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701B1 - 음부용 음모부착물 - Google Patents

음부용 음모부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701B1
KR100678701B1 KR1020040065553A KR20040065553A KR100678701B1 KR 100678701 B1 KR100678701 B1 KR 100678701B1 KR 1020040065553 A KR1020040065553 A KR 1020040065553A KR 20040065553 A KR20040065553 A KR 20040065553A KR 100678701 B1 KR100678701 B1 KR 100678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pubic
silicone
delete delet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7050A (ko
Inventor
임태묵
Original Assignee
임태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묵 filed Critical 임태묵
Priority to KR1020040065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701B1/ko
Priority to PCT/KR2004/002221 priority patent/WO2006033485A1/en
Publication of KR20060017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41G3/0025Fastening thereof by adhes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 A41G5/0013Fastening thereof
    • A41G5/0026Fastening thereof by mechanical fasteners, e.g. clasps, buttons,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 A41G5/0013Fastening thereof
    • A41G5/0033Fastening thereof by adhesives

Abstract

본 발명은, 음부용 음모부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음부용 음모부착물은, 음모를 형성하는 모발과; 상기 모발이 음모의 배치형태를 이루면서 고정되는 망사와; 상기 망사의 적어도 일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모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음모판과; 상기 음모판의 표면에 도포되며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실리콘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간단한 방법으로 무모증을 해결하여 무모증인 사람의 수치심을 해소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가모발이식수술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일상생활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자가모발이식수술시 자라나는 모발을 깍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시사철 언제 어디서나 착용이 가능하다.
음모부착물, 음부, 음모, 실리콘 수지, 실리콘 접착제, 무모증, 빈모증

Description

음부용 음모부착물{ADHESIVE THING FOR PUBIC REG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부용 음모부착물의 전면도,
도 2는 도 1의 음부용 음모부착물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음부용 음모부착물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음부용 음모부착물을 타원형으로 형성한 실시예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음부용 음모부착물을 다이아몬드형으로 형성한 실시예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음모판을 테두리형상으로 형성한 실시예에 따른 음부용 음모부착물의 배면도,
도 7은 도 6의 음모판에 가로선을 부가한 실시예에 따른 음부용 음모부착물의 배면도,
도 8은 도 1의 음부용 음모부착물에서 보호필름을 탈착시키는 상태의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부용 음모부착물의 제조공정을 보인 블럭도,
도 10은 클립을 장착한 음부용 음모부착물의 배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발 20 : 망사
30 : 음모판 40 : 실리콘 접착제
50 : 보호필름 60 : 클립
본 발명은 음부용 음모부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방법으로 무모증을 해결하여 무모증인 사람의 수치심을 해소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고, 일상생활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며, 또한 자라나는 모발을 깍아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고, 사시사철 언제 어디서나 착용이 가능한 음부용 음모부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모는 부신의 성선 자극호르몬과 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사춘기가 시작되는 10~14세에 발모하기 시작하여 18세에는 약 5cm정도로 완전히 자라게 된다. 음모의 발육과 분포로 성적 성숙의 단계를 나누는 지표로 삼기도 하는데, 사춘기가 시작하는 만9-15세에 음순 주위에 긴 솜털이 자라게 되고, 10-15세에는 털이 많아지고 착색이 진해진다. 그리고, 10-17세에서는 성인형이지만 그 범위가 아직 좁고, 13-18세가 되면 성인과 같은 분포를 갖게 된다.
한편, 여성의 음모는 남성보다 약 1cm정도 더 짧고 더 꼬불꼬불하고 방향이 밖에서 안으로, 위에서 아래로 향하고 있어 치골부위 아래로 중심을 이루고 일종의 헤어볼을 형성하게 된다. 여성 음모의 분포형태는 역삼각형, 타원형, 다이아몬드 형, 능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역삼각형의 형태가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종과 개인차에 의해 분포가 다양한데 아시아 사람은 남방계통이 북방계통에 비해 체모가 많기 때문에 음모가 상대적으로 많을 뿐 아니라 면적도 넓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음모가 유전적인 원인이나 후천적인 원인으로 전혀 나지 않았거나 불완전한 무모증이나 빈모증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무모증이나 빈모증은 모계유전으로 알려져 있으며, 발현율이 1/4정도 된다고 한다. 따라서 무모증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많으며, 이는 성(性)호르몬의 이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주로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의 결핍이 원인이다. 한편, 후천적인 원인으로는, 교통사고나 질환, 영양부족, 호르몬 이상 등으로 털이 빠진 후 복구가 되지 않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우리나라 여성의 무모증에 관한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1982년 대한피부과학회지에 보고된 모대학 여자 신입생 1180명대상으로 한 조사에 의하면, 여자 신입생의 4.5% 가 완전히 음모가 없는 무모증이었고, 6.8%가 빈모증(음모가 20개 이하)이었다는 보고가 있다. 즉 우리나라 여성 10명 중 1명이 무모증이라는 연구결과인데 지금은 그때보다 전반적인 영양상태가 좋아졌고 발육정도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기 때문에 그보다는 낮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 음모가 없거나 적다 하더라도 건강이나 성생활, 임신, 출산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성적 매력이나 미적 열등감 때문에 고민하는 여성이 많다. 특히 우리나라 남성들의 잘못된 속설로 인해 결혼 적령기의 여성들의 경우 불안해하고 자신감이 없다고 하며, 결혼해서도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가정불화 까지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당사자에게는 심각한 스트레스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무모증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자가 모발이식술이 사용되고 있다. 자가모발이식술은, 대머리의 모발이식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뒤통수에서 10×1.5cm크기로 두피를 잘라낸 후 모발을 하나씩 분리하여 무모증 부위에 옮겨 심게 된다. 한번 시술로 1000 - 1200개의 모발을 옮겨 심게 되는데, 심을 때 모발의 방향과 이식 높이, 모발의 분포형태 등을 잘 맞춰 줘야만 자연스럽고도 풍성한 음모의 형태로 자라게 된다. 또한 머리와 달리 피부가 얇기 때문에 이식레벨을 잘 못 맞추면 모발이 깊이 이식되기 때문에 심한 모낭염으로 고생하게 될 수 있다.
이렇게 심은 털은 한달 정도 지나면 거의 빠지고 3-6개월부터 새로운 털이 자라나게 된다. 이식모의 생존율은 80-90% 정도이고, 이식된 모발은 처음에는 직모의 형태이지만 몇 년의 세월이 흐르면서 마찰에 의해 약간 곱슬거리는 특성이 생기게 된다. 자신의 머리털을 이식했기 때문에 머리털과 마찬가지로 한 달에 한번정도 털을 잘라줘야 한다.
이러한 자가모발이식술은 영구적으로 체모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기는 하나, 직접 병원을 방문하여야 하므로 진찰이나 시술시 수치심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시술 후 3일이 경과하여야 샤워가 가능하고 목욕은 5일 이후부터 가능하기 때문에, 여름처럼 땀이 많이 나는 계절에는 시술후 관리가 힘들어 수술 자체를 꺼리게 된다. 또한, 시술 후 7일째까지는 이식한 털이 빠질 수 있으므로 심한 운동이나 부부관계는 피해야 하므로, 직업적으로 운동을 해야 하는 경우나, 배우자에게 시술 사실을 숨겨야 하는 경우에는 시술이 곤란한 점이 있다.
이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후에도 바로 일상 생활에 전혀 불편함이 없으며, 시술에 따른 수치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인모나 인조모를 이용하여 음모를 대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방법으로 무모증을 해결하여 무모증인 사람의 수치심을 해소해 줄 수 있는 음부용 음모부착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격이 저렴하고, 간편하게 착용이 가능한 음부용 음모부착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음모를 형성하는 모발과; 상기 모발이 음모의 배치형태를 이루면서 고정되는 망사와; 상기 망사의 적어도 일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모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음모판과; 상기 음모판의 표면에 도포되며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실리콘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발은, 사람의 모발인 인모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인조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은, 일반적 음모 형태인 역삼각형, 타원형, 다이아몬드형, 능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상기 망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사는 상기 모발의 배치형태에 맞추어 제단되며, 상기 망사의 하단부 는 소정 간격을 두고 두 갈래로 갈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모판은, 실리콘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는, 경화제가 첨가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접착층의 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실리콘 접착층의 오염을 방지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음모를 형성하는 모발과; 상기 모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인조피부로 형성되며, 상기 음모가 고정되는 망사가 함침되어 일체로 형성된 음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부용 음모부착물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모를 형성하는 모발과; 상기 모발이 음모의 배치형태를 이루면서 고정되는 망사와; 상기 망사의 적어도 일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모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음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부용 음모부착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음모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모발을 음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은 상기 음모판에 고정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며, 외력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모발이 삽입되는 한 쌍의 파지아암을 갖는 클립일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일면은 상기 음모판에 고정되고, 타면은 피부에 부착되는 양면 테이프이거나,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망사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상기 망사의 적어도 일영역에 음모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음모판이 형성된 망사에 음모의 형태대로 모발을 심는 단계와; 상기 음모판의 표면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여 실리콘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부용 음모부착물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음모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망사에 실리콘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도포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경화제가 첨가된 접착성 실리콘 조성물을 상기 음모판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리콘 접착층을 도포한 후 소정 시간 동안 일정 이상 온도에서 경화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접착층의 경화가 완료되면, 상기 실리콘 접착층의 상면에 상기 실리콘 접착층의 보호를 위한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음부용 음모부착물은, 남성 또는 여성의 생식기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음모를 형성함으로써, 무모증이나 빈모증으로 인해 받고 있는 고통과 수치심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부용 음모부착물의 전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부용 음모부착물의 측단면도이다. 본 음부용 음모부착물은, 음모를 형성하는 모발(10)과, 모발(10)이 고정되는 망사(20)와, 망사(20)의 적어도 일영역에 형성되는 음모판(30)과, 음모판(30)의 표면에 도포되는 실리콘 접착층(40)과, 실리콘 접착층(40)의 보호를 위한 보호필름(5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음모부착물에는 인조모 또는 인모가 사용되며, 본 음부용 음모부착물에도 인조모 또는 인모가 사용된다. 이 중, 인모는 크게 중국모와 인도모로 나뉘어지는데, 중국모는 동양인의 머리카락으로서 굵고 가늘지 않아서 우리나라 사람의 머리카락과 거의 동일하며, 인도모는 서양인의 머리카락으로서 가늘고 부드러우며 미국이나 유럽계 사람들의 머리카락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인모는 형태가 자연스럽고, 염색, 퍼머, 코팅과 헤어드라이기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비해, 인조모는 폴리에스터와 폴리아미드섬유로 형성되며, 인모보다 광택이 나고 더 뻣뻣하기는 하나, 오래 사용해도 색이 쉽게 변하지 않고 습도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모발(10)이 고정되는 망사(20)는, 신축성이 좋고 인장강도가 강한 나일론 소재로 제작되며, 모노망, 스위스망, 그물망 등이 있다. 스위스망은 스위스에서 제작된 제품으로 모노망에 초음파 처리를 하여 내구성을 높인 제품이고, 그물망은 말 그대로 구멍이 큰 그물형상으로 형성되어 통풍이 잘되는 망사(20)이다. 이러한 망사(20)에 모발(10)을 고정할 때는, 망사(20)의 통공에 인조모나 인모를 코바늘을 사용하여 끼우고 매듭을 지워 고정한다.
한편, 망사(20)에 고정되는 모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일반적인 음모의 형태인 역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타원형, 다이아몬드형, 능형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음모를 역삼각형 형태로 배치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음부용 음모부착물의 음모판(30)과 망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음모판(30)과 망사(20)의 하단부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한 쌍으로 분기되어 있다. 이 때, 이격거리는 생식기의 폭에 의해 결정되므로,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모발(11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을 따라 긴 타원형으로 배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음모판(미도시)과 망사(120) 역시 타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음모판과 망사(120)의 하단부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한 쌍으로 분기되어 있다.
또한, 모발(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모발(210)의 배치에 따라, 음모판(미도시)과 망사(220)도 다이아몬드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음모판과 망사(220)의 하단부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한 쌍으로 분기되어 있다. 이러한 역삼각형, 타원형, 다이아몬드형 외에도 모발의 배치와, 음모판 및 망사의 형상을 능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망사(20)의 모발(10)이 늘어뜨려진 반대면에는 인조피부인 음모판(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음모판(30)은 실리콘 수지를 망사(20)에 도포하여 형성된다. 음모판(30)의 두께는 망사(20)에 실리콘 수지를 여러 겹 도포하여 0.05 내지 0.5mm 정도로 형성되며, 그 두께는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음모판(30)을 형성하는 실리콘 수지는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구성되며, 실리콘 수지의 경도가 40이상, 인열강도가 25이상인 액상 실리콘 수지를 사용한다. 이는, 실리콘 수지의 경도가 40 미만인 경우에는 제작시 형성된 곡면의 형태가 장기간 유지되기 어렵고, 인열강도가 25미만인 경우에는 장기간 사용시 모발(10)이 식모된 영역에 갈라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리콘 수지에는 피부색을 자연스럽게 연출하기 위해 조색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조색제는, 백색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운모분과, 피부색상 재현을 위해 검정, 노랑, 분홍색을 발현하는 유기안료를 들 수 있으며, 운모분은 실리콘 수지의 총중량에 대해 5 내지 15중량%를 첨가할 수 있고, 각 유기안료는 색상에 따라 비율을 조절하여 첨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백색도 증진 및 피부색상 재현을 위해 백운모, 카오린, 탈크, 셀리사이트, 벤토나이트 등을 포함한 점토류와 무기안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리콘 수지를 망사(20)에 도포한 후 경화과정에서 망사(20)의 통공으로 실리콘 수지가 함침되어 인조피부처럼 보이게 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두피의 역할과, 망사(20)에 고정된 모발(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음모판(30)을 실리콘 수지로만 형성하였으나,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고, 실리콘 수지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실리콘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를 혼용하여 사용할 경우, 실리콘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 자체를 혼합한 다음 망사(20)에 혼합액을 도포할 수도 있고, 망사(20)에 실리콘 수지나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를 먼저 도포한 다음, 다른 하나를 그 표면에 도포할 수도 있다. 즉, 먼저 실리콘 수지를 망사(20) 위에 도포하고, 경화가 되면, 실리콘 수지의 표면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하는 것이다. 이 때, 실리콘 수지를 충분한 두께로 여러 번 도포한 후, 실리콘 수지의 표면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여러 번 도포할 수도 있고, 실리콘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를 번갈아가며 원하는 두께를 형성할 때가지 도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음모판(30)은 망사(20)의 전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둘레를 따라 테두리(330)를 이루도록 일부 영역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음모판(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사(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430)와, 테두리(430)를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가로선(435)을 갖도록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음모판(30)이 망사(20)의 일부분에 형성되면, 실리콘 접착층(40)이나 보호필름(50)도 음모판(3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음모판(30)의 표면에는 실리콘을 이용한 실리콘 접착층(40)이 형성되어 있다. 실리콘 접착층(40)은 접착성분을 가지는 실리콘 접착제를 일정 두께가 되도록 여러번 도포하여 형성하며, 이 때, 실리콘 접착층(40)의 두께는 0.1 내지 1.8mm를 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실리콘 접착층(40)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접착 성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너무 두꺼운 경우 비용 및 경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도포가 완료된 후, 실리콘 접착제를 경화시키며, 이 때, 공기중에서 경화시킬 수도 있고, 오븐에 넣어 일정 온도, 예를 들면 80℃에서 약 20분간 경화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실리콘 접착층(40)을 형성하는 실리콘 접착제의 성분은, 경화제가 첨가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주성분으로 하며, 조성물중 실리콘 수지와 경화제 및 기타 원료 배합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접착력을 발휘한다.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은 경화 기구(mechanism)의 분류에 의하면, 공기중 수분의 존재 하에서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에 의해 가교경화되는 축합형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백금촉매 등과 같은 촉매의 존재 하에서 불포화기에 Si-H를 함유하는 실록산의 부가 반응에 따라 가교 경화되는 부가형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발생 라디칼의 재결합?불균화 반응에 의하여 가교 결합되는 라디칼형, 예를 들면 가열형 또는 자외선경화형 실리콘 조성물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경화제란 일반적으로 부가형 또는 축합형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촉매, 경화촉진제, 축합제, 라디칼개시제 및/또는 가교제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화제들은 자체적으로 라디칼 발생기를 갖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조성물에는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주성분으로 사용하였으나, 실리콘 고무 등 다른 실리콘 조성물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리콘 접착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으며, 본 실리콘 접착제는 후술할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1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규소결합을 가지는 -OH 말단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그것을 경화시킬수 있는 양의 경화제(각각, 옥심계, 아세톡시계 및 알콕시실란계 경화제등) 0.5 ~ 10 %중량부 및 주석계 촉매 (예.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등) 0.01 ~ 10%중량부로 구성된 경화전 1액형 실리콘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 실시예 2 >
1 분자 내에 2개이상의 규소결합을 가지는 -CH="CH2 (Vinyl기) 말단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그것을 경화시킬수 있는 양의 경화제 (silicon-hydride (Si-H)를 포함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0.1 ~ 20 %중량부 및 백금계 촉매 (Platinum complex) 0.001 ~ 10%중량부로 구성된 경화전 1액형 실리콘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 실시예 3 >
1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규소결합을 가지는 -OH 말단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한 조성물 100중량부에 이 조성물을 충분히 경화시킬수 있는 양의 경화제 (Oxime, Acetoxy, Alkoxy Silane등) 0.5 ~ 10 중량부 및 주석계 촉매 (예를 들면 Dibutyltindilaurate 등) 0.01 ~ 10 중량부를 포함한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 실시예 4 >
1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규소결합을 가지는 -CH="CH 2 (Vinyl기) 말단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그것을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는 양의 경화제(silicon-hydride (Si-H)기를 포함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0.1 ~ 20 중량부로 구성된 조성물 100중량부에 이 조성물을 충분히 경화시킬수 있는 양의 백금계 촉매 (Platinum complex) 0.001 ~ 10중량부를 포함한 조성물을 혼합하여 경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 접착층(40)의 표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접착층(4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 보호필름(50)이 부착되어 있다. 보호필름(50)은, PET와 불소이형제 또는 PET와 실리콘 이형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이형 필름이며, 실리콘 접착층(40)이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원치 않는 곳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음부용 음모부착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망사(20)를 인체모형의 음부 부위에 위치시키고, 실리콘 수지를 여러 겹 도포하여 0.05 내지 0.5mm정도 두께의 음모판(30)을 형성한다(S10). 음모판(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사(20)의 전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를 비롯한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음모판(30)이 형성되면, 음모판(30)이 형성된 망사(20)에 모발(10)로 사용되는 인모 또는 인조모를 고정하며, 인모 또는 인조모는 코바늘을 이용하여 망사(20)의 통공에 끼워지고 매듭 지어져 망사(20)에 고정된다(S20).
그런 다음, 음모판(30)의 표면에는 인체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여 실리콘 접착층(40)을 형성한다(S30). 실리콘 접착층(40)은 음모판(30)의 표면에 형성되므로, 음모판(3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실리콘 접착제 를 도포할 때는 그 두께가 0.1 내지 0.8mm를 넘지 않도록 손이나 고운 붓으로 얇게 도포한다. 이렇게 실리콘 접착층(40)이 도포되면, 실리콘 접착제를 상온에서 또는 오븐에서 소정 시간동안 열을 가하여 경화시키며(S40), 이 때, 경화온도는 80℃이고 경화시간은 20분 정도이다. 실리콘 접착층(40)의 경화가 완료되면, 실리콘 접착층(40)의 상면에 보호필름(50)을 부착한다(S50). 마지막으로 모발(10)을 실제모습과 동일해지도록 가위로 손질하고, 음모판(30), 보호필름(50) 등을 형태에 맞추어 손질한다.
이와 같이, 본 음부용 음모부착물은, 일반적인 음모의 형태에 따라 모발(10)을 배치하여 형성하고, 실리콘 접착층(40)을 이용하여 음부에 간단한 방법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음부용 음모부착물을 사용할 경우, 종래에 자가모발이식술의 시술을 위한, 진단 및 시술시 느끼는 수치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가모발이식술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무모증을 해결하여 일상생활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고, 자가모발이식술시에 정기적으로 자라나는 모발(10)을 깍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시사철 언제 어디서나 착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실리콘 접착층(40)을 형성하여 음부용 음모부착물을 음부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으나, 빈모증 등 음모가 조금이라도 남아있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모판(30)에 클립(60)을 부착시키고, 클립(60)에 음모가 파지되도록 함으로써, 음부용 음모부착물을 음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 클립(60)은 일측은 음모판(30)에 고정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며, 외력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모발이 삽입되는 한 쌍의 파지아암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실리콘 접착층(40)와 클립(60) 이외에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음부용 음모부착물을 신체에 부착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방법으로 무모증을 해결하여 무모증인 사람의 수치심을 해소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가모발이식수술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일상생활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자가모발이식수술시 자라나는 모발을 깍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시사철 언제 어디서나 착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음모를 형성하는 모발;
    상기 모발이 음모의 배치형태를 이루면서 고정되는 망사;
    상기 망사의 둘레를 따라 테두리를 이루도록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어 상기 모발의 이탈을 방지하는 0.05㎜ 내지 0.5㎜ 두께의 음모판;
    상기 음모판의 표면에 도포되며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실리콘 접착층 및
    상기 실리콘 접착층의 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실리콘 접착층의 오염을 방지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리콘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는 경화제가 첨가된 접착성 실리콘 조성물이며, 상기 경화제는 부가형 또는 축합형 경화성 조성물에 경화촉매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부용 음모부착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모판은 상기 테두리를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로선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부용 음모부착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접착층은 접착성분을 갖는 실리콘 접착제를 일정 두께가 되도록 반복하여 도포하며, 상기 실리콘 접착층의 두께는 0.1㎜ 내지 1.8㎜의 범위 내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음부용 음모부착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가 첨가된 실리콘 조성물은 1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규소결합을 가지는 -OH 말단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그것을 경화시킬수 있는 양의 옥심계 경화제 0.5 ~ 10 %중량부 및 주석계 촉매 0.01 ~ 10%중량부로 구성된 경화전 1액형 실리콘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부용 음모부착물.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가 첨가된 실리콘 조성물은 1 분자 내에 2개이상의 규소결합을 가지는 -CH="CH2 (Vinyl기) 말단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그것을 경화시킬수 있는 양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경화제 0.1 ~ 20 %중량부 및 백금계 촉매 0.001 ~ 10%중량부로 구성된 경화전 1액형 실리콘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부용 음모부착물.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가 첨가된 실리콘 조성물은 1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규소결합을 가지는 -OH 말단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한 조성물 100중량부에 상기 조성물을 충분히 경화시킬수 있는 양의 옥심계 경화제 0.5 ~ 10%중량부 및 주석계 촉매 0.01 ~ 10%중량부를 포함한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부용 음모부착물.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가 첨가된 실리콘 조성물은 1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규소결합을 가지는 -CH="CH 2 (Vinyl기) 말단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그것을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는 양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경화제 0.1 ~ 20%중량부로 구성된 조성물 100중량부에 상기 조성물을 충분히 경화시킬수 있는 양의 백금계 촉매 0.001 ~ 10%중량부를 포함한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부용 음모부착물.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40065553A 2004-08-19 2004-08-19 음부용 음모부착물 KR100678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553A KR100678701B1 (ko) 2004-08-19 2004-08-19 음부용 음모부착물
PCT/KR2004/002221 WO2006033485A1 (en) 2004-08-19 2004-09-02 Adhesive thing for pubic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553A KR100678701B1 (ko) 2004-08-19 2004-08-19 음부용 음모부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050A KR20060017050A (ko) 2006-02-23
KR100678701B1 true KR100678701B1 (ko) 2007-02-05

Family

ID=3609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553A KR100678701B1 (ko) 2004-08-19 2004-08-19 음부용 음모부착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8701B1 (ko)
WO (1) WO200603348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7111A (en) * 1985-08-22 1986-12-09 Storie Lyndola M Body suit
ITRM20010460A1 (it) * 2001-07-30 2003-01-30 Indorata Servicos & Gestao Lda Un adesivo per l'applicazione di capelli e simili ed un relativo metodo di fabbricazione.
KR200308242Y1 (ko) * 2002-12-13 2003-03-26 문성옥 인조음모패드
JP2004204399A (ja) * 2002-12-26 2004-07-22 Takashi Iwasaki 人工毛付き下着
KR20040074570A (ko) * 2003-02-20 2004-08-25 정균철 국부 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33485A1 (en) 2006-03-30
KR20060017050A (ko)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756B1 (ko) 무이음매 자기부착형 모발연장 시스템
CN101065030B (zh) 假发用粘接剂、使用了该粘接剂的假发及它们的制造方法
AU2005326218B2 (en) Wig
JP2005532485A (ja) 柔軟な接着部材と、このような部材を備えたかつら
KR100678701B1 (ko) 음부용 음모부착물
JP2004353127A (ja) 全かつら
CA2540046C (en) Disposable wig
KR100778925B1 (ko) 부분 가발
KR100542328B1 (ko) 벨크로 부착가발
JP3026175U (ja) 下駄の鼻緒
KR200363843Y1 (ko) 가발용 캡
KR200365099Y1 (ko) 가발
KR20100064793A (ko) 상변화 물질 가발 그리고 모발 고정체
CA2486509C (en) Seamless hair extension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110001136U (ko) 가발 접착용 실리콘 테이프
DE102009022908B4 (de) Haarersatzteil zur Anbringung auf einer Kahlstelle eines Körperteiles, Set von mehreren Haarersatzteil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zur Applikation eines Haarersatzteils
KR20090009622U (ko) 흉터 커버용 인모 패치
KR100814978B1 (ko) 인조모를 구비하는 음모패드
JP3036784U (ja) 毛髪挟み具
KR200260663Y1 (ko) 탈부착이 용이한 부분가발
KR20110005314U (ko) 부분 가발
WO2023091095A1 (en) Nipple apparatus
JP3054712U (ja) 人工毛
KR960002215Y1 (ko) 부분가발
KR20210129838A (ko) 개방형고정식가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