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758A - 7-아자인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7-아자인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758A
KR20080016758A KR1020087003517A KR20087003517A KR20080016758A KR 20080016758 A KR20080016758 A KR 20080016758A KR 1020087003517 A KR1020087003517 A KR 1020087003517A KR 20087003517 A KR20087003517 A KR 20087003517A KR 20080016758 A KR20080016758 A KR 20080016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pyridylamino
formula
methoxybenzyl
hydroxybenz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0586B1 (ko
Inventor
노르버트 회프겐
우테 에게르란트
토마스 크론바흐
데겐하르트 마르크스
슈테판 스첼레니
힐데가르트 쿠스
엠마누엘 폴리메로포울로스
Original Assignee
엘비온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053275A external-priority patent/DE10053275A1/de
Application filed by 엘비온 아게 filed Critical 엘비온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16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4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for urolithi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impot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4Decongestants or antiallerg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2Antido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4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2Antidiuretics, e.g. drugs for diabetes insipid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Onc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ddiction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IDS & HIV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7-아자인돌,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 억제제로서의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7-아자인돌,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 호산구, 호중구, TNFα

Description

7-아자인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7-azaindoles}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치환된 7-아자인돌, 이의 합성방법, 당해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 및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면역적격 세포(예를 들어, 대식세포 및 림프구)에서의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 활성 억제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질병 치료용 활성 성분으로서의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의 억제제인 당해 화합물의 약제학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8010814590-PAT00001
전달물질에 의한 세포 막의 수용체의 활성화는 "2차 메신저" 시스템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는 AMP 및 GMP로부터 활성 사이클릭 AMP(cAMP) 또는 사이클릭 GMP(cGMP)를 합성한다. 이는 예를 들어, 평활근 세포의 이완 또는 염증 세포에서 매개체의 방출 또는 합성의 억제를 유도한다. "2차 메신저" cAMP 및 cGMP는 포스포디에스테라제(PDE)에 의해 분해된다. 현재까지, 기질 특이성(cAMP, cGMP 또는 둘 다) 및 기타 기질(예: 칼모둘린)에 대한 의존성에 따라 상이한 11종의 PDE 효소(PDE1 내지 PDE11)가 알려져 있다. 이들 동종효소는 체내에서 상이한 기능을 하며 개개의 세포 유형에서마다 다르게 지칭된다[참조: Beavo, J.A., M. Conti and R.J. Heaslip, Multiple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s. Mol. Pharmacol. 1994, 46:399-405: Hall, I.P., Isoenzyme selective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potential clinical uses, Br. J. clin. Pharmacol 1993, 35:1-7]. 상이한 PDE 동종효소형의 억제는 세포내에 치료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cAMP 및/또는 cGMP를 축적시킨다[참조: Torphy, T.J., G.P. Livi, S.B. Christensen, Novel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for the Therapy of Asthma, Drug News and Perspectives 1993, 6:203-214].
알레르기 염증에 중요한 세포(림프구, 비만 세포, 호산구성 과립구, 대식세포)에서 주된 PDE 동종효소는 4형이다[참조: Torphy, J.T. and B.J. Undem, Phophordiesterase inhibitors: new opportunities for the treatment of asthma. Thorax 1991, 46:512-523]. 따라서, 적합한 억제제에 의한 PDE의 억제가 다수의 알레르기 유도된 질병의 치료를 위한 중요한 출발점으로서 간주된다[참조: Schudt, Ch., G. Dent and K. Rabe,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Academic Press London 1996].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 억제제의 중요한 특성은 염증 세포로부터 종양 괴사 인자 α(TNFα)의 방출을 억제하는 것이다. TNFα는 다수의 생물학적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전염증 사이토킨이다. TNFα는 예를 들어, 활성화된 대식세포, 활성화된 T 림프구, 비만 세포, 호염기구, 섬유모세포, 상피 세포 및 뇌 속의 성상세포로부터 방출된다. TNFα는 그 자체로 호중구, 호산구, 섬유모세포 및 상피 세포를 활성화시켜, 상이한 조직 파괴 매개체가 방출된다. 단핵구, 대식세포 및 T 림프구에서, TNFα는 GM-CSF(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 또는 인터류킨-8과 같은 추가의 전염증 사이토킨의 생성을 증가시킨다. 이의 염증 촉진 및 이화 효과로 인해, TNFα는 호흡 경로의 염증, 관절의 염증, 내독성 쇼크, 조직 거부, AIDS 및 수많은 기타 면역학적 질병과 같이 다수의 질병에서 중심적 역할을 한다. 따라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의 억제는 또한 TNFα와 관련되는 이들 질병을 치료하는 데 적합하다.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은 만연되어 있으며 또한 큰 경제적 중요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COPD는 선진국에서 모든 질병에 대한 비용의 약 10 내지 15%를 차지하며 USA에서는 모든 사망의 약 25%가 당해 원인에 기인하나[참조: Norman, P.: COPD: New developments and therapeutic opportunities, Drug News Perspect. 11(7), 431-437, 1998], 사망시에 대부분의 환자들은 55세 이상이다[참조: Nolte, D.: Chronic Bronchitis - a National Disease of Multifactorial Origin. Atemw.- Lungenkrkh. 20 (5), 260-267, 1994]. WHO는 다음 20년 이내에 COPD가 가장 흔한 사망 원인 중 세번째가 될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의 증후군은 만성 기관지염의 상이한 증후군과 습성 기침 및 폐 기능의 진행성 및 비가역적 악화(호기가 특히 영향을 받는다)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 상기 질병의 원인은 발작적이며 흔히 세균 감염으로 인해 악화된다[참조: Rennard, S.I.: COPD: Overview of definitions, Epidemiology, and factors influencing its development. Chest, 113 (4) Suppl. 235S-241S, 1998]. 질병 진행시, 폐 기능은 서서히 감소되며 폐는 점점 기종(氣腫)화되고 환자의 호흡 곤란이 명백해진다. 상기 질병은 환자의 생활의 질을 명백하게 손상시키며(숨참, 낮은 운동허용능) 이들의 기대수명을 현저하게 단축시킨다. 환경적 요인 이외에, 주요 위험 요소는 흡연이므로[참조: Kummer, F.: Asthma and COPD, Atemw.-Lungenkrkh. 20 (5), 299-302, 1994; Rennard S.I.: COPD: Overview of definitions, Epidemiology, and factors influencing its development. Chest, 113 (4) Suppl., 235S-241S, 1998], 남성들이 여성들보다 많이 걸린다. 이러한 상황은 앞으로 습관의 변화 및 흡연 여성수의 증가로 인해 변할 것이다.
본 치료는 질병 진행의 원인에 상관없이, 단지 증상을 경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스카린 길항제(예: 이프라트로퓸)와 배합될 수 있는 지속성 베타2 효능제(예: 살메테롤)는 기관지를 확장시켜 폐 기능을 개선시키고 통상적으로 사용된다[참조: Norman, P.: COPD: New developments and therapeutic opportunities, Drug News Perspect. 11(7), 431-437, 1998]. 항생제로 치료되어야 하는 세균 감염은 COPD 에피소드(episode)에서 큰 역할을 한다[참조: Wilson, R.: The role of infections in COPD, Chest, 113 (4) Suppl., 242S-248S, 1998, Grossman, R.F.: The value of antibiotics and the outcomes of antibiotic therapy in exacerbations of COPD, Chest, 113 (4) Suppl., 249S-255S, 1998]. 상기 질병의 치료는 특히, 폐기능이 지속적으로 감소한다는 점에서 여전히 불만족스럽다. 염증 매개체인 프로테아제 또는 부착 분자를 공격하는 신규한 치료 접근법이 매우 기대된다[참조: Barnes, P.J.: Chronic obstructive disease: new opportunities for drug development, TiPS 10 (19) 415-423, 1998].
질병을 악화시키는 세균 감염과는 별도로, 호중성 과립구에 의해 좌우되는 만성 염증이 기관지에서 발견된다. 특히, 호중성 과립구에 의해 방출되는 매개체 및 효소는 기도에서 관찰되는 구조 변화(기종)에 책임이 있다. 따라서, 호중성 과립구 활성의 억제는 COPD의 진행(폐 기능 지표의 악화)을 막거나 지연시키기 위한 합리적인 출발점이다. 과립구의 활성화에 대한 중요한 자극원은 전염증 사이토킨 TNFα(종양 괴사 인자)이다. 예를 들어, TNFα는 호중성 과립구의 유리 산소 라디칼의 형성을 자극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참조: Jersmann, H.P.A., D.A. Rathjen and A. Ferrante: Enhancement of LPS-induced neutrophil oxygen radical production by TNFα, Infection and Immunity, 4, 1744-1747, 1998]. PDE4 억제제는 다수의 세포로부터의 TNFα 방출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써 호중성 과립구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비특이적 PDE 억제제인 펜톡시필린은 산소 라디칼의 형성 뿐만 아니라 호중성 과립구의 포식 능력을 억제할 수 있다[참조: Wenisch, C., K. Zedtwitz-Liebenstein, B. Parschalk and W. Graninger: Effect of pentoxifylline in vitro on neutrophil reactive oxygen production and phagocytic ability, assessed by flow cytometry, Clin. Drug Invest., 13(2): 99-104, 1997].
상이한 PDE 4 억제제들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주로 이들 억제제는 크산틴 유도체, 롤리프람 유사체 또는 니트라쿠아존 유도체[참조: Karlsson, J.-A. and D. Aldos, Phosphodiesterase 4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asthma, Exp. Opin. Ther. Patents 1997, 7: 989-1003]이다. 현재까지는 상기 화합물들 중 어떤 것도 임상 적용 단계에 도입할 수 없었다. 공지된 PDE 4 억제제가 오심 및 구토와 같은 다양한 부작용을 또한 갖는다는 것이 주지되어야 하며, 현재까지는 이들 부작용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치료 범위가 보다 우수한 신규한 PDE 4 억제제를 발견할 필요가 있다.
상이한 징후에 대해 신규한 활성 성분을 개발하는 데 7-아자인돌을 사용하는 것은 지금까지 비교적 소수의 경우에서만 기재되었다.
일본 특허 제10120681호[참조: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에는 화학식
Figure 112008010814590-PAT00002
의 5- 및 7-아자인돌(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단쇄 알킬 그룹일 수 있고, R2는 수소, 할로겐, 단쇄 알킬 그룹, 사이클로알킬 그룹, 알킬카보닐 그룹 또는 알카노일 그룹일 수 있으며, R3은 알카노일 그룹, 보호된 카복실산 그룹, 시아노 그룹 또는 치환된 카바모일 그룹이고, L은 단쇄 알킬렌 브릿지(bridge)이 고, Q는 치환된 방향족 및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이고, A1 및 A2 중에서 하나는 질소이고 나머지 하나는 CH이다)이 청구되어 있다. 상기 화합물은 특히 치환체 R2 및 R3에 있어서 및 부분적으로 R1 및 A2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과 다르다. 기재된 화합물은 cGMP 특이적 포스포디에스테라제(PDE 5)의 억제제로서 청구되어 있다. 다양한 심장 순환 질병, 기관지염, 천식, 비염, 발기부전, 당뇨병 합병증 및 녹내장이 적용 분야로서 지정되어 있다.
다양한 3-아미노알킬-4-아자인돌 및 3-아미노알킬-7-아자인돌의 합성은 문헌[참조: L.N. Yakhontov, S.S. Liberman, D.M. Krasnokutskaya et al., Khim.-Farm. Zh. 8(11), 1974, 5-9]에 기재되어 있다. 3-(2-아미노에틸)-7-아자인돌의 경우, 우울 또는 항우울 효과가 기재되어 있다. 3-아미노메틸-7-아자인돌에 있어서는, 혈압 저하 효과가 주지되어 있다.
문헌[참조: A.J. Verbiscar, J. Med. Chem. 15(2), 1972 149-152]에는 항말라리아 효과가 측정된 화학식
Figure 112008010814590-PAT00003
의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US 650223호(Sterling Drug Inc.)에는, 상응하는 2- 또는 3-시 아노알킬-7-아자인돌로부터 다양한 2-(이미다졸린-2-일)-알킬-7-아자인돌 또는 3-(이미다졸린-2-일)-알킬-7-아자인돌의 합성 및 혈관수축제로서의 당해 화합물의 용도가 청구되어 있다.
7-아자인돌은 이전에는 PDE 4의 억제제로서 공지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면역적격 세포(예를 들어, 대식세포 및 림프구)에서의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 활성 억제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질병 치료용 활성 성분으로서의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의 억제제인 신규한 7-아자인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1의 치환된 7-아자인돌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0814590-PAT00004
위의 화학식 1에서,
n은 1 또는 2일 수 있으며,
R1
-OH, -SH, -NH2, -NHC1 내지 -NHC6 알킬, -N(C1 내지 C6-알킬)2, -NHC6 내지 NHC14 아릴, -N(C6 내지 C14 아릴)2, -N(C1 내지 C6 알킬)(C6 내지 C14 아릴), -NO2, -CN, -F, -Cl, -Br, -I, -O-C1 내지 -O-C6 알킬, -O-C6 내지 -O-C14 아릴, -S-C1 내지 -S-C6 알킬, -S-C6 내지 -S-C14 아릴, -SO3H, -SO2C1 내지 -SO2C6 알킬, -SO2C6 내지 -SO2C14 아릴, -OSO2C1 내지 -OSO2C6 알킬, -OS02C6 내지 -OSO2C14 아릴, COOH, -(CO)C1 내지 -(CO)C5 알킬, 3개 내지 14개의 환 원을 갖는 모노-, 비- 또는 트리사이클릭, 포화 또는 단일불포화 또는 다불포화 카보사이클릭 화합물, 또는 5개 내지 15개의 환 원 및 바람직하게는 N, O 및 S인 1개 내지 6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모노-, 비- 또는 트리사이클릭, 포화 또는 단일불포화 또는 다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으로 1회 이상 임의로 치환된 -C1 내지 -C10 직쇄 또는 측쇄 알킬 그룹(여기서, C6 내지 C14 아릴 그룹과 카보사이클릭 및 헤테로사이클릭 치환체는 치환되지 않거나, R4로 일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다), 또는
-OH, -SH, -NH2, -NHC1 내지 -NHC6 알킬, -N(C1 내지 C6-알킬)2, -NHC6 내지 NHC14 아릴, -N(C6 내지 C14 아릴)2, -N(C1 내지 C6 알킬)(C6 내지 C14 아릴), -NO2, -CN, -F, -Cl, -Br, -I, -O-C1 내지 -O-C6 알킬, -O-C6 내지 -O-C14 아릴, -S-C1 내지 -S-C6 알킬, -S-C6 내지 -S-C14 아릴, -SO3H, -SO2C1 내지 -SO2C6 알킬, -SO2C6 내지 -SO2C14 아릴, -OSO2C1 내지 -OSO2C6 알킬, -OS02C6 내지 -OSO2C14 아릴, COOH, -(CO)C1 내지 -(CO)C5 알킬, 3개 내지 14개의 환 원을 갖는 모노-, 비- 또는 트리사이클릭, 포화 또는 단일불포화 또는 다불포화 카보사이클릭 화합물, 5개 내지 15개의 환 원 및 바람직하게는 N, O 및 S인 1개 내지 6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모노-, 비- 또는 트리사이클릭, 포화 또는 단일불포화 또는 다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으로 임의로 일치환 또는 다치환된 단일불포화 또는 다불포화, 직쇄 또는 측쇄 -C2 내지 C10 알케닐(여기서, C6 내지 C14 아릴 그룹과 카보사이클릭 및 헤테로사이클릭 치환체는 치환되지 않거나, R4로 일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다)이고,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둘 중 하나만이 수소이고, 또한 R2 및 R3
-OH, -SH, -NH2, -NHC1 내지 -NHC6 알킬, -N(C1 내지 C6-알킬)2, -NO2, -CN, -F, -Cl, -Br, -I, -O-C1 내지 -O-C6 알킬, -S-C1 내지 -S-C6 알킬-페닐, -피리딜로 임의로 일치환 또는 다치환된 -C1-C5 알킬,
-OH, -SH, -NH2, -NHC1 내지 -NHC3 알킬, -N(C1 내지 C3-알킬)2, -NO2, -CN, -COOH, -COOC1 내지 -COOC3 알킬, -F, -Cl, -Br-, -O-C1 내지 -O-C3 알킬, -S-C1 내 지 -S-C3 알킬로 임의로 일치환 또는 다치환된 페닐,
-NO2, -CN, -COOH, -COOC1 내지 COOC3 알킬, -Cl, -Br-, -O-C1 내지 O-C3 알킬, -S-C1 내지 -S-C3 알킬로 임의로 일치환 또는 다치환된 피리딜, 또는
Figure 112008010814590-PAT00005
이거나, -NR2R3 그룹은
Figure 112008010814590-PAT00006
이고,
R4는 -H, -OH, -SH, -NH2, -NHC1 내지 -NHC6 알킬, -N(C1 내지 C6-알킬)2, NHC6 내지 NHC14 아릴, -N(C6 내지 C14 아릴)2, -N(C1 내지 C6 알킬)(C6 내지 C14 아릴), -NHCOC1 내지 -NHCOC6 알킬, -NO2, -CN, -COOH, -COOC1 내지 -COOC6 알킬, -(CO)C1 내지 -(CO)C6 알킬, -(CS)C1 내지 -(CS)C6 알킬, -F, -Cl, -Br, -I, -O-C1 내지 -O-C6 알킬, -O-C6 내지 -O-C14 아릴, -S-C1 내지 -S-C6 알킬, -S-C6 내지 -S-C14 아릴, -SOC1 내지 -SOC6 알킬 또는 -SO2C1 내지 -SO2C6 알킬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7-아자인돌에서, 잔기 R1은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10 알킬 잔기이다. 당해 잔기는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클릭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는 직쇄이다.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 잔기가 특히 바람직하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잔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서, R1 은 C2 내지 C10 알케닐 잔기, 바람직하게는 C2 내지 C6 알케닐 잔기, 가장 바람직하게는 C2 내지 C4 알케닐 잔기이다. 알케닐 잔기는 단일불포화 또는 다불포화, 예를 들어, 이불포화 또는 삼불포화될 수 있다. 알케닐 잔기는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클릭 탄화수소 잔기일 수 있다. 알킬 또는 알케닐 잔기가 일치환 또는 다치환, 예를 들어, 이치환, 삼치환, 사치환 또는 오치환된 잔기 R1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 잔기 R1은 치환된 C1 알킬(즉 메틸) 잔기이다. 상기 기술한 잔기 R1의 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의 치환체들 중에서, 치환체 -OH, -F, -Cl, -Br, -I, -C1 내지 C4 알콕시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임의로 해당 알킬 잔기가 1개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고 임의로 해당 아릴 잔기가 6개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치환체가 바람직하다. 카보사이클 중에서, 페닐 잔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F, -Cl, -Br, -I, C1 내지 C6 알콕시 또는 하이드록시로 치환된 페닐 잔기가 바람직하다. 헤테로사이클 중에서, N, O 또는 S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헤테로사이클이 바람직하다. 헤테로사이클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피리딜 잔기 및 이소옥사졸 잔기, 특히 3,5-디메틸 이소옥사졸 잔기이다. 축합된 카보사이클릭 치환체의 예로는 나프틸 잔기가 있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 R1은 사이클릭 탄화수소 잔기(예: 사이클로프로필 메틸), 직쇄 탄화수소(예: n-헥실), 알콕시 잔기로 치환된 직쇄 탄화수소(예: 2-메톡시에틸), 측쇄 탄화수소 잔기(예: 이소부틸), 불포화 탄화수소 잔기(예: 2-메틸프로펜-3-일) 또는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족 그룹을 함유하는 탄화수소 잔기(예: 4-플루오로벤질, 3-메톡시벤질, 4-메톡시벤질, 4-클로로벤질, 4-메틸벤질, 3-하이드록시벤질 또는 4-하이드록시벤질)를 포함하는 그룹, 헤테로방향족 탄화수소(예: 4-피리딜메틸 또는 3,5-디메틸이소옥사졸-4-메틸)를 함유하는 그룹 또는 축합된 방향족 탄화수소(예: 1-나프틸메틸)를 함유하는 그룹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질소원자 상의 치환체인 R2 및 R3은 임의로 치환된 C1 내지 C5 알킬 잔기,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3 알킬 잔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C1(즉 메틸) 알킬 잔기일 수 있다.
잔기 R2 또는/및 R3 중의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4-피리딜메틸과 같은 헤테로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잔기이며, 이때 헤테로방향족 탄화수소는 3,5-디클로로-4-피리딜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으로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R2 또는/및 R3은 잔기 모르폴리노이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할로겐 또는 카복시로 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예: 2,6-디클로로페닐, 4-카복시페닐, 4-에톡시카보닐 페닐, 3,4-디메톡시페닐)를 포함하는 잔기 R2 및 R3가 또한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R2 및 R3은 둘 다 메톡시에틸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R2 또는 R3은 잔기
Figure 112008010814590-PAT00007
이거나, 그룹 -NR2R3은 함께
Figure 112008010814590-PAT00008
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염기를 무기 또는 유기 산으로 중화시키거나 산을 무기 또는 유기 염기로 중화시켜 통상의 방법으로 수득한다. 무기 산으로서는 염산, 황산, 인산 또는 브롬화수소산이 고려되며, 유기 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말론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닌산, 석신산, 알긴산, 벤조산, 2-페녹시벤조산, 2-아세톡시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시트르산, 말산, 살리실산, 3-아미노살리실산, 아스코르브산, 엠본산, 니코틴산, 이소니코틴산, 옥살산, 아미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2-하이드록시에탄설폰산, 에탄-1,2-디설폰산, 벤젠설폰산, 4-메틸벤젠설폰산 또는 나프탈렌-2-설폰산과 같은 카복실산, 설포산 또는 설폰산이 고려된다. 무기 염기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가 고려되고, 유기 염기로서는 아민,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퀴놀린, 이소퀴놀린, α-피콜린, β-피콜린, y-피콜린, 퀴날딘 또는 피리미딘과 같은 3급 아민이 고려된다.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3급 아미노 그룹을 함유하는 유도체를 공지된 방식으로 4급화제를 사용하여 상응하는 4급 암모늄 염으로 전환시켜 수득할 수 있다. 4급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 요오다이드, 에틸 브로마이드 및 n-프로필 클로라이드와 같은 알킬 할라이드 뿐만 아니라 벤질 클로라이드 또는 2-페닐에틸 브로마이드와 같은 아릴 알킬 할라이드가 고려된다.
추가로, 비대칭 탄소원자를 갖는 화학식 1의 화합물들 중에서, 본 발명은 D 형태, L 형태 및 D,L 혼합물에 관한 것이며, 수개의 비대칭 탄소원자의 경우에는 부분입체이성체 형태에 관한 것이다. 비대칭 탄소원자를 함유하고 통상적으로 라세미체로 수득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공지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광학 활성 산을 사용하여 광학 활성 이성체로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처음부터 광확 활성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광확 활성 또는 부분입체 이성체 화합물을 최종 생성물로서 수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치료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약리학적으로 중요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TNFα방출의 억제제이다.
따라서, 당해 화합물은 TNFα의 방출을 억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뿐만 아니라 당해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를 TNFα의 억제가 유용한 질병의 치료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질병으로는 예를 들어, 관절염 및 류마티스 관절염을 포함하는 관절의 염증 뿐만 아니라 류마티스 척추염 및 골관절염과 같은 기타 관절 질환이 포함된다. 추가의 적용 가능성은 골다공증, 패혈증, 패혈성 쇽, 그램 네가티브 패혈증, 독성 쇽 증후군, 호흡곤란 증후군, 천식 또는 기타 만성 폐질환, 골흡수 질환 또는 이식거부 반응 또는 기타 자가면역 질환, 예를 들어,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사구체신염 및 포도막염,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및 만성 탈수초를 앓는 환자의 치료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바이러스 감염 및 기생충 감염과 같은 감염 치료, 예를 들어, 말라리아, 리슈만편모충, 감염 유도된 발열, 감염 유도된 근육 통증, AIDS 및 악액질의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의 억제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를 억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뿐만 아니라, 당해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를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의 억제가 유용할 수 있는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기관지확장제로서 및 천식 예방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또한 호산구의 축적 뿐만 아니라 이의 활성의 억제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호산구가 관여하는 질병의 경우에 사용할 수 도 있다. 당해 질환으로는 예를 들어, 기도의 염증 질환(예: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알레르기성 혈관염, 호산구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예: 호산성 근막염, 호산성 폐렴 및 PIE 증후군(호산구증가증을 동반한 폐 침윤)), 두드러기,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및 증식성 피부 질환(예: 건선 및 각화증)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이 시험관내에서 TNFα의 방출 뿐만 아니라 생체내에서 랫트의 LPS 유도된 폐 호중구 침윤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밝혀진 상기 약리학적으로 중요한 특성 모두는 당해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뿐만 아니라 당해 화합물 및 이의 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가 만성 폐쇄성 폐 질환의 치료를 위해 치료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시킨다.
게다가,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신경보호 특성을 가지며 신경보호가 유용한 질환의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질환으로는 예를 들어, 노인성 치매(알쯔하이머 질환), 기억력 상실, 파킨슨 질환, 우울증, 뇌졸중 및 간헐 파행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양성 전립선 과형성증과 같은 전립선 질환, 빈뇨, 야간뇨의 예방 및 치료 뿐만 아니라 요실금, 요로 결석에 의해 개시되는 복통 및 남성 및 여성 성기능 장애의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모르핀과 같은 진통제의 반복 사용에 따른 약물 의존성의 증가를 억제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진통제가 반복적으로 사용될 경우에 내성의 증가를 감소시키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
약물 제조의 경우,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 이외에 통상의 보조제, 담체 및 첨가제를 사용한다.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되는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치료될 질환의 성질과 중증도 및 유사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1일 투여량은 1일 1회 투여되는 단일 투여량으로 투여할 수 있거나, 1일 2회 이상의 투여량으로 나눌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0.001 내지 100mg이다.
경구, 비경구, 정맥내, 경피, 국소, 흡입 및 비강내 제제가 바람직한 투여 형태이다.
제제의 통상적인 약제학적 형태, 예를 들어, 정제, 피복된 정제, 캡슐제, 분산성 산제, 입제, 수성 액제, 수성 또는 유성 현탁제, 시럽제, 용제 또는 점적제를 사용할 수 있다.
고체 형태의 약물은 불활성 성분 및 담체, 예를 들어, 탄산칼슘, 인산칼슘, 인산나트륨, 락토스, 전분, 만니톨, 알기네이트, 젤라틴, 구아 고무, 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메틸셀룰로즈, 활석, 고분산 실리카, 실리콘 오일, 고분자량 지방산(예: 스테아르산), 젤라틴, 아가 아가(agar agar), 식물성 또는 동물성 지방과 오일 및 고형 고분자량 중합체(예: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제는 임의로 추가의 풍미제 및/또는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액체 형태의 약물은 멸균시킬 수 있으며/있거나, 임의로 삼투압 조절 또는 완충 목적의 방부제, 안정화제, 습윤제, 투과제, 유화제, 확산제, 가용화제, 염, 당 또는 당 알콜, 및/또는 점도 조절제와 같은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타르트레이트 및 시트레이트 완충액, 에탄올, 착화제(예: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및 이의 비독성 염)가 있다.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액상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미정질 셀룰로스(예: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덱스트란 또는 젤라틴과 같은 고분자량 중합체가 고려된다. 고체 담체 물질로는 예를 들어, 전분, 락토스, 만니톨, 메틸셀룰로스, 활석, 고분산 실리카, 고분자량 지방산(예: 스테아르산), 젤라틴, 아가 아가, 인산칼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동물성 및 식물성 지방 및 고형 고분자량 중합체(예: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있다.
비경구 또는 국소용 유성 현탁제는 식물성, 합성 또는 반합성 오일, 예를 들어, 각 경우에 1개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1가 또는 3가 알콜(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또는 이의 이성체, 글리콜 또는 글리세롤)로 에스테르화된, 지방산(예: 팔미트산, 라우르산, 트리데실산, 마르가르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미리스트산, 베헨산, 펜타데실산, 리놀레산, 엘라이드산, 브라시드산, 에루신산 또는 올레산) 쇄 중에 8개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액상 지방 에스테르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방 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시판되는 미글리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포화 지방 알콜의 PEG 6-카프르산, 카프릴산/카프르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롤 트리올레에이트, 에틸 올레에이트, 왁스상 지방 에스테르(예: 합성 오리 둔부샘(rump gland) 지방), 코코넛유 지방산의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올레일 올레에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에틸 락테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 페이트, 폴리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있다. 상이한 점도의 실리콘 오일 또는 지방 알콜(예: 이소트리데실 알콜, 2-옥틸도데칸올, 세틸 스테아릴 알콜 또는 올레일 알콜), 지방산(예: 올레산)이 마찬가지로 적합하다. 또한, 피마자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참기름, 면실유, 땅콩유 또는 대두유와 같은 식물성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겔형성제 및 가용화제, 물 또는 물과 혼화성인 용매가 고려된다. 예를 들어,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벤질 알콜, 2-옥틸도데칸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탈레이트, 아디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왁스, 메틸 셀로솔브, 셀로솔브, 에스테르, 모르폴린, 디옥산,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사이클로헥사논 등과 같은 알콜이 고려된다.
필름 형성제로서는, 물 뿐만 아니라 유기 용매(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또는 가용성 전분) 중에서 용해되거나 팽윤될 수 있는 셀룰로스 에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겔 형성제와 필름 형성제 간의 혼합된 형태도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본원에서는 이온성 거대 분자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및 이의 염, 나트륨 아벨로펙틴 세미글리콜레이트, 알긴산 또는 나트륨 염으로서의 프로필렌 글리콜 알기네이트, 아라비아 고무, 크산탄 고무, 구아 고무 또는 카라긴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추가의 제형 보조제로서는 글리세린, 상이한 점도의 파라핀, 트리에탄올아 민, 콜라겐, 알란토인, 노반티솔산을 사용할 수 있다.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지방 알콜 에테르 설페이트, 이나트륨 N-라우릴-β-이미노 디프로피오네이트, 폴리에톡실화 피마자유 또는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예: 트윈), 세틸 알콜, 레시틴,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알킬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모노알킬 또는 디알킬 폴리글리콜 에테르 오르토인산 모노에탄올아민 염과 같은 계면활성제, 유화제 또는 습윤제를 사용한다. 목적하는 제형을 제조하기 위해, 유액 안정화용 안정화제(예: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항산화제와 같은, 활성 물질의 분해 방지용 안정화제(예: 토코페롤 또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또는 방부제(예: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에스테르)가 또한 요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는 앰풀 또는 바이알과 같은 개별적 투여 단위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의 용액, 특히 수용액 및 그 중에서도 등장성 용액을 사용하나, 현탁액도 사용한다. 이러한 주사 형태는 완성된 제제로서 이용할 수 있거나, 동결건조물과 같은 활성 화합물을 임의로 다른 고체 담체 물질, 목적하는 용매 또는 현탁제와 혼합하여 사용 직전에 제조할 수 있다.
비강내 제제는 수성 또는 유성 용액이나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들은 사용 전에 적합한 용매 또는 현탁제로 제조하는 동결건조물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제제를 제조하여 용기내로 충전시키고 밀봉하는 공정은 통상의 항균 및 무균 조건하에 수행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R1, R2 및 R3이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n이 1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R1이 동일한 의미를 갖는 화학식 2의 7-아자인돌-3-카복실산을 공지된 방식으로 산 클로라이드, 바람직하게는 티오닐 클로라이드 또는 옥살릴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먼저 화학식 3의 유사한 7-아자인돌-3-카복실산 클로라이드로 전환시킴으로써 합성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0814590-PAT00009
Figure 112008010814590-PAT00010
Figure 112008010814590-PAT00011
이어서, 분리된 화학식 3의 7-아자인돌-3-카복실산 클로라이드를 1급 또는 2급 아민과 반응시켜 R1, R2 및 R3이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n이 1인,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상기 반응은 보조 염기의 존재하에 유리하게 진행된다. 보조 염기로서, 반응물로서 사용되는 과량의 아민, 3급 아민, 바람직하게는 피리딘 또는 트리에틸아민 뿐만 아니라 무기 염기,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수소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R1, R2 및 R3이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n이 2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R1이 동일한 의미를 갖는 화학식 4의 7-아자인돌을 공지된 방식으로 옥살릴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아실화시켜 화학식 5의 유사한 7-아자인돌-3-일-글리옥실산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합성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0814590-PAT00012
Figure 112008010814590-PAT00013
Figure 112008010814590-PAT00014
이어서, 1급 또는 2급 아민과 반응시켜 화학식 5의 7-아자인돌-3-일-글리옥실산으로부터 R1, R2 및 R3이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n이 2인,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형성시킨다. 당해 반응은 보조 염기의 존재하에 유리하게 진행된다. 보조 염기로서는, 반응물로서 사용되는 과량의 아민, 3급 아민, 바람직하게는 피리딘 또는 트리에틸아민 뿐만 아니라 무기 염기,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수소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TNFα의 억제가 유용한 질병,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의 억제로 치료될 수 있는 질병, 호산구가 작용하는 질병 또는 신경보호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의 치료용, 또는 약물 의존성의 증가를 억제시키거나 내성의 발달을 감소시키기 위해 유용하다.
실시예
본 발명의 n이 1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합성방법의 실시예
실시예 1: N-(4-피리딜메틸)-1-사이클로프로필메틸-7-아자인돌-3-카복실산 아미드
1-사이클로프로필메틸-7-아자인돌-3-카복실산(1.87g, 8.6mmole)을 디클로로메탄 15㎖에 현탁시킨다. 물로 냉각시키면서 옥살릴 클로라이드 1.8㎖(17.4mmole)를 첨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8시간 동안 교반하면, 그 동안 1-사이클로프로필메틸-7-아자인돌-3-카복실산 클로라이드가 결정화된다. 이를 분리하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18㎖에 용해시킨다.
수소화나트륨(60%, 1.14g)을 THF 21㎖에 현탁시킨다. 약 10℃에서 교반하면서 THF 21㎖ 중의 4-아미노메틸피리딘(8.6mmole) 0.93g의 용액을 적가한다. 약 15분 후, 미리 제조한 1-사이클로프로필메틸-7-아자인돌-3-카복실산 클로라이드의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적가한다. 이어서, 전체를 3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냉각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6㎖ 및 물 36㎖와 혼합한다. 상을 분리시키고, 유기 상을 물로 세척한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사를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시킨다.
수율: 1.3g(이론치의 50%)
융점: 187℃ 내지 189℃.
기재한 합성방법을 사용하여, 아래에 예로써 기재하는 n이 1인 화학식 1의 다수의 다른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0814590-PAT00015
실시예 R1 -NR2R3 n 융점[℃]
1 사이클로프로필메틸- 4-피리딜메틸아미노- 1 187-189 에탄올
2 이소부틸-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1 168-170 에탄올
3 n-헥실-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1 136-137 메탄올
4 사이클로프로필메틸-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1 186-187 에탄올
5 4-플루오로벤질- 4-피리딜메틸아미노- 1 189-191 에탄올
6 4-플루오로벤질-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1 232-233 에탄올
7 4-메톡시-벤질-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1 193-195 에탄올
8 4-클로로벤질- 4-피리딜아미노- 1 192-194 메탄올
9 4-플루오로벤질- 모르폴리노- 1 182-184 에탄올
10 2-메틸프로펜-3-일 2,6-디클로로페닐-아미노 1 171-174 에탄올
11 4-피리딜메틸-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1 190-192 메탄올
본 발명의 n이 2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합성방법의 실시예
실시예 12: N-(3,5-디클로로피리딘-4-일)-[1-(3-메톡시벤질)-7-아자인돌-3-일]-글리옥실산 아미드
1-(3-메톡시벤질)-7-아자인돌(3.57g, 15mmole)을 t-부틸메틸 에테르 50㎖에 용해시킨다. t-부틸메틸 에테르 10㎖ 중의 옥살릴 클로라이드 1.54㎖(18mmole)의 용액을 0℃에서 교반하면서 적가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 제거한다. 생성된 1-(3-메톡시벤질)-7-아자인돌-3-일-글리옥실산 클로라이드를 고체 잔사로서 수득하고, 이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50㎖ 에 현탁시킨다.
THF 20㎖ 중의 수산화나트륨 2g의 현탁액에, THF 30㎖ 중의 4-아미노-3,5-디클로로피리딘(15mmole)을 -5℃에서 적가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20℃에서 교반하면서 1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이어서, 미리 제조한 1-(3-메톡시벤질)-7-아자인돌-3-일-글리옥실산 클로라이드의 현탁액을 약 0℃에서 적가한다. 마지막으로,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한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 50㎖ 및 물 50㎖와 함께 교반한다. 상을 분리시키고, 유기 상을 물로 세척한다.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 제거하고, 잔사를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시킨다.
수율: 3.5g(이론치의 51.5%)
융점: 165℃ 내지 167℃.
기재한 합성방법을 사용하여, 다음에 예로써 기재하는 n이 2인 화학식 1의 다수의 다른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0814590-PAT00016
실시예 R1 -NR2R3 n 융점[℃]
12 3-메톡시벤질-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2 165-167 이소프로판올
13 4-플루오로벤질- 4-피리딜아미노-×HCl 2 275-278 분해 DMF
14 4-플루오로벤질-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2 201-202 에탄올
15 4-클로로벤질- 4-피리딜아미노-×HCl 2 280-283 분해 DMF
16 4-클로로벤질-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2 205-207 에탄올
17 4-메톡시벤질-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2 165-167 에탄올
18 4-클로로벤질- 2,6-디클로로페닐-아미노- 2 166-168 에탄올
19 4-플루오로벤질- 4-카복시-페닐아미노- 2 279-282 이소프로판올
20 4-플루오로벤질- 4-에톡시카보닐-페닐아미노- 2 209-211 에탄올
21 4-플루오로벤질- 3,4-디메톡시-페닐아미노- 2 173-176 에탄올
22 4-메틸벤질-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2 176-178 에탄올
23 4-하이드록시벤질-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2 140-142 에탄올
24 3-하이드록시벤질-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2 241-244 에탄올
25 사이클로프로필메틸-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2 215-218 에탄올
26 n-헥실-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2 165-167 에탄올
27 이소부틸-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2 152-154 메탄올
28 2-메틸-프로펜-3-일-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2 114-116 메탄올
29 2-메톡시에틸-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2 166-168 메탄올
30 1-나프틸메틸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2 181-183 에탄올
실시예 R1 -NR2R3 n 융점[℃]
31 4-피리딜메틸-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2 199-201 에탄올
32
Figure 112008010814590-PAT00017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2 196-198 에탄올
33 4-플루오로벤질- -N(C2H4-OCH3)2 2 63-66 메탄올
34 4-플루오로벤질-
Figure 112008010814590-PAT00018
2 184-185 에탄올
35 4-플루오로벤질-
Figure 112008010814590-PAT00019
2 188-191 에탄올
36 4-플루오로벤질-
Figure 112008010814590-PAT00020
2 179-181 메탄올
37 4-플루오로벤질-
Figure 112008010814590-PAT00021
2 297-300 분해 DMF
38 4-플루오로벤질-
Figure 112008010814590-PAT00022
2 310-313 DMF
39 4-플루오로벤질-
Figure 112008010814590-PAT00023
2 160-162 아세톤
40 4-플루오로벤질-
Figure 112008010814590-PAT00024
2 312-315 분해 DMF
본 발명의 화합물은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 및 TNFα 방출의 강력한 억제제이다. 치료 가능성은 생체내에서 예를 들어, 천식의 후기 반응(asthmatic late phase reaction; 호산구증가증)의 억제 뿐만 아니라 활성적으로 감작된 브라운 노르웨이 랫트(Brown Norway Rats)의 알레르기 항원 유도된 혈관 투과성에 대한 효과로 확인된다.
포스포디에스테라제의 억제
PDE 4 활성을 사람 다형핵 림프구(PMNL)로부터의 효소 제제에서 측정하고, PDE 2, 3 및 5 활성을 사람 혈소판 유래의 PDE로 측정한다. 사람 혈액을 시트레이트로 항응고시킨다. 실온에서 20분 동안 700 ×g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 중의 혈소판이 풍부한 혈장을 적혈구 및 백혈구로부터 분리한다. 혈소판을 초음파처리하여 용해시키고, PDE 3 및 PDE 5 검정에서 사용한다. PDE 2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세포질 혈소판 분획을 NaCl 구배를 사용하여 음이온 교환 컬럼 상에서 정제하고, 검정을 위해 PDE 2 피크를 수득한다. PDE 4 측정을 위한 PMNL을 후속 덱스트란 침강에 이어서 피콜-파크(Ficoll-Paque)를 사용한 구배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한다. 세포를 2회 세척한 후, 여전히 함유되어 있는 적혈구를 4℃에서 저장성 완충액 10㎖(NH4Cl 155mM, NaHCO3 10mM, EDTA 0.1mM, pH=7.4)를 첨가하여 6분 이내에 용해시킨다. 여전히 온전한 PMNL을 PBS로 2회 세척하고 초음파로 용해시킨다. 4℃에서 48,000 ×g로 1시간 동안 원심분리한 상등액은 PDE 4의 세포질 분획을 함유하며 이를 PDE 4 측정을 위해 사용한다.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활성을 일부 변형시킨, 톰슨(Thompson) 등에 의해 기재된 방법[참조: Thompson, W.J. and M.M. Appleman, Assay of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 and resolution of multiple molecular forms of the enzyme, Adv. Cycl. Nucl. Res. 1979, 10, 69-92]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반응 혼합물은 트리스 하이드로클로라이드(pH 7.4) 50mM, 염화마그네슘 5mM, 다양한 농도의 억제제, 상응하는 효소 제제 및 각각의 동종효소 측정에 필수적인 추가 성분(하기 참조)을 함유한다. 반응을 기질인 0.5μM의 [3H]-cAMP 또는 [3H]-cGMP(시험당 약 6000CPM)를 첨가하여 개시한다. 최종 용적은 100㎖이다. 시험 물질을 DMSO 중의 원액으로서 혼합한다. 반응 혼합물 중의 DMSO 농도는 1% v/v이다. PDE 활성은 상기 농도의 DMSO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기질을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한 후, 샘플을 37℃에서 30분 동안 항온처리한다. 시험관을 110℃에서 2분 동안 가열하여 반응을 중단시킨다. 샘플을 얼음 속에서 추가로 10분 동안 유지시킨다. 5'-뉴클레오티다제 30㎕(1mg/㎖, 방울뱀(Crotalus admanteus) 유래의 독사 현탁액)을 첨가한 다음 37℃에서 10분 동안 항온처리한다. 샘플을 빙상에서 정치시키고, 각각의 경우에 도웩스(Dowex), 물 및 에탄올(1+1+1)의 혼합물 400㎕를 첨가하고, 잘 혼합한 다음, 다시 빙상에서 15분 동안 항온처리한다. 반응 용기를 3000 ×g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한다. 상등액의 분취액(200㎕)을 직접 신틸레이션(scintillation) 용기로 옮긴다. 신틸레이터 3㎖를 첨가한 후, 샘플을 베타 계수기로 측정한다.
[3H]-cAMP를 PDE 4, 3 및 2 활성 측정용 기질로서 사용하고 [3H]-cGMP를 PDE 5 활성 측정용 기질로서 사용한다. 각각의 경우에 비특이적인 효소 활성을, PDE 4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롤리프람(RoliPram) 100μM의 존재하에 측정하고, PDE 3 및 5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IBMX 100μM의 존재하에 측정하고 시험 값으로부터 공제한다. PDE 3 검정용 배양 배합물은 PDE 4에 의한 오염 가능성을 억제하기 위해 롤리프람 10μM을 함유한다. PDE 2를 SPA 검정(공급원: Amersham Company)으로 시험한 다. 검정은 PDE 2의 활성화제(cGMP 5μM)의 존재하에 수행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경우, 10-9 내지 10-5 M범위의 IC50 값이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의 억제용으로 측정된다. PDE 2형, 3형 및 5형에 대한 선택성은 100 내지 10,000의 인수에 달한다.
예를 들어, PDE 4를 억제한 결과를 선택된 예에 대해 다음 표에 요약한다.
Figure 112008010814590-PAT00025
비강 폴립의 세포로부터 TNF α 방출의 억제
실험 배열은 문헌[참조: Campbell, A.M. and J. Bousquet (Anti-allergic activity of H1-blockers, Int. Arch. Allergy Immunol., 1993, 101, 308-310)]에 기술된 방법에 거의 상응한다. 비강 폴립은 출발 물질(외과치료되는 환자로부터의 물질)을 형성한다.
조직을 RPMI 1640으로 세척한 다음, 프로테아제(2.0mg/㎖), 콜라게나제(1.5mg/㎖), 히알루로니다제(0.75mg/㎖) 및 DNAse(0.05mg/㎖)를 사용하여 37℃에서 2시간 동안 분해(효소를 사용하여 조직 1g과 RPMI 1640 4㎖ 분해)시킨다. 상피 세포, 단핵구, 대식세포, 림프구, 섬유모세포 및 과립구의 혼합물인 수득된 세포들을 배양액 중에서 반복적으로 원심분리하여 여과 및 세척하고, 사람 IgE를 첨가하여 수동적으로 감작화시키고, 세포 현탁액을 RPMI 1640(항생제, 10% 태아 소 혈청, 글루타민 2mM 및 Hepes 25mM이 보충됨) 중에서 세포 2백만개/㎖의 농도로 되도록 한다. 상기 현탁액을 6-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로 분배한다(1㎖/웰). 세포를 시험 물질과 함께 상이한 최종 농도로 30분 동안 예비배양한 다음, 항-IgE(7.2㎍/㎖)를 첨가함으로써 TNFα가 방출되도록 자극한다. 배양 배지로의 최대 방출은 약 18시간 후에 일어난다. 이 기간 동안, 세포를 37℃ 및 5% 이산화탄소에서 항온처리한다. 배양 배지(상등액)를 원심분리(4000rpm에서 5분 동안)하여 회수하고, 사이토킨이 측정될 때까지 -70℃에서 보관한다. 상등액 중의 TNFα를 30 내지 1000pg/㎖ 범위의 사이토킨 농도가 측정될 수 있는 이른바 샌드위치 ELISA(기본 물질, 공급원: Pharmingen)로 측정한다.
항 IgE로 자극되지 않은 세포는 어떠한 TNFα도 거의 생산하지 않으며, 반면에 자극된 세포는, 예를 들어, PDE 4 억제제에 의해 투여량의 함수로서 감소될 수 있는 대량의 TNFα를 분비한다. 상이한 농도에서 시험한 물질의 억제율(%)(항 IgE로 자극된 세포에 의한 TNFα방출율=100%)로부터 IC50(50% 억제시 농도)을 계산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경우, 10-7 내지 10-5M 범위의 IC50 값이 측정된다.
예를 들어, TNFα의 방출을 억제한 결과를 선택된 예에 대해 다음 표에 요약한다.
TNFα방출 억제
농도 억제율(%)
14 0.3μmole/ℓ 92
16 1.0μmole/ℓ 90
17 1.0μmole/ℓ 91
27 1.0μmole/ℓ 91
활성적으로 감작된 브라운 노르웨이 랫트를 사용한 흡입성 오브알부민 접종 48시간 후의 후기 호산구증가증의 억제
본 발명의 물질에 의한 폐 호산구 침윤의 억제를 오브알부민(OVA)에 대해 활성적으로 감작시킨 수컷 브라운 노르웨이 랫트(200 내지 250g)에 대해 시험한다. 랫트에게 1일째, 14일째 및 21일째에 생리식염수 0.5㎖ 중의 OVA 10㎍과 보조제로서의 수산화알루미늄 20mg의 현탁액을 동물마다 피하 주사하여 감작시킨다. 또한, 동시에 동물에게 보르데텔라 백일해(Bordetella pertussis) 백신 희석액을 동물당 0.25㎖씩 복강내 주사한다. 실험 28일째에, 동물을 머리-코 노출 장치에 연결된 개방된 1ℓ들이 플렉시글라스(Plexiglas) 박스에 개별적으로 넣는다. 동물을 1.0% 오브알부민 현탁액의 에어로졸에 노출시킨다(알레르겐(allergen) 접종). 오브알부민 에어로졸은 압축 공기(0.2MPa)로 작동되는 분무기(Bird Micronebulizer, Palm Springs CA, USA)를 사용하여 생성시킨다. 노출 시간은 1시간이며, 표준 대조군 또한 1시간 동안 0.9% 염 용액의 에어로졸을 분무한다.
알레르겐 접종 후 48시간째에, 호산성 과립구가 동물의 폐로 대량 이동한다. 이때, 동물을 과량의 에틸 우레탄(1.5g/체중 kg, 복강내)으로 마취시키고, 행크스 밸런스 용액(Hank's balance solution) 3 ×4㎖로 기관지폐포 세척(BAL)을 수행한다. 이어서, 총 세포 계수 및 혼주 BAL 액의 호산성 과립구의 수를 자동화 세포 감별 장치(Bayer Diagnostics Technicon H1E)로 측정한다. 각 동물에 대하여 BAL 중의 호산구(EOS)를 백만개/동물 단위로 계산한다: EOS/㎕ ×BAL 회수량(㎖)=EOS/동물.
각 시험의 경우, 2종의 대조군(생리식염수 분무 및 OVA 용액 분무)을 사용한다.
물질로 처리된 실험군의 호산구의 억제율(%)을 다음 수학식에 따라 계산한다:
{((OVAC-SC)-(OVAD-SC))/(OVAC-SC)} ×100% = 억제율(%)
(SC=0.9% 염 용액으로 접종된, 비히클-처리된 대조군; OVAC=1% 오브알부민 현탁액으로 접종된, 비히클-처리된 대조군; OVAD=1% 오브알부민 현탁액으로 접종 된, 물질-처리된 실험군)
알레르겐 접종 전에 시험 물질을 2시간 동안 10%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 및 0.5% 5-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중의 현탁액으로서 복강내 또는 경구 투여한다. 대조군을 시험 물질의 투여 형태에 따라서 비히클로 처리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10mg/kg을 복강내 투여한 후에 후기 호산구를 30% 내지 100%까지 억제하며 30mg/kg을 경구 투여한 후에는 30% 내지 75%까지 억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호산구의 작용과 관련되는 질병의 치료용 약물의 제조에 특히 적합하다.
예로써, 선택된 실시예에 대한 호산구의 억제 결과를 다음 표에 요약한다.
실시예 호산구의 억제
투여량/투여경로 억제율(%)
14 10mg/kg 복강내 10mg/kg 경구 62 59
16 10mg/kg 복강내 10mg/kg 경구 100 70
17 10mg/kg 복강내 10mg/kg 경구 75 32
27 10mg/kg 복강내 10mg/kg 경구 50 70
루이스 랫트에서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유도된 폐 호중구증가증의 억제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폐 호중구 침윤의 억제를 수컷 루이스 랫트(250 내지 350g)에서 시험한다. 실험 당일에, 동물을 목-코 노출 장치에 연결시킨 개방된 1ℓ들이 플렉시글라스 박스에 개별적으로 넣는다. 동물을 PBS 중의 지질다당류 현탁액(LPS 100㎍/0.1% 하이드록실아민 용액 ㎖)의 에어로졸에 노출(LPS 유발)시킨 다. LPS/하이드록실아민 에어로졸을 압축 공기(0.2MPa)로 작동되는 분무기(Bird Micronebulizer, Palm Springs CA, USA)로 분무한다. 노출 시간은 40분이며, 표준 대조군 또한 PBS 중의 0.1% 하이드록실아민의 에어로졸을 40분 동안 분무한다.
LPS 유발 6시간 후, 호중성 과립구가 동물의 폐로 대량 이동한다. 동시에, 동물을 과량의 에틸 우레탄(1.5g/체중 kg, 복강내)으로 마취시키고 행크스 밸런스 용액 3 ×4㎖로 기관지폐포 세척(BAL)을 수행한다. 이어서, 총 세포 계수 및 혼주 BAL 액의 호중성 과립구의 수를 자동화 세포 감별 장치(Bayer Diagnostics Technicon H1E)로 측정한다. 각 동물에 대하여 BAL 중의 호중구(NEUTRO)를 백만개/동물 단위로 계산한다: NEUTRO/㎕ ×BAL 회수량(㎖)=NEUTRO/동물.
각 시험의 경우, 2종의 대조군(PBS 중의 0.1% 하이드록실아민 용액 분무 및 PBS 중의 LPS 100㎍/0.1% 하이드록실아민 용액 ㎖ 분무)을 또한 사용한다.
물질로 처리된 실험군의 호중구의 억제율(%)을 다음 수학식에 따라 계산한다:
{((LPSC-SC)-(LPSD-SC))/(LPSC-SC)} × 100%= 억제율(%)
(SC=0.1% 하이드록실아민 용액 접종된, 비히클-처리된 대조군; LPSC= LPS(100㎍/0.1% 하이드록실아민 용액 ㎖) 접종된, 비히클-처리된 대조군; LPSD=LPS(100㎍/0.1% 하이드록실아민 용액 ㎖) 접종된, 물질-처리된 실험군)
시험 물질을 LPS 유발 전에 2시간 동안 10%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 및 0.5% 5-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중의 현탁액으로서 경구 투여한다. 대조군을 시험 물질의 투여 형태에 따라서 비히클로 처리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1mg/kg을 경구 투여한 후 호중구를 40% 내지 90%까지 억제하므로 호중구의 작용과 관련되는 질병 치료용 약물을 제조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예로써, 호중구 억제 결과를 선택된 실시예에 대해 다음 표에 요약한다.
실시예 호중구의 억제
투여량/투여 경로 억제율(%)
14 1mg/kg 경구 80
22 1mg/kg 경구 64
27 1mg/kg 경구 52

Claims (5)

  1. 치료학적 활성 성분으로서의 화학식 1의 7-아자인돌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적인 담체, 희석제, 또는 담체와 희석제, 또는 보조제와 함께 포함하는, 관절의 염증, 관절염, 류마티즈 관절염, 관절 질환, 류마티즈 척추염, 골관절염, 골다공증, 패혈증, 패혈성 쇽, 그램 네가티브 패혈증, 독성 쇽 증후군, 호흡곤란 증후군, 천식, 만성 폐질환, 골흡수 질환, 이식거부 반응, 자가면역 질환,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사구체신염, 포도막염,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만성 탈수초, 바이러스 질환, 바이러스 감염, 기생충 감염, 말라리아, 리슈만편모충, 감염-유도된 발열, 감염-유도된 근육 통증, AIDS 또는 악액질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10814590-PAT00026
    위의 화학식 1에서,
    n은 1 또는 2일 수 있으며,
    R1은 사이클로프로필메틸, 이소부틸, n-헥실, 4-플루오로벤질, 4-메톡시벤질, 4-클로로벤질, 4-메틸벤질, 4-하이드록시벤질, 3-하이드록시벤질, 2-메틸프로 펜-3-일, 4-피리딜메틸, 3-메톡시벤질, 2-메톡시에틸, 1-나프틸메틸 또는
    Figure 112008010814590-PAT00027
    이고,
    N-R2R3은 4-피리딜메틸아미노,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4-피리딜아미노, 모폴리노, 2,6-디클로로페닐아미노, 4-피리딜아미노-×HCl, 4-카복시페닐아미노, 4-에톡시카보닐페닐아미노, 3,4-디메톡시페닐아미노, -N(C2H4-OCH3)2, 옥사진,
    Figure 112008010814590-PAT00028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29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30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31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32
    또는
    Figure 112008010814590-PAT00033
    이다.
  2. 치료학적 활성 성분으로서의 화학식 1의 7-아자인돌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적인 담체, 희석제, 또는 담체와 희석제, 또는 보조제와 함께 포함하는, 천식 치료용 약물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10814590-PAT00034
    위의 화학식 1에서,
    n은 1 또는 2일 수 있으며,
    R1은 사이클로프로필메틸, 이소부틸, n-헥실, 4-플루오로벤질, 4-메톡시벤질, 4-클로로벤질, 4-메틸벤질, 4-하이드록시벤질, 3-하이드록시벤질, 2-메틸프로펜-3-일, 4-피리딜메틸, 3-메톡시벤질, 2-메톡시에틸, 1-나프틸메틸 또는
    Figure 112008010814590-PAT00035
    이고,
    N-R2R3은 4-피리딜메틸아미노,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4-피리딜아미노, 모폴리노, 2,6-디클로로페닐아미노, 4-피리딜아미노-×HCl, 4-카복시페닐아미노, 4-에톡시카보닐페닐아미노, 3,4-디메톡시페닐아미노, -N(C2H4-OCH3)2, 옥사진,
    Figure 112008010814590-PAT00036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37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38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39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40
    또는
    Figure 112008010814590-PAT00041
    이다.
  3. 치료학적 활성 성분으로서의 화학식 1의 7-아자인돌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독으로 포함하거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적인 담체, 희석제, 또는 담체와 희석제, 또는 보조제와 함께 포함하는,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알레르기성 혈관염, 호산구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 호산성 근막염, 호산성 페렴, PIE 증후군, 두드러기,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증식성 피부 질환, 건선 또는 각화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10814590-PAT00042
    위의 화학식 1에서,
    n은 1 또는 2일 수 있으며,
    R1은 사이클로프로필메틸, 이소부틸, n-헥실, 4-플루오로벤질, 4-메톡시벤질, 4-클로로벤질, 4-메틸벤질, 4-하이드록시벤질, 3-하이드록시벤질, 2-메틸프로펜-3-일, 4-피리딜메틸, 3-메톡시벤질, 2-메톡시에틸, 1-나프틸메틸 또는
    Figure 112008010814590-PAT00043
    이고,
    N-R2R3은 4-피리딜메틸아미노,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4-피리딜아미노, 모폴리노, 2,6-디클로로페닐아미노, 4-피리딜아미노-×HCl, 4-카복시페닐아미노, 4-에톡시카보닐페닐아미노, 3,4-디메톡시페닐아미노, -N(C2H4-OCH3)2, 옥사진,
    Figure 112008010814590-PAT00044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45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46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47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48
    또는
    Figure 112008010814590-PAT00049
    이다.
  4. 치료학적 활성 성분으로서의 화학식 1의 7-아자인돌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적인 담체, 희석 제, 또는 담체와 희석제, 또는 보조제와 함께 포함하는, 만성 폐쇄성 폐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10814590-PAT00050
    위의 화학식 1에서,
    n은 1 또는 2일 수 있으며,
    R1은 사이클로프로필메틸, 이소부틸, n-헥실, 4-플루오로벤질, 4-메톡시벤질, 4-클로로벤질, 4-메틸벤질, 4-하이드록시벤질, 3-하이드록시벤질, 2-메틸프로펜-3-일, 4-피리딜메틸, 3-메톡시벤질, 2-메톡시에틸, 1-나프틸메틸 또는
    Figure 112008010814590-PAT00051
    이고,
    N-R2R3은 4-피리딜메틸아미노,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4-피리딜아미노, 모폴리노, 2,6-디클로로페닐아미노, 4-피리딜아미노-×HCl, 4-카복시페닐아미노, 4-에톡시카보닐페닐아미노, 3,4-디메톡시페닐아미노, -N(C2H4-OCH3)2, 옥사진,
    Figure 112008010814590-PAT00052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53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54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55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56
    또는
    Figure 112008010814590-PAT00057
    이다.
  5. 활성 물질로서 및 기관지확장제로서의 화학식 1의 7-아자인돌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적인 담체, 희석제, 또는 담체와 희석제, 또는 보조제와 함께 포함하는, 관절의 염증, 관절염, 류마티즈 관절염, 관절 질환, 류마티즈 척추염, 골관절염, 골다공증, 패혈증, 패혈성 쇽, 그램 네가티브 패혈증, 독성 쇽 증후군, 호흡곤란 증후군, 천식, 만성 폐질환, 골흡수 질환, 이식거부 반응, 자가면역 질환,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사구체신염, 포도막염,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만성 탈수초, 바이러스 질환, 바이러스 감염, 기생충 감염, 말라리아, 리슈만편모충, 감염-유도된 발열, 감염-유도된 근육 통증, AIDS, 악액질,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알레르기성 혈관염, 호산구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 호산성 근막염, 호산성 폐렴, PIE 증후군, 두드러기,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증식성 피부 질환, 건선, 각화증, 만성폐쇄성 폐질환, 노인성 치매, 알쯔하이머 질환, 기억력 상실, 파킨슨 질환, 우울증, 뇌졸증, 간헐 파행, 전립선 질환, 양성 전립선 과형성증, 빈뇨, 야간뇨, 요실금, 복통, 요석증 복통, 남성 또는 여성 성기능 장애의 치료, 예방, 또는 치료와 예방용으로 사용되거나, 기관지 확장제로 사용되거나, 또는 진통제의 반복 사용에 따른 약물 의존성의 증가를 억제시키거나 진통제의 반복 사용에 따른 내성의 발달을 감소시키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10814590-PAT00058
    위의 화학식 1에서,
    n은 1 또는 2일 수 있으며,
    R1은 사이클로프로필메틸, 이소부틸, n-헥실, 4-플루오로벤질, 4-메톡시벤질, 4-클로로벤질, 4-메틸벤질, 4-하이드록시벤질, 3-하이드록시벤질, 2-메틸프로펜-3-일, 4-피리딜메틸, 3-메톡시벤질, 2-메톡시에틸, 1-나프틸메틸 또는
    Figure 112008010814590-PAT00059
    이고,
    N-R2R3은 4-피리딜메틸아미노, 3,5-디클로로-4-피리딜아미노, 4-피리딜아미노, 모폴리노, 2,6-디클로로페닐아미노, 4-피리딜아미노-×HCl, 4-카복시페닐아미노, 4-에톡시카보닐페닐아미노, 3,4-디메톡시페닐아미노, -N(C2H4-OCH3)2, 옥사진,
    Figure 112008010814590-PAT00060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61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62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63
    ,
    Figure 112008010814590-PAT00064
    또는
    Figure 112008010814590-PAT00065
    이다.
KR1020087003517A 2000-10-27 2001-10-25 7-아자인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0880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53275A DE10053275A1 (de) 2000-10-27 2000-10-27 Neue 7-Azaindole, deren Verwendung als Inhibitoren der Phosphodiesterase 4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053275.6 2000-10-27
US24434200P 2000-10-30 2000-10-30
US60/244,342 2000-10-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801A Division KR100837099B1 (ko) 2000-10-27 2001-10-25 7-아자인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758A true KR20080016758A (ko) 2008-02-21
KR100880586B1 KR100880586B1 (ko) 2009-01-30

Family

ID=260075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801A KR100837099B1 (ko) 2000-10-27 2001-10-25 7-아자인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87003517A KR100880586B1 (ko) 2000-10-27 2001-10-25 7-아자인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801A KR100837099B1 (ko) 2000-10-27 2001-10-25 7-아자인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3) US7169787B2 (ko)
EP (1) EP1330455B1 (ko)
JP (1) JP4233322B2 (ko)
KR (2) KR100837099B1 (ko)
CN (1) CN1247576C (ko)
AR (1) AR034269A1 (ko)
AT (1) ATE301121T1 (ko)
AU (2) AU2002221753B2 (ko)
BG (1) BG66169B1 (ko)
BR (1) BR0114903A (ko)
CA (1) CA2428468C (ko)
CZ (1) CZ20031146A3 (ko)
DE (1) DE50106993D1 (ko)
DK (1) DK1330455T3 (ko)
EE (1) EE05271B1 (ko)
ES (1) ES2246349T3 (ko)
HK (1) HK1053839A1 (ko)
HR (1) HRP20030427B1 (ko)
HU (1) HUP0303034A3 (ko)
IL (2) IL155386A0 (ko)
MX (1) MXPA03003624A (ko)
NO (1) NO324947B1 (ko)
NZ (1) NZ525369A (ko)
PL (1) PL213999B1 (ko)
PT (1) PT1330455E (ko)
SK (1) SK287774B6 (ko)
TW (1) TWI262920B (ko)
WO (1) WO20020347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4761A1 (en) * 1997-10-28 2004-01-22 Place Virgil A. Treatment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with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TW200501945A (en) * 2002-11-06 2005-01-16 Celgene Corp Methods and compositions using selective cytokine inhibitory drugs for treatment and management of cancers and other diseases
DE10318610A1 (de) * 2003-04-24 2004-11-11 Elbion Ag 7-Azaindole und deren Verwendung als Therapeutika
US20050054691A1 (en) * 2003-08-29 2005-03-10 St. Jude Children's Research Hospital Carboxylesterase inhibitors
BRPI0414313A (pt) * 2003-09-11 2006-11-07 Kemia Inc inibidores de citocinas
JP2008503446A (ja) * 2004-05-06 2008-02-07 プレキシコ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Pde4b阻害剤及びその使用
MY144903A (en) 2004-06-17 2011-11-30 Novartis Ag Pyrrolopyr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crth2 antagonists
CA2583428A1 (en) * 2004-09-03 2006-03-09 Plexxikon, Inc. Bicyclic heteroaryl pde4b inhibitors
CN101355876B (zh) 2005-11-09 2012-09-05 康宾纳特克斯公司 一种适用于眼部给药的组合物
GB0525143D0 (en) 2005-12-09 2006-01-18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WO2007136790A2 (en) 2006-05-18 2007-11-29 Mannkind Corporation Intracellular kinase inhibitors
WO2008026687A1 (fr) 2006-09-01 2008-03-06 Kyorin Pharmaceutical Co., Ltd. Dérivé de pyrazolopyridine carboxamide et inhibiteur de phosphodiestérase (pde) comprenant le dérivé
US8012992B2 (en) 2008-06-30 2011-09-06 Allergan, Inc. Aza-indoles and related compounds having sphingosine-1-phosphate (S1P) receptor antagonist biological activity
EP2344503B1 (en) * 2008-09-22 2014-04-16 Isis Innovation Ltd 5-azaindole bisphosphonates
AU2010288553A1 (en) * 2009-08-26 2012-04-12 Takeda Gmbh Methylpyrrolopyridinecarboxamides
WO2012072727A1 (en) * 2010-12-03 2012-06-07 Biotie Therapies Gmbh Crystalline modification of n-(3,5-dichloropyridin-4-yl)-[1-(4 -fluorobenzyl)-7-azaindol-3-yl)]glyoxylic acid amide as inhibitor of pde4
WO2012080329A1 (en) 2010-12-17 2012-06-21 Biotie Therapies Gmbh Formulations of n-(3,5-dichloropyridin-4-yl)-[1-(4-fluorobenzyl)-7-azaindol-3-yl)]glyoxylic acid amide
CN102584842A (zh) * 2011-01-17 2012-07-18 北京大学 取代吲哚并内酰胺衍生物的制备及作为抗疟疾剂的用途
WO2014031732A2 (en) 2012-08-22 2014-02-27 Cornell University Methods for inhibiting fascin
JP6691869B2 (ja) * 2014-02-20 2020-05-13 コーネル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ファシンを阻害するための化合物及び方法
CN113164487A (zh) * 2018-10-12 2021-07-23 内布拉斯加大学董事委员会 磷酸二酯酶抑制剂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41949A (en) * 1966-02-23 1969-02-05 Sterling Drug Inc 7-azaindole derivatives
WO1991009598A1 (en) 1990-01-05 1991-07-11 Pfizer Inc. Azaoxindole derivatives
US5023265A (en) * 1990-06-01 1991-06-11 Schering Corporation Substituted 1-H-pyrrolopyridine-3-carboxamides
US5811432A (en) * 1990-11-09 1998-09-22 Pfizer Inc Azaoxindole derivatives
WO1994002465A1 (en) 1992-07-28 1994-02-03 Rhone-Poulenc Rorer Limited INHIBITORS OF c-AMP PHOSPHODIESTERASE AND TNF
CZ283965B6 (cs) * 1992-08-06 1998-07-15 Warner-Lambert Company 2-thioindolové, 2-indolinthionové a polysulfidové sloučeniny, 2-selenoindolové, 2-indolinselenonové a selenidové sloučeniny a farmaceutické prostředky na jejich bázi
JP3119758B2 (ja) * 1993-02-24 2000-12-25 日清製粉株式会社 7−アザインドール誘導体及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抗潰瘍薬
DE69532238T2 (de) 1994-04-21 2004-10-21 Schering Ag Pde iv-inhibitoren zur behandlung der multiplen sklerose
GB9420521D0 (en) 1994-10-12 1994-11-30 Smithkline Beecham Plc Novel compounds
GB9507297D0 (en) 1995-04-07 1995-05-31 Rh Ne Poulenc Rorer Limited New composition of matter
JPH09169665A (ja) 1995-12-21 1997-06-30 Kenichi Miyamoto 骨粗鬆症治療剤
JP3601898B2 (ja) 1996-02-14 2004-12-15 俊隆 鍋島 薬物依存形成抑制剤
AUPO282996A0 (en) * 1996-10-07 1996-10-31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Novel compounds
JP2002539124A (ja) * 1999-03-10 2002-11-19 メルク エンド カム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性腺刺激ホルモン放出ホルモン拮抗薬としての6−アザインドール化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34747A1 (de) 2002-05-02
CA2428468C (en) 2011-06-14
CN1484644A (zh) 2004-03-24
AU2002221753B2 (en) 2006-12-14
US20040106641A1 (en) 2004-06-03
ES2246349T3 (es) 2006-02-16
NO20031722D0 (no) 2003-04-14
US7169787B2 (en) 2007-01-30
CA2428468A1 (en) 2002-05-02
NO324947B1 (no) 2008-01-07
KR100837099B1 (ko) 2008-06-13
BG66169B1 (bg) 2011-10-31
PL362837A1 (en) 2004-11-02
KR100880586B1 (ko) 2009-01-30
CZ20031146A3 (cs) 2003-10-15
NO20031722L (no) 2003-04-14
BG107725A (bg) 2004-08-31
US20060258700A1 (en) 2006-11-16
CN1247576C (zh) 2006-03-29
DK1330455T3 (da) 2005-12-05
SK287774B6 (sk) 2011-09-05
EE05271B1 (et) 2010-02-15
AU2175302A (en) 2002-05-06
HUP0303034A2 (hu) 2003-12-29
HUP0303034A3 (en) 2012-12-28
HRP20030427A2 (en) 2003-08-31
KR20030065499A (ko) 2003-08-06
DE50106993D1 (de) 2005-09-08
PT1330455E (pt) 2005-10-31
AR034269A1 (es) 2004-02-18
US20080207680A1 (en) 2008-08-28
JP4233322B2 (ja) 2009-03-04
BR0114903A (pt) 2003-10-14
ATE301121T1 (de) 2005-08-15
EP1330455B1 (de) 2005-08-03
IL155386A (en) 2008-06-05
HK1053839A1 (en) 2003-11-07
EE200300166A (et) 2003-08-15
PL213999B1 (pl) 2013-06-28
MXPA03003624A (es) 2004-12-02
SK5092003A3 (en) 2004-08-03
US7419987B2 (en) 2008-09-02
HRP20030427B1 (en) 2006-04-30
IL155386A0 (en) 2003-11-23
TWI262920B (en) 2006-10-01
JP2004512337A (ja) 2004-04-22
NZ525369A (en) 2004-09-24
EP1330455A1 (de) 2003-07-30
US7683074B2 (en) 201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586B1 (ko) 7-아자인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US7166637B2 (en) Hydroxyindoles, their use as inhibitors of phosphodiesterase 4,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USRE38624E1 (en) Hydroxyindoles, their use as inhibitors of phosphodiesterase 4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RU2349592C2 (ru) 7-азаиндолы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US20060293362A1 (en) Nitro-substituted hydroxyindoles, their use as inhibitors of phosphodiesterase 4,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KR20060014035A (ko) N-옥사이드 그룹을 함유하는 5-하이드록시인돌 및포스포디에스테라제 4 억제제로서의 이의 용도
KR20060021831A (ko) N-옥사이드 그룹을 포함하는 4-, 6- 또는7-하이드록시인돌 및 치료학적 제제로서의 이의 용도
RU2268887C2 (ru) 7-азаиндолы,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фосфодиэстеразы 4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