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653B1 -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653B1
KR101047653B1 KR1020100047037A KR20100047037A KR101047653B1 KR 101047653 B1 KR101047653 B1 KR 101047653B1 KR 1020100047037 A KR1020100047037 A KR 1020100047037A KR 20100047037 A KR20100047037 A KR 20100047037A KR 101047653 B1 KR101047653 B1 KR 101047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unit
wearer
accident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찬우
최락구
Original Assignee
최락구
유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락구, 유찬우 filed Critical 최락구
Priority to KR1020100047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2Distress signalling devices, e.g. rescue ballo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몸체를 신체의 일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해양 등에서 실족사고 등으로 인해 조난당할 경우 부력부재의 부력과 상기 부력부재의 부력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부력감지부재를 이용하여 긴급구조수단으로 조난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켜 긴급구조수단이 보다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착용자의 희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조난당한 착용자의 표류상황에 따라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OCEANIC FALSE STEP ACCIDENT AUTOMATIC MESSAGE SYSTEM}
본 발명은 착용자가 해양 등에서 실족사고 등으로 인해 조난당할 경우 부력과 스트레인 게이지 저항을 이용하여 긴급구조수단으로 조난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켜 긴급구조수단이 보다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착용자의 희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조난당한 착용자의 표류상황에 따라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업무활동, 여행 등을 위해 이용하는 선박 및 항공기 등의 운송수단들이 침몰사고 또는 추락사고 등과 같은 조난상황이 발생할 때나 레저활동 시 조난 사고가 발생할 시 조난상황을 긴급구조수단에 신속히 알려주지 못하여 조난상황으로부터 조난자를 수색하고, 구조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림으로써, 조난자의 희생이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조난 상황이 발생되었을 경우 조난 상황을 알리고 긴급구조 요청하는 수단으로써, 대부분 휴대하고 있는 핸드폰을 이용하였으나, 이는 추락에 의한 충격과 파손, 침몰에의 침수, 그리고 자체 배터리의 고갈로 인해 외부로 조난 상황을 전달하는 것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조난자의 신변에 이상이 발생하여 움직이지 못할 정도로 중상일 경우나 경상이라 하더라도 손을 쓰지 못 하게 되는 경우에는 조난 상황을 외부로 전달하기가 어렵게 되어 이러한 상황은 곧 구조되지 못하는 상황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난 발생시 구명물품을 구명물품보관함에서 탈착 시 자동으로 작동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하여 조난신호를 자동으로 송출하는 구명용품(국내공개특허 제10-2006-0135158호)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RFID를 이용하여 조난신호를 자동으로 송출하는 구명용품은 구명물품을 구명물품보관함에서 탈착 시에만 자동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조난자가 해양 등에서 실족사고 등으로 인해 조난당할 경우 조난신호를 긴급구조수단으로 발생시키지 못함으로써, 조난자의 희생을 방지할 수 없음은 물론, 조난자의 표류상황에 따라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착용자가 해양 등에서 실족사고 등으로 인해 조난당할 경우 부력과 스트레인 게이지 저항을 이용하여 긴급구조수단으로 조난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켜 긴급구조수단이 보다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착용자의 희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조난당한 착용자의 표류상황에 따라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물에 대한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부재의 부력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부력감지부재와; 조난신호를 긴급구조수단으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부력감지부재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부로 공급하는 제어부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부력감지부재는 스트레인 게이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에는 유심카드(Usim Card) 리더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심카드 리더부에는 착용자의 고유정보가 저장된 유심카드가 접속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조난신호와 상기 유심카드에 저장된 착용자의 고유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조난신호를 음파로 전환하여 상기 긴급구조수단으로 송신하는 음파송신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후면에는 착용고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몸체에는 스위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몸체의 타측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비상버튼부와; 상기 비상버튼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비상버튼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상단부가 축결합되는 상하이동안내부재와; 상기 상하이동안내부재를 따라 상기 감지부방향으로 상하이동하는 버튼부재와; 상기 버튼부재의 상부면과 상기 본체의 상부 내주면에 각각 상하단부가 연결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착용자가 몸체를 신체의 일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해양 등에서 실족사고 등으로 인해 조난당할 경우 부력부재의 부력과 상기 부력부재의 부력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부력감지부재를 이용하여 긴급구조수단으로 조난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켜 긴급구조수단이 보다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착용자의 희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조난당한 착용자의 표류상황에 따라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감지부재가 스트레인 게이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부력부재가 부력을 발생시킬 경우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형태가 변형되어 저항값이 변화되기 때문에 상기 긴급구조수단으로 조난신호를 자동으로 보다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유심카드(Usim Card) 리더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심카드 리더부에는 착용자의 고유정보가 저장된 유심카드가 접속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조난신호와 상기 유심카드에 저장된 착용자의 고유정보를 송신하기 때문에 해양 등에 조난당한 착용자의 표류상황에 따라 긴급구조수단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난당한 착용자를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기상상황의 악화 등에 상관없이 상기 긴급구조수단의 무선통신부가 상기 몸체에 구비된 무선통신부가 송신하는 조난신호를 보다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기 음파송신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기상상황의 악화속에서도 해양 등에 조난당한 착용자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몸체의 후면에 착용고리가 더 구비되기 때문에 착용자가 상기 몸체를 신체 중 특히, 허리에 보다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음으로써, 착용자의 활동에 불편함이 없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몸체에 스위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본체, 비상버튼부 및 감지부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송신된 조난신호를 수신한 상기 긴급구조수단이 해양 등에 조난당한 착용자가 볼 때 반응이 없거나 너무 늦다고 판단될 경우 수동으로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조난신호를 상기 긴급구조수단으로 송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비상버튼부는 상하이동안내부재, 버튼부재 및 탄성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송신된 조난신호를 수신한 상기 긴급구조수단이 해양 등에 조난당한 착용자가 볼 때 반응이 없거나 너무 늦다고 판단될 경우 해양 등에 조난당한 착용자가 상기 비상버튼부의 버튼부재를 상기 상하이동안내부재를 따라 상기 감지부방향으로 상하이동시켜 수동으로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조난신호를 상기 긴급구조수단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긴급구조수단이 해양 등에 조난당한 착용자를 보다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2의 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커버(30)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1)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5), 부력부재(7), 부력감지부재(9), 무선통신부(10), 제어부(20) 및 커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몸체(5)에는 도 2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력부재(7), 부력감지부재(9), 무선통신부(10) 및 제어부(20)가 수용된다.
상기 부력부재(7)와 부력감지부재(9)는 도 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5)의 전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0) 및 제어부(20)는 상기 몸체(5)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몸체(5)의 내부로 물(도 4의 W)이 스며들어 무선통신부(10) 및 제어부(20)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5)는 방수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5)는 착용자의 신체 일부 가령,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된 허리띠 등에 착용될 수 있다.
상기 몸체(5)는 플라스틱재질 또는 코팅처리된 금속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부력부재(7)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5)와 후술되는 상기 커버(30) 사이에 해양 등의 물(W)이 수용될 경우 상기 몸체(5)와 상기 커버(30) 사이에 수용된 물(W)에 대한 부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부력부재(7)로는 물(W)에 대한 부력을 보다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공기가 수용된 상태의 플라스틱재질 등의 구형상의 부력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다.
다음으로, 상기 부력감지부재(9)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력부재(7)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부재(7)의 부력발생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무선통신부(10)는 상기 부력감지부재(9)에 의해 발생된 조난신호를 구조선박 또는 구조헬기 등의 긴급구조수단(도 5의 80)으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부력감지부재(9)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몸체(5)의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 등의 전원공급부(90)의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부(10)에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3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5)의 전측에 분리 또는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30)의 상부면 및 저면에는 해양 등의 물(W)이 상기 몸체(5)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관통공(310)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좋다.
한편, 상기 커버(30)는 플라스틱재질 또는 코팅처리된 금속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부력감지부재(9)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력부재(7)에 구비된 상태에서 부력발생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상기 부력부재(7)를 따라 형태가 변형되는 스트레인 게이지(9a)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스트레인게이지(9a)는 변형된 저항값을 상기 제어부(20)로 출력, 즉 조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부력감지부재(9)로 반드시 스트레인 게이지(9a)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부력부재(7)의 부력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부력감지부재(9)가 스트레인 게이지(9a)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부력부재(7)가 부력을 발생시킬 경우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9a)의 형태가 변형되어 저항값이 변화되기 때문에 긴급구조수단(80)으로 조난신호를 자동으로 보다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에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9a)의 저항값과 기설정된 저항값을 비교하는 판단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판단부(21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90)의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부(10)에 공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용자가 상기 몸체(5)를 신체의 일부 예를 들어,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해양 등에 조난당할 경우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양 등의 물(W)이 상기 커버(30)의 관통공(310)을 통해 상기 몸체(5)와 상기 커버(30) 사이에 형성된 공간(S)으로 수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부력부재(7)가 상기 몸체(5)의 내부로 수용된 물(W)에 대한 부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부력부재(7)가 상하좌우대각선 등 다방향으로 이동하여 형태변형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9a)의 형상 또한 상기 부력부재(7)를 따라 형상변형되어 저항값이 변화된다.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9a)의 형태가 변형되어 변화된 저항값이 상기 제어부(20)에 구비된 상기 판단부(210)에 기설정된 저항값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판단부(21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90)의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부(10)로 공급하지 않게 된다.
한편, 예를 들어 착용자가 상기 몸체(5)를 신체의 일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뜀박질 등을 할 경우에도 상기 부력부재(7)가 상하좌우대각선 등 다방향으로 이동하여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9a)의 형상 또한 상기 부력부재(7)를 따라 형상변형되어 저항값이 변화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20)에 구비된 상기 판단부(210)에 기설정된 저항값은 착용자가 뜀박질 등을 행할 시 발생되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9a)의 저항값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되면 족하다.
착용자가 뜀박질 등의 행할 시 상기 전원공급부(90)의 전원이 상기 무선통신부(10)로 공급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전원공급부(90)의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무선통신부(1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9a)의 형태가 변형되어 변화된 저항값이 상기 제어부(20)에 구비된 상기 판단부(210)에 기설정된 저항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판단부(21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90)의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부(10)로 공급한다.
이로 인해 상기 무선통신부(10)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9a)의 형태가 변형되어 변화된 저항값을 조난신호로 전환하여 구조선박 또는 구조헬기 등의 상기 긴급구조수단(80)에 구비된 무선통신부(810)로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통신부(10)로부터 송신된 조난신호를 수신한 구조선박 또는 구조헬기 등의 상기 긴급구조수단(80)이 해양 등에 조난당한 착용자를 구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5)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심카드(Usim Card) 리더부(40)가 구비되고, 상기 유심카드 리더부(40)에는 착용자의 이름 및 주민등록번호 등의 고유정보가 저장된 유심카드(50)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0)는 조난신호와 상기 유심카드(50)에 저장된 착용자의 고유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5)에 유심카드(Usim Card) 리더부(40)가 구비되고, 상기 유심카드 리더부(40)에는 착용자의 고유정보가 저장된 유심카드(50)가 접속되고, 상기 무선통신부(10)는 조난신호와 상기 유심카드(50)에 저장된 착용자의 고유정보를 송신하기 때문에 해양 등에 조난당한 착용자의 표류상황에 따라 긴급구조수단(80)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난당한 착용자를 구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5)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난신호를 음파로 전환하여 구조선박 또는 구조헬기 등의 상기 긴급구조수단(80)으로 송신하는 Sonar(Sound Navigation And Ranging) 등의 음파송신부(6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때, 해양 등의 기상상황의 악화로 인해 해양 등에 조난당한 착용자가 해양 등에 표류하게 될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10)가 송신하는 조난신호를 구조선박 또는 구조헬기 등의 상기 긴급구조수단(80)에 구비된 무선통신부(810)가 용이하게 수신하기가 어렵게 된다.
기상상황의 악화 등에 상관없이 상기 긴급구조수단(80)의 무선통신부(810)가 상기 몸체(5)에 구비된 무선통신부(10)가 송신하는 조난신호를 보다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기 음파송신부(60)가 구비되기 때문에 기상상황의 악화속에서도 해양 등에 조난당한 착용자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5)의 후면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허리띠 등을 감싼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착용고리(51)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착용고리(51)는 착용자가 상기 몸체(5)를 착용자의 신체 일부에 보다 더욱 견고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몸체(5)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5)의 후면에 착용고리(51)가 더 구비되기 때문에 착용자가 상기 몸체(5)를 신체 중 특히, 허리에 보다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음으로써, 착용자의 활동에 불편함이 없는 이점이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5)에는 스위치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70)는 본체(710), 비상버튼부(730) 및 감지부(7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71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5)의 타측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상버튼부(73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710)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75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비상버튼부(730)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비상버튼부(73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7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70)의 본체(71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개방된 상기 스위치부(70)의 본체(710)와 접촉되는 상기 몸체(5)의 타측면 하부는 상하길이방향의 슬릿(5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비상버튼부(730)가 상기 본체(710)의 내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5)에 스위치부(70)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부(70)는 본체(710), 비상버튼부(730) 및 감지부(750)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무선통신부(10)로부터 송신된 조난신호를 수신한 구조선박 또는 구조헬기 등의 상기 긴급구조수단(80)이 해양 등에 조난당한 착용자가 볼 때 반응이 없거나 너무 늦다고 판단될 경우 수동으로 상기 무선통신부(10)로부터 송신되는 조난신호를 구조선박 또는 구조헬기 등의 상기 긴급구조수단(80)으로 송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버튼부(73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이동안내부재(732), 버튼부재(734) 및 탄성부재(73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안내부재(732)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술되는 버튼부재(734)가 관통한 하단부가 좌우회전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710)의 내부 상측에 상단부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재(734)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안내부재(732)를 따라 상기 감지부(750)방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이동안내부재(732)에 관통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36)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재(734)의 상부면과 상기 본체(710)의 상부 내주면에 각각 상하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36)로는 압축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통신부(10)로부터 송신된 조난신호를 수신한 구조선박 또는 구조헬기 등의 상기 긴급구조수단(80)이 해양 등에 조난당한 착용자가 볼 때 반응이 없거나 너무 늦다고 판단될 경우 착용자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재(734)를 하부방향으로 당긴다.
이로 인해 수축상태였던 상기 탄성부재(736)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팽창됨과 동시에 상기 버튼부재(734)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하이동안내부재(732)의 하단부가 착용자에 의해 좌우이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버튼부재(734)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750)와 접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전원공급부(90)의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부(10)에 공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무선통신부(10)가 구조신호를 구조선박 또는 구조헬기 등의 상기 긴급구조수단(80)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구조선박 또는 구조헬기 등의 상기 긴급구조수단(80)이 해양 등의 물(W)에 조난당한 착용자를 구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재(734)를 하부방향으로 당겨 상기 버튼부재(734)와 상기 감지부(750)를 접속시킨 착용자는 상기 버튼부재(734)로부터 손을 이탈시켜 팽창된 상태로 하강한 상기 탄성부재(736)가 수축되어 상승하게 함으로써, 상기 버튼부재(734)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비상버튼부(730)는 상하이동안내부재(732), 버튼부재(734) 및 탄성부재(736)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무선통신부(10)로부터 송신된 조난신호를 수신한 상기 긴급구조수단(80)이 해양 등에 조난당한 착용자가 볼 때 반응이 없거나 너무 늦다고 판단될 경우 해양 등에 조난당한 착용자가 상기 비상버튼부(730)의 버튼부재(734)를 상기 상하이동안내부재(732)를 따라 상기 감지부(750)방향으로 상하이동시켜 수동으로 상기 무선통신부(10)로부터 송신되는 조난신호를 상기 긴급구조수단(80)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긴급구조수단(80)이 해양 등에 조난당한 착용자를 보다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용자가 몸체(5)를 신체의 일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해양 등에서 실족사고 등으로 인해 조난당할 경우 부력부재(7)의 부력과 상기 부력부재(7)의 부력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부력감지부재(9)를 이용하여 긴급구조수단(80)으로 조난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켜 긴급구조수단(80)이 보다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착용자의 희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조난당한 착용자의 표류상황에 따라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5; 몸체,
5a; 슬릿, 51; 착용고리,
7; 부력부재, 9; 부력감지부재,
9a; 스트레인 게이지, 10, 810; 무선통신부,
20; 제어부, 210; 판단부,
30; 커버, 310; 관통공,
40; 유심카드 리더부, 50; 유심카드,
60; 음파송신부, 70; 스위치부,
710; 본체, 730; 비상버튼부,
732; 상하이동안내부재, 734; 버튼부재,
736; 탄성부재, 750; 감지부,
80; 긴급구조수단, 90; 전원공급부,
W; 물, S; 공간

Claims (7)

  1. 착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는 몸체(5)와;
    상기 몸체(5)에 설치되어 물(W)에 대한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부재(7)와;
    상기 부력부재(7)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부재(7)의 부력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부력감지부재(9)와;
    조난신호를 긴급구조수단(80)으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부(10)와;
    상기 부력감지부재(9)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90)의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부(10)로 공급하는 제어부(20)와;
    상기 몸체(5)에 구비되는 커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감지부재(9)는 스트레인 게이지(9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5)에는 유심카드(Usim Card) 리더부(40)가 구비되고, 상기 유심카드 리더부(40)에는 착용자의 고유정보가 저장된 유심카드(50)가 접속되고,
    상기 무선통신부(10)는 조난신호와 상기 유심카드(50)에 저장된 착용자의 고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5)에는 조난신호를 음파로 전환하여 상기 긴급구조수단(80) 송신하는 음파송신부(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5)의 후면에는 착용고리(5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5)에는 스위치부(70)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부(70)는 상기 몸체(5)의 타측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710)와;
    상기 본체(710)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비상버튼부(730)와;
    상기 비상버튼부(730)를 감지하는 감지부(7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버튼부(80)는 상기 본체(710)의 내부 상측에 상단부가 축결합되는 상하이동안내부재(732)와;
    상기 상하이동안내부재(732)를 따라 상기 감지부(750)방향으로 상하이동하는 버튼부재(734)와;
    상기 버튼부재(734)의 상부면과 상기 본체(710)의 상부 내주면에 각각 상하단부가 연결되는 탄성부재(73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KR1020100047037A 2010-05-19 2010-05-19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KR101047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037A KR101047653B1 (ko) 2010-05-19 2010-05-19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037A KR101047653B1 (ko) 2010-05-19 2010-05-19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653B1 true KR101047653B1 (ko) 2011-07-07

Family

ID=4492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037A KR101047653B1 (ko) 2010-05-19 2010-05-19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6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925B1 (ko) * 2006-11-06 2007-11-29 장미희 부분 가발
KR101971663B1 (ko) * 2017-12-27 2019-04-23 에스트랜스포트 주식회사 음파를 이용한 조난 구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470B1 (ko) 2008-01-04 2008-08-07 주식회사 디씨엔 조난신호 송출장치가 장착된 구명조끼
KR100852957B1 (ko) 2007-02-15 2008-08-19 박명호 부유대, 및 그를 이용한 구난정보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57B1 (ko) 2007-02-15 2008-08-19 박명호 부유대, 및 그를 이용한 구난정보 처리 시스템
KR100850470B1 (ko) 2008-01-04 2008-08-07 주식회사 디씨엔 조난신호 송출장치가 장착된 구명조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925B1 (ko) * 2006-11-06 2007-11-29 장미희 부분 가발
KR101971663B1 (ko) * 2017-12-27 2019-04-23 에스트랜스포트 주식회사 음파를 이용한 조난 구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6830C2 (ru) Система пассив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и обеспечивающее пассивную безопасность снаряжение на судах для ситуаций "человек за бортом"
CN104890836B (zh) 一种水上快速救生系统
US10373469B2 (en) Autonomous people rescue system for vessels and shipwrecks
US20170213439A1 (en) Swim-a-sure system & device
KR101633347B1 (ko)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
US11294074B2 (en) Tracking system and method
AU2014100827A4 (en) Passive safety personal equipment in vessels for man overboard situations
US20060012483A1 (en) Water safety device
US100934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a man overboard situation
KR101389452B1 (ko) 부유식 구명동의 위치추적장치
KR20180038772A (ko) 해상 조난 구조용 구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조난 구조 시스템
KR101047653B1 (ko)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KR20190081426A (ko)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조난자 구조신호 관제시스템
KR20160049552A (ko) 신재생에너지 부표
KR102617796B1 (ko) 수상조난 구조요청 장치 및 시스템
JP2020196402A (ja) 落水事故判定システムおよび落水事故判定方法
KR101942020B1 (ko) 군집통신 기반의 부표용 riu 시스템
KR102410574B1 (ko) 해상 조난자 위치 추적 장치
KR102322567B1 (ko) 스마트 안전구명조끼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1835351B1 (ko)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
KR102632000B1 (ko) 해상 조난자 식별 시스템
US20100295675A1 (en) Location Device
KR102312825B1 (ko) 조난구조 효율성이 향상된 조난신호 송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명 조끼
KR20240043006A (ko) 음향신호 발생기능을 구비한 해상 조난자 식별 시스템
KR20230092248A (ko) 해상 조난자 위치 추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