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504A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504A
KR20070117504A KR1020070056059A KR20070056059A KR20070117504A KR 20070117504 A KR20070117504 A KR 20070117504A KR 1020070056059 A KR1020070056059 A KR 1020070056059A KR 20070056059 A KR20070056059 A KR 20070056059A KR 20070117504 A KR20070117504 A KR 20070117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ard disk
engaging portion
side engag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쯔요시 가나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7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61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hard disk dr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전자 기기는 외부 케이싱과, 높이 및 폭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편평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외부 케이싱은 이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수용되는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을 따라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개구와,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촬상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 제1 커버 측 결합부, 제2 커버 측 결합부, 제1 케이싱 측 결합부, 제2 케이싱 측 결합부

Description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2는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3은 촬상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4는 촬상 장치의 우측면도.
도5는 촬상 장치의 좌측면도.
도6은 촬상 장치의 정면도.
도7은 촬상 장치의 후면도.
도8은 촬상 장치의 평면도.
도9는 촬상 장치의 저면도.
도10은 촬상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선도.
도11은 도4의 라인 AA를 따라 부분적으로 취해진 단면도.
도12는 도4의 라인 BB를 따라 부분적으로 취해진 단면도.
도13은 촬상 장치의 우측면도.
도14는 도13의 라인 AA를 따라 취해진 단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장착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15는 도13의 라인 AA를 따라 취해진 단면에 커버를 장착하는 단계를 설명 하는 도면.
도16은 도13의 라인 AA를 따라 취해진 단면에 커버를 장착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17은 도13의 라인 BB를 따라 취해진 단면에 커버를 장착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18은 도13의 라인 BB를 따라 취해진 단면에 커버를 장착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19는 도13의 라인 BB를 따라 취해진 단면에 커버를 장착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20은 커버의 장착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21은 커버의 장착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22는 커버의 장착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23은 커버의 장착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촬상 장치
12: 외부 케이싱
14: 촬영 광학 시스템
18: 촬상 소자
44: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50: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
58: 제1 케이싱 측 결합부
60: 제2 케이싱 측 결합부
본 발명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제공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는, 외부 케이싱 내에 스위치 등과 같은 부품을 수용하도록 수용 유닛이 제공되는, 비디오 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수용 유닛을 개폐하는 커버가 제공된다(예를 들어, 일본 특개평 제08-116479호). 나아가, 전자 기기에서, 커버는 손에 의해 파지될 그립부를 구성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련 기술의 전자 기기에는 커버를 개폐하는 힌지와, 폐쇄 상태로 커버를 잠그는 잠금 기구가 제공되기 때문에 많은 부품들이 사용되게 되며, 이는 기기의 크기를 추가로 감소시키는데 불리하게 된다.
또한, 커버는 힌지 및 잠금 기구에 의해 외부 케이싱에 부착되기 때문에, 그립을 구성하는 커버가 손으로 파지될 때 발생된 덜컥거림 현상(rattling)을 제어하는데 불리하다.
한편, 최근에는 비디오 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 기기에 내장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제공된다.
이러한 전자 기기의 타입에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강한 충격 또는 진동이 가해질 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자기 디스크 및 헤드 유닛이 서로 충돌하여 손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조립 최종 단계에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수용하는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이 외부 케이싱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는 조립 최종 단계에서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 내에 수용될 수도 있고,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이 커버로 덮여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서도,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부품의 수가 커져서 기기의 크기를 감소시키는데 불리하게 된다. 나아가, 커버가 손으로 파지될 때 발생된 덜컥거림 현상(rattling)을 제어하는 경우에서도 불리하게 된다.
또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제공된 전자 기기에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구입 후 보다 큰 데이터 용량의 또 다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로 교체될 수도 있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파손 등이 되었을 때 수리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이러한 경우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는 전자 기기로부터 쉽게 탈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부품 수와 그 물리적 크기를 감소시키는데 유리하거나 또는 커버의 덜컥거림 현상(rattling)을 제어하는데 유리하거나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조립 최종 단계에서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쉽게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케이싱을 갖고, 높이 및 폭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편평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갖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외부 케이싱에는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수용되는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구와,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제공된다. 또한, 커버 또는 외부 케이싱 중 하나에는 개구가 커버로 덮여진 상태에서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하는 제1 결합 돌출부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개구가 커버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커버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1 결합 돌출부와 결합하는 제1 결합 리세스가 제공된다. 나아가, 커버 또는 외부 케이싱 중 하나에는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결합 돌출부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개구가 커버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커버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2 결합 돌출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 리세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케이싱을 갖고, 높이 및 폭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편평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갖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외부 케이싱에는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수용되는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구와,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제공된다. 커버에는 개구가 커버로 폐쇄된 상태에서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하는 제1 결합 돌출부와,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결합 돌출부가 제공된다. 나아가, 외부 케이싱에는 개구가 커버로 폐쇄된 상태에서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커버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결합 돌출부와 결합하는 제1 결합 리세스와,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커버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2 결합 돌출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 리세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결합 돌출부는 제1 및 제2 결합 리세스와 각각 결합됨으로써 커버는 부품 수의 증가없이,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 및 이 깊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신뢰성 있게 방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커버가, 예를 들어 나사 등에 의해 간단하게 외부 케이싱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외부 케이싱 등의 측면에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조립 최종 단계에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쉽게 부착 및 탈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들에서는 전자 기기가 촬상 장치인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1 및 도2는 촬상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3은 촬상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촬상 장치(10)의 우측면도이다. 도5는 촬상 장치(10)의 좌측면도이다. 도6은 촬상 장치(10)의 정면도이다. 도7은 촬상 장치(10)의 후면도이다. 도8은 촬상 장치(10)의 평면도이다. 도9는 촬상 장치(10)의 저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도3 및 도10 참조]에 의해 애니메이션, 정지 화상, 사운드 등과 같은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비디오 카메라이다.
촬상 장치(10)는 외부 케이싱(12)을 갖고, 외부 케이싱(12)은 좌/우 방향으로 폭보다 큰 크기의 전후 방향에서의 길이 및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를 갖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좌/우"는 촬상 장치(10)를 후방으로부터 볼 때이고, 광학 시스템의 광학 축 방향에서의 "피사체 측"은 "전방"이라 하고, "촬상 소자 측"은 "후방"이라 한다.
외부 케이싱(12)은 전방을 향하는 전방면(12A)과, 후방을 향하는 후방면(12B)과, 상방을 향하는 상면(12C)과, 하방을 향하는 저면(12D)과, 좌측을 향하는 좌측면(12E)과, 우측을 향하는 우측면(12F)을 갖는다.
그 내부에 촬영 광학 시스템(14)이 구비된 렌즈 배럴(16)은 외부 케이싱(12)의 상부의 전방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되어, 그 전방이 외부 케이싱(12)의 전방면(12A)과 대면할 수 있다. 촬영 광학 시스템(14)은 줌 렌즈를 갖고, 그 줌 비율이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촬영 광학 시스템(14)에 의해 도입된 피사체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18)[도10 참조]는 렌즈 배럴(16)의 후방 단부 내에 형성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촬상 소자(18)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 화상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인 디스플레이 패널(20)이 외 부 케이싱(12)의 좌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제공된다. 이 디스플레이 패널(20)이 폐쇄될 때, 이는 외부 케이싱(12)의 좌측면(12E) 상에 위치된다. 또한, 스피커(22)가 외부 케이싱(12)의 좌측면(12E)에 제공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라이트 및 플래시 라이트와 같은 부속품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핫 슈(hot shoe)가 외부 케이싱(12)의 상면(12C)의 전방에 제공된다.
도2, 도7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38)를 장착하는 배터리 장착 유닛(40)이 외부 케이싱(12)의 후방면(12B)에 제공된다.
도2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커넥터(42)가 외부 케이싱(12)의 저면(12D)에 제공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가 크레이들(cradle)[200]에 위치될 때, 다중 커넥터(42)는 크레이들(200) 측의 다중 커넥터(202)에 연결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를 수집하는 마이크로폰(26)이 외부 케이싱(12)의 전방면(12A)의 하부에 제공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에는 촬영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서, 전원 공급 조작 스위치(28)와, 정지 화상 촬영 조작 스위치(30)와, 줌 조작 스위치(32)와, 모드 절환 조작 스위치(34)와, 이동 화상 촬영 조작 스위치(36) 등이 제공된다.
전원 공급 조작 스위치(28)와, 정지 화상 촬영 조작 스위치(30)와, 줌 조작 스위치(32) 및 모드 절환 조작 스위치(34)는 외부 케이싱(12)의 상면(12C)에 제공 된다.
이동 화상 촬영 조작 스위치(36)는 외부 케이싱(12)의 후방면(12B)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중간에서 우측면(12F) 근방의 위치에 제공된다.
전원 공급 조작 스위치(28)는 촬상 장치(10)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기 위한 것이다.
정지 화상 촬영 조작 스위치(30)는 촬상 소자(18)로 정지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줌 조작 스위치(32)는 촬영 광학 시스템(14)의 줌 비율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모드 절환 조작 스위치(34)는 정지 화상 촬영 모드와 이동 화상 촬영 모드 사이에서의 절환을 위한 것이다.
이동 화상 촬영 조작 스위치(36)는 이동 화상의 취득을 개시 및 중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10은 촬상 시스템(10)의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선도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에는 비디오 신호 증폭기(1002),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1004), 오디오 신호 증폭기(1006), 오디오 데이터 처리 유닛(1008), 디스플레이 구동 유닛(1010), 스피커 구동 유닛(1012), 버퍼 메모리(1014), 메모리 제어 유닛(1016), 메모리 카드 제어 유닛(1018), 인터페이스 유닛(1020), A/V 신호 생성 유닛(1022), 구동 전압 유닛(1024), 제어 유닛(1026), 인터페이스 유닛(1028), 기록/재생 유닛(1030),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 버 스(46), USB 인터페이스 유닛(47) 등이 제공된다.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1004)과, 오디오 데이터 처리 유닛(1008)과, 디스플레이 구동 유닛(1010)과, 스피커 구동 유닛(1012)과, 메모리 제어 유닛(1016)과, 메모리 카드 제어 유닛(1018)과, 인터페이스 유닛(1020)과, 인터페이스 유닛(1028) 및 기록/재생 유닛(1030)은 버스(46)에 연결된다.
촬상 소자(18)에 의해 생성된 화상 신호는 비디오 신호 증폭기(1002)에서 증폭되어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1004)으로 공급된다.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1004)은 화상 신호를 위한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하고, 기록/재생 유닛(1030)에 공급될 이동 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마이크로폰(26)으로 수집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신호 증폭기(1006)에서 증폭되고, 오디오 신호로서 기록/재생 유닛(1030)에 공급되도록 오디오 데이터 처리 유닛(1008)에 의해 소정의 신호 처리를 한다.
기록/재생 유닛(1030)은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1004)으로부터 공급된 이동 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 유닛(1008)으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를 제어 유닛(1026)의 제어 하에 기록/재생 유닛(1030)으로 공급한다. 기록/재생 유닛(1030)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 상에 이동 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한다.
또한, 기록/재생 유닛(1030)은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1004)으로부터 공급된 이동 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 유닛(1008)으로부 터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 제어 유닛(1018)을 통하여 메모리 카드용 메모리 카드 슬롯(1019) 내에 삽입된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2) 상에 기록한다.
또한, 기록/재생 유닛(1030)은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1004)으로부터 공급된 이동 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 유닛(101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에 공급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나아가, 기록/재생 유닛(1030)은 메모리 카드 제어 유닛(1018)을 통해 메모리 카드(2)로부터 공급된 이동 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 유닛(1010)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20)에 공급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또한, 이는 메모리 카드 제어 유닛(1018)을 통해 메모리 카드(2)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 구동 유닛(1012)을 통해 스피커(22)로 공급하여 사운드를 출력하게 한다.
더 나아가, 기록/재생 유닛(1030)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로부터 재생된 이동 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 유닛(101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로 공급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또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 구동 유닛(1012)을 통해 스피커(22)로 공급하여 사운드를 출력하게 한다.
버퍼 메모리(1014)는 메모리 제어 유닛(1016) 및 버스(46)를 통해 화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기록하는 것이다.
제어 유닛(1026)은 전원 공급 조작 스위치(28)의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10) 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한다.
또한, 제어 유닛(1026)은 정지 화상 촬영 조작 스위치(30)의 조작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1004) 및 기록/재생 유닛(1030)에 지시를 발행하고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1004)으로부터 공급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기록/재생 유닛(1030)에 공급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 상에 기록되게 한다.
나아가, 제어 유닛(1026)은 줌 조작 스위치(32)의 조작에 기초하여 줌 구동 유닛(도시 안됨)에 지시를 발행하고 촬영 광학 시스템(14)의 줌 렌즈를 이동시켜 촬영 광학 시스템(14)의 줌 비율을 변경한다.
더 나아가, 제어 유닛(1026)은 모드 절환 조작 스위치(34)의 조작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1004)에 지시를 발행하여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1004)이 이동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게 하는 이동 화상 촬영 모드와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1004)이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게 하는 정지 화상 촬영 모드 사이에서 절환하게 한다.
또한, 이동 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1004)에서 생성된 이동 화상 데이터는 기록/재생 유닛(1030)을 통하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 또는 메모리 카드(2) 상에 기록된다. 정지 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1004)에서 생성된 정지 화상 데이터는 기록/재생 유닛(1030)을 통하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 또는 메모리 카드(2) 상에 기록된다.
나아가, 제어 유닛(1026)은 이동 화상 촬영 조작 스위치(36)의 조작에 기초하여 이동 화상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하고, 기록을 중지한다. 다시 말해, 제어 유 닛(1026)은 이동 화상 촬영 조작 스위치(36)의 조작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1004) 및 기록/재생 유닛(1030)에 지시를 발행하고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1004)으로부터 기록/재생 유닛(1030)으로 공급된 이동 화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 상에 기록하는 조작을 개시하게 하거나 또는 중지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1026)은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범용 DSP를 포함하는)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청구범위에서 신호 처리 유닛은 비디오 신호 증폭기(1002),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1004), 제어 유닛(1026), 기록/재생 유닛(1030)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A/V 신호 생성 유닛(1022)은 인터페이스 유닛(1020)을 통해 기록/재생 유닛(1030) 또는 메모리 카드 제어 유닛(1018)으로부터 공급되는 이동 화상(정지 화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될 소정의 화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나아가, 구동 전압 유닛(1024)은 배터리(38)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촬상 장치(10)의 각 부분에 공급되는 소정의 전압 및 전류로 조정하거나 또는 외부 전력 공급 입력 단자(1025)를 통해 외부 전력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촬상 장치(10)의 각 부분에 공급되는 소정의 전압 및 전류로 조정한다.
더 나아가, 배터리(38)는 외부 전력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으로 충전된다.
USB 인터페이스 유닛(47)은 버스(46)와 다중 커넥터(42) 사이에 제공되고, 제어 유닛(1026)의 지시에 기초하여 다중 커넥터(42)와 크레이들(200)을 통해 버스(46)와 외부 기기 사이에서 USB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다시 말해, 촬상 장치(10)는 크레이들(200) 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크레이들(200)은 촬상 장치가 위치되는 베이스이며, 퍼스널 컴퓨터(4)의 버스가 케이블을 거쳐 연결되는 데이터 통신 커넥터(210)와, TV 세트(6)의 오디오 입력 단자와 화상 입력 단자가 A/V 케이블을 거쳐서 연결되는 A/V 커넥터(212)와, 외부 전력 공급부(8)가 연결되는 외부 전력 공급 단자(214) 등을 갖는다.
이러한 각각의 커넥터(210, 212 및 214)는 다중 커넥터(2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10)가 크레이들(200)에 위치되고 다중 커넥터(42, 202)가 서로 연결될 때, A/V 신호 생성 유닛(1022)으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는 크레이들(200)의 A/V 커넥터(212)에 연결된 외부 TV 세트(6)에 공급된다.
나아가, 촬상 장치(10)가 크레이들(200)에 위치되고 다중 커넥터(42, 202)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크레이들(200)의 외부 전력 공급 단자(214)에 연결된 외부 전력 공급부(8)로부터의 전력이 다중 커넥터(202, 42)를 통해 구동 전압 유닛(1024)에 공급되어, 구동 전압 유닛(1024)은 공급된 전력을 소정의 전압 및 전류로 조정하고 이를 촬상 장치(10)의 각 부분에 공급하거나 또는 배터리(38)를 충전한다.
나아가, 촬상 장치(10)가 크레이들(200)에 위치되고 다중 커넥터(42, 202)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USB 인터페이스 유닛(47)은 크레이들(200)의 데이터 통신 커넥터(210)에 연결되는 퍼스널 컴퓨터(4)의 버스와 연결되어, 제어 유닛(1026) 및 퍼스널 컴퓨터(4)가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더 나아가, 그 일 단부가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타 단부가 다중 커넥터(202)의 단자(242)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위치(220)가 크레이들(200)에 제공된다.
스위치(220)의 타 단부에 연결된 다중 커넥터(202)의 단자(242)에 대응하는 촬상 장치(10)의 다중 커넥터(42)의 단자(402)가 제어 유닛(1026)에 연결된다.
촬상 장치(10)가 크레이들(200)에 위치되고 다중 커넥터(42, 202)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스위치(220)가 조작될 때, 단자(242,4202)를 통해 L 레벨의 신호가 제어 유닛(1026)에서 검출된다.
L 레벨의 신호의 검출에 기초하여 USB 인터페이스 유닛(47)을 제어함으로써, 제어 유닛(1026)은 USB 인터페이스 유닛(47)을 통해 촬상 장치(10)[전자 기기]와 퍼스널 컴퓨터(4)[외부 기기] 사이에서 USB에 의해 소정의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소정의 데이터 통신은 기록 매체로서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 상에 기록되는 화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4)에 전송하는 동작이고, 다시 말해 데이터를 백업하는 동작이다.
퍼스널 컴퓨터(4)는 퍼스널 컴퓨터(4)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전송된 데이터를 백업 및 기록한다.
다르게는, 그 내부에 제공된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4)는 이를 DVD-R 등과 같은 광 디스크에 기록함으로써 전송된 데이터를 백업한다.
이에 따라, 단지 조작 스위치(220)를 조작함으로써, 촬상 장치(10)에 기록되 는 화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가 퍼스널 컴퓨터(4)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광 디스크에 쉽게 백업될 수 있고, 촬상 장치(10)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 등의 고장으로 인한 데이터의 손실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 및 그의 수용 구조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11은 도4의 라인 AA를 따라 부분적으로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12는 도4의 라인 BB를 따라 부분적으로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13은 촬상 장치(10)의 우측면도이다. 도14 내지 도16은 도13의 라인 AA를 따라 취해진 단면에 커버(52)를 장착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7 내지 도19는 도13의 라인 BB를 따라 취해진 단면에 커버(52)를 장착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0 내지 도23은 커버(52)의 장착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외부 케이싱(12)의 우측면(12F)에는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과,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을 개폐하는 커버(52)가 제공된다.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이 커버(52)로 폐쇄되는 경우에, 커버(52)의 외측면은 우측면(12F)의 일부(본 실시예에서는 대부분의 부분)를 구성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는 자기 디스크, 자기 헤드 등이 하드 디스크 케이싱(45)의 내부에 합체되도록 배치된다. 하드 디스크 케이싱(45)은 높이 및 폭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편평한 직사각 플레이트형을 갖고, 그 주위에는 2개의 댐퍼(54)가 제공된다.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은 하드 디스크 케이싱(45)의 길이, 폭 및 깊이보 다 각각 큰 길이, 폭 및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댐퍼(54)가 장착된 상태로 하드 디스크 케이싱(45)의 수용을 허용하는 크기의 길이, 폭 및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은 깊이 방향의 일 면이 직사각 개구(56)를 갖도록 배치되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는 댐퍼(54)가 장착된 상태로 개구(56)를 통해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의 깊이 방향을 따라 부착 및 탈착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56)를 형성하는 4개의 에지 중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 케이싱(12)의 부분에는 제1 케이싱 측 결합부(58)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부분은 상부 에지를 포함하는 외부 케이싱(12)의 부분에 배치된다.
또한, 개구(56)를 형성하는 4개의 에지 중 하나에 대향하는 다른 하나의 에지를 포함하는 외부 케이싱(12)의 부분에는 제2 케이싱 측 결합부(60)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부분은 하부 에지를 포함하는 외부 케이싱(12)의 부분에 배치된다.
도3,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싱 측 결합부(58)에는 제1 결합 리세스(5802) 및 제2 결합 리세스(5804)가 제공된다.
제1 결합 리세스(5802)는 개구(56)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에지의 연장 방향의 중앙부에 제공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의 깊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깊이를 갖고, 상부 에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외부 케이싱(12)의 외측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2 결합 리세스(5804)는 개구(56)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에지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제1 결합 리세스(5802)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2 결합 리세스(5804)는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의 깊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깊이[개구(56)의 상부 에지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깊이]를 갖고, 상부 에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대면하는 편평한 외측면부(6002)는 제2 케이싱 측 결합부(60)에 형성된다. 복수의 나사 구멍(도시 안됨)이 이러한 외측면부(6002)에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나사 구멍(도시 안됨)은 개구(56)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전방 에지의 전방의 외부 케이싱(12) 및 개구(56)의 후방부를 형성하는 후방 에지의 후방의 외부 케이싱(12)에 각각 형성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56)는 커버(52)에 의해 개폐된다. 커버(52)는 제1 커버 측 결합부(64)와, 메인 플레이트부(62) 및 제2 커버 측 결합부(66)를 갖는다.
메인 플레이트부(62)는 개구(56)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삽입 구멍(6210)은 메인 플레이트부(62)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된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 측 결합부(64)는 만곡부(63)를 거쳐서 메인 플레이트부(62)의 상부 측에 연결되거나 또는 연속된다. 제1 커버 측 결합부(64)는 메인 플레이트부(62)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다.
만곡부(63)의 내측면 및 외측면은, 개구(56)가 메인 플레이트부(62)에 의해 폐쇄되고 제1 커버 측 결합부(64)가 제1 케이싱 측 결합부(58) 상에 위치되며 제2 커버 측 결합부(66)가 제2 케이싱 측 결합부(60)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도16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 측 결합부(64)는 메인 플레이트부(62)에 수직인 방향으로 메인 플레이트부(62)의 상부 측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부(6402)를 포함하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제1 커버 측 결합부(64)는 만곡부(63)를 거쳐서 메인 플레이트부(62)에 수직인 제1 플레이트부(6402)를 갖는다.
제1 결합 돌출부(6410)와 2개의 제2 결합 돌출부(6412)가 제1 커버 측 결합부(64)에[제1 플레이트부(6402)에] 제공된다.
제1 결합 돌출부(6410)는, 개구(56)가 메인 플레이트부(62)에 의해 폐쇄되고 제1 커버 측 결합부(64)가 제1 케이싱 측 결합부(58) 상에 위치되며 제2 커버 측 결합부(66)가 제2 케이싱 측 결합부(60)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의 깊이 방향에 평행하게 돌출되고 제1 플레이트부(640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제1 결합 돌출부(6410)는 제1 플레이트부(6402)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제2 결합 돌출부(6412) 사이에 제공된다.
각각의 제2 결합 돌출부(6412)는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의 깊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제1 플레이트부(6402)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제1 플레이트부(640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이에 따라,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 돌출부(6410)는, 개구(56)가 메인 플레이트부(62)에 의해 폐쇄되고 제1 커버 측 결합부(64)가 제1 케이싱 측 결합부(58)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결합 리세스(5802)와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제1 결합 돌출부(6410)가 제1 결합 리세스(5802)와 결합할 때, 커버(52)는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의 깊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이동[메인 플레이트부(62)의 상부 측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커버(52)의 이동]이 방지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5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2 결합 돌출부(6412)는, 개구(56)가 메인 플레이트부(62)에 의해 폐쇄되고 제1 커버 측 결합부(64)가 제1 케이싱 측 결합부(58)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제2 결합 리세스(5804)와 각각 결합한다. 제2 결합 돌출부(6412)가 제2 결합 리세스(5804)와 결합할 때, 커버(52)는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의 깊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 커버(52)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배치된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버 측 결합부(66)는 만곡부(65)를 거쳐서 메인 플레이트부(62)에 연결되거나 또는 연속적이고, 메인 플레이트부(62)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한다.
만곡부(65)의 내측면 및 외측면은, 개구(56)가 메인 플레이트부(62)에 의해 폐쇄되고 제1 커버 측 결합부(64)가 제1 케이싱 측 결합부(58) 상에 위치되며 제2 커버 측 결합부(66)가 제2 케이싱 측 결합부(60)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 형상의 만곡면으로 형성된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버 측 결합부(66)는 메인 플레이트부(62)에 수직인 방향으로 메인 플레이트부(62)의 하부 측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제2 플레이트부(6602)를 포함하도록 배치된다.
제1 커버 측 결합부(64) 및 제2 커버 측 결합부(66)는 서로 대향, 즉 제1 플레이트부(6402) 및 제2 플레이트부(6602)는 서로 대면한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버 측 결합부(66)가 제2 케이싱 측 결합부(60)와 대면하는 위치에서, 편평한 내측면부(6610)는 제2 케이싱 측 결합부(60)의 외측면부(6002)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나사 삽입 구멍(6010)은 복수의 나사 구멍(도시 안됨)과 동축으로, 내측면부(6610)를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부(6602)에 형성된다.
도14 내지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56)가 메인 플레이트부(62)에 의해 폐쇄되고 제1 및 제2 결합 돌출부(6410 및 6412)가 제1 및 제2 결합 리세 스(5802 및 5804) 내에 각각 삽입되며 외측면부(6002)와 내측면부(6610)가 서로 접촉함에 따라, 제1 커버 측 결합부(64)는 제1 케이싱 측 결합부(58) 상에 위치되고 제2 커버 측 결합부(66)는 제2 케이싱 측 결합부(60) 상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상태에서,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삽입 구멍(6010)을 통해 나사 구멍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6012)가 고정되고 나사(6212)가 나사 삽입 구멍(6210)을 통해 외부 케이싱(12)의 나사 구멍과 결합되어, 커버(52)는 이러한 나사(6012 및 6022)에 의해 외부 케이싱(12)에 부착된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2)가 외부 케이싱(12)에 이와 같이 부착되는 상태에서, 제1 커버 측 결합부(64)의 외측면은 외부 케이싱(12)의 상부면(12C)과 연속인 가상면에 걸쳐 연장되고, 제2 커버 측 결합부(66)의 외측면은 외부 케이싱(12)의 저면(12D)과 연속인 가상면에 걸쳐 연장된다. 따라서, 커버(52)는 외부 케이싱(12)의 우측면(12F)의 부분뿐만 아니라 외부 케이싱(12)의 상면(12C) 및 저면(12D)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54)의 제1 커버 측 결합부(64) 근방의 위치에[본 실시예에서 하드 디스크 케이싱(45)의 상부 측에] 장착되는 댐퍼(54)는, 메인 플레이트부(62)가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과 대면하는 내측면에서 제1 커버 측 결합부(64) 근방에 위치하는 개소 및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의 저부에 의해 협지된다. 나아가, 댐퍼(54)의 제2 커버 측 결합부(66) 근방의 위치에[본 실시예에서 하드 디스크 케이싱(45)의 하부 측에] 장착되는 댐퍼(54)는, 메인 플레이트부(62)가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과 대면하는 내측면에 서 제2 커버 측 결합부(66) 근방에 위치하는 개소 및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의 저부에 의해 협지된다. 댐퍼(54)는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협지되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는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 내에 보유 및 수용된다.
또한, 외부 케이싱(12)의 우측면(12F)의 외측을 따라 통과하도록 그립 벨트(도시 안됨)가 제공되고[그립 벨트는 본 실시예에서 커버(52)의 외측을 따라 통과하도록 제공되고], 그립 벨트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는 외부 케이싱(12)의 전방면(12A) 및 후방면(12B)에 각각 부착되고, 우측 삽입 공간이 커버(52)와 그립 벨트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10)의 사용자는 커버(52)와 그립 벨트 사이에 우측 손을 삽입시키고, 커버(52) 및 이 커버(52)의 상하에 위치된 부분을 잡고 촬영을 행한다.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에 따르면, 커버(52)의 제1 및 제2 결합 돌출부(6410 및 6412)는 외부 케이싱(12)의 제1 및 제2 결합 리세스(5802 및 5804)와 각각 결합되고 외측면부(6002) 및 내측면부(6610)가 서로 접촉하여, 커버(52)가 외부 케이싱(12)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전형적인 힌지 및 잠금 기구를 이용하는 구조에서 커버(52)를 부착하는데 추가적인 부품이 제공될 필요없이 커버(52)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하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공정의 수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하며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버(52)의 제1 및 제2 결합 돌출부(6410 및 6412)는 외부 케이싱(12)의 제1 및 제2 결합 리세스(5802 및 5804)와 각각 결합되기 때문에, 커버(52)는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커버(52)는 외부 케이싱(12)의 우측면(12F)을 구성하고 촬상 장치(10)의 사용시 파지되는 부분이어서, 커버(52)는 손으로 파지될 때 덜컥거림 현상(rattling)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촬상 장치(10)의 조작성이 향상되는 유리한 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쌍인 제2 결합 돌출부(6412) 및 제2 결합 리세스(5804)를, 개구(56)를 형성하는 상부 에지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결합 돌출부(6410) 및 제1 결합 리세스(5802)가 사이에 위치되는 개소에 제공하기 때문에, 커버(52)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커버(52)의 부분이 손으로 파지될 때 커버(52)의 덜컥거림 현상이 더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어서 촬상 장치(10)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이 외부 케이싱(12)의 측면에 제공되고 이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을 개폐하는 커버(52)가 제공되기 때문에, 조립 최종 단계에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강한 충격 및 진동이 가해질 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 내부의 자기 디스크 및 자기 헤드가 서로 충돌하여 파손될 가능성이 있을지라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가 본 발명에 따른 최종 단계에서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언급된 가능성을 피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나아가,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이 외부 케이싱(12)의 측면에 제공되고 이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을 개폐하는 커버(52)가 제공되기 때문에, 전자 기기로부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만을 쉽게 착탈할 수 있다. 따라서, 구매 후 하 드 디스크 드라이브(44)가 더 큰 데이터 용량을 갖는 다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로 교체될 때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를 수리(또는 유지보수)할 때, 쉽게 교체 또는 수리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는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50)을 통해 외부 케이싱(12)의 우측면(12F)에 제공되기 때문에, 촬상 소자(18) 및 디스플레이 패널(20)로부터의 열을 방출하는 열원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로부터 이격된 위치(예를 들어, 좌측면 근방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배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4)의 동작 안정성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결합 돌출부(6410)가 커버(52)에 제공되고 제1 결합 리세스(5802)가 외부 케이싱(12)에 제공되고 제2 결합 돌출부(6412)가 커버(52)에 제공되며 제2 결합 리세스(5804)가 외부 케이싱(12)에 제공되는 경우가 설명된다. 하지만, 제1 결합 돌출부(6410)는 커버(52) 또는 외부 케이싱(12) 중 하나에 제공될 수도 있고, 제1 결합 리세스(5802)는 다른 하나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결합 돌출부(6412)는 커버(52) 또는 외부 케이싱(12) 중 하나에 제공될 수도 있고 제2 결합 리세스(5804)는 다른 하나에 제공될 수도 있지만, 실시예에서와 같은 배치는 기기의 크기를 감소시키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기기가 촬상 장치(10)인 경우가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갖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2006년 6월 8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그 전체 내용이 레퍼 런스로 본문에 참조되는 일본 특허 출원 제2006-159659호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한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은 다양한 변형예, 조합예, 부조합예 및 변경예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대등물의 범위 내에서 있는 한 설계 조건 및 다른 인자에 따라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 수와 그 물리적 크기를 감소시키는데 유리하거나 또는 커버의 덜컥거림 현상을 제어하는데 유리하거나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조립 최종 단계에서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쉽게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는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8)

  1. 외부 케이싱과, 높이 및 폭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편평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갖는 전자 기기이며,
    상기 외부 케이싱에는,
    상기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고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수용되는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과,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을 따라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제공되고,
    상기 커버 또는 상기 외부 케이싱 중 하나에는 상기 개구가 상기 커버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에 평행하게 돌출하는 제1 결합 돌출부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개구가 상기 커버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 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커버가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결합 리세스가 제공되고,
    상기 커버 또는 상기 외부 케이싱 중 하나에는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결합 돌출부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개구가 상기 커버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결합 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커버가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 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결합 리세스가 제공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의 메인 플레이트부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4개의 변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커버 측 결합부가 제공되고,
    상기 외부 케이싱에는 상기 개구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커버 측 결합부가 위치되는 제1 케이싱 측 결합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결합 돌출부 또는 제1 결합 리세스 중 하나는 상기 제1 커버 측 결합부에 제공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케이싱 측 결합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2 결합 돌출부 또는 제2 결합 리세스 중 하나는 상기 제1 커버 측 결합부에 제공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케이싱 측 결합부에 제공되는 전자 기기.
  3. 외부 케이싱과, 높이 및 폭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편평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갖는 전자 기기이며,
    상기 외부 케이싱에는, 상기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가지며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수용되는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과,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을 따라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제공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개구가 커버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에 평행하게 돌출하는 제1 결합 돌출부와,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결합 돌출부가 제공되고,
    상기 외부 케이싱에는, 상기 개구가 상기 커버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 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커버가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결합 리세스와, 상기 제2 결합 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커버가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깊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결합 리세스가 제공되는 전자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의 메인 플레이트부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4개의 변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커버 측 결합부가 제공되고,
    상기 외부 케이싱에는 상기 개구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커버 측 결합부가 위치되는 제1 케이싱 측 결합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결합 돌출부 및 제2 결합 돌출부는 상기 제1 커버 측 결합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1 결합 리세스 및 제2 결합 리세스는 상기 제1 케이싱 측 결합부에 제공되는 전자 기기.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측 결합부는 만곡부를 거쳐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구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제1 커버 측 결합부가 상기 제1 케이싱 측 결합부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만곡부가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에 대면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대향면인 외측면은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 형상의 만곡면으로 각각 형성되는 전자 기기.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측 결합부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변 들 중 하나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기기.
  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제1 결합 돌출부가 제공되고,
    2개의 상기 제2 결합 돌출부가, 하나의 변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돌출부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전자 기기.
  8.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제1 커버 측 결합부가 상기 제1 케이싱 측 결합부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나사 삽입 구멍 내로 삽입된 나사에 의해 상기 외부 케이싱에 부착되는 전자 기기.
  9.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4개의 변 중 하나와 대향하는 다른 하나의 변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커버 측 결합부가 제공되고,
    상기 외부 케이싱에는, 상기 개구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커버 측 결합부가 위치되는 제2 케이싱 측 결합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커버 측 결합부 및 상기 제2 커버 측 결합부는 서로 대면하는 전자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측 결합부는 만곡부를 거쳐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구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제2 커버 측 결합부가 상기 제2 케이싱 측 결합부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만곡부가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에 대면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대향면인 외측면이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 형상의 만곡면으로 각각 형성되는 전자 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측 결합부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변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측 결합부는, 상기 개구가 상기 메인 플레 이트부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제2 커버 측 결합부가 상기 제2 케이싱 측 결합부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케이싱 측 결합부에 제공된 외측면부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에 제공된 내측면부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개구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제1 커버 측 결합부가 상기 제1 케이싱 측 결합부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 커버 측 결합부가 상기 제2 케이싱 측 결합부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 삽입 구멍내로 삽입된 나사에 의해 상기 외부 케이싱에 부착되는 전자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는 그 주위에 댐퍼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 내에 수용되고,
    상기 개구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제1 커버 측 결합부가 상기 제1 케이싱 측 결합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커버 측 결합부가 상기 제2 케이싱 측 결합부 상에 위치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나사 결합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 구멍과 나사식 결합되는 나사에 의해 상기 외부 케이싱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댐퍼의 상기 제1 커버 측 결합부 근방의 위치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가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에 대면하는 내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커버 측 결합부 근방의 위치와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저부에 의해 협지되고, 상기 댐퍼의 상기 제2 커버 측 결합부 근방의 위치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가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에 대면하는 내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커버 측 결합부 근방의 위치와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의 저부에 의해 협지되는 전자 기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싱은 상방을 향하는 상면과, 하방을 향하는 저면 및 측방을 향하는 측면을 갖고,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은 상기 측면에 제공되고,
    상기 개구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제1 커버 측 결합부가 상기 제1 케이싱 측 결합부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 커버 측 결합부가 상기 제2 케이싱 측 결합부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외측면은 상기 측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케이싱 측 결합부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상기 제1 커버 측 결합부의 외측면은 상기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2 케이싱 측 결합부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상기 제2 커버 측 결합부의 외측면은 상기 저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자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측 결합부의 외측면은 상기 상면과 연속인 가상면에 걸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커버 측 결합부의 외측면은 상기 저면과 연속인 가상면에 걸쳐서 연장되는 전자 기기.
  1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몰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전자 기기.
  1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촬상 장치이며,
    상기 외부 케이싱에 수용된 촬영 광학 시스템과, 상기 촬영 광학 시스템에 의해 도입된 피사체 상을 촬영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의해 생성된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기록하는 신호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1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촬상 장치이며,
    상기 외부 케이싱에 수용된 촬영 광학 시스템과, 상기 촬영 광학 시스템에 의해 도입된 피사체 상을 촬영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의해 생성된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기록하는 신호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케이싱은 전방을 향하는 전방면과, 상방을 향하는 상면과, 하방을 향하는 저면 및 측방을 향하는 측면을 갖고,
    상기 촬영 광학 시스템은 상기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대면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하드 디스크 수용 유닛은 상기 측면에 제공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측면을 구성하고,
    상기 외부 케이싱의 전방 및 후방에 걸쳐서 상기 측면의 측방으로 관통하는 그립 벨트가 제공되고,
    상기 측면과 상기 그립 벨트 사이에 손이 삽입되어 상기 측면을 포함하는 상기 외부 케이싱의 부분을 파지하는 전자 기기.
KR1020070056059A 2006-06-08 2007-06-08 전자 기기 KR200701175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59659A JP4662165B2 (ja) 2006-06-08 2006-06-08 電子機器
JPJP-P-2006-00159659 2006-06-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504A true KR20070117504A (ko) 2007-12-12

Family

ID=3887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059A KR20070117504A (ko) 2006-06-08 2007-06-08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92721B2 (ko)
JP (1) JP4662165B2 (ko)
KR (1) KR20070117504A (ko)
CN (1) CN100550985C (ko)
TW (1) TWI3442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7906A1 (en) * 2008-06-02 2010-05-06 Provo Craft And Novelty, Inc. Cartridge System
JP5217941B2 (ja) * 2008-11-18 2013-06-19 ソニー株式会社 成形部品及び成形部品の製造方法
CN102411400B (zh) * 2011-08-01 2013-02-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可外接存储卡的电子装置
CN112135079A (zh) * 2020-09-11 2020-12-25 江苏宽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大数据网络实时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3631U (ko) * 1990-02-08 1991-10-28
JPH089906Y2 (ja) * 1991-09-25 1996-03-21 岡谷電機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収納体
JPH08116479A (ja) * 1994-10-14 1996-05-07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JPH1116553A (ja) * 1997-06-23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における電池収納構造
JP3408771B2 (ja) * 1998-03-13 2003-05-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衝撃吸収保持体および衝撃吸収保持体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
JP3802997B2 (ja) * 1999-07-14 2006-08-0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スチルカメラ
CN100524157C (zh) * 2001-08-30 2009-08-05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避震模块装置及数据处理系统
US20050182873A1 (en) * 2004-02-14 2005-08-18 Chao-Liang Wang Compound CD-ROM drive
JP2005323261A (ja) * 2004-05-11 2005-11-17 Olympus Corp アクセサリ装置
JP2007166291A (ja) * 2005-12-14 2007-06-28 Sony Corp 撮像装置
JP2007166289A (ja) * 2005-12-14 2007-06-28 Sony Corp 撮像装置
JP4148284B2 (ja) * 2006-07-19 2008-09-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記録再生装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87372A (zh) 2007-12-12
JP2007329725A (ja) 2007-12-20
CN100550985C (zh) 2009-10-14
TWI344296B (en) 2011-06-21
TW200810529A (en) 2008-02-16
US7692721B2 (en) 2010-04-06
JP4662165B2 (ja) 2011-03-30
US20070296834A1 (en)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8390B2 (en) Camera body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an unlocking mechanism
JP4089737B2 (ja) ビデオカメラ
TW200920106A (en) Imaging apparatus and auxiliary recording medium unit
KR20070117504A (ko) 전자 기기
JP4289348B2 (ja) 撮像装置
US20070165996A1 (en) Electronic apparatus
JP4264555B2 (ja) 撮像装置
JP2007329729A (ja) 撮像装置
JP4193840B2 (ja) 電子機器
US200600806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liance
JP2000350073A (ja) 電子カメラ用拡張ユニット及び電子カメラシステム
US20070147788A1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50061351A (ko) 이미지 촬상 장치
JP2010206594A (ja) カメラボディ、撮像ユニット、撮像システム、その撮像ユニットのカメラボディに対する着脱方法、その撮像ユニットのカメラボディに対する装着方法、その撮像ユニットのカメラボディに対する抜き取り方法
JP2007328866A (ja) 電子機器
JP3763071B2 (ja) アクセサリーシュー及びアクセサリーシューを有する撮像装置
JP5272817B2 (ja) カメラボディ及びこのカメラボディに着脱される撮像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2007329726A (ja) 電子機器システム
JP3562081B2 (ja) 取付装置を備えた撮像装置
JP4011923B2 (ja) 電子機器
JP3763311B2 (ja) アクセサリーシュー装置
JP4666220B2 (ja) 撮像装置
JP2006186635A (ja) 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装置並びにクレードル
JP2008022438A (ja) 撮像装置
JP2010063071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