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079Y1 -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079Y1
KR200231079Y1 KR2020010003883U KR20010003883U KR200231079Y1 KR 200231079 Y1 KR200231079 Y1 KR 200231079Y1 KR 2020010003883 U KR2020010003883 U KR 2020010003883U KR 20010003883 U KR20010003883 U KR 20010003883U KR 200231079 Y1 KR200231079 Y1 KR 200231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height
angle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기
Original Assignee
김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기 filed Critical 김흥기
Priority to KR2020010003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0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079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다리역할을 하는 고정부재(16)와 이동부재(14)가 서로 겹쳐지도록 설치되고 각도조절용 상판(12B)의 양측이 힌지(12C)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책상 구조물(10); 각도조절기어(23) 및 높이조절기어(24)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선택기어(26)가 설치되는 유동축(25)을 구비한 선택 작동부(20); 상기 각도조절기어(23)로 전달된 회전력을 각도조절부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30); 상기 연결부(3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판 프레임(12)에 힌지(12C)로 결합된 각도조절용 상판(12B)를 각도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40); 상기 높이조절기어(24)로 전달된 회전력으로 상판 프레임(1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50)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의하면, 사용자가 책상의 상판 높이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선택기어(26)가 각도조절기어(23) 또는 높이조절기어(24)에 선택적으로 맞물린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책상의 높이는 물론 각도가 용이하면서도 자유자재로 조절될 수 있고,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HIGH AND LOW AND ANGLE REGULATION DEVICE OF TABLE}
본 고안은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구동부 만으로 책상 상판의 높이 조절은 물론, 상판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책상은 상판의 저부에 각각의 지지부재가 고정 설치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러한 책상은 높이는 물론 상판의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최근 책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다소 해소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책상의 저면에 각각 다른 직경의 파이프를 고정시켜 결합시킨 뒤 외측 파이프에 고정나사를 설치하여 내측의 파이프를 삽입시킴으로써, 내외측 파이프를 결속시키게 되는 것으로 다리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정나사를 풀어 내측파이프가 외측파이프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한 다음 원하는 높이로 내측 또는 외측 파이프를 뽑은 후 다시 고정나사를 조이게 되면 다리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장치는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고정나사를 동시에 또는 일정하게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삳기 고정나사가 책상의 자중에 의해 풀릴 경우에는 상기 내외측 파이프가 서로 겹쳐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책상의 사용중에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던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책상의 경우에는 각도 즉,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자세로 책상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책상의 상판 높낮이와 각도를 하나의 구동부로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선택 작동부를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5a,5b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a,6b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책상 구조물 12 : 상판 프레임
12A : 고정용 상판 12B : 각도조절용 상판
12C : 힌지 14 : 이동부재
16 : 고정부재 18 : 보호 프레임
20 : 선택 작동부 22 : 하부 기어박스
23 : 각도조절기어 24 : 높이조절기어
25 : 유동축 26 : 선택기어
27 : 구동부 30 : 연결부
31,32,34,35 : 제 1,2,3,4연결기어
33 : 이중연결축 36 : 상부 기어박스
40 : 각도조절부 41 : 제 5연결기어
42 : 제 1연결축 43 : 제 6연결기어
44 : 제 1지지구 45 : 제 1나사축
46 : 제 1이동구 47 : 제 1브라켓
48 : 제 1가변로드 50 : 높이조절부
52 : 제 2나사축 54 : 제 2이동구
55 : 제 2가변로드 55A : 제 2브라켓
56 : 제 2연결축 57 : 제 3나사축
58 : 제 3이동구 59 : 제 3가변로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의 일측은 고정용 상판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각도조절용 상판의 양측이 힌지 결합되는 상판 프레임, 상기 상판 프레임의 저면 코너부에 직하방으로 고정 설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각 이동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각 고정부재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보호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책상 구조물;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하부 기어박스, 상기 하부 기어박스의 내부에 축설되는 각도조절기어 및 높이조절기어, 상기 각도조절기어와 높이조절기어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상기 하부 기어박스의 내부에 유동축에 의해 설치되는 선택기어, 상기 선택기어가 설치된 유동축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진 선택 작동부;
상기 각도조절기어가 설치된 축의 일측에 설치된 제 1연결기어, 상기 제 1연결기어에 교차되게 맞물리는 제 2연결기어, 상기 제 2연결기어가 일단에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중으로 형성된 이중연결축, 상기 이중연결축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 3연결기어, 상기 제 3연결기어와 맞물리는 제 4연결기어, 상기 제 3,4연결기어를 커버하고 상기 이중연결축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 기어박스로 이루어진 연결부;
상기 제 4연결기어가 일단에 설치되고 각 베어링에 의해 상기 상판 프레임에설치되며 타단에는 제 5연결기어가 설치되는 제 1연결축, 상기 제 5연결기어와 직각으로 맞물리는 제 6연결기어가 일단에 설치되고 각 베어링과 제 1지지구에 의해 상기 상판 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되며 양측에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1나사축, 상기 제 1나사축의 각 나사산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 1이동구, 상기 제 1이동구에 각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각도조절용 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 1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제 1가변로드로 이루어져 상기 각도조절용 상판이 힌지를 중심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각도조절부;
상기 높이조절기어가 일단에 설치되고 타단에는 제 7연결기어가 설치되며 각 베어링과 제 2지지구에 의해 일측의 보호 프레임에 설치되고 양측에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2나사축, 상기 제 2나사축의 각 나사산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 2이동구, 상기 제 2이동구에 각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판 프레임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 2브라켓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제 2가변로드, 상기 제 7연결기어와 맞물리는 제 8연결기어가 일단에 설치되고 각 베어링에 의해 후방측 보호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타단에는 제 9연결기어가 설치되는 제 2연결축, 상기 제 9연결기어와 맞물리는 제 10연결기어가 일단에 설치되고 각 베어링과 제 3지지구에 의해 타측의 보호 프레임에 설치되고 양측에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3나사축, 상기 제 3나사축의 각 나사산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 3이동구, 상기 제 3이동구에 각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판 프레임의 저면 타측에 설치되는 제 3브라켓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제 3가변로드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 프레임 자체가 높이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높이조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유동축과 하부 기어박스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축을 축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 1탄성부재; 및 상기 하부 기어박스의 외부로 노출된 유동축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축을 회전시키고, 축방향으로 밀어 상기 선택기어가 상기 각도조절기어와 높이조절기어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작동핸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유동축의 타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 1스플라인; 상기 유동축의 타단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작동로드가 결합되어 전원 인가시 작동되어 상기 유동축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 상기 유동축이 솔레노이드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1스플라인과 결합되는 제 2스플라인이 내경에 형성된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을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 1지지구의 상면에는 초기에 상기 각도조절기어가 구동되어 상기 제 1브라켓이 상승할 때 상기 제 1브라켓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 2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선택 작동부를 도시한일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높이 및 각도 조절장치는 책상 구조물(10)과 선택 작동부(20)와 연결부(30)와 각도조절부(40)와 높이조절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책상 구조물(10)은 높이 및 각도 조절장치의 각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책상 구조물(10)은 상판 프레임(12)의 상면 일측(후방부)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고정용 상판(12A)과, 상기 상판 프레임(12)의 상면 타측(전방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상판 프레임(12)에 일단 양측이 힌지(12C)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조절용 상판(12B)과, 상기 상판 프레임(12)의 저면 각 코너부에 직하방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이동부재(14)와, 상기 각 이동부재(14)가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각 이동부재(14)와 결합되는 각각의 고정부재(16)와, 상기 각 고정부재(16)를 연결하여 각각의 고정부재(16)를 지지하기 위한 보호 프레임(18)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용 상판(12B)은 그 전방 양측이 상기 상판 프레임(12)에 힌지(12C)로 설치되기 때문에 그 후방이 상기 힌지(12C)를 축으로 하여 설정된 각도만큼 회동된다. 또한, 상기 보호 프레임(18)은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보호 프레임(18)이 도면상 좌측 전,후부에 위치하는 각 고정부재(16)에 각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보호 프레임(18)은 우측 전,후부에 위치하는 각 고정부재(16)에 각 일단이 고정되며, 또 다른 보호 프레임(18)은 도면상 후방의 양측에 위치한 각 고정부재(16)에 각 일단이 고정되어 각각의고정부재(16)가 상호 견고하게 연결되면서 지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호 프레임(18)은 그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선택 작동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전방부에 위치하는 고정부재(16)의 내측에 하부 기어박스(22)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기어박스(22)의 내부에는 각도조절기어(23) 및 높이조절기어(24)가 거리를 유지하여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기어(23) 및 높이조절기어(24)는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부 기어박스(22)의 내부에는 상기 각도조절기어(23)와 높이조절기어(24)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선택기어(26)가 상기 각도조절기어(23)와 높이조절기어(24) 사이에 유동축(25)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동축(25)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선택기어(26)가 설치된 유동축(25)에는 상기 유동축(25)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택기어(26)가 각도조절기어(23) 또는 높이조절기어(24)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함은 물론 상기 유동축(25)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7)가 설치된다.
이때, 제 1실시예에 의한 상기 구동부(27)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축(25)과 하부 기어박스(22)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축(25)을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 1탄성부재(28)와, 상기 하부 기어박스(22)의 외부로 노출된 유동축(25)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축(25)을 회전시키고, 축방향으로 밀어 상기 선택기어(26)가 상기 각도조절기어(23)와 높이조절기어(24)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작동핸들(29)로 구성된다.
즉, 제 1실시예에 의한 구동부(27)는 사용자가 상기 작동핸들(29)을 축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유동축(25)이 제 1탄성부재(28)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후방측으로 밀려 상기 선택기어(26)가 각도조절기어(23)에 맞물리게 되고, 또한 상기 작동핸들(29)을 축방향으로 밀지 않게 되면 상기 유동축(25)이 제 1탄성부재(28)의 탄성에 의해 전방부 측으로 밀린 상태 즉, 상기 높이조절기어(24)와 맞물린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작동핸들(29)을 밀거나 밀지 않는 조작만으로 상기 선택기어(26)를 각도조절기어(23) 또는 높이조절기어(24)에 맞물리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각도조절용 상판(12B) 또는 상판 프레임(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각도조절기어(23)로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각도조절용 상판(12B)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각도조절기어(23)가 설치된 축의 일측에 제 1연결기어(31)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기어박스(22)를 관통하여 설치된 이중연결축(33)의 하단부에 상기 제 1연결기어(31)에 교차되게 맞물리도록 제 2연결기어(32)가 설치되며, 상기 이중연결축(33)의 상단부가 상기 상판 프레임(12)의 저면에 설치된 상부 기어박스(36)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중연결축(33)의 상단부에는 제 3연결기어(34)가 설치되고, 상기 제 3연결기어(34)에는 제 4연결기어(35)가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중 연결축(33)은 상기 제 2연결기어(32)로 전달된 회전력이 제 3연결기어(34)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판 프레임(12)이높이조절부(50)에 의해 상,하부로 이동될 때,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하부에 위치하는 축은 내경이 다각인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축은 상기 하부에 위치하는 축의 내경에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다각형상의 평단면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중연결축(33)은 그 길이가 조절되면서도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각도조절부(40)는 상기 연결부(3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각도조절용 상판(12B)을 상기 힌지(12C)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제 4연결기어(35)가 일단에 설치되는 제 1연결축(42)이 다수개의 베어링에 의해 상기 상판 프레임(12)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이러한 제 1연결축(42)의 타단에는 제 5연결기어(41)가 설치되며, 상기 상판 프레임(12)의 저면 후방부 또는 고정용 상판(12A)의 저면에는 제 1나사축(45)이 상기 제 1연결축(42)과 직각되도록 다수개의 베어링과 제 1지지구(44)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 1나사축(45)의 일단에는 상기 제 5연결기어(41)와 직각으로 맞물리는 제 6연결기어(43)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1나사축(45)은 상기 제 1지지구(44)를 중심으로 양측 외주면에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제 1나사축(45)의 양측 외주면에는 오른 나사산과 왼나사산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나사축(45)의 오른 나사산과 왼나사산에는 한쌍의 제 1이동구(46)가 각각 체결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나사축(45)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각 제 1이동구(46)는 상기 제 1지지구(44) 측으로 이동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한쌍의 제 1이동구(46)에는 한쌍의 제 1가변로드(48)의 각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이러한 제 1가변로드(48)의 각 타단은 각도조절용 상판(12B)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 1브라켓(47)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나사축(45)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이동구(46)가 제 1지지구(44) 측으로 모이거나 그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제 1가변로드(48)는 각도조절용 상판(12B)를 밀어올리거나 내리게 되어 상기 각도조절용 상판(12B)이 상기 힌지(12C)를 중심으로 각도 조절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지지구(44)는 상기 제 1나사축(45)이 회전동작 중에 베어링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정위치에서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1연결기어(31)와 제 2연결기어(32) 및 제 3,4연결기어(34,35)는 이중연결축(33)과 제 1연결축(42)이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헬리컬 기어 또는 스크류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5연결기어(41)와 제 6연결기어(43)는 제 1연결축(42)과 제 1나사축(45)이 직각으로 만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베벨기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부(50)는 제 2나사축(52)이 다수개의 베어링과 제 2지지구(52B)에 의해 우측의 보호 프레임(18)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이러한 제 2나사축(52)의 일단에는 상기 높이조절기어(24)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제 7연결기어(52A)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 2나사축(52)의 양측 외주면에는 오른 나사산과 왼나사산이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각 나사산에는 제 2이동구(54)가 체결되어결합되며, 상기 제 2이동구(54)에는 제 2가변로드(55)의 각 일단이 힌직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상판 프레임(12)의 일측 저면(우측 저면)에 설치되는 제 2브라켓(55A)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후방부측 고정부재(16)에 설치되는 보호 프레임(18)에는 제 2연결축(56)이 다수개의 베어링에 의해 설치되고, 이러한 제 2연결축(56)의 일단에는 상기 제 7연결기어(52A)와 직각으로 맞물리는 제 8연결기어(56A)가 설치되며 타단에는 제 9연결기어(56B)가 설치된다.
한편, 좌측에 위치하는 고정부재(16)를 연결하는 보호 프레임(18)의 내부에는 제 3나사축(57)이 다수개의 베어링과 제 3지지구(57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3지지구(57B)는 상기 제 3나사축(57)이 정위치에서 유동없이 회전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 3나사축(57)은 일측단에는 상기 제 9연결기어(56B)와 직각으로 맞물리는 제 10연결기어(57A)가 설치되고, 상기 제 3지지구(57B)를 중심으로 양측 외주면에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 즉, 오른 나사산과 왼나사산이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각 나사산에는 한쌍의 제 3이동구(58)가 체결되어 결합되며, 이러한 이동구(58)에는 한쌍의 제 3가변로드(59)가 회동 간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 3가변로드(59)의 각 타단은 상기 상판 프레임(12)의 저면 타측(저면 좌측)에 설치되는 제 3브라켓(59A)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기어(24)로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제 2나사축(52)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 2연결축(56)을 통하여 제 3나사축(57)으로 전달되어 상기 상판프레임(12)을 동시에 들어올리거나 내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지지구(44)의 상면에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제 2탄성부재(48)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제 2탄성부재(48)는 상기 제 1브라켓(47)을 초기 작동시 밀어올리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5a,5b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구동부(27)를 이용하여 책상 즉, 고정용 상판(12A)과 각도조절용 상판(12B)이 설치된 상판 프레임(1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작동핸들(29)을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선택기어(26)는 제 1탄성부재(28)에 의해 일측으로 밀려 상기 높이조절기어(24)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작동핸들(29)을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각도조절기어(24)가 회전되고 이로 인하여 제 2나사축(52)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2나사축(52)이 회전하게 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제 2이동구(54)가 동시에 상기 제 2지지구(52B) 측으로 이동된다. 이는 상기 제 2나사축(52)의 양측 외주면에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나사산에 각각의 이동구(54)가 체결되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나사축(52)의 타단에 결합된 제 7연결기어(51A)는 상기 제 2연결축(56)에 설치된 제 8연결기어(56A)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 2연결축(56)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2연결축(56)의 타단에 결합된 제 9연결기어(56B)는 상기 제 3나사축(57)의 제 10연결기어(57A)를 구동시키게 되어 제 3나사축(57)이 회전된다.
상기 제 3나사축(57)의 회전으로 상기 제 3나사축(57)의 양측에 나사 결합되어 있던 제 3이동구(58)도 중앙에 설치된 상기 제 3지지구(57B)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상기 제 2이동구(54) 및 제 3이동구(58)가 각각 제 2나사축(52) 및 제 3나사축(57)의 중앙부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 1,2이동구(54,58)에 각각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 제 2,3가변로드(55,59)의 각 일단은 서로 근접하게 된다. 즉, 상기 각 제 2,3가변로드(55,59)는 눕혀진 상태에서 세워지게 되어 그 높이가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3가변로드(55,59)가 세워지게 되면 상기 상판 프레임(12)은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각 고정부재(14)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각각의 이동부재(14)가 그들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또한, 상기 이중연결축(33)도 그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판 프레임(12)의 높이는 조절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핸들(29)의 회전을 멈추게 되면 높이가 조절된 상판 프레임(12)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상판 프레임(12)의 자중이나 상판 프레임(12)에 직하방으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제 2,3이동구(54,58)가 상기 제 2,3나사축(52,57)을 회전시키기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핸들(29)을 최초 회전시켰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 2,3이동구(54,58)가 제 2,3나사축(52,57)의 양단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각 제 2,3가변로드(55,59)가 눕혀지게 되어 상기 상판 프레임(12)의 높이는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제 2,3이동구(54,58)가 제 2,3나사축(52,57)의 정/역회전으로 제 2,3나사축(52,57)의 중앙 또는 그 양단 측으로 이동하면서 제 2,3가변로드(55,59)를 세우거나 눕히게 됨으로 상기 상판 프레임(12)의 높이는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a,6b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 프레임(12)의 상부 전방을 커버하고 있는 각도저절용 상판(12B)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작동핸들(29)을 축방향(도 6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상기 선택기어(26)가 각도조절기어(23)와 맞물리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핸들(29)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각도조절기어(23)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각도조절기어(23)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연결기어(31)와 맞물린 제 1연결기어(32)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이중연결축(33)이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 3연결기어(34)와 제 4연결기어(35)가 맞물려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 1연결축(42)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1연결축(42)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연결축(42)의 타단에 결합된 제 5연결기어(41)와 맞물린 제 6연결기어(43)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 1나사축(45)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작용으로 상기 제 1나사축(45)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나사축(45)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어 결합된 제 1이동구(46)가 제 1나사축(45)의 중앙부 즉, 제 1지지구(44)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한쌍의 제 1이동구(46)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어 있고, 제 1가변로드(48)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나사축(45)에 의해 자체 회전하지 않는 대신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한쌍의 제 1이동구(46)가 제 1지지구(44)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각 일단이 상기 제 1이동구(46)에 힌지 결합된 제 1가변로드(48)는 눕혀진 상태에서 점차 세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지지구(44)의 상면에 설치된 제 2탄성부재(48)가 탄성으로 상기 제 1브라켓(47)을 상방으로 밀게 된다. 즉, 상기 제 1브라켓(47)은 평상시(상기 각도조절용 상판(12B)이 평면을 이루어 각도가 조절되지 않은 상태) 상기 제 2탄성부재(48)를 압축하고 있는 상태임으로 상기 제 1브라켓(47)이 제 1이동구(46)의 이동으로 초기에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작용하고 있는 제 2탄성부재(48)의 탄성에 의해 용이하게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제 1이동구(46)의 초기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 2탄성부재(48)가 자체 탄성으로 상기 제 1브라켓(47)을 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가변로드(48)가 눕혀진 상태에서 제 1나사축(45)의 회전으로 세워지게 되면 상기 각도조절용 상판(12B)은 상기 힌지(12C)를 중심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브라켓(47)이 상승한 만큼만 회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방부측으로 경사진 상태의 각도조절용 상판(12B)에서 제도 또는 독서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각도조절용 상판(12B)에서 작업을 하면서 각도조절용 상판(12B)을 하방으로 가압하더라도 상기 각도조절용 상판(12B)은 그 조절된 각도가 변화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각도조절용 상판(12B)을 누르는 것만으로 상기 제 1이동구(46)를 이동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각도조절용 상판(12B)을 최초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최초 회전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작동핸들(29)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핸들(29)을 회전시키게 되면 그 구동력이 상기 제 1,2연결기어(23,24)와 제 3,4연결기어(34,35) 및 제 5,6연결기어(41,43)의 맞물림으로 인하여 상기 제 1나사축(45)이 최초 회전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한쌍의 제 1이동구(46)가 제 1나사축(45)의 양측부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세워졌던 각 제 1가변로드(48)는 다시 눕혀지게 되며, 이어서 상기 제 1브라켓(47)이 하강하면서 그 저면이 인장되었던 제 2탄성부재(48)을 압축시키게된다. 이때, 상기 제 2탄성부재(48)의 탄성은 그 자체 탄성만으로 상기 제 1브라켓(47)을 상부로 밀어 올리지 않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각도조절용 상판(12B)은 최초 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각도조절부(40) 및 높이조절부(50)는 작동핸들(29)로 구성된 구동부(27)로 작동될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7G)로 구성된 구동부(27)에 의해 보다 손쉽게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부(2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부(27)는 상기 유동축(25)의 타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 1스플라인(27A)과, 상기 유동축(25)의 타단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27B)과, 상기 고정 브라켓(27B)에 작동로드(27C)가 결합되어 전원 인가시 작동되어 상기 유동축(25)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27D)와, 상기 유동축(25)이 솔레노이드(27D)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1스플라인(27A)과 결합되는 제 2스플라인(27E)이 내경에 형성된 구동축(27F)와, 상기 구동축(27F)을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7G)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부(27)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시되지 않은 업/다운 스위치중에서 업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27G)가 회전하여 상기 구동축(27F)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구동축(27F)과 제 1,2스플라인(27A,27E)으로 결합된 상기 유동축(25)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상기 고정 브라켓(27B)는 상기 유동축(25)에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동축(25)과 같이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유동축(25)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선택기어(26)가 각도조절기어(24)를 회전시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 프레임(12)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업 스위치를 온 시키고 있는 동안 상기 상판 프레임(12)의높이는 계속 상승하게 되고 업 스위치를 오프 시키게 되면 그 동작 즉, 상승되는 상판 프레임(12)은 정지되어 그 높이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판 프레임(12)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다운 스위치를 온 시켜 상기 구동모터(27G)가 역회전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상판 프레임(12)의 높이는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도시되지 않은 각도조절용 스위치의 업 스위치를 온 시키게 되면 전원은 상기 솔레노이드(27D)에 먼저 인가된 후 상기 구동모터(27G)에 인가된다. 상기 솔레노이드(27D)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작동로드(27C)가 인장되면서 상기 고정 브라켓(27B)을 밀게 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27B)이 축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 유동축(25)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선택기어(26)가 각도조절기어(23)에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27G)가 구동되면 상기 유동축(25)이 회전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각도조절용 상판(12B)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고, 사용자가 스위치를 오프 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27G)가 정지되면서 상기 솔레노이드(27D)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인장되었던 작동로드(27C)는 수축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고정 브라켓(27B)이 상기 유동축(25)을 최초 상태로 이동시켜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용 상판(12B)의 각도 조절된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이때, 상기 유동축(25)을 복귀시키기 위한 장치로 리턴 스프링을 상기 유동축(25)과 고정 브라켓(27B) 사이에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작동로드(27C)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각도가 조절되었던 각도조절용 상판(12B)을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각도조절용 스위치의 다운 스위치를 온 시키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27D)는 다시 작동하여 상기 유동축(25)을 이동시켜 선택기어(26)가 각도조절기어(23)에 맞물리도록 하고, 이어서 상기 구동모터(27G)가 최초 회전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각도조절용 상판(12B)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책상의 높이나 상판의 각도가 상기 유동축(25)의 회전만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책상의 각도는 물론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는 하나의 회전축에 설치된 선택기어가 각도조절기어 또는 높이조절기어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조절기어는 오른나사와 왼나사가 형성된 각각의 나사축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나사산에는 가변로드가 힌지 결합된 한쌍의 이동구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책상의 상판 높낮이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선택기어를 각도조절기어 또는 높이조절기어에 선택적으로 맞물린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책상의 높낮이는 물론 각도가 용이하면서도 자유자재로 조절될 수 있고,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4)

  1. 상면의 일측은 고정용 상판(12A)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각도조절용 상판(12B)의 양측이 힌지(12C) 결합되는 상판 프레임(12), 상기 상판 프레임(12)의 저면 코너부에 직하방으로 고정 설치되는 이동부재(14), 상기 각 이동부재(1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16),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각 고정부재(16)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보호 프레임(18)으로 이루어진 책상 구조물(10);
    상기 고정부재(16)에 설치되는 하부 기어박스(22), 상기 하부 기어박스(22)의 내부에 축설되는 각도조절기어(23) 및 높이조절기어(24), 상기 각도조절기어(23)와 높이조절기어(24)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상기 하부 기어박스(22)의 내부에 유동축(25)에 의해 설치되는 선택기어(26), 상기 선택기어(26)가 설치된 유동축(25)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7)로 이루어진 선택 작동부(20);
    상기 각도조절기어(23)가 설치된 축의 일측에 설치된 제 1연결기어(31), 상기 제 1연결기어(31)에 교차되게 맞물리는 제 2연결기어(32), 상기 제 2연결기어(32)가 일단에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중으로 형성된 이중연결축(33), 상기 이중연결축(33)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 3연결기어(34), 상기 제 3연결기어(34)와 교차되게 맞물리는 제 4연결기어(35), 상기 제 3,4연결기어(34,35)를 커버하고 상기 이중연결축(33)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 프레임(12)에 설치되는 상부 기어박스(36)로 이루어진 연결부(30);
    상기 제 4연결기어(35)가 일단에 설치되고 각 베어링에 의해 상기 상판 프레임(12)에 설치되며 타단에는 제 5연결기어(41)가 설치되는 제 1연결축(42), 상기 제 5연결기어(41)와 직각으로 맞물리는 제 6연결기어(43)가 일단에 설치되고 각 베어링과 제 1지지구(44)에 의해 상기 상판 프레임(12)의 저면에 설치되며 양측에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1나사축(45), 상기 제 1나사축(45)의 각 나사산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 1이동구(46), 상기 제 1이동구(46)에 각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각도조절용 상판(12B)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 1브라켓(47)에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제 1가변로드(48)로 이루어져 상기 각도조절용 상판(12B)이 힌지(12C)를 중심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각도조절부(40);
    상기 높이조절기어(24)가 일단에 설치되고 타단에는 제 7연결기어(52A)가 설치되며 각 베어링과 제 2지지구(52B)에 의해 일측의 보호 프레임(18)에 설치되고 양측에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2나사축(52), 상기 제 2나사축(52)의 각 나사산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 2이동구(54), 상기 제 2이동구(54)에 각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판 프레임(12)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 2브라켓(55A)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제 2가변로드(55), 상기 제 7연결기어(52A)와 직각으로 맞물리는 제 8연결기어(56A)가 일단에 설치되고 각 베어링에 의해 후방측 보호 프레임(18)의 내부에 설치되며 타단에는 제 9연결기어(56B)가 설치되는 제 2연결축(56), 상기 제 9연결기어(56B)와 직각으로 맞물리는 제 10연결기어(57A)가 일단에 설치되고 각 베어링과 제 3지지구(57B)에 의해 타측의 보호 프레임(18)에설치되고 양측에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3나사축(57), 상기 제 3나사축(57)의 각 나사산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 3이동구(58), 상기 제 3이동구(58)에 각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판 프레임(12)의 저면 타측에 설치되는 제 3브라켓(59A)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제 3가변로드(59)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 프레임(12) 자체가 높이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높이조절부(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7)는 상기 유동축(25)과 하부 기어박스(22)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축(25)을 축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 1탄성부재(28); 및
    상기 하부 기어박스(22)의 외부로 노출된 유동축(25)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축(25)을 회전시키고, 축방향으로 밀어 상기 선택기어(26)가 상기 각도조절기어(23)와 높이조절기어(24)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작동핸들(29);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7)는 상기 유동축(25)의 타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 1스플라인(27A);
    상기 유동축(25)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고정 브라켓(27B);
    상기 고정 브라켓(27B)에 작동로드(27C)가 결합되어 전원 인가시 작동되어 상기 유동축(25)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27D);
    상기 유동축(25)이 솔레노이드(27D)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1스플라인(27A)과 결합되는 제 2스플라인(27E)이 내경에 형성된 구동축(27F); 및
    상기 구동축(27F)을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7G);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구(44)의 상면에는 초기에 상기 각도조절기어(23)가 구동되어 상기 제 1브라켓(47)이 상승할 때 상기 제 1브라켓(47)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 2탄성부재(4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
KR2020010003883U 2001-02-16 2001-02-16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 KR200231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883U KR200231079Y1 (ko) 2001-02-16 2001-02-16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883U KR200231079Y1 (ko) 2001-02-16 2001-02-16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079Y1 true KR200231079Y1 (ko) 2001-07-19

Family

ID=7309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883U KR200231079Y1 (ko) 2001-02-16 2001-02-16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07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186A (ko) * 2003-01-06 2004-07-14 손경섭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업용 책상
KR100786260B1 (ko) 2007-10-11 2007-12-17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높낮이 조절용 테이블의 회전축을 이용한 테이블의 폭조절장치
KR100932731B1 (ko) 2009-05-20 2009-12-21 (주)오성엔지니어링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CN117146140A (zh) * 2023-10-27 2023-12-01 山东省鲁岳资源勘查开发有限公司 一种复杂地形可调式水平测绘仪
CN117654810A (zh) * 2024-02-01 2024-03-08 湖南工程学院 一种铝合金加工用固定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186A (ko) * 2003-01-06 2004-07-14 손경섭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업용 책상
KR100786260B1 (ko) 2007-10-11 2007-12-17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높낮이 조절용 테이블의 회전축을 이용한 테이블의 폭조절장치
KR100932731B1 (ko) 2009-05-20 2009-12-21 (주)오성엔지니어링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CN117146140A (zh) * 2023-10-27 2023-12-01 山东省鲁岳资源勘查开发有限公司 一种复杂地形可调式水平测绘仪
CN117146140B (zh) * 2023-10-27 2024-01-30 山东省鲁岳资源勘查开发有限公司 一种复杂地形可调式水平测绘仪
CN117654810A (zh) * 2024-02-01 2024-03-08 湖南工程学院 一种铝合金加工用固定装置
CN117654810B (zh) * 2024-02-01 2024-04-26 湖南工程学院 一种铝合金加工用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5324B1 (en) Assembly of a spindle and guide therefor
EP3245892B1 (en) Umbrella with a combination of an automatic and manua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US20100187380A1 (en) Height adjustable column, in particular for tables
US20180031091A1 (en) Miniature linear actuator
EP3607855A1 (en) Height-adjustbale table leg
US6148741A (en) Table with adjustable table top portions
JP6574960B1 (ja) 新型食品加工装置
CN2382298Y (zh) 高度调整装置
KR200231079Y1 (ko)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
US8572997B2 (en) Positioning foot unit of a domestic appliance
US78028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mutual position of constructional elements of a patient chair
CN111529284B (zh) 骨科治疗台
US6099487A (en) Massage chair drive mechanism
US6145396A (en) Transmission with a threaded rod which is engaged threadably within an output gear and which is movable axially on a thrust bearing
CN109750927A (zh) 一种自动推出上翻复位机构及其工作方法
KR200365395Y1 (ko) 높이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책상
KR200384317Y1 (ko)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CN213552370U (zh) 骨科治疗台
JP2003125849A (ja) 家具の高さ調節装置
CN110521337A (zh) 一种新型挖坑机的可变径挖坑方法
CN208519261U (zh) 排水器
CN216964434U (zh) 一种立式高速混合机减震装置
KR200331363Y1 (ko) 높이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책상
JP3284091B2 (ja) 天板昇降機構付きテーブル
CN110749152B (zh) 一种具有高度调节装置的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