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741A -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741A
KR20080013741A KR1020070077951A KR20070077951A KR20080013741A KR 20080013741 A KR20080013741 A KR 20080013741A KR 1020070077951 A KR1020070077951 A KR 1020070077951A KR 20070077951 A KR20070077951 A KR 20070077951A KR 20080013741 A KR20080013741 A KR 20080013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er
valve
chamber
sewing machine
need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즈사키 타카시
오카베 마사토
Original Assignee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3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7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1/00Lubricating or cooling devices
    • D05B71/02Loop-taker lubric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9/00Special mea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providing for the indication or detection of undesired conditions; Use of devices responsive to conditio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32Safety devices; Securi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32Sew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60/00Fail safe
    • F16N2260/02Indicating
    • F16N2260/08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70/00Controlling
    • F16N2270/60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접동 부재의 윤활실의 일부에 통기공을 설치하고, 이 통기공을 운전 중에 윤활실 내부에 발생하는 정압 또는 부압의 작용에 의해 동작하는 밸브에 의해 개방하여, 윤활실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충분한 통기를 확보하여 정압 또는 부압의 영향에 의한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정압 및 부압이 발생하지 않는 운전 정지 시에는 밸브에 의해 통기공을 폐지(閉止)하며 윤활실의 내부로의 먼지의 침입 및 윤활실의 외부로 윤활제의 새어 나감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재봉틀을 제공한다.
재봉틀, 윤활, 밸브

Description

재봉틀{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틀의 운전 중에 침봉(針峯), 루퍼봉(looper bar) 등의 접동 부재의 접동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에 발생하는 정압(正壓) 또는 부압(負壓)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근년의 공업용 재봉틀에 있어서는, 봉제 작업의 능률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운전 속도의 고속화가 진행되고 있다. 운전 속도를 고속화하기 위해서는 재봉틀의 각부에 존재하는 가동 부재를 양호하게 윤활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봉틀의 가동 부재로서는, 각종의 재봉틀의 봉침, 오버로크 재봉틀의 루퍼봉 등의 접동(摺動) 부재가 있다. 이들 접동 부재는 하우징의 둘레 벽을 내외로 관통하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한 가동 기구에 연결되고, 이 가동 기구로부터의 동력 전달에 의해 축길이 방향으로 접동하도록 구성된다. 운전 속도를 고속화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접동 부재를 양호하게 윤활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종래에는, 하우징 내부의 가동 기구의 배설부의 주변을 액체가 새지 않도록 봉지(Seal, 封止)된 윤활실(潤滑室)로 하여, 이 윤활실에 봉입한 윤활제(그리스, 재봉틀유)를 접동 부재와 가동 기구와의 연결부 및 접동 부재의 지지부에 공 급하여 윤활하는 윤활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윤활 구조에 있어서는 밀폐 구조로서의 윤활실 내부에 연속 운전에 동반하는 온도 상승에 의해 정압(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이 발생 수 있으며, 또한, 접동 부재의 출입에 동반하는 용적 변화에 의해 정압 및 부압(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이 발생하여 접동 부재의 원활한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국 특개 2004-9742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2004-97423 (2004))에 기재된 재봉틀은 윤활실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윤활실을 폐지(閉止)하는 덮개판에 통기공을 형성하고, 이 통기공을 통해서 윤활실의 안으로부터 밖으로 또는 밖으로부터 안으로의 공기 흐름이 생기도록 하여 윤활실의 내부에 정압 및 부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재봉틀에 있어서는 윤활실 내부의 윤활제의 새어나감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기공을 가능한 한 작게 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통기공을 작게 한 경우 운전 중에 발생하는 정압 및 부압을 해소하기 위한 충분한 양의 공기의 흐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 2004-97423호 공보에 기재된 재봉틀에 있어서는, 운전을 정지하고 있는 사이에도 상기 통기공에 의한 통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외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가 통기와 함께 윤활실의 내부로 침입하고 윤활제에 혼입되어 윤활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운전 중에 정압 또는 부압이 발생하고 있는 사이에만 윤활실의 내외간의 통기를 충분히 확보하여 윤활실의 내부로의 먼지의 침입 및 윤활실의 외부로 윤활제가 새어나가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정압 및 부압의 발생에 의해 생기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한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의 재봉틀은, 하우징을 내외로 관통하여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한 가동 기구에 연결된 접동 부재를, 상기 가동 기구의 주위에 설치한 윤활실 내로 봉입한 윤활제에 의해 윤활 하는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윤활실의 일부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통하는 통기공과, 상기 윤활실의 내부에 발생하는 정압 또는 부압의 작용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통기공을 개방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측면의 재봉틀은, 제1의 측면에 있어서, 통기공 및 밸브가 상기 윤활실을 봉지(封止)하는 덮개판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의 측면의 재봉틀은, 제1 또는 제2의 측면에 있어서의 밸브가 탄성력에 대항한 이동에 의해 상기 통기공을 개방하는 밸브체(valving element)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의 측면의 재봉틀은, 제1 또는 제2의 측면에 있어서의 밸브가 상기 통기공의 외측 또는 내측 개구부(開口部)를 덮도록 설치된 탄성재료제의 플랩(flap)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의 측면의 재봉틀은, 제1 또는 제2의 측면에 있어서의 밸브가 상기 정압 또는 부압의 작용에 의해 자중(自重)에 대항해서 이동하고 상기 통기공을 개방하는 밸브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분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재봉틀은, 윤활실의 내외를 연통하는 통기공을 윤활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정압 또는 부압의 작용에 의해 동작하는 밸브에 의해 개방함으로써, 운전 중 정압 또는 부압의 발생시에 윤활실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충분한 통기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며, 정압 또는 부압이 발생하지 않는 운전 정지 시에 윤활실의 내부로의 먼지의 진입 및 윤활실의 외부로 윤활제의 새어 나감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측면에 따른 재봉틀은, 통기공 및 밸브를 윤활실의 덮개판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간이한 설계 변경에 의해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측면에 따른 재봉틀은, 탄성력에 저항하여 이동하는 밸브체에 의해 통기공을 개폐하기 때문에 열림 동작 및 닫힘 동작을 확실히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측면에 따른 재봉틀은, 통기공을 개폐하는 밸브를 탄성재료제의 플랩으 로 형성하였고, 또한 제5 측면에 따른 재봉틀은 자중에 대항해서 이동하는 밸브체에 의해 통기공을 개폐하는 밸브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통기공의 개폐를 간소한 구성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과 신규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보다 완전히 확실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근거해서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재봉틀의 일 예로서 오버로크 재봉틀의 외관 사시도이다. 오버로크 재봉틀(1)은 오일 팬(oil pan)을 겸하는 베이스(21)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21)는 아래 면의 네 귀퉁이에 설치한 고무제(製)의 지지발(20, 20…)(3개만 도시)을 가진다. 베이스(21)의 상부에는 중공 프레임(2)이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2)의 내부에는 미도시의 재봉틀 주축 및 각부의 구동 기구가 수용되어 있다.
프레임(2)의 아래쪽 좌부에는 바깥을 향해서 돌출된 받이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받이대의 윗면에는 천을 놓기 위한 놓음판(22)이 설치되어 있다. 놓음판(22)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이대는 놓음판(22)의 앞 가장자리, 뒤 가장자리 및 좌 가장자리의 각각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하는 커버판(23)에 의해 덮여 있으며,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프레임(2)의 상부 전면에는 실조절 기(24)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2)의 윗면은 거의 전면에 걸쳐서 개구(開口)되어 있으며, 상커버판(25)에 의해 액체가 새지 않도록 유지된 상태에서 덮여있다.
프레임(2)의 하부 전면에는 놓음판(22)의 우측에 앞열림 커버(26)가 설치되어 있다. 앞열림 커버(26)는 좌측에 일체화된 미끄럼판(27)과 함께 아래 가장자리를 축으로 하는 원운동에 의해 위 가장자리를 전방(前方)으로 당김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도 2는 앞열림 커버(26)의 내측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앞열림 커버(26)에 의해 덮인 프레임(2)의 전면에는, 루퍼실(40)(도3 참조)을 덮는 덮개판(3)이 복수의 고정나사(30, 30…)에 의해 나사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덮개판(3)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루퍼실(40)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판(3)의 뒤쪽에는 프레임(2)의 전부(前部)에 일체 형성된 루퍼실(윤활실)(40)이 설치되어 있다. 덮개판(3)은 루퍼실(40)의 전부 전면(全面)을 액체가 새지 않도록 덮듯이 설치되어 있다. 루퍼실(40)의 상부에는 외부로 연통하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개구를 덮듯이 루퍼 홀더(41)가 고정되어 있다. 루퍼 홀더(41)에는 루퍼실(40)의 상부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를 상하로 관통하는 가이드 구멍(42)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구멍(42)의 내부에는 수평축 주위에서의 원운동이 자유롭도록 원통형의 루퍼 가이드(43)가 지지되어 있다.
루퍼 가이드(43)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지지공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공에는 축길이 방향의 접동이 자유롭도록 루퍼봉(Looper Bar)(4)이 지지되어 있다. 루퍼봉(4)의 한쪽 단(상단)은 루퍼 홀더(41)의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으 며, 이 돌출단에 상루퍼(Upper Looper)(44)가 고정되어 있다. 루퍼봉(4)의 다른 쪽 단(하단)은 루퍼실(40)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 연장 단부는 루퍼 크랭크(46)의 선단에 핀 결합되어 있다. 루퍼 크랭크(46)의 기단(基端)은 루퍼실(40)의 내부로 돌출된 루퍼 구동축(45)에 고정되어 있다.
루퍼 구동축(45)은 미도시의 재봉틀 주축으로부터의 동력의 전달에 의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원운동하는 원운동축이다. 루퍼 구동축(45)에 기단이 고정된 루퍼 크랭크(46)는 루퍼 구동축(45)의 반복 원운동에 따라서 상하로 요동(Swing)한다. 이 요동에 의해 루퍼 크랭크(46)의 선단에 연결된 루퍼봉(4)은 상하방향으로 밀리거나 당겨진다.
루퍼 크랭크(46) 선단의 요동은, 도 3의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루퍼 구동축(45)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궤적을 따라서 상하로 진동폭을 가지고 발생한다. 따라서 루퍼봉(4)의 상단에 설치된 상루퍼(44)는 도 2에 도시된 상위치에 있어서 왼쪽 방향으로 진동하고, 하위치에 있어서 오른쪽 방향으로 흔들리는 운동궤적을 그린다. 이 운동에 의해 상루퍼(44)는 미도시의 상 루퍼 실(thread)을 자아낸다. 루퍼봉(4)의 상하운동은 루퍼 가이드(43)에 설치한 지지공 내에서 접동함으로써 발생한다. 루퍼봉(4)의 좌우의 경사는 수평축 주위의 루퍼 가이드(43)의 원운동에 의해 허용된다.
루퍼실(40)의 내부에는 판상으로 형성된 유심(油芯)(wick)(47)이 저면, 우측면 및 상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유심(47)은 윤활제를 흡수 유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유심(47)의 하단은 루퍼실(40)의 저면의 일부에 설치한 윤활제의 굄 부(48)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심(47)의 상단은 루퍼봉(4)의 지지부 근방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 및 연결부를 윤활하는 윤활제로는 재봉틀용의 윤활유를 이용해도 되지만,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특개 2007-99864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99864 (2007))에 기재된 합성 에스테르 또는 합성 에스테르와 재봉틀용의 윤활유와의 혼합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윤활제는 유심(47)에 미리 흡수 유지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운전 중에 상승하는 루퍼실(40)의 내부 온도에서 액화되며, 유심(47)의 상단에 접촉하는 루퍼봉(4)의 외주면에 부착해서 루퍼 가이드(43)에 의해 지지부로 공급되어 지지부를 윤활한다. 지지부에 대한 윤활을 끝낸 윤활제는 아래 방향으로 낙하해서 굄부(48)에 고이고, 이 굄부(48) 내에 위치하는 유심(47)의 하단에 흡수되어 순환 사용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퍼실(40)의 전면을 덮는 덮개판(3)의 대략 중앙에는 루퍼 구동축(45)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부(31)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판(3)의 상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장공(長孔)(3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장공(32)은 미도시의 상 루퍼 실의 실 안내장치(Thread Guide)의 설치 구멍이다. 또한, 덮개판(3)의 전면(前面)에는 상 루퍼실 및 하 루퍼실의 실 안내 장치를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나, 도 2에는 이들 부재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덮개판(3)에는 루퍼 구동축(45)의 지지부(31)의 좌측에 상하로 나열된 한 쌍의 밸브(5, 5)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밸브 (5, 5)는 루퍼실(40)의 내부에 있어서의 정압 또는 부압의 작용에 의해 각각 열림 동작하며, 루퍼실(40)의 내외를 연 통하고 상기 정압 또는 부압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루퍼실(40) 내의 정압은 운전중의 온도 상승에 의해 발생하거나 - 이때 루퍼봉(4)이 아래로 움직인다 - 루퍼실(40)의 내부 용적이 감소함으로써 발생한다. 루퍼실(40) 내의 부압은 루퍼봉(4)이 위로 움직이고, 루퍼실(40)의 내부 용적이 증가함으로써 발생한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며, 밸브(5)의 구성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하로 배치된 밸브(5, 5)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원통형을 이루는 홀더(50), 이 홀더(50)의 한 쪽에 고정된 저판(51), 홀더(50)의 내부에 수납된 구(球) 형상의 밸브체(valving element)(53)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체(53)와 저판(51) 사이에 장착된 누름 용수철(52)에 의해, 밸브체(53)는 홀더(50)의 개구 가장자리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저판(51)의 중앙에는 작은 직경의 통기공(5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밸브(5)는 덮개판(3)을 내외로 관통하는 장착공(33)에 홀더(50)을 끼워 넣고 접착하는 등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고정된다. 상하의 밸브(5, 5)는 각각의 장착공(33, 33)으로의 끼워 넣기 방향을 역으로 하는데, 위에 위치하는 밸브(5)는 저판(51) 쪽이 루퍼실(40)의 내측(도 4에 있어서 좌측)을 향하고, 아래에 위치하는 밸브(5)는 밸브체(53) 쪽이 루퍼실(40)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루퍼실(40)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압력차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하의 밸브(5, 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누름 용수철(52, 52)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체(53, 53)를 홀더(50, 50)의 개구 가장자리로 밀어붙이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루퍼실(4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공기의 흐름은 생기지 않는다.
위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밸브(5)의 밸브체(52)에는 루퍼실(40)의 외측의 외기압이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 밸브체(52)는 루퍼실(40)의 내부에 부압이 발생한 경우 외기압의 작용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눌려지며, 누름 용수철(52)의 탄성력에 대항하도록 이동하여 홀더(50)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진다. 이 이동에 의해 저판(51)에 설치한 통기공(54)이 개방되고 루퍼실(40)의 내부로 외기가 도입된다. 이와 같이 루퍼실(40) 내의 부압은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밸브(5)의 동작에 의해 완화된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밸브(5)의 밸브체(52)에는 도 4의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루퍼실(40)의 내압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 밸브체(52)는 루퍼실(40)의 내부에서 정압이 발생한 경우 이 정압의 작용에 의해 바깥 방향으로 눌러지며, 누름 용수철(52)의 탄성력에 대항하도록 이동하여 홀더(50)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진다. 이 이동에 의해 저판(51)에 설치한 통기공(54)이 개방되며 루퍼실(40)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루퍼실(40) 내의 정압은 아래 쪽에 위치하는 밸브(5)의 동작에 의해 완화된다.
이와 같이 밸브(5, 5)는 루퍼실(40)의 내부에 정압 및 부압이 발생하였을 때 각각 열림 작동하며, 이들 정압 및 부압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루퍼실(40) 내에 있어서의 루퍼봉(4)의 앞서 기술한 동작이 루퍼실(4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정압 또는 부압의 영향에 의해 저해될 우려가 없고, 고속의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밸브(5, 5)는 정압 또는 부압이 발생하지 않는 한 닫힘 상태 를 유지하며, 루퍼실(40)의 내외의 공기 흐름을 차단한다. 따라서 운전의 정지 중에 루퍼실(40)의 내부에 먼지가 침입하고, 침입한 먼지가 루퍼실(40) 내부의 윤활제로 혼입하여 루퍼봉(4)의 윤활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도 없다.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프레임(2)은, 놓음판(22)의 위 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쪽 좌측 부분과 연결 설치된 헤드부(6)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부(6)의 좌측은 대략 전면(全面)에 걸쳐서 개구하고 있으며, 덮개판(60)에 의해 액체가 새지 않도록 유지된 상태로 덮여 있다.
덮개판(60)에는 상하 방향의 이동이 가능한 누름대(Presser Bar)(7)가 지지되어 있다. 헤드부(6)의 아래 방향으로 돌출하는 누름대(7)의 하단에는, 누름완(70)이 연결되어 있다. 누름완(70)은 후단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는 요동완(搖動腕)이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누름완(70)의 선단에는 누름발(Presser Foot)(7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발(71)은 누름대(7)가 아래로 움직임에 의해 하강하며, 놓음판(22)과의 사이에 봉제천을 끼워서 지지 한다.
도 5는 헤드부(6)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헤드부(6)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 중의 참조번호 8은 침봉(Needle Bar)이며, 이 침봉(8)은 아래 방향이 앞이 되도록 경사진 헤드부(6)의 앞 가장자리를 따라서 지지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6)의 내측에는 윤활실로서의 침봉실(61)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판(60)은 침봉실(61)의 개구부 전면을 덮듯이 설치되어 액체가 새지 않도록 하고 있다. 침봉실(61)의 아래 판 및 위 판에는 각각의 전부(前部)를 내외로 관통하며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하 부시(80) 및 상 부시(81)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침봉(8)은 하 부시(80) 및 상 부시(8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침봉(8)의 하단은 하 부시(80)를 거쳐서 헤드부(6)의 아래 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누름대(7)의 앞 위치로 돌출하는 침봉(8)의 하단에는, 바늘 고정부(82)에 의해 바늘(83)이 설치되어 있다. 침봉실(61)의 내부에 위치하는 침봉(8)의 중도에는 침봉잡이(Needle Bar Connecting Bracket)(84)가 고정되어 있다. 이 침봉잡이(84)는 침봉 크랭크(86)의 선단과 침봉 링크(8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침봉 크랭크(86)의 기부단은 침봉실(61)의 내부로 돌출하는 침봉 구동축(85)에 고정되어 있다.
침봉 구동축(85)은 미도시의 재봉틀 주축으로부터의 동력 전달에 의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원운동하는 원운동축이다. 침봉 구동축(85)에 기부단이 고정된 침봉 크랭크(86)는 침봉 구동축(85)의 반복 원운동에 따라서 상하로 요동한다. 이 요동에 의해 침봉 크랭크(86)의 선단에 침봉 링크(87)를 통해서 연결된 침봉잡이(84)가 상하 방향으로 밀리거나 당겨져, 침봉(8)은 하 부시(80) 및 상 부시(81)에 의해 안내된 상태로 축 길이 방향으로 접동하며, 하단에 설치된 바늘(83)을 상하 운동시킨다. 도 6은 침봉 크랭크(86)가 하 위치로 요동하고 바늘(83)이 아래로 움직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침봉실(61)의 내부에는 판상으로 형성된 유심(62)이 저면, 후측면 및 윗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하 부시(80) 및 상 부시(81)에 의해 침봉(8)의 지지부 및 침봉(8)과 침봉 크랭크(86)와의 연결부에 대한 윤활을 위해서, 저면, 후면 및 윗면을 따라서 유심(62)이 배치되어 있다. 유심(62)의 하단은 침봉실(61)의 저면의 일부에 설치한 윤활제의 굄부(63) 내를 거쳐서 하 부시(80)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심(62)의 상단은 상 부시(81)의 하부 외면과 접촉하고 있다.
침봉실(61)의 내부의 윤활에는 루퍼실(40)의 내부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일본국 특개 2007-99864호 공보에 기재된 윤활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윤활제는 유심(62)에 미리 흡수 유지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운전 중에 상승하는 침봉실(61)의 내부 온도에서 액화하며, 유심(62)의 양단에 근접하는 침봉(8)의 상하의 지지부에 공급되어 이들 지지부를 윤활한다. 윤활을 끝낸 윤활제는 아래 방향으로 낙하하여 굄부(63)에서 모인 후 유심(62)에 흡수되어 순환 사용된다.
침봉 링크(87)의 상하의 단부에는 돌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돌기는 침봉 크랭크(86)가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유심(62)의 위 아래 단부를 압박한다. 도 6에는 아래 쪽의 돌기가 유심(62)의 하단부를 압박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압박에 의해 유심(62)이 유지하는 윤활제가 눌러져 외부로 유출되어 하 부시(80)를 통해 침봉(8)의 지지부에 양호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쪽의 돌기가 유심(62)의 상단부를 압박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윤활제가 눌러져 외부로 유출되어 상 부시(81)를 통해 침봉(8)의 지지부에 양호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침봉실(61)의 전면(前面)을 덮는 덮개판(60)의 대략 중앙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배열된 한 쌍의 밸브(5, 5)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밸브(5, 5)는 루퍼실(40)의 덮개판(3)에 설치된 밸브(5, 5)와 마찬가지로 도 4에 도 시한 구성을 구비하며, 침봉실(61)의 내부에 있어서의 정압 또는 부압의 작용에 의해 각각 열림 동작한다. 이 열림 동작에 의해 침봉실(61)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공기의 흐름이 생기고 침봉실(61)의 내부의 정압 또는 부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침봉실(61)의 내부에서 앞서 기술한 침봉(8)의 동작이 저해될 우려가 없고 고속에서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밸브(5, 5)는 정압 또는 부압이 발생하지 않는 한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침봉실(61) 내외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따라서, 운전 정지 중에 침봉실(61)의 내부에 먼지가 칩입하고, 침입한 먼지가 침봉실(61) 내의 윤활제에 혼입되어 침봉(8)의 윤활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없다.
이상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정압 또는 부압의 작용에 의해 열림 동작하는 2개의 밸브(5, 5)를 설치하고 있으나, 어느 한쪽만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밸브(5)는 정압 또는 부압의 발생시에 침봉실(61)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열림 동작이 가능하면, 도 4에 도시된 이외의 적절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밸브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는 덮개판(3)(또는 덮개판(60))을 내외로 관통하는 통기공(34)의 한쪽의 개구를 고무제(製)의 플랩(55)에 의해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플랩(55)은 통기공(34)의 개구부의 위 부분에 고정 장착되고 아래 방향으로 매달려 통기공(34)을 덮고 있으며, 도 7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공(34)쪽으로부터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도 7에 2점 쇄선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상부의 고착(固着) 가장자리 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하여 통기공(34)을 개방한다. 이 밸브는, 도 4에 도시된 밸브(5)와 비교해서 구성이 간소하지만, 확실한 개폐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플랩(55)의 탄성을 적정하게 선정할 필요가 있다.
도 8은 루퍼실에 설치하는 밸브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루퍼실(40)의 구성은 루퍼봉(4)의 지지 구조, 루퍼봉(4)의 가동 기구를 포함해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의 형태와 같으며, 대응하는 구성 부재에 도 3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며,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루퍼실(40)에는 루퍼 구동축(45)의 우측 상부의 위판을 내외로 관통하는 관통공(4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49)에 밸브(5)가 장착되어 있다. 도 9는 밸브(5)의 장착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5)는 관통공(49)에 끼워 넣어져 고정된 원통형의 하우징(56)을 구비한다. 하우징(56)은 축심부(軸心部)를 관통하는 통기공(57)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56)의 하단은 유심(47)을 관통하여 루퍼실(40)의 내부로 돌출하고 있다. 통기공(57)은 하우징(56)의 하단에서 루퍼실(40)의 내부로 연통하는 소경부(小徑部) 및 소경부의 위쪽에서 소경부와 연속하며, 상부를 향해서 테이퍼(taper) 처리된, 확경(擴徑)하는 밸브자리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밸브자리구멍의 내부에 구(球) 형상의 밸브체(58)가 수납되어 있다. 밸브자리구멍의 상부는 루퍼실(40)의 외부와 연통하고 있고 통기가 가능한 필터(59)에 의해 덮여 있다.
도 9에는 조립시, 즉 운전 정지시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밸브체(58)는 자중(自重)에 의해 하강하여 밸브자리구멍에 착좌(着座)하고, 통기공(57)은 닫힘 상 태로 있다. 운전 중에 루퍼실(40)의 내부에 정압이 발생한 경우, 밸브체(58)는 도 9의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위 방향으로 가압되어 밸브자리구멍으로부터 이탈한다. 이 이탈에 의해 통기공(57)은 개방되며 루퍼실(40) 내부의 정압이 외기로 방출된다.
필터(59)는 통기공(57)의 개방시 밖으로부터 안으로 먼지의 침입 및 안으로부터 밖으로의 윤활제의 새어 나감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 필터(59)는 정압의 작용에 의한 밸브체(58)의 위로 움직임을 규제하고 밸브자리구멍으로부터의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밸브(5)는 루퍼실(40)을 봉지(封止)하는 덮개판(3)이 아닌 루퍼실(40)의 둘레 벽에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침봉(8)을 지지하는 침봉실(61)에 밸브(5)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 예는 오토로크 재봉틀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편평 바느질 재봉틀 또는 이중환 바느질 재봉틀 등 다른 재봉틀에 적용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난에 있어서 기술한 실시의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분명히 하는 의도의 것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체적인 예만에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과 청구의 범위에 기술하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하는 재봉틀의 일 예로서 오버로크 재봉틀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앞 열림 커버의 내측 부분의 전면도이다.
도 3은 덮개판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루퍼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에 의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헤드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헤드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밸브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루퍼실에 설치하는 밸브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밸브의 장착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Claims (5)

  1. 하우징을 내외로 관통하여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한 가동 기구에 연결된 접동 부재를, 상기 가동 기구의 주위에 설치한 윤활실 내로 봉입된 윤활제에 의해 윤활하는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윤활실의 일부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통하는 통기공과,
    상기 윤활실의 내부에 발생하는 정압 또는 부압의 작용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통기공을 개방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 및 밸브는 상기 윤활실을 봉지(封止)하는 덮개판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탄성력에 대항한 이동에 의해 상기 통기공을 개방하는 밸브체(valving element)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4. 제1 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통기공의 외측 또는 내측 개구부(開口部)를 덮도록 설치된 탄성재료제의 플랩(fla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정압 또는 부압의 작용에 의해 자중(自重)에 대항해서 이동하며, 상기 통기공을 개방하는 밸브체(valving element)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KR1020070077951A 2006-08-08 2007-08-03 재봉틀 KR200800137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16169A JP2008036233A (ja) 2006-08-08 2006-08-08 ミシン
JPJP-P-2006-00216169 2006-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741A true KR20080013741A (ko) 2008-02-13

Family

ID=3908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951A KR20080013741A (ko) 2006-08-08 2007-08-03 재봉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8036233A (ko)
KR (1) KR20080013741A (ko)
CN (1) CN101122074A (ko)
TW (1) TW2008195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3917B (zh) * 2008-06-24 2012-11-28 上海富山精密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包缝机全自动电子布边漏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6666U (ko) * 1985-03-01 1986-09-10
JPH09310773A (ja) * 1996-05-22 1997-12-02 Daihatsu Motor Co Ltd ブリーザ装置
JP2001330164A (ja) * 2000-05-22 2001-11-30 Mikuni Adec Corp 二方向弁
JP2004097423A (ja) * 2002-09-09 2004-04-02 Juki Corp 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22074A (zh) 2008-02-13
JP2008036233A (ja) 2008-02-21
TW200819586A (en) 200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251B1 (ko) 유압 댐퍼
KR20080013741A (ko) 재봉틀
JP4437248B2 (ja) 上ルーパ機構の漏油防止装置
JP4547672B2 (ja) ミシンの漏油防止及び防塵装置
JP2000167286A (ja) ミシン
JP2001314683A (ja) ミシン
JPS626137B2 (ko)
CN202337882U (zh) 缝纫机的漏油防止装置
JP2013256978A (ja) 防水潤滑構造及びこれを備える転てつ機
JP2006150025A (ja) 上ルーパ機構の漏油防止装置
JPH10137479A (ja) 工業用ミシン
KR100747166B1 (ko) 재봉틀
KR101180537B1 (ko) 건조기의 드럼 지지 구조
JP4084959B2 (ja) ミシンの油漏れ防止装置
JP2003245487A (ja) ミシン
CN101397731A (zh) 缝纫机的润滑装置
JP2008245717A (ja) ドラム式洗濯機
CN219450100U (zh) 缝纫机的防油防尘结构
CN212000160U (zh) 一种平缝机的针杆组件
JP4470204B2 (ja) ミシン
JP2018021597A (ja) 油圧式オートテンショナ
US4991550A (en) Oil pressure rush adjuster of a directly acting type
KR200226523Y1 (ko) 제트룸용헬드프레임안내가이드
KR20080007175A (ko) 재봉틀의 윤활 구조
JP2001321593A (ja) 脱水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