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4468A -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94468A KR20070094468A KR1020070020091A KR20070020091A KR20070094468A KR 20070094468 A KR20070094468 A KR 20070094468A KR 1020070020091 A KR1020070020091 A KR 1020070020091A KR 20070020091 A KR20070020091 A KR 20070020091A KR 20070094468 A KR20070094468 A KR 200700944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substrate
- flexible
- housing
- actu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대형화나 고비용을 초래하지 않고 원하는 접촉압력이 얻어지도록 한다.
플렉시블 기판(a)이 삽입되는 기판 삽입구(13)가 형성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내에 병설된 제1, 제2콘택트(30, 40)와, 하우징(1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회동해서 폐쇄상태로 플렉시블 기판(a)상의 전극에 제1, 제2콘택트(30, 40)를 압접시키기 위해서 동콘택트를 간접적/직접적으로 밀착시키는 제1, 제2캠부(2222, 2212)가 형성된 액츄에이터(2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제2콘택트(30, 40)는 하우징(10)의 기판 삽입구(13)의 안측에 장착가능한 베이스부(31, 41)와, 베이스부(31)에 중공 지지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ㄷ자상체이며 플렉시블 기판(a)의 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암부(32, 42)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동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동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동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제1콘택트의 형상을 아울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동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제2콘택트를 아울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3 기판 삽입구
20 액츄에이터
23 방진커버
30 제1콘택트
31 베이스부
32 암부
33 접점부
40 제2콘택트
41 베이스부
42 암부
43 접점부
44 회전축 유지부
본 발명은 플렉시블 기판의 단부에 접속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일례로서, 플렉시블 기판이 삽입되는 기판 삽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상기 플렉시블 기판상의 전극에 접촉가능하게 병설된 콘택트와, 하우징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구성인 것이 있다.
이 경우의 콘택트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E자상의 탄성 판상편이며, 그 하단의 슬릿에 플렉시블 기판의 단부가 안으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 액츄에이터를 회동시켜서 폐쇄상태로 하면, 콘택트의 중앙의 접편부가 액츄에이터에 형성된 캠부에 의해 밀려 내려가, 플렉시블 기판의 전극에 압접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 등).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2-93504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례예에 의한 경우, 콘택트의 길이를 짧게 하면, 소정의 접촉압력이 얻어지지 않아, 콘택트가 느슨해지기 쉽고, 이것에 따라,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곤란했다. 그렇다고 해서, 콘택트로서 높은 탄성의 재질인 것을 사용하면, 비용이 높아진다는 다른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하에서 창작된 것으로서, 대형화나 고비용을 초래하지 않고 원하는 접촉압력이 얻어지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기판이 삽입되는 기판 삽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상기 플렉시블 기판상의 전극에 접촉가능하게 병설된 콘택트와, 하우징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회동해서 폐쇄상태로 플렉시블 기판의 표면상의 전극에 콘택트를 압접시키기 위해서 콘택트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밀착시키는 캠부가 형성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고, 콘택트는 하우징의 기판 삽입구의 안측에 장착가능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중공지지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ㄷ자상체이며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단부를 지지하는 암부와, 암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플렉시블 기판상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점부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 서 설명한다.
도 1은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동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동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동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제1콘택트의 형상을 아울러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동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제2콘택트를 아울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 게재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기판(a)(도 4 및 도 5 참조)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판 실장형의 커넥터이다. 이 플렉시블 기판(a)의 단부의 상측의 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내부의 심선에 합치한 개수의 전극이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들이 길이방향으로 2열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a)이 삽입되는 기판 삽입구(13)가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수지 성형품인 하우징(10)과, 하우징(10)내에 플렉시블 기판(a)상의 전극에 접촉가능하게 교대로 병설된 탄성 판상편인 제1, 제2콘택트(30, 40)와, 하우징(1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회동해서 폐쇄상태로 플렉시블 기판(a)상의 전극에 제1, 제2콘택트(30, 40)를 압접시키기 위해서 동콘택트를 간접적/직접적으로 밀착시키는 제1, 제2캠부(2222, 2212)가 형성된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자상의 수지 성형품인 액츄에이터(2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제1, 제2콘택트(30, 40)를 교대로 또한 서로 인접해서 수용하는 복수의 방이 형성된 본체(11)와, 본체(11)에 연이어 형성된 측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L상의 수용부(12)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체(11)의 정면(플렉시블 기판(a)이 삽입되는 방향의 면)에는 제2콘택트(40)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114) 및 제1콘택트(30)의 단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113)가 교대로 또한 서로 인접해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11)의 배면(플렉시블 기판(a)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의 면)에는, 제1콘택트(30)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111) 및 제2콘택트(40)의 단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112)가 교대로 또한 서로 인접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2콘택트(40)는 본체(11)의 개구(114)를 통해서 본체(11)내에 삽입되고, 그 단부가 본체(11)의 개구(112)로부터 노출된다. 한편, 제1콘택트(30)는 본체(11)의 개구(111)를 통해서 본체(11)내에 삽입되고, 그 단부가 본체(11)의 개구(113)로부터 노출된다.
본체(11)의 양측면에는 액츄에이터(20)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편(1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1)의 정면측에는, 플렉시블 기판(a)이 삽입되는 기판 삽입구(13)에 대응한 위치에 절개부(115)(도 4의 (b) 및 도 5의 (b)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기판(a)의 선단이 절개부(115)의 안측과 접촉함으로써, 플렉시블 기판(a)상의 전극과 제1, 제2콘택트(30, 40)의 위치 맞춤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수용부(12)의 상면에는, 개구(114)와 동일한 피치 간격으로 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제2콘택트(40)는 수용부(12)상의 홈(121)에 안내되어 본체(11)의 개구(114)에 삽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수용부(12)와 액츄에이터(20)의 축부(22) 사이의 간극이 기판 삽입구(13)로 되어 있고, 기판 삽입구(13)의 안측에 본체(11)의 개구(113 및 114)가 위치하고 있다.
제1콘택트(30)는 플렉시블 기판(a)상의 내측의 열의 전극과 접촉하는 콘택트로서, 하우징(10)의 기판 삽입구(13)의 안측에 장착가능한 베이스부(31)와, 베이스부(31)에 중공 지지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ㄷ자상체이며 플렉시블 기판(a)의 단부를 지지하는 암부(32)와, 암부(32)의 내측에 형성되고 또한 플렉시블 기판(a)상의 전극과 접촉하는 접점부(33)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부(31)는 하우징(10)의 본체(11)에 개구(111)를 통해서 장착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ㄷ자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암부(32)는 베이스부(31)로부터 내향으로 연장 형성된 탄성지지부(321)와, 탄성지지부(321)의 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또한 플렉시블 기판(a)의 단부를 하방으로부터 수용하는 하측 직선형상부(322)와, 하측 직선형상부(322)의 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또한 선단부가 기판 삽입 반대방향을 향해서 되접어 꺾인 1/2 원호상부(323)와, 1/2 원호상부(323)의 단부에 연이어 형성된 상측 직선형상부(324)를 갖고 있다.
탄성지지부(321)는 베이스부(31)의 하측의 기판 삽입 반대방향 부근의 위치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또한 선단부가 기판 삽입 방향을 향해서 1/4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상측 직선형상부(324)는 하측 직선형상부(322)에 비해서 길고, 그 선단부의 상측에 액츄에이터(20)의 제1캠부(2222)가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점부(33)는 상측 직선형상부(324)의 하측이며 또한 하측 직선형상부(322)의 대향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직선형상부(324)의 선단부가 아니라, 액츄에이터(20)의 제1캠부(2222)에 비해서 기판 삽입 방향 부근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콘택트(40)는 플렉시블 기판(a)상의 외측의 열의 전극과 접촉하는 콘택트로서, 하우징(10)의 기판 삽입구(13)의 안측에 장착가능한 베이스부(41)와, 베이스부(41)에 중공 지지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ㄷ자상체이며 플렉시블 기판(a)의 단부를 지지하는 암부(42)와, 암부(42)의 내측에 형성되고 또한 플렉시블 기판(a)상의 전극과 접촉하는 접점부(43)와, 베이스부(41)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연장 형성된 회전축 유지부(44)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부(41)는 하우징(10)의 본체(11)에 개구(114)를 통해서 장착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ㄷ자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암부(42)는 베이스부(41)로부터 내향으로 연장 형성된 탄성지지부(421)와, 탄성지지부(421)의 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또한 플렉시블 기판(a)의 단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하측 직선형상부(422)와, 하측 직선형상부(422)의 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또한 선단부가 기판 삽입 반대방향을 향해서 되접어 꺾인 1/2 원호상부(423)와, 1/2 원호상부(423)의 단부에 연이어 형성된 상측 직선형상부(424)를 갖고 있다.
탄성지지부(421)는 베이스부(41)의 기판 삽입 방향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또한 선단부가 하방향을 향해서 1/4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하측 직선형상부(422)는 제1콘택트(30)와는 달리, 상측 직선형상부(424)에 비해서 길게 되어 있다. 하측 직선형상부(422)의 선단부분의 상방 부근에 액츄에이터(20)의 제2캠부(2212)가 위치하고 있다.
접점부(43)는 상측 직선형상부(424)의 하측이며 또한 하측 직선형상부(422)의 대향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콘택트(30)와는 달리, 상측 직선형상부(424)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 유지부(44)는 베이스부(41)의 상측의 기판 삽입 반대방향 부근의 위치로부터 외향으로 1/4 원호상으로 만곡시켜서 연장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 액츄에이터(20)의 회전축(2211)을 유지하기 위한 노치구멍(441)이 형성되어 있다.
액츄에이터(20)는 하우징(10)의 본체(11)와 대응한 길이를 갖는 베이스판(21)과, 베이스판(21)의 기단측에 연이어 형성된 축부(22)와, 베이스판(21)의 선단측에 연이어 형성된 방진커버부(23)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축부(22)는 그 하측에 축판(221, 222)이 교대로 또한 서로 인접해서 길이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축판(221, 222)은 제1, 제2콘택트(30, 40)와 동일한 피치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축판(221, 222)은 모두 부채상을 한 판상체이며, 그 하측의 모서리부가 제2캠부(2212)로 되어 있다. 축판(221)의 일면의 중앙부분에는 회전축(2211)이 길이방향을 향해서 설치되어 있는 한편, 축판(222)의 일면의 중앙부분의 바깥 부근의 위치에는 제1캠부(2222)가 길이방향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방진커버부(23)는 하우징(10)의 본체(11)의 배면의 전부 및 그 양측면의 일부를 감추기 위한 상방에서 보았을 때 ㄷ자상의 판상체로서, 그 내면에는 하우 징(10)의 본체(11)의 걸림편(116)에 얹혀서 결합되는 돌기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조립방법 및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하우징(10)의 본체(11)의 상면에 액츄에이터(20)의 베이스판(21)을 놓고 위치 맞춤한 상태로, 제2콘택트(40)를 하우징(10)의 본체(11)내에 삽입해서 장착한다. 그러면, 제2콘택트(40)의 선단부의 일부가 하우징(10)의 본체(11)의 개구(112)로부터 노출된다. 또한 액츄에이터(20)의 회전축(2211)이 제2콘택트(40)의 회전축 유지부(44)의 노치구멍(441)에 들어간다.
제2콘택트(40) 전체가 하우징(10)의 본체(11)내에 장착되면, 액츄에이터(20)의 각 축판(221)에 설치된 회전축(2211)이 제2콘택트(40)의 회전축 유지부(44)에서 그것으로써 축지지된다.
이 결과, 액츄에이터(20)가 하우징(10)에 대하여 회전축(2211)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가능하게 된다. 제2콘택트(40)가 하우징(10)에 장착되어 고정된다는 점에서, 액츄에이터(20)가 하우징(10)으로부터 간단하게 탈락되는 일은 없다.
도 4의 (a) 및 도 5의 (a)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폐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액츄에이터(20)의 베이스판(21)이 하우징(10)의 본체(11)의 상면과 접촉하고, 액츄에이터(20)에 의해 하우징(10)의 상면 등이 덮여 있다.
도 4의 (b) 및 도 5의 (b)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개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액츄에이터(20)의 제2캠부(2212)가 하우징(10)의 본체(11)의 정면과 접촉하고, 액츄에이터(20)가 하우징(10)에 대해서 직각으로 서고, 하우징(10)의 상면 등이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20)의 개방상태에 있어서 제1콘택트(30)를 하우징(10)의 본체(11)내에 삽입해서 장착한다. 그러면, 제1콘택트(30)의 선단부가 하우징(10)의 본체(11)의 개구(113)로부터 노출되는 것 외, 액츄에이터(20)의 제1캠부(2222)가 제1콘택트(30)의 베이스(31)의 상측의 선단부와 암부(32)의 상측 직선형상부(324) 사이의 간극에 들어간다.
액츄에이터(20)의 개방상태에 있어서는, 제1캠부(2222)가 수평방향을 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1콘택트(30)의 장착시에, 제1캠부(2222)가 조금도 장해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조립된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를 플렉시블 기판(a)의 단부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한다.
우선, 액츄에이터(20)를 개방상태로 한 상태로, 플렉시블 기판(a)의 단부를 하우징(10)내에 기판 삽입구(13)로부터 삽입한다. 그러면, 제1, 제2콘택트(30, 40)의 암부(32, 42)에 플렉시블 기판(a)의 단부가 삽입되고, 그 선단이 본체(11)의 절개부(115)의 안측과 접촉한다.
이 상태로, 플렉시블 기판(a)상의 전극과 제1, 제2콘택트(30, 40)의 위치 맞춤이 행해진다. 즉, 제1콘택트(30)의 접점부(33)가 플렉시블 기판(a)상의 내측의 열의 전극에 위치 맞춤되고, 제2콘택트(40)의 접점부(43)가 플렉시블 기판(a)상의 외측의 열의 전극에 위치 맞춤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20)를 회동시켜서 폐쇄상태로 한다. 그러면, 폐쇄상태가 유지된다. 제1캠부(2222)가 수평방향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경사지고, 제1콘택트(30)의 상측 직선형상부(324)의 상측의 선단부와 접촉되어 밀착되고, 제1콘택트(30)의 접점부(33)가 플렉시블 기판(a)상의 내측의 열의 전극에 압접한다. 이 때, 플렉시블 기판(a)의 단부가 제1콘택트(30)의 암부(32)의 하측 직선형상부(322)에 의해 지지되고, 암부(32) 전체가 탄성 변형된다는 점에서, 양자간의 압접은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액츄에이터(20)가 폐쇄상태가 되면, 제2캠부(2212)가 경사져 플렉시블 기판(a)의 단부의 상면과 접촉되어 밀착된다. 이것에 따라, 제2콘택트(40)의 하측 직선형상부(422)의 상측의 선단부가 플렉시블 기판(a)을 통해서 밀착된다. 이것에 따라, 암부(42) 전체가 탄성 변형되고, 제2콘택트(40)의 접점부(43)가 플렉시블 기판(a)상의 외측의 열의 전극에 압접한다. 특히 플렉시블 기판(a)의 단부가 약간 밀려 내려가도, 제2콘택트(40)의 암부(42)의 하측 직선형상부(42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는 점에서, 플렉시블 기판(a)상의 전극과 제2콘택트(40)의 접점부(43)의 위치 관계 등에 변화가 없고, 이 점에서도 양자간의 압접은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액츄에이터(20)를 폐쇄상태로 하면, 플렉시블 기판(a)의 단부가 제2캠부(2212)와 하우징(10)의 수용부(12) 사이에서 맞물려져, 플렉시블 기판(a)이 하우징(10)으로부터 간단하게 빠지는 일이 없다.
액츄에이터(20)가 폐쇄상태일 때에는, 하우징(10)의 본체(11)의 배면 등이 방진커버부(23)에 대향 배치된다. 개방상태에 있어서는, 하우징(10)의 본체(11)의 배면측에 형성된 개구(111, 112)를 통해서 제1, 제2콘택트(30, 40)의 단부가 노출되어 있었지만, 폐쇄상태에 있어서는, 이 노출부분이 덮이게 된다. 이 결과, 방진 효과가 높아지고, 이것에 따라 고장 등이 적어져, 이 점에서 고성능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액츄에이터(2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하면, 제1, 제2캠부(2222, 2212)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고, 이것에 따라, 제1, 제2콘택트(30, 40)가 제1, 제2캠부(2222, 2212)를 통해서 밀착되지 않게 되고, 제1, 제2콘택트(30, 40)의 접점부(33, 43)가 플렉시블 기판(a)상의 전극으로부터 벗어날 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기판(a)을 하우징(10)으로부터 간단하게 빼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에 의한 경우, 액츄에이터(20)가 폐쇄상태가 되어, 제1, 제2캠부(2222, 2212)가 제1, 제2콘택트(30, 40)의 암부(32, 42)에 밀착되면, 암부(32, 42) 전체가 크게 탄성 변형되고, 이것에 따라 제1, 제2콘택트(30, 40)의 접점부(33, 43)와 플렉시블 기판(a)상의 전극 사이에 큰 접촉압력이 얻어진다.
종래예에 의한 경우와는 달리, 큰 접촉압을 얻기 위해서, 제1, 제2콘택트(30, 40)로서, 치수가 긴 것을 사용하거나, 고탄성의 재질인 것을 선정할 필요가 없어지고, 이 점에서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콘택트(40)에 회전축 유지부(44)가 형성되어 있고, 액츄에이터(20)의 이탈 방지나 축지지 등을 행하기 위한 부품 등이 불필요하게 된다는 점에서, 구 성이 간단해지고, 이 점에서의 저비용화를 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기판상에 전극이 병설되어 있는 한, 어떤 종류의 것에나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극의 배열수가 1이면 1종류의 콘택트를 사용하면 좋고, 전극이 플렉시블 기판의 이면상에 병설되어 있으면, 콘택트의 접점부를 암부의 상측이 아니라 하측에 배치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하우징에 관해서는, 플렉시블 기판이 삽입되는 기판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한, 어떤 형상이나 재질 등이어도 상관없다.
콘택트에 대해서는, 베이스부에 관해서는, 하우징의 삽입구의 안측에 장착가능한 형상 등이면 좋고, 암부에 관해서는, 베이스부에 중공 지지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ㄷ자상체이며 플렉시블 기판의 단부를 지지하는 형상 등이면 좋고, 접점부에 관해서는, 암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또한 플렉시블 기판상의 단자와 접촉하는 형상 등이면 좋다.
액츄에이터에 관해서는, 하우징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회동해서 폐쇄상태로 플렉시블 기판상의 전극에 콘택트를 압접시키기 위해서 콘택트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밀착시키는 캠부가 형성된 구성인 한, 어떤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제1, 2, 3, 4 또는 6항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에 의한 경우, 플렉시블 기판의 단부가 하우징의 기판 삽입구에 삽입되면, 콘택트의 암부에 의해 지지되고, 액츄에이터를 회동시켜서 캠부가 콘택트의 암부에 밀착되면, 콘택트의 접점부가 플렉시블 기판의 표면상의 전극에 압접된다. 이 때, 암부 전체가 탄성 변형되어 플렉시블 기판의 단부를 지지한다는 점에서, 이것에 따라 큰 접촉압력이 얻어진다. 즉 콘택트에 관해서, 긴 것을 사용하거나, 고탄성의 재질인 것을 선정하지 않아도, 소정의 접촉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꾀함에 있어서 큰 메리트가 있다.
본 발명의 제5항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에 의한 경우, 액츄에이터의 제1캠부가 콘택트의 암부의 상측 직선형상부의 선단부분의 상측과 접촉하고, 콘택트의 접촉점이 제1캠부에 비해서 기판 삽입 방향 부근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액츄에이터의 회동에 따라 콘택트의 암부 전체가 크게 줄어들고, 콘택트의 접점부에 큰 힘이 작용하여, 그 결과, 보다 큰 접촉압력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7항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에 의한 경우, 콘택트의 암부의 하측 직선형상부가 상측 직선형상부에 비해서 길고, 액츄에이터의 제2캠부가 콘택트의 암부의 하측 직선형상부의 선단부분에 플렉시블 기판을 통해서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액츄에이터의 회동에 따라 콘택트의 암부 전체가 크게 줄어들고, 콘택트의 접점부에 큰 힘이 작용하여, 그 결과, 큰 접촉압력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8항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에 의한 경우, 콘택트에 액츄에이터의 회전축을 유지하는 회전축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액츄에이터의 이탈 방지나 축지지 등을 행하기 위한 부품 등의 전부 또는 그 일부가 불필요하게 되고, 이 점에서 구성이 간단해져, 저비용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9항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제2콘택트의 탄성지지부가 1/4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있다는 점에서 플렉시블 기판의 단부가 상방으로 약간 들어 올려지고, 이것에 따라 제2콘택트의 접촉점과 플렉시블 기판상의 외측의 열의 전극이 근접하여, 제2콘택트에 대해서도 제1콘택트와 동일한 큰 접촉압력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10항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에 의한 경우, 콘택트의 기판 삽입 방향측의 단부가 하우징의 기판 삽입구 반대측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을 때이여도, 액츄에이터가 폐쇄상태일 때에 방진커버부에 의해 하우징의 상기 측면이 방진커버부에 의해 덮인다는 점에서, 방진 효과가 높고, 이 점에서 고성능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0)
- 플렉시블 기판이 삽입되는 기판 삽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상기 플렉시블 기판상의 전극과 접촉가능하게 병설된 콘택트와, 하우징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회동해서 폐쇄상태로 플렉시블 기판상의 전극에 콘택트를 압접시키기 위해서 콘택트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밀착시키는 캠부가 형성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고, 콘택트는 하우징의 기판 삽입구의 안측에 장착가능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중공 지지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ㄷ자상체이며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단부를 지지하는 암부와, 암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플렉시블 기판상의 전극과 접촉하는 접점부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콘택트의 암부는 베이스부에서 내향으로 연장 형성된 탄성지지부와, 탄성지지부의 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또한 플렉시블 기판의 단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하측 직선형상부와, 하측 직선형상부의 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또한 선단부가 기판 삽입 반대방향을 향해서 되접어 꺾인 1/2 원호상부와, 1/2 원호상부의 단부에 연이어 형성된 상측 직선형상부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콘택트의 접점부가 콘택트의 암부의 상측 직선형상부의 하 측이며 또한 하측 직선형상부의 대향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콘택트의 베이스부가 대략 ㄷ자상이며, 콘택트의 암부의 탄성지지부는 베이스부의 하측의 기판 삽입 반대방향 부근의 위치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또한 선단부가 기판 삽입 방향을 향해서 1/4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제4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의 캠부로서, 콘택트의 암부의 상측 직선형상부의 선단부분의 상측과 접촉가능한 제1캠부가 형성되어 있고, 콘택트의 접촉점이 제1캠부에 비해서 기판 삽입 방향 부근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콘택트의 베이스부가 대략 ㄷ자상이며, 콘택트의 암부의 탄성지지부는 베이스부의 기판 삽입 방향측의 위치로부터 기판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또한 선단부가 하방을 향해서 1/4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제6항에 있어서, 콘택트의 암부는 하측 직선형상부가 상측 직선형상부에 비해서 길고, 액츄에이터의 캠부로서, 플렉시블 기판상에 있어서의 콘택트의 암부의 하측 직선형상부의 선단부분의 가까운 개소에 접촉가능한 제2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콘택트는 베이스부의 상측의 기판 삽입 반대방향 부근의 위치로부터 외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또한 액츄에이터의 회전축을 유지하는 노치구멍을 갖는 회전축 유지부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상에 폭방향으로 배치된 전극이 길이방향으로 2열 이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콘택트의 베이스부가 대략 ㄷ자상이며, 플렉시블 기판상의 내측의 열의 전극과 접촉하는 제1콘택트로서, 제4항에 기재된 콘택트가 사용되고 있는 한편, 플렉시블 기판상의 외측의 열의 전극과 접촉하는 제2콘택트로서, 제6항에 기재된 콘택트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콘택트의 기판 삽입 방향측의 단부가 하우징의 기판 삽입구 반대측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며, 액츄에이터는 그 선단부분에 폐쇄상태로 하우징의 상기 측면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방진커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00073719 | 2006-03-17 | ||
JP2006073719A JP4515403B2 (ja) | 2006-03-17 | 2006-03-17 |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4468A true KR20070094468A (ko) | 2007-09-20 |
KR101274550B1 KR101274550B1 (ko) | 2013-06-13 |
Family
ID=38068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0091A KR101274550B1 (ko) | 2006-03-17 | 2007-02-28 |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341477B2 (ko) |
EP (1) | EP1835569B1 (ko) |
JP (1) | JP4515403B2 (ko) |
KR (1) | KR101274550B1 (ko) |
CN (1) | CN101038992B (ko) |
DE (1) | DE602007009886D1 (ko) |
TW (1) | TW20074655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1107B1 (ko) * | 2009-08-24 | 2012-05-22 | 파나소닉 주식회사 | 커넥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31471B2 (ja) * | 2004-07-30 | 2008-01-09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Fpc用コネクタ |
CN101228674B (zh) * | 2005-05-24 | 2011-04-27 | 第一电子工业株式会社 | 连接器 |
GB2449664B (en) * | 2007-05-30 | 2011-12-14 | Ion Science Ltd | Electrode contact pellet and associated photoionisation detector assembly |
CN101685936A (zh) * | 2008-09-25 | 2010-03-31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旋转连接装置 |
JP5016635B2 (ja) * | 2009-06-02 | 2012-09-0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7914321B2 (en) * | 2009-07-23 | 2011-03-29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JP5123975B2 (ja) * | 2010-04-08 | 2013-01-2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コネクタ |
TWI384697B (zh) * | 2010-07-02 | 2013-02-01 | Inventec Corp | 可攜式電子裝置 |
JP5862387B2 (ja) * | 2012-03-15 | 2016-02-16 | オムロン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104600452B (zh) * | 2015-02-16 | 2016-08-24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直下式背光模组及布线装置 |
CN106848656B (zh) * | 2017-03-02 | 2023-02-10 | 深圳市亚奇科技有限公司 | 一种插座连接装置 |
JP7038597B2 (ja) * | 2018-04-25 | 2022-03-18 | 京セラ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US11411342B2 (en) | 2020-06-24 | 2022-08-09 |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9279U (ko) * | 1989-07-06 | 1991-02-26 | ||
US5240430A (en) * | 1991-10-31 | 1993-08-31 | Amp Incorporated | Electrical connector for cable to circit board application |
JP3754869B2 (ja) | 2000-04-17 | 2006-03-15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2002093504A (ja) | 2000-09-18 | 2002-03-29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Fpc用コネクタ |
JP2002134194A (ja) | 2000-10-20 | 2002-05-10 | Fci Japan Kk |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2003109695A (ja) * | 2001-09-26 | 2003-04-11 | Molex Inc | Fpc用コネクタ |
US6837740B2 (en) * | 2002-02-19 | 2005-01-04 | Molex Incorporated | Flat circuit connector |
JP3757316B2 (ja) * | 2002-06-12 | 2006-03-22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Fpc用コネクタ |
JP2004158206A (ja) * | 2002-11-01 | 2004-06-03 | Fci Asia Technology Pte Ltd | 平形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
JP3803874B2 (ja) * | 2003-06-03 | 2006-08-02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Fpc用コネクタとその製造方法 |
CN2682624Y (zh) * | 2003-11-28 | 2005-03-02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JP4282014B2 (ja) | 2004-08-03 | 2009-06-17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
JP4568561B2 (ja) * | 2004-09-01 | 2010-10-27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484218B2 (ja) * | 2004-10-22 | 2010-06-16 |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388879B2 (ja) * | 2004-10-26 | 2009-12-24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コネクタ |
-
2006
- 2006-03-17 JP JP2006073719A patent/JP451540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2-07 TW TW096104485A patent/TW200746553A/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2-28 KR KR1020070020091A patent/KR10127455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3-14 CN CN2007101359717A patent/CN10103899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3-15 US US11/724,175 patent/US734147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3-16 EP EP07251127A patent/EP1835569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7-03-16 DE DE602007009886T patent/DE602007009886D1/de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1107B1 (ko) * | 2009-08-24 | 2012-05-22 | 파나소닉 주식회사 |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70218713A1 (en) | 2007-09-20 |
JP2007250400A (ja) | 2007-09-27 |
TWI323055B (ko) | 2010-04-01 |
EP1835569B1 (en) | 2010-10-20 |
KR101274550B1 (ko) | 2013-06-13 |
CN101038992A (zh) | 2007-09-19 |
JP4515403B2 (ja) | 2010-07-28 |
EP1835569A1 (en) | 2007-09-19 |
TW200746553A (en) | 2007-12-16 |
DE602007009886D1 (de) | 2010-12-02 |
US7341477B2 (en) | 2008-03-11 |
CN101038992B (zh) | 2011-03-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4550B1 (ko) |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
US5466161A (en) | Compliant stacking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 |
KR100826744B1 (ko) | 안정적으로 동작가능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커넥터 | |
KR100740415B1 (ko) | 플렉서블 기판용 커넥터 | |
KR100889448B1 (ko) | 편평한 회로 커넥터 | |
CN101228674A (zh) | 连接器 | |
US20060183364A1 (en) | Connector | |
JP2006147523A (ja) | コネクタ | |
KR100424843B1 (ko) | Fpc/ffc 커넥터 | |
US20090298355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0344050B1 (ko) | Pga 패키지용의 낮은 형상 전기 커넥터 및 단자 | |
KR100946176B1 (ko) | 커넥터 | |
US11011862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07073296A (ja) | 整列コンタクト群および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 |
JP3150646U (ja) | ソケットコネクタ | |
JP2008004340A (ja) | コネクタ | |
JP3694165B2 (ja) | Icソケット | |
US7371094B1 (en) | Aligned contact group and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substrate | |
US6413110B2 (en) | Zero insertion force socket | |
KR101152739B1 (ko) | 전자부품 부착용 소켓 및 그것에 사용되는 콘택트 캐리어 | |
US4983126A (en) | Apparatus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insertable electrical assemblies | |
JP4035846B2 (ja) | シールド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 |
KR20000011759A (ko) | 평면회로용의납작한형태의전기커넥터 | |
JP4270451B2 (ja) | コネクタ | |
JP3931684B2 (ja) | マイクロホン用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