도록 설치어 있다. 절연막(12)으로는 예컨대 SiO2막을 이용할 있다. 절연막(13)은 절연막(12)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절연막(13)으로는 예컨대 P-SiN막을 이용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14)은 절연막(13) 상에 설치되어 있다. 패시베이션막(14)으로는 예컨대 폴리이미드막을 이용할 수 있다.
반도체 집적 회로(17)는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에 대응하는 반도체 기판(11)에 설치되어 있다. 반도체 집적 회로(17)는 배선(24∼26)과, 절연막(12)과, 비어(28∼30)와, 본딩 패드(33)와, 퓨즈 패턴(34)과, 절연막(13)과, 패시베이션막(14)을 갖는다.
배선(24)은 가드 링(18)의 형성 위치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반도체 기판(11) 상에 설치되어 있다. 배선(25, 26)은 배선(24)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반도체 기판(11) 상에 설치되어 있다. 배선(24∼26)의 재료로는 예컨대 금속인 Al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절연막(12)은 배선(24∼26)을 덮도록 반도체 기판(11)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절연막(12)은 배선(24)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2A)와, 배선(25)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2B)와, 배선(26)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2C)를 갖는다.
비어(28)는 개구부(12A)에 설치되어 있다. 비어(28)의 하단부는 배선(24)과 접속되어 있으며, 비어(28)의 상단부는 본딩 패드(33)와 접속되어 있다. 비어(29)는 개구부(12B)에 설치되어 있다. 비어(29)의 하단부는 배선(25)과 접속되어 있으며, 비어(29)의 상단부는 퓨즈 패턴(34)과 접속되어 있다.
비어(30)는 개구부(12C)에 설치되어 있다. 비어(30)의 하단부는 배선(26)과 접속되어 있으며, 비어(30)의 상단부는 퓨즈 패턴(34)과 접속되어 있다. 비어(28∼30)의 재료로는 예컨대 텅스텐을 이용할 수 있다.
본딩 패드(33)는 절연막(12) 상에 설치되어 있다. 본딩 패드(33)는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본딩 패드(33)는 반도체 집적 회로(17)의 외부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본딩 패드(33)의 재료로는 예컨대 금속인 Al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퓨즈 패턴(34)은 절연막(12) 상에 설치되어 있다. 퓨즈 패턴(34)은 배선(25)과 배선(26)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퓨즈 패턴(34)은 반도체 집적 회로(17)의 전기적인 특성(예컨대 저항값 등)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17) 중 저항값이 소정의 값보다 높은 반도체 집적 회로(17)가 존재한 경우에는 트리밍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소정의 값보다 높은 반도체 집적 회로(17)의 퓨즈 패턴(34)을 절단한다. 배선(25)과 배선(26) 사이를 절연함으로써 회로를 변경하여, 반도체 집적 회로(17)의 저항값을 내릴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집적 회로(17)가 메모리용 반도체 집적 회로인 경우, 반도체 집적 회로(17)의 퓨즈 패턴(34)을 절단함으로써 불량 비트를 포함하는 불량 회로를 미리 준비한 리던던시 회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퓨즈 패턴(34)으로는 예컨대 폴리 실리콘막 또는 금속막(예컨대 Al 합금 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절연막(13)은 퓨즈 패턴(34)을 덮도록 절연막(12)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절연막(13)에는 본딩 패드(33)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패시베이션막(14)은 절연막(13) 상에 설치되어 있다. 패시베이션막(14)에는 개구부(13A)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4A)와, 퓨즈 패턴(34)의 상방에 배치된 절연막(13)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4B)는 트리밍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퓨즈 패턴(34)을 절단할 때의 창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에서는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포함되는 반도체 장치(100) 부분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X-X 방향은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의 변(D1)(제1 변)과 대략 평행한 방향, Y-Y 방향은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의 변(D2)(제2 변)과 대략 평행한 방향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도 2의 중앙 부근에 배치된 4개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을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1∼B-4)이라 칭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1∼B-4)은 얼라인먼트 패턴(20)이 형성되는 소정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드 링(18)은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의 외주 부근에 위치하는 반도체 기판(11) 상에 설치되어 있다. 가드 링(18)은 반도체 집적 회로(17)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드 링(18)은 배선(36, 38)과 비어(37)를 갖는다. 배선(36)은 액자 형상으 로 되어 있으며, 반도체 집적 회로(17)를 둘러싸도록 반도체 기판(11) 상에 설치되어 있다. 배선(36)의 일부는 절연막(12)에 형성된 개구부(12D)에 의해 노출되어 있다. 비어(37)는 개구부(12D)에 설치되어 있다. 비어(37)의 하단부는 배선(36)과 접속되어 있으며, 비어(37)의 상단부는 배선(38)과 접속되어 있다. 배선(38)은 비어(37)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절연막(12) 상에 설치되어 있다. 배선(38)의 폭은 예컨대 20μm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가드 링(18)을 반도체 집적 회로(17)를 둘러싸도록 설치함으로써 수분이나 부식성의 가스가 반도체 집적 회로(17)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얼라인먼트 패턴(20)은 제1 패턴(20X1∼20X4)과 제2 패턴(20y1∼20y4)을 갖는다. 제1 패턴(20X1∼20X4)은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의 변(D1)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띠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제1 패턴(20X1)은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1)에 설치된 배선(38)(가드 링(18)을 구성하는 배선) 중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4)의 변(D1)과 대향하는 배선(38) 부분의 상면을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으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1 패턴(20X2)은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2)에 설치된 배선(38)(가드 링(18)을 구성하는 배선) 중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3)의 변(D1)과 대향하는 배선(38) 부분의 상면을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으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1 패턴(20X3)은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3)에 설치된 배선(38)(가드 링(18)을 구성하는 배선) 중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2)의 변(D1)과 대향하는 배선(38) 부분의 상면을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으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1 패턴(20X4)은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4)에 설치된 배선(38)(가드 링(18)을 구성하는 배선) 중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1)의 변(D1)과 대향하는 배선(38) 부분의 상면을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으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2 패턴(20y1∼20y4)은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의 변(D2)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띠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제2 패턴(20y1∼20y4)은 제1 패턴(20X1∼20X4)과 이루는 각도가 대략 직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패턴(20y1)은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1)에 설치된 배선(38)(가드 링(18)을 구성하는 배선) 중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2)의 변(D2)과 대향하는 배선(38) 부분의 상면을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으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2 패턴(20y2)은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2)에 설치된 배선(38)(가드 링(18)을 구성하는 배선) 중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1)의 변(D2)과 대향하는 배선(38) 부분의 상면을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으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2 패턴(20y3)은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3)에 설치된 배선(38)(가드 링(18)을 구성하는 배선) 중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4)의 변(D2)과 대향하는 배선(38) 부분의 상면을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으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2 패턴(20y4)은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4)에 설치된 배선(38)(가드 링(18)을 구성하는 배선) 중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3)의 변(D2)과 대향하는 배선(38) 부분의 상면을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으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제1 및 제2 패턴(20X1∼20X4, 20y1∼20y4)은 절연막(13)에 형성된 개구부(13B) 및 패시베이션막(14)에 형성된 개구부(14C)으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배선(38)의 상면을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으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패턴(20X1∼20X4, 20y1∼20y4)의 상면에 의해 반도체 장치(10)의 상방에 배치된 트리밍 장치의 촬영용 카메라를 향해 빛을 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된 얼라인먼트 패턴(20)은 반도체 기판(11)에 임의의 개소에서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패턴(20X1∼20X4, 20y1∼20y4)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3B, 14C)는 본딩 패드(33)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3A, 14A)를 형성할 때 동시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의 외주 부근에 제1 및 제2 패 턴(20X1∼20X4, 20y1∼20y4)으로 이루어지는 얼라인먼트 패턴(20)을 마련함으로써 스크라이브 영역(C)의 폭(W1)이 좁은 경우에도 얼라인먼트에 필요한 빛(반사광)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얼라인먼트 패턴(20)의 위치 검출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의 외주 부근에 얼라인먼트 패턴(20)을 마련함으로써 스크라이브 영역(C)을 다이서로 절단하여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을 개편화할 때, 절단 칩(얼라인먼트 패턴(20)을 절단함으로써 발생하는 칩)이 발생하는 것이 없어지기 때문에 절단 후의 반도체 집적 회로(17)의 수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가드 링(18)에 설치된 배선(38)의 상면을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으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얼라인먼트 패턴(20)를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반도체 장치(100, 110)와 같이 별도 얼라인먼트 패턴을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10)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딩 패드(33)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3A, 14A)를 형성할 때, 얼라인먼트 패턴(20)이 될 배선(38) 부분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3B, 14C)를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장치(10)의 제조 공정을 증가시키지 않고 얼라인먼트 패턴(20)을 형성할 수 있다.
칩 얼라인먼트 패턴(도시 생략)은 반도체 기판(11)에 임의의 개소에서 복수 개 마련되어 있다. 칩 얼라인먼트 패턴은 얼라인먼트 패턴(20)보다 미세한 형상 (예컨대 100μm□ 정도의 크기)의 얼라인먼트용 패턴이다. 일반적으로, 얼라인먼트 패턴(20)을 이용하여 대략적인 얼라인먼트를 행하고, 이어서 칩 얼라인먼트 패턴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그 반사를 이용하여 고정밀한 얼라인먼트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에 따르면,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의 외주 부근에 제1 및 제2 패턴(20X1∼20X4, 20y1∼20y4)으로 이루어지는 얼라인먼트 패턴(20)을 마련함으로써 스크라이브 영역(C)의 폭(W1)이 좁은 경우에도 얼라인먼트에 필요한 빛(반사광)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얼라인먼트 패턴(20)의 위치 검출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의 외주 부근에 얼라인먼트 패턴(20)을 마련함으로써 스크라이브 영역(C)을 다이서로 절단할 때 얼라인먼트 패턴(20)에 기인하는 절단 칩이 발생하는 것이 없어지기 때문에, 다이싱 후의 반도체 집적 회로(17)의 수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미리 테스터에 의해 반도체 장치(10)에 설치된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17)의 전기적인 검사를 행하고, 이 검사 결과에 따라 트리밍 장치에 의해 반도체 집적 회로(17)에 마련된 퓨즈 패턴(34)을 절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처리가 실행되면, 먼저 STEP 51에서는 테스터에 의해 검사된 반도체 장치(10)를 트리밍 장치 내로 반송하여 트리밍 장치 스테이지 상에 고정한다. 이 때, 반도체 기판(11)에 설치된 오리피스나 스크라이브 영역(C)을 이용하여 각도 맞춤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STEP 52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얼라인먼트 패턴(20)을 이용하여 코스 얼라인먼트를 행한다. 코스 얼라인먼트는 반도체 장치(10)에 마련된 임의의 개소의 얼라인먼트 패턴(20)에 대하여 행한다. 코스 얼라인먼트란 트리밍 영역을 인식하는 레벨의 거친 조정 얼라인먼트이다.
이어서 STEP 53에서는, 얼라인먼트 패턴(20)을 이용하여 시터 얼라인먼트를 행한다. 시터 얼라인먼트는 반도체 장치(10)에 마련된 임의의 개소의 얼라인먼트 패턴(20)에 대하여 행한다. 시터 얼라인먼트란 각도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한 얼라인먼트이다. STEP 52, 53의 처리가 얼라인먼트 패턴(20)을 이용한 얼라인먼트 공정이다. 이어서, 앞에서 설명한 얼라인먼트(20) 등을 이용하여 파인 얼라인먼트 를 행한다. 파인 얼라인먼트란 칩 얼라인먼트 패턴을 인식하는 레벨의 정밀 조정 얼라인먼트이다.
이어서, STEP 54에 도시한 공정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칩 얼라인먼트 패턴을 이용하여 칩 얼라인먼트를 행한다. 칩 얼라인먼트는 얼라인먼트 패턴(20)보다 미세한 칩 얼라인먼트 패턴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그 반사의 피크를 검출하는 얼라인먼트이다. 칩 얼라인먼트란 레이저를 조사하는 퓨즈 패턴의 위치를 확정하는 레벨의 고정도 얼라인먼트이다.
이어서 STEP 55에서는, 테스터로부터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17)의 검사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읽는다. 이어서 STEP 56에서는, 테스터에 의한 복수의 반도 체 집적 회로(17)의 검사 결과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퓨즈 패턴(34)의 절단이 필요한 반도체 집적 회로(17)의 퓨즈 패턴(34)으로 이동한다.
도 4는 절단된 퓨즈 패턴의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제1 실시의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G는 레이저에 의해 절단된 영역을 나타낸다.
이어서 STEP 57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를 조사하여 퓨즈 패턴(34)을 절단한다(퓨즈 패턴 절단 공정). 이에 따라 배선(25)과 배선(26) 사이가 절연된다.
이어서 STEP 58에서는, 퓨즈 패턴(34)의 절단이 필요한 반도체 집적 회로(17)가 또 없는지 여부의 판정 처리가 행해진다. 판정이 Yes인 경우에는 처리는 STEP 56으로 되돌아온다. 또한 판정이 No인 경우에는 모든 처리는 종료된다.
본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의 외주 부근에 마련되며, 반사광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얼라인먼트 패턴(20)을 이용하여 얼라인먼트(구체적으로는, 코스 얼라인먼트 및 시터 얼라인먼트)를 행함으로써 얼라인먼트 패턴(20)의 위치 검출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얼라인먼트 패턴(20)의 위치 검출의 정밀도가 향상됨으로써 퓨즈 패턴(34)의 위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퓨즈 패턴(34)의 폭이 좁은 경우에도 절단할 필요가 있는 퓨즈 패턴(34)을 정밀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얼라인먼트 패턴(20)을 사용하는 반도체 제조용 장치로서 트리밍 장치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는 트리밍 장치 이외의 반도체 제조용 장치, 예컨대 노광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얼라인먼트 패턴(20)을 형성하는 4개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1∼B-4)은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존재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이면 어느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에 형성하여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에서는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포함되는 반도체 장치(50) 부분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50)는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에 마련된 얼라인먼트 패턴(20) 대신 얼라인먼트 패턴(51)을 마련한 것 이외에는 반도체 장치(1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얼라인먼트 패턴(51)은 제1 패턴(20X2, 20X3)과, 제2 패턴(20y1, 20y2)을 갖는다. 얼라인먼트 패턴(51)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얼라인먼트 패턴(20)의 구성 요소에서 제1 패턴(20X1, 20X4)과, 제2 패턴(20y3, 20y4)을 제외한 것 이외에는 얼라인먼트 패턴(2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얼라인먼트 패턴(51)을 구성하는 제2 패턴(20y1)은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에 형성된 개구부(52)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한 얼라인먼트 패턴(51)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패턴(20X2, 20y2)은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에 형성된 개구부(53)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얼라인먼트 패턴(51)을 구성하는 제1 패턴(20X3)은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에 형성된 개구부(54)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얼라인먼트 패턴(51)은 3개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1∼B-3)(소정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얼라인먼트 패턴(51)을 구비한 제2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50)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3에 도시한 처리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 대신 본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5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대하여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얼라인먼트 패턴(51)을 형성하는 3개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1∼B-3)은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존재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이면, 어느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에 형성하여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에 서는,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포함되는 반도체 장치(60) 부분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60)는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에 마련된 얼라인먼트 패턴(20) 대신 얼라인먼트 패턴(61)을 마련한 것 이외에는 반도체 장치(1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얼라인먼트 패턴(61)은 제1 패턴(20X1)과 제2 패턴(20y1)을 갖는다. 얼라인먼트 패턴(61)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얼라인먼트 패턴(20)의 구성 요소에서 제1 패턴(20X2, 20X3, 20X4)과 제2 패턴(20y2, 20y3, 20y4)을 제외한 것 이외에는 얼라인먼트 패턴(20)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얼라인먼트 패턴(61)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패턴(20X1, 20y1)은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포함되는 하나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소정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에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패턴(20X1, 20y1)은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에 형성된 개구부(62)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에 마련된 얼라인먼트 패턴(61)을 구비한 제3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60)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3에 도시한 처리에 있어서, 제1 실시 형 태의 반도체 장치(10) 대신 본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6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얼라인먼트 패턴(61)을 형성하는 하나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은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존재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이면 어느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에 형성하여도 좋다.
(제4 실시 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에서는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포함되는 반도체 장치(65) 부분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65)는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에 마련된 얼라인먼트 패턴(20) 대신 얼라인먼트 패턴(66)을 마련한 것 이외에는, 반도체 장치(1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얼라인먼트 패턴(66)은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포함되는 하나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1)(소정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의 외주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얼라인먼트 패턴(66)은 제1 패턴(68x)과 제2 패턴(68y)을 갖는다.
제1 패턴(68x)은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의 변(D1)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띠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제1 패턴(68x)은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1)에 마련된 배선(38)(가드 링(18)을 구성하는 배선) 중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4)의 변(D1)과 대향하는 배선(38)의 일부분의 상면을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으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1 패턴(68x)은 제2 패턴(68y)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2 패턴(68y)은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의 변(D2)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띠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으며, 제1 패턴(68x)과 이루는 각도가 대략 직각인 패턴이다. 제2 패턴(68y)은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1)에 설치된 배선(38)(가드 링(18)을 구성하는 배선) 중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4)의 변(D2)과 대향하는 배선(38)의 일부분의 상면을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으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패턴(68x, 68y)은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에 형성된 L자형의 개구부(67)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패턴(68x, 68y)은 반도체 장치(65)의 상방에 배치된 트리밍 장치의 촬영용 카메라에 빛을 반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얼라인먼트 패턴(66)을 구비한 제4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65)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3에 도시한 처리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 대신 본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65)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얼라인먼트 패턴(66)을 형성하는 하나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은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존재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이면, 어느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에 형성하여도 좋다.
(제5 실시 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에서는,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포함되는 반도체 장치(70) 부분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8을 참조하면, 제5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70)는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에 마련된 얼라인먼트 패턴(20) 대신 얼라인먼트 패턴(71)을 마련한 것 이외에는 반도체 장치(1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얼라인먼트 패턴(71)은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포함되는 하나의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의 외주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얼라인먼트 패턴(71)은 제1 패턴(73x1, 73x2)과 제2 패턴(73y1,73y2)을 갖는다.
제1 패턴(73x1, 73x2)은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의 변(D1)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띠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제1 패턴(73x1, 73x2)은 하나의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에 마련된 배선(38)(가드 링(18)을 구성하는 배선) 중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의 변(D1)과 대략 평행한 배선(38) 부분의 상면을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으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2 패턴(73y1,73y2)은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의 변(D2)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띠형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제2 패턴(73y1,73y2)은 제1 패턴(73x1, 73x2)과 이루는 각도가 대략 직각임과 아울러, 제1 패턴(73x1, 73x2)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2 패턴(73y1,73y2)은 제1 패턴(73x1, 73x2)이 형성된 하나의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에 마련된 배선(38)(가드 링(18)을 구성하는 배선) 중 반도체 집적 회로 영역(B)의 변(D2)과 대략 평행한 배선(38) 부분의 상면을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으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제1 및 제2 패턴(73X1, 73X2, 73y1, 73y2)은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에 형성된 개구부(72)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개구부(72)는 액자형으로 되어 있다. 개구부(72)는 절연막(13) 및 패시베이션막(14)으로부터 배선(38)의 상면을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얼라인먼트 패턴(71)을 구비한 제5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70)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3에 도시한 처리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 대신 본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7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얼라인먼트 패턴(71)을 형성하는 하나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은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존재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이면, 어느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에 형성하여도 좋다.
(제6 실시 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에서는,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포함되는 반도체 장치(75) 부분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9를 참조하면, 제6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75)는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에 마련된 얼라인먼트 패턴(20) 대신 얼라인먼트 패턴(76)을 마련한 것 이외에는, 반도체 장치(1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얼라인먼트 패턴(76)은 제5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얼라인먼트 패턴(71)을 3개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3개의 얼라인먼트 패턴(71)은 L자형으로 배치된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1, B-3, B-4)(소정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얼라인먼트 패턴(76)을 구비한 제6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75)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3에 도시한 처리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 대신 본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75)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얼라인먼트 패턴(76)을 형성하는 3개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1, B-3, B-4)은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존재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이면, 어느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에 형성하여도 좋다.
(제7 실시 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 평면도이다. 도 10에서는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상 영역 내에 포함되는 반도체 장치(80) 부분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7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80)는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에 마련된 얼라인먼트 패턴(20) 대신 얼라인먼트 패턴(81)을 마련한 것 이외에는, 반도체 장치(1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얼라인먼트 패턴(81)은 제5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얼라인먼트 패턴(71)을 5개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5개의 얼라인먼트 패턴(71)은 십자형으로 배치된 반 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1, B-3, B-4∼B-6)(소정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의 외주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1, B-5)은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4)과 이웃하도록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4)의 Y-Y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3, B-6)은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4)과 이웃하도록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4)의 X-X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얼라인먼트 패턴(81)을 구비한 제7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80)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3에 도시한 처리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10) 대신 본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8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얼라인먼트 패턴(81)을 형성하는 5개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1, B-3, B-4∼B-6)은 트리밍 장치에 설치된 화상 인식용 카메라가 촬상하는 촬영 영역 내에 존재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이면, 어느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B)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 청구 범위 내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절단된 퓨즈 패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다른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50, 60, 65, 70, 75, 80 : 반도체 장치 11 : 반도체 기판
12, 13 : 절연막
12A∼12D, 13A, 13B, 14A∼14C, 52∼54, 67, 72 : 개구부
14 : 패시베이션막 17 : 반도체 집적 회로
18 : 가드 링
20, 51, 61, 66, 71, 76, 81 : 얼라인먼트 패턴
20X1, 20X2, 20X3, 20X4, 68x, 73X1, 73X2 : 제1 패턴
20y1, 20y2, 20y3, 20y4, 68y, 73y1, 73y2 : 제2 패턴
24∼26, 36, 38 : 배선 28∼30, 37 : 비어
33 : 본딩 패드 34 : 퓨즈 패턴
B, B-1∼B-4 :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 C : 스크라이브 영역
D1, D2 : 변 W1 : 폭

Claims (8)

  1. 반도체 집적 회로가 형성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을 복수 개 갖는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에 형성된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 중 소정의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의 외주 부근에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은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을 하고 있으며,
    상기 얼라인먼트 패턴은 상기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의 제1 변과 대략 평행한 제1 패턴과, 상기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의 제2 변과 대략 평행한 제2 패턴을 가지며,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제1 패턴이 마련된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와 다른 상 기 반도체 집적 회로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패턴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의 각각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먼트 패턴은 상기 얼라인먼트 패턴을 덮는 패시베이션 막으로부터 노출된 배선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은 가드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먼트 패턴은 레이저 트리밍 장치가 얼라인먼트될 때 사용하는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8. 반도체 집적 회로가 형성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을 복수 개 갖는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에 형성된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 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가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의 전기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퓨즈 패턴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레이저 트리밍 장치에 의해 소정의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 형성 영역의 외주 부근에 마련된 화상 인식용 얼라인먼트 패턴을 이용하여 얼라인먼트를 행하는 얼라인먼트 공정과,
    상기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 중, 전기 특성의 조정이 필요한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에 마련된 상기 퓨즈 패턴을 절단하는 퓨즈 패턴 절단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70085468A 2006-09-05 2007-08-24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04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40324A JP5076407B2 (ja) 2006-09-05 2006-09-05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6-00240324 2006-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041A true KR20080022041A (ko) 2008-03-10
KR100904197B1 KR100904197B1 (ko) 2009-06-23

Family

ID=3928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468A KR100904197B1 (ko) 2006-09-05 2007-08-24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81901B2 (ko)
JP (1) JP5076407B2 (ko)
KR (1) KR100904197B1 (ko)
TW (1) TW2008182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9911A1 (en) * 2004-07-26 2006-02-23 Sun Microsystems, Inc. Multi-chip module and single-chip module for chips and proximity connectors
JP5263918B2 (ja) * 2007-07-24 2013-08-1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353035B2 (ja) * 2008-03-17 2013-11-27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66857B2 (ja) * 2008-04-24 2013-08-2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チップのアライメント方法
JP2010074106A (ja) * 2008-09-22 2010-04-02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チップ、半導体ウェーハおよびそのダイシング方法
JP2013157385A (ja) * 2012-01-27 2013-08-15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半導体装置及びその自動外観検査方法
WO2017027505A1 (en) * 2015-08-10 2017-02-16 Delta Design, Inc. Ic device-in-pocket detection with angular mounted lasers and a camera
KR102403730B1 (ko) 2018-01-22 2022-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CN113394193B (zh) * 2020-03-13 2022-03-22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激光熔丝的熔断方法
KR102507592B1 (ko) * 2021-05-24 2023-03-09 한국과학기술원 Mems 소자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3419A (ja) * 1988-03-25 1989-09-28 Hitachi Ltd 位置合わせ方法
JPH1012527A (ja) * 1996-06-26 1998-01-16 Hitachi Ltd 半導体チップおよび半導体製造用レチクル
KR100298193B1 (ko) * 1998-06-16 2001-11-15 박종섭 웨이퍼의수평정렬을위한레티클
KR20000026310A (ko) * 1998-10-20 2000-05-15 김영환 반도체장치
JP3566133B2 (ja) 1999-05-11 2004-09-15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441504B1 (en) * 2000-04-25 2002-08-27 Amkor Technology, Inc. Precision aligned and marked structure
US7053495B2 (en) * 2001-09-17 2006-05-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6815838B2 (en) * 2002-02-20 2004-1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aser alignment target and method
KR100463047B1 (ko) 2002-03-11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퓨즈 박스 및 그 제조방법
JP2005109145A (ja) * 2003-09-30 2005-04-2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JP4753170B2 (ja) 2004-03-05 2011-08-24 三洋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673569B2 (ja) * 2004-03-31 2011-04-20 株式会社リコー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44175B (ko) 2011-06-21
US20080251950A1 (en) 2008-10-16
US7781901B2 (en) 2010-08-24
KR100904197B1 (ko) 2009-06-23
JP5076407B2 (ja) 2012-11-21
JP2008066381A (ja) 2008-03-21
TW200818292A (en)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197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499281B1 (ko) 반도체장치, 그의 제조공정 및 그의 검사방법
US7456083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7045908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027529B2 (ja) 半導体装置、ならびに外観検査方法
US20030038367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58386B1 (ko) 반도체소자 형성용 기판 및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JP2006147915A (ja) 光学デバイス
US20070187838A1 (en) Pad structure for bonding pad and probe p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6066561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と検査装置並びに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6140276A (ja) 半導体ウェーハとそれを用いた半導体素子及びチップサイズ・パッケージ並びに半導体ウェーハの製造方法、半導体ウェーハの検査方法
JP2004140157A (ja) 半導体ウエハ及び半導体チップ並びに半導体ウエハのダイシング方法
US20200303268A1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residual test pattern
JP2007036252A (ja) 改善されたパッド構造を有する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パッド形成方法
US20080303177A1 (en) Bonding pad structure
KR100755353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웨이퍼 및 웨이퍼의 제조 방법
US20160043037A1 (en) Mark,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wafer
US20040238973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lignment post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70052114A1 (en) Alignment checking structure and process using thereof
KR100894179B1 (ko) 기판 스트립
JP2007335459A (ja) 半導体ウエハ、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120068176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020065047A (ko) 웨이퍼의 절삭 방법
JP2004040136A (ja)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検査方法
JP2001358144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