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324B1 - 동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검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검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324B1
KR101436324B1 KR1020080023429A KR20080023429A KR101436324B1 KR 101436324 B1 KR101436324 B1 KR 101436324B1 KR 1020080023429 A KR1020080023429 A KR 1020080023429A KR 20080023429 A KR20080023429 A KR 20080023429A KR 101436324 B1 KR101436324 B1 KR 101436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rame
frames
image frame
st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198A (ko
Inventor
김현석
정재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3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32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48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frame-grabb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으로부터 고화질의 정지영상을 추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영상 재생 중 정지영상 선택 신호의 입력시, 상기 선택 신호 입력 시점에 대응하는 제1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여 사전 설정된 소정 개수의 영상 프레임을 검출하고, 상기 영상 프레임 중에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을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을 정지영상 파일로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동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검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etecting still image from moving image,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하여 디지털 캠코드,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핸드폰, PDA 등과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 시키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기록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영상 처리 장치의 컨버전스(convergence) 경향에 따라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가 동영상 촬영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또한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추출하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녹화된 동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추출하는 경우, 촬영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 또는 구간에서 재생중인 동영상을 일시 정지(pause)하거나 캡쳐(capture)하여 선택된 하나의 해당 영상 파일을 정지영상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선택된 영상 파일의 화질을 담보할 수 없어 저장되는 정지영상의 화질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영상 재생 시, 사용자가 선택한 구간에 포함되는 동영상으로부터 소정의 화질 기준을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을 정지영상 파일로 생성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영상 재생 중 정지영상 선택 신호의 입력시, 상기 선택 신호 입력 시점에 대응하는 제1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여 사전 설정된 소정 개수의 영상 프레임을 검출하고, 상기 영상 프레임 중에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을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을 정지영상 파일로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선택 신호 입력 시점에 대응하는 제1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소정 개수의 영상 프레임을 검출하는 영상 프레임 검출부; 상기 검출된 영상 프레임들의 화질을 비교하여 가장 우수한 화질을 구비한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검출하는 화질 판단부; 및 상기 검출된 영상 프레임을 정지영상 파일로 생성하는 파일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정지영상 선택 신호는 일시 정지(pause) 버튼으로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영상 프레임 검출부는, 상기 제1 영상 프레임 전후 각각의 영상 프레임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영상 프레임 검출부는, 상기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이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화질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은 서로 다른 가중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영상 프레임 검출부는, 상기 재생중인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 동영상 프레임 내 부호화 영상인 I 프레임(Intra-Picture)들 가운데 상기 영상 프레임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상기 동영상 재생 중 정지영상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선택 신호 입력 시점에 대응하는 제1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제1영상 프레임을 포함하여 사전 설정된 소정 개수의 영상 프레임을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출된 영상 프레임 중에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을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을 정지영상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정지영상 선택 신호는 일시 정지(pause) 버튼으로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검출된 영상 프레임들의 화질을 비교하여 가장 우수한 화질을 구비한 영상 프레임을 정지영상 파일 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프레임 전후의 영상 프레임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은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이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화질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을 정지영상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을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만을 정지영상 파일로 생성하기 때문에,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고화질의 정지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하여, 캠코드,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핸드폰, PDA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처리 장치들에 적용 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써 설명할 것이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도 도면에 도시된 콤펙트 디지털 카메라뿐만 아니라 일안반사식(Single Lense Reflex: SLR) 카메라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이하에서 설명될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셔터-릴리즈 버튼(11), 전원 버튼(12), 플래시(13), 마이크로폰(MIC), 뷰파인더(14), 렌즈부(15), 플래쉬-광량 센서(16) 및 LED 램프(17) 등을 구비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 또는 CMOS와 같은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이미지 센서(미도시)에 영상을 기록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써의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이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초점이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25)에 녹색 불이 켜지게 된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써의 제2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전원버튼(12)은 전원을 공급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
플래시(13)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플래시-광량 센서(16)는 플래시(13)가 동작하는 경우에 그 광량을 감지하여 마이크로 제어기(미도시)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미도시)에 입력시킨다.
렌즈부(15)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피사체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렌즈부(15)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배면에는 뷰파인더(17b), 광각-줌(wide angle-zoom) 버튼(21w), 망원-줌(telephoto-zoom) 버튼(21t), 모드 다이얼(22), 기능 버튼(23), 재생 모드 버튼(24), 스피커(SP) 및 디스플레이 패널(25) 등이 구비되어 있다.
광각-줌 버튼(21w) 및 망원-줌 버튼(21t)은 그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 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광각-줌 버튼(21w)을 누르면 선택된 노출 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21t)을 누르면 선택된 노출 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모드 스위치(22)는 사용자 설정을 최소화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빠르고 간편하게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 이용하며,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정지영상 촬영 모드,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영상 촬영 모드 등이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카메라 의 각종 동작 모드들, 예컨대 간편 촬영 모드, 프로그램 촬영 모드, 인물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수동 촬영 모드, 사용자 설정 모드 및 녹음 모드 중에서 어느 한 동작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능 버튼(23)은, 상향 키(23U), 하향 키(23D), 좌향 키(23L), 우향 키(23R) 등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5) 상에서의 이미지 재생 시 이미지의 이동 등에 사용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25) 상의 메뉴 화면에서 활성화 커서의 방향-이동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능 버튼(23)은 메뉴 버튼(23M)을 포함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축키로써도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동영상 재생 중 정지영상 선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일시 정지(pause) 버튼(24)으로 상기 기능 버튼(23) 등을 사용하여 정지영상 선택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동영상 재생/정지 버튼(24)은 동영상 재생 또는 정지를 위해 사용되며,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중 정지영상 선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일시 정지(pause) 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서 동영상 재생 중 정지영상 선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일시 정지(pause) 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는 수단으로는, 전술한 기능 버튼(23)이나 동영상 재생/정지 버튼(24)뿐만 아니라 디지털 영상 장치에 구비된 다양한 버튼 또는 다이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5) 상에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상기 정지영상 선택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5)는, 통상적으로 LCD 패널이 사용되며 촬영되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LCD 패널을 통하여 촬영 전 이미지를 볼 수 있고, 촬영 후 즉시 촬영된 결과물의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LCD 패널을 통해서 카메라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조작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31), 촬영부(32), 영상 처리부(33), 디스플레이부(34), 저장부(35)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36)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31)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릴리즈 버튼(11),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버튼(12),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21w) 또는 망원-줌 버튼(21t) 및 사용자 설정을 최소화 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빠르고 간편하게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 이용하는 모드 스위치(22),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하는 기능 버튼(23) 등을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각 버튼에 정의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36)에 입력한다.
촬영부(32)는 피사체의 이미지에 대한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며, 렌즈부(15) 및 필터부(미도시)로 이루어진 광학계와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렌즈부(15)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이때, 조리개 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의 개폐 정도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에 의해 제어된다.
CCD 또는 CMOS와 같은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렌즈부(15)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15)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와 같은 이미지 센서(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컬러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진다.
이미지 센서(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는 A/D 변환부(Anolog-to-Digtal Converter, 미도시)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원본(RAW) 데이터가 된다.
영상 처리부(33)는 아날로그 이미지의 디지털 변환된 RAW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하는 곳으로, 온도 변화에 민감한 CCD 및 CFA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 레벨(Black level)을 제거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37)는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감마 보정,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 하는 CFA 보간, 보간 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 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 및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고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VAI 파일 등을 생성한다. 생성된 JPEG, AVI 파일 등은 LCD 패널(25) 등의 디스플레부(34)에 디스플레이 되거나 저장부(35)에 저장된다.
저장부(35)는 영상파일을 최종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으로서, 스마트 카드, 컴팩트 플래쉬(Compact flash, CF) 메모리, 메모리 스틱,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등 다양한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전술한 영상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이 저장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및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33)의 모든 동작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36)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6)는 동영상 재생 중 정지영상 선택 신호의 입력시, 선택 신호 입력 시점에 대응하는 제1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소정 개수의 영상 프레임을 검출하고, 검출된 영상 프레임들 중에서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을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을 정지영상 파일로 생성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36)는 영상 프레임 검출부(36-1), 화질 판단 부(36-2), 파일 생성부(36-3) 및 제어부(36-4)를 포함한다.
영상 프레임 검출부(36-1)는 동영상 재생 중에 정지영상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정지 영상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제1 영상 프레임을 검출한다.
도 4는 도 3의 장치에서 동영상 재생 중 정지영상 선택 신호의 입력 시 검출되는 영상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영상 프레임 검출부(36-1)가 제어부(36-4)의 제어 하에, 재생 중인 동영상 파일에서, 정지영상 선택 신호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제1 영상 프레임((t)프레임)과, 제1 영상 프레임((t)프레임)의 전후 각각에 형성된 제2 영상 프레임((t-1)프레임) 및 제3 영상 프레임((t+1)프레임)이 검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동영상 파일은 압축시, 프레임 내 부호화 영상인 I 프레임(Intra-Picture), 쌍방향 예측 부호화 영상인 B 프레임(Bidirectionally Predictive-Picture), 프레임간 순방향 예측 부호화 영상인 P 프레임(Predictive-Picture)을 갖는 구조로 압축되며, 이때 I 프레임은 영상 신호를 저장하고, B 프레임 및 P 프레임은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동영상 재생 중에, 사용자가 정지영상 선택 신호를 입력하면, 영상 프레임 검출부(36-1)는, 압축된 동영상 파일의 복수개의 프레임들 중에서, 정지영상 선택 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가장 가까운 I 프레임((t) 프레임)을 제1 영상 프레임((t) 프레임)으로 검출하고, 제1 영상 프레임((t) 프레임) 전후에 각각 배치된 I 프레임을 각각 제2 영상 프레임((t-1) 프레임) 및 제 3 영상 프레임((t+1) 프레임)으로 검출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상 프레임((t) 프레임)의 전후의 영상 프레임을 각각 제2 및 제3 영상 프레임((t-1) 프레임)((t+1) 프레임)으로 검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프레임((t) 프레임) 전에 형성된 I 프레임만으로 제2 및 제3 영상 프레임((t-1) 프레임)((t-2) 프레임)으로 검출할 수도 있으며, 검출되는 영상 프레임의 개수도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화질 판단부(36-2)는 검출된 영상 프레임들 가운데, 제어부(36-4)의 제어 하에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을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을 검출한다.
이때 정지영상의 화질을 결정하는 화질의 기준으로는 예를 들어, 명암비, 컬러(color)비,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노이즈(noise)값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을 화질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화질 기준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조시 디폴트로 설정되어 출고되거나, 사용자가 환경 설정을 통하여 원하는 기준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또한 각 제조사별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화질 판단부(36-2)는 영상 프레임 검출부(36-1)가 검출한 영상 프레임들 가운데, 이와 같은 화질 기준을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을 검출한다. 이때, 복수의 화질 기준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화질 기준을 전부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을 검출한다. 또한, 화질 기준을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이 두 개 이상 존재할 경우에는, 화질 기준을 만족하는 모든 영상 프레임을 검출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들 가운데 가장 화질이 우수한 영상 프레임을 검출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은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가질 수 있어서, 사용자 또는 제조사별로 주요하게 여기는 화질 기준에 우선 순위를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하는 화질 기준이 명암비와 컬러비, 두 개라고 가정하자. 이때, 명암비와 컬러비에 대해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을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이 두 개가 검출되었고, 만약 명암비가 컬러비에 대해 더 높은 가중치가 설정되어 있다면, 검출된 영상 프레임 중에서 명암비가 더 우수한 영상 프레임을 최종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파일 생성부(36-3)는 화질 판단부(36-2)에 의해 검출된 영상 프레임을 정지영상 파일로 생성한다. 여기서, 검출된 영상 프레임을 영상 처리부(33)에서 Exif 파일로 변환하여 바로 저장부(36)에 저장할 수도 있지만, 검출된 영상 프레임을 버퍼(미도시)에 저장하고 있다가 동영상 재생이 완료되면, 버퍼에 저장된 정지영상을 영상 처리부(33)에서 Exif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부(35)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중 정지영상을 검출하는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재생 중 정지영상을 검출하는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내의 주변 구성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36)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6)는 선택된 임의의 동영상을 재생한다(501단계). 사용자는 모드 스위치(22)를 동영상 재생 모드로 맞추고, 저장부(35)에 저장된 임의 의 동영상 재생 신호를 선택하여 동영상 재생/정지 버튼(24)을 입력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6)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동영상에 대해, 영상 처리부(33)를 제어하여 신호처리 명령을 내리고, 영상 처리부(33)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6)의 제어 하에 신호 처리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부(34)에 디스플레이한다.
동영상 재생 중에, 디지털 신호 처리부(36)는 정지영상 선택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502단계).
정지영상 선택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영상 프레임 검출부(36-1)는 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가장 가까운 I 프레임을 제1 영상 프레임((t)프레임)으로 선택하고, 예를 들어 제1 영상 프레임((t)프레임) 전후 각각에 형성된 I 프레임을 제2 및 제3 영상 프레임((t-1)프레임)((t+1)프레임)으로 검출한다(503단계).
화질 판단부(36-2)는 검출된 영상 프레임들의 화질을 비교하여,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을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을 선택한다(504단계).
파일 생성부(36-3)는 제어부(36-4)의 제어 하에, 상기 단계에서 선택된 영상 프레임을 정지 영상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505단계), 동영상 재생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단계를 반복한다(506단계).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을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만을 정지영상 파일로 생성하기 때문에,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고화질의 정지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장치에서 동영상 재생 중 정지영상 선택 신호의 입력 시 검출되는 영상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중 정지영상을 검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13)

  1. 동영상 재생 중 정지영상 선택 신호의 입력시,
    상기 선택 신호 입력 시점에 대응하는 제1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여 사전 설정된 소정 개수의 영상 프레임을 검출하고, 상기 영상 프레임 중에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을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을 정지영상 파일로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선택 신호 입력 시점에 대응하는 제1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제1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소정 개수의 영상 프레임을 검출하는 영상 프레임 검출부;
    상기 검출된 영상 프레임들의 화질을 비교하여 가장 우수한 화질을 구비한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검출하는 화질 판단부; 및
    상기 검출된 영상 프레임을 정지영상 파일로 생성하는 파일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영상 선택 신호는 일시 정지(pause) 버튼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프레임 검출부는, 상기 제1 영상 프레임 전후 각각의 영상 프레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프레임 검출부는, 상기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이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화질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은 서로 다른 가중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프레임 검출부는, 상기 재생중인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 동영상 프레임 내 부호화 영상인 I 프레임(Intra-Picture)들 가운데 상기 영상 프레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8. (a) 동영상 재생 중 정지영상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선택 신호 입력 시점에 대응하는 제1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제1영상 프레임을 포함하여 사전 설정된 소정 개수의 영상 프레임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검출된 영상 프레임 중에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을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을 정지영상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정지영상 선택 신호는 일시 정지(pause) 버튼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검출된 영상 프레임들의 화질을 비교하여 가장 우수한 화질을 구비한 영상 프레임을 정지영상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프레임 전후의 영상 프레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은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사전 설정된 화질 기준이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화질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영상 프레임을 정지영상 파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80023429A 2008-03-13 2008-03-13 동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검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36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429A KR101436324B1 (ko) 2008-03-13 2008-03-13 동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검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429A KR101436324B1 (ko) 2008-03-13 2008-03-13 동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검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198A KR20090098198A (ko) 2009-09-17
KR101436324B1 true KR101436324B1 (ko) 2014-09-01

Family

ID=41357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429A KR101436324B1 (ko) 2008-03-13 2008-03-13 동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검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3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289B1 (ko) 2014-12-31 2016-06-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동영상 강좌의 슬라이드 화질 개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723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KR20060064455A (ko) * 2004-12-08 2006-06-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촬상장치
KR20070008863A (ko) * 2005-07-12 2007-01-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별도의 칩을 사용하여 동영상 재생중에 정지영상 이미지캡춰가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별도의 칩을사용하여 동영상 재생중에 정지영상 이미지를 캡춰하는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723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KR20060064455A (ko) * 2004-12-08 2006-06-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촬상장치
KR20070008863A (ko) * 2005-07-12 2007-01-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별도의 칩을 사용하여 동영상 재생중에 정지영상 이미지캡춰가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별도의 칩을사용하여 동영상 재생중에 정지영상 이미지를 캡춰하는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289B1 (ko) 2014-12-31 2016-06-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동영상 강좌의 슬라이드 화질 개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198A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66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US83956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lurring image background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0627048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
US8228419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out-focusing opera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KR20070117644A (ko) 촬상 장치, 데이터 추출 방법 및 데이터 추출 프로그램 기록매체
US20070237513A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KR20080101277A (ko) 히스토그램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그의 동작 방법
JP2012098594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7235640A (ja) 撮影装置及び方法
US20090180007A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2019341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086403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JP4879127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フォーカスエリア選択方法
JP2007212723A (ja) 合焦位置決定方法および装置
KR101436324B1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검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8810690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10032390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oving picture capturing method performed by the same
KR10136975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073319B2 (en) Photograph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based on face detection and photography conditions
JP2007110221A (ja) 撮像装置
KR20130092213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00018128A (ko)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44560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41781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36239B1 (ko) 촬영한 영상에서 오토 포커스 영역의 변경이 가능한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