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2370A - 전지셀 제조용 전극판 및 그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지셀 제조용 전극판 및 그것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2370A
KR20070122370A KR1020070058049A KR20070058049A KR20070122370A KR 20070122370 A KR20070122370 A KR 20070122370A KR 1020070058049 A KR1020070058049 A KR 1020070058049A KR 20070058049 A KR20070058049 A KR 20070058049A KR 20070122370 A KR20070122370 A KR 20070122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ab
welding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8700B1 (ko
Inventor
유승재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070122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2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making use of vibrations, e.g. ultrasonic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B23K26/24Seam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1Methods or arrangement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과 음극이 서로 다른 소재(a, b)의 전류 집전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각각의 전류 집전체에는 전극 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탭을 제외한 일면 또는 양면에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한 쌍의 전극판들로서, 그 중 소재(a)로 이루어진 전류 집전체의 단부에 소재(b)로 이루어진 금속편을 용접하여 전극 탭을 형성하며, 상기 전류 집전체에 대한 금속편의 용접 후 전극 활물질을 전류 집전체 상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및, 그러한 전극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은 그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두 전지셀들을 직렬구조로 연결하여 전지모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의 용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염분 함유 분위기에서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지셀 제조용 전극판 및 그것의 제조방법 {Electrode Plate for Battery Cell and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전지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셀을 조립한 상태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으로 양극 판을 제조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정면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으로 양극 판을 제조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정면도들이다;
도 9는 도 1의 전지셀 두 개를 연결하는 것으로 제조되는 전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전지셀 제조용 전극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극과 음극이 서로 다른 소재(a, b)의 전류 집전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각각의 전류 집전체에는 전극 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탭을 제외한 일면 또는 양면에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한 쌍의 전극판들로서, 그 중 소재(a)로 이루어진 전류 집전체의 단부에 소재(b)로 이루어진 금속편을 용접하여 전극 탭을 형성하며, 상기 전류 집전체에 대한 금속편의 용접 후 전극 활물질을 전류 집전체 상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및, 그러한 전극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이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을 사용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들은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이 사용된다.
중대형 전지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모듈의 전지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파우치형 전지는 다수의 양극 및 음극이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 및 음극으로부터 돌출 되어 있는 다수의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을 각각 양극리드 및 음극리드에 용접하는 것으로 외부 입출력 단자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파우치형 전지에서는 양극으로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음극으로 구리를 사용한다. 즉, 양극을 이루는 양극 집전체와 양극 탭 및 양극리드는 모두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음극을 이루는 음극 집전체와 음극 탭 및 음극리드는 모두 구리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들을 각각 용접으로 연결하더라도 많은 열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중대형 전지모듈에서 고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지셀들은 상호 직렬구조로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파우치형 전지셀들의 경우, 알루미늄의 양극리드와 구리의 음극리드가 용접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전지셀들이 연결된다. 그러나,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두 전극리드를 용접할 경우에는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그러한 열은 전류 집전체에 도포되어 있는 전극 활물질로 전달되어 활물질의 열화를 초래한다. 또한, 상기 전지셀들이 염분 등 부식을 유발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환경에 노출되었을 경우, 상대적으로 부식성이 높은 알루미늄에 의하여 상기 전지셀들 간의 연결부위에서 부식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4-247244호에서는 구리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양극리드와 구리로 이루어진 음극리드를 사용하여 전지셀을 구성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즉, 상기 기술에서는 양극리드의 알루미늄 단부에 구리를 접합하고 접합부위를 전기적 절연체로 감쌈으로써, 양극리드와 음극리드가 전기적 연결을 위한 부위에서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용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양극리드에서 구리/ 알루미늄의 접합부위는 용접에 의하지 않고, 단순히 구리와 알루미늄을 접한 상태에서 수지 등으로 도포하는 수준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접합부위에서 구리와 알루미늄의 결합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통전시 접속 저항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구리/알루미늄 접합부위가 전극리드 상에 위치함으로써 전지케이스 실링부위에 근접할 수 있고, 그로 인해 큰 크기의 실링부가 요구되거나, 또는 전극조립체와 실링부 사이의 공간, 즉, 전극 탭들과 전극리드가 결합되는 부위의 공간이 증가하여 전지의 안전성이 훼손되고 전지의 크기 증가가 유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5-339931호에서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양극리드와 구리로 이루어진 음극리드로 구성된 전지셀에서, 상기 음극리드의 셀 외측에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알루미늄으로 피복하고, 상기 양극리드와 음극리드에 관통구를 형성함으로써, 전지셀들간의 결합을 용접에 의하여 행하지 않으면서 결합부위의 부식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음극리드를 알루미늄으로 피복하는 과정에서 도금 등의 방법이 행해져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그에 따른 제조비용의 증가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지셀들을 직렬구조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양극리드와 음극리드의 용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염분 함유 분위기에서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한 두 전지셀들을 직렬구조로 연결하여 전지모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양극리드와 음극리드의 용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분 함유 분위기에서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은 이러한 전극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그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판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전지셀 및, 그러한 전지셀을 단위전지로서 다수 개 포함하고 있는 중대형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은, 양극과 음극이 서로 다른 소재(a, b)의 전류 집전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각각의 전류 집전체에는 전극 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탭을 제외한 일면 또는 양면에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한 쌍의 전극판들로서, 그 중 소재(a)로 이루어진 전류 집전체의 단부에 소재(b)로 이루어진 금속편을 용접하여 전극 탭을 형성하며, 상기 전류 집전체에 대한 금속편의 용접 후 전극 활물질을 전류 집전체 상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은 양극 집전체와 음극 집전체가 각각 서로 다른 소재들(a, b)로 이루어져 있지만, 그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전극 탭들은 동일한 소재(b)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을 이용하여 전지셀을 제조할 경우, 상기 전지셀은 그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양극 탭들과 음극 탭들이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동일한 소재의 전극리드를 결합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상기 전지셀 다수 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경우에도 동일한 소재의 전극리드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전극 탭들과 전극리드간 및 전극리드 상호간의 용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종 소재간의 결합 부위가 전극 탭 상에 위치함으로써 전지셀의 크기 증가를 유발하지 않고, 종래와 동일한 크기의 전지케이스 실링부에서 밀봉성의 저하가 초래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소재(a)가 상대적으로 부식성이 강한 소재인 경우에, 이를 전지셀 내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염분 함유 분위기에서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전류 집전체에 대한 금속편의 용접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용접(Laser Seam Welding) 또는 저항 용접으로 행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용접 또는 저항 용접은 높은 결합력을 제공하지만, 결합부위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전류 집전체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전극 탭에 레이저 용접 또는 저항 용접을 행하는 경우, 용접 열이 집전체로 전달되어 전극 활물질의 열화를 초래하게 되므로, 결합력이 떨어지지만 상대적으로 용접 열의 발생량이 적은 초음파 용접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금속편을 전류 집전체에 용접하여 전극 탭을 형성한 후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므로, 결합력이 우수한 레이저 용접 또는 저항 용접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재(b)의 금속편은 소재(a)의 전류 집전체 상에 직접 용접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전류 집전체로부터 작은 크기로 돌출되어 있는 용접부 상에 용접될 수도 있다. 전류 집전체의 이러한 용접부는 금속편의 용접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한 쌍의 전극판들 중, 소재(a)로 이루어진 전극판은 알루미늄 소재의 전류 집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소재(b)로 이루어진 전극판은 구리 소재의 전류 집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양극 판에 알루미늄 소재의 전류 집전체를 사용할 경우, 음극 판은 구리 소재의 전류 집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알루미늄 소재의 전류 집전체에는 구리 소재의 금속편을 용접하여 전극 탭(제 1 전극 탭)을 형성하고, 구리 소재의 전류 집전체에는 그로부터 동일한 구리 소재의 전극 탭(제 2 전극 탭)이 연장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탭과 제 2 전극 탭은 동일한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의 설명과 같이,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알루미늄 소재의 전류 집전체 상에는 제 2 전극 탭의 길이를 기준으로 그것의 1/4 ~ 2/3 길이에 대응하는 용접부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돌출 용접부 상에 구리 소재의 금속편을 용접하여, 제 2 전극 탭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제 1 전극 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전극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전극판 제조방법은,
(i) 소재(a)로 이루어진 긴 시트형의 전류 집전체(A) 상에, 소재(b)의 금속편 다수 개를 각각 용접하여, 전극 탭(제 1 전극 탭)들을 형성하는 단계;
(ii) 상기 전류 집전체(A) 중 제 1 전극 탭 부위를 제외하고 그것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및
(iii) 소재(b)로 이루어진 긴 시트형의 전류 집전체(B) 상에, 그로부터 연장된 동일 소재(b)의 전극 탭(제 2 전극 탭)이 형성될 부위를 제외하고, 그것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iv) 적어도 하나의 전극 탭들을 포함하도록 상기 활물질이 도포된 두 전류 집전체들(A, B)을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단계(i)는, 소재(a)로 이루어진 긴 시트형의 전류 집전체(A) 상에, 소재(b)의 긴 금속 스트립을 용접하여, 전극 탭(제 1 전극 탭)의 대응 부위를 형성하는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극 탭은 상기 단계(iv)의 재단 과정에서 상기 금속 스트립을 전극 탭의 형태로 재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전극판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전지셀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셀은 다수의 전극판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판들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전극 탭들의 단부에 그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전극리드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극리드는 다양한 방법으로 전극 탭들에 연결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용접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전극 탭 및 전극리드의 연결에서 초음파 용접만으로도 충분히 소망하는 결합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전류 집전체 상에 도포되어 있는 전극 활물질로의 도전열을 최소화하면서 전극 탭과 전극리드의 전기적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반면에, 전극리드를 전극 탭에 미리 연결한 후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레이저 용접 또는 저항 용접에 의해 상호 연결을 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전극리드는 그것이 연결되는 전극 탭들의 부위와 동일한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에서는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의 셀 외측 방향으로의 단부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에 연결되는 양극리드 및 음극리드 역시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전극리드는 구리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지케이스에 대해 전극리드가 절연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전지케이스에 접하는 전극리드의 상면 및 하면에 절연성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전지셀은 단위전지로서 다수 개 포함되어 있는 고출력 대용량의 중대형 전지모듈에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고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전지셀들을 직렬로 연결할 때, 바람직하게는, 그것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전지셀의 양극과 음극을 직접 결합시킨 직렬구조로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별도의 버스 바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소망하는 수준의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전지셀의 분해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전극 탭들은 생략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지셀(600)은 다수의 양극 판들(100, 101, 102 ...)과 다수의 음극 판들(200, 201, 202 ...)이 분리막(300)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400)을 전지케이스(500)에 장착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양극 판(100)은 양극 집전체(110)상에 양극 활물질(120)이 도포되어 있고, 그것의 양측에 양극 탭(130)이 돌출되어 있다. 양극 탭(130)은 알루미늄 소재의 집전체(110)로부터 돌출된 작은 크기의 용접부(140)에 구리 소재의 금속편(이하 구리편: 150)이 용접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반면에, 음극 판(200)은 음극 집전체(210)상에 음극 활물질(220)이 도포되어 있고, 그것의 양측으로부터 음극 탭(230)이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양극 판들(100, 101, 102 ...)과 음극 판들(200, 201, 202 ...)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에서 그것들로부터 각각 돌출된 다수의 양극 탭들(130)과 음극 탭들(230)은 별도의 전극리드(410, 420)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도 1의 전지셀을 조립한 상태의 정면 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 2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지셀(600)은 양극리드(410)와 음극리드(420)가 양측에서 전지케이스(5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양극리드(410)와 음극리드(420)는 각각 구리 소재로서, 양극 탭(130)의 구리편(150)과 음극 탭(23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전지케이스(200)의 밀봉부위(210)에 별도의 절연성 필름(430)에 의해 도포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으로 양극 판을 제조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정면도들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긴 시트형의 알루미늄 집전체(110a)의 해당 부위에 다수의 구리편들(150, 151, 152 ...)을 용접으로 부착하고, 집전체(110a)상에 양극 활물질(120)을 도포한 후, 집전체(110a)를 도 5에서와 같이 재단하여 양극 판(110) 을 제조할 수 있다. 양극 판(100)은 집전체(110a)에서 구리편들(150, 151, 152 ...)이 부착된 해당부위의 양측을 모따기 구조(A)로 재단함으로써, 구리편(150)과 알루미늄 집전체(110a)의 용접부(140)로 이루어진 양극 탭(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으로 양극 판을 제조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정면도들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의 제조방법은, 긴 구리 스트립(160)을 알루미늄 집전체(110a)에 용접한 후 재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3 내지 4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도 9에는 도 1의 전지셀 두 개를 연결하는 것으로 제조되는 전지모듈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지모듈(700)은 모두 구리 소재로 이루어진 양극리드(410, 412)와 음극리드(420, 422)가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있는 두 개의 전지셀(제 1 전지셀, 제 2 전지셀: 100, 101)로 이루어져 있다. 두 전지셀(100, 101)은 제 1 전지셀(100)의 양극리드(410)와 제 2 전지셀(101)의 음극리드(422)가 결합되어 직렬구조로 연결된다. 이때, 양극리드(410)와 음극리드(422)는 모두 구리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용접에 의해 쉽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길이 5 cm, 폭 1 cm 및 두께 500 ㎛인 직사각형 모양의 구리 시트 2 장을 각각 길이방향에서, 그것의 단부가 1 cm 정도 겹칠 수 있게 초음파 용접기 상에 위치시킨 후, 겹쳐진 부위에 용접헤드를 접촉시켜 약 40 KHz 주파수의 초음파 에너지를 10 초 동안 인가함으로써, 초음파 용접을 수행하였다.
[비교예 1]
길이 5 cm, 폭 1 cm 및 두께 500 ㎛인 직사각형 모양의 구리 시트 1 장과 같은 크기의 알루미늄 시트 1 장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시트들을 초음파 용접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2에서 각각 용접된 금속 시트들에 대해 ASTM 시험법에 의해 용접 강도(welding strength)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에서 용접된 금속 시트들은 11.1 kg/cmㅂ의 용접 강도를 나타냈다. 반면에, 비교예 1에서 용접된 금속 시트들은 7.8 kg/cmㅂ의 용접 강도를 나타냈다. 이는, 동일한 금속소재인 구리 상호간의 용접성이 이종 금속간, 즉 구리와 알루미늄 간의 용접성 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
[실시예 2]
2-1. 양극 판의 제조
도 6에서와 같이, 긴 시트형의 알루미늄 호일의 해당 부위에 긴 구리 스트립을 레이저 용접으로 연결하고, 상기 알루미늄 호일의 양면에 LiCoO2 95 중량%, Super-P(도전재) 2.5 중량% 및 PVdF(바인더) 2.5 중량%를 용제인 NMP(N-methyl-2-pyrrolidone)에 첨가한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도포한 뒤, 도 8에서와 같이 재단하여, 일측에 양극 탭이 형성되어 있는 양극 판을 제조하였다.
2-2. 음극 판의 제조
긴 시트형의 구리 호일의 양면에 인조흑연 95 중량%, Super-P(도전재) 2.5 중량% 및 PVdF(바인더) 2.5 중량%를 용제인 NMP에 첨가한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도포한 뒤, 일측에 음극 탭이 형성되도록 도 8의 모따기 구조와 같이, 상기 구리 호일을 재단하는 것으로 음극 판을 제조하였다.
2-3. 전지셀의 제조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2-1 및 2-2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양극 판과 음극 판을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뒤, 양측에서 돌출된 형태의 양극 탭들과 음극 탭들을 각각 구리 소재의 양극리드와 음극리드에 연결하고, 전지케이스에 장착한 후 전해액을 주입하여 전지를 완성하였다.
2-4. 전지모듈의 제조
상기 제조된 전지셀 3 개를 상호 직렬로 연결하여 전지모듈을 제작하였다. 전지셀들의 전극리드간 연결은 초음파 용접으로 달성하였다.
[비교예 2]
일측에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양극 탭이 형성된 양극 판을 제조하였고 알루미늄 소재의 양극리드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모듈을 제작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각각 제조된 전지모듈들의 전극리드간 결합력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극리드 연결부위를 잡아 당겨 결합 부위의 파단시까지의 인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전지들로 구성된 전지모듈은 비교예 1의 전지들로 구성된 전지모듈에 비해, 약 1.5 배의 전극리드간 결합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동일한 구리 소재의 양극리드와 음극리드를 결합한 실시예 2의 전지모듈이 초음파 용접에서 비교예 2의 전지모듈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결합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비교예 3]
양극 집전체의 양면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한 후, 그것의 미도포 부위에 구리 탭을 레이저 용접에 의해 연결하고 재단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의 2-1 내지 2-3의 방법으로 전지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전지셀들 간의 상호 직렬시 전극리드에 대해 레이저 용접을 행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방법으로 전지모듈을 제작하였다.
[실험예 2]
우선, 상기 실시예 2과 비교예 3에서 각각 제조된 전지셀들을 분리하여 10C-rate pulse cycle 조건으로 사이클 특성을 테스트 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3의 전지셀은 실시예 2의 전지셀과 비교하여 충방전 사이클 과정에서 빠른 용량 감소를 보여 주었다. 즉, 비교예 3의 전지셀은 실시예 2의 전지셀과 비교하여 100 사이클에서 약 20% 감소 및 200 사이클에서 약 28%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는,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 집전체에서 레이저 용접을 행함으로 인해, 레이저 용접시의 전도열에 의해 활물질의 일부가 열화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와 비교예 4에서 각각 제작된 전지모듈들에 대해 10C-rate pulse cycle 조건으로 사이클 특성을 테스트 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4의 전지모듈은 실시예 2의 전지모듈과 비교하여 200 사이클에서 약 34%의 출력 감소와 약 26%의 용량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이유로, 비교예 3의 전지모듈의 경우, 전극리드 간의 연결을 위한 레이저 용접시 발생한 고열이 활물질의 일부를 열화시켜 고출력의 조건에서 현저한 용량 및 출력 감소가 초래되었기 때문이다. 반면에, 실시예 2의 전지모듈은 발열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전극리드 간 연결이 달성되었으므로, 고출력의 충방전 조건에서도 높은 출력 및 용량 유지율을 발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은 그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두 전지셀들을 직렬구조로 연결하여 전지모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의 용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염분 함유 분위기에서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6)

  1. 양극과 음극이 서로 다른 소재(a, b)의 전류 집전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각각의 전류 집전체에는 전극 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탭을 제외한 일면 또는 양면에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한 쌍의 전극판들로서, 그 중 소재(a)로 이루어진 전류 집전체의 단부에 소재(b)로 이루어진 금속편을 용접하여 전극 탭을 형성하며, 상기 전류 집전체에 대한 금속편의 용접 후 전극 활물질을 전류 집전체 상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집전체에 대한 금속편의 용접은 레이저 용접(Laser Seam Welding) 또는 저항 용접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b)의 금속편은 소재(a)의 전류 집전체 상에 직접 용접하거나, 또는 전류 집전체로부터 작은 크기로 돌출되어 있는 용접부 상에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판들 중, 소재(a)로 이루어진 전극판은 알루미늄 소재의 전류 집전체로 이루어져 있고, 소재(b)로 이루어진 전극판은 구리 소재의 전류 집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소재의 전류 집전체에는 구리 소재의 금속편을 용접하여 전극 탭(제 1 전극 탭)을 형성하고, 구리 소재의 전류 집전체에는 그로부터 동일한 구리 소재의 전극 탭(제 2 전극 탭)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탭과 제 2 전극 탭은 동일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소재의 전류 집전체 상에는 제 2 전극 탭의 길이를 기준으로 그것의 1/4 ~ 2/3 길이에 대응하는 용접부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돌출 용접부 상에 구리 소재의 금속편을 용접하여, 제 2 전극 탭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제 1 전극 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극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i) 소재(a)로 이루어진 긴 시트형의 전류 집전체(A) 상에, 소재(b)의 금속편 다수 개를 각각 용접하여, 전극 탭(제 1 전극 탭)들을 형성하는 단계;
    (ii) 상기 전류 집전체(A) 중 제 1 전극 탭 부위를 제외하고 그것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및
    (iii) 소재(b)로 이루어진 긴 시트형의 전류 집전체(B) 상에, 그로부터 연장된 동일 소재(b)의 전극 탭(제 2 전극 탭)이 형성될 부위를 제외하고, 그것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iv) 적어도 하나의 전극 탭들을 포함하도록 상기 활물질이 도포된 두 전류 집전체들(A, B)을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 대신에, 소재(a)로 이루어진 긴 시트형의 전류 집전체(A) 상에, 소재(b)의 긴 금속 스트립을 용접하여, 전극 탭(제 1 전극 탭)의 대응 부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다수의 전극판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판들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전극 탭들의 단부에 그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전극리드가 연결되어 있는 전지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리드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전극 탭들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리드는 구리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에 대해 전극리드가 절연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전지케이스에 접하는 전극리드의 상면 및 하면에 절연성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5. 제 10 항에 따른 상기 전지셀을 단위전지로서 다수 개 포함되어 있는 고출력 대용량의 중대형 전지모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형 전지모듈의 고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것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전지셀의 양극과 음극을 직접 결합시킨 직렬구조로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모듈.
KR1020070058049A 2006-06-26 2007-06-13 전지셀 제조용 전극판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0878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182 2006-06-26
KR20060057182 2006-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2370A true KR20070122370A (ko) 2007-12-31
KR100878700B1 KR100878700B1 (ko) 2009-01-14

Family

ID=3884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049A KR100878700B1 (ko) 2006-06-26 2007-06-13 전지셀 제조용 전극판 및 그것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112429B2 (ko)
KR (1) KR100878700B1 (ko)
CN (1) CN101507016B (ko)
TW (1) TWI344234B (ko)
WO (1) WO20080020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156B1 (ko) * 2009-11-02 2012-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US10103385B2 (en) 2012-04-16 2018-10-16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cathode and anode having different welding portion shapes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7333B (zh) 2009-01-23 2018-06-15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具有带整体形成的端子的电化学电池的电池模块
BRPI1008746A2 (pt) 2009-02-05 2017-05-16 Evt Power Inc multiplicar a matriz condutora para correntes coletoras de bateria
US20110300438A1 (en) 2010-06-07 2011-12-08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s for bonding a cell terminal of a battery to an interconnect member
TWI398978B (zh) * 2010-06-25 2013-06-11 Simplo Technology Co Ltd 電池外殼的製造方法
KR101354580B1 (ko) 2011-06-24 2014-01-2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종 접합 탭을 가지는 배터리
EP2674999B1 (en) 2011-06-30 2016-08-10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with enhanced contact resistance
JP5842603B2 (ja) * 2011-12-26 2016-01-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接続構造、二次電池、及び車両
JP6247232B2 (ja) 2012-05-23 2017-12-1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電極組立体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る電極組立体を含む電気化学素子
WO2014126432A1 (ko) 2013-02-15 2014-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04221201B (zh) 2013-02-15 2016-08-31 株式会社Lg化学 电极组装体及包括该电极组装体的聚合物二次电池单元
EP2863466B1 (en) 2013-02-15 2020-04-01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assembly
KR101595643B1 (ko) 2013-02-15 2016-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머 이차전지 셀
TWI520402B (zh) 2013-02-15 2016-02-01 Lg化學股份有限公司 電極組及其製造方法
WO2014126434A1 (ko) 2013-02-15 2014-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CN103137937B (zh) * 2013-02-25 2015-08-26 四川万凯丰稀土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方形电池及制造方法
EP2882028B1 (en) 2013-05-23 2020-01-15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TWI505535B (zh) * 2013-05-23 2015-10-21 Lg Chemical Ltd 製造電極組之方法
WO2014189316A1 (ko) 2013-05-23 2014-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위한 기본 단위체
KR101620173B1 (ko) 2013-07-10 2016-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적층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07154480A (zh) 2013-08-29 2017-09-12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电池结构
EP3161899A4 (en) 2014-06-30 2017-12-27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for a cordless power tools
JP2017123306A (ja) * 2016-01-08 2017-07-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ラミネート電池
JP2021077614A (ja) * 2019-10-31 2021-05-20 愛三工業株式会社 組電池
CN114104369B (zh) * 2022-01-24 2022-04-08 昆山鸿仕达智能科技有限公司 自动包膜设备及包膜方法
GB2625520A (en) * 2022-12-15 2024-06-26 Jaguar Land Rover Ltd Battery assembly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9855A (ja) * 1990-12-28 1992-09-04 Sanyo Electric Co Ltd 有機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
JPH07153490A (ja) * 1993-11-26 1995-06-16 Haibaru:Kk 電 池
KR970031038A (ko) * 1995-11-08 1997-06-26 윤종용 알카리 2차 전지의 전극 제조방법
JPH11329411A (ja) * 1998-05-08 1999-11-30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 極
JP2000294221A (ja) * 1999-04-07 2000-10-20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1052681A (ja) * 1999-08-05 2001-02-23 Hitachi Maxell Ltd ポリマー電解質電池
NO20004855L (no) * 1999-09-30 2001-04-02 Sony Corp Fast elektrolyttcelle
KR100457625B1 (ko) * 2002-09-03 2004-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889769B1 (ko) * 2002-10-22 2009-03-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각형 리튬이차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JP2004247244A (ja) 2003-02-17 2004-09-02 Nec Lamilion Energy Ltd ラミネート型電池、接合端子、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KR100496303B1 (ko) 2003-05-19 2005-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 이차 전지
JP3931983B2 (ja) * 2003-06-26 2007-06-20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気リード部の構造、該リード部構造を有する電気デバイス、電池および組電池
KR100589347B1 (ko) * 2004-04-27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614398B1 (ko) * 2004-10-28 2006-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각형 리튬 이차 전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156B1 (ko) * 2009-11-02 2012-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US8900742B2 (en) 2009-11-02 2014-12-0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condary battery
US10103385B2 (en) 2012-04-16 2018-10-16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cathode and anode having different welding portion shapes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02024A1 (en) 2008-01-03
CN101507016A (zh) 2009-08-12
KR100878700B1 (ko) 2009-01-14
JP5112429B2 (ja) 2013-01-09
CN101507016B (zh) 2012-06-27
TWI344234B (en) 2011-06-21
JP2009541971A (ja) 2009-11-26
TW200807792A (en) 200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700B1 (ko) 전지셀 제조용 전극판 및 그것의 제조방법
JP5830953B2 (ja) 二次電池、バッテリユニットおよ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
US6379840B2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US7008720B2 (en) Battery having a terminal lead surface covering layer and related method
JP6043428B2 (ja) 角形電池及び組電池
CN103227311A (zh) 密闭型二次电池
WO2013065523A1 (ja) 組電池及びこの組電池に使用するための角形二次電池
JP2008293717A (ja) 二次電池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車両
JP4655593B2 (ja) バイポーラ電池
KR101797338B1 (ko) 2차 전지
KR20140009037A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US20220352606A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40012601A (ko)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US10158107B2 (en) Battery comprising insulative films
KR20080047165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101302358B1 (ko)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H11111259A (ja) 捲回式電池
US20140023913A1 (en) Prismatic secondary battery
JP4617704B2 (ja) バイポーラ電池、組電池、および、これらを搭載した車両
JP2001283824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JP4929587B2 (ja) バイポーラ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組電池
KR20140022531A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3511476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1006654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20210037929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