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300A - 항균용 액상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용 액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300A
KR20080006300A KR1020060065313A KR20060065313A KR20080006300A KR 20080006300 A KR20080006300 A KR 20080006300A KR 1020060065313 A KR1020060065313 A KR 1020060065313A KR 20060065313 A KR20060065313 A KR 20060065313A KR 20080006300 A KR20080006300 A KR 20080006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olis
weight
composition
acetic acid
vine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기
최연희
엄성경
양희진
박경년
Original Assignee
메디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디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5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300A/ko
Publication of KR2008000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3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14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폴리스액 및 아세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액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프로폴리스액과 아세트산의 혼합 조성물로서 향상된 항균효과를 나타내므로, 항균효과를 갖는 음료용 주스, 청량음료, 기능성음료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프로폴리스액, 아세트산, 액상 조성물

Description

항균용 액상 조성물{antimicrobial liquid-composition}
본 발명은 항균용 액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프로폴리스(propolis)는 천연페니실린이라고도 하며,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수지(樹脂)와 같은 물질에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섞어서 만든 물질이다. 이러한 프로폴리스는 기원전 약 300년 이집트에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오래 전부터 인류가 화농방지제로서 사용해왔다. 최근에는 1965년 프랑스의 의사 레미 쇼방이 꿀벌의 몸에 박테리아가 없음을 연구하던 중 프로폴리스가 천연항생물질임을 알아냈으며, 그 성분으로는 유기물과 미네랄(무기염류)이 가장 많으며 이와 함께 104종 정도의 성분이 들어 있다. 프로폴리스는 문헌 [propolis in natural therapeutics, Maloine Editeur S.A., Paris, Fance(1983) ; Fragrance Journal, No.83, pp. 20-28 및 pp. 36-43(1987)]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꿀벌이 벌집에 저장하는 수지상 물질인데, 여기에는 수지, 밀랍, 정유(精油), 화분(花粉), 플라보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다. 프로폴리스의 주요한 작용은 항균 작용, 항산화 작용, 함염증 작용, 국소마취 작용, 비루스 증식 억제작용, 면역 조절작용 등이고, 그 주요한 유효성분으로서 폴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방향족 카르복실산, 방향족 알데히드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100종류가 넘는 플라보노이드가 들어 있어 건강 증진에 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아세트산은 식초 속에 3∼5% 함유되어 식초의 신맛을 내기 때문에 초산(醋酸)이라고도 하며, 에탄산이라고도 한다. 알코올 음료를 방치하면 발효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항균작용이 있음이 예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상기와 같이, 오랜 옛날부터 한방과 민간에서 특별한 독성이나 부작용 없이 사용되어온 프로폴리스, 아세트산에 대해서는 그동안 과학적으로도 각각의 효능 및 독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프로폴리스와 관련하여 프로폴리스추출물, 유화제, 구연산, 당을 혼합하는 기능성 음료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음료가 개시되어 있으며(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6-0024494호), 벌집에서 채취한 프로폴리스를 특정 방법으로 추출하여, 추출한 프로폴리스 및 사과농축액, 대추추출물, 꿀, 올리고당, 액상과당, 설탕, 자일리톨, 구연산을 혼합하는 음료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음료(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5-0047510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개시된 자료들에는 프로폴리스의 항균작용효과를 더욱 증진시키 는 조성물이나 제조방법 등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로폴리스액 및 아세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천연물인 프로폴리스의 항균작용이 더욱 향상된 효과를 갖는 항균용 액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폴리스액 및 아세트산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액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액상 조성물은 음료용 주스, 청량음료, 기능성 음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균(antimicrobial)이라 함은 세균, 진균, 효모, 헬리코박터, 바이러스 및 원충동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성장 및 감염 방지, 성장억제 및 사멸작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프로폴리스액은 에탄올 등의 친수성 유기 용매의 고농도 용액으로 추출하여 얻게 되는 액상의 프로폴리스 엑스[extract ; 또는 프로폴리스 팅크제(tincture)]를 사용한다. 이는 프로폴리스는 흑갈색의 괴상물(壞狀物)이기 때문에 그자체로 이용할 수 없으며, 그 조성이 물에 불용성이거나 소수성인 물질이 주성분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프로폴리스액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프로폴리스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용제를 사용하여 가용화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아세트산은 주로 식초를 이용하며, 천연과일 식초, 곡물식초, 허브식초, 목초액 및 죽초액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시중에서 직접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을 통해 과일의 당, 곡물의 당 등을 발효시켜서 얻은 아세트산 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프로폴리스액 0.002 내지 10 중량%, 아세트산 0.001 내지 7 중량%를 함유하며 나머지는 정제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프로폴리스액은 사용량이 0.002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항균 기능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10중량%를 초과하면 감미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아세트산은 사용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프로폴리스의 항균작용 효과를 증진시키는 기능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7중량%를 초과하면 감미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에 L-아르기닌, 베타인, 비타민 등 생체 활성에 도움을 주는 성분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 이외에 당업계에서 흔히 사용되는 감미제, 산미제, 천연과즙, 착향제, 아미노산류 등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추가된 성분의 총 함량은 0.1 내지 10중량%인 것이 감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가능한 감미제에는 예를 들어, 이소말토올리고당, D-소르비톨액, 효소처리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슈크랄로오스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산미제에는 예를 들어, 구연산, DL-사과산, 호박산 및 그의 염 등이 있다. 천연 과즙류에는 예를 들어, 매실, 포도, 사과, 복숭아, 배, 딸기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착향제에는 애플에센스, 매실향, 포도향, 사과향, 딸기향, 혼합 과일향, 드링크향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음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흔히 사용되는 유리병으로 된 드링크제 용기, PET 병으로 된 음료 용기, 캔용기, 또는 앰플 용기 등에 포장되어 판매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 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1
1) 혼합용기에 정제수(40 ml)를 가한 후 폴리소르베이트 80(1.0중량%)을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프로폴리스액(1.0중량%, 제조사: 대호양행)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약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목초액(14.1중량%, 아세트산으로서 0.475중량%, 제조사: 태성바이오플러스 )를 첨가한 후 약 20분 동안 교반 후 정제수를 넣어 100mL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갈색을 띠고 있으며, 목초액 및 프로폴리스 특유의 맛이 난다.
실시예 2
1) 혼합용기에 정제수(40 ml)를 가한 후 폴리소르베이트 80(1.0중량%)을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프로폴리스액(1.0중량%, 제조사:대호양행)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약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감식초(18.3중량%, 아세트산으로서 0.476중량%, 제조사: 대상식품(주))를 첨가한 후 약 20분 동안 교반 후 정제수를 넣어 100mL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갈색을 띠고 있으며, 감식초 및 프로폴리스 특유의 맛이 난다.
실시예 3
1) 혼합용기에 정제수(40 ml)를 가한 후 폴리소르베이트 80(1.0중량%)을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프로폴리스액(1.0중량%, 제조사:대호양행)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약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현미식초(9.5중량%, 아세트산으로서 0.475중량%, 제조사: 씨제이푸드시스템(주))를 첨가한 후 약 20분 동안 교반 후 정제수를 넣어 100mL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갈색을 띠고 있으며, 프로폴리스 특유의 맛이 난다.
실시예 4
1) 혼합용기에 정제수(40ml)를 가한 후 폴리소르베이트 80(1.0중량%)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프로폴리스액(1.0중량%, 제조사:대호양행)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약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죽초액(18.6중량%, 아세트산으로서 0.475중량%, 제조사: 죽상산업)를 첨가한 후 약 20분 동안 교반하고 정제수를 넣어 100mL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갈색을 띠고 있으며, 죽초액 및 프로폴리스 특유의 맛이 난다.
실시예 5
1) 혼합용기에 정제수(40 ml)를 가한 후 폴리소르베이트 80(1.0중량%)을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프로폴리스액(1.0중량%, 제조사:대호양행)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약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목초액(14.1중량%, 아세트산으로서 0.43중량%, 제조사: 태성바이오플러스), 베타인(1.2중량%), L-아르기닌(0.88중량%)을 차례로 투입하고 실온에서 약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농축사과과즙 72Brix(8.0중량%), 이소말토올리고당(4.0중량%), D-소르비톨액(2.0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0.13중량%)를 차례로 투입하고 실온에서 약 20분동안 교반하였다. 마지막으로 애플에센스(0.2중량%), 무수구연산(0.33중량%)을 첨가한 후 약 20분동안 교반 후 정제수를 넣어 100mL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갈색을 띠고 있으며, 목초액 및 프로폴리스 특유의 맛이 난다.
실시예 6 내지 11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하기와 같은 성분 및 조성을 함유하는 항균용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실시예 6 (중량%) 실시예 7 (중량%) 실시예 8 (중량%) 실시예 9 (중량%) 실시예 10 (중량%) 실시예 11 (중량%)
목초액(아세트산 함량: 3.37중량%) 14.1 14.1 14.1 11.75 35.25 35.25
L-아르기닌 0.88 0.88 0.88 0.73 21.96 21.96
베타인 1.2 1.2 1.2 1 3 3
이소말토올리고당 4 4 4 3.33 10 10
D-소르비톨액 2 2 2 1.67 2.5 5
효소처리스테비아 0.13 0.13 0.13 0.11 0.33 0.33
농축사과과즙 72brix 9 6 4 6.67 - -
매실엑스 - - - - 6.75 6.75
무수구연산 0.33 0.33 0.33 0.27 0.81 0.81
프로폴리스추출액 1 1 1 0.83 2.5 2.5
폴리소르베이트80 0.96 0.96 0.96 0.8 - -
애플에센스 0.2 0.1 0.1 0.17 - -
매실향 - - - - 0.09 0.09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시예 6 내지 11에서 제조된 조성물은 갈색을 띠고 있으며, 목초액 및 프로폴리스 특유의 맛이 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프로폴리스액과 아세트산이 혼합 사용되어 상승된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Claims (5)

  1. 프로폴리스액 및 아세트산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액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프로폴리스액 0.002 내지 10 중량%, 아세트산 0.001 내지 7 중량%를 함유하며 나머지는 정제수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세트산은 천연과일 식초, 곡물식초, 허브식초, 목초액 및 죽초액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L-아르기닌, 베타인, 이소말토올리고당, D-소르비톨액, 효소처리스테비아, 구연산, 애플에센스, 매실향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더 첨가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추가된 성분의 총 함량이 0.1 내지 10중량%인 조성물.
KR1020060065313A 2006-07-12 2006-07-12 항균용 액상 조성물 KR20080006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313A KR20080006300A (ko) 2006-07-12 2006-07-12 항균용 액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313A KR20080006300A (ko) 2006-07-12 2006-07-12 항균용 액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300A true KR20080006300A (ko) 2008-01-16

Family

ID=3922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313A KR20080006300A (ko) 2006-07-12 2006-07-12 항균용 액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3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0055A3 (en) * 2011-08-03 2013-05-10 Dr Pepper/Seven Up, Inc. Partially-frozen beverages including betaine
KR101952275B1 (ko) * 2017-10-25 2019-02-26 이렌바이오 주식회사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추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0055A3 (en) * 2011-08-03 2013-05-10 Dr Pepper/Seven Up, Inc. Partially-frozen beverages including betaine
KR101952275B1 (ko) * 2017-10-25 2019-02-26 이렌바이오 주식회사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추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zo-Bayón et al. Wine features related to safety and consumer health: an integrated perspective
US7919114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Morinda citrifolia
US9445623B2 (en) Non-alcoholic wine beverage
JP6946378B2 (ja) 甘味組成物
KR101322230B1 (ko) 수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TWI439231B (zh) 綠茶萃取物之純化物之製造方法
KR102062716B1 (ko) 숙성노니원액이 함유된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4526575B2 (ja) クロレラ抽出物含有飲料
TW200529767A (en) Packaged beverages
JP2005312430A (ja) マカ抽出物含有アルコール飲料
JP2012512652A (ja) フラボノイド(ヘスペリジン、ナリルチン、ジジミン)に富む柑橘類抽出物
KR20150111724A (ko) 소취능 및 항산화능을 가지는 반려동물용 음료 조성물
KR20000028403A (ko) 솔잎발효음료및그의제조법
KR101548525B1 (ko) 여주-함유 과채 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
JP2019198282A (ja) 果実風味アルコール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34763A (ko) 죽순과 죽엽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080006300A (ko) 항균용 액상 조성물
KR100512322B1 (ko) 변비에 개선 효과를 갖는 식물 복발효 효소액 및 이를사용한 기능성 음료
WO2020090137A1 (ja) 容器詰飲料
KR100813338B1 (ko) 미나리를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방법
JP6753917B2 (ja) 渋味抑制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06702A (ko) 모과, 박하, 산수유 함유 기능성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음료
ES2310552T3 (es) Procedimiento para producir bebidas acidas.
RU2482753C1 (ru) Концентрат поликомпонентный
KR0167863B1 (ko) 복합효소 음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