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4555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4555A
KR20070094555A KR1020070026077A KR20070026077A KR20070094555A KR 20070094555 A KR20070094555 A KR 20070094555A KR 1020070026077 A KR1020070026077 A KR 1020070026077A KR 20070026077 A KR20070026077 A KR 20070026077A KR 20070094555 A KR20070094555 A KR 20070094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cavity
side wal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114B1 (ko
Inventor
용 테릉 쳉
치 분 빈센트 림
아키라 나가미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미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미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4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Pivoting lever comprising means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of matin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콘택트를 수용한 커넥터와 이것을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과의 결합을 확실히 하여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높인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콘택트가 장착된 커넥터 본체(2)와, 이 커넥터 본체를 수용하는 공동(12) 및 조작 레버(16)를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10)을 구비하고, 공동에 커넥터 본체(2)를 삽입하여 조작 레버(16)의 회동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 맞춤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커넥터 하우징(10)은, 그 일측벽면에 공동 내로 커넥터 본체의 삽입에 따라 측벽면으로부터 돌출 및 평탄하게 탄성 변형하여 상기 공동 내로의 커넥터 본체(2)의 삽입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부재(13)를 구비하며, 조작 레버(16)는, 검지 부재가 측벽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을 때 조작 레버(16)가 검지 부재에 닿거나 그 회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작 레버를 떼어낸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 커넥터를 다른 각도로부터 본 것으로, 도 3a는 측면도, 도 3b는 도 3a의 ⅢB-ⅢB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하우징에 커넥터 본체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커넥터 본체를 하우징에 도중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b는 도 4a의 ⅣB-ⅣB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커넥터 본체의 삽입이 불완전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측면도, 도 5b는 도 5a의 VB-VB선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5c는 도 5a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를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전기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종래 기술의 전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전기 커넥터
2 커넥터 본체
3 본체 하우징
6 웅덩이
10 (커넥터)하우징
12 공동(空洞)
13 검지 부재
16 조작 레버
161, 162 암 부재
181 피니언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상대방 커넥터와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조작 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을 록(lock) 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랙(rack)과 피니언(pinion)을 가지는 록 기구를 이용하여 한 쌍의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록 하도록 한 전기 커넥터는, 이미 많은 특허문헌에서 소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下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2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끼워 맞춤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21, 22)를 가지고, 한쪽의 커 넥터(22)는, 그 하우징에 피니언(23a)을 가지는 조작 레버(23)가 회동이 자유롭게 축 지지되고, 다른 커넥터(21)는, 그 하우징의 공동 내에 랙(21a)이 형성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21, 22)는, 이하의 순서로 결합된다. 먼저, 한쪽의 커넥터(22)가 다른 커넥터(21)의 공동 내에 삽입되어 랙(21a)과 피니언(23a)이 맞물린다. 다음에, 조작 레버(23)를 회전시키면, 커넥터(22)가 다른 커넥터(21)의 캐피티(21b) 내에서 완전하게 끼워 맞춤한다. 또한, 이러한 커넥터(21, 22)의 결합 해제는, 조작 레버(2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해제된다. 한 쌍의 커넥터(21, 22)는, 조작 레버(23)를 탄성 랫치(latch) 수단(22a)에 의해서 닫음 위치, 즉 회동 종료 위치에서 랫치 맞물림 됨으로써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전기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 결합은, 전기 커넥터를 상대방 커넥터에 삽입하고, 서로 스냅(snap) 맞물림 시키는 것만으로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조작 레버를 가지는 이른바 레버식의 전기 커넥터는, 하기 특허문헌 2 및 3에도 소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는, 한 쌍의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그 중의 한쪽의 커넥터(25)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콘택트가 장착된 커넥터 본체(26)와, 이 커넥터 본체(26)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공동(27a) 및 조작 레버(28)를 가지는 하우징(27)을 구비하고, 하우징(27)의 공동(27a) 내에 커넥터 본체(26)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 본체(26)가 하우징(27)의 공동(27a) 내에 삽입되면, 커넥터 본체(26)의 측벽면에 형 성된 걸림 돌기(26a)가 하우징(27)에 형성된 맞물림부(27b)와 스냅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독일국 실용신안 제8714016호 공보
[특허문헌 2] 미국 특허 제5833484호 공보
[특허문헌 3] 미국 특허 제6247966B1호 공보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 결합이 정확하게 행해짐과 동시에, 조작 레버에서 록 되어 부주의하게 그 결합이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 및 신뢰성이 중요시되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한쪽의 리셉터클(receptacle)형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의 공동에 리셉터클이 수용될 때에, 리셉터클이 이 공동 내에 정확하게 수용되지 않는 상태로 상대방 커넥터와 결합되는 것이 있다. 커넥터 하우징에 리셉터클이 정확하게 수용되지 않는 상태로 조작 레버가 조작되면, 리셉터클에 장착된 콘택트와 상대방 커넥터의 콘택트가 정상적인 상태로 접속되지 않고, 이러한 콘택트에 비정상인 힘이 작용하여 손상하는 일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커넥터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과 리셉터클이 스냅 결합되는 것은, 리셉터클이 커넥터 하우징에 정확하게 수용된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없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커넥터는, 더욱 안전성 및 신뢰성이 중요시되어 오고 있으므로, 커넥터 하우징과 리셉터클이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으면 안전성등을 저하시키게 된 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보다 높은 안전성 및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콘택트를 수용한 커넥터 본체와 이것을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과의 결합을 보다 확실히 하여 신뢰성 및 안전성을 높인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의 청구항 1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는, 콘택트가 장착된 커넥터 본체와, 이 커넥터 본체를 수용하는 공동 및 조작 레버를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공동에 상기 커넥터 본체를 슬라이드 삽입하여 상기 조작 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 맞춤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그 일측 벽면에 상기 공동 내에 상기 커넥터 본체의 슬라이드 삽입에 따라 상기 일측 벽면으로부터 출몰하여 상기 공동 내로의 상기 커넥터 본체의 삽입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검지 부재가 상기 측벽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을 때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검지 부재에 부딪혀 그 회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검지 부 재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 벽면의 일부를 절제하여 형성된 탄성편과, 이 탄성편의 자유단의 내면에 상기 공동 내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측벽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끼워 넣어지는 웅덩이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공동 내에 상기 커넥터 본체가 완전하게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웅덩이에 끼워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소정 길이의 암 부재를 가지고, 상기 암 부재가 상기 검지 부재에 부딪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암 부재의 일단에 상대방 커넥터에 걸리는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이하에 나타내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는, 검지 부재가 커넥터 하우징의 측벽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을 때, 조작 레버의 회동이 저지되므로, 커넥터 본체가 커넥터 하우징 내에 완전하게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대방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결합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커넥터의 결합의 신뢰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검지 부재의 탄성편은, 커넥터 하우징의 측벽면의 일부를 절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므로, 특별한 부품을 사용하여 검지 부재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게다가 조립 작업도 불필요하게 된다. 또, 커넥터 본체는, 측벽면에 웅덩이를 형성할 뿐이므로 그 형성도 간단하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암 부재가 검지 부재에 부딪히게 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하우징과의 불완전한 삽입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레버 부재의 일단에 상대방 커넥터에 걸리는 걸림부, 예를 들면 상대방 커넥터가 구비하는 랙에 서로 맞물리는 피니언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 내에 커넥터 본체가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만 상대방 커넥터와 결합되므로,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의 신뢰성 및 안전성이 향상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되는 전기 커넥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작 레버를 제외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기 커넥터를 다른 각도로부터 본 것으로, 도 3a는 측면도, 도 3b는 도 3a의 ⅢB-ⅢB선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하우징에 커넥터 본체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4a는 커넥터 본체를 하우징에 도중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b는 도 4a의 ⅣB-ⅣB선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커넥터 본체의 삽입이 불완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a는 측면도, 도 5b는 도 5a의 VB-V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5c는 도 5a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를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하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1)는 리셉터클형의 커넥터이고, 종래 기술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20)와 같이 상대방 커넥터에 끼워 맞춤 결합되는 것이지만, 상대방 커넥터는 생략되어 있다.
이 전기 커넥터(1)는, 복수 개의 콘택트가 하우징 내에 수용된 커넥터 본체(2)와, 이 커넥터 본체(2)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공동(12) 및 조작 레버(16)를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이하, 하우징이라고 한다)(10)을 구비하고, 이 하우징(10)의 공동(12) 내에 커넥터 본체(2)가 수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가 가늘고 긴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전후벽(3a, 3b), 폭이 넓은 양 측벽(3c, 3d) 및 폭이 좁은 양 측벽(3e, 3f)을 가지는 본체 하우징(3)과, 이 본체 하우징(3) 내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콘택트(도시 생략)로 이루어지고, 본체 하우징(3)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 하우징(3)은, 전벽(3a)에서부터 후벽(3b)으로 향하여 관통한 복수 개의 관통 구멍(4)이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 구멍(4) 내에 각각 콘택트(도시 생략)가 장착·고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이러한 관통 구멍(4)은, 전후벽(3a, 3b)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복수 열(列)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폭이 넓은 일측벽(3d)에는,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오목한 상태의 가이드 홈(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측벽(3d)에는, 가이드 홈(5)과 전벽(3a)과의 사이에, 소정 크기의 웅덩이(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웅덩이(6)는, 하우징(10)에 설치한 검지 부재(13)의 작은 돌기(13a)가 일시 수용되는 개소로 되어 있다(도 3b 참조). 또한, 이 측벽(3d)의 표면에는, 하우징으로의 삽입 방향을 나타내는 기호, 예를 들면 화 살표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2)를 수용 할 수 있는 크기의 공동(12)을 가지는 상자 모양의 용기로 이루어지고, 이 하우징(10)은, 가늘고 긴 전벽(11a)과, 이 전벽(11a)에 대향하는 후벽(꼭대기 벽)(11b)과, 폭이 넓은 양 측벽(11c, 11d)과, 폭이 좁은 양 측벽(11e, 11f)을 가지고, 폭이 좁은 일측벽(11e)에 공동(12)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전벽(11a)에는,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2)의 관통 구멍(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개구(1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전벽(11a)은 상대방 커넥터와의 접합면이 된다.
또, 양 측벽(11c, 11d)에는, 후술하는 조작 레버(16)가 장착되는 축 돌기(151, 152)(또한, 부호 152는 측벽 11c 위에 있고, 도 중에서는 숨어 있다)가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축 돌기(151, 152)에 후술하는 조작 레버(16)가 회동이 자유롭게 고정된다. 또, 한쪽의 측벽 11d에는, 대략 중앙부에 검지 부재(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검지 부재(13)는, 측벽 11d 위에 있어서, 폭이 좁은 일측벽 11e로부터 다른 폭이 좁은 일측벽 11f로 향하여 연장하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편으로 이루어지고, 이 직사각형편은, 폭이 좁은 일측벽 11e에 근접하는 한 변을 제외한 다른 주변을 가능 홈(14)으로 잘라내 형성되어 있다. 이 검지 부재(13)는, 한 변이 측벽 11d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이 검지 부재(13)의 선단의 자유단(13b)에는, 측벽 11d의 다른 쪽에 있어서 공동(12) 내로 돌출한 소정 높이의 작은 돌기(13a)가 형성되어 있다(도 3b 참조). 또, 측벽 11c 위의 측벽 11d 에 설치된 검지 부재(13)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작은 창(11co)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작은창(11co)은 커넥터 본체(2)가 하우징(10)에 삽입되었을 때, 커넥터 본체(2)의 측벽면을 엿봐서 커넥터 본체(2)의 삽입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조작 레버(16)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대향하는 암 부재(161, 162)의 일단이 연결부(163)에서 결합되어서 이루어지고, 합성수지재의 성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암 부재(161, 162)는, 각각의 단부에 축 돌기(151, 152)에 장착되는 설치 구멍(171, 172)(또한, 부호 172는 암 부재 162에 형성되어 있고, 도 2 중에서는 숨어 있다)이 형성되고, 한쪽의 암 부재(161)의 단부에는, 피니언(18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조작 레버(16)를 하우징(10)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암 부재(161)의 측벽 11d에 직교하는 한쪽의 측벽면은 평탄부 16a로 되어 있다. 피니언(181)은, 상대방 커넥터(도시 생략)와의 결합시에 랙과 맞물린다. 이 맞물림은, 종래 기술의 커넥터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연결부(163)에는, 조작 레버(16)를 상대방 커넥터와 결합한 상태에서 원래로 돌아오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 수단(191)이 설치되고 있다. 이 고정할 때는, 고정 수단(191)은 하우징(10)에 설치된 고정 수단(11b')에 고정된다.
다음에, 도1 ~ 도 5를 참조하여, 하우징으로의 커넥터 본체의 장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16)를 폭이 좁은 일측벽 11f측으로 넘어뜨리고, 콘택트를 장착한 커넥터 본체(2)를 하우징(10)의 공동(12)으로 삽입한다. 커넥터 본체(2)를 측벽(11e)에 설치된 개구로부터 하우징(10)의 공동(12)으로 삽입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2)는, 그 측벽 3d가 검지 부재(13)의 작은 돌기(13a)를 밀어 올려서, 검지 부재(13)의 자유단(13b)이 탄성력에 저항하여 하우징(10)의 측벽 11d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이 상태로부터, 더욱 커넥터 본체(2)를 하우징(10) 내로 밀어넣으면, 검지 부재(13)의 작은 돌기(13a)가 커넥터 본체(2)의 웅덩이(6)에 끼워 넣어진다. 이 상태는, 커넥터 본체(2)가 하우징(10)으로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16)를 회동하면, 검지 부재(13)의 작은 돌기(13a)가 커넥터 본체(2)의 웅덩이(6)로 끼워 넣어져 있으므로, 하우징(10)의 측벽 11d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암 부재(161)의 평탄부 16a가 검지 부재(13)에 걸리지 않고 회동할 수 있고, 이 때 암 부재(161)에 설치된 피니언(181)과 상대방 커넥터에 설치된 랙(도시 생략)을 맞물리도록 하우징(10)의 전벽(11a)에 상대방 커넥터를 끼워 맞춤 결합하면, 조작 레버(16)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대방 커넥터가 전벽(11a)으로 인장되도록 끼워 맞춤 결합되어, 양 커넥터의 정상적인 결합을 할 수 있다.
이 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부재(13)의 자유단(13b)이 하우징(10)의 측벽 11d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상태, 즉, 커넥터 본체(10)가 하우징(10) 내에 완전하게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으면, 조작 레버(16)의 평탄부 16a가 검지 부재(13)의 자유단(13b)에 충돌하여, 회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커넥터 본체(2)가 하우징(10)에 대해서 불완전한 삽입 상태의 경우에는 상대방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결합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커넥터 결합의 높은 신뢰성 및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이하에 나타내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는, 검지 부재가 커넥터 하우징의 측벽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을 때, 조작 레버의 회동이 저지되므로, 커넥터 본체가 커넥터 하우징 내에 완전하게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대방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결합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커넥터의 결합의 신뢰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콘택트(contact)가 장착된 커넥터(connector) 본체와, 이 커넥터 본체를 수용하는 공동(空洞) 및 조작 레버를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housing)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공동에 상기 커넥터 본체를 슬라이드 삽입하여 상기 조작 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 맞춤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그 일측 벽면에 상기 공동 내에 상기 커넥터 본체의 슬라이드 삽입에 따라 상기 일측 벽면으로부터 출몰하여 상기 공동 내로의 상기 커넥터 본체의 삽입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검지 부재가 상기 일측 벽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검지 부재에 부딪혀 그 회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부재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 벽면의 일부를 절제하여 형성된 탄성편과, 이 탄성편의 자유단의 내면에 상기 공동 내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측벽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끼워 넣어지는 웅덩이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공동 내에 상기 커넥터 본체가 완전하게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웅덩이에 끼워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소정 길이의 암 부재를 가지고, 상기 암 부재가 상기 검지 부재에 부딪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암 부재의 일단에 상대방 커넥터에 걸려있는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70026077A 2006-03-17 2007-03-16 전기 커넥터 KR101237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0601775-0 2006-03-17
SG200601775-0A SG135994A1 (en) 2006-03-17 2006-03-17 Electric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555A true KR20070094555A (ko) 2007-09-20
KR101237114B1 KR101237114B1 (ko) 2013-02-25

Family

ID=3812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077A KR101237114B1 (ko) 2006-03-17 2007-03-16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35113B2 (ko)
EP (1) EP1835573B1 (ko)
JP (1) JP4975457B2 (ko)
KR (1) KR101237114B1 (ko)
CN (1) CN101038999B (ko)
DE (1) DE602007006353D1 (ko)
PL (1) PL1835573T3 (ko)
SG (1) SG1359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942B1 (ko) * 2007-11-15 2011-01-12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8465B2 (ja) * 2008-03-28 2010-05-2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7611365B1 (en) 2009-01-13 2009-11-03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JP5781846B2 (ja) * 2011-07-01 2015-09-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9276345B2 (en) * 2012-03-16 2016-03-01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A.R.L. Electrical connector
EP2903100B1 (en) * 2012-10-22 2016-12-21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Power supply connector
US9142916B2 (en) * 2013-03-15 2015-09-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receptacle carriers
JP2016051633A (ja) * 2014-09-01 2016-04-11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DE102014115252A1 (de) * 2014-10-20 2016-04-2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s Steckverbinderpaar
FR3028100B1 (fr) * 2014-11-05 2016-12-30 Schneider Electric Ind Sas Systeme comprenant une embase et un module debrochable a chaud
FR3044173B1 (fr) * 2015-11-20 2019-05-17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eur avec coulisseau d'assistance a la connexion et capot guide-cable
JP6569131B2 (ja) * 2016-04-26 2019-09-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嵌合検知機能を有する電気接続装置
US10530103B2 (en) * 2017-03-24 2020-01-07 Alpine Electronics, Inc.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or casing
KR102520914B1 (ko) 2018-06-22 2023-04-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JP2020027720A (ja) * 2018-08-10 2020-02-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25929D0 (en) 1986-10-30 1986-12-03 Amp Gmbh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ssembly
JP2907235B2 (ja) * 1990-12-15 1999-06-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付コネクタ
JP2772309B2 (ja) * 1993-03-17 1998-07-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結合式コネクタ
GB9508189D0 (en) * 1995-04-21 1995-06-07 Amp Gmbh Connector with pivotable coupling lever
US5785558A (en) * 1995-11-21 1998-07-28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099330A (en) * 1998-07-30 2000-08-08 Gundermann; James E. Connector with lever
CN2383234Y (zh) * 1999-02-15 2000-06-14 连展科技股份有限公司 通用串行总线插座
US6247966B1 (en) * 1999-10-04 2001-06-19 Tyco Electronics Corp. Electrical connector with exposed molded latches
US6373713B1 (en) * 2000-09-28 2002-04-16 Oresis Communications Single handl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insertion, extraction, sensing and locking mechanism
JP3961233B2 (ja) * 2001-04-27 2007-08-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誤結防止構造
JP2003133001A (ja) * 2001-10-29 2003-05-09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US6736655B2 (en) * 2002-04-17 2004-05-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ack and pin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offset gear teeth
US6824406B1 (en) * 2003-06-26 2004-11-30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944029B1 (en) * 2003-08-01 2005-09-13 Ciena Electrical circuit pack ejector system that provides a preemptive warning to the circuit pack
JP4191101B2 (ja) * 2004-06-21 2008-12-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レバー式低嵌合コネクタ
WO2006020924A2 (en) * 2004-08-13 2006-02-23 Jst Corporation Lever action mechanical assist connector
US7052293B2 (en) * 2004-08-20 2006-05-30 Molex Incorporated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942B1 (ko) * 2007-11-15 2011-01-12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18729A1 (en) 2007-09-20
CN101038999B (zh) 2010-12-08
EP1835573A2 (en) 2007-09-19
PL1835573T3 (pl) 2011-01-31
DE602007006353D1 (de) 2010-06-24
EP1835573B1 (en) 2010-05-12
CN101038999A (zh) 2007-09-19
EP1835573A3 (en) 2008-09-24
SG135994A1 (en) 2007-10-29
US7435113B2 (en) 2008-10-14
KR101237114B1 (ko) 2013-02-25
JP4975457B2 (ja) 2012-07-11
JP2007250526A (ja) 200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114B1 (ko) 전기 커넥터
US7914327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556646B2 (en) Plug element having a locking mechanism
US5681184A (en)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and coupling mechanisms
US709051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EP2362498B1 (en) Male and female connectors an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EP2700130B1 (en) Airbag connector system
US10305223B2 (en) Connector with projecting sub-connector lance
EP1054481A1 (en) A connector
WO2014084272A1 (ja) コネクタ
KR20110100151A (ko) 커넥터 조립 지그
JP2010056084A (ja) 電気コネクタ用端子位置保証部材
CN113939961A (zh) 用于连接器的母端子位置确保(tpa)装置及其组装方法
US6468104B2 (en) Connector
JP2006216375A (ja) コネクタのロック検知方法とコネクタ
US7335061B2 (en) Electric connector
EP3734770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sition holder
EP4297196A1 (en) Electric connector
EP100149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insertion detection means
JP2007123035A (ja) パネル取付用コネクタ
JP4344666B2 (ja) サブ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H11162576A (ja) コネクタ構造
JPH10284179A (ja) コネクタ
JP2004214107A (ja) コネクタ
JP2004079485A (ja) 嵌合検知機構付き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