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6969A -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 Google Patents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6969A
KR20070116969A KR1020077025368A KR20077025368A KR20070116969A KR 20070116969 A KR20070116969 A KR 20070116969A KR 1020077025368 A KR1020077025368 A KR 1020077025368A KR 20077025368 A KR20077025368 A KR 20077025368A KR 20070116969 A KR20070116969 A KR 20070116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ccant
adhesive
substrate
electronic devic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1370B1 (ko
Inventor
지에 카오
도날드 이. 허
Original Assignee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인베스트멘트 홀딩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098,117 external-priority patent/US7687119B2/en
Application filed by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인베스트멘트 홀딩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인베스트멘트 홀딩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11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1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09K2323/055Epox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09K2323/059Unsaturated aliphatic polymer, e.g. viny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0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including irradiated or wave energy treated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epoxy group or epoxy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88Next to cellulosic
    • Y10T428/31884Regenerated or modified cellulo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Epoxy Resin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방사선 경화성 수지, 하나 이상의 건조성 충전재, 하나 이상의 광개시제 또는 감광제,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무기 또는 유기 충전재를 포함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방사선 경화성 밀봉제/접착제, 분자체, 건조제, 광전 소자, 칼슘-버튼 소자, 광개시제

Description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RADIATION-CURABLE DESICCANT-FILLED ADHESIVE/SEALANT}
본 발명은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desiccant-filled) 접착제 또는 밀봉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전자 소자 및 광전 소자(optoelectronic device)에 사용되는, 건조제-충전 둘레(perimeter) 접착제 및 밀봉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국 정부로부터 협약 번호 MDA972-93-2-0014 하에 Army Research Laboratories에 수여된 지원 하에 이루어졌다. 미국 정부는 본 발명에 대한 소정의 권리를 가진다.
관련 특허출원
본 출원은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11/098,115호, 제11/098,116호 및 제11/098,117호와 관련된다. 본 출원은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11/098,117호의 일부 계속출원이다.
다양한 패키징 처리 전자 소자 및 광전 소자가 규정된 가동 또는 저장 수명을 얻기 위해서는 수분에 대한 보호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폴리머 발광 소자, 전하 결합 소자 센서(CCD), 액 정 디스플레이(LCD), 전기이동(electrophoretic) 디스플레이 및 미소 기전 센서(MEMS)와 같은 수분에 매우 민감한 전자 소자 및 광전 소자의 캡슐화 패키지 내부의 상대 습도는, 유기 발광층, 전극, 또는 기타 수분에 민감한 컴포넌트를 완전히 보호하기 위해서 소정 레벨 미만, 특히 1,000ppm 미만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100ppm 미만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캡슐화되거나 패키지된 소자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여러 가지 접근 방법이 사용된다.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해서 이들 기법이 항상 유용한 것은 아니다: 유기 밀봉제가 엄격한 수분 침투 요건을 맞추지 못할 수 있고; 수분 차단형 솔더 밀봉제는 온도 민감성 소자용으로는 너무 높은 융점을 가질 수 있고; 소자 내벽에 부착된 건조제 패키지가 소자로부터의 발광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상부 방출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있어서 특별한 문제이다.
본 발명은 밀봉제 및 접착제(이하, 밀봉제/접착제라 함) 모두의 성질을 가진, 건조제가 충전된 방사선 경화성 재료이다. 이 재료는 수분에 매우 민감한 전자 소자, 광전 소자 또는 그와 유사한 소자의 밀봉에 적합하다. 이들 밀봉제/접착제 조성물에서, 상기 재료는 수분 장벽(barrier)으로서 작용할 뿐 아니라, 임의의 침투성 수분 또는 수증기를 흡수하거나, 흡착하거나, 또는 그것과 화학적으로 반응한다. 상기 재료는 두 기판을 함께 결합시켜, 접착제가 방사선 경화되고 나면 밀봉된 인클로저(enclosure)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는 (a) 하나 이상의 방사선 경화성 수지; (b) 물 또는 수증기를 흡수하거나, 흡착하거나, 또는 그것과 화학적으로 반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재; (c) 하나 이상의 광개시제 및/또는 감광제(photosensitizer)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착제/밀봉제는 또한 하나 이상의 반응성 또는 비반응성 수지, 하나 이상의 무기 충전재, 또는 하나 이상의 접착 촉진제를 함유할 수 있다.
도 1은 덮개의 둘레와 기판의 계면에 도포된 둘레 밀봉제를 가진 기판에 덮개가 부착되어 있는 칼슘(Ca) 버튼 소자(button device)를 나타낸다.
도 2는 적층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두 기판을 결합시키는 Ca 버튼 소자를 나타낸다.
도 3은 티올-엔 밀봉제/접착제의 Ca-버튼 감쇠율(decay rate)의 비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건조제가 충전된 양이온 에폭시 장벽 밀봉제를 사용하는 소자에 대해 시간 경과에 따른 Ca-버튼 감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참고자료는 그 전제가 원용되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방사선 경화라 함은 화학 방사선(actinic radiation)에 대한 노출을 통한 수지 또는 수지/충전재 시스템의 경화를 의미한다. 화학 방사선은 물질 내에 화학적 변화를 유도하는 전자기(electromagnetic) 방사선으로 정의되며, 본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의 목적에 따라 전자빔 경화(electron-beam curing)도 포함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그러한 방사선은 자외선(UV) 영역 또는 가시광이다. 이러한 경화는 적절한 광개시제의 사용을 통해 시작된다.
적합한 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UV 경화성 물질 및 충전된 폴리머 복합체 분야에서 경험을 가진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수지는 작은 분자,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일 수 있고, 최종 용도 적용에 적합하게 실시자에 의해 선택될 것이다. 선택되는 특별한 건조성 충전재는 또한 특별한 광전 소자 또는 전자 소자에 대해 요구되는 수분 제거 및 수분 장벽 요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경화 메커니즘도 변동될 수 있지만(화학적, 라디칼, 등), 사용되는 충전재 및 건조성 충전재와 상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어, 몇몇 알칼리성 건조제 또는 충전재는 양이온 방식 UV 경화성 수지 시스템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용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의 요체는 건조제로 충전되어 있고, 방사선에 의해 경화 가능한 접착제/밀봉제의 포뮬레이션(formulation)에 있다.
방사선 경화성 수지의 골격은 제한되지 않는다. 수지에 결합된 반응성 작용기는 방사선에 노출됨으로써 형성된 개시제 또는 촉매에 대해 반응성인 것이며, 제한되지 않지만, 글리시딜 에폭시, 지방족 에폭시 및 지환족 에폭시로부터 선택되는 에폭시; 옥세탄;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이타코네이트; 말레이미드; 비닐, 프로페닐, 크로틸, 알릴 및 프로파길 에테르 및 이들 기의 티오-에테르;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및 신나메이트 에스테르; 스티렌기;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 아미드; 칼콘; 티올; 알릴, 알케닐 및 사이클로알케닐기를 포함한다.
적합한 양이온 중합가능한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는, 에폭시, 옥세탄, 비닐 에테르 및 프로페닐 에테르가 포함된다. 대표적인 에폭시 수지는 글리시딜 에테르 및 지환족 에폭시로서,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소정 수의 공급원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것이다.
대표적인 방향족 액체 글리시딜 에테르로는,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 에테르(Resolution Performance Products사로부터 상품명 Epikote 862로 판매됨) 또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Resolution Performance Products사로부터 상품명 Epikote 828로 판매됨)가 포함된다. 대표적인 고체 글리시딜 에테르로는, 테트라메틸비페닐디글리시딜 에테르(상품명 RSS 1407로 판매됨) 및 레조르시놀 디글리시딜 에테르(CVC Specialty Chemicals, Inc.로부터 상품명 Erisys RDGE®로 판매됨)가 포함된다. 그 밖의 방향족 글리시딜 에테르는 Resolution Performance Products사로부터 상품명 Epon 1031, Epon 164 및 SU-8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대표적인 비방향족 글리시딜 에폭시 수지로는, 수소첨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Dainippon Ink & Chemicals로부터 상품명 EXA-7015로 판매됨) 또는 Aldrich Chemical Co.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사이클로헥산디메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가 포함된다.
대표적인 지환족 에폭시 수지로는, Dow Chemical Co.로부터 입수가능한 ERL 4221 및 REL 6128이 포함된다. 대표적인 옥세탄 수지는 Toagosei사로부터 입수가 능한 OXT-121이다. 대표적인 비닐 에테르 분자는 사이클로헥산디메틸롤 디비닐 에테르(Rapicure-CHVE),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비닐 에테르9Rapicure-DPE-3) 또는 도데실 비닐 에테르(Rapicure-DDVE)를 포함하고, 이것들은 모두 International Specialty Products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유사한 비닐 에테르도 BASF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적합한 라디칼 중합가능한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는, 아크릴레이트, 말레이미드, 또는 티올-엔계 수지가 포함된다. 많은 경우에, 이들 3종의 수지의 조합을 활용하여 밀봉제/접착제 재료의 성질을 조절할 수 있다.
대표적인 아크릴레이트 수지로는, 헥산 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산디메틸롤 디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엔디메틸롤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디메타크릴레이트, 및 비스페놀 A계 아크릴화 에폭시가 포함된다. 그러한 수지는 Sartomer사 및 UCB Chemicals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대표적인 액체 말레이미드 수지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6,265,530호, 제6,034,194호 및 제6,034,195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특허는 전체가 원용되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특히 적합한 말레이미드 수지는 하기 구조를 가진다:
Figure 112007078602981-PCT00001
상기 식에서, (C36)은 36개의 탄소를 가진 탄화수소 부분으로서, 고리 구조 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은 직쇄형 또는 분지형 사슬일 수 있다:
Figure 112007078602981-PCT00002
대표적인 티올-엔 라디칼 광중합 가능한 시스템으로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시스템이 포함된다. 다른 유용한 티올로는, 미국특허 제5,919,602호(출원인: MacDermid Acumen, Inc.)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포함된다. 다른 유용한 폴리엔으로는 Bimax,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디알릴클로렌데이트(상품명 BX-DAC로 판매됨) 및 테트라알릴비스페놀 A가 포함된다.
다른 적합한 수지로는, 방사선 경화성인 작용기를 함유하는 폴리이소부틸렌 또는 부닐 고무가 포함된다. 대표적인 폴리이소부틸렌 아크릴레이트는 미국특허 제5,171,760호(출원인: Edison Polymer innovation Corp.), 제5,665,823호(출원인: Dow Corning Corp.) 및 Polymer Bulletin, vol. 6, pp. 135-141(1981)(저자: T.P. Liao 및 J.P. Kennedy)에 기재되어 있다. 대표적인 폴리이소부틸렌 에폭시는 Polymer Material Science and Engineering, vol. 58, pp. 869(1988) 및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A, Polymer Chemistry, Vol. 28, pp. 89(1980)(저자: J.P. Kennedy 및 B. Ivan)에 기재되어 있다. 대표적인 폴리이소부틸렌 비닐 에테르는 Polymer Bulletin, Vol. 25, pp. 633(1991)(저자: J.P. Kennedy 및 공동저자), 미국특허 제6,054,549호, 제6,706,779 B2(출원인: Dow Croning Corp.)에 기재되어 있다. 대표적인 방사선 경화성 부닐 고무는 RadTech North America proceedings, pp. 77,(1992)(저자: N.A. Merrill, I.J. Gardner 및 V.L. Hughes)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고무는 방사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반응성 작용기를 함유한다. 그러한 반응성 작용기로는, 제한되지 않지만, 글리시딜 에폭시, 지방족 에폭시 및 지환족 에폭시; 옥세탄;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이타코네이트; 말레이미드; 비닐, 알케닐, 프로페닐, 크로틸, 알릴 및 프로파길 에테르 및 이들 기의 티오-에테르;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및 신나메이트 에스테르; 스티렌기;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칼콘; 티올; 알릴, 알케닐 및 사이클로알케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적합한 방사선 경화성 수지 및 이들 수지에 사용되는 광개시제는, Fouassier, J-P., Photoinitiation , Photopolymerization and Photocuring Fundamentals anc applications, 1995, Hanser/Gardner Publications, Inc., New York, NY과 같은 문헌에서 알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사선 경화성 장벽 물질에 사용되는 광개시 시스템의 선택은 방사선 경화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에게 익숙하다. 상기 광개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광개시제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감광제를 포함한다. 적절한 광개시제의 선택은 장벽 밀봉제를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한 용도에 크게 의존한다. 적합한 광 개시제는, 방사선 경화성 시스템에 있는 수지, 충전재 및 기타 첨가제와 구별되는 광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것이다.
밀봉제를 커버(또는 덮개)나 기판을 통해 경화해야 할 경우, 광개시제는 상기 커버나 기판을 투명하게 하는 파장에서 방사선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장벽 밀봉제를 소다회 유리 커버플레이트를 통해 경화하고자 할 경우, 광개시제는 약 320nm 이상에서 유의적 UV 흡수율을 가져야 한다. 320nm 미만의 UV 방사선은 소다회 유리 커버플레이트에 의해 흡수되어 광개시제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다. 이 예에서, 광개시제로의 에너지 전달을 증가시키기 위해 광개시 시스템 내에 광개시제와 함께 감광제를 포함시키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커버 또는 덮개의 본성은 용도에 의해서만 제한되며, 경성일 수도 있고 가요성일 수도 있다. 그 예로는 유리, 장벽 코팅된 플라스틱 및 강철이 포함된다.
양이온 광중합 가능한 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유용한 광개시제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BR4 =, PF6 -, AsF6 -, 또는 SbF6 =와 같은 플루오르화 음이온과 같은 음이온을 함유하는 디아릴요오도늄염 및 트리아릴술포늄염이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대표적 요오도늄염은, PC2506(Polyset), UV9380C(GE Silicones), 및 Rhodorsil 2074(Rhodia)를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양이온 광개시제는 술포늄염이고, 대표적인 술포늄염은 UVI-6974(Dow Chemical)이다. 용도에 따라, Aldrich 및 기타 공급처로부터 입수가능한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ITX) 및 클로로프로폭시티오크산톤(CPTX)과 같은 감광제를 요오도늄염 광개시제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라디 칼 광개시제는 Ciba Specialty Chemicals 및 다른 공급처로부터 구할 수 있다. Ciba사 제품으로 대표적인 유용한 라디칼 광개시제로는 Irgacure 651, Irgacure 819 및 Irgacure 907이 포함된다. 그 밖의 광개시제는 Ionic Polymerizations and Related processed, 45-60, 1999,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J.E. Puskas et al.(eds.)에 개시되어 있다. 광개시제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된다.
건조제가 아닌 무기 충전재(본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 내에서 비건조성(non-desiccant) 충전재라 지칭되기도 함)는 조성물의 성질 또는 유동성을 개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UV 경화성 밀봉제/접착제에 유용한 충전재는 많이 있다. 대표적인 비건조성 충전재로는, 제한되지 않지만, 미분 석영, 용융 실리카, 비정질 실리카, 탈크, 유리 비즈, 흑연, 카본 블랙, 알루미나, 점토, 마이카, 질화알루미늄 및 질화붕소가 포함된다. 은, 구리, 금, 주석, 주석/납 합금, 그 밖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분말 및 플레이크(flake)도 전도성 용도에 적합한 충전재이다. 폴리-(테트라클로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와 같은 유기 충전재 분말도 사용될 수 있다. 방사선 경화성 조성물 용도에 적합한 충전재의 형태 및 양은 당업자의 전문 지식에 포함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기 충전재는 총 포뮬레이션의 1∼9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건조제 성질을 가진 충전재(본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 내에서 건조성 충전재라 지칭됨)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은, 특정한 소자에 대해 허용가능한 수분 레 벨에 합치되는 적절한 수분 제거율, 용량 및 잔류 수분 레벨을 제공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건조성 충전재는 물 및/또는 수증기와 반응하거나, 물 및/또는 수증기를 흡수, 또는 흡착할 수 있다. 그러한 건조제의 대표적 리스트는 Dean, J. Lange's Handbook of Chemistry, 1999, McGraw Hill, Inc., New York, NY, pp. 11.5에서 찾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합한 건조제로는, 한정되지 않지만, 금속 산화물(예; CaO, BaO, MgO); 다른 산화물(예; SiO2, PaO5, Al2O3); 금속 수소화물(예; CaH2, NaH, LiAlH4); 금속염(예; CaSO4, Na2SO4, MgSO4, CaCO3, K2CO3, CaCl2); 분말화 제올라이트(예; 4A 및 3A 분자체(molecular sieve)); Ba(ClO4)2, Mg(ClO4)2와 같은 금속 퍼클로레이트; 약하게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과 같은 초흡수성 폴리머(superabsorbant polymer); 및 칼슘과 같이 물과 반응하는 금속이 포함된다.
어느 충전재에서나 그러한 바와 같이, 건조성 충전재의 입자 크기, 입도 분포, 형상, 및 표면 작용성은 수지 시스템 내에 로딩될 수 있는 레벨 및 유동성이 초래할 수 있는 것에 영향을 줄 것이다. 그러한 요소는 당업자가 이해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과 달리 관련되지 않는다. 앞에서 개시된 더 보편적인 비건조성 충전재들의 블렌드 및 이러한 건조성 충전재는 실시예 내에서 고려되고 기재되어 있다.
건조성 충전재의 입자 크기의 보편적 범위는 0.001∼200㎛이다. 당업자는 상기 수지, 유동성 및 특별한 최종 용도에 필요한 제거율에 대해 적절한 입자 크기 범위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설치되고, 건조제-충전 밀봉제/접착제와 함께 덮개와 기판이 결합되어 있는 덮개에 의해 캡슐화된,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이고, 상기 건조제-충전 밀봉제/접착제는 본 명세서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조제-충전 밀봉제/접착제는 기판과 덮개의 둘레 접합부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건조제-충전 밀봉제/접착제는 보호할 필요가 있는 기판 및 덮개 영역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
둘레 밀봉제의 수분 장벽 성능은 Ca-버튼 시험이라고 알려져 있는 시험법에 의해 평가할 수 있는데, 이 시험에서는 소자 내에 캡슐화되어 있는 칼슘 금속의 박막이 물과의 반응을 통해 칼슘염으로 변화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측정된다. 칼슘 금속막이 감쇠되기 전 수명이 길수록, 소자 내에 침투하는 수분이 적고, 밀봉제/접착제는 더 양호하게 소자를 보호한다.
이 예에서 사용되는 Ca-버튼 소자를 도 1에 나타내는데, 여기서 BH는 둘레 밀봉제/접착제의 결합선(bondline) 높이(두께)이고, BW는 둘레 밀봉제/접착제의 결합선 폭이고, 칼슘 금속막이 설치되는 기판은 유리이고, 덮개는 얻어지는 소자를 둘러싸는 데 사용되는 유리 또는 금속 덮개이다.
상기 소자를 질소(N2)로 충전된 글로브 박스 내에 조립했다. 먼저 얇은 Ca 막을 증착에 의해 유리 웨이퍼 상에 100nm의 두께와 8.0mm의 직경이 되도록 증발시 켰다. 상기 Ca 막은 덮개의 립(lip) 상에 미리 도포된 둘레 밀봉제/접착제를 사용하여 덮개에 의해 둘러싸였다. 밀봉 접합부(joint)를 UV-A 방사선의 조사량(dose) 3.0 J/㎠으로 UV 방사선 스폿 경화 유닛(spot cure unit)에 의해 경화시켜 기판과 덮개를 결합시켰다.
밀봉된 Ca-버튼 소자를 65℃/80% RH(상대습도)로 제어된 환경에 위치시켰다. 초기에 칼슘 금속막은 광을 반사할 수 있는 금속성 거울이다. 수분에 노출되면, 상기 금속막은 칼슘염으로 변하고 투명해져서 더 이상 반사하지 않는다. 칼슘 금속막이 완전히 감쇠되는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버튼 소자에서의 칼슘막을 적절한 반사 유닛에 의해 계속적으로 모니터했다. 수분은 노출된 밀봉층을 통해서만 둘러싸인 소자 내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Ca-버튼의 수명을 이용하여 수분 장벽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Ca-버튼 테스트를 이용하여 수분 침투성을 시험하기 위해, 조성물 성분들을 Ca-버튼 소자에 적용하기 직전에 FlackTek SpeedmixerTM에서 혼합함으로써, 실시예의 둘레 밀봉제/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했다. Ca-버튼 및 건조제에 의한 수분 흡수를 피하기 위해 조성물을 N2 충전된 글로브 박스 내에서 Ca-버튼에 적용했다. 각각의 예는, 건조제를 포함하고 또한 포함하지 않은 동일한 조성물을 나타내는 2개의 샘플 세트를 수용한다. 모든 샘플에 대한 샘플 조성(단위; 중량%) 및 Ca-버튼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종합한다.
실시예 1. 전술한 바와 같이, 디아크릴레이트 방사선 경화성 수지(Sartomer SR833S), 실리카 충전재, 및 라디칼 광개시제(Irgacure 651)를 함유하도록 포뮬레이션을 제조했다. 포뮬레이션 1(a)는 건조제를 함유하지 않았고; 포뮬레이션 1(b)는 건조제로서 황산칼슘(CaSO4)을 함유했다. 이 실시예에서, 소자의 덮개는 유리 덮개이고(26mm×15.5mm×1.1mm)(L×W×H), 둘레 밀봉제는 2.5mm의 결합선 폭을 가졌다.
실시예 1 성분 중량부
4-a 4-b
Sartomer SR833S 50 50
마이크론 크기의 실리카 50 25
황산칼슘 0 25
Irgacure 651 0.5 0.5
결합 두께 (mil) 2 2
수명 (시간) 42 207
실시예 2. 전술한 바와 같이, 디아크릴레이트 방사선 경화성 수지(Sartomer SR833S)와 지방족 고무(폴리이소부틸렌 Mn=2300)의 혼합물, 실리카 충전재, 및 라디칼 광개시제를 함유하도록 포뮬레이션을 제조했다. 포뮬레이션 2(a)는 건조제를 함유하지 않았고; 포뮬레이션 2(b)는 건조제로서 CaSO4을 함유했고; 포뮬레이션 2(c)는 건조제로서 CaO를 함유했다. 이 실시예에서, 소자의 덮개는 유리 덮개이고(26mm×15.5mm×1.1mm)(L×W×H), 둘레 밀봉제는 2.5mm의 결합선 폭을 가졌다.
실시예 2 성분 중량부
5-a 5-b 5-c
폴리이소부틸렌(Mn=2300) 35 35 35
Sartomer SR833S 15 15 15
마이크론 크기의 실리카 50 25 25
황산칼슘 0 25 0
CaO 0 0 25
Irgacure 651 0.5 0.5 0.5
결합 두께 (mil) 1 1 8.3
수명 (시간) 28 326 252
실시예 3. 전술한 바와 같이, 디아크릴레이트 방사선 경화성(양이온) 에폭시 수지(Epon 862), 탈크 충전재, 양이온 광개시제, 및 감광제, 페릴렌 또는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ITX)를 함유하도록 포뮬레이션을 제조했다. 포뮬레이션 3(a)는 건조제를 함유하지 않았고; 포뮬레이션 3(b)는 건조제로서 분말화 분자체를 함유했고; 포뮬레이션 3(c)는 건조제로서 분말화 분자체를 3(b)와는 상이한 부하 레벨로 함유했다. 이 실시예에서, 소자의 덮개는 스테인리스강 덮개이고(27mm×27mm×6.1mm)(L×W×H), 둘레 밀봉제는 1.3mm의 결합선 폭을 가졌다.
실시예 3 성분 중량부
6-a 6-b 6-c
Epon 862 39 32 28
DCPD 디비닐에테르 17 21 19
광개시제 0.25 (CD1012) 0.15 (UV9380C) 0.15 (UV9380C)
감광제 0.75 (페릴렌) 0.15 (ITX) 0.15 (ITX)
탈크 45 23 20
분자체 0 23 33
결합 두께 (mil) 2 3.5 2.8
수명 (시간) 27 92 52
결과를 대조하고 표 1에 보고하는데, 건조제를 함유하는 밀봉제/접착제 포뮬레이션이 건조제를 함유하지 않은 밀봉제/접착제 포뮬레이션에 비해 향상된 수분 장벽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나 있고, 이는 건조제가 밀봉제/접착제 조성물 내에서 수분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수명 증가는 건조제의 수분 흡수 능력에 기인하고 밀봉제/접착제를 통한 수분 침투의 지연을 초래한다 것을 의미한다. 또한, 건조제를 함유하는 포뮬레이션에서는 접착성 또는 다른 기계적 성질의 저하 가 관찰되지 않았다.
표 1. Ca-버튼 수명 측정에 기초한 밀봉제/접착제의 장벽 성능의 비교
실시예 조성물 (단위: 중량부) 결합선 두께 (mil) 수명 (시간)
수지 충전재 광개시제
비건조제 건조제
1-a 라디칼 경화 50 50 실리카 0.5 2 42
1-b 라디칼 경화 50 25 실리카 25 CaSO4 0.5 2 207
2-a 라디칼 경화 50 50 실리카 0.5 1 28
2-b 라디칼 경화 50 25 실리카 25 CaSO4 0,5 1 326
2-c 라디칼 경화 50 25 실리카 25 CaO 0,5 8.3 252
3-a 라디칼 경화 54 45 탈크 1 2 26
3-b 라디칼 경화 52 23 탈크 23 분자체 1.5 2 92
3-c 라디칼 경화 46 20 탈크 33 분자체 1 2 50
실시예 4 및 5에 대해 사용된 Ca-버튼 시험을 도 2에 나타내는데, 여기서 BH는 밀봉제/접착제의 결합선 높이(두께)이고, BW는 유리의 에지에서 Ca 막까지의 둘레 밀봉제/접착제의 결합선 폭이고, 칼슘 금속막이 설치되는 기판은 유리이고, 덮개는 얻어지는 소자를 둘러싸는 데 사용되는 유리 덮개이다.
상기 소자를 N2 충전 글로브 박스 내에 조립했다. 먼저, 얇은 Ca 막을 증착에 의해 유리 기판(26mm×15.5mm×1.1mm)(L×W×H) 상에 100nm의 두께와 23mm×12.5mm(L×W)의 형상이 되도록 증발시켰다. 밀봉제/접착제의 BW는 1.5mm이다. 상기 Ca 막은 덮개의 전체 면적 상에 도포된 둘레 밀봉제/접착제를 사용하여 덮개에 의해 둘러싸였다. 밀봉 접합부를 UV-A 방사선의 조사량 3.0 J/㎠으로 UV 방사선 스폿 경화 유닛에 의해 경화시켜 기판과 덮개를 결합시켰다.
밀봉된 Ca-버튼 소자를 65℃/80% RH(상대습도)로 제어된 환경에 위치시켰다. 초기에 칼슘 금속막은 투명하지 않은 금속막이다. 밀봉부 에지를 통해 침투되는 수분에 노출되면, 상기 금속막은 칼슘염으로 변하고 투명해진다. 그에 따라 금속막의 면적은 시간이 지날수록 작아진다. 칼슘 금속막의 면적이 최초 면적의 70%로 감쇠되는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4 및 5의 버튼 소자에서의 칼슘막의 면적을 주기적으로 모니터했다. 이 시간을 Ca-버튼 수명이라 정의한다. 수분은 노출된 밀봉층을 통해서만 둘러싸인 소자 내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Ca-버튼의 수명을 이용하여 수분 장벽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Ca-버튼 테스트를 이용하여 수분 침투성을 시험하기 위해, 조성물 성분들을 Ca-버튼 소자에 적용하기 전에 FlackTek SpeedmixerTM에서 혼합하고 탈기(degassing)함으로써, 실시예의 밀봉제/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했다. Ca-버튼 및 건조제에 의한 수분 흡수를 피하기 위해, 조성물을 N2 충전된 글로브 박스 내에서 Ca-버튼에 적용했다. 각각의 예는, 건조제를 포함하고 또한 포함하지 않은 동일한 조성물을 나타내는 2개의 샘플 세트를 수용한다.
실시예 4. 전술한 바와 같이, J.P. Kennedy 그룹(TP. Liao 및 J.P. Kennedy, Polymer Bulletin, Vol. 6, pp. 135-141(1981))에서 개발한 방법으로 제조된 방사선 경화성 폴리이소부틸렌 디아크릴레이트 수지(Mn=5300, 70 중량부), 디아크릴레이트 수지(Sartomer SR833S, 30 중량부), 건조제(50 중량부) 및 라디칼 광 개시제(Irgacure 651, 0.3 중량부)를 함유하도록 포뮬레이션을 제조했다. 표 2에 제시한 바와 같이, 포뮬레이션 4(a)는 건조제를 함유하지 않았고, 포뮬레이션 4(b)는 건조제로서 분자체(평균 입경: 5㎛)를 함유했으며, 포뮬레이션 4(c)는 건조제로서 황산칼슘(평균 입경: 25㎛)을 함유했고, 포뮬레이션 4(d)는 건조제로서 산화칼슘(평균 입경: 10㎛)을 함유했고, 포뮬레이션 4(e)는 건조제로서 염화칼슘(ACS 분말)을 함유했고, 포뮬레이션 4(f)는 건조제로서 산화알루미늄(평균 입경: 3㎛)을 함유했고, 포뮬레이션 4(g)는 건조제로서 탄산칼륨(평균 입경: 43㎛)을 함유했고, 포뮬레이션 4(h)는 건조제로서 산화마그네슘(평균 입경: 43㎛)을 함유했다. 이 실시예에서, 소자 덮개는 유리 (26mm×15.5mm×1.1mm)(L×W×H)였고, 밀봉제/접착제는 1.5mm의 결합선 폭을 가졌다.
[표 2]
표 2. 도 2에 기재된 바와 같은Ca-버튼 수명 측정에 기초한 밀봉제/접착제의 장벽 성능의 비교
실시예 조성물 (단위: 중량부) 결합선 두께 (mil) 수명 (시간)
수지 충전재 광개시제
비건조제 건조제
4-a 라디칼 경화 100 0.3 1.3 88
4-b 라디칼 경화 100 50 분자체 0.3 2.6 1225
4-c 라디칼 경화 100 50 칼슘 CaSO4 0.3 1.6 600
4-d 라디칼 경화 100 50 CaO 0.3 5.1 232
4-e 라디칼 경화 100 50 CaCl2 0.3 5.6 191
4-f 라디칼 경화 100 50 Al2O3 0.3 3.2 160
4-g 라디칼 경화 100 50 K2CO3 0.3 3.5 170
4-h 라디칼 경화 100 50 MgO 0.3 1.9 126
상기 결과에 따르면, 건조제를 함유하는 밀봉제/접착제 포뮬레이션이 건조제를 함유하지 않은 밀봉제/접착제 포뮬레이션에 비해 향상된 수분 장벽 성능을 나타내는데, 이는 건조제가 밀봉제/접착제 조성물 내에서 효과적으로 수분을 흡수할 수 있으며, 수명 증가는 건조제의 수분 흡수 능력에 기인하며, 건조제가 밀봉제/접착제를 통한 수분 침투를 지연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건조제를 함유하는 포뮬레이션에서는 접착성 또는 다른 기계적 성질의 저하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5. 건조성 충전재의 이점을 티올-엔계 시스템에서 추가로 예시한다. 여러 개의 티올-엔 포뮬레이션을 제조하고 표 3에 수록한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Ca-버튼 소자를 제조하고 시험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포뮬레이션 5-b는 건조성 충전재의 첨가로 인해 모든 샘플 중에서 가장 느린 감쇠를 나타냈다.
표 3: 밀봉제 5(a)(건조제 불포함), 5(b)(분자체 함유), 및 5(c)(구형 실리카 함유)
성분 중량부
2-a 2-b 2-c
Q43 2.96 2.96 2.96
TAIC 1.93 1.93 1.93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5 0.15 0.15
Irgacure 651 0.097 0.097 0.097
Irganox 3052 총 수지 기준 500ppm
분자체 2.5
마이크론 크기의 실리카 2.5
Irganox 3052(Ciba사 제품)는 하기 구조를 가진다:
Figure 112007078602981-PCT00003
Q43(Hampshire Chemical사 제품)은 하기 구조를 가진다:
Figure 112007078602981-PCT00004
TAIC(Aldrich사 제품)는 하기 구조를 가진다:
Figure 112007078602981-PCT00005
Irgacure 651(Ciba사 제품)은 하기 구조를 가진다:
Figure 112007078602981-PCT00006
실시예 6. 두 가지 말레이미드계 시스템을 비교했다. 밀봉제 6-a는 순수한 수지 블렌드였으나 밀봉제 6-b는 실시예 4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황산칼슘을 30 중량%(총중량 기준) 함유했다. 양 샘플을 3J UVA로 경화시켰고, 50℃, 10% 상대습도에서 수분 침투성을 시험했다. 밀봉제 6-b는 현저히 낮은 수분 침투성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그 결과를 표 4에 제시한다.
표 4: 밀봉제 6-a(건조제 미함유) 및 밀봉제 6-b(건조제 함유)
성분 중량부
6-a 6-b
말레이미드 수지 X 80 80
말레이미드 수지 Y 20 20
Irgacure 651 2 2
황산칼슘 0 43
50℃, 100% RH에서의 수분 침투성(g·mil/100in2·day) 116 61
Figure 112007078602981-PCT00007
실시예 7.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레조르시놀 디글리시딜 에테르(RDGE), EPON 862, 광개시제 시스템(양이온 광개시제 및 ITX) 및 실란 접착 촉진제를 함유하도록, 건조제가 충전된 양이온 에폭시 장벽 밀봉제를 제조했다. 샘플들은 플라스틱 통에 넣고, 소용돌이 믹서를 사용하여 투명해질 때까지 1시간 동안 혼합했다. 이어서, 황산칼슘, 마이크론 크기의 실리카를 상기 통에 첨가하고, 샘플 전제를 소용돌이 믹서로 다시 1시간 동안 혼합했다. 얻어진 페이스트를 진공 챔버에서 탈기 처리했다.
100kg 헤드 및 300mil 다이 기구가 장착된 Royce Instrument 552 100K를 사용하여, 경화된 샘플의 전단 접착력(shear adhesion)을 시험했다. 상기 접착력은 밀봉제 포뮬레이션 7(a)의 경우에 26.0±4.6kg이고, 밀봉제 포뮬레이션 7(b)의 경우에는 39.3±10.2kg인 것으로 나타났다. 65℃, 80% RH에서 열수 에이징한 후, 7(a)의 접착력은 1주일에 31.4±7.2kg, 2주일에는 27.5±1.9kg이었으며, 7(a)의 접착력은 1주일에 37.3±4.7kg, 2주일에는 36.5±2.0kg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포뮬레이션들의 수분 침투 계수(50℃, 100% 상대습도)를 Mocon Permeatran 3/33으로 측정한 결과, 포뮬레이션 7(a)의 경우에 5.1 g·mil/100in2·day이고, 포뮬레이션 7(b)의 경우에 3.0 g·mil/100in2·day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밀봉제 7(a)(건조제 함유) 및 7(b)(건조제 미함유)
성분 중량부
7(a) 7(b)
RDGE 18.36 18.36
EPON862 18.36 18.36
SR1012 0.74 0.74
ITX 0.26 0.26
실란 접착 촉진제 1.27 1.27
황산칼슘 15.20
마이크론 크기의 실리카 45.81 72.27
충전재 합계 61.01 72.27
총량 100.00 111.25
실시예 1, 2 및 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바업으로 포뮬레이션 7(a) 및 7(b)에 대해 Ca-버튼 시험을 행했다. 유리 웨이퍼를 통해 접착제를 6 J UVA로 경화시켰다. 건조 박스 내에 하룻밤 방치한 후, 샘플들을 65℃, 80% RH의 습도 챔버에 넣었다. 샘플이 완전히 투명해질 때까지 칼슘 버튼이 소멸되는 것을 모니터했다(도 4). "칼슘 버튼 시험"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봉제 7(b)가 7(a)보다 더 양호한 접착력 및 더 많은 무기 충전재 부하 및 그에 따라 더 낮은 수분 침투성을 갖 지만, 7(a)에는 황산칼슘 건조제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7(a)의 캡슐화된 칼슘막이 7(b)에 비해 더 오랫동안 존속했다. 이는 에폭시계 포뮬레이션에서의 건조제 함유의 가치를 분명히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8. 메타-치환(meta-substitution)을 갖지 않는 건조제 충전 에폭시의 Ca-버튼 수명
이 실시예는 실시예 7에서 제공된 에폭시 조성물이, 높은 성능의 장벽 밀봉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소자의 긴 수명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열수 에이징 후 낮은 벌크 침투성 및 높은 전단 강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기재로 하는 건조제 충전 에폭시 포뮬레이션을 아래에 기재한 바와 같이 조재했다.
수지 또는 충전재
Epon 862(BPFDGE) 24.7
지환족 비닐 에테르 17.2
실란 접착 촉진제 0.2
술포늄염 광개시제 0.9
흄드 실리카 요변성제(thixotrope) 2
마이크론 크기의 실리카 27.5
분말화된 4Å 분자체 (평균 입경 <5㎛) 27.5
조성물을 수작업으로 블렌딩한 다음, 3롤 밀에서 단시간 밀링했다. 드로다운 바(drawdown bar)를 사용하여 조성물의 4mil 막을 형성하고, 3 J UVA/㎠의 UV 조사량으로 경화시켰다. Mocon Instrument를 사용하여 50℃/100% RH에서 침투성을 측정했다. 침투 계수는 약 19 g·mil/100in2·day였다.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4mm×4mm 정사각형의 소다회 유리 다이를 소다회 유 리 기판에 약 2mil의 접착제 두께로 접합하고, 3 J UVA/㎠의 방사선 조사량을 사용하여 UV 경화시켰다. 이 조성물의 초기 다이 전단 강도는 실시예 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했을 때 27.1kg였다. 65℃/80% RH에서 1주일간 에이징한 후, 상기 조성물의 전단 강도는 평균치로 10kg으로 감소되었다.
실시예 7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Ca-버튼 수명을 측정했다. 소다회 유리 웨이퍼 상에 100nm 두께의 Ca-버튼을 부착하고, 이 실시예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상기 Ca-버튼 위에 스테인리스강 덮개(약 25mm×25mm, 덮개 폭 약 1mm)를 접착시켰다. 실시예 7에서와 같이, 65℃/80% RH에서 버튼 수명을 측정한 결과, 약 15시간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건조제 충전 에폭시 포뮬레이션은 실시예 7의 메타-치환된 에폭시 시스템에 비해 열수 에이징 후 불량한 접착력, 높은 벌크 침투성, 불량한 Ca-버튼 수명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 실시예는, 높은 성능의 건조제 충전 에폭시 밀봉제를 얻기 위해서 에폭시 수지와 함께 건조제의 선택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실시예 7에 예시된 바와 같은 메타-치환된 에폭시 시스템은 낮은 고유 수분 침투성 및 양호한 접착력(열수 에이징 전과 후 모두)을 가지며, 소자의 긴 수명을 얻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Claims (49)

  1. a) 방사선 경화성(radiation-curable) 수지,
    b) 하나 이상의 건조성 충전재(desiccant filler),
    c) 하나 이상의 광개시제(photoinitiator)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감광제(photosensitizer)를 포함하는 광개시제 시스템, 및
    d) 선택적으로, 방사선 경화성 수지 희석제
    를 포함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경화성 수지가, 글리시딜 에폭시, 지방족 에폭시, 지환족 에폭시; 옥세탄;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이타코네이트; 말레이미드; 비닐, 프로페닐, 크로틸, 알릴, 및 프로파길 에테르, 및 이들 기의 티오-에테르;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및 신나메이트 에스테르; 스티렌기;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칼콘; 티올; 알릴, 알케닐, 및 사이클로알케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반응성 작용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건조성 충전재가 금속 산화물, 금속 황산염, 금속 수소화물, 금속 할로겐화물, 금속 퍼클로레이트, 금속 카보네이트, 오산화인, 물과 반응하는 금속, 초흡수성(superabsorbant) 폴리머, 제올라이트, 분자체(molecular sieve), 활성화 알루미나, 활성화 실리카 겔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성 충전재가, CaO, BaO, MgO, SiO2, P2O5, Al2O3, CaH2, NaH, LiAlH4, CaSO4, Na2SO4, MgSO4, CaCO3, K2CO3, CaCl2, 4A 및 3A 분자체, Ba(ClO4)2, Mg(ClO4)2, 약하게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및 C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5. 기판 상에 설치되고 덮개(lid)에 의해 캡슐화되어 있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optoelectronic device)로서,
    상기 덮개와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 및 상기 덮개의 둘레(perimeter)를 따라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와 함께 접합되어 있고, 상기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는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전기이동 소자(electrophoretic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8. 기판 상에 설치되고 덮개에 의해 캡슐화되어 있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로서,
    상기 덮개와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과 상기 덮개 사이의 전체 면적에 설치된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와 함께 접합되어 있고, 상기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는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전기이동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경화성 수지가 폴리이소부틸렌 또는 부틸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건조성 충전재가, 금속 산화물, 금속 황산염, 금속 수소화물, 금속 할로겐화물, 금속 퍼클로레이트, 금속 카보네이트, 오산화인, 물과 반응하는 금속, 초흡수성 폴리머, 제올라이트, 분자체, 활성화 알루미나, 활성화 실리 카 겔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성 충전재가, CaO, BaO, MgO, SiO2, P2O5, Al2O3, CaH2, NaH, LiAlH4, CaSO4, Na2SO4, MgSO4, CaCO3, K2CO3, CaCl2, 4A 및 3A 분자체, Ba(ClO4)2, Mg(ClO4)2, 약하게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및 C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14. 기판 상에 설치되고 덮개에 의해 캡슐화되어 있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로서,
    상기 덮개와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 및 상기 덮개의 둘레를 따라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와 함께 접합되어 있고, 상기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는 제11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전기이동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17. 기판 상에 설치되고 덮개에 의해 캡슐화되어 있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로서,
    상기 덮개와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과 상기 덮개 사이의 전체 면적에 설치된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와 함께 접합되어 있고, 상기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는 제11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전기이동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경화성 수지가 티올-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티올-엔 수지가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건조성 충전재가, 금속 산화물, 금속 황산염, 금속 수소화물, 금속 할로겐화물, 금속 퍼클로레이트, 금속 카보네이트, 오산화인, 물과 반응하는 금속, 초흡수성 폴리머, 제올라이트, 분자체, 활성화 알루미나, 활성화 실리 카 겔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성 충전재가, CaO, BaO, MgO, SiO2, P2O5, Al2O3, CaH2, NaH, LiAlH4, CaSO4, Na2SO4, MgSO4, CaCO3, K2CO3, CaCl2, 4A 및 3A 분자체, Ba(ClO4)2, Mg(ClO4)2, 약하게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및 C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24. 기판 상에 설치되고 덮개에 의해 캡슐화되어 있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로서,
    상기 덮개와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 및 상기 덮개의 둘레를 따라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와 함께 접합되어 있고, 상기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는 제20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전기이동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27. 기판 상에 설치되고 덮개에 의해 캡슐화되어 있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로서,
    상기 덮개와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과 상기 덮개 사이의 전체 면적에 설치된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와 함께 접합되어 있고, 상기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는 제20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전기이동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3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경화성 수지가 말레이미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이미드 수지가,
    Figure 112007078602981-PCT0000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건조성 충전재가, 금속 산화물, 금속 황산염, 금속 수소화 물, 금속 할로겐화물, 금속 퍼클로레이트, 금속 카보네이트, 오산화인, 물과 반응하는 금속, 초흡수성 폴리머, 제올라이트, 분자체, 활성화 알루미나, 활성화 실리카 겔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성 충전재가, CaO, BaO, MgO, SiO2, P2O5, Al2O3, CaH2, NaH, LiAlH4, CaSO4, Na2SO4, MgSO4, CaCO3, K2CO3, CaCl2, 4A 및 3A 분자체, Ba(ClO4)2, Mg(ClO4)2, 약하게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및 C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34. 기판 상에 설치되고 덮개에 의해 캡슐화되어 있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로서,
    상기 덮개와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 및 상기 덮개의 둘레를 따라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와 함께 접합되어 있고, 상기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는 제30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전기이동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37. 기판 상에 설치되고 덮개에 의해 캡슐화되어 있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로서,
    상기 덮개와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과 상기 덮개 사이의 전체 면적에 설치된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와 함께 접합되어 있고, 상기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는 제30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전기이동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4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경화성 수지가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가 레조르시놀 디글리시딜 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건조성 충전재가, 금속 산화물, 금속 황산염, 금속 수소화물, 금속 할로겐화물, 금속 퍼클로레이트, 금속 카보네이트, 오산화인, 물과 반응 하는 금속, 초흡수성 폴리머, 제올라이트, 분자체, 활성화 알루미나, 활성화 실리카 겔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성 충전재가, CaO, BaO, MgO, SiO2, P2O5, Al2O3, CaH2, NaH, LiAlH4, CaSO4, Na2SO4, MgSO4, CaCO3, K2CO3, CaCl2, 4A 및 3A 분자체, Ba(ClO4)2, Mg(ClO4)2, 약하게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및 C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조성물.
  44. 기판 상에 설치되고 덮개에 의해 캡슐화되어 있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로서,
    상기 덮개와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 및 상기 덮개의 둘레를 따라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와 함께 접합되어 있고, 상기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는 제40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전기이동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47. 기판 상에 설치되고 덮개에 의해 캡슐화되어 있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로서,
    상기 덮개와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과 상기 덮개 사이의 전체 면적에 설치된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와 함께 접합되어 있고, 상기 건조제 충전 밀봉제/접착제는 제40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 전기이동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소자 또는 광전 소자.
KR1020077025368A 2005-04-04 2006-03-30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KR101191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98,117 2005-04-04
US11/098,117 US7687119B2 (en) 2005-04-04 2005-04-04 Radiation-curable desiccant-filled adhesive/sealant
US11/393,496 US7462651B2 (en) 2005-04-04 2006-03-30 Radiation-curable desiccant-filled adhesive/sealant
US11/393,496 2006-03-30
PCT/US2006/011898 WO2006107748A1 (en) 2005-04-04 2006-03-30 Radiation-curable desiccant-filled adhesive/sea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969A true KR20070116969A (ko) 2007-12-11
KR101191370B1 KR101191370B1 (ko) 2012-10-15

Family

ID=36732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368A KR101191370B1 (ko) 2005-04-04 2006-03-30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62651B2 (ko)
EP (1) EP1874885B1 (ko)
JP (1) JP2008534771A (ko)
KR (1) KR101191370B1 (ko)
AT (1) ATE413443T1 (ko)
DE (1) DE602006003545D1 (ko)
TW (1) TWI417359B (ko)
WO (1) WO2006107748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3235A (ko) * 2008-12-03 2010-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120089622A (ko) * 2009-07-17 2012-08-13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산소 장벽 조성물 및 관련 방법
WO2013073848A1 (ko) * 2011-11-14 2013-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KR101293803B1 (ko) * 2010-11-02 2013-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KR101428868B1 (ko) * 2011-11-14 2014-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KR101435338B1 (ko) * 2012-08-03 2014-08-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제품
KR20150039164A (ko) * 2015-02-26 2015-04-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US9391293B2 (en) 2011-11-14 2016-07-12 Lg Chem, Ltd. Adhesive film
KR102390762B1 (ko) * 2020-12-23 2022-04-27 율촌화학 주식회사 에폭시 접착제 조성물 제조방법, 에폭시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커버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7119B2 (en) * 2005-04-04 2010-03-30 Henkel Ag & Co. Kgaa Radiation-curable desiccant-filled adhesive/sealant
JP2007197517A (ja) * 2006-01-24 2007-08-0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接着性封止組成物、封止フィルム及び有機el素子
ES2603838T3 (es) * 2006-10-24 2017-03-01 Basf Se Composiciones fotocurables catiónicas térmicamente estables
JP5469059B2 (ja) * 2007-05-18 2014-04-09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 弾性積層接着剤によって保護された有機電子デバイス
KR101374888B1 (ko) * 2007-07-20 2014-03-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착조성물, 접착조성물의 제조방법, 표시장치 및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376319B1 (ko) * 2007-07-27 2014-03-20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디스플레이 소자의 실링방법
ITMI20071903A1 (it) * 2007-10-04 2009-04-05 Getters Spa Metodo per la produzione di pannelli solari mediante l'impiego di un tristrato polimerico comprendente un sistema getter composito
ITMI20071902A1 (it) * 2007-10-04 2009-04-05 Getters Spa Getter composito per la produzione di pannelli solari
JP5612658B2 (ja) * 2009-03-23 2014-10-22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光電子デバイス
US8525635B2 (en) 2009-07-17 2013-09-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Oxygen-barrier packaged surface mount device
DE102009036970A1 (de) 2009-08-12 2011-02-17 Tesa Se Verfahren zur Kapselung einer elektronischen Anordnung
EP2644677B1 (en) * 2010-11-23 2020-11-04 LG Chem, Ltd. Adhesive composition
KR101846434B1 (ko) 2011-06-10 2018-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257673B2 (en) * 2011-06-10 2016-02-0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N102504728B (zh) * 2011-11-09 2014-02-05 徐立伟 一种建筑用速溶胶粉
KR101404361B1 (ko) * 2011-11-14 2014-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WO2013090988A1 (en) * 2011-12-22 2013-06-27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Light triggered cure on demand sealants
DE102011089565A1 (de) * 2011-12-22 2013-06-27 Tesa Se Liner zum Schutz von Klebemassen
DE102011089566A1 (de) 2011-12-22 2013-06-27 Tesa Se Liner zum Schutz von Klebemassen
US9364985B2 (en) 2012-05-24 2016-06-14 Henkel IP & Holding GmbH Process for preparing flowable amorphous poly-alpha olefin adhesive pellets
CN103896516A (zh) * 2012-12-29 2014-07-0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石材外壳及其制造方法
US20160160098A1 (en) * 2013-04-01 2016-06-09 Jnc Corporation Photocurable epoxy adhesive agent, resin composition, laminate , display, and method for producing resin composition
KR20150016878A (ko) 2013-08-05 2015-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방법
JP5901808B2 (ja) 2014-08-05 2016-04-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封止用硬化性吸湿性樹脂組成物、封止樹脂および電子デバイス
JP6384279B2 (ja) * 2014-11-17 2018-09-05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利用
EP3275958B1 (en) * 2015-03-24 2020-09-30 LG Chem, Ltd. Adhesive composition
WO2017026479A1 (ja) * 2015-08-11 2017-02-16 Dic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CN111757910B (zh) * 2018-02-27 2022-06-24 味之素株式会社 密封用树脂组合物
CN108428804A (zh) * 2018-04-19 2018-08-2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封装方法
EP3747925A1 (en) 2019-06-07 2020-12-09 Henkel AG & Co. KGaA Radiation-curable composition by anionic polymerization
WO2023099326A1 (en) 2021-11-30 2023-06-08 Saes Getters S.P.A. Getter composition and dispensable paste comprising said getter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15804A (ko) * 1956-03-28
AU497960B2 (en) * 1974-04-11 1979-01-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s
US4265976A (en) * 1978-09-19 1981-05-05 Celanese Corporation Radiation-curable coated article having moisture barrier propetes
JPS5679170A (en) 1979-11-28 1981-06-29 Yokohama Rubber Co Ltd:The Adhesive composition
US4689390A (en) 1985-04-01 1987-08-25 Asahi Denka Kogyo K.K. Curable epoxy resin composition
US4836832A (en) * 1986-08-11 1989-06-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preparing coated abrasive having radiation curable binder
US5008137A (en) * 1988-02-04 1991-04-16 Ppg Industries, Inc. Barrier coatings
US5300541A (en) * 1988-02-04 1994-04-05 Ppg Industries, Inc. Polyamine-polyepoxide gas barrier coatings
US5171760A (en) * 1988-08-05 1992-12-15 Edison Polymer Innovation Corp. UV curable polymer formulation
DE69030981T2 (de) * 1989-03-30 1997-10-23 Toyo Boseki Strahlungshärtbares Harz und dieses enthaltende Zusammensetzung
JPH03170577A (ja) * 1989-11-30 1991-07-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硬化収縮率制御光硬化型接着剤
JPH06322072A (ja) 1993-05-17 1994-11-22 Showa Highpolymer Co Ltd 熱硬化性樹脂組成物
US5827908A (en) * 1994-01-26 1998-10-27 Shin-Etsu Chemical Co., Ltd. Naphthalene and or biphenyl skeleton containing epoxy resin composition
JPH08208774A (ja) 1995-02-03 1996-08-13 Asahi Chem Ind Co Ltd 強靱な難燃性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樹脂組成物
US5851609A (en) * 1996-02-27 1998-12-22 Truseal Technologies, Inc. Preformed flexible laminate
US5703394A (en) * 1996-06-10 1997-12-30 Motorola Integrated electro-optical package
US5665823A (en) * 1996-08-30 1997-09-09 Dow Corning Corporation Polyisobutylene polymers having acrylic functionality
EP0951947A1 (en) 1998-03-26 1999-10-27 Getratex S.A. Radiation-cured barrier coating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US6054549A (en) * 1998-11-25 2000-04-25 Dow Corning Asia, Ltd. Alkenyl ether functional polyisobutylenes and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2000191745A (ja) * 1998-12-25 2000-07-11 Sumitomo Bakelite Co Ltd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
US6211320B1 (en) * 1999-07-28 2001-04-03 Dexter Corporation Low viscosity acrylate monomers formulations containing same and uses therefor
JP3879316B2 (ja) * 1999-05-10 2007-02-14 ダイヤニトリックス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
DE19943149A1 (de) * 1999-09-09 2001-04-05 Siemens Ag Verfahren zur Verkapselung von Bauelementen
US6833668B1 (en) * 1999-09-29 2004-12-21 Sanyo Electric Co., Lt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having a desiccant
US6703433B1 (en) * 2000-05-12 2004-03-09 Dow Corning Corporation Radiation curable compositions containing alkenyl ether functional polyisobutylenes
KR20030007186A (ko) * 2001-07-17 2003-01-23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광 양이온성 경화가능 수지 조성물 및 그 용도
US6692610B2 (en) * 2001-07-26 2004-02-17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led packaging
WO2003011939A1 (en) * 2001-08-03 2003-02-13 Dsm N.V. Curable compositions for display devices
JP2003147051A (ja) 2001-11-09 2003-05-21 Hitachi Chem Co Ltd 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印刷配線板用プリプレグ
TW574313B (en) * 2001-12-12 2004-02-01 Ind Tech Res Inst Resin composition for circuit boards
US6936131B2 (en) * 2002-01-31 2005-08-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capsulation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using adsorbent loaded adhesives
US6949294B2 (en) * 2002-02-15 2005-09-27 Shin-Etsu Chemical Co., Ltd. Radiation curing silicone rubber composition and adhesive silicone elastomer film
JP2004308015A (ja) * 2002-03-12 2004-11-04 Hitachi Chem Co Ltd 条部材、これを用いた封止材、シート状封止材、封止用基板、封止構成体、実装体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US6897474B2 (en) * 2002-04-12 2005-05-24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Protected organic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6835950B2 (en) * 2002-04-12 2004-12-2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nic devices with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JP2003327951A (ja) 2002-05-10 2003-11-19 Mitsui Chemicals Inc シール材用光硬化型樹脂組成物
CN1678639A (zh) 2002-07-24 2005-10-05 粘合剂研究公司 可转换的压敏粘合剂胶带及其在显示屏上的用途
JP2004231938A (ja) * 2002-09-13 2004-08-19 Sekisui Chem Co Ltd 有機el素子封止用光硬化性接着剤組成物、有機el素子の封止方法および有機el素子
TWI225501B (en) * 2002-11-06 2004-12-21 Delta Optoelectronics Inc Packaging material used for 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reof
US7176044B2 (en) * 2002-11-25 2007-02-13 Henkel Corporation B-stageable die attach adhesives
JP2005002015A (ja) * 2003-06-10 2005-01-06 Nippon Kayaku Co Ltd マレイミド化合物、これを含有する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2005019269A (ja) 2003-06-27 2005-01-20 Three Bond Co Ltd 有機el素子および有機el素子貼合わせ用樹脂組成物
JP2005302401A (ja) 2004-04-08 2005-10-27 Three Bond Co Ltd 有機el素子封止材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3235A (ko) * 2008-12-03 2010-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120089622A (ko) * 2009-07-17 2012-08-13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산소 장벽 조성물 및 관련 방법
KR20180025881A (ko) * 2010-11-02 2018-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KR101293803B1 (ko) * 2010-11-02 2013-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US8742411B2 (en) 2010-11-02 2014-06-03 Lg Chem, Ltd. Adhesive film and method of encapsulating organic electrode device using the same
US11142669B2 (en) 2010-11-02 2021-10-12 Lg Chem, Ltd. Adhesive and method of encapsulating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0622573B2 (en) 2010-11-02 2020-04-14 Lg Chem, Ltd. Adhesive and method of encapsulating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457798B1 (ko) * 2010-11-02 2014-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US10062855B2 (en) 2010-11-02 2018-08-28 Lg Chem, Ltd. Adhesive and method of encapsulating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105648B2 (en) 2010-11-02 2015-08-11 Lg Chem, Ltd. Adhesive and method of encapsulating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13073848A1 (ko) * 2011-11-14 2013-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US9422460B2 (en) 2011-11-14 2016-08-23 Lg Chem, Ltd. Adhesive film
US9391293B2 (en) 2011-11-14 2016-07-12 Lg Chem, Ltd. Adhesive film
KR101428868B1 (ko) * 2011-11-14 2014-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KR101435338B1 (ko) * 2012-08-03 2014-08-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제품
KR20150039164A (ko) * 2015-02-26 2015-04-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KR102390762B1 (ko) * 2020-12-23 2022-04-27 율촌화학 주식회사 에폭시 접착제 조성물 제조방법, 에폭시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커버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370B1 (ko) 2012-10-15
EP1874885A1 (en) 2008-01-09
JP2008534771A (ja) 2008-08-28
US7462651B2 (en) 2008-12-09
DE602006003545D1 (de) 2008-12-18
US20070043136A1 (en) 2007-02-22
ATE413443T1 (de) 2008-11-15
TW200708586A (en) 2007-03-01
EP1874885B1 (en) 2008-11-05
TWI417359B (zh) 2013-12-01
WO2006107748A1 (en)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370B1 (ko) 방사선 경화성 건조제-충전 접착제/밀봉제
US7687119B2 (en) Radiation-curable desiccant-filled adhesive/sealant
EP2004746B1 (en) Radiation-curable rubber adhesive/sealant
TWI406364B (zh) 輻射可固化的環脂族阻礙密封劑
KR101740186B1 (ko) 접착제 조성물
KR101746333B1 (ko) 접착제 조성물
US9212244B2 (en) Polymers made from mixtures comprising vinyl ether monomers
KR101740184B1 (ko) 접착제 조성물
KR102211091B1 (ko) 유기전자장치
KR20180033110A (ko) 접착제 조성물
KR102176228B1 (ko) 봉지용 조성물
US11479664B2 (en) Encapsulating composition
KR20080104163A (ko) 방사선 경화성 고무 접착제/밀봉제
JP7394882B2 (ja) 封止用組成物
KR20210049351A (ko) 봉지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