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7403A -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7403A
KR20070097403A KR1020077001928A KR20077001928A KR20070097403A KR 20070097403 A KR20070097403 A KR 20070097403A KR 1020077001928 A KR1020077001928 A KR 1020077001928A KR 20077001928 A KR20077001928 A KR 20077001928A KR 20070097403 A KR20070097403 A KR 20070097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foam
resin
sheet
thermo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4998B1 (ko
Inventor
코지 마스다
마사야스 이토
코지로 이나모리
나오키 요시다
미치아키 카와카미
히로유키 야마자키
히데후미 미야기
김용훈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32B5/2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foamed in situ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07Materials belonging to B32B2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28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64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92Thermoplastic elasto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0/00Signboards, advertising panels, road sig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전식간판이나 조명기구, 디스플레이 등의 백라이트나 조명 박스에 적합한, 높은 반사율과 양호한 형상유지성을 겸비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A)와 친화성이 있는 관능기를 가진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진 수지 시트를 가압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 유지하여 불활성 가스를 함유시키는 공정과, 불활성 가스를 함유시킨 수지 시트를 상압 하에서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발포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한다.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Thermoplastic Resin Foam}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평균기포지름 10㎛ 이하의 미세한 구멍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는 높은 광반사율을 가지므로, 전식(電飾)간판이나 조명기구, 디스플레이 등의 백라이트나 조명 박스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종래에 전식간판이나 조명기구, 디스플레이 등의 백라이트에 사용되는 광반사판으로서 광을 반사하는 합성수지제 필름 또는 시트를 입체적인 형상으로 가공한 광반사판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2-122863호 공보 참조).
광을 반사하는 합성수지제 필름 또는 시트로서는 내부에 미세한 기포 또는 기공을 다수 가진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필름 또는 시트(예를 들면 일본국 WO97/01117호 공보 참조)나 필러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 필러를 핵으로써 다수의 보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필름(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4-296819호 공보 참조)이 알려져 있다.
전자의 미세한 기포 또는 기공을 다수 가진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는 용융상태 또는 고체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에, 가압 하에서 불활성 가스를 접촉시킨 후 압력을 제거하고, 상압 하에서 그 수지의 연화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발포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필름 또는 시트는 평균기포지름이 50㎛ 이하로 미세하므로 높은 반사율을 가짐과 동시에, 두께가 2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뛰어난 형상유지성을 가지고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필름 또는 시트 단독으로 입체적인 형상으로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필름 또는 시트의 광반사율은 일반적으로 단위체적당 기포수가 많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이 때 기포지름을 작게 하면 할수록 수지의 단위체적당 많은 기포를 함유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반사율을 달성할 수 있다. 이 결과 필름 또는 시트의 박형화(薄型化)도 가능하므로 보다 미세한 기포 또는 기공을 다수 가진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후자의 필러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탄산칼슘이나 황산바륨 등의 필러를 함유한 미연신 필름을 성형하여, 이 미연신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필러를 핵으로 하여 다수의 보이드를 형성시킴으로써 얻어진다. 그러나 연신처리를 하기 위하여, 얻어진 필름의 두께가 200㎛ 미만으로 얇아져서, 필름 단독으로는 형상유지성을 가지지 않음과 동시에 필름 배면(背面)으로 새어 나오는 광도 많아진다. 따라서 필름의 배면에 충분한 강도와 차광성을 가진 판을 배치하여 사용된다.
그런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엘라스토머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발포체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1- 49883호 공보 참조). 그러나 폴리에스테르에 엘라스토머를 혼합함으로써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요지가 기재되어 있는 데에 불과하며, 얻어진 발포체의 기포지름에 대하여는 어떤 기재도 시사도 없다. 일본국 특개평11-4988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압출발포법에서는 기포의 미세화 및 균일분산화를 하는 것은 곤란하며, 실제로 폴리에스테르에 엘라스토머를 혼합하여 압출발포하여 제작한 시트는 기포지름이 크며, 이 압출발포시트로 반사판을 만들어도 반사율이 낮으므로 반사판으로서의 충분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근래 전력절약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보다 높은 반사율을 가진 수지 필름 또는 시트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특히 전식간판이나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스페이스 절약화의 필요가 고조되고 있으며, 광을 반사하는 수지 필름 또는 시트의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전식간판이나 디스플레이의 광원으로부터는 수지 열화(劣化)를 촉진하는 자외선도 방사되고 있으며, 열화를 방지하는 처리도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높은 반사율과 형상유지성을 겸비할 뿐만 아니라 높은 자외선 방지능을 겸비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열가소성 수지에 특정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하여 발포시킴으로써 내부에 구멍 지름 10㎛ 이하의 미세한 구멍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원래 열가소성 수지가 자외선 열화를 일으키기 쉬운 경우라도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자외선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을 부여함으로써 높은 자외선 열화 방지능을 갖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열가소성 수지(A)에 대하여 어떤 상호작용(극성을 가진, 수소결합하는, 또는 반응하는 등의 친화성)이 있는 관능기를 열가소성 수지(B)에 부여시킨 것을 열가소성 수지(A)에 첨가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B)가 열가소성 수지(A) 중에 미분산(微分散)하고, 결정핵 생성의 기점이 되는, 기포핵 생성의 기점이 되는 등으로 기포미세화에 큰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 내지 (8)의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A)와 친화성을 가진 관능기를 가진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진 수지 시트로서 내부에 평균기포지름 10㎛ 이하의 복수의 구멍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2)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B)가 상기 관능기를 가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3) (2)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B)가 상기 관능기를 가진 폴리스틸렌계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A)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비중이 0.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A) 100질량부에 대하여 해당 열가소성 수지와 친화성이 있는 관능기를 가진 열가소성 수지(B) 0.1 내지 10질량부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A)와 친화성이 있는 관능기를 가진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진 수지 시트를 가압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 유지하여 불활성 가스를 함유시키는 공정과, 불활성 가스를 함유시킨 수지 시트를 상압 하에서 가열하여 발포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표면에 자외선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는 평균기포지름이 10㎛ 이하로 미세하므로, 광반사율이 높고, 시트의 박형화(薄型化)도 가능하며, 광반사판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A)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스틸렌, 아크릴 수지 등이 사용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적당히 선택할 수 있으며, 1종류로 사용하여도 되고,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며,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발포성, 내열성 면에서 적합하다.
열가소성 수지(B)가 가진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기, 글리시딜기, 카르복실기(산무수물, 금속염으로 되어 있는 카르복실기도 포함한다), 히드록실기, 알데히드기, 카르보닐기, 술포기, 니트로기, 할로겐기, 옥사조린기, 이소시아네이트기, 티올기를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열가소성 수지(A)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는 아미노기, 글리시딜기, 카르복실기가 폴리에스테르와의 반응성이 양호하므로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A)에 반응하는 상기 관능기를 가진 열가소성 수지(B)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폴리스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페닐, 폴리비닐알콜 등의 범용(汎用)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에테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이미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액정 폴리머, 불소수지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베이스 수지에 예를 들면 그래프트, 다관능기의 도입 등에 의하여 관능기를 부여시킨 것을 열가소성 수지(B)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베이스 수지 중에서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이 기포를 보다 미세화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폴리스틸렌계 엘라스토머, 염화비닐계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으나, 스틸렌계 엘라스토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스틸렌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틸렌을 함유한 엘라스토머, 예를 들면 SBS(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코폴리머), SEBS(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코폴리머), SIS(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코폴리머), SEP(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 SEBC(스틸렌-에틸렌/부틸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 HSBR(수첨스틸렌/부타디엔 고무)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SEBS(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코폴리머), SEBC(스틸렌-에틸렌/부틸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중이 커지는, 즉 발포배율이 작아지면, 결과적으로 기포율의 저하에 의한 반사율의 저하나 성형성의 저하, 경량화 효과의 감소로 이어지므로,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의 비중은 0.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6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또한 광반사판의 비중은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A) 100질량부에 대하여 관능기를 가진 열가소성 수지(B)의 첨가량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관능기를 가진 열가소성 수지가 관능기를 가진 폴리스틸렌계 엘라스토머의 경우, 0.1 내지 1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질량부이다. 관능기를 가진 폴리스틸렌계 엘라스토머의 첨가량이 0.1질량부보다 적으면 얻어진 발포체의 기포지름이 커지는 경향이 있으며, 분산도 불균일해지는 경향에 있다. 한편 관능기를 가진 폴리스틸렌계 엘라스토머의 첨가량이 10질량부를 넘으면 코스트면에서 불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발포 전의 열가소성 수지에 결정화 핵제, 결정화 촉진제, 기포화 핵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자외선 방지제, 광안정제, 형광 증백제, 안료, 염료, 상용화제, 활제, 강화제, 난연제, 가교제, 가교조제, 가소제, 증점제, 감점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배합하여도 된다. 또한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에 상기 첨가제를 함유한 수지를 적층하여도 되며, 상기 첨가제를 함유한 도료를 코팅하여도 된다. 자외선 방지제 등을 함유한 층을 적어도 한쪽 표면에 부여하는 것은 열가소성 수지(A)나 열가소성 수지(B)에 자외선 열화하기 쉬운 것을 사용한 경우에도 충분한 내자외선 열화 방지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양산성을 고려하면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열가소성 수지(A)와, 해당 열가소성 수지와 친화성이 있는 관능기를 가진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진 수지 시트를 제작하고, 해당 수지 시트와 분리기를 겹쳐서 감음으로써 롤을 형성하고, 이 롤을 가압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 유지하여 해당 수지 시트에 불활성 가스를 함유시키고, 또한 불활성 가스를 함유시킨 해당 수지 시트를 상압 하에서 열가소성 수지(A)의 연화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발포시킨다는 방법이 사용된다.
불활성 가스로서는, 헬륨, 질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시트가 포화상태가 될 때까지의 불활성 가스 침투시간 및 불활성 가스 침투량은 발포시키는 수지의 종류, 불활성 가스의 종류, 침투압력 및 시트의 두께에 따라 다르다. 수지에의 가스 침투성(속도, 용해도)을 고려하면 이산화탄소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방법으로는 수지 시트와 분리기로 이루어진 롤을 가압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 유지하여 해당 수지 시트에 불활성 가스를 함유시키기 전에 유기용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유기용제로서는 벤젠,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포름산에틸, 아세톤, 아세트산, 디옥산, m-크레졸, 아닐린, 아크릴로니트릴, 프탈산디메틸, 니트로에탄, 니트로메탄, 벤질알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취급성 및 경제성의 관점에서 아세톤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열가소성 수지(B)가 열가소성 수지(A)와 어떠한 상호작용을 가진 관능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열가소성 수지(B)가 열가소성 수지(A) 중에 균일하게 미분산된다. 특히 열가소성 수지(A)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가스 침투과정에서 불활성 가스에 유기(誘起)되어 결정화하지만, 미분산된 열가소성 수지(B)가 결정핵 생성의 기점이 되어 미결정(微結晶)이 생성되는, 또는 발포과정에서 기포핵 생성의 기점이 되는, 또는 열가소성 수지(B)가 미세 발포화하는 등 어느 하나의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수지 시트를 발포시키면 내부에 평균기포지름 10㎛ 이하의 미세한 구멍이 균일하게 존재하며, 높은 반사율을 가진 발포체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수지에 관해서도 같은 기구(機構)에 의하여 미세한 구멍이 생성된다고 생각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작한 광반사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의 각종 특성 측정 및 평가는 아래와 같이 하였다.
비중
발포체 시트의 비중(ρf)을 수중치환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발포배율
발포체 시트의 비중(ρf)과 발포 전 수지의 비중(ρs)과의 비ρs/ρf로 산출하였다. 다만 ρs는 1.34로 계산하였다.
평균기포지름
ASTM D3576-77에 의거하여 산출하였다. 즉 시트 단면의 SEM 사진을 촬영하고, SEM 사진 상에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직선을 긋고, 직선이 가로지르는 기포 현(弦)의 길이(t)를 평균하였다. 사진배율을 M으로 하고, 하기 식에 대입하여 평균기포지름(d)을 구하였다.
d=t/(0.616×M)
반사율
분광광도계(UV-3101PC:시마츠 제작소 제품)를 사용하여 550㎚ 파장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표1에 있어서 황산바륨의 미분말을 굳힌 백판(白板)의 확산반사율을 100%로 하고, 각각의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의 확산반사율을 상대치로 나타내고 있다.
형상유지성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사용하여 진공성형기에 의하여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구부의 직경 100㎜, 깊이 70㎜의 반구형상의 광반사판을 열성형가공하였다. 얻어진 광반사판을 손에 쥐고 힘을 가하여 변형 유무를 관찰하고, 형상유지 성을 평가하였다.
내자외선 열화방지능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자외선 열화 촉진장치(아이 슈퍼 UV 테스터 SUV-W151:이와자키 전기 제품)에 설치하고, 온도 63℃, 습도 50% 환경 하에서 조사거리 240㎜로 15시간 연속 조사시킨 후 시험 전후 색의 차 ΔE*ab를 JIS Z8730에 의거하여 산출하였다. 이것이 3.0 이상이면 불량으로 하였다.
실시예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그레이드:SA-1206, 유니치카 제품, ρs=1.34)에, 관능기를 가진 SEBS(다이나론 8630P, JSR 제품)를 1질량부 첨가하여 혼연한 후 0.5㎜ 두께 × 300㎜ 폭 × 60m 길이의 시트로 성형하였다. 이 수지 시트와, 160㎛ 두께 × 290㎜ 폭 × 60m 길이, 목표량 55g/㎡의 올레핀계 부직포 분리기(그레이드:FT 300, 일본 바이린 제품)를 겹쳐서 수지 시트의 표면끼리가 접촉하는 부분이 없도록 감아서 롤 형상으로 하였다.
그 후 이 롤을 압력용기에 넣고, 탄산가스로 6MPa에 가압하여 수지 시트에 탄산가스를 침투시켰다. 수지 시트에의 탄산가스의 침투시간은 72시간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압력용기로부터 롤을 꺼내어 분리기를 제거하면서 수지 시트만을 220℃로 설정한 열풍순환식 발포로에 발포시간이 1분이 되도록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발포시 켰다.
얻어진 발포체는 균일하게 발포하였으며, 평균기포지름이 1.5㎛로 매우 미세하였다. 발포체의 두께는 0.8㎜이며, 발포체 시트의 반사율은 99.7%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 표면에 자외선 방지제를 포함하는 코팅처리를 실시한 후 내자외선 열화 방지능을 평가한 바 0.7로 매우 뛰어났다.
실시예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그레이드:SA-1206, 유니치카 제품, ρs=1.34)에, 관능기를 가진 SEBC(다이나론 4630P, JSR 제품)를 1질량부 첨가하여 혼연한 후 0.5㎜ 두께 × 300㎜ 폭 × 60m 길이의 시트로 성형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하였다. 얻어진 발포체는 균일하게 발포하였으며, 평균기포지름이 2.1㎛로 매우 미세하였다. 발포체의 두께는 0.8㎜이며, 발포체 시트의 반사율은 99.2%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3
관능기를 가진 SEBS(다이나론 8630P, JSR 제품)의 첨가량을 3질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하였다. 얻어진 발포체는 균일하게 발포하였으며, 평균기포지름이 1.3㎛로 매우 미세하였다. 발포체의 두께는 0.8㎜이며, 발포체 시트의 반사율은 99.5%로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실시예4
관능기를 가진 SEBS(다이나론 8630P, JSR 제품)의 첨가량을 5질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하였다. 얻어진 발포체는 균일하게 발포하였으며, 평균기포지름이 2.5㎛로 매우 미세하였다. 발포체의 두께는 0.8㎜이며, 발포체 시트의 반사율은 99.1%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5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그레이드:SA-1206, 유니치카 제품, ρs=1.34)에, 관능기를 가진 SEBS(다이나론 8630P, JSR 제품)를 0.5 질량부 첨가하여 혼연(混練)한 후, 0.5㎜ 두께 × 300㎜ 폭 × 60m 길이의 시트로 성형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하였다. 얻어진 발포체는 균일하게 발포하였으며, 평균기포지름이 2.6㎛로 매우 미세하였다. 발포체의 두께는 0.8㎜이며, 발포체 시트의 반사율은 99.0%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6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그레이드:SA-1206, 유니치카 제품, ρs=1.34)에, 관능기를 가진 폴리에틸렌(본드 퍼스트 E, 스미토모 화학 제품)을 4질량부 첨가하여 혼연한 후 0.5㎜ 두께 × 300㎜ 폭 × 60m 길이의 시트로 성형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하였다. 얻어진 발포체는 균일하게 발포하였으며, 평균기포지름이 1.0㎛로 매우 미세하였다. 발포체의 두께는 0.8㎜이며, 발포체 시트의 반사율은 99.0%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7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첨가하여 폴리카보네이트(그레이드:L-1250Y, 테이진 화성 제품, ρs=1.20)에, 관능기를 가진 SEBS(다이나론 8630P, JSR 제품)를 1.0질량부 첨가하여 혼연한 후 0.5㎜ 두께 × 300㎜ 폭 × 60m 길이의 시트에 성형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하였다. 얻어진 발포체는 균일하게 발포하였으며, 평균기포지름이 4.0㎛로 매우 미세하였다. 발포체의 두께는 0.8㎜이며, 발포체 시트의 반사율은 98.0%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비교예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그레이드:SA-1206, 유니치카 제품, ρs=1.34)를 사용하며,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고 0.5㎜ 두께 × 300㎜ 폭 × 60m 길이의 시트에 성형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하였다. 얻어진 발포체는 양호한 형상유지성을 가지고 있으나, 기포도 균일하지 않고 평균기포지름이 20㎛이므로, 반사율이 80.1%였다.
비교예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그레이드:SA-1206, 유니치카 제품, ρs=1.34)를 사용하며, 관능기를 가지지 않는 SEBS(다이나론 8600P, JSR 제품)를 1.0질량부 첨 가하여 0.5㎜ 두께 × 300㎜ 폭 × 60m 길이의 시트로 성형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하였다. 얻어진 발포체는 양호한 형상유지성을 가지고 있으나, 평균기포지름이 12㎛이므로 반사율이 89.5%였다.
열가소성 수지(B)의 첨가량 (질량부) 발포 후 시트의 두께 (㎜) 평균기포지름(㎛) 비중 발포배율 (배) 반사율 (%) 형상 유지성 내자외선 열화 방지능
실시예1 1 0.8 1.5 0.36 3.7 99.7 양호 양호
실시예2 1 0.8 2.1 0.43 3.1 99.2 양호 양호
실시예3 3 0.8 1.3 0.41 3.3 99.5 양호 양호
실시예4 5 0.8 2.5 0.28 4.8 99.1 양호 양호
실시예5 0.5 0.8 2.6 0.36 3.7 99.0 양호 양호
실시예6 4 0.8 1.0 0.35 3.8 99.0 양호 양호
실시예7 1 0.8 4.0 0.33 3.6 98.0 양호 양호
비교예1 0 0.8 20 0.26 5.0 80.1 양호 양호
비교예2 0 0.8 12 0.37 3.6 89.5 양호 양호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는 높은 광반사율을 가지므로, 전식(電飾)간판이나 조명기구, 디스플레이 등의 백라이트나 조명 박스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A)와 친화성을 가진 관능기를 가진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진 수지 시트로서, 내부에 평균기포지름 10㎛ 이하의 복수의 구멍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B)가 상기 관능기를 가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B)가 상기 관능기를 가진 폴리스틸렌계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A)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중이 0.7 이하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A) 100질량부에 대하여 해당 열가소성 수지와 친화성이 있는 관능기를 가진 열가소성 수지(B) 0.1 내지 10질량부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A)와 친화성이 있는 관능기를 가진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진 수지 시트를 가압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 유지하여 불활성 가스를 함유시키는 공정과, 불활성 가스를 함유시킨 수지 시트를 상압 하에서 가열하여 발포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표면에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한 층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KR1020077001928A 2004-12-24 2005-12-13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KR101234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73270 2004-12-24
JP2004373270 2004-12-24
PCT/JP2005/022858 WO2006068009A1 (ja) 2004-12-24 2005-12-13 熱可塑性樹脂発泡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403A true KR20070097403A (ko) 2007-10-04
KR101234998B1 KR101234998B1 (ko) 2013-02-20

Family

ID=3660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928A KR101234998B1 (ko) 2004-12-24 2005-12-13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314160B2 (ko)
EP (1) EP1829918B9 (ko)
JP (1) JP5158836B2 (ko)
KR (1) KR101234998B1 (ko)
CN (1) CN1997695B (ko)
CA (1) CA2563608A1 (ko)
ES (1) ES2379535T3 (ko)
MY (1) MY147796A (ko)
TW (1) TW200621862A (ko)
WO (1) WO20060680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2446B2 (ja) * 2005-06-03 2011-06-2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発泡体
US8036767B2 (en) 2006-09-20 2011-10-1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ystem for extracting and changing the reverberant content of an audio input signal
JP5367279B2 (ja) * 2008-02-29 2013-12-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樹脂発泡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反射板
JP5367290B2 (ja) * 2008-03-28 2013-12-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発泡体
US9372251B2 (en) 2009-10-05 2016-06-2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ystem for spatial extraction of audio signals
JP5639148B2 (ja) * 2010-08-17 2014-12-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発泡体、熱可塑性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および光反射材
EP2471652A1 (de) * 2010-12-28 2012-07-04 Nordenia Technologies GmbH Elastomerer Schichtstoff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012155125A (ja) * 2011-01-26 2012-08-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液晶バックライト用光反射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55056A (ja) * 2011-06-07 2012-12-2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熱可塑性樹脂発泡体及び光反射材
US8853304B2 (en) 2011-11-29 2014-10-07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ester compositions and insert-molded articles made therefrom
KR20140107176A (ko) * 2012-08-09 2014-09-04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미세 발포 반사시트, 광 반사판, 백라이트 패널 및 발포 반사시트의 제조방법
US10308779B2 (en) 2015-10-30 2019-06-04 Nike, Inc. Method of foaming a milled precursor
US10357904B2 (en) 2015-10-30 2019-07-23 Nike, Inc. Method of foaming an injection molded precursor
KR20180040355A (ko) * 2016-10-12 2018-04-20 주식회사 엔에스엠 내스크레치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발포 폼 트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960383A (zh) 2021-08-05 2023-04-14 江苏大毛牛新材料有限公司 一种环保型高效低成本制备物理发泡材料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4293A (en) * 1985-04-19 1985-11-19 The Dow Chemical Company Lightly crosslinked linear olefinic polymer foam blends and process for making
US5000991B2 (en) * 1988-12-01 2000-07-11 Sekisui Plastics Process for producing polyester resin foam and polyester resin foam sheet
EP0386663A1 (en) * 1989-03-06 1990-09-12 U.C. Industries, Inc. Method of preparing styrene foams
JP3018539B2 (ja) 1991-03-27 2000-03-13 東レ株式会社 面光源用反射板基材
JP3127475B2 (ja) * 1991-03-04 2001-01-22 宇部サイコン株式会社 発泡性樹脂組成物
JP3257699B2 (ja) * 1992-08-10 2002-02-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発泡体
JP3228349B2 (ja) 1992-08-10 2001-11-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JP2507864B2 (ja) * 1993-04-13 1996-06-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IL110514A0 (en) * 1993-10-04 1994-10-21 Eastman Chem Co Concentrates for improving polyester compositions and a method for preparing such compositions
KR100383431B1 (ko) 1995-06-23 2003-07-16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광반사판
US5997781A (en) * 1996-04-04 1999-12-07 Mitsui Chemicals, Inc. Injection-expansion molded, thermoplastic resin product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US5723510A (en) * 1996-06-11 1998-03-03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moplastic polyester foam sheet
JP3477037B2 (ja) 1997-07-31 2003-12-10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押出発泡体とその成形品並びに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押出発泡体の製造方法。
JPH11170288A (ja) * 1997-12-10 1999-06-29 Yamaha Corp 樹脂発泡体の製法
JP3122401B2 (ja) 1997-12-11 2001-01-09 理学電機工業株式会社 ポリマーの成形装置
AU6000999A (en) * 1998-10-02 2000-04-26 Djk Techno Science Laboratories Inc. Foamed polyester resin mold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992386B2 (ja) * 1998-12-02 2007-10-17 日東電工株式会社 微孔質発泡体の製造方法
US6211259B1 (en) 1999-02-01 2001-04-03 Aristech Acrylics Llc Low volatile reinforcing system
JP2000248101A (ja) * 1999-03-01 2000-09-12 Nitto Denko Corp ポリマ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10041772A1 (en) * 2000-01-28 2001-11-15 Tetsuo Masubuchi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JP3808301B2 (ja) 2000-10-17 2006-08-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US20020177663A1 (en) * 2001-03-16 2002-11-28 Cahill Paul J. Composites for railroad ties and other products
JP2002300690A (ja) * 2001-03-30 2002-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用振動板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用振動板
US6686400B2 (en) * 2001-07-10 2004-02-03 Jsp Corporation Foamed and expanded beads of polyester-based resin and foam molding obtained therefrom
US6812264B2 (en) * 2001-07-11 2004-11-02 Kaneka Corporation Foam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JP5091388B2 (ja) * 2002-08-15 2012-12-05 アドバンスド エラストマー システムズ,エル.ピー. 強化された発泡特性および物理的性質を有する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
US20040229966A1 (en) 2003-05-13 2004-11-18 Eastman Kodak Company Manufacturing process and use for open celled microcellular foam
WO2005033199A1 (ja) * 2003-09-30 2005-04-14 Kaneka Corporation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EP1582563A1 (en) * 2004-03-31 2005-10-05 KRATON Polymers Research B.V. Hydrogenated styrenic block copolym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high temperature overmolding properties
TW200615110A (en) * 2004-09-14 2006-05-16 Furukawa Electric Co Ltd Thermoplastic resin foam
TWI302548B (en) * 2004-10-18 2008-11-01 Tsrc Corp Thermoplastic elastome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70129454A1 (en) * 2005-12-05 2007-06-07 Tsrc Corporation Thermoplastic elastomer foaming materia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6068009A1 (ja) 2008-06-12
CN1997695A (zh) 2007-07-11
EP1829918A4 (en) 2008-04-09
CA2563608A1 (en) 2006-06-29
CN1997695B (zh) 2010-12-15
TWI334425B (ko) 2010-12-11
MY147796A (en) 2013-01-31
ES2379535T9 (es) 2012-07-24
EP1829918B1 (en) 2011-12-28
EP1829918A1 (en) 2007-09-05
KR101234998B1 (ko) 2013-02-20
US20080300334A1 (en) 2008-12-04
TW200621862A (en) 2006-07-01
JP5158836B2 (ja) 2013-03-06
WO2006068009A1 (ja) 2006-06-29
ES2379535T3 (es) 2012-04-27
US8314160B2 (en) 2012-11-20
EP1829918B9 (en)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998B1 (ko)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
KR101276461B1 (ko) 열 가소성 수지 발포체
US20080280118A1 (en) Polyester Foamed Sheet
JPWO2008126359A1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CN101313017B (zh) 聚碳酸酯发泡体
JPWO2007083720A1 (ja) ポリエステル発泡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15719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포함하는 광반사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172438A1 (en) Thermoplastic resin foam,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light reflecting material thereof
JP2008088213A (ja) ポリエステル発泡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35312A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
JP4712446B2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
JP4369884B2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
JP5367279B2 (ja) ポリエステル系樹脂発泡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反射板
JP2008088209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発泡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95944A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
JP2012155125A (ja) 液晶バックライト用光反射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08104A (ko) 반사시트
KR20160052205A (ko)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0086725A (ja) 反射体
JP2006339005A (ja) 面光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