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013A - 면역 증강제 - Google Patents

면역 증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013A
KR20070099013A KR1020077018048A KR20077018048A KR20070099013A KR 20070099013 A KR20070099013 A KR 20070099013A KR 1020077018048 A KR1020077018048 A KR 1020077018048A KR 20077018048 A KR20077018048 A KR 20077018048A KR 20070099013 A KR20070099013 A KR 20070099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p
functional derivative
emip
immune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로 카네가사키
타쿠야 타마타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펙타 세포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펙타 세포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펙타 세포연구소
Publication of KR2007009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195Chemokines, e.g. RAN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nc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종래 시도되어 온 면역요법은 반드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제암제나 방사선 등에 의한 세포에의 직접적 공격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생체가 본래적으로 갖는 면역력을 높임으로써 종래의 치료방법보다도 부작용이 적은, 게다가 보다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제이다.
면역 증강제, MIP-1α, eMIP, 방사선 조사, 보조약

Description

면역 증강제{IMMUNOPOTENTIATING AGENT}
본 발명은 면역 증강제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암치료, 암 전이 예방 혹은 화분증 등의 면역 이상 질환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면역 증강제에 관한 것이다.
생체 내에 있어서는, 매일 많은 암세포가 발생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발생한 암세포는 이상 세포의 배제 시스템 및 면역 시스템에 의해 제거되고 있다. 나이 먹음 혹은 에이즈 등의 면역질환, 면역 억제제의 투여에 의해 면역기능이 저하하면 암 발생률이 상승하는 것이, 면역 시스템에 의한 암 배제의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 점으로부터 면역을 부활(賦活)함으로써 암을 박멸시키는 면역요법이 최근 주목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현재 행해지고 있는 암의 면역요법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충분한 암에 대한 면역이 유도되지 않아, 효과적인 치료는 되고 있지 않다.
암에 대한 면역 유도에 있어서, 수상세포가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우리들은 이미 MIP-1α 및 그 기능적 유도체가 염증 국소 혹은 암 국소에 수상세포를 집적시키는 능력이 있는 것, 또한 혈중에 수상세포 전구세포를 수십배의 오더로 동원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있다(Yoneyama H et al., J Exp Med. Vo1.193(1) pp.35-49(2001), Zhang Y et al., J. Natl. Cancer Inst., Vol.96, pp.201-209(2004)). 또한 면역 유도의 마우스 모델에 있어서, MIP-1α를 면역 국소에서 발현시키면, 수상세포의 집적이 일어나, 항원 특이적인 면역이 유도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McKay PF et al., Eur. J. immunol., Vol.34, pp.1011-1020(2004)).
방사선요법은 외과수술, 화학요법, 호르몬요법 등과 조합해서 이용되며, 암 세포의 증식과 전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암세포를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곤란하며, 면역계의 억제, 식욕감퇴, 빈혈,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등의 부작용도 보여지고 있다. 전자선에 의한 정위방사선치료에서는 암 조직 국소적으로 치료하므로 부작용은 보다 저하하지만, 암세포를 근절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에 따라, 전자선 조사에 의해 암 조직에 유도한 염증반응이나 암세포에 특이적인 T세포, 수상세포의 기능을 발전·증강시켜, 보다 강력하게 하는 수단의 개발이 요망되어 왔다.
암의 전이라고 하는 현상이 암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인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전이"의 메커니즘의 해명, 및 유효한 치료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재 상황이다. 암 전이에 직접·간접으로 관여하는 생체성분도 몇 갠가 발견되고, 그들에 대한 항체도 제작되어, 암 전이 동물 모델로 어느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고는 있으나, 사람에게 적용하기에는 이르고 있지 않다. 또한, 기존의 화학요법제는 고형 종양에 대해서는 유효하지만, 전이에 관해서는 항암작용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이 많다. 또한, 암세포의 전이 억제에 관한 약제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현재 상황으로부 터, 효과적으로 암세포 전이를 억제하여, 암환자의 예후를 개선하는 약제의 개발이 요망되어 왔다.
MIP-1α(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1α)는 아미노산 약 70개로 이루어지는 C-C 케모카인 패밀리(chemokine family)에 속하는 분자이다. 활성화 림프구, 단구 등에서 생성 방출되어, 수상세포, 단구, Th1 세포 등의 유주(遊走)를 유도한다. MIP-1α는 미숙 수상세포에 있어서 발현하고 있는 케모카인 수용체인 CCR1, CCR5에 대한 리간드로서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나카노 히데키, 세포공학 Vol.19, No.9, 1304-1310(2000) 참조).
MIP-1α와 동일한 생물활성을 갖는 MIP-1α 기능적 유도체도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MIP-1α에 대해서는, MIP-1α의 26번째의 Asp를 Ala로 치환하고, 아미노 말단이 Ser로부터 시작하는 69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MIP-1α 변이체(이하, eMIP라고 말한다)가 알려져 있다. 이 MIP-1α 변이체는 현저하게 개선된 항응집능을 가짐과 아울러 야생형과 동등한 활성을 갖는 것이 발견되어, 암 화학요법의 부작용인 혈중의 과립구 감소증의 개선에 대해서 검토되고 있다(E. Marshall et al., European Journal of Cancer, Vol.34, No.7, pp.1023-1029(1998)).
양친매성 고분자의 일종인 부분 부틸에스테르화 스티렌-말레인산 공중합체로 화학적으로 수식된 네오카르지노스타틴(neocarzinostatin)이 제암제(制癌劑)(일반명칭: 지노스타틴스티말라머(zinostatinstimalamer))로서 이미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허공고 평1-33119호). 이것은, 혈중에 투여되었을 때, 고형 종양에 거의 선택적으로 집적하여, 장시간에 걸쳐 종양 내에 유지된다고 하는, 소위, EPR효과를 나타 내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암 특이적 타겟팅형의 제암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양친매성 고분자로 화학 수식된 펩티드성 아고니스트(agonist)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도 알려져 있다(WO 01/83548).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수식된 크산틴옥시다아제(xanthine oxidase)도 종양세포에 대해서 EPR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허공개 평11-060499호). 이들은, 모두, 종양세포에 대하여 직접적인 공격성을 갖는 물질을 사용해서 항종양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며, 공격성 물질을 표적 환부에 선택적으로 집적시킴으로써, 정상적인 세포나 조직에의 영향을 적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양친매성 고분자의 일종인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로 단백질을 수식함으로써, 생체 내 클리어런스를 지연시키거나, 혹은 항원성을 저하시키는 것은 알려져 있다(Yoshimoto et al., Jpn. J. Cancer Res., 77, 1264(1986), Abuchowski et al., Cancer Biochem. Biophys., 7, 175(1984), 일본국 특허공개 소61-17892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소62-115280호 공보, 일본국 특허 재공표 WO 96/28475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표 평10-51318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11-31060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표 2000-517304호 공보).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수식된 인터루킨(interleukin)-1, 인터루킨-6, 인터페론 등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허공개 평5-11730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6-256394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9-25298호 공보).
상술과 같이 종래 시도되어 온 면역요법은 반드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제암제나 방사선 등에 의한 세포에의 직접적 공격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생체가 본래적으로 갖는 면역력을 높임으로써 종래의 치료방법보다도 부작용이 적은, 게다가 보다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자들은, MIP-1α 및 그 기능적 유도체, 예를 들면 eMIP에 의한 면역력의 증강작용에 착안하고, 또한, 이들의 양친매성 고분자에 의한 화학 수식을 시도하여, 화학 수식된 물질이 그 활성을 저해받지 않으며, 오히려 활성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고,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제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여기에, 본 발명은 (1)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제이며, 또한, (2)염증을 일으킨 상태에서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투여함으로써 암을 치료하기 위한 면역 증강제이고, 여기에서, (3)염증을 일으키는 수단으로서, 방사선 조사, 보조약(adjuvant) 투여, 환부의 동결 융해, 초음파 조사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4)(a)보조약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과, (b)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의약으로 이루어지는 면역요법용 조성물로서, (a) 및 (b)를 동시에 또는 경시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요법용 의약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5)암 전이를 예방하기 위한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제이며, 혹은, (6)면역 이상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제이고,
(7)면역 이상 질환이 화분증인 (6)에 기재된 면역 증강제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MIP-1α의 기능적 유도체로서, (8)eMIP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9)양친매성 고분자로 화학 수식된 MIP-1α 또는 eMIP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10)양친매성 고분자로서 부분 알킬에스테르화 스티렌-말레인산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3LL 암에 걸린 마우스에 있어서의 eMIP의 방사선요법과의 병용효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전자선 방사 후 16일간의 eMIP에 의한 원방효과(abscopal effect)의 증강작용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3은 전자선 방사 후 17일째에 있어서의 eMIP의 원방효과의 증강작용을 나타낸다.
도 4는 3LL 종양에 대한 보조(P.acnes)요법과 eMIP의 병용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도 5는 eMIP에 의한 3LL의 폐 전이의 억제효과를 나타낸다.
도 6은 3LL iv 이식 마우스의 폐 중량을 나타낸다.
도 7은 Bu-SMA-BB10010의 프랙션(fraction)마다의 280nm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도 8은 Bu-SMA-BB10010 및 원료인 BB10010의 Native-PAGE 전기영동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효성분의 대표예인 MIP-1α는 CC 서브패밀리에 속하는 케모카인으로서 알려져 있으며, 수용체 CCR1이나 CCR5의 리간드(아고니스트)이다. 사람 성숙형 MIP-1α는 70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다고 되어 있으나, CD8+T 세포나 HTLV-1 감염세포 MT4 배양 상청에서 얻어지는 것은 66 아미노산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사람 MIP-1α에는, 개인에 따라 유전자 카피수가 다른 비대립 유전자 LD78β가 존재하며, 70 아미노산형 MIP-1α와는 배열이 3잔기 다른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모두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란, 케모카인 수용체인 CCR1 또는 CCR5에 대한 리간드 및 그 유도체이며, 아고니스트로서의 작용을 갖는 물질을 말한다. 즉, MIP-1α의 기능적 유도체란, MIP-1α의 유도체이며, 아고니스트로서 MIP-1α와 동일한 생물활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이러한 생물학적 동등물의 대표예로서 eMIP(기출, European Journal of Cancer, Vol.14, No.7, pp.1023-1029(1998))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면역 증강제로서 사용되는 MIP-1α 등은 부분 알킬에스테르화 스티렌-말레인산 공중합체나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로 대표되는 양친매성 고분자로 화학적으로 수식하면, 그 활성이 유지됨과 아울러, 혈중 안정성이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MIP-1α의 기능적 유도체는 양친매성 고분자로 화학적으로 수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양친매성 고분자로 화학적으로 수식된 MIP-1α 및 그 생물학적으로 동등한 유도체도, 본 명 세서에 있어서 "MIP-1α의 기능적 유도체"라 부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MIP-1α 또는 그 생물학적 동등물을 화학 수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양친매성 고분자의 바람직한 예로서, 부분 알킬에스테르화 스티렌-말레인산 공중합체를 들 수 있으며, 또한, 그 알킬 부분의 예로서는, 직쇄 또는 분기해 있어도 좋은 탄소수가 1 내지 5인 알킬기를 들 수 있고, 이들 알킬기는 저급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부틸, t-부틸, n-펜틸, 3-메틸-1-부틸, 2-메틸-1-부틸, 2,3-디메틸-1-프로필, 2-펜틸, 3-메틸-2-부틸, 3-펜틸, 2-메틸-2-부틸,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부분 알킬에스테르화 스티렌-말레인산 공중합체의 예는, 일본국 특허공고 평1-33119호에 기재되어 있는, 부분 부틸에스테르화 스티렌-말레인산 공중합체이며, 평균 분자량이 1000∼10000이고, 중합도가 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5인 것이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MIP-1α 또는 그 생물학적 동등물을 화학 수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양친매성 고분자의 바람직한 다른 예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이하 PEG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란, -O-(CH2CH2O)n-으로 표시되는 PEG 부분(n은 20 내지 280의 정수)이 아고니스트 또는 그 생물학적 동등물의 펩티드쇄와 결합할 수 있는 잔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의 예로서는, 펩티드쇄의 아미노기(N말단 아미 노기, 리신 잔기의 아미노기)에 결합할 수 있는 잔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의 다른 예로서, 펩티드쇄의 카르복실기(C말단 카르복실기, 아스파라긴산 잔기, 글루타민산 잔기의 카르복실기)에 결합할 수 있는 잔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양친매성 고분자의 다른 예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 그 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양친매성 고분자로 화학 수식된 MIP-1α 및 그 생물학적 동등물은, 양친매성 고분자와 MIP-1α 및 그 생물학적 동등물을, 경우에 따라 링커 암(linker arm)을 통해서 화학 결합시키고, 부분 정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즉, 양친매성 고분자와 MIP-1α 또는 그 생물학적 동등물을 완충액 중에서 반응시키고, 그 후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해서 정제하며, 용출하는 각 프랙션을 분리한다.
양친매성 고분자가 부분 알킬에스테르화 스티렌-말레인산 공중합체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스티렌과 무수 말레인산의 라디칼 공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스티렌-말레인산 공중합체(SMA)의 산무수물을 쿠멘(cumene) 등의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n-부탄올을 교반하에 적하해서 반응시켜, 부분적으로 무수환(無水環)을 부틸에스테르화함으로써, 부분 부틸에스테르화 스티렌-말레인산 공중합체(Bu-SMA)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Bu-SMA와 아고니스트 또는 그 생물학적 동등물과의 결합은, 양자를 pH8.5의 중탄산수소나트륨 0.3M 용액 중에서 반응시켜, Bu-SMA 중의 산무수환과 아고니스트 또는 그 생물학적 동등물 중의 아미노기 사이에 아미드 결합을 형성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MIP-1 α 또는 그 생물학적 동등물에 대한 Bu-SMA의 결합수는 1 이상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이다.
양친매성 고분자로서 PEG를 사용해서, MIP-1α 또는 그 생물학적 동등물의 펩티드쇄의 아미노기를 수식하는 경우는, PEG의 단말에, 아미노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IP-1α 또는 그 생물학적 동등물의 펩티드 중의 아미노기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관능기를 반응성기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카르복실기의 경우는, 활성 에스테르법, 혼합 산무수물법 등이 바람직한 예이다.
구체적으로는, 활성 에스테르의 경우, p-니트로페닐에스테르,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테르 등의 페닐에스테르류, N-히드록시프탈이미드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에스테르 등의 디카르복실산이미드에스테르, N-히드록시피페리딘에스테르 등의 히드록실계 활성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활성 에스테르의 조제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PEG 유도체의 카르복실기와 상기의 활성 에스테르에 대응하는 알코올체를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나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등의 축합제를 사용해서 -20℃ 내지 실온에서 1 내지 24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혹은, PEG 유도체의 카르복실기와 상기 활성 에스테르에 대응하는 할로겐화물을, 트리에틸아민 등의 염기의 존재하에, 0℃ 내지 80℃에서 1 내지 72시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조제할 수 있다. 혼합 산무수물법의 경우는, N-메틸모르폴린, N-에틸피페리딘 등의 염기의 존재하에, 이소부틸클로로포르메이트,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 염화이소발레 릴(isovaleryl chloride) 등과 -20℃ 내지 0℃에서 1 내지 30분간 반응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PEG 유도체를 MIP-1α 또는 그 생물학적 동등물의 펩티드쇄에 직접 도입할 수도 있으나, 링커 암을 통해서 도입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리신을 포함하는 짧은 아미노산 배열을 목적으로 하는 펩티드쇄에 도입하고, 그 리신의 아미노기를 PEG 유도체로 수식한다. 수식 반응에 있어서는, 수식되는 펩티드쇄에 포함되는 아미노기 수에 대하여 10 내지 30배몰의 PEG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친매성 고분자로서 PEG를 사용해서, MIP-1α 또는 그 생물학적 동등물의 펩티드쇄의 카르복실기를 수식하는 경우는, PEG의 단말에,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 예를 들면, 아미노기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양친매성 고분자로 화학 수식된 MIP-1α 또는 그 생물학적 동등물은, 소위, EPR효과에 의해 고형 종양 등의 표적 환부에 선택적으로 집적하는 것이 기대된다.
본 발명에 따른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는 면역 부활제로서 제공된다. 즉, MIP-1α가 직접·간접으로 관여하는 염증성 질환, 장기장해, 암의 발증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제공된다. 주사제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사제 이외의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좌제, 비강제제의 형태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암제와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는, 암 국소에 염증을 유도해서, 면역 유도 가능성을 높인 후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사선 조사, 보조약 투여, 환부의 동결 융해, 초음파 조사와 같은 방법에 의해, 암 국소에 염증을 일으키고, 충분히 염증반응이 유기되었다고 예상되는 시점에서,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의 방사선요법에 있어서는, 단지 암세포를 상해시킬 뿐만 아니라, 방사선 조사 국소에 염증반응을 유기하여, 그 결과 조사 부위 이외의 암에 있어서도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abscopal effect/원방효과). 본 발명에 따른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는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방사선요법과 병용함으로써, 방사선 조사에 의해 일어나는 원방효과를 증강하여, 임상적 효과를 더욱 증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조약과 병용해서 보조약에 의해 일어나는 면역응답을 증강하여 임상적 효과를 증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약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크레스틴, 피시바닐(picibanil), 렌티난(lentinan), 베스타틴(bestatin) 혹은 P.acnes 등과 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는, 암 조직의 괴사를 유도하는 동결 융해요법과 병용함으로써 암 조직의 괴사·퇴축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는 단독 혹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암제 혹은 방사선·동결 융해요법·초음파요법과의 병용에 의해 종양 전이 억제작용을 목적으로 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는 화분증 등의 면역 부전에 의한 질병에도 적용할 수 있다.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 단독 혹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알레르기제, 항히스타민제 등과 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면역 증강제는, 유효성분인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 즉 단백질을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물, 혹은 그 이외의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액체와의 무균성 용액 또는 현탁액 등의 주사제의 형태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사를 위한 무균 조성물은 주사용수와 같은 비히클, 천연 식물유 등을 사용해서 유효성분을 용해 또는 현탁시키는 등의 통상의 제제수단에 따라 처방할 수 있다. 주사용의 수성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생리식염수, 포도당이나 그 외의 보조약을 포함하는 등장액(예를 들면, D-소르비톨, D-만니톨, 염화나트륨 등) 등이 사용되며, 적당한 용해 보조제, 예를 들면, 알코올(예를 들면, 에탄올 등), 폴리알코올(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폴리솔베이트 80TM, HCO-50 등) 등과 병용해도 좋다. 유성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참기름, 야자유, 대두유 등이 사용되며, 용해 보조제로서 안식향산벤질, 벤질알코올 등과 병용해도 좋다. 또한, 완충제(예를 들면, 인산염 완충액, 초산나트륨 완충액 등), 무통화제(예를 들면, 염화벤잘코늄, 염산프로카인 등), 안정제(예를 들면, 사람 혈청 알부민,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보존제(예를 들면, 벤질알코올, 페놀 등), 산화방지제 등과 배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Bu-SMA가 결합한 MIP-1α 또는 그 생물학적 동등물은, 수용성 또는 유성 주사용제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주사용제는 주로 정 맥 내 투여에 사용된다. 유성 주사제는, 예를 들면, 리피오돌(Lipiodol) 등의 유제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Bu-SMA가 결합한 MIP-1α 또는 그 생물학적 동등물을 종양 영양 동맥 상류에 고정한 카테터(catheter)에 의해 종양 조직 등의 표적 환부에 투여된다. Bu-SMA가 결합한 아고니스트 또는 그 생물학적 동등물이 혈중에서 알부민과 결합하여 고분자 화합물로서 거동하는 것 및 Bu-SMA 결합물이 유제에 가용이 되는 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발견되고 있으며, 그 결과, 유제화된 Bu-SMA결합 MIP-1α 또는 그 생물학적 동등물을 국소 동맥에 주사하면, 소위, EPR효과에 의해 고형 종양 등의 표적 환부에 선택적으로 집적하는 것이 기대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제제는, 예를 들면, 사람 또는 포유동물에 대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대상 질환, 투여 대상, 투여 루트 등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의 상기 유효성분의 1회 투여량은, 예를 들면, 성인(체중 60kg으로서)에게 투여하는 경우, 1회에 대하여 약 0.01∼20mg 정도, 바람직하게는 약 0.1∼10mg 정도이다. 다른 동물의 경우도, 60kg당으로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면역 증강제는, 주사제 이외의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좌제, 비강제제의 형태로 이용할 수도 있다.
참고예 1
MIP-1α의 제법
사람 MIP-1α 유전자를 PCR법에 의해 취득하였다. 상기 사람 MIP-1α 유전자를 발현 셔틀 벡터(shuttle vector) pNCMO2에 편입시키고, 대장균으로 증폭하였다. 상기 사람 MIP-1α 유전자 발현 벡터를 Brevibacillus choshinensis(B.choshinensis) HPD31S5에 도입하였다. 상기 사람 MIP-1α 유전자 도입 B.choshinensis를 배양하고, 그 상청을 채취하였다. 상기 배양 상청에 40% 포화가 되도록 황산암모늄을 첨가하고, 침전 생성 후, 원심으로 상청을 분리하며, 또한 60% 포화가 되도록 황산암모늄을 첨가하고, 침전 생성 후 원심으로 상기 침전물을 회수하였다. 상기 침전물을 트리스염산버퍼(pH8.0)에 용해하고, 상기 용해물을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Q Sepharose; 아머샴(Amersham)사 제품)로 분획하였다. 각 획분 중 MIP-1α를 포함하는 획분을 모으고, 황산암모늄을 첨가해서 용해하였다(마지막 농도 1.5M). 상기 용해물을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RESOURCE PHE; 아머샴사 제품)로 분획하였다. 각 획분 중 MIP-1α를 포함하는 획분(비흡착 획분)을 모으고, 황산암모늄을 첨가해서 유안(硫安; ammonium sulfate) 침전을 행하였다(마지막 농도 60% 포화). 침전물을 트리스염산버퍼(pH8.0)에 용해하고, 상기 용해물을 다시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RESOURCE Q; 아머샴사 제품)로 분획하였다. 각 획분 중 MIP-1α를 포함하는 획분을 모으고, 트리스염을 제거할 목적으로 20mM NH4HCO3(pH8.5)에 대하여 투석을 행하였다. 이 처리에 의해 발생한 침전을 원심함으로써 정제 사람 MIP-1α를 얻었다. 이것을 동결 건조 후 PBS에 용해시키고, 이하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참고예 2
eMIP의 제법(발현과 정제)
eMIP의 cDNA는 사람 MIP-1α cDNA를 템플릿(template)으로 해서 Quik Change Kit(Stratagene사)를 사용하여, 부위 특이적 변이에 의해 조제하였다. 즉, 125ng의 변이 프라이머 RQ1:5'-CCAGCGAAGCCGGCAGGTCTGTGCTGACCCAG-3'(배열번호 1), RQ2:5'-CTGGGGTCAGCACAGACCTGCCGGCTTCGCTTGG-3'(배열번호 2), 템플릿 플라스미드 DNA 10ng에 50μM dNTP를 포함하는 50μl의 반응계에 Pfu-turbo(2.5U/μl) 1μl 첨가하고, 95℃ 30초의 변성에 이어서, 95℃ 30초, 55℃ 1분, 68℃ 7분을 12사이클 행한 후, 반응계에 제한효소 DpnI를 1μl 첨가하며, 37℃에서 1시간 반응함으로써 템플릿 DNA를 절단함으로써, 변이 플라스미드만을 회수하였다. 변이 부위가 올바르게 치환된 것을 DNA 배열분석에 의해 확인한 후, 분열 효모 발현 플라스미드 벡터 pTL2M5에 삽입하였다. 이 플라스미드를 사용해서 Schizosaccharamyces pombe를 형질 전환하여, eMIP 발현주를 얻었다. 계속해서, 100㎍/ml 항생물질 G418을 포함하는 YPD배지(0.5% Yease Extract, 2% Peptone, 2% Glucose) 16L에서 단지 발효기(jar fermenter)로 30℃, 48시간 배양함으로써, 배지 중에 분비 발현시켰다. 이 배지 상청을 0.45㎛의 필터를 사용해서, 여과 제균한 것을 정제의 출발재료로 하였다.
재편성 eMIP 단백의 정제는, AKTA-prime 시스템(아머샴 바이오사이언스(Amersham Bioscience)사)을 사용해서 행하였다. 즉, 배지 상청에 포름산 완충액(0.5M Formic acid(pH4.0))을 첨가하고, 마지막 농도 0.01%가 되도록 Tween20을 첨가하였다. 이 샘플을, 양이온 교환 칼럼 SP-XL(5ml 사이즈를 6개 연결한 것, 아머샴 바이오사이언스사)에 2ml/min으로, 송액(送液)하여 흡착시킨 후, 1M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포름산 완충액(pH7.0)에 의해 구배용출(gradient elution)하였다. 10-20% SDS-폴리아크릴아미드 전기영동(SDS-PAGE)으로 확인한 후, 피크 획분을 회 수하였다. 이것을 10mM 인산 완충액(pH7.0)에 대하여 투석한 후, 헤파린 친화성 칼럼(heparin affinity column)(5ml 사이즈를 4개 연결한 것, 아머샴 바이오사이언스사)에 2ml/min으로, 송액하여 흡착시킨 후, 1M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인산 완충액(pH7.0)에 의해 구배용출하였다. 10-20% SDS-PAGE로 확인한 후, 피크 획분을 회수하였다. 수율은 16L의 배양당 175mg이며, 생리적 인산 완충액(PBS(-)(pH7.4))에 투석한 후, 동물 실험에 사용하였다.
참고예 3
Bu-SMA결합 eMIP의 제법
참고예 3에서 얻어진 eMIP를 농도가 2mg/ml가 되도록, 0.8M 중탄산수소나트륨 완충액(pH8.5)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 1ml에 대하여, 디에틸포름아미드에 용해한 Bu-SMA 2.6mg(몰비로 해서, Bu-SMA:eMIP=10:1)을 서서히 첨가하고, 하룻밤, 27℃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충전제: 바이오래드사 제품 Bio-Gel P60, 이동상: 20mM 중탄산수소암모늄 용액(pH8.5), 칼럼 사이즈: 1.6×83㎝)에 부쳐 Bu-SMA결합 eMIP를 정제하였다. 2ml마다 90개의 시험관으로 분리하였다(도 7). 이어서 280nm에 있어서의 흡광도에 기초하여, 시험관 번호 16∼18에 용출한 획분(6ml)을 동결 건조시켜서 백색분말 형상의 Bu-SMA결합 eMIP(이하에 있어서, "Bu-SMA-eMIP"라고 표시한다)를 얻었다.
얻어진 Bu-SMA-eMIP 및 원료인 eMIP의 Native-PAGE(미변성 10-20% 구배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gradient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의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양자의 영동거리는 명확히 다르다. 이것은, eMIP의 리신의 아 미노기가 SMA에 의해 수식된 것에 의해 표면의 플러스 차지가 감소하여, 보다 양극측으로 영동되기 쉬워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양자의 영동거리의 차 및 프랙션 No.16∼18의 Bu-SMA-eMIP와, 미반응의 Bu-SMA 및 eMIP의 아미노기를 형광시약 Fluorescamine(0.3mg/ml in acetone)과 반응시키고, 분광형광계로, 여기파장 390nm, 형광파장 475nm에서 측정하고, 정량하여, 1분자에 2∼3개의 SMA가 결합하고 있다고 개산(槪算)되었다.
실시예 1
eMIP의 방사선요법과의 병용
1)실험방법
7주령, 암컷 C57BL/6 마우스와 Lewis lung carcinoma(3LL)를 사용해서, 고형 종양에 있어서의 전자선 조사와 eMIP의 병용효과를 평가하였다.
3LL 4×105개를 옆구리부 피하 이식 후, 고형 암의 지름이 1㎝ 정도가 된 시점(19일 후)에서 고형 암의 크기를 맞춰서 다시 그룹을 나누고, 암 조직에 전자선을 조사. 다음날에 eMIP를 꼬리 정맥으로부터 투여. 이후 주 1회 eMIP 투여를 계속해서, 합계 4회 투여하였다. 대조약으로서 5Fu를 사용하고, 전자선 조사의 다음날로부터 25mg/kg으로 주 2회 복강 내에 투여하였다.
종양 체적은 이하에 나타내는 Janik들의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종양 체적)=(종양의 긴 지름)×(종양의 짧은 지름)2×0.5236
2)실험결과
3LL 폐암세포의 증식에 있어서, 전자선 조사에서는 2, 6, 10Gy에서 선량 의존적으로 고형 암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eMIP 50㎍/mouse 단독에서도 억제하는 경향은 보여졌으나, 유의한 작용은 아니었다. 전자선 조사와 eMIP 50㎍/mouse를 병용하면, eMIP는 전자선 6 및 10Gy의 종양 억제작용을 유의하게 증강하였다(도 1A, B).
도 1A는 eMIP와 전자선 6Gy의 병용효과를 나타낸다. 3LL 암에 걸린 마우스(n=5)의 고형 암 지름 1㎝ 전후의 시점에서 전자선 조사하고, 다음날에 eMIP를 iv 투여하며, 이후 주 1회 iv 투여하였다. 도면에 있어서
Figure 112007056967611-PCT00001
는 eMIP를 투여한 날을 나타낸다.
도 1B는 전자선 조사 16일째에 있어서의 eMIP의 항종양 작용을 나타낸다(n=5). "*"는 p<0.05를, "**"는 p<0.01(ANOVA)을, "#"은 p<0.05(t-test)를 각각 나타낸다.
실시예 2
원방효과의 증강작용
1)실험방법
7주령, 암컷 C57BL/6 마우스와 Lewis lung carcinoma(3LL)를 사용해서, 좌우 옆구리부에 이식한 고형 종양에 대한 전자선 조사와, eMIP의 병용효과를 비교해서 평가하였다.
3LL 4×105개를 C57BL/6 마우스의 오른쪽 옆구리부 피하에 이식(primary tumor)하고, 동시에 3LL 2×105개를 왼쪽 옆구리부 피하에 이식하였다(secondary tumor). 오른쪽 옆구리부의 종양 지름이 약 1㎝가 된 시점(19일째)에서 종양 지름으로 다시 그룹을 나누고 직선 가속기에 의해 오른쪽 옆구리부의 종양에 전자선 조사를 행하였다(전자선 방사량 6Gy). 전자선 조사의 다음날에 eMIP를 정맥 내 투여하였다. 이후, 8일 후 및 15일 후의 합계 3회 투여하였다. 좌우 옆구리부의 종양 지름을 측정하고, 종양 체적에 의해 항종양 작용을 평가하였다.
종양 체적은 이하에 나타내는 Janik들의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종양 체적)=(종양의 긴 지름)×(종양의 짧은 지름)2×0.5236
2)실험결과
전자선 조사 후 16일까지의 양 옆구리부 종양 체적의 변화를 도 2에, 17일째의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A)는 오른쪽 옆구리부 종양에 대한 전자선 조사의 변화를 나타내고, (B)는 왼쪽 옆구리부 종양에 대한 전자선 조사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2A의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른쪽 옆구리부 종양에 대한 전자선 조사에 의해 오른쪽 옆구리부 종양의 증식은 억제되었으나, 도 2B의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대 측의 왼쪽 옆구리부 종양은 억제되지 않았다. 흥미 깊은 것으로, eMIP의 병용에 의해, 2㎍/마우스의 투여에서 전자선 조사하고 있지 않은 왼쪽 옆구리부 종양을 60% 이상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전자선 조사한 오른쪽 옆구리부 종양에 있어서도 2 및 10㎍/마우스의 투여에서 전자선의 항종양 효과를 유의하게 증강하였다(도 3). 또한, 도 4에 있어서, "*"는 컨트롤군(Cont)에 대한 유의함이 p<0.05인 것을 의미하고, "**"는 p<0.01(ANOVA)인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eMIP가 원방효과를 증강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eMIP가 방사선 조사한 종양 부위에 있어서의 염증이나 면역응답의 증강뿐만 아니라, 전신적인 항종양 면역응답을 활성화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 방사선 조사 및 eMIP의 투여를 행한 3LL 암에 걸린 마우스에서는, 비장 중에 γ-인터페론 생성 세포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증가는 대조 및 방사선 조사했을 뿐인 마우스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eMIP는 전리 방사선 치료에 있어서, 조사한 종양뿐만 아니라 전이소(轉移巢) 등의 비조사 부위의 종양에 대해서도 유효한 치료법을 제공한다고 말할 수 있다.
실시예 3
eMIP와 보조약과의 병용효과
1)실험방법
8-10주령, 암컷 C57BL/6 마우스와 Lewis lung carcinoma(3LL)를 사용해서, 고형 종양에 있어서의 보조요법(adjuvant therapy)과 eMIP의 병용효과를 평가하였다.
3LL 2×105개를 피하 이식 후, 1, 8, 15, 22일째에 20㎍의 Propionibacterium acnes(11828;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 사균을 40μL의 PBS에 현탁한 것을 동소(同所) 피하 주사하고, 2, 9, 16, 23일째에 20㎍의 eMIP를 100μl의 PBS에 용해한 것을 꼬리 정맥으로부터 투여하였다.
종양의 증식은, 종양부의 긴 지름을 측정함으로써 산정하였다.
2)실험결과
3LL 폐암세포의 증식에 있어서, 보조약(P.acnes) 단독으로 유의한 증식 억제활성이 보여졌다. 또한 보조약에 더해서 eMIP를 주에 1회 투여함으로써, 종양의 증식은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다. eMIP 단독에서는, 유의한 억제효과는 보여지지 않았다(도 4A). 마우스의 생존율도 컨트롤, eMIP 단독에서는 70-100일로 전례 사망하였으나, 보조약 투여 단독에서 50%, 보조약에 더해서 eMIP를 주 1회 투여함으로써 100%의 마우스가 100일 이상 생존하였다(도 4B). 도 4A는 3LL을 피하 주사하고, 1, 8, 15, 22일째에 P.acnes 사균을 피하 주사하며, 2, 9, 16, 23일째에 eMIP를 꼬리 정맥으로부터 투여한 결과를 나타낸다. 종양의 증식은, 종양부의 긴 지름을 측정함으로써 산정하였다. *P<0.05 *P<0.05. 도 4B는 도 4A와 동일 실험에 있어서의 마우스의 생존율을 나타낸다. ×: eMIP+P.acnes, □: P.acnes만, ○: MIP-1α만, ●: 미처리의 경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4B에 있어서의 수치의 통계상의 유의차는 하기 표와 같다.
Figure 112007056967611-PCT00002
실시예 4
eMIP의 종양 전이 억제효과
1)실험방법
Lewis lung carcinoma(3LL)의 폐 전이의 시스템을 사용해서 eMIP의 전이 억제작용을 평가하였다. 7주령, 암컷 C57BL/6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3LL 106개를 꼬리 정맥으로부터 주사하고, 25일 후에 폐를 적출하여, 중량 측정, Bouin' solution으로 고정한 후, 실체 현미경하에서 폐 전이한 암 조직의 수를 측정하였다. eMIP는 3LL 이식 30분 후에 초회 투여를 행하고, 이후 주 1회 4주 연속 투여하였다. 또한, 3LL 이식 7일 후부터의 투여 개시하는 시스템에서도 eMIP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대조약으로 한 5Fu는 1주 2회 투여하였다.
2)실험결과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eMIP는 3LL의 폐 전이를 유의하게 억제하며, 5Fu 25mg/mouse의 투여에서는 78%의 억제율이었다. 3LL 이식 7일 후부터 투여 개시해도 eMIP는 폐 전이를 억제하였다. 또한, 3LL의 폐 전이에 의해 증가한 폐 중량도 폐 전이 억제효과와 상관해서 억제되었다(도 6). 도 5에 있어서, day0: 3LL 이식 30분 후부터 eMIP 투여 개시, day7: 3LL 이식 7일 후부터 eMIP 투여 개시의 결과를 나타낸다. Control군에 대한 유의차 *: p<0.05, **: p<0.01(ANOVA). n=10(control군), n=7(eMIP, 5Fu 투여군). 도 6에 있어서, Control군에 대한 유의차 *: p<0.05, **: p<0.01(ANOVA). n=10(control군), n=7(eMIP, 5Fu 투여군).
본 발명은 현재 행해지고 있는 암의 면역요법을 더욱 발전시켜, 암에 대한 면역을 유도시키는 효과적인 치료제 및 화분증 등의 면역 부전 질환의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암 국소에 염증반응을 유기한 후,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투여함으로써, 저명한 암 증식 억제 및 생존율의 상승이 보여진다. 또한,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투여함으로써 종양의 전이, 화분증 등의 면역 부전에 의한 질병 등에 대하여 현저한 개선효과가 보여진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에 의해, MIP-1α 및 그 기능적 유도체가 면역반응을 저명하게 항진하여, 면역요법의 효율을 비약적으로 높이는 것이 나타나며, MIP-1α 및 그 기능적 유도체의 면역 증강제로서의 가능성이 명백해졌다고 말할 수 있다.
<110> EFFECTOR CELL INSTITUTE, INC. <120> IMMUNOPOTENTIATING AGENT <150> JP2005-023224 <151> 2005-01-31 <150> JP2005-266381 <151> 2005-09-14 <160> 2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32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 ccagcgaagc cggcaggtct gtgctgaccc ag 32 <210> 2 <211> 34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2 ctggggtcag cacagacctg ccggcttcgc ttgg 34

Claims (18)

  1.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강제.
  2. 제1항에 있어서, 염증을 일으킨 상태에서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면역 증강제.
  3. 제2항에 있어서, 염증을 일으키는 수단이 방사선 조사, 보조약(adjuvant) 투여, 환부의 동결 융해, 초음파 조사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면역 증강제.
  4. (a)보조약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과, (b)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의약으로 이루어지는 면역요법용 조성물로서, (a) 및 (b)를 동시에 또는 경시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요법용 의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암 전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강제.
  6. 제1항에 있어서, 면역 이상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강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IP-1α의 기능적 유도체가 eMI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강제.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IP-1α의 기능적 유도체가 양친매성 고분자로 화학 수식된 MIP-1α 또는 eMI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강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IP-1α의 기능적 유도체가 부분 알킬에스테르화 스티렌-말레인산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화학 수식된 MIP-1α 또는 eMI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강제.
  10.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강방법.
  11. 염증을 일으킨 상태에서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강에 의한 암 치료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염증을 일으키는 수단이 방사선 조사, 보조약 투여, 환부 의 동결 융해, 초음파 조사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방법.
  13. (a)보조약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과, (b)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의약을 사용하고, (a) 및 (b)를 동시에 또는 경시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강방법.
  14.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전이 예방방법.
  15. MIP-1α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이상 질환 치료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IP-1α의 기능적 유도체가 eMI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IP-1α의 기능적 유도체가 양친매성 고분자로 화학 수식된 MIP-1α 또는 eMI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
  18.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IP-1α의 기능적 유도체가 부분 알킬에스테르화 스티렌-말레인산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로 화 학 수식된 MIP-1α 또는 eMI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
KR1020077018048A 2005-01-31 2005-12-20 면역 증강제 KR200700990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3224 2005-01-31
JP2005023224 2005-01-31
JPJP-P-2005-00266381 2005-09-14
JP2005266381 2005-09-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013A true KR20070099013A (ko) 2007-10-08

Family

ID=3674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048A KR20070099013A (ko) 2005-01-31 2005-12-20 면역 증강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62781B2 (ko)
EP (1) EP1854474A4 (ko)
JP (1) JPWO2006080171A1 (ko)
KR (1) KR20070099013A (ko)
CN (1) CN101119743B (ko)
AU (1) AU2005326226B2 (ko)
CA (1) CA2596232A1 (ko)
HK (1) HK1113463A1 (ko)
WO (1) WO2006080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1273A (ja) * 2009-06-16 2011-01-06 Eci Inc eMIPを有効成分とする水溶性製剤
DE102017002645A1 (de) * 2017-03-17 2018-09-2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Bestrahlung von Säugetierzellen mit Elektronenstrahlen und/oder Röntgenstrahle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6688A (en) 1981-09-08 1997-04-01 The Rockefeller University Macrophage-derived inflammatory mediator (MIP-1α and MIP-1β)
WO1985003934A1 (en) 1984-03-06 1985-09-12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Chemically modified protein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JPS6075499A (ja) 1983-08-08 1985-04-27 Kuraray Co Ltd ネオカルチノスタチ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法
EP0154316B1 (en) 1984-03-06 1989-09-13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Chemically modified lymphokine and production thereof
US4705955A (en) * 1985-04-02 1987-11-10 Curt Mileikowsky Radiation therapy for cancer patients
ES8800982A1 (es) 1985-07-05 1987-12-01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Un metodo para producir la enzima superoxido-dismutasa modificada con derivados de polietilenglicol y triazina.
US4847325A (en) 1988-01-20 1989-07-11 Cetus Corporation Conjugation of polymer to colony stimulating factor-1
JPH04218000A (ja) 1990-02-13 1992-08-07 Kirin Amgen Inc 修飾ポリペプチド
US5595732A (en) 1991-03-25 1997-01-21 Hoffmann-La Roche Inc. Polyethylene-protein conjugates
JPH06256394A (ja) 1991-08-13 1994-09-13 Kirin Amgen Delaware Inc 修飾インターロイキン6
NZ246354A (en) 1991-12-23 1995-10-26 British Bio Technology Stem cell inhibiting proteins and their production and use
ES2172536T3 (es) * 1993-06-15 2002-10-01 British Biotech Pharm Liberacion y movilizacion de celulas hematopoyeticas.
US5840900A (en) 1993-10-20 1998-11-24 Enzon, Inc. High molecular weight polymer-based prodrugs
US5880131A (en) 1993-10-20 1999-03-09 Enzon, Inc. High molecular weight polymer-based prodrugs
US5824784A (en) 1994-10-12 1998-10-20 Amgen Inc. N-terminally chemically modified protein compositions and methods
WO1996028475A1 (fr) 1995-03-10 1996-09-19 Nakamura, Toshikazu Facteur de croissance des hepatocytes modifie a l'aide de polyethylene glycol
US5922597A (en) 1995-11-14 1999-07-13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Ex vivo culture of stem cells
JPH1160499A (ja) 1997-08-22 1999-03-02 Hiroshi Maeda 抗腫瘍剤
US6168784B1 (en) 1997-09-03 2001-01-02 Gryphon Sciences N-terminal modifications of RANTES and methods of use
JP2000157285A (ja) 1998-11-30 2000-06-13 Kenji Obara Ld78遺伝子群ケモカインとホモログペプチド
EP1013276A1 (en) 1998-12-23 2000-06-28 Pfizer Inc. Aminoazacycloalkanes as CCR5 modulators
HU229520B1 (en) * 1999-02-12 2014-01-28 Scripps Research Inst Methods for treatment of tumors and metastases using a combination of anti-angiogenic and immuno therapies
EP1220688A1 (en) 1999-10-15 2002-07-10 The van Kampen Group, Inc. Treatment of dermal tumors, warts, and viral infections using heat-killed p. acnes
US7091310B2 (en) 2002-09-13 2006-08-15 Chemokine Therapeutics Corporation Chemokine analogs for the treatment of human disease
WO2001083548A1 (fr) 2000-04-28 2001-11-08 Effector Cell Institute Nouveau derive de facteur chimiotactique cellulaire
JP2004196770A (ja) * 2002-10-24 2004-07-15 Effector Cell Institute Inc 樹状細胞前駆体の血中レベル上昇剤
AU2003291402A1 (en) * 2002-11-07 2004-06-03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MIP-1Alpha AND GM-CSF AS ADJUVANTS OF IMMUNE RESPONSE
JP4224569B2 (ja) 2002-12-17 2009-02-18 奥村遊機株式會社 遊技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19743A (zh) 2008-02-06
WO2006080171A1 (ja) 2006-08-03
JPWO2006080171A1 (ja) 2008-06-19
CA2596232A1 (en) 2006-08-03
EP1854474A1 (en) 2007-11-14
AU2005326226B2 (en) 2010-11-11
CN101119743B (zh) 2012-09-26
AU2005326226A1 (en) 2006-08-03
US7662781B2 (en) 2010-02-16
EP1854474A4 (en) 2012-04-04
US20090054318A1 (en) 2009-02-26
HK1113463A1 (en) 2008-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7566B1 (en) Methods for treating tumor necrosis factor mediated diseases
JPH02262593A (ja) 血管発生病の処置に有用な薬剤及び新規な蛋白質
JPH07509223A (ja) インターロイキン−1媒介疾患および腫瘍壊死因子媒介疾患の治療方法
KR20050083677A (ko) 변형 아시알로 인터페론 및 그의 용도
JP2003530325A (ja) 好ましくは特異的ケモカインレセプター分析、及びケモカインレセプター/リガンド相互作用の助けによる、腫瘍及び炎症細胞の細胞表面プロテオームの調査、並びに腫瘍疾患及び炎症性疾患の治療のための診断薬及び薬剤
KR20150121715A (ko) Csf1 치료제
EP2680872B1 (en) Use of pif peptides for treating infections, atherosclerosis and peritonitis
JP2003516366A (ja) 両親媒性ポリマーとこれを含有するポリペプチドコンジュゲート
JPH11504036A (ja) ケモカイン結合タンパク質およびその使用
JP5706163B2 (ja) 線維症および肝疾患の治療
KR20070099013A (ko) 면역 증강제
US20100021442A1 (en) Method for promoting immunotherapy using an agent for elevating dendritic cell precursor level in blood
US20100028298A1 (en) Interferon type i supporting compounds
RU2597795C2 (ru) Ингибитор скопления жидкости в полостях организма
US20050233961A1 (en) Methods for treating cancer using vascular endothelial cell growth inhibitor VEGI-192A
JPH09510737A (ja) 化学療法剤を増強するためのil−4の使用
JP2002537224A (ja) NF−κB活性化阻害剤及びそれらの医薬としての使用
WO2023077924A1 (zh) 一种抗胰腺癌的疫苗、及其医药用途
CN110305209B (zh) 用于治疗恶性肿瘤的多肽及其作为疫苗的用途
WO2004096843A1 (ja) 消化器官吸収性ポリペプチド
CA3180694A1 (en) Homing peptide-guided decorin conjugates for use in treating epidermolysis bullosa
CN111732631A (zh) 一种多肽及其在制备治疗和预防肿瘤的药物中的应用
US20040136956A1 (en) Asialo-interferons and the treatment of liver can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526

Effective date: 201203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524

Effective date: 2012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