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778A - 피성형물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성형물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778A
KR20080004778A KR1020060063510A KR20060063510A KR20080004778A KR 20080004778 A KR20080004778 A KR 20080004778A KR 1020060063510 A KR1020060063510 A KR 1020060063510A KR 20060063510 A KR20060063510 A KR 20060063510A KR 20080004778 A KR20080004778 A KR 20080004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film
sheet
manufacturing
form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천
박종영
강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성테크
Priority to KR1020060063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778A/ko
Publication of KR20080004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3/00Use of polymers hav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L시트, PET, PU 등과 같은 피성형물의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스크린인쇄방식으로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 사용되는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시트형상인 피성형물 표면에 대해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성형물 표면에 일회 내지 수회에 걸친 스크린인쇄방식으로 실리콘막이 성형되도록 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성형물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속한 실리콘막의 형성이 가능하고 제품 불량율을 줄이며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기술이다.
EL, 키패드, 단말기, 휴대폰, 스크린인쇄, 실리콘성형

Description

피성형물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 silicon membrane onto the surface of subject}
도1 - 제1실시예에 의해 만들어진 키패드 러버의 평면도.
도2 - 단면구조도.
도3 - 제1실시예에 대한 전체적인 작업공정도.
도4 - 제2실시예에 대한 전체적인 작업공정도.
도5 - 제2실시예에 의해 제조되는 키패드 러브의 개략적인 단면구조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EL시트
200: 실리콘막
300: 접점돌기
본 발명은 EL시트, PET, PU 등과 같은 피성형물의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스크린인쇄방식으로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 사용되는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에 관련되는 기술이다.
휴대폰과 같은 개인용 휴대단말기의 급속한 보급과 함께 보다 편리하고 작동성 등이 좋은 제품을 선호하는 고객의 기호에 따라 많은 새로운 기술들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숫자나 기호를 누르게 되는 키패드 러버와 관련되는데, 이하 관련 종래기술들을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기술들을 파악함으로써 본 발명의 특징이 부각될 것이고 그 기술적 가치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먼저 백라이트로 LED를 이용한 키패드가 있었는데 이것은 점발광특성을 가지는 한계로 LED에 근접한 부분은 밝게 보이나 먼곳은 어둡게 보여 시인성이 그다지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시키고자 EL패드를 이용한 키패드가 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키패드는 그 제조과정상 특성으로 불량율이 높아지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하 종래방법에 의한 EL패드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과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502198호에 비교적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즉, 백라이트용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공정(1), 상기 발광소자의 전면과 배면에 접착제를 인쇄하는 공정(2), 사출공정으로 발광소자와 실리콘층을 일체화시키는 공정(3) 등을 포함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특히 발광소자(EL패드)의 전면과 배면 모 두에 사출방법으로 실리콘층을 형성시키게 된다. EL패드의 전면과 배면 모두에 대해 동시에 사출공정으로 실리콘층을 형성시키게 되면 사출에서 요구되는 상당히 높은 압력과 온도로 인해 EL이 파괴될 수 있어 불량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성형방법으로는 열압착 방식에 의한 실리콘 성형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언급한 사출방법과 유사한데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이 방법은 EL시트를 준비하고 그 표면에 대해 프라이머 처리를 한다. 프라이머 처리는 실리콘막이 견고히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프라이머 처리가 이루어진 후에 높은 열과 압력을 가해 실리콘막을 형성시킨다. 그 과정을 보면 먼저, 성형될 제품의 모양에 맞게 금형을 제작하며 열압착기에 상기 금형을 셋팅하고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EL시트를 금형에 위치시키고 상기 EL시트에 일정량의 실리콘을 부여한다. 이후 열압착기를 동작시켜 소정의 열과 압력으로 EL시트에 편평하고 얇은 실리콘막을 도포시키고 경화되도록 한다. 실리콘막을 형성시킨 후에는 타발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며 최종 검사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열압착 방식에 의한 실리콘막의 형성법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데, 첫번째로 금형이 필요하므로 초기 금형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두번째로는 금형을 셋팅하고 예열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을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세번째로는 실리콘을 투입하는 위치에 따라 제품내 두께 편차가 발생되어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도 가진다. 네번째로는 실리콘을 경화시키는데 대략 3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 또한 생 산성을 떨어뜨린다. 이 외에도 성형된 제품 가장자리 부위의 가이드핀 부분에 바리가 형성되므로 완전한 제품이 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후가공이 요구되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열압착 방식 역시 열과 압력에 의한 EL 특성을 손상시킬 수 있어 이로 인해 야기되는 제품불량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EL의 특성이 손상되지 않토록 하면서 EL시트와 같은 피성형물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업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여 생산능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피성형물에 형성되는 실리콘막의 두께 편차를 최소화하여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시트형상인 피성형물 표면에 대해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성형물 표면에 일회 내지 수회에 걸친 스크린인쇄방식으로 실리콘막이 성형되도록 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성형물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피성형물에 대한 실리콘막을 스크린인쇄하기 전 공정으로 피성형 물의 표면에 프라이머처리를 실시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성형물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피성형물은 EL시트, 증착원단, SUS, PET, PU, PC와 같은 것 중의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성형물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백라이트용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EL시트의 표면에 프라이머 처리를 하는 제1공정과; 프라이머처리면 위에 스크린인쇄방식으로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2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은 실리콘막을 형성시킨 후 건조기의 열로써 상기 실리콘막을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2공정은 실리콘막이 형성될 부분에 대한 제판화 과정과; 실리콘에 오일을 첨가하여 액상화시키는 액화과정과; 준비된 제판에 액화된 실리콘을 투입하여 인쇄하는 인쇄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2공정으로 EL시트 표면에 대해 실리콘막을 형성시킨 후 상기 EL시트의 배면 특정부위에 돌출될 접점돌기를 형성시키기 위한 재인쇄공정으로 제3공정을 더 포함하여 이 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 제3공정은 상기 접점돌기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서 1회 내지 수회에 걸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리콘막은 두께 편차가 0.01mm 이하를 유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EL시트는 여러개의 키패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져 있어 해당 키패드 영역에 대해서만 스크린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불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실리콘막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에 관련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일반적인 기술수단에 대해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각종의 피성형물에 실리콘막을 형성함에 있어 피성형물의 특성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신속한 성형이 가능한 스크린인쇄방식을 이용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피성형물은 시트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피성형물의 표면(전면 또는 배면 혹은 양면 모두)에 일회 내지 수회에 걸친 스크린인쇄방식으로 얇은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게 된다. 피성형물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실리콘막의 형성 전 과정이나 후 과정에서 추가적인 성형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피성형물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하기 전 과정으로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피성형물 표면에 접착제 역할을 하는 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거치도록 한다. 피성형물 표면에 대한 프라이머 처리를 행하게 되면 실리콘막을 형성시킬 시에 보다 견고하게 상기 실리콘막이 형성될 수 있도록 도와 줄수가 있는 특성이 있게 된다.
한편, 실리콘막을 형성시킨 후에는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타발공정을 거칠 수 있고 이후 최종적인 검사를 실시함이 적합하다.
본 발명이 적용될 피성형물로는 다양한 것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EL시트, 증착원단, SUS, PET, PU, PC 등과 같은 필름형태의 것들이 해당된다. 물론 지시한 것들과 같은 재질의 피성형물 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필름형태의 것들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막의 형성방법은 재질 특성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 사용되는 키패드 러브의 제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EL시트를 이용한 키패드 러브의 제조방법에 적용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존의 방법에 따른 EL시트를 이용한 키패드 러브의 제조법은 많은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의 적용으로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는 기술적 가치를 가지게 된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개략적으로 EL시트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EL시트는 널리 알려진 것이며, 그 제조과정을 보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같은 절연기판상에 ITO로 된 투명전극층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전극층상에 형광층인 발광층을 형성한다. 상기 발광층상에 유전층인 절연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배면전극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발광층, 절연층 및 배면전극층을 감싸도록 보호층을 형성하여 EL시트를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EL시트는 투명전극층과 배면전측층이 2개의 전극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들 전극에 전원이 인가되면 발광층으로부터 빛이 발생하게 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러버의 제조법>
첨부되는 도1은 제1실시예에 의해 만들어진 키패드 러버의 평면도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2는 단면구조도에 해당된다. 그리고 도3은 전체적인 작업공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은 크게 두개의 공정으로 구성된다. 백라이트용 EL시트(100)를 준비하며 상기 EL시트 표면에 제1공정으로 프라이머 처리를 하게 된다. EL시트 표면에 미리 프라이머 처리를 하는 것은 이후 공정에서 실리콘막(200)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공정으로 상기 EL시트 표면에 프라이머처리면을 형성시킨 후 제2공정으로 실리콘막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실리콘막의 형성은 스크린인쇄방식으로 프라이머 처리된 면 위에 얇게 실리콘을 인쇄하는 것이다.
스크린인쇄방식 자체는 널리 공지된 기술이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2공정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과정을 통하여 실리콘막을 인쇄하도록 한다.
상기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2공정을 세분화하면 제판화 과정, 액화과정, 인쇄과정으로 대별된다. 상기 제판화 과정은 EL시트에 실리콘막이 형성되는 부분에 맞게 기본적인 틀을 만드는 것이며, 이것은 일반적인 스크린인쇄에서도 필요한 것이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다음으로는 스크린 인쇄에 적당한 점도를 유지하도록 실리콘에 적당한 오일을 첨가하여 액상화시키는 액화과정이 수행된다. 실리콘에 오일을 첨가하므로써 스크린인쇄에 적합한 액상의 실리콘이 준비된다.
이어서는 준비된 제판에 액화된 실리콘을 투입하며 통상의 스크린 인쇄와 같이 EL시트 표면에 인쇄를 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예에서는 실크스크린인쇄방식에 의해서 실리콘을 인쇄하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프라이머 처리된 EL시트의 표면에 실리콘막을 인쇄한 후에는 실리콘막이 경화될 수 있도록 건조시켜야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로는 작업 사이클타임을 줄이기 위해 별도의 건조기를 설치하여 적당한 열로써 실리 콘막을 경화시키도록 함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브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프라이머 처리된 EL시트의 전면에만 스크린인쇄방식으로 실리콘막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는 EL시트의 전면과 배면 양면 모두에 대해 스크린인쇄방식으로 실리콘막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스크린인쇄방식으로 실리콘막을 형성시킨 후에는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타발공정을 거치며 최종적인 검사를 통해 키패드 러브가 완성될 수 있다. 타발공정은 EL시트로부터 키패드 형상으로 컷팅해내고 동시에 불필요한 부위를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2실시예에 의한 키패드 러브의 제조법>
다음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러브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제2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러브 제조방법의 공정도를 보여준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기본 공정에 추가로 제3공정이 더 포함되어진 것이다. 즉, EL시트(100) 표면에 제1공정으로 프라이머 처리를 실시한 후 제2공정으로 스크린인쇄방식으로 실리콘막(200)을 형성시키게 된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EL시트의 전면과 배면 양면 모두에 제2공정으로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도록 하였다.
제2공정을 통해 1차적인 실리콘막(200)을 성형시킨 후에는 상기 EL시트의 배면 특정부위에 대해서만 재차 스크린인쇄를 행하는 제3공정이 실시된다. 첨부되는 도5는 제2실시예에 의해 제조되는 키패드 러브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EL시트(100)의 전면과 배면에는 제2공정에 의한 1차 실리콘막(200)이 각각 형성된다. 특히 여기에서는 EL시트(100)의 배면 특정부위에만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접점돌기(300)를 형성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동일한 실크스크린인쇄방식으로 EL시트 배면에 대해서만 재인쇄공정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점돌기는 키패드 러버의 각 버튼부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휴대폰에 설치된 후에 사용자가 해당버튼을 누르면 상기 접점돌기가 회로기판에 구비되는 입력접점을 가압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3공정인 재인쇄공정은 규정된 특정부위에 대해서만 스크린인쇄를 실시하는 것이므로 기본적으로는 제2공정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제3공정으로 접점돌기를 형성시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접점돌기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동일부위에 대해 수회에 걸쳐 스크린인쇄를 실시하도록 한다. 즉, 접점돌기는 제2공정으로 형성되는 1차적인 실리콘막보다 그 두께가 상당히 두꺼워야 하므로 여러번에 걸친 스크린인쇄를 실시하는 것이다. 상기 도5에 보이는 것은 2회의 스크린인쇄를 통해 접점돌기를 형성시킨 경우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스크린인쇄를 통해 실리콘막을 형성시키게 되면 동일 제품내에서 상기 실리콘막의 두께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데 본 출원인의 시험에 의하면 실리콘막의 두께 편차는 0.01mm 이하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리콘막의 두께 편차를 0.01mm 이하로 하는 것은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획기적으로 진보된 것으로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가치있는 기술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의한 키패드 러브의 제조법에 있어서, 제2공정이나 제3공정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하나의 EL시트에 다수개의 키패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져 있는 것으로 하며 해당 키패드 영역에 대해서만 스크린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적합하다. 즉, EL시트 중 스크랩이 되는 불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인쇄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스크린인쇄를 통해 실리콘막을 형성시키기 때문이며, 이점 또한 종래의 사출방법이나 열압착방식으로는 달성할 수 없었던 부분이다. 불필요한 영역에 대해서는 인쇄가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특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단말기용 키패드 러브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키패드 러브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L시트를 중심으로 그 전면과 배면 모두에 스크린인쇄에 의한 실리콘막이 결합된다. 실리콘막의 부착성을 좋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EL시트에는 미리 프라이머 처리를 실시함이 적합하다.
EL시트의 배면에는 1차적인 실리콘막 위에 다수의 접점돌기가 갖추어진다. 상기 접점돌기 역시 스크린인쇄를 통해 성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지는 키패드 러브는 실리콘막의 두께 편차가 적고 최대한 얇게 형성시킬 수 있어 작동성이 좋은 특성과 작동 노이즈가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스크린인쇄를 통해 신속하게 실리콘막을 EL시트와 같은 피성형물의 전면이나 배면 혹은 양면에 형성시킬 수 있음으로 종래기술에 비해 신속한 성형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린인쇄의 경우 높은 압력과 열이 필요치 않음으로 피성형물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게 되고 따라서 불량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실리콘막의 두께 편차를 0.01mm 이하로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작동성이 우수하고 노이즈 발생도 감소되는 키패드 러브를 제공하여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Claims (11)

  1. 시트형상인 피성형물 표면에 대해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성형물 표면에 일회 내지 수회에 걸친 스크린인쇄방식으로 실리콘막이 성형되도록 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성형물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성형물에 대한 실리콘막을 스크린인쇄하기 전 공정으로 피성형물의 표면에 프라이머처리를 실시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성형물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성형물은,
    EL시트, 증착원단, SUS, PET, PU, PC와 같은 것 중의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성형물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
  4. 백라이트용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EL시트의 표면에 프라이머 처리를 하는 제1공정과;
    프라이머처리면 위에 스크린인쇄방식으로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2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은,
    실리콘막을 형성시킨 후 건조기의 열로써 상기 실리콘막을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2공정은,
    실리콘막이 형성될 부분에 대한 제판화 과정과;
    실리콘에 오일을 첨가하여 액상화시키는 액화과정과;
    준비된 제판에 액화된 실리콘을 투입하여 인쇄하는 인쇄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2공정으로 EL시트 표면에 대해 실리콘막을 형성시킨 후 상기 EL시트의 배면 특정부위에 돌출될 접점돌기를 형성시키기 위한 재인쇄공정으로 제3공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은,
    상기 접점돌기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서 1회 내지 수회에 걸쳐 실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막은,
    두께 편차가 0.01mm 이하를 유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
  10.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L시트는,
    여러개의 키패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져 있어 해당 키패드 영역에 대해서만 스크린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불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실리콘막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EL시트를 이용한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의 제조방법.
  11. 제4항 또는 제5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말기용 키패드 러버.
KR1020060063510A 2006-07-06 2006-07-06 피성형물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 KR20080004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510A KR20080004778A (ko) 2006-07-06 2006-07-06 피성형물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510A KR20080004778A (ko) 2006-07-06 2006-07-06 피성형물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778A true KR20080004778A (ko) 2008-01-10

Family

ID=3921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510A KR20080004778A (ko) 2006-07-06 2006-07-06 피성형물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7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913B1 (ko) * 2010-04-27 2011-01-13 주식회사 우전앤한단 액상실리콘고무를 이용한 미세 실리콘돌기 성형방법
CN102376484A (zh) * 2011-07-18 2012-03-14 健雄职业技术学院 一种膜基点电极及其制备方法
KR20190030900A (ko) * 2017-09-15 2019-03-25 김기범 실리콘부착을 위한 접착제용 잉크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잉크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913B1 (ko) * 2010-04-27 2011-01-13 주식회사 우전앤한단 액상실리콘고무를 이용한 미세 실리콘돌기 성형방법
CN102376484A (zh) * 2011-07-18 2012-03-14 健雄职业技术学院 一种膜基点电极及其制备方法
KR20190030900A (ko) * 2017-09-15 2019-03-25 김기범 실리콘부착을 위한 접착제용 잉크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잉크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59004B (zh) 电子装置的按键面板结构及制造该按键面板结构的方法
KR20080094027A (ko) 키 베이스, 키 시트 및 키 베이스 형성 방법
KR20080004778A (ko) 피성형물 표면에 실리콘막을 형성시키는 제조방법
KR20030033933A (ko) 이엘 인서트 성형품
KR100632182B1 (ko) 이엘램프가 내장된 메탈 일체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750294B1 (ko) 케이스 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US20080170182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CDs
US20110284356A1 (en) Keypad plunge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388966Y1 (ko)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KR102063339B1 (ko)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및 네일 스티커
KR100417258B1 (ko) 휴대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161734B1 (ko) 키패드 제조방법
KR100673043B1 (ko) 키패드 제조 방법
KR20080101436A (ko) 몰딩 키 패드 조립체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키 패드조립체
KR100772763B1 (ko) 키패드 표면무늬 성형가공 방법
KR100917559B1 (ko) 자외선 몰딩 키 패드 조립체 제조방법
KR101415605B1 (ko) 패널 보호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작방법
KR20060058377A (ko) 메탈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587708B1 (ko) 휴대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855375B1 (ko) 휴대폰 키패드 제조방법
KR20060115253A (ko) 박판의 스테인레스 패널을 이용한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814484B1 (ko) 입체형 금속서스 키패드의 제조방법
KR100854446B1 (ko) 키패드 제조방법
KR200394140Y1 (ko) 메탈 키패드
KR100805281B1 (ko) 키패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