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925B1 - 부분 가발 - Google Patents

부분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925B1
KR100778925B1 KR1020060109007A KR20060109007A KR100778925B1 KR 100778925 B1 KR100778925 B1 KR 100778925B1 KR 1020060109007 A KR1020060109007 A KR 1020060109007A KR 20060109007 A KR20060109007 A KR 20060109007A KR 100778925 B1 KR100778925 B1 KR 100778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ig
mono
shap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미희
강득중
Original Assignee
장미희
강득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미희, 강득중 filed Critical 장미희
Priority to KR1020060109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 A41G5/0013Fastening thereof
    • A41G5/0026Fastening thereof by mechanical fasteners, e.g. clasps, buttons,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 A41G5/0013Fastening thereof
    • A41G5/0033Fastening thereof by adhesives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탈모가 진행되거나 진행된 탈모부분에 자연스럽게 사용가능하며, 전후방면의 구분이 없어 다양한 부위에 착용할 수 있고, 다양한 고정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한 부분 가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분 가발은 인공모가 식재되는 모노망과, 모노망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접착부와, 접착부에 고정되어 탈모되지 않은 인모에 결합되는 고정클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모노망을 탈모 부위의 모양에 따라 형성되며, 전후방이 구분되지 않도록 형성하여, 탈모 부위의 위치에 제한받지 않으며 착용가능하고, 가장자리 끝단을 톱니모양으로 형성시켜 인모의 식재형태와 유사하게 보이도록 하여 자연스러움을 한층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탈모, 가발, 부분 가발, 고정클립, 모노망, 인조모, 고열사, 우레탄, 인조피부

Description

부분 가발{Portion wig}
도 1은 종래의 가발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 가발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 가발을 나타낸 고정클립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립의 팽창된 상태의 결합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립의 수축된 상태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모노망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의 모노망을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노망 10a : 배출홀
11: 인공모 20 : 접착부
30: 고정클립 31 : 누름몸체
31a : 둥근단 31b : 빗살고정대
32 : 지지몸체 32a : 쿠션튜브
100 : 가발
본 발명은 부분 가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분적으로 탈모가 진행되거나 진행된 탈모부분에 자연스럽게 사용가능하며, 전후방면의 구분이 없어 다양한 부위에 착용할 수 있고, 다양한 고정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한 부분 가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발은 유전에 의한 선천적 원인 또는 병이나 사고에 의한 후천적 원인으로 발생하는 탈모증 또는 대머리를 가리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형태와 착용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이러한, 가발은 부분 가발과 전체가발로 분류된다. 부분 가발은 정수리 등 특정한 탈모부위를 덮거나 장식하기 위한 것이고, 전체가발은 머리의 전부분을 감싸도록 제작된 것이다. 전체가발은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어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부분 가발의 경우에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필요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번호 제 10-2005-0032443호로 가발이 제안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가발의 구성을 살펴보면, 머리카락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발(101)과; 상기 모발(101)은 상기 고정부재(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타원형이며, 상기 모발(101)의 단부는 상기 고정부재(130)가 위치한 영역에서 고정부재(130)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로 수렴하는 형태로써 유연하게 절곡되어 있으며,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1 및 제2고정클립(111,112)과; 상기 제1 및 제2고정클립(111,112)을 상호 연결하는 상호 이격된 5개의 연결밴드(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클립(111,112)은 클립몸체(130a)와; 상기 클립몸체(130a)에 형성되어 상기 사람의 머리카락에 고정하되 상기 클립몸체(130a)의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되는 탄성재질의 빗살고정바아(130b)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30)는 모발(101)들의 일측 단부영역 들에 배치되어 모발(101)을 사람의 머리카락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또한 고정부재(130)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1 및 제2고정클립(111,112)과, 제1 및 제2고정클립(111,112)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밴드(12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모발(101)은 인모나 인조모로 형성되는데 반해, 제1 및 제2고정클립(111,112)은 상대적으로 유연한 플라스틱으로 채용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고정클립(111,112) 각각은 클립몸체(130a)와, 클립몸체(130a)에 형성되어 사람의 머리카락에 고정하되 클립몸체(130a)의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되는 탄성재질의 빗살고정바아(130b)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연결밴드(120)는 상호 이격된 5개로 채용되어 있다. 연결밴드(120)는 제1 및 제2고정클립(111,112) 간의 거리를 조율하는 용도로써 활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실시 예에 따른 가발(100)을 착용하고자 할 경우, 우선 제1 및 제2고정클립(111,112)에 형성된 빗살고정바아(130b)를 제1 및 제2고정클립(111,112)의 클립몸체(130a)의 판면방향으로 팽창시켜 놓는다. 소위, 판스프링과 같이 빗살고정바아(130b)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방향으로 힘을 가압하면 클립몸 체(130a)와 빗살고정바아(130b) 간의 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빗으로 머리를 빗듯이 빗살고정바아(130b)들을 사람의 머리카락에 꼽는다. 이때, 사람의 두상과 머리카락의 수밀도에 따라 연결밴드(120)를 신축시키면서 제1 및 제2고정클립(111,112) 간의 거리를 조율할 수 있다.
이후, 제1 및 제2고정클립(111,112)의 빗살고정바아(130b)를 사람의 머리카락에 꼽은 상태에서 팽창되어 있던 빗살고정바아(130b)를 눌러 수축시킨다. 그러면 빗살고정바아(130b)가 클립몸체(130a)의 판면으로 수축되면서 그 사이의 머리카락을 꽉 쥐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가발은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연결밴드와 제1 및 제2 고정클립으로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밴드가 당긴 후 제1 및 제2 고정클립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인모와 결합하는 착용과정으로 인하여 연결밴드를 당겨 적당한 신축력에 의해 두피에 밀착되게 해야함으로 두피나 인모가 당겨져 착용상의 불편한 점이 발생하는 동시에 연결밴드의 신축량을 조절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발은 제1 및 제2 고정클립을 이용하여 착용자 인모와 결합되게 되는데 이는, 착용자의 과도한 움직임에 의해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연결밴드를 신장 한 뒤 제1 및 제2 고정클립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인모와 결합할 때, 결합되는 인모의 양이 동일 하지 않으면 연결밴드의 신축력이 일측으로 집중되어 가발이 제위치를 이탈하거나 부자연스럽게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착용이 쉬우며 착용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결합 방식으로, 견고하게 부착가능하고 간단하게 탈부착하여 사용가능하며,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는 가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모노망은 사용자의 피부색상에 맞게 착색되어 자연스러움을 극대화시켰으며, 인조모, 인모, 고열사 등을 혼합하여 모노망에 수작업을 이용한 매듭방식으로 식재하여 다양한 형태의 헤어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도록 개선된 부분 가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노망을 탈모 부위의 모양에 따라 형성되며, 전후방이 구분되지 않도록 형성하여, 탈모 부위의 위치에 제한받지 않으며 착용가능하고, 가장자리 끝단을 톱니모양으로 형성시켜 인모의 식재형태와 유사하게 보이도록 하여 자연스러움을 한층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부분 가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에 유해 성분이 발생되지 않는 양면테이프 및 접착제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어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수 있으며, 패션을 위한 앞머리 및 애교머리 등을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로 연출할 수 있도록 개선된 부분 가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착부에 바이오물질, 게르마늄, 황토 성분을 첨가하여 항균 및 방취, 통풍, 방습에 의하여 부분 가발을 착용하더라도 두피가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개선된 부분 가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탈모가 진행된 부분 두상의 형태로 전면 및 후면의 구분이 없도록 형성되며, 인조모, 인모, 고열사를 각각 이용하여 형성된 인공모가 식재되고, 투명한 실사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피부색이 투광되도록 형성되며, 톱니모양으로 테두리의 끝단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다수개의 배출홀이 형성되며, 타원형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망과,
모노망의 테두리를 따라 우레탄 재질, 바이오물질, 게르마늄, 황토가 첨가되어 항균 및 방취, 통풍, 방습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형성된 띠 형상의 접착부와,
접착부에 고정되어 탈모되지 않은 인모에 결합되는 고정클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접착부는 양면테이프, 접착제, 매듭방식을 이용하여 두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고정클립은 탄성판으로 수축과 팽창되도록 형성된 'ㄷ'형상이며, 중앙에는 끝단이 둥근단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빗살고정대가 일체로 형성된 누름몸체와, 'ㄷ'형상이되, 누름몸체와 마주보게 위치되며, 수축될 때 빗살고정대가 닿는 부분에 쿠션링가 형성된 지지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가발을 제공한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 가발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 가발을 나타낸 고정클립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립의 팽창된 상태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립의 수축된 상태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모노망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의 모노망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분 가발은 인공모(11)가 식재되는 모노망(10)과, 모노망(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접착부(20)와, 접착부(20)에 고정되어 탈모되지 않은 인모에 결합되는 고정클립(30)으로 가발(100)이 구성된다.
여기서, 모노망(10)은 탈모가 진행된 부분 두상의 형태로 전면 및 후면의 구분이 없도록 형성되며, 인공모(11)가 식재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모노망(10)은 착용자의 피부색과 동일하게 착색되며, 톱니모양으로 테두리의 끝단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다수개의 배출홀(10a)이 형성되고, 타원형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모노망(10)은 선천적 원인 또는 병이나 사고에 의한 후천적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분 탈모증을 가진 사람에게 발생된 탈모부분의 형상과 동일한 형성및 면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모노망(10)은 가발(100)을 착용하는 사람에 피부의 색상에 조화되도록 유사한 색상으로 착색되어 피부색과 이질감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모노망(10)은 합성수재 재질의 투명한 실사로 망을 제작하여 가 발(100)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피부색이 투광되어 자연스러운 두피와 같이 보여지도록 하여 이질감을 더욱 해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모노망(10)은 가장자리 끝단을 톱니모양으로 형성하여, 가발(100)을 착용하였을 때, 인공모(11)의 식재 부분이 불규칙하게 표현되어 자연스럽게 인모가 자라난 듯하게 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모노망(10)은 전면과 후면이 구분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며, 타원형상이나 모서리 부분이 곡률되어진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인공모(11)는 인조모, 인모, 고열사를 혼합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인조모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두께를 수마이크로미터로 제조하고 재질을 인모와 비슷하게 변경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며 세균번식을 저지할 수 있어 청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인모는 실제의 사람 머리카락을 잘라 보관한 후, 가발(100)을 제작할 때 일정 비율로 모노망(10)에 식재하게 되며, 이는, 실제의 사람의 머리카락을 혼합시켜 인공모(11)의 부자연스러움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한편, 고열사는 열에 강한 합성수지 재질로써, 열풍을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말리거나 스타일을 만들때 사용하는 드라이기, 또는 주로 머리를 말거나 피는데 사용되는 고데기 등과 같은 고열에 접촉되더라도 변형이 없어 색상이나 윤기 및 표면코팅이 유지되어 수명을 연장시키며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인모는 사람의 머리카락을 일정길이가 되도록 절단시킨 것으로서, 모노망(10)에 식재되어 인조모와 고열사와 함께 인공모(11)가 생기있게 보이도록 구성된 것이다.
더불어, 배출홀(10a)은 탈모가 진행되더라도 적은 수의 인모가 생장되고 있는 경우에 가발(100)을 부착시키며, 배출홀(10a)을 통해 인모를 통과시켜 가발(100)의 인공모(11) 사이로 노출시킴으로 자연스러움을 더욱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접착부(20)는 모노망(10)의 테두리를 따라 우레탄 재질, 바이오물질, 게르마늄, 황토 등이 첨가되어 항균 및 방취, 통풍, 방습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형성된 띠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접착부(20)는 피부색과 동일하게 착색된 것이며, 모노망(10)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어 모노망(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테두리 역활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접착부(20)는 양면테이프, 접착제를 이용하여 두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먼저,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양면테이프를 접착부(20)에 접착시킨 후 두피에 고정하는 방식이 있으며, 이때에는 두피에 잔존하는 머리카락을 면도작업 후에 고정한다.
그리고,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식은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를 접착부(20)에 도포 한 후 두피에 고정하는 다른 방식의 고정방식이 있다.
여기서, 접착부(20)는 기본 재질을 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며, 머리의 두피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으로 두피의 건강을 위하여 바이오물질이나 게르마늄, 황토 등의 성분이 첨가되어진 알갱이 형태나 판 형태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바이오물질은 아르긴산, 홍조류인 우뭇가사리( Gelidium amansil )에서 추출하는 한천(agar), 다른 홍조류에서 추출하는 카라기난 등의 다양한 바이오물질로 구성된다.
아울러, 접착부(20)에 고정되어 탈모되지 않은 인모에 결합되는 고정클립(3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클립(30)은 탄성판으로 수축과 팽창되도록 형성된 'ㄷ'형상이며, 중앙에는 끝단이 둥근단(31a)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빗살고정대(31b)가 일체로 형성된 누름몸체(31)가 구성된다.
또한, 빗살고정대(31b)는 가발(100)을 착용할 때, 착용자의 머리카락을 집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둥근단(31a)은 착용자의 두피에 접촉할 때 피부에 상처가 유발시키지 않도록 라운딩 형태로 금형제작된 것이다.
즉, 누름몸체(31)는 탄성력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접착부(20)에 합성수재 재질의 끈을 이용한 꿰매는 방식으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지지몸체(32)는 누름몸체(31)와 마주보게 위치되며, 수축될 때 빗살고정대(31b)가 닿는 부분에 쿠션튜브(32a)가 구성된다.
여기서, 쿠션튜브(32a)는 빗살고정대(31b)의 사이로 가발(100) 착용자의 머리카락이 유입되어 집혔을 때, 머리카락이 강한 눌림에 의한 작용력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고정클립(30)의 누름몸체(31)와 지지몸체(32)는 누름몸체(31)가 상부에 위치되며 지지몸체(32)는 하부에 위치되어 직사각형상의 형태로 결합된 후, 리벳(30a) 방식을 이용하여 고정하여 일체화가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부연 설명하자면, 고정클립(30)은 사용하기 전에는 누름몸체(31)와 지지몸체(32)가 상부로 융기되도록 팽창되며, 고정클립(30)의 융기된 상부를 누르게 되면 누름몸체(31)의 빗살고정대(31b)와 지지몸체(32)의 쿠션튜브(32a)의 사이에 끼임 방식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망(10)의 다른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탈모의 면적에 따른 크기와 모양이 달라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발(100)은 착용자의 탈모 진행수준이나 탈모가 진행된 면적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결정된다.
즉, 모노망(10)의 크기가 탈모가 진행된 면적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이후, 모노망(10)의 테두리 주변으로 접착부(20)를 형성한 후, 끝단을 삼각 톱니형상으로 절단한다.
이때의, 모노망(10)에는 인공모(11)를 인조모, 인모, 고열사 등을 혼합하여 망에 수작업을 이용하여 매듭방식으로 엮으며 식재된 상태로 제작작업이 진행된다.
다음으로, 고정클립(30)을 접착부(20)에 꿰매는 방식으로 고정시켜 가발(100)이 완성된다.
그 다음으로, 가발(100)을 착용할 대상자인 착용자는 머리를 깨끗하게 감은 후, 물기를 수건이나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제거한다.
그리고, 가발(100)을 착용위치에 미리 배치시켜 확인한 다음, 고정클립(30)를 팽창시킨 후 착용자의 인모를 누름몸체(31)의 빗살고정대(31b)와 지지몸체(32)의 쿠션튜브(32a)의 사이에 빗으로 머리를 빗듯이 위치시키고 고정클립(30)을 수축시켜 간단하게 고정하여 착용을 완료한다.
이러한, 가발(100)의 착용 방법은 남성이나 여성에 동일하게 적용시행될 수 있으며, 착용과 제거를 쉽게 할 수 있어 불편함이 없이 간단히 사용가능하다.
아울러, 가발(100)은 면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어, 착용자의 착용부위의 면적과 형태에 따라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착용자의 머리카락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색상 또한 착용자의 피부 및 머리카락에 동일하도록 제작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이질감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여 착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남성이나 특히 여성의 경우, 가발(100)을 이용하여 쪽머리를 올리거나 뒷머리를 풍성하게 하는 등의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어 자신만의 개성있는 헤어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근래에는 남성의 유전적 인자에 의한 탈모증상이 대두 되었으나, 최근에는 여성의 사회적 진출에 의한 스트레스성 탈모와, 환경공해, 약품 등으로 인한 호르몬 이상으로 인한 탈모증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탈모 증세로 인하여 사회 생활을 하는데 자신감이 결여되어 대인기 피증이나 의욕을 상실하게 되는 것을 본 발명의 가발(100)을 착용함으로써 사회의 일원으로 생활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모노망이 사용자의 피부색상에 맞게 착색되어 자연스러움을 극대화시켰으며, 인조모, 인모, 고열사 등을 혼합하여 모노망에 수작업을 이용한 매듭방식으로 식재하여 다양한 형태의 헤어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도록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모노망을 탈모 부위의 모양에 따라 형성되며, 전후방이 구분되지 않도록 형성하여, 탈모 부위의 위치에 제한받지 않으며 착용가능하고, 가장자리 끝단을 톱니모양으로 형성시켜 인모의 식재형태와 유사하게 보이도록 하여 자연스러움을 한층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인체에 유해 성분이 발생되지 않는 양면테이프 및 접착제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어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수 있으며,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도록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부에 바이오물질, 게르마늄, 황토 성분을 첨가하여 항균 및 방취, 통풍, 방습에 의하여 부분 가발을 착용하더라도 두피가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탈모가 진행된 부분 두상의 형태로 전면 및 후면의 구분이 없도록 형성되며, 인조모, 인모, 고열사를 각각 이용하여 형성된 인공모(11)가 식재되고, 투명한 실사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피부색이 투광되도록 형성되며, 톱니모양으로 테두리의 끝단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다수개의 배출홀(10a)이 형성되며, 타원형상, 직사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망(10)과,
    모노망(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우레탄에, 바이오물질, 게르마늄, 황토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이 첨가되어 항균 및 방취, 통풍, 방습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형성된 띠 형상의 접착부(20)와,
    접착부(20)에 고정되어 탈모되지 않은 인모에 결합되는 고정클립(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가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20)는, 양면테이프, 접착제, 매듭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두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가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30)은 탄성판으로 수축과 팽창되도록 형성된 'ㄷ'형상이며, 중앙에는 끝단이 둥근단(31a)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빗살고정대(31b)가 일체로 형성된 누름몸체(31)와, 'ㄷ'형상이되, 누름몸체(31)와 마주보게 위치되며, 수축될 때 빗살고정대(31b)가 닿는 부분에 쿠션튜브(32a)가 형성된 지지 몸체(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가발.
KR1020060109007A 2006-11-06 2006-11-06 부분 가발 KR100778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007A KR100778925B1 (ko) 2006-11-06 2006-11-06 부분 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007A KR100778925B1 (ko) 2006-11-06 2006-11-06 부분 가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925B1 true KR100778925B1 (ko) 2007-11-29

Family

ID=39080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007A KR100778925B1 (ko) 2006-11-06 2006-11-06 부분 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9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602B1 (ko) * 2011-01-31 2013-02-22 박명원 착탈과 통풍이 원활한 원적외선 가발
WO2019027087A1 (ko) * 2017-08-04 2019-02-07 (주)이지쓰위그 컬러융합 기능성 패션가발
KR102332678B1 (ko) 2021-06-16 2021-12-01 주정숙 견고하고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는 부분가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537B1 (ko) * 2001-01-30 2005-03-17 배경호 게르마늄을 이용한 가발캡
KR101047653B1 (ko) * 2010-05-19 2011-07-07 최락구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537B1 (ko) * 2001-01-30 2005-03-17 배경호 게르마늄을 이용한 가발캡
KR101047653B1 (ko) * 2010-05-19 2011-07-07 최락구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602B1 (ko) * 2011-01-31 2013-02-22 박명원 착탈과 통풍이 원활한 원적외선 가발
WO2019027087A1 (ko) * 2017-08-04 2019-02-07 (주)이지쓰위그 컬러융합 기능성 패션가발
KR102332678B1 (ko) 2021-06-16 2021-12-01 주정숙 견고하고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는 부분가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8708B1 (ko) 착용자의 자모 활용형 가발 및 그 제조방법
US20070221240A1 (en) Multi-user adjustable hair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s
US20150189936A1 (en) Integrated hair pie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4205693A (en) Wig
WO2007037200A1 (ja) 増毛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5010914A (en) Wig
KR100778925B1 (ko) 부분 가발
KR200392823Y1 (ko) 극사 망을 이용한 가발
JP2001329420A (ja) 自毛活用型かつら、そのかつらベース、みの毛及びみの毛の取付方法
JP4883584B2 (ja) 自毛活用型かつら
AU2004277820A1 (en) Disposable wig
JP2005325508A (ja) 自毛活用型かつら
JPH045765B2 (ko)
KR101170688B1 (ko) 가발
KR101838864B1 (ko) 자연감을 향상시킨 가발
JP4369910B2 (ja) ウィッグ
RU2647443C1 (ru) Способ наращивания ресниц
KR100616111B1 (ko) 플렉시블소재의 서로 다른 길이의 줄을 갖는 줄 가발
JP2002115115A (ja) 自毛活用型かつら及び自毛活用型かつらの製造方法
JPH02264006A (ja) ヘアーピース及びそのヘアーピースを用いたヘアーメイク方法
KR20110005314U (ko) 부분 가발
KR100684206B1 (ko) 가발
KR200252255Y1 (ko) 향기내는 키높이 밴드가발
KR100536652B1 (ko) 애완견 미용 연습용 털 및 그 제조방법
JP3200992U (ja) 頭髪整形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