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272U -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272U
KR20080006272U KR2020070009652U KR20070009652U KR20080006272U KR 20080006272 U KR20080006272 U KR 20080006272U KR 2020070009652 U KR2020070009652 U KR 2020070009652U KR 20070009652 U KR20070009652 U KR 20070009652U KR 20080006272 U KR20080006272 U KR 200800062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acking
damper
fram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섭
Original Assignee
아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9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272U/ko
Publication of KR200800062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2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55/00Use of 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23/00 - B29K2049/00, e.g. having a vinyl group, as moulding material
    • B29K20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블레이드를 회동시켜 덕트내의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도록 조절하는 구동수단이 마련된 댐퍼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회전축이 끼워지는 몸체와 이웃하는 상기 블레이드 사이를 실링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양단에 각각 마련된 한쌍의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패킹은 이중압출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주요부품의 감소와 작업공수의 절감으로 인하여 혁신적인 생산성 향상과 품질개선으로 원가절감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에어덕트, 블레이드, 이중압출, 댐퍼, 날개

Description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Blade apparatus for duct damper}
도 1은 종래의 덕트용 댐퍼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블레이드의 몸체와 패킹 접착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20 : 블레이드
21 : 몸체
22 : 패킹
23 : 고정홈
24 : 외측부
25 : 내측부
30 : 구동수단
본 고안은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댐퍼에 설치되는 블레이드의 조립 및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써 부품삭제 및 조립공수 절감에 따른 균일하고 지속적인 블레이드의 품질을 유지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대형 건물의 실내 혹은 지하상가 등의 공기조화를 위하여 내부공기를 배출하거나 공급하기 위한 에어덕트 및 냉난방기기의 덕트등의 풍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댐퍼를 설치하고 있다. 댐퍼(damper)란 덕트 또는 공기조화기내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며 움직이는 날개를 가진 기구의 총칭이며 유체의 유동방향을 바꾸어 주는 부가적 기능을 가진 것도 있다.
종래의 덕트용 댐퍼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덕트용 댐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프레임(10)은 댐퍼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부품으로 구성요소들을 지지고정하며, 강도 및 덕트와의 연결을 위하여 대부분 ㄷ자형상 또는 이를 약간 변형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 프레임(10)의 내부에는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체의 양을 조절하거나 폐쇄시켜 유로 의 면적을 조절하는 복수의 블레이드(2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블레이드는 서로 이웃하는 블레이드 사이에서 발생하는 누설을 줄이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블레이드의 끝에 패킹(22)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20)는 상기 블레이드(20)와 연결되어 프레임홀(12)에 끼워지는 회전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는 상기 블레이드(20)를 회동시켜 댐퍼의 송풍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거나 다시 개방하는 등의 외부 조작을 하기 위한 구동수단(30)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20)는 알루미늄 재질의 몸체(21)와 서로 이웃하는 블레이드 사이에서 발생하는 누설을 줄이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21)의 양단에 각각 마련된 EPDM, NBR등의 실링이 가능한 고무류의 압출물인 패킹(22)을 주요부품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두 주요부품을 각각 별도로 압출하고 동일한 길이로 절단 후 두 압출물을 끼워서 조립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블레이드는 별도로 압출하여 구비된 몸체(21)와 패킹(22)이 끼워서 조립되므로 조립후 고무류의 압출물 고정방법이 곤란하여 블레이드의 중간에 다수의 코킹작업을 하여 고정함으로써, 조립 공수 과다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고무의 흔들림 및 빠짐등으로 인하여 품질불량의 잠재요인이 항상 위협적이어서 원가 상승의 사유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댐퍼에 설치되는 블레이드의 조립 및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써 부품삭제 및 조립공수 절감에 따른 균일하고 지속적인 블레이드의 품질을 유지 할 수 있는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블레이드를 회동시켜 덕트내의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도록 조절하는 구동수단이 마련된 댐퍼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회전축이 끼워지는 몸체와 이웃하는 상기 블레이드 사이를 실링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양단에 각각 마련된 한쌍의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패킹은 이중압출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 마련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원고안의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설명 상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종래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20),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상기 블레이드(20)를 회동시켜 덕트내의 공 기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도록 조절하는 구동수단(30)이 마련된 댐퍼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0)는 회전축(40)이 끼워지는 몸체(21)와 이웃하는 상기 블레이드(20) 사이를 실링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21) 양단에 각각 마련된 한쌍의 패킹(22)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21)와 상기 패킹(22)은 이중압출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21)는 경질 염화비닐로, 상기 패킹(22)은 연질 염화비닐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21)는 상기 패킹(22)과 접촉하는 양측 선단부위에 패킹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23)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홈(23)은 상기 패킹(22)이 상기 몸체(21)에 접착시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부(24)가 내측부(25)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20)는 회전축(40)이 끼워지는 몸체(21)와 이웃하는 상기 블레이드(20) 사이를 실링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21) 양단에 각각 마련된 한쌍의 패킹(22)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21)는 상기 패킹(22)과 접촉하는 양측 선단부위에 패킹(22)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23)이 마련되어 경질 염화비닐 또는 ABS수지로 압출되며, 상기 패킹(22)은 탄성재질을 갖는 고무류를 별도로 압출하여 상기 패킹(22)이 상기 몸체(21)의 상기 고정홈(23)에 끼워져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은 댐퍼에 설치되는 블레이드의 조립 및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써 부품삭제 및 조립공수 절감에 따른 균일하고 지속적인 블레이드의 품질을 유지하기에 적당한 블레이드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블레이드는 경질 염화비닐의 몸체(21)에 연질 염화비닐의 패킹(22)을 이중압출하여서 하나의 주요부품으로 일체화 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이중압출방법은 공지의 기술로서, 압출되어 나오는 경질 염화비닐(PVC)에다 바로 연질 염화비닐(PVC)이 적소에 위치되게 접합되어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특허등록번호 제10-0506885호를 참조하면 이중압출장치에 대한 구성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한, 몸체(21)의 재료로 경질 염화비닐을 일 실시예로 기재 하였지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ABS수지 등의 경질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패킹(22) 의 재료로는 폴리스티렌계 탄성체나 엘틸렌계 고무,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수지등의 연질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속적 이중압출방식을 이용한 본 고안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블레이드와 같이 별도록 제작된 패킹(22)을 몸체(21)에 부착하거나 조립하는 공정이 필요 없이, 연속적인 이중압출방식에 의해 몸체(21)에 패킹(22)이 삽입된 형태로 제조되므로, 종래의 방법에 비해 공정이 단축되고 이에 따라 경비도 절감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21)와 패킹(22)의 접착부분인 몸체(21)의 양측 선단에 외측부(24)가 내측부(25)보다 작게 형성되어 패킹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23)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연질 염화비닐의 패킹(22)이 상기 경질 염화비닐의 몸체(21)에 접착시 접촉부위의 전 구간에 대하여 강하게 열융착 된 후 상기 고정홈(23)에 끼워진 상태로 접합을 견고히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물론 상기 고정홈(23)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것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기 몸체(21)와 상기 패킹(22)이 상호 구속되어 걸리도록 하는 형상등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20)의 몸체(21)를 경질염화비닐 또는 내충격성을 강화한 소재로 내열성이 뛰어난 ABS등의 합성수지를 단독압출하고, 고무류의 패킹(22)을 별도로 압출한 후 끼워서 조립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댐퍼에 설치되는 블레이드의 조립 및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써 부품삭제 및 조립공수 절감에 따라 균일하고 지속적인 블레이드의 품질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는 이중압출에 의하여 한번의 압출과 절단으로 부품이 완성되므로 주요 부품의 수가 감소되며, 이중압출시 경질 염화비닐 및 연질 염화비닐이 열융착에 의한 접착으로 인하여 접합되므로 끼워서 조립하는 작업공정이 삭제되고 접착부분의 고정홈의 구성에 의하여 어떠한 악조건에서도 실링재의 흔들림과 빠짐이 동시에 해결되어 다수의 코킹작업이 없어지게 되어 혁신적인 생산성 향상과 품질개선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응용도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Claims (6)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블레이드를 회동시켜 덕트내의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도록 조절하는 구동수단이 마련된 댐퍼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회전축이 끼워지는 몸체와 이웃하는 상기 블레이드 사이를 실링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양단에 각각 마련된 한쌍의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패킹은 이중압출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경질 염화비닐로, 상기 패킹은 연질 염화비닐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패킹과 접촉하는 양측 선단부위에 상기 패킹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패킹이 상기 몸체에 접착시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부가 내측부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댐퍼의 블 레이드.
  5.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블레이드를 회동시켜 덕트내의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도록 조절하는 구동수단이 마련된 댐퍼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회전축이 끼워지는 몸체와 이웃하는 상기 블레이드 사이를 실링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양단에 각각 마련된 한쌍의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패킹과 접촉하는 양측 선단부위에 상기 패킹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마련되어 경질 염화비닐로 압출되며, 상기 패킹은 탄성재질을 갖는 고무로 압출되어 상기 패킹이 상기 몸체의 상기 고정홈에 끼워져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6.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블레이드를 회동시켜 덕트내의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도록 조절하는 구동수단이 마련된 댐퍼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회전축이 끼워지는 몸체와 이웃하는 상기 블레이드 사이를 실링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양단에 각각 마련된 한쌍의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패킹과 접촉하는 양측 선단부위에 상기 패킹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마련되어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로 압출되며, 상기 패킹은 탄성재질을 갖는 고무로 압출되어 상기 패킹이 상기 몸체의 상기 고정홈에 끼워져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KR2020070009652U 2007-06-12 2007-06-12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KR200800062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652U KR20080006272U (ko) 2007-06-12 2007-06-12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652U KR20080006272U (ko) 2007-06-12 2007-06-12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272U true KR20080006272U (ko) 2008-12-17

Family

ID=41327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652U KR20080006272U (ko) 2007-06-12 2007-06-12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272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41Y1 (ko) * 2012-05-29 2014-05-20 최상운 환기창
KR20210050823A (ko)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태영엔지니어링 댐퍼용 금속 날개
CN114589166A (zh) * 2020-12-03 2022-06-07 A-成株式会社 使用激光清洗机的掩模框架表面处理方法
WO2023224276A1 (ko) * 2022-05-16 2023-11-23 두양텍(주) 결로방지기능을 가지는 댐퍼날개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41Y1 (ko) * 2012-05-29 2014-05-20 최상운 환기창
KR20210050823A (ko)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태영엔지니어링 댐퍼용 금속 날개
CN114589166A (zh) * 2020-12-03 2022-06-07 A-成株式会社 使用激光清洗机的掩模框架表面处理方法
CN114589166B (zh) * 2020-12-03 2023-12-19 A-成株式会社 使用激光清洗机的掩模框架表面处理方法
WO2023224276A1 (ko) * 2022-05-16 2023-11-23 두양텍(주) 결로방지기능을 가지는 댐퍼날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31310B (zh) 用于调节风门的锯齿形设计
KR20080006272U (ko) 덕트용 댐퍼의 블레이드
CN104125891B (zh) 用于机动车辆内部的通风的回风阻挡设备
JPH11180129A (ja) 通風路切替装置
JPH0825945A (ja) 空気通路切替装置及び車両用空調装置
JP2005138629A (ja) 空気通路開閉装置
JP2000135912A (ja) 通風路切替装置
KR101832325B1 (ko) 실링구조체가 구비된 공기유동량 조절댐퍼용 블레이드 및 이를 이용한 공기유동량 조절댐퍼
CN106061779A (zh) 车辆密封组件的制造方法
KR101614213B1 (ko) 도어용 창호 기밀 보온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4905389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内外気切替装置
RU2381346C2 (ru) Рамный блок и устройство ограничения воздушного потока для него
JP2008100593A (ja) 通風路切替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AU671921B2 (en) Butterfly valve assembly
JP2008024253A (ja) 空気通路開閉装置
KR101625923B1 (ko) 배기분리형 댐퍼용 블레이드
JP2006205846A (ja)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
JP4140527B2 (ja) 空気通路開閉装置
JP7406347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20075996A (ko) 에어컨 블레이드 유동 방지장치
JP2000038034A (ja) ウェザスト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10018374B1 (en) Air register
JP4200940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空気通路開閉装置
JP4186155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の開閉ドア
JP2003184495A (ja) シール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