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696A - 화상 출력 장치, 화상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문서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 출력 장치, 화상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문서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696A
KR20080002696A KR1020070065881A KR20070065881A KR20080002696A KR 20080002696 A KR20080002696 A KR 20080002696A KR 1020070065881 A KR1020070065881 A KR 1020070065881A KR 20070065881 A KR20070065881 A KR 20070065881A KR 20080002696 A KR20080002696 A KR 20080002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image data
log
imag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0144B1 (ko
Inventor
다까유끼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2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04N1/3212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in a separate device, e.g. in a memory or on a display separate from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66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mass storage, e.g. in document filing systems
    • H04N1/2179Interfaces allowing access to a plurality of users, e.g. connection to electronic image libr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39Connection via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communication or activity log or re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8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문서 관리 서버는 입력 잡(job)의 로그 화상 데이터와 출력 잡의 로그 정보의 잡 문서 ID 사이의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화상 출력 장치는, 상기 잡에 기초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등록하도록 구성된 등록 수단과, 등록된 상기 화상 데이터와 입력 로그 정보를 잡 로그 관리 서버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수단과, 출력 로그 정보를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제2 송신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제3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문서 관리 서버, 입력 잡, 출력 잡, 로그 정보, 로그 화상 데이터

Description

화상 출력 장치, 화상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문서 관리 시스템{IMAGE OUTPUT APPARATUS, IMAGE OUTPUT APPARATUS CONTROL METHOD,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명세서에 통합되어 그의 일부를 구성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문서 관리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문서 관리 시스템의 문서 관리 클라이언트와 문서 관리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속성 기억부(114)의 테이블 정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볼륨 기억부(117)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문서 관리 시스템의 디지털 복합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6은 디지털 복합기의 조작부(134)의 외관도이다.
도 7은 각종 제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는 디지털 복합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디지컬 복합기에 의해 생성된 잡(job) 로그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디지털 복합기에 의해 생성된 로그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디지털 복합기가 문서 관리 서버에 잡 로그 데이터를 송신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문서 관리 서버가 디지털 복합기로부터 잡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디지털 복합기가 입력 잡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그룹을 삭제하는 경우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잡 로그 데이터의 삭제의 상세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네트워크 문서 관리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종례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설명>
100 : 문서 관리 클라이언트
101 : UI부
102 : 클라이언트 처리부
103 : 네트워크 I/F
110 : 문서 관리 서버
111 : 네트워크 I/F
113 : 속성 관리 서버 처리부
114 : 속성 기억부
112 : 속성 관리 서버부
115 : 볼륨 서버부
116 : 볼륨 서버 처리부
117 : 볼륨 기억부
118 : 서비스 서버부
130 : 디지털 복합기
131 : 스캐너 유닛
132 : 프린터 유닛
133 : 컨트롤러 유닛
134 : 조작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4-118243호
본 발명은 화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특히,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잡(job)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보 누설(information leakage)의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네트워크 문서 관리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예를 들면 디지털 복합기(digital multi-function peripheral)에 의해 실행된 카피(copy), 프린트, 스캔, 또는 FAX 등의 잡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및 로그 정보를 문서 관리 서버(document management server)에 보존(save)한다. 문서 관리 서버는 문서 관리 클라이언트에 의해 검색 및 열람(browse)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서 관리 클라이언트(1400), 문서 관리 서버(1401), 및 디지털 복합기(1406)는 네트워크(1407)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문서 관리 클라이언트(1400)는 네트워크 문서 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이며, 문서 관리 서버(1401)에 의해 관리되는 문서를 검색 및 열람한다.
문서 관리 서버(1401)는 속성 관리 서버부(1402), 속성 데이터베이스 파일(1403), 볼륨 서버부(1404), 및 볼륨 파일(1405)을 포함한다. 속성 관리 서버부(1402)는 (후술될) 볼륨 파일(1405) 내에 기억되어 각 잡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관리한다. 속성 관리 서버부(1402)는,폴더, 문서, 및 페이지의 포함 관계와 이들의 속성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 RDBMS)을 이용해서 관리한다. 예를 들면, 속성 관리 서버부(1402)는 폴더 속성, 문서 속성, 페이지 속성, 잡의 로그 정보(log information) 등을 속성 데이터베이스 파일(1403) 내에 기억한다. 볼륨 서버부(1404)는, 속성 관리 서버부(1402)에 의해 각 페이지에 대응하도록 이뤄진 실제 화상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이다. 볼륨 서버부(1404)는 화상 데이터를 볼륨 파일(1405) 내에 기억한다.
디지털 복합기(1406)는 카피, 스캔, 프린트, 및 FAX 등의 복수의 기능을 가지는 화상 출력 장치이다. 화상을 입력하는 잡(예를 들어, 카피, 프린트, 또는 스 캔; 이하 입력 잡이라 함)을 실행하는 경우, 디지털 복합기(1406)는 잡의 로그 정보와 함께 로그 화상 데이터(log image data)를 생성하고, 문서 관리 서버(1401)에 이를 전송한다. 입력 잡에 의해 생성된 화상을 출력하는 잡(예를 들어, 스캔 문서의 인쇄 또는 FAX 송신; 이후, 출력 잡이라 함)을 실행한 경우, 디지털 복합기(1406)는 잡의 로그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디지털 복합기(1406)는 대응하는 입력 잡의 로그 화상 데이터의 잡 문서 ID(job document ID)를 포함하는 로그 정보를 생성하고, 문서 관리 서버에 이를 전송한다. 이것은, 볼륨 파일(1405)의 보존 영역의 용량을 감소시키고 네트워크(1407)의 데이터 전송의 부하를 삭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잡의 로그 정보는 다음의 정보로 구성된다.
디바이스 정보 : 디바이스 명, 시리얼 번호 등.
유저 정보 : 유저 명, 부문 ID 등
잡 정보 : 잡 문서 ID, 로그 화상 플래그, 잡 명, 개시/종료일시,페이지수, 카피 부수, 잡의 결과 등
잡 문서 ID는 입력 잡의 로그 화상 데이터에 할당된 고유값이다. 로그 화상 플래그는 로그 화상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잡의 로그 화상 데이터는 입력 잡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일 수 있거나, 소정의 해상도로 변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4-118243호에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된 인쇄 데이터 및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트 서버에 의해 인쇄의 로그를 작 성하고, 관리자로부터의 검색, 열람, 및 재인쇄 지시에 이용하기 위한 열람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클라이언트는, 프린터 서버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함과 동시에, 관리자가 다음의 검색 및 열람할 때에 유저를 고유하게 지정할 수 있는 키(key) 정보를 송신한다.
그러나, 전술한 관리 기술은 다음의 문제점이 있다. 즉, 문서 관리 서버의 1개의 데이터 소스(data source)에 보존될 수 있는 문서의 최대 수가 한정되어서, 문서 관리 서버의 데이터 소스는 정기적으로 백업되고 이들을 절환(switching)하면서 이용되어야 한다. 그러나,이 관리 기술에 따르면,입력 잡에 대해서는 로그 정보와 로그 화상 데이터가 관리 서버에 등록되지만, 출력 잡에 대해서는 로그 화상 데이터가 등록되지 않는다. 문서 관리 서버의 데이터 소스를 절환한 후에 출력 잡의 로그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로그 정보의 잡 문서 ID에 대응하는 로그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입력 잡의 로그 화상 데이터와, 출력 잡의 로그 정보의 잡 문서 ID 사이에서 정합성(consistency)이 유지될 수 없다.
보유 기간(retention period)이 경과한 데이터 소스를 삭제하는 경우에, 또 다른 데이터 소스에 보존되어 있는 출력 잡의 로그 정보의 잡 문서 ID로 표시되는 로그 화상 데이터도 또한 삭제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 소스에 로그 정보 및 로그 화상 파일을 보존할 경우에, 정보 누설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면, 모든 데이터 소스가 검색될 필요가 있어 조작이 복잡해진다.
본 발명은 종래의 단점을 극복하도록 마련되었으며, 로그 정보 및 로그 화상 데이터의 보존 영역의 용량을 감소시키고 데이터 전송의 부하를 삭감하면서, 전술한 문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화상을 입력하는 잡(job)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는, 신규 잡이 수신될 경우, 상기 잡에 기초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 수단(storage unit)에 등록하는 등록 수단과, 등록된 상기 화상 데이터와, 등록된 상기 화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기술하고 잡이 입력됨을 나타내는 입력 로그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잡 로그 관리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송신하는 제1 송신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등록된 상기 화상 데이터의 출력 요구를 입력함으로써 출력 처리를 행할 경우, 출력 화상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기술하는 출력 로그 정보를,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송신하는 제2 송신 수단과, 상기 제2 송신 수단에 의한 송신 결과로서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화상 데이터의 요구가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억 수단 내의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서 송신하는 제3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화상을 입력하는 잡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신규 잡이 수신될 경우, 상기 잡에 기초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등록하는 등록 단계와, 등록된 상기 화상 데이터와, 등록된 상기 화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기술하고 잡이 입력됨을 나타내는 입력 로그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잡 로 그 관리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송신하는 제1 송신 단계와, 상기 기억 수단에 등록된 상기 화상 데이터의 출력 요구를 입력함으로써 출력 처리를 행할 경우, 출력 화상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기술하는 출력 로그 정보를,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송신하는 제2 송신 단계와, 상기 제2 송신 단계에 의한 송신 결과로서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화상 데이터의 요구가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억 수단 내의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서 송신하는 제3 송신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상을 입력하는 잡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 및 상기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해 처리된 잡의 로그를 관리하는 잡 로그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화상 출력 장치는, 신규 잡이 수신될 경우, 상기 잡에 기초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등록하는 등록 수단과, 등록된 상기 화상 데이터와, 등록된 상기 화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기술하고 잡이 입력됨을 나타내는 입력 로그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잡 로그 관리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송신하는 제1 송신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등록된 상기 화상 데이터의 출력 요구를 입력함으로써 출력 처리를 행할 경우, 출력 화상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기술하는 출력 로그 정보를,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송신하는 제2 송신 수단과, 상기 제2 송신 수단에 의한 송신 결과로서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화상 데이터의 요구가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억 수단 내의 상기 식별 정 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서 송신하는 제3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로그 정보 및 로그 화상 데이터의 보존 영역의 용량을 감소시키고 데이터 전송 부하를 삭감하면서 전술한 문제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이상의 특징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대표적인 실시예들의 다음의 상세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요소는 단지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들에만 한정하도록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제1 실시예)
<개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출력 장치의 제1 실시예로서, 화상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문서 관리 시스템이 예시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의 디지털 복합기는 화상 출력 장치에 대응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로그 정보 및 로그 화상 데이터의 보존 영역의 용량을 감소시키고 데이터 전송 부하를 삭감하면서, 문서 관리 서버에서의 로그 정보 및 로그 화상 데이터 사이의 정합성을 유지하는 기술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스템 전체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문서 관리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문서 관리 시스템은, 문서 관리 클라이언트(100), 문서 관리 서버(110), 및 디지털 복합기(130)를 포함하며, 이들은 네트워크(140)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문서 관리 클라이언트(100), 문서 관리 서버(110) 및 디지털 복합기(130)는 TCP/IP을 이용해서 서로 통신한다.
문서 관리 클라이언트(100)는 네트워크 문서 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이며, 문서 관리 서버(110)에 의해 관리되는 문서 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한다. 문서 관리 클라이언트(100)는, 유저 인터페이스(UI)부(101), 클라이언트 처리부(102), 및 네트워크 I/F(I03)로 구성된다. 유저 인터페이스(UI)부(101)는 문서 정보의 검색 및 표시와 같은 문서 관리 클라이언트(100)의 기능에 관련된 오퍼레이터 지시를 접수한다. 유저 인터페이스(UI)부(101)는 처리 결과와 같은 각종 정보를 오퍼레이터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유저 인터페이스(UI)부(101)는, CRT 또는 액정 표시 장치로 대표되는 표시 장치, 및 키보드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처리부(102)는 CPU,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처리부(102)는,문서 정보의 검색 및 표시와 같은 문서 관리 클라이언트(100)의 기능들에 의해 처리를 행한다. 문서 관리 서버(110)에 대한 처리가 발생했을 경우에, 클라이언트 처리부(102)는 네트워크 I/F(103)를 통해서 문서 관리 서버(110)에 각종 요구 커맨드를 송신하고, 그 응답을 수신한다.
문서 관리 서버(110)는 디지털 복합기(130)로부터 송신된 "잡의 로그 정보" 및 "잡의 로그 화상 데이터"를 관리한다. 문서 관리 서버(110)는, 네트워크 I/F(111), 속성 관리 서버부(112), 볼륨 서버부(115), 및 서비스 서버부(118)로 구성된다. 속성 관리 서버부(112), 볼륨 서버부(115), 및 서비스 서버부(118)는 1개의 퍼스널 컴퓨터(PC) 또는 네트워크(140)에 의해 접속되는 복수의 PC 내에 구성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I/F(111)는 네트워크(140)에 접속되어 TCP/IP와 같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한다.
속성 관리 서버부(112)는 잡에 대응하는 로그 정보와 로그 화상 데이터를 계층화된(hierarchical)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문서로서 관리한다. 그 때문에, 속성 관리 서버부(112)는 폴더, 문서, 및 페이지의 포함 관계와, 이들의 속성 등을 관리한다. 속성 관리 서버부(112)는 속성 관리 서버 처리부(113)와, 속성 기억부(114)로 구성된다. 속성 관리 서버 처리부(113)는 CPU,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속성 관리 서버 처리부(113)는 클라이언트 처리부(102), 또는 서비스 서버부(118)로부터 네트워크 I/F(111)를 통해서 요구 커맨드를 수신한다. 속성 관리 서버 처리부(113)는, 요구 커맨드에 대응하여 속성 기억부(114)에 대하여 갱신 및 검색 등의 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 결과를 클라이언트 처리부(102), 또는 서비스 서버부(118)에 송신한다. 속성 기억부(114)는 폴더 속성, 문서 속성, 로그 정보, 페이지 속성 등을 기억하고,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기억 장치로부터 형성된다.
볼륨 서버부(115)는 속성 관리 서버부(112)에 의해 관리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로그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고, 관리한다. 볼륨 서버부(115)는 볼륨 서버 처리부(116)와 볼륨 기억부(117)로 구성된다. 볼륨 서버 처리부(116)는 CPU,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클라이언트 처리부(102) 또는 서비스 서버부(118)로부터 네트워크 I/F(111)를 통해서 요구 커맨드를 수신한다. 볼륨 서버 처리부(116)는, 요구 커맨드에 대응하여 볼륨 기억부(117)에 대하여 갱신 및 데이터 취득 등의 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 결과를 클라이언트 처리부(102), 또는 서비스 서버부(118)에 송신한다. 볼륨 기억부(117)는 로그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기억 장치로부터 형성된다.
서비스 서버부(118)는 CPU,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부(118)는 디지털 복합기(130)로부터 네트워크 I/F(111)를 통해서 요구 커맨드를 수신하고,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잡의 로그 정보와 로그 화상 데이터의 등록과 같이, 속성 관리 서버부(112) 또는 볼륨 서버부(115)에 대한 처리가 발생했을 경우에, 서비스 서버부(118)는 네트워크 I/F(111)를 통해서 속성 관리 서버부(112) 또는 볼륨 서버부(115)에 각종 요구 커맨드들을 송신한다. 서비스 서버부(118)는 요구 커맨드들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처리 결과를 디지털 복합기(130)에 송신한다.
디지털 복합기(130)는, 카피, 스캔, 프린트, 및 FAX와 같은 복합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디지털 복합기(130)는, 화상 입력 디바이스인 스캐너부(131), 화상 출력 디바이스인 프린터부(132), 컨트롤러부(133), 유저 인터페이스인 조작부(134)로 구성된다. 스캐너부(131), 프린터부(132), 및 조작부(134)는 컨트롤러 유닛(133)에 접속되고, 컨트롤러 유닛(133)은 네트워크(LAN)(140) 및 공중 회선(WAN)(150)에 접속된다.
컨트롤러 유닛(133)은 조작부(134)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카피 잡, 프린트 잡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컨트롤러 유닛(133)은, 디바이스의 상태 및 잡 상태와 같은 정보를 조작부(134)에 제공하고, 생성된 잡의 로그 정보 및 로그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문서 관리 서버(110)에 대한 처리가 발생한 경우에, 컨트롤러 유닛(133)은 서비스 서버부(118)에 요구 커맨드를 송신한다. 컨트롤러 유닛(133)은 이 요구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문서 관리 서버(110)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조작부(134)에 제공한다. 디지털 복합기(130)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기능 블록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문서 관리 시스템의 문서 관리 클라이언트와 문서 관리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도 1과 같은 참조 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문서 관리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처리부(102)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부(200), 화상 처리부(201), 캐비닛(cabinet) 문서 관리부(202), 데이터베이스 통신부(203), 및 볼륨 통신부(204)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부(200)는, 유저 인터페이스(UI)부(10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문서 관리 클라이언트(100)의 기능에 의한 처리를 행하고, UI부(101) 상의 표시 화면(window)을 제어한다. 속성 관리 서버부(112) 또는 볼륨 서버부(115)에 대한 처리가 발생한 경우에,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부(200)는 이 요구를 캐비닛 문서 관리부(202)에 공급하고, 그 처리 결과를 캐비닛 문서 관리부(202)로부터 수신한다. 화상 처리부(201)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부(200) 및 캐비닛 문서 관리부(20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화상 데이터 의 신장(decompression)/압축(compression), 색공간 변환(color space conversion), 색부족(undercolor) 제거, 확대/축소, 및 회전과 같은 화상 처리를 행한다.
캐비닛 문서 관리부(202)는 속성 관리 서버부(112)와 볼륨 서버부(115)에 대한 요구를 캐비닛, 폴더, 문서 및 페이지로 이뤄진 오브젝트 모델을 이용하여 실행한다. 폴더 속성, 문서 속성, 로그 정보, 또는 페이지 속성에 대한 참조 또는 갱신과 같은 처리가 발생했을 경우에, 캐비닛 문서 관리부(202)는 그 요구를 데이터베이스 통신부(203)에 공급하고, 그 처리 결과를 데이터베이스 통신부(203)로부터 수신한다. 로그 화상 데이터에 대한 등록, 삭제, 취득과 같은 처리가 발생했을 경우에, 캐비닛 문서 관리부(202)는 그 요구를 볼륨 통신부(204)에 공급하고, 처리 결과를 볼륨 통신부(204)로부터 수신한다.
데이터베이스 통신부(203)는, 속성 관리 서버부(112)에 대한 요구 커맨드를 네트워크 I/F(103)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 통신부(205)에 송신하고, 그 응답 커맨드를 데이터베이스 통신부(205)로부터 수신한다. 요구 커맨드는 구조화 조회 언어(Structured Query Language : SQL)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조작 언어를 이용한다. 볼륨 통신부(204)는, 볼륨 서버부(115)에 대한 요구 커맨드를 네트워크 I/F(103)를 통해서 볼륨 통신부(207)에 송신하고, 그 응답 커맨드를 볼륨 통신부(207)로부터 수신한다. 통신은 원격 절차 호출(Remote Procedure Call : RPC)을 이용한다.
· 문서 관리 서버
속성 관리 서버 처리부(113)는, 데이터베이스 통신부(205) 및 데이터베이스 처리부(206)로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 통신부(205)는, 속성 관리 서버부(112)에 대한 요구 커맨드를 데이터베이스 통신부(203) 또는 데이터베이스 통신부(210)로부터 네트워크 I/F(111)를 통해서 수신한다. 데이터베이스 통신부(205)는 그 요구를 데이터베이스 처리부(206)에 공급하고, 그 처리 결과를 응답 커맨드로서 데이터베이스 통신부(203) 또는 데이터베이스 통신부(210)에 송신한다. 데이터베이스 처리부(206)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인 속성 기억부(114)에 대하여 갱신 및 검색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데이터베이스는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채용하고, 폴더, 문서 및 페이지의 포함 관계와 이들의 속성을 관리한다. 데이터베이스 파일 내의 테이블 구조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볼륨 서버 처리부(116)는 볼륨 통신부(207) 및 볼륨 처리부(208)로 구성된다. 볼륨 통신부(207)는 볼륨 서버부(115)에 대한 요구 커맨드를 볼륨 통신부(204) 또는 볼륨 통신부(211)로부터 네트워크 I/F(111)를 통해서 수신한다. 볼륨 통신부(207)는 그 요구를 볼륨 처리부(208)에 공급하고, 그 처리 결과를 응답 커맨드로서 볼륨 통신부(204) 또는 볼륨 통신부(211)에 송신한다. 볼륨 처리부(208)는 볼륨 파일인 볼륨 기억부(117)에 대하여 갱신 및 데이터 취득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볼륨 파일 내의 데이터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서비스 서버부(118)는 서비스 통신부(209), 데이터베이스 통신부(210), 볼륨 통신부(211), 캐비닛 문서 관리부(212), 화상 처리부(211) 및 서비스 프로바이더부(214)로 구성된다. 서비스 통신부(209)는 문서 관리 서버(110)에 대한 요구 커맨드를 디지털 복합기(130)로부터 네트워크 I/F(111)를 통해서 수신한다. 요구 커 맨드는, 예를 들면 HTTP 프로토콜 상의 SOAP 프로토콜을 채용한다. 서비스 통신부(209)는 이 요구를 서비스 프로바이더부(214)에 공급하고, 그 처리 결과를 응답 커맨드로서 디지털 복합기(130)에 송신한다.
서비스 프로바이더부(214)는 서비스 통신부(209)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 결과를 반송(send back)한다. 문서 정보의 등록, 속성의 갱신, 또는 검색과 같은, 속성 관리 서버부(112) 또는 볼륨 서버부(115)에 대한 처리가 발생한 경우에, 서비스 프로바이더부(214)는 그 요구를 캐비닛 문서 관리부(212)에 공급하고, 그 처리 결과를 캐비닛 문서 관리부(212)로부터 수신한다. 서비스 프로바이더부(214)는 디지털 복합기(130)로부터 잡의 로그 정보와 로그 화상 데이터를 서비스 통신부(209)를 통해서 수신한다. 로그 정보와 로그 화상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일시 보존한 후, 서비스 프로바이더부(214)는 로그 정보와 로그 화상 데이터를 문서로서 등록하도록 캐비닛 문서 관리부(212)에 요구하고, 그 처리 결과를 수신한다. 로그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 변환 처리 또는 데이터 변환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 서비스 프로바이더부(214)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부터 로그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서비스 프로바이더부(214)는 로그 정보와 로그 화상 데이터를 문서로서 등록하도록 캐비닛 문서 관리부(212)에 요구하고, 그 처리 결과를 수신한다.
화상 처리부(213)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부(214) 및 캐비닛 문서 관리부(21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화상 데이터의 신장/압축, 색공간 변환, 색부족 제거, 해상도 변환, 회전, 영역 분할, 및 문자 인식과 같은 화상 처리를 행한다. 데이터베 이스 통신부(210), 볼륨 통신부(211), 및 캐비닛 문서 관리부(212)의 기능 구성은, 문서 관리 클라이언트에 있어서의 기능 구성부와 동일하며, 그의 상세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도 3은 속성 기억부(114)의 테이블 정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폴더 관리 테이블(300)은 폴더를 식별하기 위한 폴더 ID, 부모 폴더를 식별하기 위한 부모 폴더 ID, 폴더명, 및 작성 일시를 포함한다.
문서 관리 테이블(301)은 문서를 식별하기 위한 문서 ID, 부모 폴더를 식별하기 위한 부모 폴더 ID, 문서명, 사이즈, 페이지수, 작성 일시, 및 로그 ID를 포함한다. 로그 ID는 대응하는 로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로그 정보 관리 테이블(302)은 로그를 식별하기 위한 로그 ID, 디바이스 정보, 유저 정보, 잡 정보, 및 대응하는 문서를 식별하기 위한 문서 ID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정보는 디바이스명, 제품명, 시리얼 번호, 및 설치 장소를 포함한다. 유저 정보는, 부문 ID, 유저 명, 및 도메인 명을 포함한다. 잡 정보는, 잡 문서 ID, 로그 화상 플래그, 잡 종류, 잡 명, 페이지수, 카피 부수, 개시 일시, 종료 일시,및 잡의 결과를 포함한다. 잡 문서 ID는 입력 잡의 로그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고유값이다. 로그 화상 플래그는 로그 화상 데이터의 존재/부존재를 나타낸다. 로그 화상 플래그가 로그 화상 데이터의 부재를 나타내는 경우, 잡 문서 ID는 다른 입력 잡의 로그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게 된다.
페이지 관리 테이블(303)은 페이지를 식별하기 위한 페이지 ID, 부모 문서를 식별하기 위한 부모 문서 ID, 페이지 번호, 및 페이지 데이터의 파일 포맷을 식별 하기 위한 포맷을 포함한다. 페이지 관리 테이블(303)은 또한 화상 데이터인 경우의 용지 사이즈를 식별하기 위한 용지 사이즈, 및 파일 사이즈도 포함한다. 또한, 페이지 관리 테이블(303)은 페이지를 검색하기 위한 인덱스(1 내지 3), 및 볼륨 서버부(115)에 의해 관리되는 화상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볼륨 ID를 포함한다.
도 4는 볼륨 기억부(117)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볼륨 관리 파일(400)은,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볼륨 ID, 파일명, 데이터의 기억 개시 위치인 오프셋(offset), 및 데이터의 사이즈를 포함한다. 파일명은, 데이터를 기억하는 볼륨 기억 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볼륨 기억 파일(401)은 로그 화상 데이터를 연속해서 기억한다.
<디지털 복합기의 하드웨어 구성>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문서 관리 시스템의 디지털 복합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5에서, 도 1에서와 같은 참조 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컨트롤러 유닛(133)은 화상 입력 디바이스인 스캐너부(131) 및 화상 출력 디바이스인 프린터부(132)와 접속되며, 또한 네트워크(LAN)(140) 및 공중 회선(WAN)(150)과 접속된다. 컨트롤러 유닛(133)은 화상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입출력한다.
CPU(500)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다. RAM(501)은, CPU(500)가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이용되는 워크(work) 메모리이다. RAM(501)은 또한,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기 위한 화상 메모리(버퍼)로서도 이용된다. ROM(502)은 시스템의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 브(HDD)(503)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잡의 로그 정보 및 로그 화상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조작부 I/F(504)는 조작부(134)와의 인터페이스이며, 조작부(134)에 표시될 화면 데이터를 조작부(134)에 출력한다. 또한,조작부 I/F(504)는 조작부(134)를 통해 오퍼레이터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CPU(500)에 통지한다. 네트워크(Network)(505)는 네트워크(LAN)(140)에 접속하여 정보를 입출력한다. 모뎀(MODEM)(506)은 공중 회선(WAN)(150)에 접속하여 정보를 입출력한다. 이들 디바이스는 시스템 버스(507) 상에 배치된다.
화상 버스(Image Bus) I/F(508)는 시스템 버스(507)와, 화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화상 버스(509)를 접속하고, 데이터 구조를 변환하는 버스 브릿지이다. 화상 버스(509)는, 예를 들면, PCI 버스 또는 IEEE1394 버스로부터 형성된다.
다음의 디바이스들은 화상 버스(509) 상에 배치된다. 래스터 화상 처리기(raster image processor : RIP)(510)는 페이지 기술 언어(page description language:PDL) 코드에 기초해서 비트맵 화상을 생성한다. 디바이스 I/F(511)는 화상 입출력 디바이스인 스캐너부(131) 및 프린터부(132)와 통신하는 기능부이다. 구체적으로,디바이스 I/F(511)는, 화상 입력부 인터페이스(512) 및 인쇄부 인터페이스(513)를 통해서 스캐너부(131) 및 프린터부(132)에 접속하여, 화상 데이터의 동기/비동기 변환을 행한다. 스캐너 화상 처리부(514)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보정, 가공 및 편집한다. 스캐너 화상 처리부(514)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가 컬러 또는 흑백 문서인지 여부를 화상 데이터의 채도(color saturation) 신호로부터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프린터 화상 처리부(515)는 출 력 화상 데이터를 보정, 가공, 및 편집한다.
화상 회전부(516)는 스캐너 화상 처리부(514)와 협력하여 스캐너부(131)에 의해 화상을 스캔함과 동시에 화상 데이터를 회전시키고, 결과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화상 회전부(516)는 메모리에 있는 화상 데이터를 회전시켜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메모리에 있는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 화상 처리부(515)와 협력하여 회전하면서 인쇄 출력할 수 있다. 화상 압축부(517)는 다치 화상 데이터를 위한 JPEG 압축/신장, 및 2진 화상 데이터를 위한 JBIG, MMR, MR, 또는 MH 압축 신장을 행한다. 해상도 변환부(518)는 메모리에 있는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하고, 그 결과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색공간 변환부(519)는 매트릭스 연산에 의해, 예를 들면 메모리 내에 있는 YUV 공간에서의 화상 데이터를 랩(Lab) 공간에서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계조 변환(tone conversion)부(520)는, 예를 들면 메모리 내의 8 비트(256 계조) 화상 데이터를 오차확산 처리와 같은 방법에 의해 1 비트값(2계조)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 내에 저장한다. 화상 회전부(516), 화상 압축부(517), 해상도 변환부(518), 색공간 변환부(519), 및 계조 변환부(520)는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내의 화상 데이터의 화상 회전 및 해상도 변환은 화상 회전부(516) 및 해상도 변환부(518)를 연결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들 처리는 메모리의 개재(mediacy)없이 연속해서 행해질 수 있다.
도 6은 디지털 복합기의 조작부(134)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터치 패널(600)은 LCD 표시부를 터치 패널 시트(601)로 커버하여 형성된다. CPU(500)에 의해 실행된 제어 프로그램에 응답하여, 시스템 조작 화면 및 소프트 키가 LCD 표시부 상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소프트 키가 표시되어 있는 부분을 유저가 터치하면, 터치 패널의 위치 정보가 컨트롤러 유닛(133) 내의 CPU(500)에 통지된다. 스타트 키(602)는 문서 화상 판독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두가지 색, 녹색 및 적색의 LED(603)는 스타트 키(602)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LED(603)의 색은 스타트 키(602)가 이용가능한 지를 나타낸다. 스톱(stop) 키(604)는 실행 중인 동작의 정지를 지시한다. ID 키(605)는 유저 ID를 입력하는 데 이용된다. 리셋(reset) 키는 설정을 초기화하는 데 이용된다.
<디지털 복합기의 기능 구성>
도 7은 각종 제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는 디지털 복합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유저 인터페이스(UI)부(700)는 오퍼레이터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부(701)에 공급한다. 유저 인터페이스(UI)부(700)는 그 처리 결과를 애플리케이션부(701)로부터 수신하고, 조작부(134)에 표시될 화면을 생성한다.
애플리케이션부(701)는 유저 인터페이스(UI)부(7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처리를 행한다. 카피가 요구되었을 경우에, 애플리케이션부(701)는 잡 컨트롤 도메인부(702)에 의해 지정된 카피 설정과 함께 카피 잡을 입력한다. 애플리케이션부(701)는 디바이스 상태 및 잡 상태와 같은 정보를 잡 컨트롤 도메인부(702)로부터 수신한다. 잡의 로그 정보와 로그 화상 데이터를 문서 관리 서버(110)에 송신하는 경우에, 애플리케이션부(701)는 잡 컨트롤 도메인부(702)로부터 이들을 수신 한다. 애플리케이션부(701)는 잡의 로그 정보와 로그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서비스 통신부(703)에 요구하여, 그 처리 결과를 수신한다.
잡 컨트롤 도메인부(702)는, 스캔 잡, 카피 잡, 프린트 잡, 및 FAX 잡과 같은 각종 잡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카피 잡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지정된 카피 설정에 기초하여 스캐너부(131)에 의해 문서를 스캔하고, 프린터부(132)에 의해 스캔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잡 컨트롤 도메인부(702)가 제어한다.
카피, 프린트, 또는 스캔과 같은, 화상을 입력하는 "입력 잡"을 접수한 경우에, 잡 컨트롤 도메인부(702)는 이 잡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잡 컨트롤 도메인부(702)는 잡의 로그 정보와 함께 로그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종 데이터를 HDD(503)에 저장한다. 로그 화상 데이터는 잡의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카피하거나, 소정의 해상도, 색공간, 또는 압축 방식으로 변환해서 생성될 수도 있다. 소위 BOX 기능을 이용하여 인쇄 또는 팩스 송신에 의해 과거에 입력된 잡을 출력하도록 "출력 잡"을 접수한 경우에, 잡 컨트롤 도메인부(702)는 로그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고 로그 정보만을 생성한다. 서비스 통신부(703)는 문서 관리 서버(110)에 대한 요구 커맨드를 네트워크 I/F(704)를 통해서 문서 관리 서버(110) 내의 서비스 통신부(209)에 송신하고 그 응답을 수신한다.
도 8은 디지털 복합기에 의해 생성된 잡 로그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데이터 구조(800a)는 2페이지 문서 화상에 대한 입력 잡의 잡 로그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입력 잡의 로그 정보(800)와, 페이지 마다의 로그 화상 데이터(801 및 802)가 연속해서 기록된다. 로그 정보 및 로그 화상 데이터는 포맷 버전, 데이터 사이즈 등으로 구성되는 헤더 정보가 부가되어서 기록된다. 로그 화상 데이터는 화상 사이즈, 해상도, 압축 방식 등으로 구성되는 페이지 속성이 부가되어서 기록된다.
데이터 구조(800b 및 800c)는 출력 잡의 잡 로그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로그 정보(803 및 804)가 기록된다.
도 9는 디지털 복합기에 의해 생성된 로그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로그 정보는 XML 데이터로서 표현되고 logInformation 요소로부터 형성된다. logInformation 요소는,
deviceInformation 요소 : 디바이스 명 및 시리얼 번호와 같은 디바이스 정보를 나타냄
userInformation 요소 : 부문 ID 및 유저 명과 같은 유저 정보를 나타냄
jobInformation 요소 : 잡 종류, 잡 명, 및 개시 일시와 같은 잡 정보를 나타냄
을 포함한다.
jobInformation 요소 내의 documentID 요소는 전술한 테이블(302) 내의 잡 문서 ID이며, 입력 잡의 로그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고유값을 기록한다. documentFlag는 로그 화상 플래그이며, 로그 화상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예"를 기록하고, 로그 화상 데이터가 없은 경우에는 "아니오"를 기록한다. 출력 잡의 로 그 정보인 경우, 로그 화상 플래그는 "아니오"이다. 출력 잡의 잡 문서 ID는 대응하는 입력 잡의 로그 화상 데이터를 나타낸다.
<데이터 송신의 처리 시퀀스(디지털 복합기)>
도 10은, 디지털 복합기가 문서 관리 서버에 잡 로그 데이터를 송신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다음의 시퀀스는 디지털 복합기 내의 CPU(500)에 의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다음의 시퀀스는 소정의 주기로 실행된다.
스텝 S1001에서,디지털 복합기는 문서 관리 서버에 송신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잡 로그 데이터가 HDD(503)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하나 이상의 잡 로그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스는 스텝 S1002로 가고, 잡 로그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프로세스는 스텝 S1013으로 가서 종료한다. 즉, 본 시퀀스가 실행된 후에, 디지털 복합기가 잡을 수신하여 실행한 경우, 프로세스는 스텝 S1002로 간다.
스텝 S1002에서,디지털 복합기는 잡 로그 데이터 내의 로그 정보를 문서 관리 서버에 송신한다.
스텝 S1003에서,디지털 복합기는 문서 관리 서버로부터 로그 화상 확인 결과를 수신한다. 스텝 S1002에서 수신된 로그 정보에 기초해서, 문서 관리 서버는 볼륨 기억부(117) 내에 기억되지 않은 로그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문서 관리 서버는 판정 결과를 디지털 복합기에 송신한다. 문서 관리 서버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경우에, 스텝 S1002에서 송신된 로그 정보가 출력 잡에 대응하고, 이 로그 정보 내의 documentID에 대응하는 로그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문서 관리 서버는 로그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이것은, 스텝 S1002에서 송신된 로그 정보가 입력 잡에 대응하는 경우에 로그 화상 데이터가 분리되어 송신되는 것(후술될 S1006)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스텝 S1004에서,디지털 복합기는, 스텝 S1003에서 수신된 로그 화상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문서 관리 서버에 잡의 로그 화상 데이터를 재송신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 즉 이전에 송신되었던 로그 화상 데이터를 재송신할지를 판정한다. 디지털 복합기가 로그 화상 데이터를 재송신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S1004에서, 예), 프로세스는 스텝 S1010으로 가고, 아니오라면, 프로세스는 스텝 S1005로 간다.
스텝 S1010에서,디지털 복합기는 재송신된다고 판정된 로그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잡 문서 ID(documentID)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로그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디지털 복합기는 잡 문서 ID를 가지는 출력 잡을 실행하기 때문에, 잡 문서 ID를 가지는 화상 데이터를 반드시 보존한다.
스텝 S1011에서는,디지털 복합기는 스텝 S1010에서 생성된 로그 화상 데이터를 문서 관리 서버에 송신한다. 디지털 복합기는 타깃 페이지가 최종 페이지에 도달할 때까지 스텝 S1010 및 S1011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S1012). 모든 페이지를 송신한 후에, 프로세스는 스텝 S1008로 간다.
스텝 S1005에서,디지털 복합기는 로그 화상 데이터가 현재의 잡 로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로그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 세스는 스텝 S1008로 가고, 로그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1006으로 간다. 이 경우에는, 입력 잡에 대응하는 로그가 잡 로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로그 화상 데이터가 존재한다.
스텝 S1006에서,디지털 복합기는 로그 화상 데이터를 문서 관리 서버에 송신한다. 디지털 복합기는, 타깃 페이지가 최종 페이지에 도달할 때까지 스텝 S1006을 반복해 실행한다(S1007). 모든 페이지를 송신한 후, 프로세스는 스텝 S1008로 간다.
스텝 S1008에서,디지털 복합기는 스텝 S1002에서 송신된 로그 정보를 등록하도록 문서 관리 서버에 요구를 송신한다. 로그 화상 데이터가 송신된 경우에는, 디지털 복합기는 로그 화상 데이터를 등록하도록 또한 요구를 송신한다.
스텝 S1009에서는,디지털 복합기가 처리된 잡 로그 데이터를 삭제한다.
디지털 복합기는, 모든 잡 로그 데이터가 송신될 때까지 이들 스텝을 반복적으로 실행하고, 그 후 프로세스가 종료된다(S1013).
전술한 처리는, 관리 서버로부터 출력 잡의 로그 정보의 잡 문서 ID에 대응하는 로그 화상 데이터의 결손(omission)을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처리는 입력 잡의 로그 화상 데이터와, 출력 잡의 로그 정보의 잡 문서 ID 사이의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의 처리 시퀀스(문서 관리 서버)>
디지털 복합기에 의한 전술한 데이터 송신에 대응하는 문서 관리 서버에 의한 데이터 수신을 설명한다.
도 11은, 문서 관리 서버가 디지털 복합기로부터 잡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다음의 시퀀스는 문서 관리 서버 내의 CPU(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스텝 S1101에서,문서 관리 서버는 스텝 S1002에서 디지털 복합기로부터 송신된 로그 정보를 수신한다. 문서 관리 서버는, 로그 정보가 출력 잡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로그 정보가 출력 잡에 대응하는 경우에, 프로세스는 스텝 S1102로 가고, 로그 정보가 출력 잡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1103으로 간다.
스텝 S1102에서,문서 관리 서버는, 볼륨 기억부(117)가 스텝 S1101에서 수신된 로그 정보의 잡 문서 ID에 대응하는 로그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문서 관리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인 속성 기억부(114)가 로그 정보의 잡 문서 ID와 동일한 잡 문서 ID를 갖고,대응하는 로그 화상 데이터를 가지는 로그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스텝 S1103에서,문서 관리 서버는 로그 화상 데이터의 확인 결과를 디지털 복합기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스텝 S1101에서 수신된 로그 정보가 출력 잡에 대응하고, 잡 문서 ID에 대응하는 로그 화상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문서 관리 서버는 로그 화상 데이터의 재송신을 요구한다. 다른 경우에, 문서 관리 서버는, 디지털 복합기가 임의의 로그 화상 데이터를 재송신할 필요가 없음을 디지털 복합기에 통지한다.
스텝 S1104에서,문서 관리 서버는 로그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구체적으 로, 문서 관리 서버는, 디지털 복합기로부터, 잡 문서 ID에 대응하고 스텝 S1103에서 재송신으로 판정된 로그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S1011에 대응). 대안으로, 문서 관리 서버는 입력 잡에 대응하는 로그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S1006에 대응). 다른 경우에, 문서 관리 서버는 어떤 로그 화상 데이터도 수신하지 않는다.
스텝 S1105에서,문서 관리 서버는 디지털 복합기로부터 문서 등록 요구를 수신한다. 문서 관리 서버는 스텝 S1101에서 수신된 로그 정보를 로그 화상 데이터와 관련된 속성 기억부(114)에 등록한다(S1106). 로그 화상 데이터는 스텝 S1104에서 수신된 것일 수 있거나 이미 볼륨 기억부(117) 내에 기억된 것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스텝 S1107에서,문서 관리 서버는 디지털 복합기로부터 수신되고, 일시 기억된 로그 정보 및 로그 화상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들 스텝은, 각 잡 로그 데이터의 수신에 대응해서 실행된다.
<화상 데이터 삭제의 처리 시퀀스(디지털 복합기)>
도 12는, 디지털 복합기가 입력 잡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그룹을 삭제 할 때의 플로우차트이다. 다음의 시퀀스는 디지털 복합기 내의 CPU(500)에 의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다음의 시퀀스는, 디지털 복합기의 조작 화면을 통해서 오퍼레이터로부터, 디지털 복합기 내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그룹의 삭제 지시를 접수할 때에 개시된다.
스텝 S1201에서, 디지털 복합기는, 디지털 복합기의 조작 화면에서 접수된 화상 데이터의 그룹에 대하여 "삭제 플래그"를 설정하여 화상 데이터의 그룹이 삭 제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스텝 S1202에서,디지털 복합기는 화상 데이터의 그룹에 대응하는 잡 문서 ID와 동일한 잡 문서 ID를 갖는 출력 잡의 로그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디지털 복합기가 로그 정보를 기억한다면, 프로세스는 스텝 S1204로 가고, 로그 정보를 기억하고 있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스텝 S1203으로 간다.
스텝 S1203에서,디지털 복합기는 그룹의 모든 화상 데이터를 삭제한다.
스텝 S1204에서,디지털 복합기는 삭제된 화상 데이터의 그룹 및 삭제 플래그가 설정된 화상 데이터의 그룹을 표시하지 않도록 조작 화면의 표시를 갱신한다. 즉, 디지털 복합기는, 예를 들면 BOX 기능을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의 그룹에 기초하여 출력 잡을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잡 로그 데이터의 삭제>
도 10의 플로우차트의 스텝 S1009에서의 잡 로그 데이터의 삭제에 대해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잡 로그 데이터의 삭제의 상세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1301에서,디지털 복합기는 스텝 S1002에서 문서 관리 서버에 송신된 로그 정보가 출력 잡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로그 정보가 출력 잡에 대응한다면, 프로세스는 스텝 S1302로 가고, 로그 정보가 출력 잡에 대응하지 않는다면, 프로세스는 스텝 S1305로 간다.
스텝 S1302에서,디지털 복합기는 로그 정보의 잡 문서 ID와 동일한 잡 문서 ID를 가지는 출력 잡의 잡 로그 데이터가, 또 다른 미송신된 잡 로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잡 로그 데이터가 또 다른 미송신된 잡 로그 데이터 내에 존재한다면, 프로세스는 스텝 S1305로 가고, 잡 로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프로세스는 스텝 S1303으로 간다.
스텝 S1303에서,디지털 복합기는, 로그 정보의 잡 문서 ID와 동일한 잡 문서 ID를 가지며, 삭제 플래그가 설정된 입력 잡의 잡 로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입력 잡의 잡 로그가 존재한다면, 프로세스는 스텝 S1304로 가고, 잡 로그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프로세스는 스텝 S1305로 간다.
스텝 S1304에서, 디지털 복합기는 잡 로그에 대응하는 모든 화상 데이터를 삭제한다.
스텝 S1305에서,디지털 복합기는 잡 로그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들 스텝들이 종료된 후, 프로세스는 전술한 스텝 S1001로 되돌아 간다.
전술한 처리는, 화상 데이터의 잡 문서 ID와 동일한 잡 ID를 갖는 잡 로그가 존재하는 동안 화상 데이터의 잘못된 삭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문서 관리 시스템은,문서 관리 서버로부터 출력 잡의 로그 정보의 잡 문서 ID에 대응하는 로그 화상 데이터의 결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문서 관리 시스템은 입력 잡의 로그 화상 데이터와, 출력 잡의 로그 정보의 잡 문서ID 사이의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네트워크 문서 관리 시스템은 화상 데이터의 잡 문서 ID와 동일한 잡 ID를 가지는 잡 로그가 존재하는 동안, 디지털 복합기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잘못된 삭제도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기술되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하나의 디바이스에 의해 형성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시스템 또는 장치에 직접 또는 원격으로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에 의해 공급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도 달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능 처리를 컴퓨터에 의해 실현하기 위해서 컴퓨터에 인스톨된 프로그램 코드들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에 포함된다.
이 경우에,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한, 오브젝트 코드,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OS에 공급하는 스크립트 데이터와 같은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광 디스크(CD 및 DVD), 광 자기 디스크,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및 ROM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대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이러한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들을 모두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을 따른다.
본 발명은 문서 관리 서버로부터 출력 잡의 로그 정보의 잡 문서 ID에 대응하는 로그 화상 데이터의 결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문서 관리 시스템은 입력 잡의 로그 화상 데이터와, 출력 잡의 로그 정보의 잡 문서ID 사이의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7)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화상을 입력하는 잡(job)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로서,
    신규 잡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잡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등록하는 등록 수단,
    등록된 화상 데이터와, 등록된 화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기술하고 잡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입력 로그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잡 로그 관리 서버(job log management server)에 등록하기 위해 송신하는 제1 송신 수단,
    상기 기억 수단에 등록된 상기 화상 데이터의 출력 요구를 입력함으로써 출력 처리를 행할 경우, 출력 화상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기술하는 출력 로그 정보를,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송신하는 제2 송신 수단, 및
    상기 제2 송신 수단에 의한 송신 결과로서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화상 데이터의 요구가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억 수단 내의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서 송신하는 제3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수단 및 상기 제3 송신 수단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해 상도 이하로 변환한 후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화상 출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인쇄 및 팩시밀리 송신을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요구는 조작 패널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출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 등록된 화상 데이터의 삭제 지시를 접수하는 삭제 지시 접수 수단,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입력 로그 정보 및 상기 출력 로그 정보에 기술된 정보를, 상기 정보가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에 송신될 때까지 검색하는 검색 수단, 및
    상기 삭제 지시 접수 수단이 화상 데이터의 삭제 지시를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기술하는 상기 출력 로그 정보를 상기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하고, 동일한 식별 정보를 기술하는 상기 출력 로그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동일한 식별 정보를 기술하는 상기 출력 로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삭제를 보류하는 삭제 제어 수단
    을 더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
  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화상을 입력하는 잡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신규 잡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잡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등록하는 등록 단계,
    등록된 화상 데이터와, 등록된 화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기술하고 잡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입력 로그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잡 로그 관리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송신하는 제1 송신 단계,
    상기 기억 수단에 등록된 상기 화상 데이터의 출력 요구를 입력함으로써 출력 처리를 행할 경우, 출력 화상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기술하는 출력 로그 정보를,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송신하는 제2 송신 단계, 및
    상기 제2 송신 단계에 의한 송신 결과로서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화상 데이터의 요구가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억 수단 내의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서 송신하는 제3 송신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7. 화상을 입력하는 잡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 및 상기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해 처리된 잡의 로그를 관리하는 잡 로그 관리 서버를 포 함하는 전자 문서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출력 장치는,
    신규 잡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잡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등록하는 등록 수단,
    등록된 화상 데이터와, 등록된 화상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기술하는 잡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입력 로그 정보를, 잡 로그 관리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송신하는 제1 송신 수단,
    상기 기억 수단에 등록된 상기 화상 데이터의 출력 요구를 입력함으로써 출력 처리를 행할 경우, 출력 화상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기술하는 출력 로그 정보를,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송신하는 제2 송신 수단, 및
    상기 제2 송신 수단에 의한 송신 결과로서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화상 데이터의 요구가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억 수단 내의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잡 로그 관리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서 송신하는 제3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전자 문서 관리 시스템.
KR1020070065881A 2006-06-29 2007-06-29 화상 출력 장치, 화상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문서관리 시스템 KR100940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80373 2006-06-29
JP2006180373A JP4810331B2 (ja) 2006-06-29 2006-06-29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696A true KR20080002696A (ko) 2008-01-04
KR100940144B1 KR100940144B1 (ko) 2010-02-03

Family

ID=3856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881A KR100940144B1 (ko) 2006-06-29 2007-06-29 화상 출력 장치, 화상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문서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93661B2 (ko)
EP (1) EP1874029B1 (ko)
JP (1) JP4810331B2 (ko)
KR (1) KR100940144B1 (ko)
CN (1) CN1010983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1049A (ja) * 2006-08-10 2008-02-21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記録管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記録管理装置
JP5006636B2 (ja) * 2006-12-21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文書管理装置、文書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432572B2 (en) * 2007-06-29 2013-04-30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Systems and methods of trapping for print devices
JP5063423B2 (ja) 2008-03-17 2012-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入出力装置及び画像入出力方法、並びにジョブ履歴記録システム
JP5092835B2 (ja) * 2008-03-24 2012-12-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メージログ管理装置及びイメージログ管理プログラム
US8570340B2 (en) 2008-03-31 2013-10-29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compression
US8699042B2 (en) * 2008-06-12 2014-04-15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ode color blending
JP5169756B2 (ja) * 2008-11-13 2013-03-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ジョブログ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383344B2 (ja) * 2009-06-24 2014-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371611B2 (ja) * 2009-07-31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システム、サーバ、サーバ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66698B2 (ja) * 2009-08-04 2013-12-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ョブ履歴情報監査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12215B2 (ja) * 2009-09-30 2014-06-04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ジョブ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
JP5474084B2 (ja) * 2009-11-12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11138340A (ja) * 2009-12-28 2011-07-14 Canon Inc サーバ装置、サーバ装置のログ監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04836B2 (ja) * 2010-05-20 2015-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049299B2 (ja) * 2012-05-10 2016-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36020B2 (ja) * 2012-08-31 2016-11-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6132617B2 (ja) * 2013-03-26 2017-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受信した画像データをフォルダに格納する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20267B1 (ko) * 2013-07-11 2021-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문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들
JP6038763B2 (ja) * 2013-11-22 2016-12-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60112B2 (ja) * 2013-11-27 2016-08-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WO2015182436A1 (ja) * 2014-05-29 2015-12-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管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17061079A (ja) * 2015-09-24 2017-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9815198B (zh) * 2018-12-10 2021-03-05 北京龙拳风暴科技有限公司 移动游戏大数据贴源层实现方法及装置
CN109996089B (zh) * 2019-02-20 2021-09-28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操作日志的方法、系统以及一种流媒体服务器
JP2023004324A (ja) * 2021-06-25 2023-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290828B (zh) * 2021-12-31 2024-05-03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图像形成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18282B1 (en) * 1992-12-10 2003-03-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rver and client
JP4164280B2 (ja) 2002-04-11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周辺機器およびジョブ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088726A (ja) * 2002-06-26 2004-03-18 Casio Comput Co Ltd ネットワーク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4118243A (ja) * 2002-09-20 2004-04-15 Ricoh Co Ltd ネットワーク印刷システム
JP2005100214A (ja) * 2003-09-26 2005-04-1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管理方法及び画像管理システム並びに画像蓄積管理サーバ及び受付端末装置
JP2005149061A (ja) 2003-11-14 2005-06-09 Ricoh Co Ltd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050049063A (ko) 2003-11-21 2005-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인쇄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4405793B2 (ja) * 2003-12-12 2010-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文書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502369B2 (ja) * 2004-03-22 2010-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タログ管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11265A (ja) 2008-01-17
US20080005176A1 (en) 2008-01-03
US8593661B2 (en) 2013-11-26
EP1874029A3 (en) 2008-12-03
JP4810331B2 (ja) 2011-11-09
CN101098386B (zh) 2010-04-21
CN101098386A (zh) 2008-01-02
EP1874029A2 (en) 2008-01-02
KR100940144B1 (ko) 2010-02-03
EP1874029B1 (en)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144B1 (ko) 화상 출력 장치, 화상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문서관리 시스템
US2018024189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US7437366B2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document transmission device, document management server, and document management client
US7386599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arching both external public documents and internal private documents in response to single search request
JP5534666B2 (ja) ドキュメント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ドキュメン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220433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US20100134828A1 (en) File transmission apparatus, method and file version management system
US8302095B2 (en) Workflow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existence of data in the storage location and changing the setting information and name of storage location
CN101652763A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设备的功能限制方法
JP4227342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7108958A (ja) 文書検索装置、文書検索システム及び文書検索方法
JP4208786B2 (ja) 画像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20020087764A1 (en) Multifunctional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xecuted by the multifunctional apparatus or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80168441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6331274A (ja) ネットワーク文書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20090087106A1 (en)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for
JP2006333302A (ja) 画像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5734400B2 (ja) ドキュメント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ドキュメン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119950A (ja) 通信端末装置
JP5229099B2 (ja) ログ管理システム、表示システム、ログ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86710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4153495A (ja) 画像送信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
JP200517600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6163904A (ja) ネットワーク文書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9037627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