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904B1 -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904B1
KR101690904B1 KR1020160002354A KR20160002354A KR101690904B1 KR 101690904 B1 KR101690904 B1 KR 101690904B1 KR 1020160002354 A KR1020160002354 A KR 1020160002354A KR 20160002354 A KR20160002354 A KR 20160002354A KR 101690904 B1 KR101690904 B1 KR 101690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kin
heating
sweet pumpkin
seat
he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미들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미들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미들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은 단호박을 채취하여 선별하는 단호박 선별 단계(S100); 상기 선별된 단호박을 자연 건조하여 숙성시키는 단호박 건조 및 숙성 단계(S200); 상기 숙성된 단호박의 상부에 위치하는 꼭지를 제거하는 단호박 꼭지 제거 단계(S300); 상기 꼭지가 제거된 단호박을 단호박 구이 장치(1)의 안치수단(2)에 상하로 구획되어 설치되어 있는 안치판(21) 상에 적재하는 단호박 안치 단계(S400); 상기 단호박들이 안치판(21) 상에 적재되어 있는 안치수단(2)을 가열수단(3)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단호박 슬라이딩 이동 단계(S500); 상기 단호박들이 적재된 안치수단(2)을 가열수단(3) 내부로 삽입한 후 개폐문(34)을 닫고, 가열수단(3) 내부를 가열하여 단호박을 굽는 단호박 가열 단계(S600); 상기 가열되어 균일하게 익혀진 단호박을 상기 안치수단(2)에서 꺼내어 냉각하는 단호박 냉각 단계(S700); 및 상기 냉각된 단호박을 규격에 맞게 재단하여 포장하는 포장 단계(S8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단호박을 과도하게 탄화시키지 않고 단호박 내부까지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단호박을 간편하게 구워 소비자에게 신선한 단호박 구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미네랄, 비타민 등이 다량 함유된 단호박을 남녀노소 누구나 건강식으로 섭취할 수 있으며,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단호박을 폭넓게 이용할 수 있고 바쁜 현대인들에게 영양가 높은 단호박을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웰빙이라는 사회적 흐름 속에서 건강한 삶을 위하여 첨가물이 들어있지 않은 자연친화적인 식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WEET PUMPKIN ROASTING}
본 발명은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호박을 과도하게 탄화시키지 않고 단호박 내부까지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단호박을 간편하게 구워 소비자에게 신선한 단호박 구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미네랄, 비타민 등이 다량 함유된 단호박을 남녀노소 누구나 건강식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박(Cucurbita spp.)은 박과에 속하는 일년생 덩굴성 초본으로 동양계 호박(C. moschata), 서양계 호박(C. maxima), 페루계 호박(C. pepo)으로 나뉜다.
최근 국내에서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단호박은 쿠쿨비타막시마더치(Cucurbita maxima Duch)라고도 하고, 서양계 호박에 속하며, 고랭지 작물로 1.5 kg 내외의 작은 크기로 진한 녹색의 과피를 가지고 있고, 진황색을 띤 과육은 두껍고 치밀하다. 중량에 있어서는 과육 부위가 84%, 껍질이 10%, 내부 섬유상 물질이 3.5%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총 카로티노이드 등의 조성 및 함량이 호박의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러한 단호박은 90년대 후반부터 국내에 재배가 급증하였고 β-카로틴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특히 비타민 A와 카로티노이드류, 다양한 비타민류, 칼슘, 나트륨, 인이 풍부한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구성 당류의 소화 흡수율도 높다.
또한, 단호박의 경우 호박에 비해 고형질 함량이 월등히 높고, 아르기닌, 티로신, 시스틴, 아스파르트산 등의 필수아미노산과 올레산, 리놀레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영양적·기능적인 식품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이러한 단호박은 맛과 영양이 뛰어난 고급 채소로서 탄수화물, 섬유소, 당분, 비타민 B1, B2, A, 및 비타민 C와 같은 각종 비타민이 있고, 베타카로틴, 카로티노이드, 아미노산, 펙틴 및 미네랄이 많이 들어 있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좋은 영양식이고 다이어트와 회복기의 환자들에게 좋은 채소이다.
특히, 단호박에는 카로티노이드가 특히 많이 들어 있어 흡연으로 인한 폐암 발생률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단호박에 들어 있는 섬유질과 칼륨은 고혈압과 당뇨에 효험이 있고, 비타민 A, B, 및 C는 중풍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단호박은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저장기간이 짧고 수확 후 특별한 저장공간이 없을 시 생물로 산지에서 바로 유통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어 폭 넓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단호박은 내부의 씨를 파내어 다른 식재료를 넣고 통째로 쪄서 먹거나, 죽으로 만들어 먹는 조리 방법이 대부분으로 조리 형태가 단순하고, 조리하기가 번거로우며, 조리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바쁜 현대인이 이와 같이 영양가 높은 단호박을 자주 섭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웰빙이라는 사회적 흐름 속에서 건강한 삶을 위하여 첨가물이 들어있지 않은 자연친화적인 식품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안심하고 편하게 먹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단호박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5-0013826호(2005년 02월 05일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0660776호(2006년 12월 18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275734호(2013년 06월 11일 등록)
본 발명은 단호박을 과도하게 탄화시키지 않고 단호박 내부까지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단호박을 간편하게 구워 소비자에게 신선한 단호박 구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미네랄, 비타민 등이 다량 함유된 단호박을 남녀노소 누구나 건강식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단호박을 폭넓게 이용할 수 있고 바쁜 현대인들에게 영양가 높은 단호박을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웰빙이라는 사회적 흐름 속에서 건강한 삶을 위하여 첨가물이 들어있지 않은 자연친화적인 식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기호도를 향상시킨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은 단호박을 채취하여 선별하는 단호박 선별 단계(S100); 상기 선별된 단호박을 자연 건조하여 숙성시키는 단호박 건조 및 숙성 단계(S200); 상기 숙성된 단호박의 상부에 위치하는 꼭지를 제거하는 단호박 꼭지 제거 단계(S300); 상기 꼭지가 제거된 단호박을 단호박 구이 장치(1)의 안치수단(2)에 상하로 구획되어 설치되어 있는 안치판(21) 상에 적재하는 단호박 안치 단계(S400); 상기 단호박들이 안치판(21) 상에 적재되어 있는 안치수단(2)을 가열수단(3)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단호박 슬라이딩 이동 단계(S500); 상기 단호박들이 적재된 안치수단(2)을 가열수단(3) 내부로 삽입한 후 개폐문(34)을 닫고, 가열수단(3) 내부를 가열하여 단호박을 굽는 단호박 가열 단계(S600); 상기 가열되어 균일하게 익혀진 단호박을 상기 안치수단(2)에서 꺼내어 냉각하는 단호박 냉각 단계(S700); 및 상기 냉각된 단호박을 규격에 맞게 재단하여 포장하는 포장 단계(S800)를 포함한다.
상기 단호박 건조 및 숙성 단계(S200)는 상기 선별된 단호박을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자연 건조하여 숙성시킬 수 있다.
상기 단호박 안치 단계(S400)에서 상기 단호박은 상기 안치수단(2)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다수개의 안치판(21) 상에 적재되되, 상기 안치수단(2)은 다수개의 안치판(21)이 상하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배열되도록 하는 입방체 형상의 고정프레임(22)이 구비되고, 상기 안치판(21)은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망 형상의 망체로 구성되고, 상기 안치수단(2)의 내부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안치판(21)과, 상기 최하단에 위치하는 안치판(21) 상부의 안치판(21)에는 다수개의 맥반석(23)이 구비되며, 상기 안치판(21)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2)은 상기 안치판(21)에 안치되는 단호박이 가열체(31)를 통해 발열되는 열과의 접촉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판(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호박 슬라이딩 이동 단계(S500)에서 안치수단(2)은 하부에 슬라이딩바퀴(25)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바퀴(25)는 가열수단(3) 내부까지 연장 형성된 안내레일(3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되, 가열수단(3)의 전면에 구비된 개폐문(34)을 개방한 후 상기 안치수단(2)을 가열수단(3)이 위치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안치수단(2)을 가열수단(3)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호박 가열 단계(S600)에서는 단호박들이 안치수단(2)에 안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치수단(2)을 가열수단(3)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안치수단(2)을 상기 몸체(32)의 가열공간에 수납한 후 상기 가열수단(3)의 전면에 구비된 개폐문(34)을 밀폐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3)을 작동하여 상기 가열체(31)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저항열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열수단(3) 내부의 가열공간에 수용되는 안치수단(2)의 하부와 양측부에서 열이 방출되도록 하되, 상기 가열수단(3) 내부의 가열공간의 바닥과 양측면에서 중앙측 방향으로 열이 공급되어 가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가열수단(3) 내부의 공간 전면적에 걸쳐 온도분포가 일정하도록 하며, 상기 안치수단(2)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안치판(21)과, 상기 안치판(21) 상부에 위치하는 안치판(21)에는 다수의 맥반석(23)이 구비되되, 상기 맥반석(23)은 상기 가열체(31)를 통해 가열공간으로 방출되는 전기저항열을 흡수하여 충열되고, 충열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3)은 내부의 가열공간 온도가 800 내지 1200℃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단호박 냉각 단계(S700)는 상기 안치수단(2)에서 단호박들을 꺼낸 후 10 내지 30℃의 온도까지 냉각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은 단호박을 과도하게 탄화시키지 않고 단호박 내부까지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단호박을 간편하게 구워 소비자에게 신선한 단호박 구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미네랄, 비타민 등이 다량 함유된 단호박을 남녀노소 누구나 건강식으로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은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단호박을 폭넓게 이용할 수 있고 바쁜 현대인들에게 영양가 높은 단호박을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은 웰빙이라는 사회적 흐름 속에서 건강한 삶을 위하여 첨가물이 들어있지 않은 자연친화적인 식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ㄷ다.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호박 구이에 사용되는 단호박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호박 구이에 사용되는 단호박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은 단호박 선별 단계(S100), 단호박 건조 및 숙성 단계(S200), 단호박 꼭지 제거 단계(S300), 단호박 안치 단계(S400), 단호박 슬라이딩 이동 단계(S500), 단호박 가열 단계(S600), 단호박 냉각 단계(S700) 및 포장 단계(S800)를 포함한다.
1. 단호박 선별 단계(S100)
상기 단호박 선별 단계(S100)는 잘 익은 단호박을 채취하여 선별하는 단계로, 본 발명에서 상기 단호박 선별 단계(S100)에서는 겉 표면이 진한 녹색을 나타내는 단호박을 선별할 수 있다.
2. 단호박 건조 및 숙성 단계(S200)
상기 단호박 건조 및 숙성 단계(S200)는 상기 선별된 단호박을 자연 건조하여 상기 단호박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일정량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건조에 의해 단호박의 조직이 단단하게 유지하며, 상기 단호박을 구웠을 경우 단호박의 조직이 물러지지 않고 상기 단호박 내부의 당도가 증가하도록 건조하여 숙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호박 건조 및 숙성 단계(S200)에서는 상기 선별된 단호박을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자연 건조하여 숙성시킬 수 있는데, 상기 단호박 건조 및 숙성 단계(S200)가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호박의 내부 수분이 충분히 감소하지 않아 조직이 물러질 수 있고 상기 단호박 내부의 당도가 충분히 향상되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단호박을 이용하여 구이 작업을 하는 경우 단호박들의 상호 충돌에 의해 상기 단호박 표면의 균열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 단호박 건조 및 숙성 단계(S300)가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호박 내부의 수분이 과도하게 감소되어 추후 공정에서 복사열에 의한 구이 작업이 어려울 수 있으며 단호박 건조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3. 단호박 꼭지 제거 단계(S300)
상기 단호박 꼭지 제거 단계(S300)는 상기 숙성된 단호박의 상부에 위치하는 꼭지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호박은 단호박 구이 장치(1)에 적재되어 구워질 수 있는데, 상기 단호박에 꼭지가 돌출되어 부착되어 있으면 작업성이 나빠질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단호박 구이의 작업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 단호박의 꼭지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호박 꼭지 제거 단계(S300)에서는 상기 단호박 꼭지가 부착되어 있는 부분을 기준으로 둥근 형태로 꼭지를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4. 단호박 안치 단계(S400)
상기 단호박 안치 단계(S400)는 상기 꼭지가 제거된 단호박을 단호박 구이 장치(1)의 안치수단(2)에 상하로 구획되어 설치되어 있는 안치판(21) 상에 적재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호박 안치 단계(S400)에서 상기 단호박은 상기 안치수단(2)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다수개의 안치판(21) 상에 적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안치수단(2)의 내부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안치판(21)과, 상기 최하단에 위치하는 안치판(21) 상부의 안치판(21)에는 다수개의 맥반석(23)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맥반석은 추후 공정에서 상기 안치수단(2) 내부의 가열공간으로 인가되는 열을 흡수하고, 상기 흡수된 열을 서서히 방열함으로써, 상기 안치수단(2) 내부의 가열공간을 일정한 온도로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안치판(21) 상에 위치하는 단호박이 서서히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최하단의 안치판(21) 및 상기 최하단의 안치판(21) 상부에 위치하는 안치판(21) 상에 맥반석(23)을 구비하고 상기 맥반석(23)이 흡수한 열이 서서히 발열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단호박을 구움으로써, 상기 단호박의 겉표면뿐만 아니라 내부까지도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가열되어 구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치판(21)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2)은 상기 안치판(21)에 안치되는 단호박이 가열체(31)를 통해 발열되는 열과의 접촉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판(24)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치수단(2)은 다수개의 안치판(21)이 상하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배열되도록 하는 입방체 형상의 고정프레임(22)이 구비되고, 상기 안치판(21)은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망 형상의 망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망체로 이루어진 상기 안치판(21)이 상기 고정프레임(22) 상에서 복층 구조를 가지면서 배치됨으로써 상기 안치판(21) 상에 적재된 다량의 단호박을 일시에 구울 수 있고, 이에 의해 단호박의 대량 가공(구이)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단호박을 가공(구이)하는 생산성이 증대되어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단판(24)들을 통해 가열체(31)에서 방출되는 열이 단호박으로 직접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간접적인 복사열이 단호박으로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치판(21) 상에 적재되어 있는 단호박이 과도하게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5. 단호박 슬라이딩 이동 단계(S500)
상기 단호박 슬라이딩 이동 단계(S500)는 상기 단호박들이 안치판(21) 상에 적재되어 있는 안치수단(2)을 가열수단(3)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치수단(2)은 하부에 슬라이딩바퀴(25)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바퀴(25)는 상기 가열수단(3) 내부까지 연장 형성된 안내레일(3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단호박 슬라이딩 이동 단계(S500)는 상기 가열수단(3)의 전면에 구비된 개폐문(34)을 개방한 후 상기 안치수단(2)을 가열수단(3)이 위치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안치수단(2)을 상기 가열수단(3)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6. 단호박 가열 단계(S600)
상기 단호박 가열 단계(S600)는 상기 단호박들이 적재된 안치수단(2)을 가열수단(3) 내부로 삽입한 후 상기 개폐문(34)을 닫고, 상기 가열수단(3) 내부를 가열하여 단호박을 굽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호박 가열 단계(S600)는 상기 안치수단(2)과 가열수단(3)의 내부공간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안치수단(2) 내부에 적재되어 있는 단호박이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열수단(3)은 상기 안치수단(2)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안치수단(2)에 구비된 슬라이딩바퀴(25)가 안내레일(35)을 따라 상기 가열수단(3)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가열수단(3)은 내부에 상기 안치수단(2)이 수납되는 공간(가열공간)을 가지며 상기 가열공간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가열체(31)가 배치되어 있는 몸체(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32)는 금속재질의 외피(321)와 상기 외피(321)의 내측에 도포되는 황토 등과 같은 단열재로 이루어진 내피(322)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몸체(32)는 화로 가마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가열체(31)에서 방출된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상기 가열공간의 온도를 고온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가열체(31)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3)에 의해 제어된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저항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발열봉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전기에 의해 제어되는 발열봉을 통해 원하는 가열 온도로의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체(31)는 가열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안치수단(2)의 하부와 양측부에서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 가열공간의 바닥과 양측면에서 중앙측 방향으로 열이 공급되어 가열공간을 가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가열공간의 전면적에 걸쳐 고른 온도분포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열수단(3) 내부에 구비되는 몸체(32)는 개폐문(34)이 구비되는데, 상기 개폐문(34)은 상기 몸체(32) 내부로 안치수단(2)이 출납 가능하도록 출입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출입구를 통해 단호박들이 안치된 안치수단(2)이 가열공간으로 투입 빛 배출될 수 있고, 상기 개폐문(34)에 의해 상기 가열공간이 외부에 대하여 밀폐됨으로써 가열공간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가열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문(34)은, 상기 몸체(32)에 힌지 결합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잠금장치(미도시)에 의해 잠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폐문(34)에서 가열공간과 접하는 면에는 열의 유출을 차단하고 단열기능을 수행하는 단열판(34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문(34)은 금속재질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외통(342)과 상기 외통(342)의 내측에 구비되는 단열판(34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32)의 내측 면에는 가열되는 단호박에서 방출되는 수분과 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현무암 재질로 형성된 판체의 단열층(323)이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단열층(323)은 현무암 재질로 형성된 판체 블럭이 다수 개가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열층(323)을 통해 상기 몸체(32)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구성함으로써, 단호박들이 구워지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고, 열손실을 차단하여 안정적으로 단호박을 구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몸체(32)는 상기 안치수단(2)을 상기 가열수단(3)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레일(35)이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상부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몸체(32)의 바닥에 배치되는 상기 가열체(31)는 상기 안내레일(35)과 상기 몸체(32)의 바닥면과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 안내레일(35)을 통해 상기 안치수단(2)이 상기 가열체(31)의 점유공간을 침해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열공간상으로 출납할 수 있다.
상기 안내레일(35)은 상기 바닥면에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지지블럭(351)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레일(35)의 상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안치수단(2)을 구성하는 상기 고정프레임(22)에는 상기 안내레일(35)의 돌출부상에서 주행하는 슬라이딩바퀴(25)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바퀴(25)가 상기 안내레일(35) 상에서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안내레일(35)은 상기 몸체(32)의 외부로 연장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연장형성된 안내레일(35)의 구성에 의해 상기 안치수단(2)이 상기 몸체(32)의 외부에서 내부로, 또는 내부에서 외부로 상기 안내레일(35)의 상부를 주행하면서 가열수단(3) 내부의 가열공간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호박 가열 단계(S600)에서는 먼저 대량의 단호박들이 안치수단(2)에 안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치수단(2)을 가열수단(3)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안치수단(2)을 상기 몸체(32)의 가열공간에 수납한 후 상기 가열수단(3)의 전면에 구비된 개폐문(34)을 밀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3)을 작동하여 상기 가열체(31)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저항열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열수단(3) 내부의 가열공간에 수용되는 안치수단(2)의 하부와 양측부에서 열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열수단(3) 내부의 가열공간의 바닥과 양측면에서 중앙측 방향으로 열이 공급되어 가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가열수단(3) 내부의 공간 전면적에 걸쳐 고른 온도분포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치수단(2)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안치판(21)과, 상기 안치판(21) 상부에 위치하는 안치판(21)에는 다수의 맥반석(23)이 구비되는데, 상기 맥반석(23)은 상기 가열체(31)를 통해 가열공간으로 방출되는 전기저항열을 흡수하여 충열되고, 충열된 열을 서서히 방출함으로써 상기 가열체(31)에 인가된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상기 가열공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치판(21)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2)에는 상기 안치판(21)에 안치되는 단호박들이 가열체(31)를 통해 발열되는 열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판(24)들이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차단판(24)들을 통해 가열체(31)에서 방출되는 열이 단호박들에 직접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간접적인 복사열이 단호박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단호박들이 과도하게 탄화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단호박들의 내부까지도 복사열이 흡수되어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열수단(3)은 내부의 가열공간 온도가 800 내지 1200℃로 유지될 수 있는데, 상기 단호박 가열 단계에서는 선별된 단호박의 크기나 형태, 질량 등에 따라 상기 단호박의 가열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단호박의 표면이 탄화되지 않고 단호박의 내부까지도 균일하게 구워진 단호박을 제조할 수 있다.
7. 단호박 냉각 단계(S700)
상기 단호박 냉각 단계(S700)는 상기 가열되어 균일하게 익혀진 단호박을 상기 안치수단(2)에서 꺼내어 냉각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호박 냉각 단계(S700)는 상기 안치수단(2)에서 단호박들을 꺼낸 후 10 내지 30℃의 온도까지 냉각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8. 포장 단계(S800)
상기 포장 단계(S800)는 상기 냉각된 단호박을 상품화하여 유통하기 위해 규격에 맞게 재단하여 포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포장 단계(S800)는 소비자가 요구하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크기, 질량 및 형상으로 절단하여 포장할 수 있고, 상기 유통 중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공포장이나 질소투입 후 고주파 포장 등의 공정을 거쳐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제품의 포장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먼저, 잘 익은 단호박을 선별하고, 25℃의 온도에서 15일 동안 자연 건조하여 숙성한 후, 상기 단호박의 꼭지를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꼭지가 제거된 단호박 10개를 안치수단(2)의 안치판(21)에 적재한 후 슬라이딩 하여 가열수단(3)의 내부로 이동시켰다.
그 다음으로, 가열수단(3)의 개폐문(34)을 잠근 후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3)을 작동하여 가열체(31)에 전원을 공급하였고, 상기 가열체(31)에 의해 열이 방출됨과 동시에 맥반석(23)에서도 흡수된 열이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열수단(3) 내부의 온도가 1000℃가 유지되도록 하였고, 상기한 온도에서 단호박을 30분 동안 가열하여 구웠다.
이어서, 상기 구워진 단호박을 안치판(21)에서 꺼낸 후 15℃의 온도로 냉각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호박 구이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단호박을 준비하여 단호박 구이를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1에서는 상기 준비된 단호박을 일정한 부피의 솥에 넣은 후 솥을 가열하여 단호박 구이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
단호박을 준비하여 단호박 구이를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2에서는 상기 준비된 단호박에 직접 불을 가하여 단호박 구이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
단호박을 준비하여 단호박 구이를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3에서는 시중에서 군고구마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고구마 구이 장치를 이용하여 단호박 구이를 제조하였다.
< 관능 평가 >
상기와 같이 실시예와 비교예 1, 2, 3을 통해 제조된 단호박 구이의 맛, 향, 외관 및 종합적 선호도 등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식품관련 전문가 및 일반 소비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균일하게 익은 정도 외관 종합적 선호도
실시예 8.6 8.5 8.7 8.6 8.6
비교예 1 5.1 5.0 4.6 4.8 4.9
비교예 2 4.5 4.6 4.2 4.4 4.4
비교예 3 5.2 5.3 5.0 5.2 5.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단호박 구이가 비교예 1, 2, 3에 따라 제조된 단호박 구이에 비해 맛, 향, 균일하게 익은 정도, 외관 및 종합적 선호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단호박 구이가 단호박 구이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표면이 탄화되지 않고 단호박의 내부까지도 고르게 익힘으로써, 단호박 구이의 풍미를 향상시켰으며, 이에 의해 소비자의 기호도를 배가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단호박 구이 장치 2; 안치수단
3; 가열수단 21; 안치판
22; 고정프레임 23; 맥반석
24; 차단판 25; 슬라이딩바퀴
31; 가열체 32; 몸체
321; 외피 322; 내피
323; 단열층 33; 제어수단
34; 개폐문 341; 단열판
342; 외통 35; 안내레일
351; 지지블럭

Claims (7)

  1. 단호박을 채취하여 선별하는 단호박 선별 단계(S100);
    상기 선별된 단호박을 자연 건조하여 숙성시키는 단호박 건조 및 숙성 단계(S200);
    상기 숙성된 단호박의 상부에 위치하는 꼭지를 제거하는 단호박 꼭지 제거 단계(S300);
    상기 꼭지가 제거된 단호박을 단호박 구이 장치(1)의 안치수단(2)에 상하로 구획되어 설치되어 있는 안치판(21) 상에 적재하는 단호박 안치 단계(S400);
    상기 단호박이 안치판(21) 상에 적재되어 있는 안치수단(2)을 가열수단(3)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단호박 슬라이딩 이동 단계(S500);
    상기 단호박이 적재된 안치수단(2)을 가열수단(3) 내부로 삽입한 후 개폐문(34)을 닫고, 가열수단(3) 내부를 가열하여 단호박을 굽는 단호박 가열 단계(S600);
    상기 가열되어 균일하게 익혀진 단호박을 상기 안치수단(2)에서 꺼내어 냉각하는 단호박 냉각 단계(S700); 및
    상기 냉각된 단호박을 상품화하여 유통하기 위해 규격에 맞게 재단하여 포장하는 포장 단계(S800)를 포함하되,
    상기 단호박 건조 및 숙성 단계(S200)는 상기 선별된 단호박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감소시키기 위해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자연 건조하여 숙성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단호박 안치 단계(S400)에서 상기 단호박은 상기 안치수단(2)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다수개의 안치판(21) 상에 적재되되,
    상기 안치수단(2)은 다수개의 안치판(21)이 상하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배열되도록 하는 입방체 형상의 고정프레임(22)이 구비되고, 상기 안치판(21)은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망 형상의 망체로 구성되고,
    상기 안치수단(2)의 내부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안치판(21)과, 상기 최하단에 위치하는 안치판(21) 상부의 안치판(21)에는 다수개의 맥반석(23)이 구비되며,
    상기 안치판(21)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2)은 상기 안치판(21)에 안치되는 단호박이 가열체(31)를 통해 발열되는 열과의 접촉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판(24)이 구비되고,
    상기 단호박 슬라이딩 이동 단계(S500)에서 안치수단(2)은 하부에 슬라이딩바퀴(25)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바퀴(25)는 가열수단(3) 내부까지 연장 형성된 안내레일(3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되, 가열수단(3)의 전면에 구비된 개폐문(34)을 개방한 후 상기 안치수단(2)을 가열수단(3)이 위치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안치수단(2)을 가열수단(3)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단호박 가열 단계(S600)에서는 단호박이 안치수단(2)에 안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치수단(2)을 가열수단(3)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안치수단(2)을 몸체(32)의 가열공간에 수납한 후 상기 가열수단(3)의 전면에 구비된 개폐문(34)을 밀폐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3)을 작동하여 상기 가열체(31)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저항열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열수단(3) 내부의 가열공간에 수용되는 안치수단(2)의 하부와 양측부에서 열이 방출되도록 하되, 상기 가열수단(3) 내부의 가열공간의 바닥과 양측면에서 중앙측 방향으로 열이 공급되어 가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가열수단(3) 내부의 공간 전면적에 걸쳐 온도분포가 일정하도록 하며,
    상기 안치수단(2)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안치판(21)과, 상기 안치판(21) 상부에 위치하는 안치판(21)에는 다수의 맥반석(23)이 구비되되, 상기 맥반석(23)은 상기 가열체(31)를 통해 가열공간으로 방출되는 전기저항열을 흡수하여 충열되고, 충열된 열을 방출하고,
    상기 가열수단(3)은 내부의 가열공간 온도가 800 내지 1200℃로 유지되며,
    상기 단호박 냉각 단계(S700)는 상기 안치수단(2)에서 단호박을 꺼낸 후 10 내지 30℃의 온도까지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02354A 2016-01-08 2016-01-08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 KR101690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354A KR101690904B1 (ko) 2016-01-08 2016-01-08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354A KR101690904B1 (ko) 2016-01-08 2016-01-08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904B1 true KR101690904B1 (ko) 2017-01-09

Family

ID=5781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354A KR101690904B1 (ko) 2016-01-08 2016-01-08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9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531A (ko) * 1999-04-02 1999-08-05 배재현 단호박 분말 및 퓨레의 제조방법
KR20050013826A (ko) 2003-07-29 2005-02-05 장윤종 단호박을 이용한 찐빵의 제조방법
KR100660776B1 (ko) 2005-09-14 2006-12-28 김영일 단호박 과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275734B1 (ko) 2011-12-29 2013-06-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단호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저지방 계육 소시지의 제조방법
KR101561467B1 (ko) * 2015-06-05 2015-10-20 농업회사법인 미들채 유한회사 고구마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531A (ko) * 1999-04-02 1999-08-05 배재현 단호박 분말 및 퓨레의 제조방법
KR20050013826A (ko) 2003-07-29 2005-02-05 장윤종 단호박을 이용한 찐빵의 제조방법
KR100660776B1 (ko) 2005-09-14 2006-12-28 김영일 단호박 과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275734B1 (ko) 2011-12-29 2013-06-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단호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저지방 계육 소시지의 제조방법
KR101561467B1 (ko) * 2015-06-05 2015-10-20 농업회사법인 미들채 유한회사 고구마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800040A (en) Process for neutralizing enzymes in corn
CN105077078A (zh) 一种烤红薯的加工方法
CN104026518A (zh) 一种低温烘焙的山药薯片
CN104222211A (zh) 一种速冻米比萨制品及其生产方法
KR101401116B1 (ko) 육질이 부드러운 등갈비 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등갈비 조림
CN107797538A (zh) 一种多味鲜玉米单传动式蒸烤装置
CN108566996A (zh) 一种黄茶扁茶加工工艺及其具体实现方法
KR101690904B1 (ko) 단호박 구이의 제조방법
CN109601922B (zh) 一种采用冻结与间隙式湿热处理生产咖啡色营养枣的方法
KR101561467B1 (ko) 고구마 가공장치
CN106690130A (zh) 纸包鱼食品及其制备方法
CN105433310A (zh) 一种速冻红薯条及其制作方法
IT201900012522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un prodotto alimentare a forma di nido comprendente strisce di un vegetale essiccato e relativo prodotto
CN107149652B (zh) 一种金黄色石斛的制备方法
KR101191505B1 (ko) 찐 감자 쌀 옹심이 꼬치의 제조방법
KR102352827B1 (ko) 오징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징어
KR20160011545A (ko) 껍질이 제거된 군고구마와 이의 제조방법
CN108477483A (zh) 一种多味鲜玉米双传动式蒸烤装置
KR20110025305A (ko) 황토 군고구마 지장수 코팅방법
CN108157930A (zh) 一种辣椒酱及其制备方法
CN108669464A (zh) 一种五香牛肉干及其制备方法
KR101392187B1 (ko) 아이스 호두 및 그 제조방법
KR101240067B1 (ko) 무지방 감자 슬라이스 스낵 제조방법
KR101469174B1 (ko) 군고구마 파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273600A (zh) 一种土豆派及其制作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