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142A -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142A
KR20070099142A KR1020060030150A KR20060030150A KR20070099142A KR 20070099142 A KR20070099142 A KR 20070099142A KR 1020060030150 A KR1020060030150 A KR 1020060030150A KR 20060030150 A KR20060030150 A KR 20060030150A KR 20070099142 A KR20070099142 A KR 20070099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ower
switching
heating lamps
switching unit
tab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8690B1 (ko
Inventor
김진하
권중기
최종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0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690B1/ko
Priority to US11/588,309 priority patent/US7721121B2/en
Priority to EP07101161.3A priority patent/EP1843218B1/en
Priority to CN2007100061202A priority patent/CN101051205B/zh
Priority to CN201010556099.5A priority patent/CN102073256B/zh
Publication of KR20070099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690B1/ko
Priority to US12/656,220 priority patent/US851627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978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Abstract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가열 램프들을 가열하기 위해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검출된 전압의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동기신호 생성부, 가열 램프들에 인가되는 입력 전원의 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초기에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시간 경과에 따른 듀티 레벨값들의 테이블 정보를 구비하고, 생성된 동기신호 및 테이블 정보를 사용해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스위칭부가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 램프들의 초기 가열을 위한 전원 입력을 순차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플리커 현상 및 고조파(harmonic)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정해지 시간 내에 입력 전원이 최대치가 공급되도록 듀티 레벨값을 설정함으로써, 가열 램프들의 초기 가열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an fus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입력 전원에 따른 듀티 레벨값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초기의 소정 시간 동안 가열 램프들에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크기를 나타내는 파형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전원 공급부 110: 가열 램프들
120: 전압 검출부 130: 동기신호 생성부
140: 스위칭부 150: 제어부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 등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정착기를 가열하 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착기의 순간가열 시간을 단축하고 플릭커(Flicker)특성 개선을 위한 정착기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레이져 프린터나 복사기에 사용되는 정착기 회로는 정착기에 전원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AC 전원을 정착기에 인가하기 위한 트라이액(Triac) 스위칭부 및 트라이액을 구동하기 위한 트라이액(Triac)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의 정착기 회로에서는 단순히 입력 전원부의 AC 전원을 인가받아 그 전원을 정착기 회로부에 인가시켜 온도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에서 온도센서를 통해 정착기 온도검출을 수행하고 온도상승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온(ON)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를 바탕으로 포토 트라이액(Photo Triac)을 이용하여 매주기 제로 크로싱(Zero-Crossing) 시점에 트라이액(Triac)을 온(ON)시켜서 AC 전원을 정착기에 인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정착기 회로에서는 제어부에서 입력전원에 대한 정보를 가지지 않고, 단순히 정작기 온도제어를 위하여 트라이액(Triac) 스위칭부를 온(ON) 또는 오프(OFF)하도록 함으로써,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동기각에 대한 정보를 가지지 않을 경우 불규칙한 턴온(Turn ON)시점으로 인하여 플리커(Flicker) 특성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플리커 특성은 화상형성장치와 함께 전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이 순간적으로 깜박거리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인쇄대기시간 단축을 위하여서는 정착기의 초기 웜업시에 가능한 많은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나 이러한 전원 증가는 과도한 전류 증가를 초래하여 플리커(Flicker) 특성 및 고조파(harmonic) 특성이 두드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착기의 순간가열 시간을 단축하고 플리커(Flicker) 특성을 개선하는 정착기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는 하나 이상의 가열 램프들을 가열하기 위해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검출된 전압의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동기신호 생성부, 가열 램프들에 인가되는 입력 전원의 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초기에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시간 경과에 따른 듀티 레벨값들의 테이블 정보를 구비하고, 생성된 동기신호 및 테이블 정보를 사용해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스위칭부가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방법은 하나 이상의 가열 램프들을 가열하기 위해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전압의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초기에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시간 경과에 따른 듀티 레벨값들의 테이블 정보 및 생성된 동기신호를 사용해, 가열 램프들에 인가되는 입력 전원의 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부가 스위 칭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전원 공급부(100), 가열 램프들(110), 전압 검출부(120), 동기신호 생성부(120), 스위칭부(130), 가열 램프들(140) 및 제어부(150)로 구성된다.
전원 공급부(100)는 가열 램프들(110)을 가열하기 위한 입력 전원으로서 교류 전원을 공급한다.
가열 램프들(110)은 정착기의 가열 롤러(미도시)를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를 사용한다. 가열 램프들(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도 있고,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압 검출부(120)는 전원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한 결과를 동기신호 생성부(130)로 출력한다.
동기신호 생성부(130)는 전압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입력 전압에 대한 동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과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동기신호 생성부(130)는 입력 전원의 제로 크로싱 시점과 동기하는 펄스신호를 동기신호로서 생성한다.
스위칭부(140)는 가열 램프들(110)에 인가되는 입력 전원의 공급을 스위칭한다. 스위칭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스위칭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들로 구성된다. 또한, 스위칭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다이오드들은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들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자기 소호 소자는 트라이액(Triac)과는 달리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온(ON) 스위칭 동작뿐만 아니라 오프(OFF)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소자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140)는 제1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2)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2)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부(140)는 제1 다이오드(D1) 및 제2 다이오드(D2)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다이오드(D1)는 제1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1)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제2 다이오드(D2)는 제2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2)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다이오드(D1) 및 제1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1)는 위상각이 0[도] 내지 180[도]에 해당하는 입력 전원에 대한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소자이고, 제2 다이오드(D2) 및 제2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2)는 위상각이 180[도] 내지 360[도]에 해당하는 입력 전원에 대한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소자이다.
제어부(150)는 초기에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시간 경과에 따른 듀티 레벨값들의 테이블 정보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테이블 정보 및 동기신호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동기신호를 사용해, 스위칭부(14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스위칭부(140)로 출력한다.
테이블 정보는 입력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의 소정 시간 동안, 듀티 레벨값들 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듀티 레벨값들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에는 최대치의 듀티 레벨값에 도달하도록 한다. 초기의 소정 시간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가열 램프들(110)의 초기 가열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1[sec] 내지 2[sec]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다음의 표 1은 테이블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시간 간격 [sec] 듀티 레벨값 [%] 스위칭 소자
0 ~ 1/120 5 SW1
1/120 ~ 2/120 7 SW2
2/120 ~ 3/120 10 SW1
.... .... ....
118/120 ~ 119/120 95 SW1
119/120 ~ 120/120 100 SW2
전술한, 표 1은 60[Hz]의 주파수를 갖는 입력 전원이 최대치로 증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즉, 초기의 소정 시간을 1[sec]=120/120이라고 가정했을 때의 증가되는 튜티 레벨값들의 테이블 정보를 예시한 것이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0 내지 1/120[sec]의 시간 동안에는 입력 전원의 듀티 레벨값이 5[%]가 되도록 제1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1)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1/120 내지 2/120[sec]의 시간 동안에는 입력 전원의 듀티 레벨값이 7[%]가 되도록 제2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이렇게 제어부(150)는 소정 시간 즉, 전원이 인가된 후 1[sec]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듀티 레벨값에 따라 제1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2)를 번갈아 가면서 제어한다.
도 2는 입력 전원에 따른 듀티 레벨값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입력 전원의 위상각이 0[도] 내지 180[도]에 해당하는 시간이 0 내지 1/120[sec]의 시간에 해당하고, 입력 전원의 위상각이 180[도] 내지 360[도]에 해당하는 시간이 1/120 내지 2/120[sec]의 시간에 해당한다. 0 내지 1/120[sec]의 시간 동안의 빗금친 영역들의 합이 해당시간 동안 가열 램프들(110)에 공급될 입력 전원의 듀티 레벨값 5[%]에 해당한다. 또한, 1/120 내지 2/120[sec]의 시간 동안의 빗금친 영역들의 합이 해당시간 동안 가열 램프들(110)에 공급될 입력 전원의 듀티 레벨값 7[%]에 해당한다. 또한, 2/120 내지 3/120[sec]의 시간 동안의 빗금친 영역들의 합이 해당시간 동안 가열 램프들(110)에 공급될 입력 전원의 듀티 레벨값 10[%]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해당 시간 동안의 빗금친 영역들에 대한 합이 해당 시간 동안의 듀티 레벨값에 해당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생성된 동기신호로부터 입력 전원의 제로 크로싱 시점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인식된 제로 크로싱 시점을 기준으로 입력 전원의 반주기 즉, 0[도] 내지 180[도] 및 180[도] 내지 360[도]마다 제1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0 내지 1/120[sec]의 시간 동안 듀티 레벨값 5[%]에 대응하는 입력 전원이 가열 램프들(110)에 공급되도록 제1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1)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그 후, 제어부(150)는 1/120 내지 2/120[sec]의 시간 동안 듀티 레벨값 7[%]에 대응하는 입력 전원이 가열 램프들(110)에 공급되도록 제2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2)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그 후, 제어부(150)는 2/120 내지 3/120[sec]의 시간 동안 듀티 레벨값 10[%]에 대응하는 입력 전원이 가열 램프들(110)에 공급되도록 제1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1)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듀티 레벨값이 최대치 즉, 100[%]에 도달할 때까지 제어부9150)는 제1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2)의 스위칭 동작을 번갈아 가면서 제어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초기의 소정 시간 동안 가열 램프들에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크기를 나타내는 파형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티 레벨값들이 증가하는 테이블 정보를 사용해 입력 전원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초기에 공급되는 입력 전원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면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원의 과도한 공급에 의해 발생하는 플리커 특성 및 고조파 특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정 시간 동안 듀티 레벨값이 최대치가 되도록 함으로써, 가열 램프들(110)의 초기 가열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하나 이상의 가열 램프들을 가열하기 위해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전압을 검출한다(제200 단계).
제200 단계 후에, 검출된 전압의 동기신호를 생성한다(제202 단계). 입력 전원의 제로 크로싱 시점과 동기하는 펄스신호를 동기신호로서 생성한다.
제202 단계 후에, 초기에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시간 경과에 따른 듀티 레벨값들의 테이블 정보 및 동기신호를 사용해, 가열 램프들에 인가되는 입력 전원의 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제204 단계). 테이블 정보는 입력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의 소정 시간 동안, 듀티 레벨값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듀티 레벨값들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에는 최대치의 듀티 레벨값에 도달하도록 한다. 초기의 소정 시간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가열 램프들(110)의 초기 가열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1[sec] 내지 2[sec]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생성된 동기신호로부터 입력 전원의 제로 크로싱 시점을 인식할 수 있다. 인식된 제로 크로싱 시점을 기준으로 입력 전원의 반주기 즉, 0[도] 내지 180[도] 및 180[도] 내지 360[도]마다 도 1의 제1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SW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티 레벨값들이 증가하는 테이블 정보를 사용해 입력 전원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초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원의 과도한 공급에 의해 발생하는 플리커 특성 및 고조파 특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정 시간 동안 듀티 레벨값이 최대치가 되도록 함으로써, 가열 램프들(110)의 초기 가열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04 단계 후에,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부(140)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제206 단계). 스위칭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스위칭부(140)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온(ON) 스위칭 동작뿐만 아니라 오프(OFF)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방법 발명은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코드/명령들(instructions)/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매체, 예를 들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명령들/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마그네틱 테이프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를 내장하는 매체(들)로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수개의 컴퓨터 시스템들이 분배되어 처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기능적인 프로그램들,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추론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은 가열 램프들의 초기 가열시에, 입력 전원의 시간 경과에 따른 듀티 레벨값들의 테이블 정보를 사용해, 입력 전원을 가열 램프들에 인가함으로써, 가열 램프들의 초기 가열을 위한 전원 입력을 순차적으로 상승할 수 있어서, 플리커 현상 및 고조파(harmonic)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은 정해지 시간 내에 입력 전원이 최대치가 공급되도록 듀티 레벨값을 설정함으로써, 가열 램프들의 초기 가열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가열 램프들을 가열하기 위해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상기 검출된 전압의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동기신호 생성부;
    상기 가열 램프들에 인가되는 상기 입력 전원의 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및
    초기에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시간 경과에 따른 듀티 레벨값들의 테이블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생성된 동기신호 및 상기 테이블 정보를 사용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램프들은 직렬 및 병렬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제1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 및 제2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가 상기 제1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다이오드가 상기 제2 자기 소호 스위칭 소자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정보는
    상기 입력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의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듀티 레벨값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7. 하나 이상의 가열 램프들을 가열하기 위해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전압의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초기에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시간 경과에 따른 듀티 레벨값들의 테이블 정보 및 상기 생성된 동기신호를 사용해, 상기 가열 램프들에 인가되는 상기 입력 전 원의 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정보는
    상기 입력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의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듀티 레벨값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방법.
  9.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60030150A 2006-04-03 2006-04-03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88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150A KR100788690B1 (ko) 2006-04-03 2006-04-03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US11/588,309 US7721121B2 (en) 2006-04-03 2006-10-2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fixing unit
EP07101161.3A EP1843218B1 (en) 2006-04-03 2007-01-2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fixing unit
CN2007100061202A CN101051205B (zh) 2006-04-03 2007-01-31 控制供应到定影单元的电源的装置和方法
CN201010556099.5A CN102073256B (zh) 2006-04-03 2007-01-31 控制供应到定影单元的电源的装置和方法
US12/656,220 US8516276B2 (en) 2006-04-03 2010-01-2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fix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150A KR100788690B1 (ko) 2006-04-03 2006-04-03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142A true KR20070099142A (ko) 2007-10-09
KR100788690B1 KR100788690B1 (ko) 2007-12-26

Family

ID=3819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150A KR100788690B1 (ko) 2006-04-03 2006-04-03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721121B2 (ko)
EP (1) EP1843218B1 (ko)
KR (1) KR100788690B1 (ko)
CN (2) CN1010512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4716A (ja) * 2008-02-26 2009-09-10 Kyocera Mita Corp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5569063B2 (ja) * 2009-03-18 2014-08-13 株式会社リコー ヒータ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ヒータ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794208B2 (ja) * 2012-07-02 2015-10-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4684113A (zh) * 2013-11-26 2015-06-03 李飞宇 一种能够抑制谐波和闪烁的加热方法及装置
JP6515275B2 (ja) * 2014-11-19 2019-05-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I578007B (zh) * 2015-07-03 2017-04-11 群光電能科技股份有限公司 交流湧入電流測試器及交流湧入電流測試方法
US9835690B2 (en) 2015-10-16 2017-12-05 Chicony Power Technology Co., Ltd. AC inrush current testing device
JP2019113607A (ja) * 2017-12-21 2019-07-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定着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6490A (ja) * 1988-11-25 1990-06-27 Nippon Kentek Kaisha Ltd 画像形成装置に用いる熱定着装置用制御回路
US5079409A (en) * 1989-09-27 1992-01-07 Mita Industrial Co., Ltd. Heater control system
JPH0561379A (ja) * 1991-08-30 1993-03-12 Hitachi Ltd 電子写真印刷装置
US5669038A (en) * 1995-04-27 1997-09-16 Konica Corporation Heater controlling apparatus and a fixing apparatus of a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in use therewith
JP3185912B2 (ja) * 1996-03-01 2001-07-11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熱定着装置
JP3847951B2 (ja) * 1997-04-30 2006-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加熱制御装置
US6301454B1 (en) * 1997-09-18 2001-10-09 Copyer Co., Ltd. Fixing heater controlling method and an image forming device
JP2000276000A (ja) * 1999-03-29 2000-10-06 Ricoh Co Ltd 熱定着装置
JP2000330418A (ja) * 1999-05-21 2000-11-30 Ricoh Co Ltd 定着装置
JP2001005537A (ja) 1999-06-25 2001-01-12 Sharp Corp 加熱制御装置
JP4196244B2 (ja) * 2000-07-31 2008-12-17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ヒータ制御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296954A (ja) 2001-03-29 2002-10-09 Canon Inc 加熱装置及びこの加熱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3345171A (ja) 2002-05-28 2003-12-03 Ricoh Co Ltd 定着温度制御方法,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021250A (ja) 2002-06-18 2004-01-22 Yutaka Sasaki 光ファイバグレーティングカプラ型全光トランジスタ
JP4317383B2 (ja) * 2002-06-19 2009-08-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4212510A (ja) 2002-12-27 2004-07-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303469A (ja) * 2003-03-28 2004-10-28 Brother Ind Ltd 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303466A (ja) * 2003-03-28 2004-10-28 Canon Inc ヒータ駆動回路
JP2004343821A (ja) * 2003-05-13 2004-12-02 Canon Inc 電力制御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7295289B2 (en) * 2003-07-11 2007-11-13 Baker Hughes Incorporated Continuous paper feed system
JP2005091965A (ja) * 2003-09-19 2005-04-0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107048A (ja) * 2003-09-29 2005-04-21 Kyocera Mita Corp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943326B2 (en) * 2003-10-20 2005-09-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ircuit for controlling a fusing system
KR100555678B1 (ko) 2004-06-03 200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동기신호 생성 및 전원전압 검출을 위한 정착기제어장치
EP1632822B1 (en) * 2004-09-06 2017-04-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43218A2 (en) 2007-10-10
CN101051205A (zh) 2007-10-10
CN102073256A (zh) 2011-05-25
US8516276B2 (en) 2013-08-20
KR100788690B1 (ko) 2007-12-26
CN102073256B (zh) 2014-01-29
US20070228842A1 (en) 2007-10-04
US7721121B2 (en) 2010-05-18
EP1843218B1 (en) 2020-08-26
CN101051205B (zh) 2011-01-19
EP1843218A3 (en) 2014-05-28
US20100125375A1 (en)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690B1 (ko) 정착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CN1989788B (zh) 放电灯点亮装置及投影仪
KR100846786B1 (ko) 정착기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7102300B2 (en) Ballast device with built-in power supply and operation thereof
KR100788686B1 (ko) 화상 정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8010785A1 (en) Ac power control
JP5573481B2 (ja) ヒータ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ヒータ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KR20160028232A (ko) 화상형성장치 및 위상 제어 방법
JP2007139907A (ja) 印刷装置用の定着ヒータ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268680A (ja) フリッカ抑制装置およびフリッカ抑制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定着装置
JP2005019295A (ja) ヒータ制御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207462A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映像表示装置
JPH06333685A (ja) 発光手段用点灯装置
JP2006115647A (ja) デットタイム補正装置及びインバータ装置
JP2000322137A (ja)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出し可能な記憶媒体
JPH1074023A (ja) 複写機
JP2008059806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115278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64986A (ja) 定着器駆動装置
JP2004200179A (ja) 電気ヒータ制御装置
JP2003068426A (ja) 電力制御装置
JP2006156294A (ja) 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70090539A (ko) 화상 정착 시스템
JP2005234093A (ja) 画像形成装置
JPH04272697A (ja) 放電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