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644A - 촬상 장치, 데이터 추출 방법 및 데이터 추출 프로그램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데이터 추출 방법 및 데이터 추출 프로그램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644A
KR20070117644A KR1020077022764A KR20077022764A KR20070117644A KR 20070117644 A KR20070117644 A KR 20070117644A KR 1020077022764 A KR1020077022764 A KR 1020077022764A KR 20077022764 A KR20077022764 A KR 20077022764A KR 20070117644 A KR20070117644 A KR 20070117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ke correction
unit
ccd
shake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6522B1 (ko
Inventor
준 호소다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7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켜짐"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 유닛(50)은 CCD(32)를 노출시킨다. 동시에 노출 중에 제어 유닛(50)은 CCD(32)의 상대 위치와 포즈 감지기로부터 수신된 흔들림 검출 신호에 따른 렌즈를 변화시키는 CCD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이 신호에 반응하여, CCD(32)의 위치는 렌즈의 광축에 에 대해 수직으로 X 및 Y 방향으로 이동되어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실행된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50)은 CCD(32)로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사용 범위의 내부를 사용함으로써 획득된 촬산신호를 출력한다. 반면,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꺼짐"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 유닛(50)은 CCD(32)를 중앙 위치에 고정시키면서 CCD(32)를 노출시킨다. 제어 유닛(50)은 CCD(32)의 전체 영역을 사용함으로써 획득된 촬상 신호를 출력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 CCD, 제어 유닛, 렌즈, 촬상 신호, 색상 처리기, 화상 디스플레이 유닛

Description

촬상 장치, 데이터 추출 방법 및 데이터 추출 프로그램{IMAGING APPARATUS, DATA EXTRACTION METHOD, AND DATA EXTRACTION PROGRAM}
본 발명은,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을 가진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와, 촬상 장치에 대한 데이터 추출 방법 및 데이터 추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촬상 장치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카메라 흔들림 보정 방법은, 1) 보정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이동 방법(예를 들면, 미심사된 일본 특허 출원 공개공보 제 2004-80460 호 참조)와, 2) 광학 시스템을 고정시키고, 광학 시스템의 광축에 대해 수직으로 종횡 방향으로 CCD를 이동시키는 CCD 감지기 이동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미심사된 일본 특허 출원 공개공보 제 H10-191144 호 참조).
상술된 CCD 감지기 이동에 의한 카메라 흔들림 보정 방법은 통상의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정 렌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렌즈로부터 빛이 이를 수 있는 영역 범위(이미지 써클(image circle)) 내에 이동시킬 수 있는 CCD를 배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일반 CCD보다 작은 CCD가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도 14a 및 도 14b는 종래의 CCD 감지기 이동에 의한 카메라 흔들림 보정내의 이미지 써클과 CCD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참조번호(101)는 이미지 써클을, 참보번호(102)는 CCD 이동가능 범위를, 참조번호(105)는 CCD를 나타낸다. 도 14a는 CCD(105)가 이미지 써클(101)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즉,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4b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위해 CCD(105)가 이미지 써클(101)의 우측 아래로 이동된 경우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CCD(105)의 이동가능 범위(102)는 이미지 써클(101)의 범위 내로 한정된다. 그러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크기를 비교하면 작은 크기를 가지는 CCD(105)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1.25 크기를 가지는 CCD는 1/1.8 크기를 가지는 CCD용 렌즈에 장착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 크기에 상응한 크기를 가지는 촬상 소자의 사용을 가진 카메라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는 촬상 장치와, 데이터 추출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광학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광전기적으로(opto-electrically) 전환하고 촬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소자; 장치의 흔들림을 검출하고 흔들림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흔들림 검출 유닛; 및 흔들림 검출 유닛으로부터 흔들림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 소자와 광학 시스템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흔들림 보정(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실행하는 흔들림 보정 유닛; 흔들림 보정이 흔들림 보정 유닛에 의해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판별하는 흔들림 보정 필수 판별 유닛; 및 흔들림 보정 필수 판별 유닛이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촬상 소자의 기설정된 제 1 특정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촬상 신호를 처리하고, 그리고 흔들림 보정 필수 판별 유닛이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 경우 제 1 특정 영역을 포함하고 제 1 특정 영역보다 큰 촬상 소자의 제 2 특정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촬상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유닛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추출 프로그램은 광학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광전기적으로(opto-electrically) 전환하고 촬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소자; 장치의 흔들림을 검출하고 흔들림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흔들림 검출 유닛; 및 흔들림 검출 유닛으로부터 흔들림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 소자와 광학 시스템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흔들림 보정을 실행하는 흔들림 보정 유닛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컴퓨터를 제어하여, 흔들림 보정이 흔들림 보정 유닛에 의해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판별하는 기능; 및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는 판별 기능에 의해 판별된 경우, 촬상 소자의 기설정된 제 1 특정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촬상 신호를 처리하고, 그리고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 1 특정 영역을 포함하고 제 1 특정 영역보다 큰 촬상 소자의 제 2 특정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촬상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렌즈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촬상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흔들림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이해함으로써 더 분명해진다:
도 1a는 본 발명에 기초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기초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디지털 카메라의 한 실시예의 외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디지털 카메라의 한 실시예의 외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디지털 카메라의 회로 구성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따른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의 개략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루우 화상 표시시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지화면 촬영시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루우 화상 표시시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지화면 촬영시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줌 위치에 따라서 변화하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CCD의 사용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루우 화상 표시시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 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지화면 촬영시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의 궤적과 연동하여 사용되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CCD 사용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지화면 촬영시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a는 종래의 CCD 감지기 이동 방법에 따른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서 이미지 써클과 CCD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4b는 종래의 CCD 감지기 이동 방법에 따른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서 이미지 써클과 CCD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라서 촬상 장치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참조번호(101)는 이미지 써클을, 참조번호(32)는 CCD를, 참조번호(102)는 CCD 이동가능 범위를, 참조번호(104)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시의 CCD(32)내에 사용되기 위한 영역 범위를 나타낸다(이하에서 이범위를 사용범위(104)로 칭한다). 도 1a는 CCD(32)가 이미지 써클(101)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즉,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하지 않는 경우(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꺼진 경우)를 제시한다. 도 1b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켜진 경우, CCD(32)가 이미지 써클(101)의 우측 아래로 이동된 경우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D(32)의 전체 영역이 사용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서 사용되는 CCD(32)의 영역은 제 2 특정 영역으로서 언급된다. 반면,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실행된 경우에서, CCD(32)의 특정 영역(즉, 사용범위(104))은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실행된 경우에서 사용된 CCD(32)의 특정 영역은 제 1 특정 영역으로 언급된다. 이 방식으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요구된 여부에 따라서 사용되는 CCD(32)내의 영역은 제어된다. 이는 디지털 카메라 렌즈의 크기와 일치하는 크기를 가지는 CCD를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CCD(32)의 영역은 픽셀이 CCD(32)에 형성된 영역으로서 나타낼 수 있다.
도 1a 및 1b는 CCD(32)의 제 1 특정 영역이 CCD(32)의 제 2 특정 영역과 동일한 중앙 위치를 가지는 경우를 나타내지만, 이 경우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라서 촬상 장치의 제 1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정면(도 2a) 및 후면(도 2b) 외관을 주로 나타낸다.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는 정면 상에 스트로브 발광 유닛(1) 및 촬상 렌즈들(렌즈군)(2)을 포함한다. 또한,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는 디지털 카메라(1)의 후면 상에 모드 다이얼(모드 다이얼)(3), 액정 모니터 화면(4), 커서 키이(5), SET 키이(6), 줌 키이(7)(W 버튼(7-1), T 버튼(7-2)), 키이(10) 등을 포함한다. 셔터 키이(8) 및 전원 버튼(9) 은 상부면 상에 구비된다. 또한, 장치가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이하, PC로 칭함), 모뎀 등의 외부 장치와 연결될 시에 사용되는 USB 단자 연결부(미도시)는 측면 상에 구비된다.
도 3은 디지털 카메라(1)의 회로 구성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디지털 카메라(1)는, 광학 줌 기능과 자동 초점(AF) 기능을 가진다. 디지털 카메라(1)는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렌즈 블럭(11)을 포함한다.
렌즈 블럭(11)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줌 렌즈 및 초점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군(2)과, 이 렌즈군(2)의 줌 위치(줌 정도) 및 초점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감지기들(12, 13)과, 줌 렌즈를 이동시키는 줌 모터(14)와, 초점 렌즈를 이동시키는 초점 모터(15)와, 조임(미도시)을 개폐하는 조임용 액츄에이터(16)와, 기계 셔터를 개폐하는 셔터용 액츄에이터(17)가 구비된다. 모터 및 액츄에이터(14 내지 17)는 모터 구동기 블럭(20)에 구비된 구동기들(21 내지 24)(줌용(ZOOM), 초점용(Focus), 조임용(Iris) 및 셔터용(Shutter))에 의해 구동된다.
위치 검출 감지기들(12, 13) 및 모터 구동기 블럭(20)의 각 구동기(21 내지 24)들은 렌즈 제어 블럭(58)으로부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러한 감지기 및 구동기는 렌즈 제어 블럭(58)을 통해 제어 유닛(CPU/(주문형 반도체(ASIC))으로 감지기 출력, 모터 회전률 등의 정보를 전송한다.
디지털 카메라(1)는, 촬영 빛의 축을 따라서 렌즈군(2) 후방에 주요 배치된 CCD 기본부(CCD BASE)(31) 상에 구비된 CCD(32)(촬상 소자)와, CDS(상관 이중 샘플링)/ADC 블럭(33) 및 TG(시간 발생기)(34)를 포함하는 CCD 촬상 블럭(30)을 포함한 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켜질 시, CCD 기본부(31)는 CCD 기본부(31)를 제어 유닛(50)의 제어하에 CCD 이동가능 범위내에서 렌즈의 광축에 대해 수직에 종횡 방향으로 이동(쉬프트)한다.
디지털 카메라(1)가 기록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시, CCD(32)는 렌즈군(2)에 의해 형상된 피사체의 광학 화상을 광전기적으로 전환한다. 동시에, CCD(32)는 TG(34)에 따라 주사되어 일정 주기마다 한 프레임에 대한 광전 전환 데이터를 출력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는 경우에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D(32)의 특정 영역(즉, 사용 범위(104))을 사용하면서 촬상이 실행된다. 즉, CCD(32)는 제어 유닛(50)의 제어하에 사용 범위(104)내의 픽셀 데이터만이 판독될 수 있도록 일부 추출되기 위해 구동된다.
CCD(32)로부터 출력된 후, 촬상 신호는 필요한 경우 RGB 색성분마다 조정된 게인을 가진다. CDS/ADC 블럭(33)은 상관 이중 샘플링에 의한 노이지 제거를 하고,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색상 처리회로(41)로 출력한다. CCD(32)는 촬상 소자의 일종이며 CMOS 등의 다른 소자도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블럭(오디오 코덱)(35)은 오디오 입력 시스템 및 오디오 출력 시스템을 포함한다. 오디오 입력 시스템은 음성을 입력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전환하는 마이크로폰(MIC)(36)과,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전환하여 필터(38)를 통해 제어 유닛(50)에 전송하는 A/D 전환기(ADC)(37)를 포함한다. 반면, 오디오 출력 시스템은 제어 유닛(50)으로부터 필터(38)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D/A전환기(DAC)(39)와, 음성을 복원하기 위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전환하여 증폭하고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40)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폰(36) 및 A/D 전환기(37)를 통해 제어 유닛(50)에 전송된 음성 신호는 작업메모리(60)에 취득된다. 기록시에, 작업메모리(60)에 취득된 신호는 음성 압축 처리가 가해지고, 압축된 동영상 파일과 함께, 동영상 파일(동영상 데이터 + 음성 데이터)로서 화상 기록 유닛(80)에 탈착 가능한 기록 매체(예를 들면, SD 카드)에 기록된다.
색상 처리회로(41)는 입력한 촬상 신호에 대해 픽셀 보간용 색상 처리를 가해, 디지털 값을 가지는 휘도 신호(Y) 및 색상차 신호(Cb, Cr)를 생성한다. 그 후, 색상 처리회로(41)는, 본 발명의 제어 수단이고 디지털 카메라(1)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50)에 생성된 신호를 출력한다.
정지화면 촬영 모드에서 JPEG/MPEG 유닛(45)은 기록시에, JPEG 데이터 압축을 가하여 작업메모리(60)에 취득된 정지화면 데이터를 압축한다. JPEG 데이터 압축에서, JPEG/MPEG 유닛(45)은 ADCT(적응 이산 코사인 변환)에 의해 데이터를 전환한 후, 엔트로피 코딩 방법인 허프만 코딩을 인가한다. 그 후, 제어 유닛(50)은 획득된 코딩 데이터를,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 파일 형태로 화상 기록 유닛(80)내의 SD 카드에 기록한다.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기록시, 작업메모리(60)에 취득된 일련의 동영상 데이터를 MPEG(동화상 전문가 그룹) 방식으로 압축한다. 그 후, 제어 유닛(50)은 획득 된 코딩 데이터를, 동영상 데이터 파일 형태로 화상 기록 유닛(80)내의 SD 카드에 기록한다.
JPEG/MPEG 유닛(45)은 복수의 압축률에 적용된다. 저 압축률의 기록 모드(통상적으로, 고정밀, 파인, 노멀 등으로 일컬음)와, 저 압축률의 기록 모드(통상, 이코노미 등으로 일컬음)로 제공된다.
또한, JPEG/MPEG 유닛(45)은 다음과 같이 해상도의 넓은 범위로도 적용된다; QXGA(Quad eXtended Graphics Array(2048×1536)), UXGA(Ultra eXtended Graphics Array(1600×1200)), SXGA+(SXGA Plus(1400×1050)), SXGA(Super eXtended Graphics Array(1280×1024)), XGA(eXtended Graphics Array(1024×786)), SVGA(Super Video Graphics Array(800×600)), VGA(Video Graphics Array(640×480)), QVGA(Quarter VGA(320×240)) 등이다.
제어 유닛(50)은 실제로는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내부 메모리를 포함하고, 각종의 연산 회로, 데이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제어 유닛(50)은 DRAM에 의해 구성된 작업메모리(60)에 전송된 디지털 신호들(화상 신호들)을 임시 저장하여, 이 디지털 신호들(화상 신호들)을 디스플레이 유닛(70)에 전송되기도 한다. 또한, 제어 유닛(50)은 작업메모리(60)에 임시 저장된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휘도 및 색상차 신호들을 압축하고, 화상 기록 유닛(80)내의 기록 매체(예를 들면, SD 카드) 상에 압축된 데이터의 기록을 실행하기도 한다.
제어 유닛(50)은 각종의 렌즈 동작 프로그램들과 키이 회로(95)로부터의 동 작 신호 등에 기초하여, 상술된 모터 구동기 블럭(20)의 각종 구동기(21 내지 24)에 전송되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렌즈 제어 블럭(58)을 제어한다. 신호는 줌 렌즈와 초점 렌즈의 위치와, 조임의 개도(opening degree)와, 그리고 기계 셔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이 시점에서, 줌 렌즈와 초점 렌즈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렌즈 제어 블럭(58)을 통해 제어 유닛(50)으로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이러한 렌즈들의 위치 정보는 줌 위치와 초점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감지기들(12, 13)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켜진 경우(또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어 유닛(50)은 포즈(pose) 감지기(65)로부터 포즈 검출 신호를 처리한다. 즉, 제어 유닛(50)은 CCD 기본부(31)를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CCD 이동 구동기(55)에 전송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CCD 이동 구동기(55)는 CCD 액츄에이터(18)를 구동시키고, CCD 기본부(31)(즉, CCD(32))의 이동(쉬프트) 동작을 제어한다. 이 시점에서, 제어 유닛(50)은 CCD(32)로부터 출력된 카메라 흔들림 보정시 사용 범위내의 화상 신호가 적당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CDS/ADC 블럭(33) 및 색상 처리회로(41)를 제어한다(일부 추출된 방식으로 구동된 CCD(32)에 의해, CCD(32)의 특정 영역의 화상 신호는 CCD(32)로부터 출력된다).
일부 추출된 방식으로 CCD(32)를 구동시키는 대신, CCD(32)의 전체 영역을 사용하여 획득된 화상 신호는 작업메모리(60)에 임시 저장될 수 있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사용범위내의 화상 신호는 저장된 화상 신호로부터만 판독되고(추 출되고), 화상 디스플레이 유닛(70)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저장된 화상 신호는 화상 기록 유닛(80)내의 SD 카드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추출된 방식으로 CCD(32)를 구동시키는 대신, CCD(32)의 전체 영역을 사용하여 획득된 화상 신호는 CDS/ADC 블럭(33) 또는 색상 처리회로(41)에 의해 일부 추출(제거)될 수 있다.
CCD(32)의 픽셀 판독 범위와 CCD로부터 출력된 촬상 신호의 추출(제거) 범위 모두를 제어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사용 범위내의 촬상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CD(32)는 사용된 픽셀 판독 범위를 추출하면서, 색상 처리회로(41)는 출력 촬상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포즈 감지기(65)는 디지털 카메라(1)의 카메라 흔들림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가 포즈 감지기(65)로서 사용될 수 있다. 포즈 감지기(65)의 포즈 검출 결과는 카메라 검출 신호로서 제어 유닛(50)에 출력된다.
화상 디스플레이 유닛(70)은 비디오 인코더, VRAM 제어기, VRAM, 액정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모니터용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화상 디스플레이 유닛(70)은 전송된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비디오 신호를 비디오 인코더에 의해 생성된다. 그 후, 화상 디스플레이 유닛(70)은 비디오 신호에 기초한 표시 화상, 즉 CCD(32)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스루우 화상, 메뉴 데이터 등을 액정 모니터 화면(4)에 표시한다.
또한, 화상 디스플레이 유닛(70)은 모니터 디스플레이 유닛(전자 파인더)으로서 기능을 한다. 화상 디스플레이 유닛(70)은 비디오 인코더로부터의 비디오 신 호에 기초하여 표시 동작을 실행하고, 이 시점에서 VRAM 제어기로부터 획득된 화상 정보에 기초한 화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화상 기록 유닛(80)은 구체적으로 카드 인터페이스와 여러 종류의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예를 들면, SD 카드)를 포함한다. 메모리 카드는 카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유닛(50)에 연결되고, 그리고 카메라 본체와 탈착 가능하다. 재생 모드에서, 화상 기록 유닛(80)에 의해 기록된 화상 데이터는 제어 유닛(50)에 의해 판독되고, JPEG/MPEG 유닛(45)에 의해 압축해제되고, 화상 디스플레이 유닛(70)에 전송된 후, 액정 모니터 화면(4) 상에 표시된다. 정지화면 촬영 모드에서, 셔터 키이(8)가 스루우 화상의 표시 상태에서 동작되는 경우(즉, 이 시점에서의 화상이 모니터 화상으로서 실시간으로 화상 디스플레이 유닛(70)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 상태), 트리거 신호는 생성된다. 제어 유닛(50)은 이 트리거 신호에 따라 스루우 화상 촬상 처리를 정지하고, 정지화면 촬영 처리를 개시한다. 이 정지화면 촬상 처리에 의해 CCD(32)로부터 획득된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휘도 및 색상차 신호들은 작업메모리(60)로 전송된 DMA이다. 전송된 후, 스루우 화상 촬상 처리를 재개하고, 작업메모리(60)에 저장된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휘도 및 색상차 신호는 JPEG/MPEG 유닛(45)에 의해 JPEG-압축되고 화상 기록 유닛(80)내의 SD 카드로 기록된다. 여기서, 스루우 화상 촬상 처리는 화상 처리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이유로, 스루우 화상 처리에서 CCD(32)는 픽셀 가산을 실행하기 위해 구동되거나, 픽셀 추림(decimation)은 CDS/ADC 블럭(33) 또는 색상 처리회로(41)에 의해 실행되어서 화상 신호의 해상도(픽셀수)를 감소시킨다. 반면, 정지화면 촬영 처리에서 CCD(32)는 구동된 전제 픽셀을 가지거나, 노출을 스루우 화상 촬상 처리에서 소요된 시간보다 길게 하여 화상 신호의 화질을 향상시킨다.
동영상 촬영 모드와 같이, 셔터키이(8)가 동작될 시 트리거 신호는 생성되면서 스루우 화상은 표시된다. 제어 유닛(50)은 스루우 화상 촬상 처리 및 스루우 화상 표시 처리를 계속시키면서, 이 트리거 신호에 따라 제어 유닛(50)은 CCD(32)로부터 획득되고 작업메모리(60)에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휘도 및 색상차 신호를 MPEG-압축하기 위해 JPEG/MPEG 유닛(45)을 제어한다. 셔터 키이(8)가 재차 동작되는 경우나 SD 카드가 완전히 차있는 경우, 제어 유닛(50)은 압축 처리 및 기록 처리를 정지하여 스루우 화상을 표시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서브 마이크로컴퓨터(90)는 키이 회로(95)에 구비된 다양한 키이 동작에 에 상응하는 신호를 제어 유닛(50)에 전송하는 서브 CPU/ASIC(미도시)를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서브 마이크로컴퓨터(90)는 모드 다이얼(3)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이하, 키이 정보라 칭함)를 제어 유닛(50)에 전송한다. 또한, 서브 마이크로컴퓨터(90)는 전원 회로(96)의 켜짐/꺼짐 등을 제어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이 회로(95)는 모드 다이얼(3), 액정 모니터 화면(4), 커서 키이(5), SET 키이(6), 줌 키이(7)(W버튼(7-1), T버튼(7-2)), 셔터 키이(8) 및 전원 버튼(9)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키이가 동작되면, 키의 종류 및 동작 상태에 상응한 신호가 서브 마이크로컴퓨터(90)로 출력된다.
모드 다이얼(3)은 동영상 촬영 모드와 정지화면 촬영 모드를 쉬운 동작으로 전환시키는 버튼이다. 동영상 촬영 모드 동안 모드 다이얼(3)을 누르면, 모드는 정 지화면 촬영 모드로 전환되고, 그리고 정지화면 촬영 모드 동안 모드 다이얼(3)을 누르면 동영상 촬영 모드로 전환된다.
커서 키이(5)는, 모드 설정이나 메뉴 선택 등에 따라서 액정 모니터 화면(4)에 표시되는 (지정)메뉴나 아이콘 등을 가리키는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해 동작되는 키이다. 커서는 커서 키이(5)의 동작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에 이동될 수 있다. SET 키이(6)는 커서 키이(5)에 의해 표시된 항목이 선택 혹은 확인될 시에 눌러지게 되는 확인 키이다.
줌 키이(7)는 줌 동작에 사용된다. 광학 줌인 경우, 줌 렌즈(가변 초점거리 렌즈)는 줌 키이(7)(W 버튼(7-1) 또는 T 버튼(7-2))의 동작에 따라서 광각 또는 망원각으로 이동된다. 줌 값은 줌 키이(7)의 동작에 따라서 판별되며, 화상은 줌값에 변화를 따라 실제적으로 변화하여, 넓은 화상 또는 망원 화상이 액정 모니터 화면(4)에 표시된다. 디지털 줌인 경우, 줌 값은 줌 키이(7)의 동작에 따라서 판별되지만, 실제 화각은 변화하지 않는다. 즉, 줌 값에 상응한 크기를 가지는 트리밍된 화상이 액정 모니터 화면(4)에 표시된다.
셔터 키이(8)는 정지화면 촬영 모드에 릴리즈(release) 동작을 실행하고 2단계의 스트로크(stroke)를 가진다. 제 1 단계 동작(반누름)에서는 자동 초점(AF)과 자동 노출(AE)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초점 지시 신호가 발생된다. 제 2 단계 동작(완전 누름)에서는 촬영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촬영 지시 신호가 발생된다. 셔터 키이(8)는 동영상 촬영 모드에 동영상 촬영 개시 버튼 및 동영상 촬영 종료 버튼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키이(10)는 메뉴 키이로써 기능하는 키이다. 키이(10)가 눌러지면, 그 시점에서 선택될 수 있는 메뉴기능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커서 등을 동작하여 표시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키이(10)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 설정 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을 가진 디지털 카메라(1)의 개략 동작을 나타내는 처리 순서도이다. 이 순서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1)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제시된 처리는 기본적으로 제어 유닛(50)이 플래시 메모리 등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되는 예로 설명된다. 그러나, 전체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될 필요는 없다. 이 기능은, 필요하다면 네트워크를 통해 전체 기능 또는 일부를 수신하여 실현될 수 있다. 다음 설명은 도 1 내지 4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1)가 줌 기능 및 자동 초점 기능을 가진 가정하에 다음 설명을 한다. 도 4에서, 큰 사각형(단계 S2 및 S8)은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처리를 제시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반면, 작은 사각형(단계 S1, S3 내지 S7 및 S9)은 스루우 화상 표시에서 촬영, 촬영 촬상의 기록에 이르는 각 처리를 나타내는 단계이다.
도 4에서, 디지털 카메라(1)의 주전원이 사용자의 전원 버튼(9) 동작에 의해 켜지게 될 시, 그리고 사용자가 모드 다이얼(3)을 동작하여 정지화면 촬영 모드를 선택할 시, 선택된 정지화면 촬영 모드용의 초기값이나 초기 촬영 조건이 설정된다. 정지화면 촬영 모드 선택 후의 초기설정에 따라,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은 " 꺼짐"으로 설정된다(단계 S1).
스루우 화상 표시 동안에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의 켜짐/꺼짐(또는 필요와 불필요)에 따라 기능이 켜진 경우(필요한 경우), 제어 유닛(50)은 CCD 기본부(31)의 이동이나 CCD(32)의 사용 범위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서 스루우 화상 표시 시점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를 실행한다. 스루우 화상 표시 시점에서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는 제 1 실시예로서 도 5에서 도시된 순서도에, 제 2 실시예로서 도 7에서 도시된 순서도에, 그리고 제 3 실시예로서 도 10에서 도시된 순서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단계 S2).
제어 유닛(50)은 키이 회로(95)로부터 신호에 기초한 줌 지시(W 버튼(7-1) 또는 T 버튼(7-2))가 있는지를 판별한다. 줌 지시가 있는 경우, 단계 S4로 진행한다. 줌 지시가 없는 경우, 단계 S5로 진행한다(단계 S3).
줌 지시가 있는 경우, 제어 유닛(50)은 줌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렌즈 블럭(11)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 유닛(50)은 줌 모터(14)를 구동하기 위해 모터 구동기(20) 블럭(20)에 구비된 줌(ZOOM) 구동기(21)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줌 모터(14)는 지정된 줌 정도에 대응하는 줌 위치에 줌 렌즈를 이동시킨다(단계 S4).
제어 유닛(50)은 키이 회로(9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셔터 키이(8)가 반눌려졌는지를 조사한다. 반눌림 동작이 있을 경우,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는 경우, 단계 S2로 진행한다(단계 S5).
셔터 키이(8)가 반 눌러지게 되면, 제어 유닛(50)은 그 시점에서 선택된 줌 위치(줌 정도)에 대응한 초점거리로 자동 초점(AF) 처리, 자동 조임(AE) 처리 및 화이트 밸런스 처리(AWB)를 실행한다(단계 S6). 그 후, 제어 유닛(50)은 CCD 촬상 블럭(30), 색상 처리회로(41)를 통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디스플레이 유닛(70)의 액정 모니터 화면(4)에 스루우 화상으로서 표시한다. 동시에, 제어 유닛(50)은 셔터 키이(8)가 완전하게 눌렸는지를 판별한다. 이 시점에, 셔터 키이(8)가 완전하게 눌러지게 되면, 단계 S8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5로 진행한다(단계 S7).
정지화면 촬영이 지시될 시, 즉, 셔터 키이(8)가 완전히 눌러지게 될 시, 제어 유닛(50)은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켜졌는지 또는 꺼졌는지(또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지)를 판별한다. 판별에 근거하여, 제어 유닛(50)은 촬영 시점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를 실행한다. 이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는 CCD 기본부(31)의 이동 단계 및 CCD(32)의 사용 범위 크기의 설정 단계 등을 포함한다. 정지화면 촬영의 시점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는 제 1 실시예에 대한 도 6에 도시된 순서도에, 제 2 실시예에 대한 도 8에 도시된 순서도에, 그리고 제 3 실시예에 대한 도 11에 도시된 순서도에, 그리고 제 4 실시예에 대한 도 13에 도시된 순서도에 기초하여 설명된다(단계 S8).
다음에, JPEG/MPEG 유닛(45)은 작업메모리(60)에 저장된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화상 데이터(정지화면 데이터)에 관한 JPEG 압축처리를 실행한다. 압축된 정지화면 데이터는 화상 기록 유닛(80)의 SD 카드에 기록되고,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정지화면의 촬영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9). 그 후, 단계 S2로 다시 진행한다.
(제 1 실시예 )
본 실시예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스루우 화상 표시의 시점(도 5)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를 실행하는 도 4의 순서도 단계 S2로 설정되는 예를, 그리고 정지화면 촬영(도 6)의 시점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가 도 4의 단계 S8로 실행되는 예를 제시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루우 화상 표시의 시점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의 한 실시예를 제시한 순서도이고, 도 4의 단계 S2를 자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5를 기본으로 하여 다음 설명을 한다.
도 4의 단계 S1의 초기 설정 후, 제어 유닛(50)은 그 시점의 촬영 조건으로 스루우 화상에 대한 AE 처리를 실행한다. 그 후, 제어 유닛(50)은 색상 처리회로(41)를 제어하고, CCD(32)로부터 획득된 화상 데이터에 화이트 밸런스(AWB) 처리를 가한다. 그 후, 제어 유닛(50)은 작업메모리(60)로 처리 결과를 전송하기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 유닛(50)은 스루우 화상 표시를 개시하기 위해서 화상 디스플레이 유닛(70)의 액정 모니터 화면(4)에 처리 결과를 전송한다(단계 S2-1-1).
다음에, 제어 유닛(50)은 키이 회로(9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키이(10)를 눌렀는지 판별한다. 키이(10)가 눌러진 경우, 제어 유닛(50)은 사용자가 메뉴 선택을 신속하게 하기 위해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 선택 메뉴를 포함한 메뉴 화면(미도시)을 표시한다(단계 S2-1-2).
또한, 제어 유닛(50)은 키이 회로(95)로부터의 신호를 검사한다. 사용자가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을 선택한 경우, 제어 유닛(50)은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을 켜고 단계 S2-1-3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2-1-5로 진행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의 켜짐/꺼짐 설정은 RAM에 설정을 저장하여 구현될 수 있 다. 즉,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에 대한 켜짐/꺼짐 설정 플래그 영역(미도시)은 RAM에서 확보되고, 그리고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켜지는지 꺼지는지에 따라 플래그 값(예를 들면 켜짐→1, 꺼짐→0)은 영역에 저장된다(단계 S2-1-2).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상술된 단계 S2-1-2에서 켜질 경우, 제어 유닛(50)은 포즈 감지기(65)로부터 수신된 흔들림 검출값에 따라 CCD 이동 구동기(55)에 전송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CCD 이동 구동기(55)는, CCD 이동가능 범위(102)내에서 CCD 기본부(31)(즉, CCD(32))의 위치를 렌즈의 광축에 대해 수직에 X 방향, Y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변화시키는 CCD 액츄에이터(18)를 구동시킨다. 이후, 단계 S2-1-4로 진행한다(단계 S2-1-3).
다음에, 제어 유닛(50)은 CCD(32)의 사용 범위(104)의 내부를 사용함으로써 획득된 촬상 신호를 CDS/ADC 블럭(33)을 통해 색상 처리회로(41)로 출력하고, 도 4의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스루우 화상 표시 시점에서 픽셀 혼합 또는 픽셀 추림이 실행되기 때문에, 화상 크기는 정지화면 촬영의 시점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예를 들면, 512×384 픽셀)로 설정된다(단계 S2-1-4).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꺼진 경우, 제어 유닛(50)은 중앙 위치에 CCD 기본부(31)(즉, CCD(32))를 고정시킨다. 또한, 제어 유닛(50)은 CCD(32)의 전체 영역의 사용으로 획득된 촬상 신호를 CDS/ADC 블럭(33)을 통해 색상 처리회로(41)에 출력하고, 도 4의 단계 S3로 진행한다. 이 경우에서도, 픽셀 혼합 또는 픽셀 추림이 스루우 화상 표시 시점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화상 크기는 정지화면 촬영의 시점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예를 들면, 640×480 픽셀)로 설정된다(단계 S2-1-5). 단계 S2-1-4 또는 단계 S2-1-5에서의 화상 신호 출력은 단계 S2-1-1에서 스루우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라서 정지화면 촬영시점에서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그리고 도 4의 단계 S8을 자세하게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4 및 도 6을 기본으로 하여 다음 설명을 한다.
도 4의 단계 S7에서 셔터 키이(8)가 완전하게 눌러지게 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어 유닛(50)은 켜짐/꺼짐 설정 플래그 영역을 조사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켜진 경우, 제어 유닛은 단계 S8-1-2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제어 유닛(50)은 단계 S8-1-4로 진행한다(단계 S8-1-1).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켜진 경우, CCD(32)를 노출시키고 노출과 동시에 포즈 감지기(65)로부터 수신된 흔들림 검출값에 따라서 CCD 이동 구동기(55)에 전송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시킨다. CCD 이동 구동기(55)는 CCD 이동가능 범위(102)내에서 렌즈의 광축에 대해서 수직에 X 방향, Y 방향으로 CCD 기본부(31)(즉, CCD(32))의 위치를 이동시킨다(단계 S8-1-2).
제어 유닛(50)은 CCD(32)의 사용 범위(104)의 내부 영역을 사용하여 획득된 소정의 픽셀 크기(예를 들면, 2560×1920 픽셀)를 가지는 촬상 신호를 CDS/ADC 블럭(33)을 통해 색상 처리회로(41)로 출력하고, 단계 S8-1-6으로 진행한다(단계 S8-1-3).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꺼진 경우, 제어 유닛(50)은 CCD 기본부(31)(즉, CCD(32))를 중앙 위치에 고정시키면서, 단계 S8-1-1에서 획득된 셔터 속도 등의 촬 영 조건에 따라서 CCD(32)를 노출시킨다(단계 S8-1-4). 또한, 제어 유닛(50)은 CCD(32)의 전제 영역의 사용으로 획득된 소정의 크기(예를 들면, 3200×2400 픽셀)를 가지는 화상의 촬상 신호를 CDS/ADC 블럭(33)을 통하여 색상 처리회로(41)로 출력하고, 단계 S8-1-6으로 진행한다(단계 S8-1-5).
색상 처리회로(41)는 입력된 촬상 신호에 대해 화소 보간을 실행하는 색상 처리를 가하여, 디지털 값을 가지는 휘도 신호(Y) 및 색상차 신호(Cb, Cr)를 생성하기 위해 YUV 전환처리를 실행한다. 제어 유닛(50)은 단계 S8-1-3 또는 단계 S8-1-5에서 정해진 화상 크기에 따라서 이 처리된 데이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그리고 도 4의 단계 S9로 진행한다(단계 S8-1-6).
도 5 및 도 6의 순서도에서 제시된 동작에 의해,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켜져있는지 또는 꺼져있는지에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는 스루우 화상 표시의 시점에서 그리고 정지화면 촬영 시점(정지화면의 노출기간 중)에서 CCD(32)의 사용 범위를 변화시킨다. 그러므로, 디지털 카메라(1)는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CC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영역내의 픽셀이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로 사용되기 때문에, 지나친 노출로도 영향을 받지 않는 화상은 획득될 수 있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 고해상도를 가지는 화상은 CCD(32)의 전체 영역의 사용으로 획득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
상술된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가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을 임의로 설정하면서, 스루우 화상은 표시된다. 반면, 카메라 흔들림 양은 줌 배율과, 피사 체의 광도와 CCD 감도의 관계에 의한 셔터 속도에 의존한다. 즉, 일반적으로 피사체가 충분히 밝고 광각 측에서 촬영하는 경우, 카메라 흔들림에 관한 문제는 없다. 그러므로,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을 켜지게 하거나 꺼지게 하는 수동적인 설정대신에, 줌 배율, 셔터 속도 등과 같은 촬영 조건에 따라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필요성을 자동적으로 판별(상술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지에 대한 판별은 "필요성 판별"이라 칭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루우 화상 표시의 시점과 정지화면 촬영시의 시점에서의 상술된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지를, 그리고 CCD 영역의 어떤 일부가 사용될 수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스루우 화상 표시의 시점에서 촬영 조건에 따른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필요성 판별에 기초한 카메라 흔들림 보정(도 7)이 도 4 순서도의 단계 S2에서 실행되는 경우를 제시한다. 촬영 조건에 따라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필요성 판별에 기초한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도 8)가 도 4의 단계 S8에서 실행되는 경우도 제시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라서 스루우 화상 표시의 시점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며, 그리고 도 4의 단계 S2의 순서도를 자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4 및 도 7을 기본으로 하여 다음 설명을 한다.
도 7에서, 제어 유닛(50)은 그 시점에서 줌 위치 정보와 셔터 속도 등의 촬영 조건을 획득한다(단계 S2-2-1). 제어 유닛(50)은 획득된 줌 위치에 상응하는 초점 길이에서 스루우 화상에 대한 AE 처리를 실행한다. 그 후, 색상 처리회로(41)는 CCD(32)로부터 획득된 화상 데이터에 화이트 밸런스(AWB) 처리를 가한다. 제어 유닛(50)은 작업메모리(60)에 처리 결과를 전송하기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 유닛(50)은 화상 디스플레이 유닛(70)의 액정 모니터 화면(4)에 처리 결과를 전송하고 스루우 화상 표시를 개시한다. 단계 S2-2-1에서 획득된 셔터 속도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된 값일 수 있거나, 또는 스루우 화상 표시에 대한 CCD(32)에 의해 얻어진 화상 신호의 광도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설정된 값일 수도 있다(단계 S2-2-2).
제어 유닛(50)은 단계 S2-2-1에서 획득된 줌 위치 정보로부터 줌 배율을 획득한다. 제어 유닛(50)은 단계 S2-2-1에서 획득된 줌 배율과 셔터 속도에 기초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지를 판별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 경우, 단계 S2-2-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2-2-6으로 진행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필요성의 판별에서, 예를 들면, 단계 S2-2-1에서 획득된 셔터 속도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광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지를 측정한다. 또한, 피사체가 단계 S2-2-1에서 획득된 줌 위치에 기초한 광각에서 촬영된지가 판별될 수 있다. 이러한 판별 결과에 따라서, 피사체의 광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 그리고 피사체가 광각에서 촬영된 경우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은 불필요하게 판단되며, 그리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하게 판단된다(단계 S2-2-3).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단계 S2-2-3에서 필요하다고 판별된 경우, 제어 유닛(50)은 포즈 감지기(65)로부터 수신된 흔들림 검출값에 따라서 CCD 이동 구동 기(55)로 전송되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 CCD 이동 구동기(55)가 CCD 이동가능 범위(102)내에서 렌즈의 광축에 대해 수직에 X 방향, Y 방향으로 CCD 기본부(31)(즉, CCD(32))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그 후 단계 S2-2-5로 진행한다(단계 S2-2-4).
다음에, 제어 유닛(50)은 CCD(32)의 사용 범위(104)의 내부 영역의 사용으로 획득된 촬상 신호를 CDS/ADC 블럭(33)을 통해 색상 처리회로(41)로 출력하고, 도 4의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스루우 화상 표시 시점에서 픽셀 혼합 또는 픽셀 추림이 실행되기 때문에, 화상 크기는 정지화면 촬영 시점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예를 들면, 512×384 픽셀)로 설정된다(단계 S2-2-5).
단계 S2-2-3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어 유닛(50)은 CCD 기본부(31)(즉, CCD(32))를 중앙 위치에 고정하여, CCD(32)의 전체 영역이 사용되기 위한 사용 영역을 설정하고 촬상 신호를 CDS/ADC 블럭(33)을 통해 색상 처리회로(41)로 출력하고, 도 4의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에서도, 스루우 화상 표시 시점에서 픽셀 혼합 또는 픽셀 추림이 실행되기 때문에, 화상 크기는 정지화면 촬영 시점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예를 들면, 640×480 픽셀)로 설정된다(단계 S2-2-6).
단계 S2-2-5 또는 단계 S2-2-6에서 출력된 화상 신호는 스루우 화상으로서 단계 S2-2-2에 표시된다. 줌 배율이 단계 S3에서 변화될 경우, 이 변경 후의 줌 배율은 상술된 단계 S2-2-1에서 획득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지화면 촬영시점에서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 의 한 실시예를 제시한 순서도이고 도 4의 단계 8을 자세하게 제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4 및 도 8을 기본으로 하여 다음 설명을 한다.
도 4의 단계 S7에서 셔터 키이(8)가 완전하게 눌러지게 되면, 제어 유닛(50)은 그 시점의 줌 위치 및 셔터 속도 등의 촬영 조건을 획득한다(단계 S8-2-1). 제어 유닛(50)은 획득된 셔터 속도와 줌 배율에 기초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지를 판별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 경우, 단계 S8-2-3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8-2-5로 진행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지는 도 7의 단계 S2-2-3과 동일한 방식으로 판별될 수 있다(단계 S8-2-2).
단계 S8-2-2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 경우, 제어 유닛(50)은 단계 S8-2-1에서 획득된 셔터 속도 등의 촬영 조건에 따라서 CCD(32)를 노출시킨다. 이와 동시에, 노출중에 제어 유닛(50)은 포즈 감지기(65)로부터 수신된 흔들림 검출값에 따라서 CCD 이동 구동기(55)에 전송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CCD 이동 구동기(55)가 CCD 이동가능 범위(102)내에서 렌즈의 광축에 대해 수직에 X 방향, Y 방향으로 CCD 기본부(31)(즉, CCD(32))의 위치를 이동시킨다(단계 S8-2-3).
다음으로, 제어 유닛(50)은 CCD(32)의 사용 범위의 내부 영역의 사용으로 획득된 소정의 크기(예를 들면, 2560×1920 픽셀)을 가지는 화상의 촬상 신호를 CDS/ADC 블럭(33)을 통하여 색상 처리회로(41)로 출력하고, 단계 S8-2-7로 진행한다(단계 S8-2-4).
단계 S8-2-2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어 유닛(50)은 단계 S8-2-1에서 획득된 셔터 속도 등의 촬영 조건에 따라서 CCD 기본부(31)(즉, CCD(32))를 중앙 위치에 고정시키면서, CCD(32)를 노출시킨다(단계 S8-2-5). 또한, 제어 유닛(50)은 CCD(32)의 전체 영역의 사용으로 획득된 소정의 크기(예를 들면, 3200×2400 픽셀)을 가지는 화상의 촬상 신호를 CDS/ADC 블럭(33)을 통하여 색상 처리회로(41)로 출력하고, 단계 S8-2-7로 진행한다(단계 S8-2-6).
색상 처리회로(41)는 입력된 촬상 신호에 대해 화소 보간을 실행하는 색상 처리를 가하여, 디지털 값을 가지는 휘도 신호(Y) 및 색상차 신호(Cb, Cr)를 생성하기 위해 YUV 전환처리를 실행한다. 제어 유닛(50)은 단계 S8-2-4 또는 단계 S8-2-6에서 정해진 화상 크기에 따라서 발생된 신호에 관한 전송된 데이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그리고 도 4의 단계 S9로 진행한다(단계 S8-2-7).
도7 및 도 8의 순서도에서 도시된 동작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는 줌 배율, 셔터 속도 등의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에 따라, CCD(32)내의 사용 범위는 스루우 화상 표시 시점과 정지화면 촬영 시점(정지화면 노출 기간중)에서 변화된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는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CCD를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영역내의 픽셀이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로 사용되기 때문에, 지나친 노출로도 영향을 받지 않는 화상은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 고해상도를 가지는 화상은 CCD(32)의 전체 영역의 사용으로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자동 판별에 의해 켜짐/꺼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있어서 작동에 대한 부담감이 감소된다.
(제 3 실시예 )
상술된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줌 배율이나 셔터 속도 등의 촬영 조건에 따라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지를, 그리고 CCD 영역의 어느 일부를 사용할지를 자동적으로 판별한다. 반면, 카메라 흔들림 양이 최대 광각에서 망원각까지 카메라 줌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줌 위치에 기초하여 카메라 흔들림 양의 최대값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줌 위치에 따라서 CCD 영역 중앙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사용 범위(추출 범위)를 판별할 수 있다. 즉,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흔들림 보정의 시점에서 CCD(32)내에서 사용자 범위(104)의 크기는 줌 위치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사용자 범위(104)는 줌 위치에 따라서 증가 또는 감소한다).
본 실시예는 스루우 화상 표시의 시점에서 촬영 조건을 고려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필요성 판별에 기초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도 10)가 도 4의 순서도에서 단계 S2에서 실행되는 경우와, 그리고 촬영 조건을 고려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필요성 판별에 기초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도 11)가 도 4의 단계 S8에서 실행되는 경우를 제시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루우 화상 표시의 시점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의 단계 S2의 순서도를 자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4, 도 9 및 도 10을 기본으로 하여 다음 설명을 한다.
도 10에서, 제어 유닛(50)은 그 시점에서 줌 위치 정보 및 셔터 속도 등의 촬영 조건을 획득한다(단계 S2-3-1). 그 후, 제어 유닛(50)은 획득된 줌 위치에 상응한 초점 길이에서 스루우 화상에 대한 AE 처리를 실행한다.
색상 처리회로(41)는 CCD(32)로부터 획득된 화상 데이터에 화이트 밸런스(AWB) 처리를 가한다. 제어 유닛(50)은 작업메모리(60)에 처리 결과를 전송하기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 유닛(50)은 스루우 화상 표시를 개시하기 위해 화상 디스플레이 유닛(70)의 액정 모니터 화면(4)에 처리 결과를 전송한다(단계 S2-3-2). 단계 S2-3-1에서 획득된 셔터 속도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된 값일 수 있거나, 또는 스루우 화상 표시에 대한 CCD(32)에 의해 얻어진 화상 신호의 광도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설정된 값일 수도 있다.
제어 유닛(50)은 단계 S2-3-1에서 획득된 줌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줌 배율을 획득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필요성은 단계 S2-3-1에서 획득된 줌 배율과 셔터 속도에 기초하여 판별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 경우 단계 S2-3-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S2-3-8로 진행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지는 도 7의 단계 S2-2-3와 동일한 방식으로 판별될 수 있다(단계 S2-3-3).
단계 S2-3-3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한 경우, 제어 유닛(50)은 소정의 계산 방법에 따라서 단계 S2-3-1에서 획득된 줌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줌 위치에서 카메라 흔들림 양의 최대값을 계산한다. 카메라 흔들림 양의 최대값의 예측된 값(이하에서 예측된 값을 최대 예측값이라 칭함)과 줌 위치가 연관된 테이블을 사전에 준비하고 프로그램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에 테이블을 등록할 수도 있어서, 예측 값은 줌 위치에 따라서 테이블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획득된 줌 위치 정보가 등록된 줌 위치 이외에 다른 줌 위치를 지시하는 경우, 테이블에서 등록된 값에 기초한 보간을 실행하여 줌 위치에서 카메라 흔들림 양의 최 대값을 계산할 수 있다(단계 S2-3-4).
다음으로, 제어 유닛(50)은 단계 S2-3-4에서 획득된 카메라 흔들림 양의 최대 예측값에 기초한 CCD 영역의 중앙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사용범위를 판별하고 단계 S2-3-6으로 진행한다(단계 S2-3-5). 여기서, 단계 S2-3-4에서 획득된 카메라 흔들림 양의 최대 예측값이 증가함에 따라,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사용범위는 작아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획득된 줌 위치에서 카메라 흔들림 양의 최대 예측값은 단계 S2-3-1에서 획득된 줌 위치에 기초한 단계 S2-3-4에서 계산되고, 그리고 CCD 영역 중앙에서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사용 범위는 카메라 흔들림 양의 최대 측정 값에 기초하여 단계 S2-3-5에서 판별된다. 그러나, 단계 S2-3-4은 생략될 수 있어서, CCD 영역 중앙에서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사용범위는 단계 S2-3-1에서 획득된 줌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직접적으로 판별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50)은 CCD(32)의 노출을 실행한다. 이와 동시에, 노출 중에 제어 유닛(50)은 포즈 감지기(65)로부터 수신된 흔들림 검출값에 따라서 CCD 이동 구동기(55)에 전송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CCD 이동 구동기(55)는 CCD 이동가능 범위(102)내에서 렌즈의 광축에 대해서 수직에 X 방향, Y 방향으로 CCD 기본부(31)(즉, CCD(32))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그 후, 단계 S2-3-7로 진행한다(단계 S2-3-6).
다음으로, 제어 유닛(50)은 단계 S2-3-5에서 판별된 CCD(32) 영역내에서 사용범위의 사용으로 획득된 촬상 신호를 CDS/ADC 블럭(33)을 통해 색상 처리회 로(41)로 출력하고, 도 4의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스루우 화상 표시 시점에서 픽셀 혼합 또는 픽셀 추림이 실행되기 때문에, 화상 크기는 정지화면 촬영 시점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예를 들면, 512×384 픽셀)로 설정된다(단계 S2-3-7).
단계 S2-3-3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어 유닛(50)은 CCD 기본부(31)(즉, CCD(32))를 중앙 위치에 고정시키면서, CCD(32)를 노출하여 CCD(32)의 전제 영역이 사용될 수 있도록 사용범위를 설정하고, 도 4의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에서도, 스루우 화상 표시 시점에서 픽셀 혼합 또는 픽셀 추림이 실행되기 때문에, 화상 크기는 정지화면 촬영 시점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예를 들면, 640×480 픽셀)로 설정된다(단계 S2-3-8). 단계 S2-3-7 또는 단계 S2-3-8에서의 화상 신호 출력은 단계 S2-3-2에서의 스루우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줌 배율이 단계 S3에서 변화된 경우에서, 이 변화 후의 줌 배율은 단계 S2-3-1에서 획득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라서 정지화면 촬영시점에서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처리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그리고 도 4의 단계 S8을 자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4, 도 9 및 도 11을 기본으로 하여 다음 설명을 한다.
도 4의 단계 S7에서 셔터 키이(8)가 완전하게 눌러지게 되면, 제어 유닛(50)은 그 시점의 줌 위치 및 셔터 속도 등의 촬영 조건을 획득한다(단계 S8-3-1). 제어 유닛(50)은 획득된 셔터 속도와 줌 배율에 기초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지를 판별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 경우, 단계 S8-3-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8-3-7로 진행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지는 도 7의 단계 S2-2-3과 동일한 방식으로 판별된다(단계 S8-3-2).
단계 S8-3-2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서, 제어 유닛(50)은, 소정의 계산 방법에 따라서 단계 S8-3-1에서 획득된 줌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줌 위치에서의 카메라 흔들림 양의 최대 예측값을 계산한다. 카메라 흔들림 양의 최대 예측값은 예를 들면, 도 10의 단계 S2-3-4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단계 S8-3-3).
다음으로, 제어 유닛(50)은 단계 S8-3-3에서 획득된 카메라 흔들림 양의 최대 측정값에 기초하여 CCD 영역 중앙에서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사용범위를 판별하고, 단계 S8-3-5로 진행한다. 여기서, 단계 S8-3-3에서 획득된 카메라 흔들림 양의 최대 예측값이 증가함에 따라,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사용범위가 작아지게 된다(단계 S8-3-4).
제어 유닛(50)은 단계 S8-3-1에서 획득된 셔터 속도 등의 촬영 조건에 따라서 CCD(32)의 노출을 실행한다. 이와 동시에, 노출 중에 제어 유닛(50)은 포즈 감지기(65)로부터 수신된 흔들림 검출값에 따라서 CCD 이동 구동기(55)에 전송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CCD 이동 구동기(55)는 CCD 이동가능 범위(102)내에서 렌즈의 광축에 대해 수직에 X 방향, Y 방향으로 CCD 기본부(31)(즉, CCD(32))의 위치를 이동시킨다(단계 S8-3-5).
제어 유닛(50)은 단계 S8-3-4에서 판별된 CCD 영역내에서 사용범위의 사용으로 획득된 촬상 신호를 CDS/ADC 블럭(33)을 통해 색상 처리회로(41)로 출력하고, 단계 S8-3-9로 진행한다(단계 S8-3-6).
단계 S8-3-2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어 유닛(50)은 CCD 기본부(31)(즉, CCD(32))를 중앙 위치에 고정시키면서 단계 S8-3-1에서 획득된 셔터 속도 등의 촬영조건에 따라 CCD(32)를 노출시킨다(단계 S8-3-7). 또한, 제어 유닛(50)은 CCD(32)의 전체 영역의 사용으로 획득된 소정의 크기(예를 들면, 3200×2400 픽셀)를 가지는 화상의 촬상 신호를 CDS/ADC 블럭(33)을 통해 색상 처리회로(41)로 출력하고, 단계 S8-3-9로 진행한다(단계 S8-3-8).
색상 처리회로(41)는 입력된 촬상 신호에 대해 화소 보간을 실행하는 색상 처리를 가하여, 디지털 값을 가지는 휘도 신호(Y) 및 색상차 신호(Cb, Cr)를 생성하기 위해 YUV 전환처리를 실행한다. 제어 유닛(50)은 단계 S8-3-6 또는 단계 S8-3-8에서 정해진 화상 크기에 따라서 발생된 신호에 관한 전송된 데이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그리고 도 4의 단계 S9로 진행한다(단계 S8-3-9).
본 실시예에 따라서, 획득된 줌 위치에서의 카메라 흔들림 양의 최대 측정값은 단계 S8-3-1에서 획득된 줌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계 S8-3-3에서 계산되고, 그리고 CCD 영역 중앙에서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사용범위는 카메라 흔들림 양의 최대 예측값에 기초하여 단계 S8-3-4에서 판별된다. 그러나, 단계 S8-3-3은 생략될 수 있어서, CCD 영역 중앙에서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사용범위는 단계 S8-3-1에서 획득된 줌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직접적으로 판별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의 순서도에 도시된 동작에 의해, 상술된 제 2 실시예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는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CCD를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큰 유효 영역 내의 픽셀을 사용하면서 지나친 노출로도 영향을 받지 않는 화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 고해상도를 가지는 화상은 CCD(32)의 전체 영역을 사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필요성 및 불필요성은 자동 판별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작동에 대한 부담은 줄어들게 되고,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실행될지라도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화상이 획득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의 순서도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지는 촬영 조건을 획득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판별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을 수동적으로 켜지게 할 수 있으며 꺼지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의 단계 S2-3-1은 "키이(10)가 눌려진 경우, 제어 유닛(50)은 키이 회로(95)로부터의 신호를 조사해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켜지게 한다"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의 단계 S2-3-3은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켜진 경우, 단계 S2-3-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2-3-8로 진행한다"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도 11의 단계 S8-3-2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켜지는 경우, 단계 S8-3-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8-3-7로 진행한다"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 )
상술된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사용된 CCD(32)내의 사용범위(도 12에서 도시된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대한 사용범위(106))는 CCD(32)의 중앙에 위치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범위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시의 궤적과 연동하여 판별된다. 즉,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실행될 시, 노출 개시시간부터 노출 종료시간 동안 CCD 기본부(31)가 이미지 써클(101)로부터 얼마나 벗어났는지를 알기 위해 CCD 기본부(31)의 궤적이 획득된다.
도 12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의 궤적과 연동하여 사용된 카메라 흔들림 보정시에 대한 CCD(32)내의 사용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CCD(32)가 CCD 이동가능 범위(102)내에서 우측 아래로 이동시킨 경우, 사용범위(106)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CCD(32)가 이미지 써클(101)을 벗어날 시, 사용범위(106)가 최대가 되는 이미지 써클(101)상의 점(107)은 획득된다. 이점에 기초로 하여, 사용범위(106)는 판별될 수 있다.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지화면촬영의 시점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의 단계 S8을 자세하게 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4, 도 12 및 도 13을 기본으로 하여 다음 설명을 한다.
도 4의 단계 S7에서 셔터 키이(8)가 완전히 눌러지게 되는 경우, 제어 유닛(50)은 그 시점의 줌 위치 및 셔터 스피드 등의 촬영 조건을 획득한다(단계 S8-4-1). 제어 유닛(50)은 획득된 셔터 속도 및 줌 배율에 기초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지를 판별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 경우, 단계 S8-4-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8-4-7로 진행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지는 도 7의 단계 S2-2-3과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판별될 수 있다(단계 S8-4-2).
단계 S8-4-2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어 유닛(50)은 단계 S8-4-1에서 획득된 셔터 속도 등의 촬영 조건에 따라서 CCD(32)를 노출시킨다. 이와 동시에, 노출중에 제어 유닛(50)은 포즈 감지기(65)로부터 수신된 흔들림 검출값에 따라서 CCD 이동 구동기(55)에 전송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CCD 이동 구동기(55)는 CCD 이동가능 범위(102)내에서 렌즈의 광축에 대해 수직에 X 방향, Y 방향으로 CCD 기본부(31)(즉, CCD(32))의 위치를 이동시킨다(단계 S8-4-3).
제어 유닛(50)은 노출 개시시간부터 노출 종료시간 동안 CCD(32)가 이미지 써클(101)로부터 얼마나 벗어났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노출 중에 카메라 흔들림 보정의 궤적, 즉, 단계 S8-4-3에서 이동된 CCD 기본부(31)의 중앙점(=CCD 영역의 중앙점)의 위치를 획득한다(단계 S8-4-4). CCD(32)가 이미지 써클(101)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 CCD(32)의 전체 영역은 사용범위(106)로서 판별된다. CCD(32)가 이미지 써클(101)을 벗어난 경우, 제어 유닛(50)은 사용범위(106)가 최대로 되는 이미지 써클(101) 상의 점(107)을 알아낸다. 점(107)은 CCD 기본부(31)의 중앙점과 이미지 써클(101)의 원주 사이의 거리가 최단이 되는 점으로서 계산될 수 있다(단계 S8-4-5).
제어 유닛(50)은 단계 S8-4-5에서 판별된 CCD 영역내에서 사용범위(106)의 사용으로 획득된 촬상 신호를 CDS/ADC 블럭(33)을 통해 색상 처리회로(41)로 출력하고, 단계 S8-4-9로 진행한다(단계 S8-4-6).
단계 S8-4-2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어 유닛(50)은 CCD 기본부(31)(즉, CCD(32))를 중앙 위치에 고정시키면서, 단계 S8-4-1에서 획득된 셔터 속도 등의 촬영조건에 따라서 CCD(32)를 노출시킨다(단계 S8-4-7). 또한, 제어 유닛(50)은 CCD(32)의 전체 영역의 사용으로 획득된 소정의 크기(예를 들면, 3200×2400 픽셀)를 가지는 화상의 촬상 신호를 CDS/ADC 블럭(33)을 통해 색상 처리회로(41)로 출력하고, 단계 S8-4-9로 진행한다(단계 S8-4-8).
색상 처리회로(41)는 입력된 촬상 신호에 대해 화소 보간을 실행하는 색상 처리를 가하여, YUV 전환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디지털 값을 가지는 휘도 신호(Y) 및 색상차 신호(Cb, Cr)를 생성한다. 제어 유닛(50)은 단계 S8-4-6 또는 단계 S8-4-8에서 정해진 화상 크기에 따라서 이 처리된 데이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그리고 도 4의 단계 S9로 진행한다(단계 S8-4-9).
도 13의 순서도에 도시된 동작에 의해, 상술된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는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CCD를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큰 유효 영역내의 픽셀을 사용하면서 지나친 노출로도 영향을 받지 않는 화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흔들림 보정 처리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 고해상도를 가지는 화상은 CCD(32)의 전체 영역을 사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은 자동 판별에 의해 켜짐/꺼짐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작동에 대한 부담은 줄어들게 되고,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실행될지라도 최고 해상도를 가지는 화상이 획득될 수 있다.
도 13의 순서도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필요한지는 촬영 조건을 획득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판별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을 수동적으로 켜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이(10)가 눌려진 경우, 제어 유닛(50)은 키이 회로(95)로부터의 신호를 조사해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켜지게 한다"라는 단계는 도 4의 단계 S2에 삽입될 수 있으며, 그리고 도 13의 단계 S8-4-2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기능이 켜진 경우, 단계 S8-4-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8-4-7로 진행한다"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각 실시예들(도 5 내지 도 8, 도10, 도11 및 도13)의 설명에서, CCD(32)의 전체 영역을 사용함으로써 획득된 촬상 신호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실행될 경우의 사용범위보다 넓은 범위가 되기 위해서 CCD(32)의 전체 영역이 반드시 사용될 필요가 없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스루우 화상 표시 및 정지화면 촬영시점에 실행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은 스루우 화상 표시의 경우와 정지화면 촬영 경우에 국한되지 않고, 동영상 촬영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폰에 적용될 수 있고, 촬상 소자 등을 가지는 정보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적용될 시, 구성 소자들은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고,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발명은 상술된 실시예에 개시된 복수의 구성 소자들을 적절하게 결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러 구성 소자들은 실시예에서 제시된 구성 소자들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CCD(32)를 이동시킴으로써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실행하기 위해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경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광학 시스템으로서 촬상 렌즈(2)를 이동시킴으로써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도 적용된다. 즉, 본 발명은 촬상 소자와 광학 시스템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실행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탈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기록 매체 상에 기입될 수 있고, 그리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그램 자체는 네트워크 등과 같은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각종의 컴퓨터들은 전송 매체를 통해 제공된 기록 매체 또는 프로그램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할 수 있다. 이 판독 프로그램 제어 동작에 의해, 각 처리들은 실행되고, 그리고 본 방법은 실현된다.
다양한 실시예 및 변형은 본 발명의 사상과 기술 요지의 벗어남 없이 이루어진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영역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 영역은 실시예보다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제시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과의 균등성 의미 내에서 그리고 청구항 내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영역에서 고려된다.

Claims (14)

  1. 광학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광전기적으로(opto-electrically) 전환하고 촬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소자;
    장치의 흔들림을 검출하고 흔들림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흔들림 검출 유닛; 및
    상기 흔들림 검출 유닛으로부터 흔들림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광학 시스템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흔들림 보정(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실행하는 흔들림 보정 유닛;
    흔들림 보정이 상기 흔들림 보정 유닛에 의해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판별하는 흔들림 보정 필수 판별 유닛; 및
    상기 흔들림 보정 필수 판별 유닛이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촬상 소자의 기설정된 제 1 특정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촬상 신호를 처리하고, 그리고 상기 흔들림 보정 필수 판별 유닛이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제 1 특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특정 영역보다 큰 상기 촬상 소자의 제 2 특정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촬상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판독된 촬상 신호를 처리하는 촬상 신호 처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흔들림 보정 필수 판별 유닛이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촬상 소자의 기설정된 상기 제 1 특정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촬상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촬상 신호 처리 유닛을 제어하며, 그리고 상기 흔들림 보정 필수 판별 유닛이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제 1 특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특정 영역보다 큰 상기 촬상 소자의 제 2 특정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촬상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촬상 신호 처리 유닛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신호 처리 유닛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판독된 촬상 신호를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하는 촬상 신호 표시 처리 유닛, 또는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판독된 촬상 신호를 기록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촬상 신호 기록 처리 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촬상 신호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판독된 판독 범위를 전환시키는 판독 범위 전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흔들림 보정 필수 판별 유닛이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촬상 신호가 상기 촬상 소자의 기설정된 상기 제 1 특정 영역으로부터 판독되도록 상기 판독 범위 전환 유닛을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흔들림 보정 필수 판별 유닛이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제 1 특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특정 영역보다 큰 상기 촬상 소자의 상기 제 2 특정 영역으로부터 판독되도록 상기 판독 범위 전환 유닛을 제어하는 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특정 영역은 상기 촬상 소자 전체 영역의 중앙 위치와 일치하는 중앙 위치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제 2 특정 영역은 상기 촬상 소자 전체 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의 촬영 조건을 획득하는 촬영 조건 획득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흔들림 보정 필수 판별 유닛은 상기 촬영 조건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흔들림 보정을 실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의 촬영 조건을 획득하는 촬영 조건 획득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흔들림 보정 필수 판별 유닛이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촬영 조건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소자의 상기 제 1 특정 영역을 변화시키는 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 6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촬영 조건은 줌 배율 또는 셔터 속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보정 유닛은 상기 흔들림 검출 유닛으로부터 흔들림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소자를 이동시킴으로써 흔들림 보정을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검출 유닛으로부터 흔들림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흔들림 보정에 의해 이동된 상기 촬상 소자의 위치를 획득하는 이동 위치 획득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흔들림 보정 필수 판별 유닛이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이동 위치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촬상 소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소자의 상기 제 1 특정 영역을 변화시키는 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보정 유닛은 상기 흔들림 검출 유닛으로부터 흔들림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학 시스템을 이동시킴으로써 흔들림 보정을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검출 유닛으로부터 흔들림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흔들림 보정에 의해 이동된 상기 광학 시스템의 위치를 획득하는 이동 위치 획득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흔들림 보정 필수 판별 유닛이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이동 위치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광학 시스템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소자의 상기 제 1 특정 영역을 변화시키는 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3. 광학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광전기적으로(opto-electrically) 전환하고 촬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소자; 장치의 흔들림을 검출하고 흔들림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흔들림 검출 유닛; 및 상기 흔들림 검출 유닛으로부터 흔들림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광학 시스템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흔들림 보정을 실행하는 흔들림 보정 유닛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사용을 포함한 데이터 추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흔들림 보정이 상기 흔들림 보정 유닛에 의해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판별하는 흔들림 보정 필수 판별 단계; 및
    상기 흔들림 보정 필수 판별 단계에서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촬상 소자의 기설정된 제 1 특정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촬상 신호를 처리하고, 그리고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 1 특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특정 영역보다 큰 상기 촬상 소자의 제 2 특정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촬상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사용을 포함한 데이터 추출 방법.
  14. 광학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광전기적으로(opto-electrically) 전환하고 촬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소자; 장치의 흔들림을 검출하고 흔들림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흔들림 검출 유닛; 및 상기 흔들림 검출 유닛으로부터 흔들림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광학 시스템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흔들림 보정을 실행하는 흔들림 보정 유닛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컴퓨터용 데이터 추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촬상 장치의 컴퓨터용 데이터 추출 프로그램은,
    흔들림 보정이 상기 흔들림 보정 유닛에 의해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판별하는 기능; 및
    흔들림 보정이 실행되는 상기 판별 기능에 의해 판별된 경우, 상기 촬상 소자의 기설정된 제 1 특정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촬상 신호를 처리하고, 그리고 흔들 림 보정이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 1 특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특정 영역보다 큰 상기 촬상 소자의 제 2 특정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촬상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를 제어하는 촬상 장치의 컴퓨터용 데이터 추출 프로그램.
KR1020077022764A 2005-09-14 2006-09-14 촬상 장치, 데이터 추출 방법 및 데이터 추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0906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66266 2005-09-14
JP2005266266A JP4305434B2 (ja) 2005-09-14 2005-09-14 電子カメラ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644A true KR20070117644A (ko) 2007-12-12
KR100906522B1 KR100906522B1 (ko) 2009-07-07

Family

ID=3740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764A KR100906522B1 (ko) 2005-09-14 2006-09-14 촬상 장치, 데이터 추출 방법 및 데이터 추출 프로그램 기록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89108B2 (ko)
EP (1) EP1925153B1 (ko)
JP (1) JP4305434B2 (ko)
KR (1) KR100906522B1 (ko)
CN (2) CN101263707A (ko)
DE (1) DE602006006848D1 (ko)
TW (1) TWI326553B (ko)
WO (1) WO200703255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541B1 (ko) * 2008-01-18 201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KR20150094132A (ko) * 2014-02-10 201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증강 현실을 이용한 장비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3078B2 (ja) * 2007-04-24 2012-08-29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KR20090015251A (ko) * 2007-08-08 2009-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JP4957617B2 (ja) * 2008-03-28 2012-06-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293947B2 (ja) * 2008-11-13 2013-09-18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JP5419647B2 (ja) * 2009-11-16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像振れ補正装置の制御方法
JP5493942B2 (ja) * 2009-12-15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と撮像方法
US8643734B2 (en) 2010-11-10 2014-02-04 Apple Inc. Automatic engagement of image stabilization
US20120113515A1 (en) * 2010-11-10 2012-05-10 Karn Keith S Imaging system with automatically engaging image stabilization
CA2821163A1 (en) 2010-12-17 2012-06-21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Hydrogen oxidation and generation over carbon films
CN102572252A (zh) * 2010-12-28 2012-07-11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影像拍摄装置及其控制方法
US9053993B2 (en) 2011-10-07 2015-06-09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Imaging systems with selectable column power control
JP5536010B2 (ja) * 2011-11-02 2014-07-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カメラ、撮像制御プログラム及び撮像制御方法
US20140253785A1 (en) * 2013-03-07 2014-09-11 Mediatek Inc. Auto Focus Based on Analysis of State or State Change of Image Content
KR102041647B1 (ko) 2014-06-30 2019-11-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의 보정 시스템 및 그 보정방법
CN106156676B (zh) * 2015-04-15 2019-04-19 广州诚迈伟讯物联网技术有限公司 一种影像式ccd条码快速识别方法及装置
US9912868B2 (en) * 2015-09-15 2018-03-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blur correction apparatus, tilt correc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blur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ilt correction apparatus
CN109691085B (zh) * 2016-09-14 2021-03-09 富士胶片株式会社 摄像装置及摄像控制方法
JP2019117977A (ja) * 2017-12-26 2019-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防振制御装置、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07315B2 (en) * 2018-01-09 2020-03-31 Immervision, Inc. Constant resolution continuous hybrid zoom system
JP2020096301A (ja) * 2018-12-13 2020-06-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4070A (ja) 1990-07-14 1992-03-09 Sony Corp 手振れ補正装置
US5990942A (en) * 1991-05-01 1999-11-23 Canon Kabushiki Kaisha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image information for blurring correction
US6172707B1 (en) * 1992-06-22 2001-01-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device
JPH07203279A (ja) 1993-12-28 1995-08-04 Hitachi Ltd 撮像装置
JPH0829825A (ja) * 1994-07-18 1996-02-02 Nikon Corp 防振装置
JP2000224470A (ja) * 1999-02-02 2000-08-11 Minolta Co Ltd カメラシステム
JP3939889B2 (ja) * 2000-02-01 2007-07-0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像振れ防止デジタルカメラ
US6803953B2 (en) * 2000-02-28 2004-10-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having noise reduction function
JP2002218312A (ja) * 2001-01-17 2002-08-02 Ricoh Co Ltd ソフトフォーカス撮影可能なカメラ
JP2004258250A (ja) 2003-02-25 2004-09-16 Kyocera Corp ブレ補正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4264418A (ja) * 2003-02-28 2004-09-24 Casio Comput Co Ltd 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装置の起動方法、プログラム
JP3867680B2 (ja) * 2003-04-01 2007-01-1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手振れ補正方法
JP3917104B2 (ja) * 2003-04-25 2007-05-23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
JP4391783B2 (ja) 2003-09-11 2009-12-24 Hoya株式会社 光学機器
JP4478422B2 (ja) * 2003-09-18 2010-06-09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交換レンズおよび撮影装置
JP4717382B2 (ja) * 2004-06-15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TWI375112B (en) * 2004-06-24 2012-10-21 Pentax Ricoh Imaging Co Ltd Digital camera
JP4796755B2 (ja) * 2004-07-01 2011-10-19 Hoya株式会社 像ブレ補正装置
JP4022595B2 (ja) * 2004-10-26 2007-12-19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影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541B1 (ko) * 2008-01-18 201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KR20150094132A (ko) * 2014-02-10 201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증강 현실을 이용한 장비 관리 장치 및 방법
US10943089B2 (en) 2014-02-10 2021-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vice administr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i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5153A1 (en) 2008-05-28
JP2007081770A (ja) 2007-03-29
WO2007032558A9 (en) 2007-08-02
US20070058957A1 (en) 2007-03-15
US7689108B2 (en) 2010-03-30
TWI326553B (en) 2010-06-21
DE602006006848D1 (de) 2009-06-25
KR100906522B1 (ko) 2009-07-07
EP1925153B1 (en) 2009-05-13
WO2007032558A1 (en) 2007-03-22
TW200715836A (en) 2007-04-16
CN102307279A (zh) 2012-01-04
CN101263707A (zh) 2008-09-10
JP4305434B2 (ja)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522B1 (ko) 촬상 장치, 데이터 추출 방법 및 데이터 추출 프로그램 기록매체
US77066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JP4980982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合焦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62305B2 (ja) 撮像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85251B2 (ja) 撮像装置、フォーカス制御方法、フォーカス制御プログラム
JP2008009263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8872934B2 (en) Image capturing device which inhibits incorrect detection of subject movement during automatic image capturing
JP2009147730A (ja) 動画生成装置、動画撮影装置、動画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84155A (ja) マニュアルフォーカス調整装置及び合焦アシスト・プログラム
WO2007057971A1 (ja) デジタルカメラ、デジタルカメラを搭載した電子機器、デジタルカメラの撮像方法、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101822462B1 (ko)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촬영 장치
JP509267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8049787B2 (en) Image processing circuit,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nsor
JP2008263478A (ja) 撮像装置
JP4013026B2 (ja) 電子カメラ及び自動焦点調節時の画像表示方法
JP4888829B2 (ja) 動画処理装置、動画撮影装置および動画撮影プログラム
JP487718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0529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479883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8147924A (ja) 撮像装置
JP2005215495A (ja) 画像撮影装置
KR101436324B1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검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5303351A (ja) 撮像装置
JP2010028273A (ja) 撮像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89522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