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731B1 -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 Google Patents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731B1
KR100932731B1 KR1020090043989A KR20090043989A KR100932731B1 KR 100932731 B1 KR100932731 B1 KR 100932731B1 KR 1020090043989 A KR1020090043989 A KR 1020090043989A KR 20090043989 A KR20090043989 A KR 20090043989A KR 100932731 B1 KR100932731 B1 KR 100932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rotation
gear
upper plat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부
Original Assignee
(주)오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오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43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8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측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상판을 구비한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상판과 상기 다리부 사이에 배치된 수평부재와; 상기 상판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의 후방부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부재와; 상기 상판이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상판의 후방부를 상기 수직부재를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상판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WORK TABLE HAVING ANGLE ADJUSTMENT FUNCTION}
본 발명은,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에는 작업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산업기계, 기구 및 작업대 등이 필요하다. 이 중에서 특히 작업대는 작업자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아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작업대는 단순한 구조로서, 상판과 다리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업의 내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작업대는 기능적으로 다리부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작업자의 키에 적절하게 높이를 조절하는 정도의 기능을 갖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종래의 이러한 단순한 기능을 갖는 작업대로는 현대에 새롭게 발생되는 다양한 종류의 작업을 수행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데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판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측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상판을 구비한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상기 다리부 사이에 배치된 수평부재와; 상기 상판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의 후방부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부재와; 상기 상판이 전방을 향해 하 향 경사지도록 상기 상판의 후방부를 상기 수직부재를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수직부재에 마련된 수직회전부와, 상기 수평부재에 마련된 수평회전부와, 상기 수직회전부 및 상기 수평회전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수평회전부의 회전을 상기 수직회전부의 회전으로 전달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부는 한 쌍의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회전부는 원형 막대형상이며 외주면이 스크루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수직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판의 후방부가 승강되도록 상기 상판의 후방부에 대해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부재, 수직회전부 및 기어부는 상기 상판의 후방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기어부는 상기 수평회전부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회전부 중 일측과 연결된 제1기어부와, 상기 제1기어부와 이격된 상기 한 쌍의 수직회전부 중 타측과 연결된 제2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1기어부의 회전을 상기 제2기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전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측이 상기 수직회전부에 나사 결합되어 승강하며, 타측이 상기 상판의 후방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부재에는 상기 상판의 후방부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회전부의 전방에는 회전손잡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판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의 승강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의 상판이 경사지게 승강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1)는 다리부(5)와, 다리부(5)의 상측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상판(10)과, 상판(10)과 다리부(5) 사이에 배치된 수평부재(20)와, 상판(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판(10)의 후방부(13)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부재(30)와, 상판(10)이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상판(10)의 후방부(13)를 수직부재(30)를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40)을 포함한다.
다리부(5)는 상판(10)을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을 유지하도록 작업대(1)가 설치될 바닥면과 상판(10)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예로 다리부(5)는 상하방향으로 기립되며 상호 평행하게 4개로 마련되어 상판(10)의 4개의 모서리 영역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다리부(5)는 상판(10)의 형상 등에 따라 3개 혹은 5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판(10)은 작업자가 부품 등을 올려놓고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정한 넓이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판(10)은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며, 작업자가 위치하는 쪽을 전방부(11)라고 하며, 전방부(11)의 맞은편을 후방부(13)라고 한다. 그러나, 상판(1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5각형 혹은 타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작업자가 위치하는 쪽을 전방부(11)라고 하며, 전방부(11)의 맞은편을 후방부(13)하고 한다.
수평부재(20)는 본 발명의 일예로 다리부(5)와 상판(10) 사이에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수평되게 배치된다. 즉, 수평부재(20)는 좌우측영역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마련되며, 전후영역에 각각 마련되어 상판(10)을 지지하도록 사각형상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예로 수평부재(20)는 상판(10)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사각단면 형상으로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단면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수직부재(30)는 상판의 후방영역의 좌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기립되게 배치된다. 수직부재(30)는 본 발명의 일예로 수평부재(20)의 후방의 좌우측 모서리영역에서 각각 상향으로 수직되게 배치되며, 수평부재(20)와 스크루에 의해 결합된다. 그러나, 수직부재(30)는 수평부재(20)와 용접 등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수직부재(30)는 본 발명의 일예로 사각단면 형상으로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단면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수직부재(30) 사이에는 후방벽면(7)이 마련될 수 있다. 후방벽면(7)은 상판(10)의 후방부(13)의 후방영역에 상하방향으로 기립되게 설치되며, 후술할 연결부재(47)와 결 합되어 연결부재(47)와 함께 승강하도록 마련된다.
승강유닛(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30)에 마련된 수직회전부(45)와, 수평부재(20)에 마련된 수평회전부(41)와, 수직회전부(45) 및 수평회전부(41) 사이에 마련되어 수평회전부(41)의 회전을 수직회전부(45)의 회전으로 전달하는 기어부(51)를 포함한다.
수직회전부(45)는 원형 막대형상이며, 그 외주면은 스크루 형상으로 마련되어 수직회전부(45)의 회전에 의해 상판(10)의 후방부(13)가 승강되도록 상판(10)의 후방부(13)에 대해 나사 결합된다. 즉, 수직회전부(45)는 본 발명의 일예로 수직부재(30)에 결합되어 기어부(51)에 의해 그 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일측이 너트 형상으로 마련된 연결부재(47)가 수직회전부(45)에 나사 결합된 수직회전부(45)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재(47)는 상판(10)의 후방부(13)와 결합되어 연결부재(47)의 승강과 함께 상판(10)의 후방부(13)를 승강시키게 된다.
연결부재(47)는 일측이 수직회전부(45)에 나사 결합되어 승강하며, 타측이 상판(10)의 후방부(1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연결부재(47)는 수직회전부(45)에 나사 결합되어 수직회전부(45)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너트부(48)와, 상판(10)의 후방부(13)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핀(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핀결합부(49)를 포함한다. 또한, 수직부재(30)에는 상판(10)의 후방부(13)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31)가 마련된다.
가이드부(31)는 본 발명의 일예로 연결부재(47)가 수직부재(30)를 따라 용이 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수직부재(30)의 측면과 연결부재(47) 사이에 마련된다. 즉, 가이드부(31)는 한 쌍의 수직부재(30)와 한 쌍의 연결부재(47) 사이에 각각 마련되어 상판(10)의 후방부(13)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연결부재(47)가 같은 높이로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수평회전부(41)는 본 발명의 일예로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수평부재(20) 중 하나에 마련되며, 그 전방에는 회전손잡이부(60)가 마련된다. 회전손잡이부(60)는 본 발명의 일예로 수평회전부(41)의 전방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으며, 분리되지 않게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사용자는 상판(10)의 전방에서 회전손잡이부(60)를 회전시켜 수평회전부(41)를 회전시키면, 기어부(51)에 의해 동력이 수직회전부(45)로 전달되고, 수직회전부(45)의 회전에 의해 상판(10)의 후방부(13)가 승강하게되어 상판(10)의 경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기어부(51)는 본 발명의 일예로 한 쌍의 베벨기어이다. 그러나, 기어부(5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랙과 피니언방식이나 벨트구동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수직회전부(45) 및 기어부(51)는 상판(10)의 후방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즉, 수직회전부(45)는 한 쌍의 수직부재(30)에 각각 수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기어부(51)는 한 쌍의 수직회전부(45)의 하측 단부에 각각 마련된다.
한 쌍의 기어부(51)는 수평회전부(41) 및 한 쌍의 수직회전부(45) 중 일측과 연결된 제1기어부(52)와, 제1기어부(52)와 이격되어 한 쌍의 수직회전부(45) 중 타측과 연결된 제2기어부(5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기어부(52)와 제2기어부(53)의 사이에는 제1기어부(52)의 회전을 제2기어부(53)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전달부(55)가 마련된다.
회전전달부(55)는 그 양측에 베벨기어가 장착되어 있어 제1기어부(52)의 회전을 제2기어부(53)로 전달할 수 있다. 회전전달부(55)는 본 발명의 일예로 후방에 배치된 수평부재(20) 내에 장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방에 별도의 수평부재(20)가 없는 경우에는 제1기어부(52) 및 제2기어부(53)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1)의 상판(10)의 각도조절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상판(10)의 전방에서 회전손잡이부(60)를 회전시켜 수평회전부(41)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기어부(52)가 회전함과 동시에, 제1기어부(52)에 결합된 일측의 수직회전부(45), 회전전달부(55), 제2기어부(53) 및 제2기어부(53)와 결합된 타측의 수직회전부(45)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수직회전부(45)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수직회전부(45)에 결합된 한 쌍의 연결부재(47)가 승강하게 되어 상판(10)의 후방부(13)가 승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판(10)의 경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1)는 하나의 수평회전부(41)를 회전시켜 양측 의 수직회전부(45)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상판의 후방부(13)의 양측을 동일하게 승강시킬 수 있어 상판(10)의 경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의 상판이 경사지게 승강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작업대 5 : 다리부
7 : 후방벽면 10 : 상판
11 : 전방부 13 : 후방부
20 : 수평부재 30 : 수직부재
40 : 승강유닛 41 : 수평회전부
45 : 수직회전부 47 : 연결부재
48 : 너트부 49 : 핀결합부
51 : 기어부 55 : 회전전달부
60 : 회전손잡이부

Claims (8)

  1.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측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상판을 구비한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상기 다리부 사이에 배치된 수평부재와;
    상기 상판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의 후방부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부재와;
    상기 상판이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상판의 후방부를 상기 수직부재를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수직부재에 마련된 수직회전부와, 상기 수평부재에 마련된 수평회전부와, 상기 수직회전부 및 상기 수평회전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수평회전부의 회전을 상기 수직회전부의 회전으로 전달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한 쌍의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회전부는 원형 막대형상이며 외주면이 스크루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수직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판의 후방부가 승강되도록 상기 상판의 후방부에 대해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 수직회전부 및 기어부는 상기 상판의 후방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기어부는 상기 수평회전부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회전부 중 일측과 연결된 제1기어부와, 상기 제1기어부와 이격된 상기 한 쌍의 수직회전부 중 타측과 연결된 제2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1기어부의 회전을 상기 제2기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전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6. 제5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수직회전부에 나사 결합되어 승강하며, 타측이 상기 상판의 후방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에는 상기 상판의 후방부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부의 전방에는 회전손잡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KR1020090043989A 2009-05-20 2009-05-20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KR100932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989A KR100932731B1 (ko) 2009-05-20 2009-05-20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989A KR100932731B1 (ko) 2009-05-20 2009-05-20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731B1 true KR100932731B1 (ko) 2009-12-21

Family

ID=4168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989A KR100932731B1 (ko) 2009-05-20 2009-05-20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7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9054A (zh) * 2012-06-17 2012-10-17 芜湖长胜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模具机械加工的工作台
CN114872003A (zh) * 2022-04-24 2022-08-09 河南省豫冠安全发展有限公司 一种化工机械用的可调节操作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079Y1 (ko) 2001-02-16 2001-07-19 김흥기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
KR200304155Y1 (ko) 2002-11-25 2003-02-17 박은규 높이와 각도 조절이 용이한 책상
KR200349557Y1 (ko) 2004-02-19 2004-05-04 신주호 높이조절 및 상판 각도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0514233B1 (ko) * 2005-04-25 2005-09-09 최성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079Y1 (ko) 2001-02-16 2001-07-19 김흥기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
KR200304155Y1 (ko) 2002-11-25 2003-02-17 박은규 높이와 각도 조절이 용이한 책상
KR200349557Y1 (ko) 2004-02-19 2004-05-04 신주호 높이조절 및 상판 각도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0514233B1 (ko) * 2005-04-25 2005-09-09 최성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9054A (zh) * 2012-06-17 2012-10-17 芜湖长胜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模具机械加工的工作台
CN114872003A (zh) * 2022-04-24 2022-08-09 河南省豫冠安全发展有限公司 一种化工机械用的可调节操作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1512A (ko) 작업대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932729B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KR20120077203A (ko) 용접용 고정지그
KR100932731B1 (ko)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CN103982759A (zh) 一种配重式显示器自由升降架
KR20150007560A (ko)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KR20120133948A (ko) 샤프트 클러치 얼라이먼트용 서포트
KR101386072B1 (ko) 승강 테이블
US2524085A (en) Tiltable top worktable
US2067652A (en) Woodworking machine
CN209883363U (zh) 一种电动及手动两用升降调节桌
US2016528A (en) Combination motorized work and machine bench
KR20110120112A (ko) 판재용 모서리 면취기
KR20170043489A (ko) 저상 탑승이 가능한 고소작업차
US6035972A (en) Lift table
KR101666281B1 (ko) 승강테이블
KR101168820B1 (ko) 목판 문양 가공장치
CN211305302U (zh) 一种避免柜板磨损的配电柜生产用焊接台
CN210203814U (zh) 一种工作台面高度可调节的裁剪台
KR20220055685A (ko) 벽면패널 부착장치
KR20130003787U (ko) 오버헤드 작업용 이동 작업대
KR20120037679A (ko) 자동 절단기
KR20140036854A (ko) 정밀조절 가능한 톱장치
CN214817032U (zh) 一种版辊加工机床工作台防护设备
CN111515711A (zh) 一种加工平台可提升的安全钻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