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4637A - 가발 - Google Patents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4637A
KR20070094637A KR1020077017473A KR20077017473A KR20070094637A KR 20070094637 A KR20070094637 A KR 20070094637A KR 1020077017473 A KR1020077017473 A KR 1020077017473A KR 20077017473 A KR20077017473 A KR 20077017473A KR 20070094637 A KR20070094637 A KR 20070094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g
base
head
silicone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가토시 가가미
마유미 도바
히토시 아카쓰카
히로지 이시타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Publication of KR2007009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75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Prosthese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직경 약 10mm의 다수의 개구부를 뚫어 형성되어 있는 마스킹 시트를 가발의 베이스(1)의 머리부와 접촉하는 측에 부착하고, 이 개구부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 개구부내에 배치 가능한 실리콘물질로 이루어지는 태블릿의 일단을 접착하고, 게다가, 이 태블릿의 표면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여 건조한 후, 마스킹 시트를 벗기는 것에 의해서 가발 베이스의 머리부에 접촉하는 측에 실리콘 돌기를 배열하여 고착한 가발의 구성이다.

Description

가발{WIG}
본 발명은, 의모가 심어 설치된 전체 머리 또는 부분 가발의 두피 피착면측에 실리콘 물질로 이루어지는 돌기물을 갖는 가발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머리부의 대머리나 흰머리의 얇은 개소를 피복하여 은폐 효과를 갖는 가발은, 섬유사를 그물코 또는 격자형상으로 짜 넣어진 네트형상 가발 베이스, 혹은 합성수지제의 얇은 가죽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가발 베이스에 다수의 인모 또는 인공모를 심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네트형상의 가발 베이스에의 의모의 심어 설치는, 의모를 네트에 묶는 방법으로 실시되고 합성수지제의 얇은 가죽형상의 가발 베이스에서는, 의모를 베이스에 끼워 통한 후에 베이스 이면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심어 설치한 의모를 고착하는 방법이 오래 전부터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발을 머리부에 피착한 경우, 가발 베이스 이면에 돌출한 의모의 침족이 머리부에 닿아 아픔을 느낀다. 특히 장시간의 피착은 상당한 고통을 강요당하고 있다.
또한, 이 가발 베이스 이면에 돌출한 의모의 침족에 의한 가발 베이스 이면 전체의 까칠까칠함이 있어 충분한 장착감을 얻지 못하고, 또한 가발이 어긋나기 쉬 운 등의 불안을 안고 있다.
한편, 가발 베이스에 돌기물을 갖는 가발로서는, 의모가 심어 설치된 가발 베이스의 이면에 육모효과를 나타내는 목적으로 영구자석을 배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3-76804호
또한, 가발 피착시에 머리부와 가발과의 사이에 틈새를 만들어, 통풍을 좋게 하여 열이 가득한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의모가 심어 설치된 가발 베이스의 이면에 두께 2mm 정도의 돌기부분을 배치한 가발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 : 일본 실용공개공보 평성2-78522호
또한, 실리콘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인공피부면으로부터 모발소재를 V형상으로 식모하여, 모근부분을 가발의 피부면측에 돌출시켜, 이 돌출한 부분을 포백면에 접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3 : 일본 실용공개공보 평성5-27456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
본 발명은, 가발 피착시에 베이스에 피착시에 베이스에 심어 설치된 인모나 인공모의 침족부분의 두피에의 영향을 배제하여 위화감이 없고, 또한, 가발의 어긋남이 일어나지 않고 피트감(양호한 장착감)이 지속되는 가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인모 또는 인공모가 심어 설치된 가발 베이스의 이면에 탄력성을 갖는 돌기를 다수 배치된 가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가발은, 머리부에 피착하는 인모 또는 인공모가 심어 설치된 가발 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가발 베이스의 머리부에 접촉하는 측에 실리콘 물질로 이루어지는 돌기물을 소정간격으로, 복수로 배열하여 고착한 가발에 의해서 상기 과제는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머리부에 피착하는 인모 또는 인공모를 심어 설치한 가발 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머리부에 접촉하는 측에 실리콘 물질로 이루어지는 돌기물의 직경이 5∼15mm의 대략 원형으로, 두께가 0.5∼2.0mm로 성형된 것을 사용하는 가발의 구성에 의해서 상기 과제는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상기 가발 베이스에 있어서, 실리콘 물질로 이루어지는 돌기물이 1.0∼3.0cm의 간격으로 복수 배열한 가발의 구성에 의해서 상기 과제는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다수의 개구부를 뚫어 형성되어 있는 마스킹 시트를 가발의 베이스의 머리부와 접촉하는 측에 부착하고, 이 개구부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 개구부내에 배치 가능한 실리콘 물질로 이루어지는 태블릿의 일단을 접착하고, 게다가, 이 태블릿과의 표면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여 건조한 후, 마스킹 시트를 벗기는 것에 의해서 가발 베이스의 머리부에 접촉하는 측에 실리콘 돌기를 고착하는 가발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발에 있어서, 돌기물로서 실리콘을 이용하는 것은, 내약품성 및 내유성이 강하고, 가발 피착시에 두피로부터의 피지, 땀, 혹은 두발에 부착한 정발 화장품에 의한 열화가 적은 것, 내열성 및 내한성이 우수하고 외기온도의 변화, 혹은, 가발 피착시의 머리부의 온도 상승에 대해서도 우수한 탄력성, 마찰 저항에 의한 걸어멈춤력이 발휘되는 것, 수지의 경도가 낮아도 고탄성을 나타내므로 머리부에 접촉했을 때에 위화감이 없고, 가발의 피착시에 어긋남이 일어나기 어려워 피트감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저자극성이며 인체에 대해서 나쁜 영향을 줄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리콘 물질로 이루어지는 돌기물은, 직경이 5∼15mm의 대략 원형의 형상으로, 두께가 0.5∼2.0mm의 범위가 적당하지만, 직경이 8mm이고, 두께 1.0mm 정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직경이 5mm 이하에서는 두피 혹은 두발과의 접촉면적이 감소하여 베이스에 심어 설치된 인모나 인공모의 침족부분의 두피에의 영향을 충분히 배제하지 못하고, 또한 가발의 걸어멈춤력이 저하하여 어긋남 방지효과가 뒤떨어지기 때문에, 돌기물을 상당수 배치할 필요가 있어, 설치작업이 번잡하게 된다. 또한, 직경이 15mm 이상이면 두피에의 영향은 배제할 수 있고, 가발의 걸어멈춤력이 증대하여 어긋남 방지효과나 장착감은 향상하지만, 실리콘 돌기와 두피 혹은 두발과의 접촉면적이 너무 커져서 머리부가 무덥기 쉬워진다. 또한, 끈적거림이나 간지러움의 원인이 되는 일이 있어, 다른 위화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가발 전체적으로는 두꺼워지는 결과가 된다.
또한, 돌기물의 두께가 0.5mm 이하이면, 가발 이면 전면에 머리부가 닿아 버려 돌기를 배치한 효과를 얻지 못하고, 두피의 위화감은 해소되지 않고, 또한 어긋남 방지작용이 없어지고, 2mm 이상에서는 가발과 머리부과의 틈새가 커져 가발이 뜬 상태가 되어, 피착시에 어긋나기 쉽고, 또한 피트감을 얻을 수 없다.
실리콘 태블릿을 가발에 접착할 때에는,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한다. 이것은 실리콘 태블릿과의 접착성 뿐만 아니라, 접착제 도포 후의 경화상태가 부드럽고, 또한 탄력성을 구비하고 있어, 돌기를 배치한 후의 가발 전체의 경화를 방지할 수 있다. 개개의 돌기의 배열간격은, 1.0∼3.0cm가 좋지만, 특히, 2.0cm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것 이하이면 가발 피착시에 무더위, 가려움 등의 별도의 위화감이 머리부에 발생하여, 부착한 돌기에 의해 가발의 형상이 무너져 버려, 3.0cm이상이 되면 베이스에 심어 설치한 인모 또는 인공모의 무게가 더해져, 돌기에 접촉하는 머리부의 총면적보다 심어 설치한 인모 또는 인공모의 침족이 접촉하는 면적이 많아져, 두피에의 영향을 배제하여 위화감을 없게 하는 효과가 없어져 버린다. 또한, 각 돌기중 머리부에의 접촉이 약한 개소에서 부분적인 어긋남이 일어나, 피착하고 있는 사이에 가발의 변형이 일어나기 쉬워지거나, 머리부에의 접촉이 강한 개소에서는 두피 또는 두발이 잡아당겨져 아픔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 돌기를 배열하는데 있어서, 인간의 머리부의 형상은 정확한 원형이나 타원형을 하고 있지 않고, 상당히 찌그러진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규칙성을 가진 배열로 하면 머리부에 돌기가 충분히 접촉하는 개소, 그다지 접촉하지 않는 개소, 전혀 접촉하지 않는 개소가 나와 가발의 피착시의 위화감이 남는 일이 있다. 또한, 장시간의 피착 혹은 장기간의 반복의 피착에 의해, 돌기를 부착한 부분이 부풀어올라 선형상이 되어 가발의 형상이 변형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돌기의 배열은 어느 일정한 규칙성을 갖게 하는 것보다 가발의 머리부 피착면측의 전면 또는 원하는 부분에 랜덤으로 배열하는 제조방법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가발은, 머리부의 표면에 접촉하는 베이스면측에 다수의 탄력성이 있는 실리콘 돌기를 배열하고 있으므로, 이 가발을 머리부에 피착했을 때에, 가발의 표면에 심어 설치된 인모 또는 인공모의 침족부분이 베이스 이면측에 돌출, 현출하고 있어도 실리콘 돌기에 의해서 적당한 틈새가 생겨, 이 침족이 머리부에 접촉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머리부의 위화감이나 아픔이 종래의 것에 비해서 배제되어 있다.
또한, 높은 걸어멈춤력에 의해 어긋남이 일어나지 않고, 장시간의 피착에 있어서도 양호한 장착감(피트감)을 지속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가발은, 다수의 개구부를 뚫어 형성되어 있는 마스킹 시트를 가발의 머리부 피착면측에 퍼붙이고, 이 개구부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 개구부내에 배치 가능한 크기의 두께 1mm 이하의 실리콘 태블릿을 접착하고, 게다가, 실리콘 태블릿의 표면에 이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마스킹 시트를 벗기는 것에 의해서 가발 베이스의 머리부 피착면측에 실리콘의 돌기를 고착하여 가발을 제조한다.
이러한 실리콘 태블릿의 고착에 다수의 개구부를 뚫어 형성되어 있는 마스킹 시트를 이용하는 것은, 실리콘 태블릿의 부착 위치에 화살표 등을 붙이는 방법과 비교하여 베이스를 더럽히지 않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 접착제의 도포에 있어서도 접착제가 비어져 나오거나 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어, 실리콘 돌기물을 고착한 후 가발의 미관을 손상시킬 일이 없다. 또한 돌기물 고착에 사용하는 접착제의 도포량에 의한 고착력의 편차가 생기지 않고, 안정된 고착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실리콘 태블릿의 표면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 실리콘 태블릿의 일단부가 가발 베이스에 고착되어 있는 것 보다 실리콘 태블릿 전체를 접착제로 피복하는 편이 고착력의 향상하는 것, 및 가발 피착시의 걸어멈춤력이 향상하여 어긋남이 일어나기 어렵고, 피트감이 양호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발의 베이스 이면을 나타내는 일실시형태의 전체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가발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가발의 부분 주요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관해서 기술하면, 본 발명의 가발의 베이스(1)는, 둘레가장자리부가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둘레가장자리부의 안쪽이 얇은 가죽형상 또는 망형상으로, 의료용 인공피부, 폴리우레탄, 직쇄 지방족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제조되어 있다. 이 베이스(1)의 형상은, 머리부의 형상에 따라서 만곡한 것으로, 반구형상이다. 이 베이스(1)가, 형상 기억수지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베이스(1)자체의 두께로서는 0.1∼0.3mm 정도가 적당하다.
이 베이스(1)에 인모 또는 인공모(2)가 심어 설치되어, 이 심어 설치한 부분 의 침족(4)이 베이스(1)의 돌기 부착면측에 노출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의 부착면(접착면)(1a)에 직경 약 10mm의 개구부를 갖는 마스킹 시트(2)를 퍼붙인다.
도 2에 관해서, 이 마스킹 시트(2)의 상기 개구부에 실리콘 접착제를 흘려 넣고, 또는 발라, 이 개구부에 미리 직경 8mm×두께 1mm로 성형된 실리콘제의 태블릿(3)을 접착한다. 이 접착된 태블릿(3)의 위로부터 상기 마스킹 시트(2)의 개구부를 피복하도록 실리콘 접착제를 얇게 바른다. 이것을 건조하고 나서 마스킹 시트(2)를 벗긴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1)의 이면에 복수의 실리콘 태블릿(3)의 돌기가 배열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나는 실시형태에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1) 이면에 다수의 실리콘(3)의 돌기가 돌출하고 있으므로, 심어 설치한 인모 또는 인공모의 침족(4)이 두피에 접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가발을 머리부에 장착한 경우, 이면의 실리콘 돌기가 돌출하고 있으므로 부착면측에 심어 설치한 인모 또는 인공모발의 침족부분이 직접 두피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피부면의 감촉이 부드러워, 장시간의 피착 혹은 장기간의 반복에 의한 피착에서도 위화감이 없고, 또한, 실리콘 돌기와 머리부의 밀착에 의한 피트감이 생긴다.
본 발명의 가발에 의하면, 심은 인모나 인공모의 침족부분이 직접 두피면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까칠까칠한 위화감은 실리콘 돌기에 의해서 배제된다. 따라 서, 가발의 장시간의 착용에도 안심하여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발은, 심어진 인모나 인공모의 침족부분이 직접 두피면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까칠까칠한 위화감은 실리콘 돌기에 의해서 배제된다. 따라서, 가발의 장시간의 착용에도 안심하여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모나 인공모가 심어진 전체 머리 또는 부분가발에 양호하게 하여 널리 적용될 수 있다.

Claims (4)

  1. 머리부에 피착하는 인모 또는 인공모가 심어 설치된 가발 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가발 베이스의 머리부에 접촉하는 측에 실리콘 물질로 이루어지는 돌기물을 소정간격으로 복수 배열하여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머리부에 접촉하는 측에 실리콘 물질로 이루어지는 돌기물의 직경이 5∼15mm의 대략 원형으로, 두께가 0.5∼2.0mm로 성형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실리콘 물질로 이루어지는 돌기물이 1.0∼3.0cm의 간격으로 복수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4. 다수의 개구부를 뚫어 형성되어 있는 마스킹 시트를 가발의 베이스의 머리부와 접촉하는 측에 부착하고, 이 개구부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 개구부내에 배치 가능한 실리콘 물질로 이루어지는 태블릿의 일단을 접착하고, 게다가, 이 태블릿의 표면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여 건조한 후, 마스킹 시트를 벗기는 것에 의해서 가발 베이스의 머리부에 접촉하는 측에 실리콘 돌기를 고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제조방법.
KR1020077017473A 2005-01-27 2005-12-19 가발 KR200700946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43,150 2005-01-27
US11/043,150 US7131449B2 (en) 2005-01-27 2005-01-27 Wi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637A true KR20070094637A (ko) 2007-09-20

Family

ID=36695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473A KR20070094637A (ko) 2005-01-27 2005-12-19 가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31449B2 (ko)
EP (1) EP1844670A1 (ko)
JP (1) JPWO2006080160A1 (ko)
KR (1) KR20070094637A (ko)
CN (1) CN100534344C (ko)
AU (1) AU2005326218B2 (ko)
CA (1) CA2596052A1 (ko)
TW (1) TW200635523A (ko)
WO (1) WO2006080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3568B2 (ja) * 2006-08-31 2012-02-22 株式会社アデランス 自毛活用型かつら
US20100071714A1 (en) * 2006-11-21 2010-03-25 Yasuhisa Sotokawa Wi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80121245A1 (en) * 2006-11-27 2008-05-29 Trammell Martha M Cam-it
US20090188512A1 (en) * 2008-01-25 2009-07-30 General Wig Manufacturers, Inc. Hair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968950B1 (ko) * 2009-10-14 2010-07-14 이윤옥 가발모판의 실리콘 원단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발모판의 실리콘 원형
KR100989821B1 (ko) 2009-10-26 2010-10-29 김지광 가발용 접착부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발
US9107460B1 (en) 2014-05-05 2015-08-18 Midway International, Inc. Weavable wig for sewing into a user's hair
CN105011445B (zh) * 2015-07-20 2016-08-24 蔡磊 一种发装及其制作方法
USD808622S1 (en) 2016-08-24 2018-01-30 Danielle Lynn Yates Headband with scarves
USD806365S1 (en) 2016-11-10 2018-01-02 Danielle Lynn Yates Hat
USD814151S1 (en) 2016-12-06 2018-04-03 Danielle Lynn Yates Headwear
USD916438S1 (en) 2017-02-21 2021-04-20 Danielle Lynn Yates Headwear
USD979887S1 (en) * 2017-03-09 2023-03-07 James Andersen Hat
US10959470B2 (en) * 2018-06-11 2021-03-30 Anna Rose Richwine Magnetic hair extensions
US11857012B2 (en) * 2019-03-27 2024-01-02 Scandinavian Hair Systems, Inc. Magnetic hair accessory and method
USD1012371S1 (en) 2020-09-23 2024-01-23 Niquel D. Coleman Sectional hair blender
JP7422908B1 (ja) 2023-02-08 2024-01-26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2460A (en) * 1949-05-23 1952-07-08 Hull George Frederick Hair cap for bald or sparsely haired heads
US3980092A (en) * 1974-08-15 1976-09-14 Tino Garufi Hairpiece apparatus
US4205693A (en) * 1979-02-06 1980-06-03 Gene Mallouf Wig
US4509539A (en) 1984-02-08 1985-04-09 Charles Alfieri Hairpiece with simulated natural hairline front
US4799502A (en) * 1985-12-24 1989-01-24 Aderans Co., Ltd. Wig
JPS62198223A (ja) 1986-02-25 1987-09-01 Nec Corp 原子発振器用発光装置
JPH047144Y2 (ko) * 1986-06-07 1992-02-26
JPH082591B2 (ja) 1988-09-14 1996-01-17 株式会社松澤製作所 熱可塑性帯状素材の熱成形方法及び装置
JPH0376804A (ja) 1989-08-16 1991-04-02 Aavan Raifu:Kk 育毛効果を有するかつら
JP2909665B2 (ja) 1991-03-04 1999-06-23 コニカ株式会社 感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101361B2 (ja) 1991-09-18 2000-10-23 三洋電機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
JP3071403U (ja) * 2000-02-29 2000-09-08 株式会社タカラ 頭髪飾り用ウイッグ
JP4650650B2 (ja) * 2000-07-31 2011-03-16 株式会社ユニヘアー 自毛活用型かつら
US6689931B2 (en) * 2001-06-12 2004-02-10 Tiax Llc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making
JP2004353127A (ja) * 2003-05-29 2004-12-16 Feather Kk 全かつら
JP3101361U (ja) * 2003-10-31 2004-06-10 フェザー株式会社 全かつ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34344C (zh) 2009-09-02
AU2005326218B2 (en) 2009-07-16
EP1844670A1 (en) 2007-10-17
CA2596052A1 (en) 2006-08-03
US20060162734A1 (en) 2006-07-27
AU2005326218A1 (en) 2006-08-03
WO2006080160A1 (ja) 2006-08-03
JPWO2006080160A1 (ja) 2008-06-19
TW200635523A (en) 2006-10-16
US7131449B2 (en) 2006-11-07
CN101111168A (zh)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4637A (ko) 가발
JP4989184B2 (ja) かつ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48968A (ko) 무이음매 자기부착형 모발연장 시스템
JP3950485B2 (ja) 義毛固定具及びその使用方法
US20110180094A1 (en) Device for hair volumizing
JP2008266877A5 (ko)
JP2005532485A (ja) 柔軟な接着部材と、このような部材を備えたかつら
JP4009910B2 (ja) 使い捨てかつら
KR20090084452A (ko) 가발 및 그 제조방법
KR101396543B1 (ko)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가발
JP2545240B2 (ja) 型保持部材を有するかつらの製造方法
JP4203765B2 (ja) カツラ
JP7368078B2 (ja) かつら
JP2004024824A (ja) まつ毛パーマ用ロット
JP3036784U (ja) 毛髪挟み具
JP2006291429A (ja) ヘアピース
KR100678701B1 (ko) 음부용 음모부착물
JPH047145Y2 (ko)
JPH10168630A (ja) かつら
JP6447882B2 (ja) かつら
RU58306U1 (ru) Основа для накладки из волос
JP3109438U (ja) つけ眉毛
JP3009262U (ja) ブラシ
JPH0745530Y2 (ja) 植毛用毛髪
JPH10132U (ja) かつらベ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