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657U - 비파 뜸기 - Google Patents

비파 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657U
KR20080005657U KR2020070008368U KR20070008368U KR20080005657U KR 20080005657 U KR20080005657 U KR 20080005657U KR 2020070008368 U KR2020070008368 U KR 2020070008368U KR 20070008368 U KR20070008368 U KR 20070008368U KR 20080005657 U KR20080005657 U KR 200800056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quat
container
lower container
flange
multi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정
권영욱
김장오
Original Assignee
김유정
권영욱
김장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정, 권영욱, 김장오 filed Critical 김유정
Priority to KR2020070008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657U/ko
Publication of KR200800056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65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1Artificial hot-ai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비파 뜸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는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가 연장 형성된 하부 용기와; 하부 용기의 배출구멍이 형성된 플랜지 상부에 안착되며, 상면에 연소되어질 비파가 적재되는 금속 그물망과; 하부 용기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호간의 사이에 연통된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하부 용기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상부 용기;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하부 용기상에 안착된 금속 그물망에 비파를 올려놓고 연소시키며, 상부에 상부 용기를 안착시킨후 사용자가 신체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훈증에 의한 치료 및 건강 증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비파의 투입 및 배출이 손쉽게 이루어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으며, 위생상 매우 깨긋한 사용이 가능하고 장식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비파, 뜸기, 하부 용기, 상부 용기, 금속 그물망, 플랜지

Description

다기능 비파 뜸기{a multifunctional loquat moxacautery utensil}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부 용기 110 : 플랜지
111 : 구멍 200 : 금속 그물망
300 : 상부 용기 310 : 플랜지
320 : (복수의)구멍
본 고안은 다기능 비파 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파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연소 연기에 의한 훈증 작용을 통해 건강증진 작용과 질병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다기능 비파 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파는 장미과에 속한 상록활엽 교목으로 모양은 비로도와 같은 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10-11월에 개화하여 여름에 황금색의 열매가 열리며 연평균 기온이 섭씨 12도 이상의 따뜻한 지방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이러한 비파의 잎과 열매에는 포도당, 자당, 과당, 전분, 덱스트린, 주석산, 구연산, 사과산, 사포린, 아미구다린이 다량함유된 웰빙 건강식품의 원료이다.
여기에서 아미구다린(비타민 B17)은 청산배당제로써 열을 가해 태우면 가스가 피부 모공을 뚫고 들어가 정상세포에는 영양이 되고, 암세표에는 공격을 하여 파괴시키는 기능을 하며, 체내에 들어가면 항암효과, 항류머티즘 효과 뿐만 아니라 살균과 진통에 특효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따라 근래에는 상술한 효능을 갖는 비파를 이용한 건강 보조기구가 널리 제안되고 있는 바, 그 중의 하나가 비파 뜸기이다.
이러한 비파 뜸기는, 비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훈증 작용이 부여되도록 하여 인체에 쌓여 있는 독을 제거하고 조혈작용과,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증식을 막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에외도 진통의 효과와 신경통이나 관절염 타박상에 효과가 있고 속을 따뜻하게 해주며 냉증을 없애주어 부인병에 효과가 있다.
또한 기와 혈을 잘 통하게 하며 신경마비 운동신경 장애에 좋다.
한편, 이러한 비파 뜸기의 통상적인 구조를 보면,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용기를 마련하고, 상부에는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 신체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 테두리를 형성한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비파 뜸기에 있어서는 상부면에 개방된 단순 용기구조로써 비파의 투입 및 배출 작업이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서만 이루어지게 되어 취급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운 것은 물론이고,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야기되며, 사용시 신체 접촉부위를 안착시킬 경우 내부가 밀폐되는 타입이기 때문에 비파의 원활한 연소 작용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치료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파의 투입 및 배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파의 원활한 연소를 도모하여 치료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고, 특히 미관이 외려하여 장식용으로도 활용 가능한 다기능 비파 뜸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비파 뜸기는,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는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가 연장 형성된 하부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의 배출구멍이 형성된 플랜지 상부에 안착되며, 상면에 연소되어질 비파가 적재되는 금속 그물망과; 상기 하부 용기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호간의 사이에 연통된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하부 용기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상부 용기;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상,하부 용기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생기토로 성형된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한 특징은, 상기 상,하부 용기는 상호 결합되어 항아리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한 특징은, 상기 상,하부 용기는 각각 직경을 달리하는 원통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성형된 것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비파 뜸기는, 크게 하부 용기(lower vessel;100)와 금속 그물망(200) 그리고 상부 용기(upper vessel;300)로 대별된다.
먼저 하부 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취하며, 하부 바닥면에는 구멍(111)이 형성된 플랜지(flange;110)가 연장 형성된다.
이때 하부 용기(100)의 형상은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항아리 형태를 갖도록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금속 그물망(200)은 하부 용기(100)의 플랜지(110)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부에 연소(燃燒)되어질 비파가 적재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부 용기(300)는 하부 용기(10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상호간에는 서로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 용기(30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원활하게 접촉시킬 수 있는 플랜지(310)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금속 그물망(200)에 적재된 비파가 연소될때 좀더 효과적으로 연소될 수 있도록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용기(300)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구멍(320)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 용기(300)의 형상은 도 1에서와 같이 하부 용기(100)와 동일한 원통 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더하여 도 3에서와 같이 하부 용기(100)가 항아리 형상을 갖는 것과 대응되게 상부면을 커버할 수 있는 덮개 형상으로 성형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상,하부 용기(100,300)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재질로 성형된 것 즉, 생기토와 각종 재료를 첨가하여 불가마에서 구워 성형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비파가 연소될때 내부가 가열되는 것과 동시에 자체 재질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게 되면 사용자의 건강 증진에 좀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비파 뜸기는, 먼저 하부 용기(100)의 플랜지(100)상에 금속 그물망(200)을 올려놓고 이 금속 그물망(200)에 상부에 건조된 비파를 올려놓는다.
그리고 점화수단을 통해 건조된 비파를 연소시킨다.
다음으로 하부 용기(100)의 상부에 상부 용기(300)를 올려놓은 다음 사용자가 하부 용기(100)의 바닥면을 필요 신체 부위에 접촉시키게 되면, 소정의 열과 비파가 연 소하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신체 부위에 접촉되게 되어 훈증에 따른 치료 및 건강 증진의 효과를 얻게된다.
이때 접촉과정에서 내부가 밀폐되어도 상부 용기(3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32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안정된 비파의 연소가 이루어진다.
한편, 연소된 비파의 잔재는 상,하부 용기(100,300)를 분리 시킨후 이를 배출함으로써 깨끗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하부 용기(100,300)가 각각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기 때문에 비파의 투입이 손쉽게 이루어지며, 각각 분리 상태로 세척 가능하게 됨으로써 항상 깨끗하게 사용 가능하다.
이외에도 상,하부 용기(100,300)의 자체 재질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재질로 성형된 것이기 때문에 이 원적외선을 통해 치료 효과의 증진을 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하부 용기(100,300)의 외형이 매우 미려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때 내부 장식용으로 사용 가능함으로써 실내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게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비파 뿐만 아니라 연소될때 사용자의 건강 증진이나 치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쑥이나 각종 약초나 향을 발할 수 있는 각종 잎등을 모두 사용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주지할 수 있는 사실일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비파 뜸기에 의하면, 하부 용기상에 안착된 금속 그물망에 비파를 올려놓고 연소시키며, 상부에 상부 용기를 안착시킨후 사용자가 신체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훈증에 의한 치료 및 건강 증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비파의 투입 및 배출이 손쉽게 이루어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으며, 위생상 매우 깨긋한 사용이 가능하고 장식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는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가 연장 형성된 하부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의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 상부에 안착되며, 상면에 연소되어질 비파가 적재되는 금속 그물망과;
    상기 하부 용기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호간의 사이에 연통된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하부 용기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상부 용기;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비파 뜸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용기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생기토로 성형된 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비파 뜸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용기는 상호 결합되어 항아리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비파 뜸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용기는 각각 직경을 달리하는 원통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비파 뜸기.
KR2020070008368U 2007-05-22 2007-05-22 비파 뜸기 KR200800056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368U KR20080005657U (ko) 2007-05-22 2007-05-22 비파 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368U KR20080005657U (ko) 2007-05-22 2007-05-22 비파 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657U true KR20080005657U (ko) 2008-11-26

Family

ID=4132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368U KR20080005657U (ko) 2007-05-22 2007-05-22 비파 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65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569A (ko) 2016-07-08 2018-01-18 김세영 향훈증 뜸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569A (ko) 2016-07-08 2018-01-18 김세영 향훈증 뜸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61038B (zh) 压力煲制作食物的方法
CN101715855B (zh) 一种干菊花的制作工艺
CN104286250A (zh) 一种保健养生茶及其制备方法
KR101004420B1 (ko) 폴리페놀과 에스-알릴시스테인이 강화된 흑마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05657U (ko) 비파 뜸기
CN104757523A (zh) 一种果蔬味草菇的加工方法
CN104068390A (zh) 一种烤奶茶叶及其制备方法
KR20130004987A (ko) 규격화된 대나무 스틱밥 및 그 제조방법
KR101150393B1 (ko) 꾸지뽕 수액 추출방법
KR100629937B1 (ko) 버섯절편 정과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버섯절편 정과
CN201767787U (zh) 完鱼蒸煮盘
KR100458443B1 (ko) 단호박 영양밥의 제조방법
KR20150024374A (ko) 쏘쎄지 처럼 만든 낫또
KR102655251B1 (ko) IoT를 기반으로 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재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재배된 동충하초를 함유한 누룽지 제조방법
KR200380146Y1 (ko) 건강식 훈제요리용 용기
US10798959B2 (en) Method for preparing persimmon jam by using persimmon and prunus mume, and packaging container for long-term storage and convenient use thereof
KR200385419Y1 (ko) 일회용 음식물 용기
KR200384352Y1 (ko) 숯불 구이기
CN102524480B (zh) 一种老公根茶及其制作方法
KR200197654Y1 (ko) 전기보온밥솥
CN102225084A (zh) 罗布麻叶中药饮片的炮制工艺
KR101690904B1 (ko)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
KR200456174Y1 (ko) 음식물이 내장된 고구마
KR100385775B1 (ko) 음식조리용 소나무통
KR200206867Y1 (ko) 착탈식 방열판을 구비한 바베큐용 구이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