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9620A - 가정용 기구의 위치결정용 풋유닛 - Google Patents

가정용 기구의 위치결정용 풋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620A
KR20080019620A KR1020077029302A KR20077029302A KR20080019620A KR 20080019620 A KR20080019620 A KR 20080019620A KR 1020077029302 A KR1020077029302 A KR 1020077029302A KR 20077029302 A KR20077029302 A KR 20077029302A KR 20080019620 A KR20080019620 A KR 20080019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ot
spindle
adjustmen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에트마르 블러쉬
클라우스 아놀트
오리베르 베이데레네르
Original Assignee
리브헤르-하우스게레테 옥센하우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브헤르-하우스게레테 옥센하우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리브헤르-하우스게레테 옥센하우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19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7/00Details of attaching or adjusting engine beds, frames, or supporting-legs on foundation or base; Attaching non-moving engine parts, e.g. cylinder b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11Means for leveling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8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용 기구의 위치를 정하는 풋유닛(10), 특히,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의 위치를 정하는 풋유닛에 관한 것으로, 회전가능한 로드(20)를 갖는 높이조정기구와 하우징(60)에 장착되는 스핀들(30)을 구비함으로써 회전가능하게 하고, 적어도 일부에 나사를 구비하여, 로드가 회전하면 스핀들이 회전하도록 로드와 스핀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조정유닛 특히, 너트(40)를 구비하여, 회전에 의해 너트가 고정 장착되고, 너트가 스핀들의 나사와 맞물리는 나사를 구비하며, 풋부분(65)를 구비하여 하우징에 대해 변위될 수 있도록 하고, 풋부분 및/또는 조정유닛은 경사면을 구비하여 조정유닛이 풋부분과 접촉하도록 한 것이다.
로드, 스핀들, 가정용 기구, 냉장고, 냉동기, 조정유닛

Description

가정용 기구의 위치결정용 풋유닛{POSITIONING FOOT UNIT OF A DOMESTIC APPLIANCE}
본 발명은 가정용 기기 특히, 냉장고 유닛 및/또는 냉동기 유닛의 조정풋유닛(adjustment foot unit)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기기의 풋의 높이조정기구는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알려져 있다.
냉장고유닛의 풋의 수직조정기구(vertical adjustment device)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조절형 로드를 구비하고 그 끝단 영역이 기어휠(gear wheel)에 회전가능하면서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 US4,991,805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기어휠은 차례로 너트와 맞물리는데, 너트의 암나사는, 풋부분(foot part)에 연결되고 나사가공된 로드의 수나사와 맞물린다. 상기 너트의 회전으로 풋의 위치가 변경되고 그로써 유닛의 수직조정이 이루어진다.
독일특허 DE196 06 460호로부터는, 액츄에이션 로드의 회전력이 웜기어에 의해 전달되어 풋부분의 축조정이동이 이루어지는 수직조정기구가 알려져 있다.
미국특허 US4,789,121호는 냉장고 유닛의 수직조정기구에 관한 것으로, 유닛의 작동측으로부터 접근가능하고 나사가공된 로드를 갖는다. 더욱이, 상기 수직조정기구는 풋을 구비하여, 상기 풋은 냉장고유닛의 하우징에 축회전가능하게 지지되 고 그 안에 나사가공된 로드와 맞물리는 너트가 회전가능하면서 고정적으로 위치된다. 나사가공 로드가 회전하여 나사가공 로드에 대해 너트가 축방향으로 변위되고 이로써 풋이 정적으로 장착된 피봇축 둘레로 축회전한다. 아울러, 미국특허 US5,749,550로부터는 축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풋을 구비하는 수직조정기구가 공지되어 있다. 이 기구에서는, 축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풋이 타이로드(tie rod)와 맞물리고, 타이로드의 위치는 나사가공 로드를 통해 조정가능하다. 만약 나사가공 로드가 작동하면, 타이로드의 위치가 변경되고 이로써 풋이 축회전한다. 풋의 축회전이동으로 유닛의 수직조정이 이루어진다.
미국특허 US4,955,569; US3,186,670 및 US3,071,887로부터 수직방향조정기구들이 공지되어 있는데, 유닛의 작동측으로부터 접근가능한 작동로드를 회전하면, 경사진 평면과 맞물린 조정부재가 이동되어 경사진 평면에 대한 조정부재의 위치가 변경되고, 이에 따라 유닛의 수직위치가 변경된다.
미국특허 US 3,750,989호는 가정용 기구의 수직조정기구를 공개한 것으로, 기구는 작동측으로부터 접근가능한 회전형 조정로드를 갖는다. 상기 로드의 나사는 너트의 암나사와 맞물리고, 너트는 축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유닛의 풋 안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로드가 회전하면 너트와 로드 사이에서 축이동이 일어나고 이로써 풋이 축회전하여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US 3,927,853호는 축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풋을 구비하는 유닛의 수직조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유닛의 피봇각 그리고, 그에 따른 유닛의 수직위치는, 축회전가능한 풋과 하우징 사이로 후퇴되도록 한 쐐기형부재(wedge-shaped element)의 위치로 결정된다. 유닛의 이동 은 유닛의 작동측에서 로드 또는 와이어(wire)에 의해 제어된다.
DE 36 04 838 및 DE 43 43 709은 가정용 기구들의 풋의 수직조정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구는 유닛의 작동측 또는 측벽으로부터 접근가능한 신축성 샤프트(flexible shaft)에 의해 작동된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수직조정기구들은, 작동로드들이 풀로드(pull rod) 및 푸시로드(push rod)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로드들은 기구 하중으로 인해 풋에 작용하는 힘을 가정용 기구의 전방영역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반응력은 기구의 전체 프레임에 가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알려진 종류의 조정풋 유닛을 좀더 개발하여 작동로드로 하여금 모든 밀거나 당기는 힘을 흡수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갖는 가정용 기구의 풋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른 수직조정기구를 위한 방안은, 회전가능한 로드(rotatable rod)와,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적어도 일부에 나사산을 갖는 스핀들(spindle)을 구비하는 것이다. 로드와 스핀들은 서로 연결됨으로써 로드가 회전하면 스핀들이 회전하게 한다. 더욱이, 회전가능하게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조정유닛 또는 너트(nut)는 스핀들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을 구비한 것이 제공된다. 끝으로, 하우징에 대해 위치변경이 가능한 풋부분을 장착되고, 풋부분 및/또는 조정유닛은 경사면(sloped plane)을 구비하여 조정유닛이 풋부분과 접촉하도록 한다.
스핀들이 로드에 의해 회전하면, 조정유닛 또는 스핀들 상의 너트의 변위(displacement)가 개시된다. 경사면이 너트와 풋 부품 사이에서 접촉면을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에 대한 풋 부분의 푸쉬인(push-in) 또는 푸쉬아웃(push-out) 이동 그리고, 이로 인한 전체 가정용 기구의 수직조정이 개시된다.
기구 하중에 의해 유발된 수직 하중에 대한 반발력은 조정풋 유닛의 하우징d에 의해 흡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조정풋유닛의 하우징이 풋부분의 영역에 위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기구의 전체 종방향 측 또는 횡방향 측에 걸쳐 뻗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정유닛 또는 너트는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스핀들의 회전시 풋부분에 대한 슬라이딩이동을 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마련된 방안은, 스핀들은 수나사산을 구비하여 너트 또는 슬라이더의 암나사와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분리가능한 연결수단 특히, 플러그인 커플링(plug-in coupling)이 로드와 스핀들 사이에 구비되어, 다른 추가적인 연결부재없이, 두 요소를 서로 연결한다. 또한, 분리되지 않는 연결수단도 생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로드와 스핀들을 단일 부품 즉, 두 부재가 동일한 요소로 형성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핀들은 수평으로 장착된다. 스핀들은, 바람직하게는, 스핀들의 축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이격된 두 지점에 장착되고, 스핀들 사이에 수나사를 형성한 부분을 구비하여 너트가 이동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풋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속으로 밀어넣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풋부분은 아래쪽에서부터 하우징 안으로 밀어넣어지며, 너트와 풋부분의 상대적인 위치는 풋부분의 수직위치를 통해 그리고 가정용 기구의 수직위치를 통해 정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롤러가 축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축은 풋부분에 장착된다. 이렇게 하여, 롤링조정풋(rolling adjustment foot)은, 가정기구가 설치될 때, 풋부분의 모든 지점에서 안정감이 주도록 제공되어, 롤링 이동(rolling movement)이 주의깊게 실행될 수 있어 바닥외피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마련된 방안은, 풋부분이 하우징에 형상부합하는(in a shape matched manner) 수납이 되도록 하여, 풋부분이 하우징에 대해 수직축 둘레로 회전하지 못하거나 제한된 범위에서만 회전되도록 한다. 그로써, 풋부분은 하우징에 형상부합하는 방식으로 안내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안팎으로 밀어넣어지고 밀려나올 수 있되, 하우징 안에서는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없도록 한다.
조정유닛은 암나사가 형성된 천공부(bore)를 가질 수 있는데, 스핀들이 회전가능하게 수납되며, 조정유닛은 표면에 경사면을 형성하는데, 경사면은 천공부의 종방향 중심선에 대해 경사진 것이다. 수평으로 장착된 스핀들과 함께, 천공부가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장착되고, 풋부분에 연결되는 조정유닛의 표면은 스핀들이나 천공부의 종방향 중심선에 대해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마련된 방안은, 로드(rod)가 일 끝단영역에 툴장착부(tool mount)를 구비하여 툴을 이용하여 로드가 회전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툴장착부는 외향구동부(outward drive)와 내향구동부(inward drive) 모두에 적용가능하여 다양한 구동부 옵션이 가능하다.
스핀들은, 로드의 추가적인 회전에 의해 발부분의 가장 바닥위치에 도달한 뒤에는 하우징 밖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부재가 스핀들을 축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도록 하고 항시 바람직한 축방향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고정부재가 하우징에 장착되는 스프링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냉장고 유닛 및/또는 냉동기 유닛에 관한 것으로,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풋 조정기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로드의 끝단이 앞면 영역, 바람직하게는 기구의 베이스보드(base board)영역으로 뻗는 방안이 마련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수직조정기구를 구비한 풋의 작동은, 편리한 방법으로, 기구의 앞면으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냉장고 유닛 및/또는 냉동기 유닛은 다수의 풋을 구비하되, 하나의 풋 또는 다수의 풋 또는 전부의 풋이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11항 중 한 항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냉장고 유닛 및/또는 냉동기 유닛은 기구의 작동측을 향해 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풋 그리고, 기구의 이면 측을 향해 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풋을 구비하고, 기구의 이면에 면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풋은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11항 중 한 항에 따라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상세사항 및 이점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측 풋 및 후미조정풋유닛(rearward adjustment foot unit)을 갖는 냉장고 유닛 및/또는 냉동기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풋 유닛 전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풋 유닛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1은, 측면도에서, 냉장고 유닛 및/또는 냉동기 유닛의 하부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유닛의 후미부(rearward section)는 도 1의 좌측에 위치하고, 유닛의 전방부는 도 1의 우측에 위치한다. 베이스보드(base board)는 우측에 나타낸 기구의 전방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보드는 풋(foot)을 통해 기구의 전방지지부를 수납한다. 회전가능한 로드(20)는 전방으로부터 후미영역에 장착된 풋으로까지 뻗으며, 우측에 도시되고 전방으로부터 접근가능한 그 끝단영역(22)에 툴장착부(tool mount)를 구비하여, 로드(20)의 회전을 위해 대응하는 툴이 툴장착부에 위치될 수 있다. 구동부의 바깥쪽 및 안쪽으로 일치된 형상부재는, 기구의 베이스보드 영역의 전방에서 작동측을 향해 뻗으며, 구동부의 옵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만약 다수의 구동부가 제공되면, 이에 따라 다수의 옵션이 적용가능하여 사용자가 수직조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스렌치(box wrench)들, 육각렌체(hexagon wrench)들, 토옥스렌치(torx wrench)들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면 조정풋은 롤러(roller)(80)들에 의 해 형성되는데, 도 2를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는 로드의 이면 끝단영역을 나타낸 것으로, 로드는 작동측(operator side)으로부터 떨어져서 면하고 플러그커플링(plug coupling)(25)을 통해 스핀들(spindle)(30)에 연결한다. 로드(20)와 스핀들(30) 모두는 회전가능하다. 플러그커플링(25)은 로드(20)의 회전에 의해 적용된 토크(torque)를 스핀들(3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의 오프셋(angular offset)들을 통해 가정용 기구의 앞 영역에서 최적의 위치고정을 확보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로드(20)는 회전중에 축방향으로 위치가 고정되어 장착된 채로 있다.
스핀들(30)은 하우징(60)의 두 끝단영역에서 수평방향으로 지지된다. 스핀들은 이들 두 지지영역(support region)들 사이에 수나사를 갖는데, 상기 수나사는 조정유닛 또는 너트(40)의 암나사와 맞물린다(mesh).
스핀들(30)을 회전하면 조정유닛(40)이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저면에서, 조정유닛(40)은 비스듬하게 형성된 슬라이딩면(slide surface)(41)을 갖는데, 슬라이딩면은 수평방향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슬라이딩면(41)은 풋부분(foot part)(65)의 평행면(parallel surface)(66)에서 슬라이딩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풋부분은 아래쪽으로부터 하우징(60)에 삽입된다.
표면(41) 및 (66)들은, 그 경사면의 구조에 의해, 스핀들(30)의 회전시 발생하는 수평이동을 수직운동으로 변환하게 하는데, 이것이 기구의 수직조정에 상응한다.
슬라이딩 부재(slide piece) 또는 조정유닛(40)은 회전으로부터 안전하도록 장착된다. 이것은, 한편으로, 하중에 의해 유발된 쌍을 이루는 슬라이딩면(41)(66)에서의 표면압력을 통해서 성립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부품들이 쌍을 이루는 구조설계에 의한 형상일치를 통해서 성립된다.
스핀들의 회전시 수직으로 이동하는 풋부분(65)은 그 저부에서 축(50)을 수용하고, 롤러(80)은 상기 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풋들은 모든 수직위치에서 굴러가며 이동가능(rollingly movable)하게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60)에 둘러싸인 공동공간(hollow space)과 풋부분(65)은 직사각형으로 만들어진다. 이로써 풋부분(65)이 하우징(60)에 있을 때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휠의 회전자유도(rotational degree of freedom)는 하우징(60)안에서 풋부분(65)의 형상과 일치시킨 가이던스(guidance)를 통해 사전결정된다.
도 3은 상술한 기구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수평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풋부분의 평면(66) 그리고, 조정유닛(40)의 경사면(sloped plane)(41)이 도면에 다시 도시된다. 양 표면(41)(66)은 함께 작용하고 또한 서로 평형하게 장착되어 조정유닛(40) 천공부(bore)의 수직축이 스핀들(30)의 수직축과 정렬된다.
도면부호 90은 스프링을 표시하는데, 스핀들이 가장 바닥위치에 도달한 뒤에 추가적으로 회전하게 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면, 스핀들(30)을 하우징(60) 내에서 지지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구 하중에 의해 걸린 수직하중의 반발력(reaction force)은 베이스하우징(60)에서만 흡수된다. 따라서, 전체 가정용 기구의 프레임에는 아무런 변형력이 부가되지 않는다.
아울러, 종래기술로부터 일탈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로드(20)에는 비틀림력(torsion)이 가해질 뿐이고, 기구를 작동할 때 밀고 당기는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이점은, 로드(20)로써 스핀들(30)을 회전하는 조정과정에서, 바닥 상태와 관계없이 순수하게 수직운동을 행해진다는 점에서 확인된다. 이러한 수직조정에 의한 높이조정방식은 기구의 수평방향으로의 변위를 유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정풋의 개별 부품들은, 기술적으로 생산의 측면에서 주로 가소성의 압출성형(plastic and extrusion) 부품으로 만들어진다. 이로써 조립부품수를 줄이는 이점이 달성된다. 부품의 수는 스냅연결(snap connection)을 통해 더 줄어드는데 이는 플라스틱부품에서 실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로드(20)를 조정스핀들(30)에 연결하는 연결방법에 있어서, 추가적인 연결부재없이 커플링점(coupling point)에서 연결된다는 점은 언급되어야 한다.
로드(20) 상의 올라온 형상부재들이 스핀들(30)에 압박되어 끼워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작동자(operator)로부터 먼 쪽에 위치된 스핀들의 내부구동부가 로드에 압박되어 끼워짐으로써 이른바, 조립보조(assembly aids)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구는 물론, 휠(wheel)(80)없는 것도 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고정형 조정풋도 또한 포함된다.
아울러, 풋부분(65)과 하우징(60)사이의 형상부합의 가이던스는 두 부분의 형상을 닮게 하는 것만으로는 실현되지 않고, 풋(65)은 물론, 풋부분(65)을 관통하여 하락(dipping)하는 스핀들(30)에 의해 실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조정풋 개념을 가정용 기구를 위해 모듈화하여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시스템은 최종 조립체에 장착될지 또는 사용자 자신이 고정 조정풋 또는 수직조정가능한 조정풋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한편으로, 수직조정이 가능한 휠을 구비한 조정풋유닛과, 수직조정이 불가한 휠을 구비한 조정풋유닛을 갖추고, 다른 한편으로, 가정용 기구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로써 생산비용의 저감을 극대화하고, 소비자를 위해 넓은 범위에서 소비자의 요구에 맞출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조정풋이 기구의 이면영역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고려된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는, 물론 다른 영역에서 예를 들면, 앞면 풋을 갖춘 것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가정용 기구의 조종풋유닛(adjustment foot unit)(10) 특히, 냉장고 유닛 및/또는 냉동기 유닛의 조정풋유닛(10)에 있어서,
    회전형 로드(rotatable rod)(20) 및, 하우징(6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thread)이 형성된 스핀들(spindle)(30)을 갖는 수직조정기구(vertical adjustment device)를 포함하되, 상기 로드(20)와 상기 스핀들(30)은 서로 연결되어 로드(20)가 회전하면 스핀들(30)이 회전하고, 조정유닛 특히, 너트(40)를 포함하되, 이 너트는 회전가능하게 고정적으로 장착되고 나사산을 구비하여 스핀들의 나사와 맞물리며, 하우징(60)에 대해 변위가능한 풋부분(65)을 구비하되, 풋부분(65) 및/또는 조정유닛은 경사면(sloped plane)을 구비하여 조정유닛이 풋부분(65)에 접촉하는 조정풋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30)은 수나사를 구비하고 조정유닛은 암나사를 갖춘 너트(4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풋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및 스핀들(30)은 서로 분리되지 않게 연결되되 예를 들면, 하나의 부재로 만들어지고; 또는 그 연결수단은 분리가능한 연결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플러그커플링(plug coupling)(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풋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30)은 하우징 내에서 스핀들(30)의 축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지지되고; 스핀들(30)은 베어링(bearing)들 사이의 부분에 수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풋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풋부분(6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60)으로 눌려들어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풋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풋부분(65)에 축(axle)(50)이 장착되고 롤러(80)가 상기 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풋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풋부분(65)은 하우징(60)에 형상부합하는 꼴로 수용되어 하우징(60)에 대한 풋부분(65)의 수직축 둘레로의 회전이 제한되거나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풋유닛.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정유닛 또는 너트(40)는 암나사(internal thread)가 형성된 천공부(bore)를 구비하여 그 안에 스핀들(30)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너트(40)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표면을 형성하되, 상기 경사면은 천공부의 종방향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풋 유 닛.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20)는 그 일단부(end region)(22)에 툴장착부(tool mount)를 구비하여 툴로서 로드(20)를 회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풋유닛.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부재(securing member)가 구비되어 이 고정부재에 의해 스핀들이 축변위(axial displacement)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풋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스프링(90)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풋유닛.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정풋유닛을 구비하는 냉장고 유닛 및/또는 냉동기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로드(20)의 끝단이 앞면영역으로, 바람직하게는 기구의 베이스보드(base board)영역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유닛 및/또는 냉동기 유닛.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다수의 풋을 구비하여, 하나의 풋 또는 다수의 풋 또는 모든 풋이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정풋유닛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유닛 및/또는 냉동기 유닛.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구(appliance)의 작동측(operating side)에 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풋과, 기구의 후미면에 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풋을 구비하고; 기구의 이면에 면하는 적어도 하나의 풋 또는 다수의 풋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정풋유닛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유닛 및/또는 냉동기 유닛.
KR1020077029302A 2005-05-19 2006-05-18 가정용 기구의 위치결정용 풋유닛 KR200800196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5007883.2 2005-05-19
DE202005007883 2005-05-19
DE202005012626U DE202005012626U1 (de) 2005-05-19 2005-08-10 Stellfußeinheit eines Haushaltsgerätes
DE202005012626.8 2005-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620A true KR20080019620A (ko) 2008-03-04

Family

ID=36764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302A KR20080019620A (ko) 2005-05-19 2006-05-18 가정용 기구의 위치결정용 풋유닛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572997B2 (ko)
EP (1) EP1882125B1 (ko)
JP (1) JP2008541001A (ko)
KR (1) KR20080019620A (ko)
CN (1) CN101175942B (ko)
DE (1) DE202005012626U1 (ko)
ES (1) ES2748466T3 (ko)
RU (1) RU2007147205A (ko)
WO (1) WO2006122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2139A1 (en) * 2008-04-30 2009-11-05 Straface Sr Steven A Floor Pan for Evaporative Cooler Structures
TR201009771A2 (tr) * 2010-11-26 2011-09-21 Vestel Beyaz Eşya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Ev tipi cihazlar için ayarlanabilir ayak.
WO2012126051A1 (en) * 2011-03-23 2012-09-27 Breville Pty Limited Wheel assembly
WO2012143529A1 (en) * 2011-04-22 2012-10-26 Arcelik Anonim Sirketi A household appliance
US20120280607A1 (en) * 2011-05-04 2012-11-08 Doberstein Andrew J Appliance With Frontal Installation Adjustment
CN206192034U (zh) * 2016-10-20 2017-05-2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底脚结构及家用电器
CN106567226A (zh) * 2016-11-14 2017-04-1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活动支脚及具有其的家用电器
CN106839611A (zh) * 2017-03-17 2017-06-13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冰箱调节脚
CN114052394B (zh) * 2021-12-03 2022-09-23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一种用餐辅助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309125U (de) * 1973-07-12 Licentia Gmbh Gestellfuß für ein Gerät der elektronischen Datenverarbeitung
DE1437696U (ko)
US1006974A (en) * 1911-07-27 1911-10-24 John Joseph Moore Pool and billiard table leveler.
US2874971A (en) * 1955-12-23 1959-02-24 Philco Corp Appliance cabinet structure
US3071887A (en) * 1960-02-11 1963-01-08 Revco Inc Leveling apparatus
US3186670A (en) * 1963-07-15 1965-06-01 Tappan Co Appliance leveler
FR1437696A (fr) * 1965-03-26 1966-05-06 Perfectionnement aux meubles
DE2037379A1 (de) * 1970-07-23 1972-01-27 Siemens-Electrogeräte GmbH, 1000 Berlin u. 8000 München Haushaltmaschine
US3750989A (en) 1971-07-19 1973-08-07 Maytag Co Adjustable appliance support
US3814363A (en) * 1972-12-22 1974-06-04 Gen Electric Angled levelling foot for domestic appliance
US3927853A (en) * 1974-08-02 1975-12-23 Ge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leveling system
DE7708812U1 (de) * 1977-03-22 1977-09-22 Monke-Herzkuechen Gmbh & Co Kg, 4900 Herford Hoehenverstellbarer stuetzfuss in form eines sockelverbinders bei schrankmoebel mit steckblenden
DE8506152U1 (de) * 1985-03-04 1985-05-02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Höhenverstellbarer Gerätefuß
DE3604838A1 (de) 1986-02-15 1987-08-20 Licentia Gmbh Stuetzfuss mit einer gewindestange
CH672009A5 (ko) * 1986-10-24 1989-10-13 Schrepfer Rudolf Ag
US4789121A (en) * 1987-05-01 1988-12-06 Edward D. Gidseg System for supporting and adjusting refrigerators and the like
US4995569A (en) * 1989-01-20 1991-02-26 Alexander James L Package adapter
US4991805A (en) * 1989-05-17 1991-02-1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gear driven leveling system
US4955569A (en) 1989-07-18 1990-09-11 Sub-Zero Freezer Company, Inc. Refrigerator leveling system
DE4343709A1 (de) * 1993-12-21 1995-06-22 Bosch Siemens Hausgeraete Haushaltgerät mit Stellfüßen
US5630788A (en) * 1994-08-12 1997-05-20 Imagyn Medical, Inc. Endoscope with curved end image guide
DE69525976T2 (de) * 1995-05-23 2002-11-14 J P Bell & Co Nivelliergerät für maschine
FR2741896B1 (fr) * 1995-12-04 1998-02-06 Freyssinet Int Stup Perfectionnements aux procedes pour rehabiliter les ponts suspendus et aux ponts ainsi rehabilites
DE19606460B4 (de) * 1996-02-21 2012-09-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Höhen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Stellfuß des Haushaltgerätes
US5749550A (en) * 1996-05-28 1998-05-12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leveling system allowing adjustment of rear supports without access to rear of cabinet
DE19909544A1 (de) * 1999-03-04 2000-09-07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Schrankförmiges Haushaltgerät
NL1019237C2 (nl) * 2001-10-25 2003-04-28 Krapels Multi Alignment B V Stelvoet voorzien van een voetstuk en een drager die ten opzichte van het voetstuk door middel van een hefmechanisme met ten minste een schroefdraad in hoogterichting instelbaar is.
CN2664481Y (zh) * 2003-12-03 2004-12-22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厨柜调整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7147205A (ru) 2009-06-27
JP2008541001A (ja) 2008-11-20
WO2006122811A1 (de) 2006-11-23
CN101175942A (zh) 2008-05-07
US8572997B2 (en) 2013-11-05
US20100300138A1 (en) 2010-12-02
DE202005012626U1 (de) 2006-09-28
CN101175942B (zh) 2011-05-04
EP1882125B1 (de) 2019-07-03
EP1882125A1 (de) 2008-01-30
ES2748466T3 (es)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9620A (ko) 가정용 기구의 위치결정용 풋유닛
JP6091465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ー
EP3055603B1 (en) Cabinet levelling apparatus
US6860341B2 (en) Gear transmission assembly for electrical power tool
US10786897B2 (en) Robot arm
US20080168855A1 (en) Adjus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the Adjustable Base of a Household Device
US20100084954A1 (en) Piece of furniture and device for pushing out a furniture part
US7963181B2 (en) Drive for adjusting parts of seating and reclining furniture
EP2684488B1 (en) Linear actu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 linear actuator
JP2014528359A (ja) ねじ作動型プレスユニット
JP2011506871A (ja) デュアル電動家具駆動装置
TWI665032B (zh) 鉚接裝置、操作鉚接裝置的方法、鉚接裝置作為電氣鉚接機之應用及工具機
WO2009072836A3 (en) Electric apparatus for riveting
US11306522B2 (en) Furniture fitting
JP7132802B2 (ja) 軸継手およびこれを備えたねじ締め装置
CN101444907A (zh) 组合工具
JP5134906B2 (ja) 車両用シートのパワー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アッパレール連結装置
JP4851744B2 (ja) 線ばね成型装置
KR200231079Y1 (ko)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
EP0157966B1 (en) Hand operated fitting swager
US10433650B2 (en) Linear dual actuator
US8640565B2 (en) Controller for rotation and movement motion
CN207840196U (zh) 一种控制方式多样的台钻
CN204487453U (zh) 一种螺栓扳机套头
JP2006093310A (ja) アジャス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