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128A -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128A
KR20100018128A KR1020080076751A KR20080076751A KR20100018128A KR 20100018128 A KR20100018128 A KR 20100018128A KR 1020080076751 A KR1020080076751 A KR 1020080076751A KR 20080076751 A KR20080076751 A KR 20080076751A KR 20100018128 A KR20100018128 A KR 20100018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 view
view image
hand shake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7873B1 (ko
Inventor
장순근
안은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6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873B1/ko
Publication of KR2010001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23Analysis of motion using block-ma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떨림 검출 기능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하고,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자동 노출에 의한 한 장의 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80076751
손떨림 판단, 촬영 제어, 노이즈 제거

Description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digital image according to detecting hand shake}
본 발명은 손떨림 검출 기능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손떨림 보정을 위한 방법으로 긴 노출과 짧은 노출의 2장의 영상을 이용하여 손떨림을 보정하는 전자식 손떨림 보정 방법, 렌즈 또는 촬상 소자를 이동(shift)시켜서 손떨림을 보정하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방법 또는 노이즈 제거 필터를 이용하여 손떨림을 보정하는 고감도 촬영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전자식 손떨림 보정 방법의 경우에는 짧은 노출과 긴 노출 두 장의 영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시간이 더 길어져 사용자가 인지하는 속도 측면에서 안 좋은 성능을 보일 수 있다. 또한, OIS 방법의 손떨림 보정 방법들은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 구동을 위하여 기존대비 전력 소모가 크며, 미세 진동 노이즈로 인해 화질이 열화 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고감도 촬영을 통한 손떨림 보정 방법의 경우에는 노이즈 제거 필터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때문에 영상의 화질 열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촬영 전 라이브뷰 영상 단계에서 손떨림 판단을 수행한 후 이를 이용하여 손떨림 방지 기능 적용 여부를 결정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하고,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자동 노출에 의한 한 장의 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하는 손떨림 판단부;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자동 노출에 의한 한장의 상기 영상을 촬영하고,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노출이 다른 두 장의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제어부; 및 상기 손떨림 판단결과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촬영 제어부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손떨림이 발생한 경우 상기 촬영 제어부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 실시 예에 따 른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하고,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하지 않고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하는 손떨림 판단부; 제1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영상의 해상도를 저하시키는 노이즈 제거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노이즈 제거 동작을 수행하는 노이즈 제거 필터; 및 상기 손떨림 판단결과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노이즈 제거 필터로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손떨림이 발생한 경우 상기 노이즈 제거 필터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판단부는 상기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값의 차이(error)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픽셀값의 차이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셀값의 차이가 상기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픽셀값의 차이가 기준값 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판단부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들을 복수의 블록들로 구분하는 블록 설정부; 각 블록 별로 상기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값의 차이(error)를 연산하는 연산부; 각 블록 별로 상기 픽셀 값 차이(Error)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동일한 상기 비교 결과를 갖는 블록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 및 상기 카운팅된 블록의 개수를 기준 개수와 비교하는 개수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팅된 블록의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카운팅된 블록의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판단부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간의 픽셀값의 차이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픽셀값의 차이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픽셀값의 차이가 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라이브뷰 영상들의 상관성이 높은것으로 판단하고, 작지않으면 상기 라이브뷰 영상들의 상관성이 낮은것으로 판단하는 비교부; 및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 사이의 상관성 판단결과 및 현재 라이브뷰 영상과 다음 라이브뷰 영상 사이의 상관성 판단결과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유지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지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일치하다면 상기 제1 또는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일치하지지 않다면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여,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면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은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하는 손떨림 판단단계; 및 상기 손떨림 판단결과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자동 노출에 의한 한장의 상기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손떨림이 발생한 경우 노출이 다른 두 장의 상기 영상을 촬영하 는 촬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은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하는 손떨림 판단단계; 상기 손떨림 판단결과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의 해상도를 저하시키는 노이즈 제거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손떨림 판단결과 손떨림이 발생한 경우 상기 노이즈 제거 동작을 수행하는 노이즈 제거단계; 및 상기 노이즈가 제거되지 않았거나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판단단계는 상기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값의 차이(error)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픽셀값의 차이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픽셀값의 차이가 상기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상기 픽셀값의 차이가 기준값 보다 작지 않은 경우 손떨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판단단계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들을 복수의 블록들로 구분하는 단계; 각 블록 별로 상기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값의 차이(error)를 연산하는 단계; 각 블록 별로 상기 픽셀 값 차이(Error)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동일한 상기 비교 결과를 갖는 블록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카운팅된 블록의 개수를 기준 개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팅된 블록의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보다 큰 경우 손떨림이 발생 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상기 카운팅된 블록의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손떨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판단단계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간의 픽셀값의 차이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픽셀값의 차이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픽셀값의 차이가 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라이브뷰 영상들의 상관성이 높은것으로 판단하고, 작지않으면 상기 라이브뷰 영상들의 상관성이 낮은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 사이의 상관성 판단결과 및 현재 라이브뷰 영상과 다음 라이브뷰 영상 사이의 상관성 판단결과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관성 판단결과가 일치하는 경우 손떨림이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다면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여,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면 손떨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전 라이브뷰 영상 단계에서 손떨림 판단을 수행한 후 이를 이용하여 손떨림 방지 기능 적용 여부를 결정하여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전자식 손떨림 보정 방법에서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노출이 다른 두 장의 영상을 촬영할 필요없이 자동 노출이 적용된 한 장의 영상만을 촬영하여 데이터 전송 시간이 짧아져 처리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고감도 촬영을 통한 손떨림 보정 방법에서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노이즈 제거 필터 동작을 중지 시켜 화질의 열화가 없는 양호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써의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이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초점이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23)에 녹색 불이 켜지게 된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써의 제2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전원 버튼(13)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
플래시(15)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보조광(17)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광을 공급한다.
렌즈부(19)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로서, 광각-줌 버튼(21w), 망원-줌 버튼(21t), 디스플레이부(23) 및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입력 버튼들(B1~B14)(이하 버튼들(B1~B14)이라 표기함)을 구비한다.
광각-줌 버튼(21w) 또는 망원-줌 버튼(21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21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21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버튼들(B1~B14)은 디스플레이부(2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2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 버튼들(B1~B14)은 터치 센서(도시되지 않음) 또는 접점식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즉, 버튼들(B1~B14)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가로 열의 버튼들(B1~B7) 또는 세로 열의 버튼들(B8~B14)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주 메뉴 항목 중 임의의 값(예를 들어, 컬러 또는 밝기)을 선택하거나, 주 메뉴 아이콘에 포함된 하위메뉴 아이콘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들(B1~B14)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주 메뉴 아이콘 및 하위메뉴 아이콘을 직접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접점식 스위치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터치만을 요구하지만, 접점식 스위치 입력은 터치 센서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터치를 요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부(23), 사용자 입력부(31), 촬상부(33), 영상 처리부(35), 저장부(37)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31)는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릴리즈 버튼(1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13),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21w) 및 망원-줌 버튼(21t)과, 문자 입력 또는 메뉴 선택 및 실행을 위해 디스플레이부(23) 주변의 가로 및 세로열에 구비된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버튼들(B1~B14)이 있다.
촬상부(3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셔터, 렌즈부, 조리개 및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ADC를 포함한다. 셔터는 조리개와 함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렌즈부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이 때, 조리개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의 개폐 정도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에 의해 제어된다.
CCD는 렌즈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에 의해 이루어진다. CCD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C는 CCD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디지털 변환된 RAW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영상 처리부(35)는 온도변화에 만감한 CCD 및 CFA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레벨(Black level)을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35)는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 하는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35)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 되고, 저장부(3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35)의 모든 동작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하고,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자동 노출에 의한 한 장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하고,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하지 않고 영상을 촬영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1)는 손떨림 판단부(39-1), 촬영 제어부(39-2), 노이즈 제거부(39-3) 및 제어부(39-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을 위해 두 가지 실시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제1 실시 예는 손떨림 판단부(39-1), 촬영 제어부(39-2) 및 제어부(39-4)를 포함하는 전자식 손떨림 보정 방법으로써의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이며, 제2 실시 예는 손떨림 판단부(39-1), 노이즈 제거부(39-3) 및 제어부(39-4)를 포함하는 고감도 촬영을 통한 손떨림 보정 방법으로써의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이다.
먼저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손떨림 판단부(39-1)는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한다.
촬영 제어부(39-2)는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자동 노출에 의한 한장의 상기 영상을 촬영하고,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노출이 다른 두 장의 상기 영상을 촬영하도록 촬상부(33) 및 영상 처리부(35)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는 제어부(39-4)로부터 출력된다.
제어부(39-4)는 손떨림 판단부(39-1)로부터 손떨림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촬영 제어부(39-2)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손떨림이 발생한 경우 촬영 제어부(39-2)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노출이 다른 두 장의 영상을 촬영할 필요없이 자동 노출이 적용된 한 장의 영상만을 촬영하여 데이터 전송 시간이 짧아 져 처리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에는 손떨림 판단부(39-1) 제1 내지 제3 실시 예의 상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판단부(39-1)는 연산부(39-11) 및 비교부(39-12)를 포함한다.
연산부(39-11)는 시간적으로 앞서 입력된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후에 입력되는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값의 차이(error)를 계산한다.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은 시간으로 연속되는 프레임들의 영상 데이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산부(39-11)는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 값 차분을 제곱하고, 전체 픽셀들에 대해 상기 연산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제곱한 값들을 모두 합한다.
픽셀값의 차이(Error)는 라이브뷰 영상들의 각 픽셀의 픽셀 값 차분의 제곱을 합한 SSD(sum of sequard differences)이다. 따라서 이전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들 사이에 상관성이 높으면 픽셀 값 차이(error)가 작으며, 상관성이 낮으면 픽셀 값 차이(error)가 크다. 즉, 상관성이 높으면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이 거의 유사한 것으로, 삼각대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라이브뷰 영상들을 입력하고 있는 것과 같이 손떨림 발생 확률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 반대로 상관성이 낮으면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이 상이한 것으로, 손떨림이 있는 상태에서 라이브뷰 영상들이 입력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피사체가 움직여 상관성이 낮게 판단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관성 이 높은 경우,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므로, 노출이 다른 두 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이들을 합성할 필요가 없이, 자동 노출에 의한 한 장의 영상을 촬영하면 된다. 따라서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상관성이 높은 경우를, 이전의 경험칙에 의거하여 정하고, 상관성의 고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삼각대 사용과 같이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기준 값을 미리 설정하고, 상기 픽셀값의 차이(error)를 상기 기준 값과 비교한다. 이는 비교부(39-12)에서 행할 수 있다.
비교부(39-12)에서 픽셀값의 차이(Error)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1로, 그렇지 않은 경우 0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1은 삼각대 사용과 같이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는 정보를 가지며, 0은 손떨림이 발생하는 정보를 갖는 것이다. 이때, 기준값은 라이브뷰 영상의 노이즈 레벨에 따라 다르게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영상의 감도를 높이면 노이즈가 증가하므로, 감도에 따라서 영상의 노이즈 레벨을 측정하여 기준값을 정한다. 노이즈 레벨의 측정 방법으로는 동일 감도의 2장의 라이브뷰 영상 사이의 SSD를 측정하고, 이 값을 히스토그램화하면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교부(39-12)의 비교 결과 즉, 0과 1은 제어부(39-4)로 전송된다.
제어부(39-4)는 비교부(39-12)의 비교 결과로 0을 수신하는 경우, 손떨림이 발생하는 경우로 보아 촬영 제어부(39-2)가 노출이 다른 두 장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1이면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로 보아 촬영 제어부(39-2)가 자동 노출에 의한 한 장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도 4b에 도시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판단부(39-1)는 블록 설정부(39- 13), 연산부(39-14), 비교부(39-15), 카운팅부(39-16) 및 개수판단부(39-17)를 포함한다.
블록 설정부(39-13)는 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N개의 블록으로 분할한다.
연산부(39-14)는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에서 해당 블록의 픽셀값의 차이(error)를 연산한다. 이때, 픽셀값의 차이(error)는 이전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 값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 값 차분을 제곱하고, 해당 블록의 픽셀들에 대해 상기 계산을 행하여 모두 합한 값이다.
블록별로 픽셀값을 연산하여 블록의 픽셀 값 차이(error)가 도출되면, 비교부(39-15)는 이를 기준값과 비교한다. 비교부(39-15)는 블록의 픽셀값의 차이(error)가 기준값 보다 작다면 1을 기입하고, 그렇지 않으면 0을 기입한다. 여기서 1은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0은 손떨림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카운팅부(39-16)는 1 및/또는 0 데이터가 기입된 블록의 개수를 카운팅 한다. 예를 들어 1이 기입된 블록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소정 개수보다 크면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또는 1이 기입된 블록의 개수가 소정 개수보다 크지 않으면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한다. 기입되어 카운팅한 개수를 기준 개수와 판단함은 개수 판단부(39-17)에서 수행한다.
개수 판단부(39-17)의 판단 결과, 블록의 개수 합이 기준 개수보다 크면 1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0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1은 삼각대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0은 손떨림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낸다. 개수 판단부(39-17)의 판단 결과는 제어부(39-4)로 전송된다.
제어부(39-4)는 개수 판단부(39-17)의 판단 결과로 0을 수신하는 경우, 손떨림이 발생하는 경우로 보아 촬영 제어부(39-2)가 노출이 다른 두 장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1을 수신하는 경우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로 보아 촬영 제어부(39-2)가 자동 노출에 의한 한 장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도 4c에 도시된 제3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판단부(39-1)는 연산부(39-18), 비교부(39-19) 및 유지 판단부(39-20)를 포함한다.
도 4c에서는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상관성뿐만 아니라, 이후의 다음 라이브뷰 영상들의 상관성을 판단하고, 상관성이 유지되는 경우 유지되는 상관성에 따라 손떨림을 판단하는 내용을 예시한다.
여기서 다음 라이브뷰 영상은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라이브뷰 영상이 생성되며, 이후에도 피사체를 촬영하는 캡쳐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기 전까지 라이브뷰 영상은 계속하여 생성 및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라이브뷰 영상 이후에 생성되는 라이브뷰 영상을 다음 라이브뷰 영상이라 할 수 있다.
연산부(39-18)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라이브뷰 영상들간의 픽셀값의 차이를 연산한다. 픽셀값의 차이는 한 프레임 영상을 구성하는 픽셀들 각각에 대해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들 간의 차분을 계산하고, 상기 차분을 제곱하 여 합한 것이다.
비교부(39-19)는 픽셀값의 차이가 기준값보다 작은지 또는 작지 않은지 판단한다. 픽셀값의 차이가 기준 값보다 작으면, 판단한 라이브뷰 영상들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작지 않으면, 판단한 라이브뷰 영상들의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한다.
유지 판단부(39-20)는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 간의 상관성 판단 결과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과 다음 라이브뷰 영상의 상관성 판단 결과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상관성 판단을 5개의 프레임들을 구성하는 라이브뷰 영상들에 대해 판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5개의 라이브뷰 영상들에 한해 상관성을 판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유지 판단부(39-20)의 판단 결과, 상관성이 유지되면 제어부(39-4)에서 상관성이 유지되는 판단 결과에 따라 촬영 제어부(39-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간의 픽셀 값 차이가 기준 값 보다 작아 1로 판단되고, 현재 라이브뷰 영상과 다음 라이브뷰 영상 간의 픽셀 값 차이도 기준 값 보다 작아 1로 판단되면, 유지 판단부(39-20)는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판단 결과가 1로 일치한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1은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유지 판단부(39-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부(39-4)는 촬영 제어부(39-2)가 자동 노출에 의한 한 장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 간의 손떨림 보정 동작 여부에 관한 제1 판단 결과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과 다음 라이브뷰 영상 간의 손떨림 보정 동작 여부에 관한 제2 판단 결과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유지 판단부(39-20)는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었다면 제어부(39-4)는 촬영 제어부(39-2)가 노출이 다른 두 장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지 않았다면, 제어부(39-4)는 그 다음 라이브뷰 영상이 수신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연산부(39-18), 비교부(39-19) 및 유지 판단부(39-20)는 상기 그 다음 라이브뷰 영상과 다음 라이브뷰 영상 간의 손떨림 보정 동작 여부에 관한 판단 결과를 도출하고, 판단 결과가 이전의 판단 결과와 동일한지를 계속하여 판단한다.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어 판단될 때까지 반복 실행한다.
다음에,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손떨림 판단부(39-1)는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한다.
노이즈 제거부(39-3)는 제1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을 오프하고, 제2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을 개시한다. 노이즈 제거부(39-3)는 고감도 촬영 시에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노이즈 제거부(39-3)가 동작되면, 노이즈 제거부(39-3)의 Artifacts로 인해 영상의 화질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는 제어부(39-4)로부터 출력된다.
제어부(39-4)는 손떨림 판단부(39-1)로부터 손떨림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노이즈 제거부(39-3)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손 떨림이 발생한 경우 노이즈 제거부(39-3)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고감도 촬영 시에 손떨림을 판단하여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노이즈 제거부(39-3)의 동작을 중지 시켜 화질의 열화가 없는 양호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에는 손떨림 판단부(39-1) 제1 내지 제3 실시 예의 상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상기에 개시된 내용과 동일하며, 노이즈 제거부(39-3) 및 제어부(39-4)에 적용되었을 경우에 대한 내용만 하기에 기술하도록 한다.
도 4a에 도시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판단부(39-1)에서 제어부(39-4)는 비교부(39-12)의 비교 결과로 0을 수신하는 경우, 손떨림이 발생하는 경우로 보아 노이즈 제거부(39-3)가 동작하여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제어하고, 1이면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로 보아 노이즈 제거부(39-3)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도 4b에 도시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판단부(39-1)에서 제어부(39-4)는 개수 판단부(39-17)의 판단 결과로 0을 수신하는 경우, 손떨림이 발생하는 경우로 보아 노이즈 제거부(39-3)가 동작하여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제어하고, 1을 수신하는 경우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로 보아 노이즈 제거부(39-3)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도 4c에 도시된 제3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판단부(39-1)에서, 유지 판단부(39-20)의 판단 결과, 상관성이 유지되면 제어부(39-4)에서 상관성이 유지되는 판단 결과에 따라 노이즈 제거부(39-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간의 픽셀 값 차이가 기준 값 보다 작아 1로 판단되고, 현재 라이브뷰 영상과 다음 라이브뷰 영상 간의 픽셀 값 차이도 기준 값 보다 작아 1로 판단되면, 유지 판단부(39-20)는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판단 결과가 1로 일치한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1은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유지 판단부(39-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부(39-4)는 노이즈 제거부(39-3)의 동작 여부를 제어한다.
또는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 간의 손떨림 보정 동작 여부에 관한 제1 판단 결과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과 다음 라이브뷰 영상 간의 손떨림 보정 동작 여부에 관한 제2 판단 결과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유지 판단부(39-20)는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었다면 제어부(39-4)는 노이즈 제거부(39-3)를 동작시켜 영상의 노이즈가 제거되도록 제어한다.
만약,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지 않았다면, 제어부(39-4)는 그 다음 라이브뷰 영상이 수신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연산부(39-18), 비교부(39-19) 및 유지 판단부(39-20)는 상기 그 다음 라이브뷰 영상과 다음 라이브뷰 영상 간의 손떨림 보정 동작 여부에 관한 판단 결과를 도출하고, 판단 결과가 이전의 판단 결과와 동일한지를 계속하여 판단한다.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어 판단될 때까지 반복 실행한다.
이하, 도 5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장치 내의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로서, 디스플레이부(23)에 라이브뷰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면(501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한다(503단계).
손떨림 판단 결과, 라이브뷰 영상에 손떨림이 발생한 경우(505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노출이 다른 두 장의 상기 영상을 촬영하여 합성한다(507단계).
그러나, 손떨림 판단 결과, 라이브뷰 영상에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자동 노출에 의한 한 장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다(509단계).
이와 같이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노출이 다른 두 장의 영상을 촬영할 필요없이 자동 노출이 적용된 한 장의 영상만을 촬영하여 데이터 전송 시간이 짧아져 처리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로서, 디스플레이부(23)에 라이브뷰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면(601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한다(603단계).
손떨림 판단 결과, 라이브뷰 영상에 손떨림이 발생한 경우(605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내부에 구비된 노이즈 제거 필터(도 3의 노이즈 제거부(39-3))를 동작시켜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한다(607단계). 노이즈 제거 필터는 고감도 촬영 시에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노이즈 제거 필터가 동작되면, 노이즈 제거 필터의 Artifacts로 인해 영상의 화질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손떨림 판단 결과, 라이브뷰 영상에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내부에 구비된 노이즈 제거 필터의 동작을 오프시켜 영상의 노이즈 제거 동작을 생략한다(609단계).
이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노이즈가 제거되었거나 노이즈가 제거되지 않은 영상을 촬영한다(611단계).
이와 같이 고감도 촬영 시에 손떨림을 판단하여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노이즈 제거 필터의 동작을 중지 시켜 화질의 열화가 없는 양호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5 및 도 6 중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판단 방법의 상세 흐름도로서, 라이브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제1 라이브뷰 영상을 수신한다(701단계). 여기서 라이브뷰 영상은 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영상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한 것일 수 있다.
셔터-릴리즈 버튼(11)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703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제2 라이브뷰 영상을 수신한다(705단계). 여기서 제2 라이브뷰 영상은 제2 라이브뷰 영상 보다 시간적으로 후에 입력되는 것으로, 연속되는 프레임의 영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시간적으로 앞서 입력된 제1 라이브뷰 영상과 후에 입력되는 제2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값의 차이(error)를 연산한다(707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제1 라이브뷰 영상과 제2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 값 차분을 제곱하고, 전체 픽셀들에 대해 상기 연산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제곱한 값들을 모두 합한다. 픽셀값의 차이(Error)는 라이브뷰 영상들의 각 픽셀의 픽셀 값 차분의 제곱을 합한 SSD(sum of sequard differences)이다.
이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픽셀값의 차이(error)를 기준값과 비교한다(709단계). 삼각대 사용과 같이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기준 값을 미리 설정하여 픽셀값의 차이와 비교한다.
비교결과 픽셀값의 차이(Error)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삼각대 사용과 같이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711단계).
그러나, 비교결과 픽셀값의 차이(Error)가 기준 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삼각대 사용과 같이 손떨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713단계).
손떨림이 발생한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노출이 다른 두 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합성하거나, 노이즈 제거 필터를 동작시켜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그러나,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자동 노출에 의한 영상을 촬영하거나, 노이즈 제거 필터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도 8은 도 5 및 도 6 중 제2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판단 방법의 상세 흐름도로서, 라이브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제1 라 이브뷰 영상을 수신한다(801단계).
셔터-릴리즈 버튼(11)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803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제2 라이브뷰 영상을 수신한다(805단계).
이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N개의 블록으로 분할한다(807단계).
블록이 분할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제1 라이브뷰 영상과 제2 라이브뷰 영상에서 해당 블록의 픽셀값의 차이(error)를 연산한다(809단계). 이때, 픽셀값의 차이(error)는 이전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 값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 값 차분을 제곱하고, 해당 블록의 픽셀들에 대해 상기 계산을 행하여 모두 합한 값이다.
블록별로 픽셀값을 연산하여 블록의 픽셀 값 차이(error)가 도출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이를 기준값과 비교한다(811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블록의 픽셀값의 차이(error)가 기준값 보다 작다면 해당 블록에 X 즉, 1을 기입하고(813단계), 그렇지 않으면 해당 블록에 Y즉 0을 기입한다(815단계). 여기서 1은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0은 손떨림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마지막 블록까지 픽셀값의 차이(error)가 연산되면(817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1 및/또는 0 데이터가 기입된 블록의 개수를 카운팅 한다(819단계). 예를 들어 1이 기입된 블록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소정 개수보다 크면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또는 1이 기입 된 블록의 개수가 소정 개수보다 크지 않으면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기입되어 카운팅한 개수가 기준 개수보가 큰지 판단한다(821단계).
판단 결과, 블록의 개수 합이 기준 개수보다 크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삼각대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제1 라이브뷰 영상과 제2 라이브뷰 영상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판단한다(823단계).
판단 결과, 블록의 개수 합이 기준 개수보다 크지 않으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손떨림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한다(825단계).
손떨림이 발생한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노출이 다른 두 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합성하거나, 노이즈 제거 필터를 동작시켜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그러나,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자동 노출에 의한 영상을 촬영하거나, 노이즈 제거 필터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도 9는 도 5 및 도 6 중 제3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판단 방법의 상세 흐름도로서, n-1 라이브뷰 영상을 수신한다(901단계). 입력된 n-1 라이브뷰 영상은 소정 시간 임의로 저장될 수 있다.
셔터-릴리즈 버튼(11)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903단계), 적어도 상기 셔터-릴리즈 신호가 수신된 때 또는 그 이후에 n 라이브뷰 영상을 수신한다(905단계).
그리고나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n-1 라이브뷰 영상과 n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의 픽셀 값 차이(Error)를 비교 판단한다(907단계). 이 단계를 제1 영상 비 교 판단이라 한다. 픽셀 값 차이(Error)는 앞서 설명한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방법에 따를 수 있다. 여기서 n은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된 때 또는 그 이후의 가장 근접하게 라이브뷰 영상이 생성 및 입력된 시각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n+1 라이브뷰 영상을 수신한다(909단계).
수신이 완료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n 라이브뷰 영상과 n+1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 값 차이(Error)를 비교 판단하는 제2 영상 데이터 비교 판단을 수행한다(911단계).
이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제1 영상 데이터 비교 판단과 제2 영상 데이터 비교 판단의 상관성이 유지되는지 판단한다(913단계).
상관성이 유지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유지되는 결과에 따라 손떨림 발생 유/무를 판단한다(915단계).
상관성이 유지되지 않으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917단계).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었으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손떨림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한다(919단계).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지 않았으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n+2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921단계). 그리고 911단계로 피드백하여 n+2 라이브뷰 영상의 이전 프레임의 라이브뷰 영상인 n+1 라이브뷰 영상과 픽셀 값을 비교 판단한다. 그리고 이후 상관성이 유지되는지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시간적으로 연속적인 라이브뷰 영상들 간에 상관성을 판단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 간격을 둔 라이브뷰 영상들 간에 상관성을 판단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도 3 중 손떨림 판단부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의 상세 구성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 중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판단 방법의 상세 흐름도 이다.
도 8은 도 5 및 도 6 중 제2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판단 방법의 상세 흐름도 이다.
도 9는 도 5 및 도 6 중 제3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판단 방법의 상세 흐름도 이다.

Claims (12)

  1.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하고,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자동 노출에 의한 한 장의 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하는 손떨림 판단부;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자동 노출에 의한 한장의 상기 영상을 촬영하고,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노출이 다른 두 장의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제어부; 및
    상기 손떨림 판단결과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촬영 제어부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손떨림이 발생한 경우 상기 촬영 제어부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3.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하고,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하지 않고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 털 영상 촬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하는 손떨림 판단부;
    제1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영상의 해상도를 저하시키는 노이즈 제거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노이즈 제거 동작을 수행하는 노이즈 제거 필터; 및
    상기 손떨림 판단결과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노이즈 제거 필터로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손떨림이 발생한 경우 상기 노이즈 제거 필터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5.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판단부는
    상기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값의 차이(error)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픽셀값의 차이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셀값의 차이가 상기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출 력하고, 상기 픽셀값의 차이가 기준값 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6.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판단부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들을 복수의 블록들로 구분하는 블록 설정부;
    각 블록 별로 상기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값의 차이(error)를 연산하는 연산부;
    각 블록 별로 상기 픽셀 값 차이(Error)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동일한 상기 비교 결과를 갖는 블록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 및
    상기 카운팅된 블록의 개수를 기준 개수와 비교하는 개수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팅된 블록의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카운팅된 블록의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7.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판단부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간의 픽셀값의 차이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픽셀값의 차이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픽셀값의 차이가 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라이브뷰 영상들의 상관성이 높은것으로 판단하고, 작지않으면 상기 라이브뷰 영상들의 상관성이 낮은것으로 판단하는 비교부; 및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 사이의 상관성 판단결과 및 현재 라이브뷰 영상과 다음 라이브뷰 영상 사이의 상관성 판단결과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유지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지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일치하다면 상기 제1 또는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일치하지지 않다면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여,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면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8.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하는 손떨림 판단단계; 및
    상기 손떨림 판단결과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자동 노출에 의한 한장의 상기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손떨림이 발생한 경우 노출이 다른 두 장의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단계를 포함하는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
  9. 이전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와 현재 라이브뷰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떨림을 판단하는 손떨림 판단단계;
    상기 손떨림 판단결과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의 해상도를 저하시키는 노이즈 제거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손떨림 판단결과 손떨림이 발생한 경우 상기 노이즈 제거 동작을 수행하는 노이즈 제거단계; 및
    상기 노이즈가 제거되지 않았거나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단계를 포함하는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
  10. 제 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판단단계는
    상기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값의 차이(error)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픽셀값의 차이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픽셀값의 차이가 상기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상기 픽셀값의 차이가 기준값 보다 작지 않은 경우 손떨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
  11. 제 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판단단계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들을 복수의 블록들로 구분하는 단계;
    각 블록 별로 상기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현재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값의 차이(error)를 연산하는 단계;
    각 블록 별로 상기 픽셀 값 차이(Error)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동일한 상기 비교 결과를 갖는 블록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카운팅된 블록의 개수를 기준 개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팅된 블록의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보다 큰 경우 손떨림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상기 카운팅된 블록의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손떨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
  12. 제 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판단단계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간의 픽셀값의 차이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픽셀값의 차이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픽셀값의 차이가 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라이브뷰 영상들의 상관성이 높은것으로 판단하고, 작지않으면 상기 라이브뷰 영상들의 상관성이 낮은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이전 라이브뷰 영상과 현재 라이브뷰 영상 사이의 상관성 판단결과 및 현재 라이브뷰 영상과 다음 라이브뷰 영상 사이의 상관성 판단결과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관성 판단결과가 일치하는 경우 손떨림이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다면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여, 마지막 라이브뷰 영상이 입력되면 손떨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
KR1020080076751A 2008-08-06 2008-08-06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467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751A KR101467873B1 (ko) 2008-08-06 2008-08-06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751A KR101467873B1 (ko) 2008-08-06 2008-08-06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128A true KR20100018128A (ko) 2010-02-17
KR101467873B1 KR101467873B1 (ko) 2014-12-02

Family

ID=4208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751A KR101467873B1 (ko) 2008-08-06 2008-08-06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8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373B1 (ko) * 2019-05-22 2019-08-12 (주)현이엔씨 강우지속기간을 변화시키는 홍수량 산정 방법
US11924550B2 (en) 2018-10-30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b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786B1 (ko) * 2006-01-25 2012-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손 떨림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298638B1 (ko) * 2006-06-14 2013-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101319916B1 (ko) * 2006-06-21 2013-10-21 박상래 움직임 추정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방법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4550B2 (en) 2018-10-30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b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KR102009373B1 (ko) * 2019-05-22 2019-08-12 (주)현이엔씨 강우지속기간을 변화시키는 홍수량 산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873B1 (ko) 201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77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071766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7108309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20080101277A (ko) 히스토그램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그의 동작 방법
KR20100013705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00042916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 영상 개선 장치 및 방법
KR101822462B1 (ko)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촬영 장치
KR20100013859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렌즈의 mtf 특성을 이용한포커스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090078120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67873B1 (ko)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408339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11313B1 (ko) Tv를 이용한 멀티 디스플레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그 동작 방법
KR101421939B1 (ko)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36324B1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검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2765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얼굴인식 처리속도 조정 장치및 방법
KR10137301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저광량 시의 손떨림 방지 장치 및방법
KR101406802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26938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
KR101446941B1 (ko) 고속 촬영 시에 영상을 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90105374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442607B1 (ko) 색온도 조절 필터를 이용한 영상의 색온도 제어 장치 및방법
KR10141131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촬영 범위 확대 장치 및 방법
KR10144853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브라케팅 촬영을 이용한 광 역광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44678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2765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인물 촬영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