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006A - 건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건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006A
KR20070090006A KR20077015987A KR20077015987A KR20070090006A KR 20070090006 A KR20070090006 A KR 20070090006A KR 20077015987 A KR20077015987 A KR 20077015987A KR 20077015987 A KR20077015987 A KR 20077015987A KR 20070090006 A KR20070090006 A KR 20070090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inner cylinder
dry cleaning
cleaning device
communica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7015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쎄이 야스다
고 후쿠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0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liquids by electrostatic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34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using gravity, e.g. separating by weight differences in a wind sif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3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using density difference
    • B29B2017/0241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using density difference in gas, e.g. air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68Separation of metals
    • B29B2017/0272Magnetic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B29L2031/3061Number pl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건식 세정 장치는 중량물과, 그보다 비중이 작은 경량물의 혼합물로부터 중량물을 선별할 수 있다. 이러한 건식 세정 장치는 중심축을 갖는 통형상의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마련된 내통과, 중량물을 회수하는 회수부와, 혼합물을 내통의 상방에 투입하는 투입부와, 케이싱과 내통 사이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유입구와, 케이싱과 내통 사이로부터 공기와 경량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를 구비한다. 케이싱은 중심축에 대략 평행하는 내측면을 갖는다. 내통은 돌출하는 중앙부를 갖는 상면과, 케이싱의 내측면에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는 부분을 갖는 외측면을 갖는다. 회수부는 내통의 하방에 마련된다. 이 건식 세정 장치는 혼합물로부터 경량물과 중량물과 혼재시킴 없이 중량물을 분리, 회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식 세정 장치{DRY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회수물을 재이용하기 위한 재활용 처리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중량물(수지)과 경량물[(더스트; dust)]과의 혼합물로부터 중량물(수지)을 선별할 수 있는 건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의 증가와 처리 시설의 부족, 환경 보호라는 관점에서 폐기물, 특히 수지 재료의 재 자원화에 관한 사회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도 10은 일본 특허공개 제 2001-276743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건식 세정 장치의 모식도이다. 폐기물은 회수해야 할 회수물(유리 부스러기)과, 회수물보다 비중이 작은 부착물(label)과의 혼합물이다. 이 세정 장치는 공기의 흐름에 관한 저항력과 비중의 차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부착물과 회수물로 분리하는 수직형 풍력 건식 세정 장치이다.
대략 원통형의 케이싱(1) 내의 위쪽에 제 1 깔때기 형상부재(2)가 설치되어 있고, 아래쪽에 제 2 깔때기 형상부재(3)가 설치되어 있다. 깔때기 형상부재(2, 3) 사이에는 슈트(4)가 설치되어 있다. 슈트(4)는 윗쪽으로 돌출하는 중앙부와, 중앙부에서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외연부를 갖고, 중앙부로부터 외연부에 걸쳐서 경사면을 갖는다.
케이싱(1)에는 제 2 깔때기 형상부재(3)와 대략 원통형의 케이싱(1)과의 접속 위치보다 아래쪽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구(5)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깔때기 형상부재(2)와 케이싱(1)과의 접속 위치보다 아래쪽으로는 공기와 함께 경량의 부착물을 배출하는 배출구(6)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싱(1)과 제 2 깔때기 형상부재(3)의 외연 사이에는 제 1 간극(7)이 마련되어 있고, 대략 원통형의 케이싱(1)과 슈트(4)의 외연부와의 사이에는 제 2 간극(8)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간극(7)은 제 2 간극(8)보다 작다. 슈트(4)는 기둥(3A)으로 깔때기 형상부재(3)의 윗쪽에 지지되어 있다.
유입구(5)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제 2 깔때기 형상부재(3)를 따라 제 1 간극(7)으로부터 윗쪽으로 토출된다. 분출된 공기는 선회류가 되면서 상승한 후, 제 1 깔때기 형상부재(2)를 따라 배출구(6)로부터 배출된다.
제 1 깔때기 형상부재(2)의 출구(9)는 배출구(6)보다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흐르는 공기는 무거운 회수물을 상승시킬 수 없다. 따라서, 회수물은 낙하하므로 배출구(6)로 배출되지 않는다. 한편, 경량의 부착물은 상기 공기와 함께 상승해서 배출구(6)로 배출된다.
종래의 세정 장치는 폐기물(혼합물)을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로 부착물과 회수물로 분리하지만, 회수물에 부착된 부착물을 예를 들면 슈트(4)의 경사면에서 세정은 할 수 없다.
또한, 회수물이 제 1 간극(7)을 통과한 경우, 이 회수물은 회수할 수 없고, 케이싱(1)의 바닥부에 축적된다.
또한, 제 1 간극(7)보다 제 2 간극(8) 쪽이 크다. 따라서, 슈트(4)의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해서 가벼운 부착물이 유입구(5)로부터 배출구(6)로 향해서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으로부터 벗어났을 경우, 회수물만을 회수하기 위한 제 2 깔때기 형상부재(3) 내의 회수물에 혼입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 1 간극(7)으로부터 제 2 간극(8)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슈트(4)를 지탱하는 기둥(3A)의 높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어, 건식 세정 장치의 설계가 복잡해진다.
건식 세정 장치는 중량물과, 그보다 비중이 작은 경량물의 혼합물로부터 중량물을 선별할 수 있다. 상기 건식 세정 장치는 중심축을 갖는 통형상의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마련된 내통과, 케이싱과 내통으로 형성되는 연락로와, 중량물을 회수하는 회수부와, 혼합물을 내통의 윗쪽에 투입하는 투입부와, 케이싱과 내통 사이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유입구와, 케이싱과 내통 사이로부터 공기와 경량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를 구비한다. 케이싱은 중심축에 대략 평행의 내측면을 갖는다. 내통은 돌출하는 중앙부를 갖는 상면과, 케이싱의 내측면에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는 부분을 갖는 외측면을 갖는다. 회수부는 내통의 아래쪽으로 마련된다.
이 건식 세정 장치는 혼합물로부터 경량물과 중량물을 혼재시키지 않고 중량물을 분리,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선별 장치의 모식도,
도 2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건식 세정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건식 세정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건식 세정 장치로 회수되는 회수물의 사시도,
도 5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건식 세정 장치의 연락로의 거리와 회수물의 평균 입자직경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건식 세정 장치의 연락로의 거리와 회수물의 평균 입자직경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건식 세정 장치의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건식 세정 장치의 종단면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하는 건식 세정 장치의 선 8B-8B에 있어서의 횡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다른 건식 세정 장치의 종단면도,
도 9b는 도 9a에 도시하는 한시시 세정 장치의 선 9B-9B에 있어서의 횡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건식 세정 장치의 모식도.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선별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건식 세정 장치(13)의 사시도이다. 이 선별 장치는 폐기물, 특히 전기기기나 자동차 등에 사용하던 수지 성형품을 다시 자원으로서 재활용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자치체나 가전 판매점, 고철 공장 등으로부터 회수한 전기기기나, 자동차등에 사용하던 폐기물인 수지 성형품(11)에는 수지 성형품(11)보다 가벼운(비중의 작은) 부착물(더스트)이 부착되어 있다. 절단식이나 회전식의 파쇄기(10)는 수지 성형품(11)을 소정의 크기로 분쇄해 수지편(10A)이 얻어진다.
수지편(10A)은 송풍기(12)에 의해 건식 세정 장치(13)의 투입부(14)로 보내진다. 투입부(14)는 깔때기 형상의 사이클론 호퍼(14C)를 구비하고, 송풍기(12)에 의해 강제적으로 보내진 수지편(10A)의 속도를 상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수지편(10A)이 자유낙하 상태로 건식 세정 장치(13)에 천천히 낙하한다.
수지편(10A)에 부착되어 있던 미세한 더스트 등의 경량한 부착물(15)은 사이클론 호퍼(14)에 의해, 더스트 회수구(16)를 경유해서 더스트 회수부(17)에 회수된다.
건식 세정 장치(13)로 유도된 수지편(10B)은 회수해야 할 중량물인 수지편(10C)과, 수지편(10C)에 부착된 더스트 등의 경량물인 부착물(15A)과의 혼합물이다. 부착물(15A)의 비중은 수지편(10C)의 비중보다 작다. 수지편(10B)은 세정부(18)로 보내져, 수지편(10C)과 부착물(15A)로 선별된다. 부착물(15A)은 송풍기(19)에 의해 더스트 선별기(20)의 투입부(21)로 보내진다.
투입부(14)와 같이 더스트 투입부(21)는 깔때기 형상이다. 이로써, 사이클 론 현상이 발생하고, 부착물(15A)은 작은 더스트(15C)와, 더스트(15C)보다 작은 더스트(15B)로 선별된다. 그리고, 더스트(15B, 15C)는 더스트 회수부(22, 23)로 각각 회수된다.
다음으로, 건식 세정 장치(13)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건식 세정 장치(13)는 대략 원통형의 케이싱(30)과, 케이싱(30) 내부에 마련된 내통(31)을 구비하고, 세정부(18)와 연락로(32)와 회수부(33)를 갖는다. 내통(31)의 상면(31A)은 윗쪽으로 돌출하는 중앙부(31C)와, 중앙부(31C)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외연부(31E)를 갖고, 중앙부(31C)에서 외연부(31E)에 걸친 경사면(31D)을 갖는다. 대략 원통형의 케이싱(30)은 중심축(30B)에 대략 평행하게 중심축(30B)에 대향하는 내측면(30A)을 갖는다. 세정부(18)는 케이싱(30)의 내면(30A)과 내통(31)의 상면(31A)으로 둘러싸여진 공간이다. 연락로(32)는 케이싱(30)의 내측면(30A)과 내통(31)의 외측면(31B) 사이의 공간이다. 케이싱(30)의 내측면(30A)은 내통(31)의 외측면(31B)과 대략 평행하다. 회수부(33)는 케이싱(30) 내에서 내통(31)의 아래쪽의 공간이다. 내통(31)의 외측면(31B)은 케이싱(30)의 내측면(30A)에 대향하는 부분(31F)을 갖는다. 또한, 케이싱(30)의 내측면(30A)은 내통(31)의 부분(31F)에 대향하는 부분(30C)을 갖는다. 투입부(14)의 선단(14A)은 내통(31)의 상면(31A)의 중앙부(31C)의 윗쪽에 위치하는 개구(14B)를 갖는다. 개구(14B)로부터 내통(31)의 상면(31A)의 윗쪽에 혼합물이 투입된다.
내통(31)의 상면(31A)의 하방에서 케이싱(30)에는 공기를 취입하는 유입구(34)가 마련되어 있다. 유입구(34)는 케이싱(30)의 내측면(30A)과 내통(31)의 외측면(31A) 사이에 공기를 도입한다. 송풍기(19)는 유입구(34)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의해 공기류(35 내지 37)를 형성한다. 투입부(14)로부터 유입된 수지편(10B)은 내통(31)의 상면(31A)의 중앙부(31C)로부터 경사면(31D)을 따라 외연부(31E), 즉 연락로(32)로 이동한다.
연락로(32)로 이동된 수지편(10B)은 공기류(36)에 의해 세정된다. 즉, 수지편(10B)에 약한 힘으로 부착·혼합되어 있던 부착물(15A)은 공기류(36)에 의해 수지편(10B)으로부터 분리되어, 세정부(18)내에 화살표(38)의 방향으로 뿜어 올려진다. 이 때, 수지편(10B)끼리, 혹은 수지편(10B)이 케이싱(30)의 내측면(30A)나 내통(31)의 외주면(31B)에 스치는 것으로, 수지편(10B)에 부착되어 있던 티끌이나 도료 등의 부착물(15A)이 벗겨진다. 따라서, 부착물(15A)과 재이용을 목적으로 회수되는 수지편(10C)의 혼합물인 수지편(10B)은 세정되어, 부착물(15A)과 수지편(10C)으로 분리된다.
분리된 부착물(15A)과 수지편(10C) 중, 각각의 자중에 의해 생기는 낙하하려고 하는 힘과, 공기류(36)에 의해 발생하는 상승하려고 하는 힘의 균형에 의해, 부착물(15A)은 선별기(20)로 보내져서 수지편(10C)으로부터 선별된다.
수지편(10C)은 연락로(32)내에서도 서로 스치고, 또한 내통(31)의 외측면(31B)이나 케이싱(30)의 내측면(30A)과 스쳐 더 세정된다.
선별된 수지편(10C)에서는, 회수부(33)에 마련된 자석(39, 40)에 의해 그 금속 성분이 흡착, 제거된다. 금속 성분이 제거된 수지편(10C)은 회수 기구(41)의 회수구(41A)에 회수되어, 다시 자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배출구(42)는 케이싱(30)의 내측면(30A)과 내통(31)의 외측면(31B) 사이로부터 공기와 경량물을 배출할 수 있다. 투입부(14)의 선단부(14A)[개구(14B)]는 세정부(18)에 마련된 배출구(42)보다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세정부(18)에서 분리되기 전의 수지편(10B)이 배출구(42)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수되는 수지편(10C)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건식 세정 장치(13)의 단면도이다. 대략 원통 형상의 케이싱(30)은 대략 연직 방향으로 연기되는 중심축(30B)을 갖는다. 케이싱(30)의 내측면(30A)과 내통(31)의 외측면(31B) 사이에 형성되는 연락로(32)는 케이싱(30)의 중심축(30B)에 따른 방향의 길이(32L)를 갖는다. 또한, 연락로(32)는 케이싱(30)의 중심축(30B)과 대략 직각의 방향의 폭(32C)[케이싱(30)의 내측면(30A)과 내통(31)의 외측면(31B)과의 최단 거리(32C)]을 갖는다. 최단 거리(32C)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연락로(32)를 흐르는 세정을 위해 필요한 공기류(36)의 유속을 유지해서 유량을 삭감할 수 있다. 연락로(32)의 폭(32C)을 작게 하면 유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연락로(32)의 길이(32L)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공기류(35, 36)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연락로(32)의 길이(32L)와 폭(32C)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공기류(36)를 회수하고 싶은 수지편(10C)의 크기에 따라 알맞은 유량으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회수된 수지편(10C)에 혼재하는 부착물(15A)을 저감할 수 있고, 회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는 회수해야 할 회수물인 수지편(10C)의 사시도이다. 수지편(10C)은 평 균 입자직경(D)을 갖는다. 실험에 의해, 케이싱(30)의 내측면(30A)과 내통(31)의 외측면과의 최단 거리(32C)를 수지편(10C)의 평균 입자직경(D)의 2배 이상, 연락로(32)의 길이(32L)를 평균 입자직경(D)의 2배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안정되게 수지편(10C)을 세정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 실험의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도시한다. 도 5와 도 6은 케이싱(30)의 내측면(30A)과 내통(31)의 외측면(31B)과의 최단 거리(32C)의 2개의 값으로, 스크린 직경(φ10mm, 12mm)의 파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고 세정을 실행하여 얻어지는 수지편(10C)의 300g의 입자직경(D)의 분포 상태를 도시한다. 수지편(10B)의 2종류의 시료(1, 2)로부터 최단 거리(32C)가 각각 12mm, 30mm의 세정 장치(13)에서 회수한 여러 입자직경(D)의 수지편(10C)의 무게를 도시하고 있다. 수지편(10C)의 무게는 2g씩 전자천평으로 계측하고, 도 5에서는 2g 이하의 수지편은 1g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 실험에서는 100kg의 수지를 처리해서 그 중 300g의 수지를 회수하고, 그 수지를 체에 의해 입자직경별로 구분하고, 구분한 수지의 각각의 중량을 전자천평으로 측정했다. 실시예 1에서는 시료 1(폴리스티렌)을 스크린 직경 φ10mm의 파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고, 12mm의 최단 거리(32C)의 세정 장치(13)에 투입했다. 실시예 2에서는 시료 1(폴리스티렌)을 스크린 직경 φ12mm의 파쇄기로 분쇄하고, 30mm의 최단 거리(32C)의 세정 장치(13)에 투입했다. 실시예 3에서는 시료 2(폴리프로필렌)을 스크린 직경 φ10mm의 파쇄기를 사용하여 분쇄하고, 12mm의 최단 거리(32C)의 세정 장치(13)에 투입했다. 실시예 4에서는 시료 2(폴리프로필렌)를 스크린 직경 φ12mm의 파쇄기로 분쇄하고, 30mm의 최단 거리(32C)의 세정 장치(13)에 투입했다.
실시예 1, 3에서는, 얻어지는 수지편(10C)의 평균 입자직경(D)은 φ5mm였다. 실시예 2, 4에서는, 얻어지는 수지편(10C)의 평균 입자직경(D)은 φ6mm였다. 또한, 세정후의 수지편(10C)에서 입자직경 φ1mm 이하의 중량 비율이 1% 미만(2g 이하 /300g)인 것부터, 경량물(더스트)의 세정이 유효하게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최단 거리(32C)를, 재이용을 하기 쉬운 원하는 평균 입자직경(D)의 2배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안정되게 수지편(10C)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실험에 의해, 최단 거리(32C)의 상한은, 세정 효과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직경(D)의 6배인 것을 확인했다. 최단 거리(32C)가 이보다 크다면, 면(30A, 31B)과의 스침으로 얻어지는 세정 효과가 저하된다.
세정 장치(13)는 내통(3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위치 변경부(43)를 구비하고, 연락로(32)의 길이(32L)를 최적화할 수 있다. 즉, 회수하고 싶은 수지편(10C)의 재질, 크기를 고려하여, 내통 위치 변경부(43)를 조정하는 것으로, 원하는 수지편(10C)을 회수할 수 있다. 길이(32L)는 세정부(18)에서 수지편(10C)이 케이싱(30)의 내측면(30A)과 적절하게 서로 스치는 것이 가능하도록, 원하는 평균 입자직경(D)의 2배 이상으로 설정한다. 이로써, 안정되게 수지편(10C)을 세정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길이(32L)를 65mm로 했다. 실험에 의해, 길이(32L)의 상한은, 송풍기(19)의 풍량이나 건식 세정 장치(13)의 설치 용이성 및 작업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직경(D)의 20배인 것을 확인했다. 이 보다 길이(32L)를 크게 하면, 수지편(10C)이 받는 부력(저항력)에 의해 수평 방향, 즉 중심축(30B)과 직각의 방향의 속도가 감소한다. 이로써, 수지편(10C)이 케이 싱(30)의 내측면(30A)이나 내통(31)의 외측면(31B)과 서로 스치는 빈도가 감소한다. 면(30A, 31B)과의 스침으로 얻어지는 세정 효과가 저하한다.
실제로는, 케이싱(30)과 내통(31)과의 최단 거리(32C)를 우선 조정하고, 수지편(10C)의 세정 상태를 확인하면서, 연락로(32)의 길이(32L)와 송풍기(19)의 풍량, 송풍기(19) 앞의 댐퍼(45)의 개방도를 조정해서 연락로(32)를 흐르는 공기류(36)의 풍속을 제어한다.
케이싱(30)을 원통형으로 함으로써, 회수물인 수지편(10C)을 회수부(33)에 빈틈 없이 회수할 수 있고, 회수부(33)의 용량을 작게할 수 있다. 따라서, 건식 세정 장치(13)를 소형화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 의한 세정 장치(13)는 회수물인 수지편(10C)을 세정부(18)와 연락로(32)에서 세정할 수 있기 때문에, 회수물을 보다 잘 세정할 수 있고, 불필요한 티끌이나 부착물(15A)을 삭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건식 세정 장치(113)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에 의한 세정 장치(13)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2에 의한 세정 장치(113)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세정 장치(13)와 달리, 내통(31)에 대향하는 투입부(50)의 선단에 내통(31)을 향해서 넓어지는 테이퍼(51)가 마련되어 있다. 테이퍼(51)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세정 장치(13) 내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와류(38A)를 방지할 수 있다. 연락로(32)로부터 뿜어 올려 진 공기류(36)는 내통(31) 상단으로부터 테이퍼(51)로 유도되는 정류된 공기류(38B)를 형성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와류(38A)는 부착물(15A)을 내통(31)의 상면(31A)의 윗쪽에 체류시킨다. 도 7에 도시하는 공기류(38B)는 부착물(15A)의 체류를 해소하고, 공기류(36, 38B, 38C, 37)에 의한 정류로 배출구(42)로부터 부착물(15A)을 보다 완만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부(18) 내의 부착물(15A)을 저감할 수 있고, 수지편(10C)을 부착물(15A)로부터 보다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다.
유입구(52)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53)의 벽면(53A)에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 회수되는 수지편(10C)이 유입구(52)로부터 케이싱(53) 밖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물코 형상의 커버(54)로 유입구(52)를 덮는다. 케이싱(53)의 벽면(53A)에 마련된 유입구(52)보다 높은 위치에서 연락로(32)의 폭(32C) 및 길이(32L)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세정 장치(113)는 상하 방향의 길이는 신장하지만 실시형태 1에 의한 세정 장치(13)와 비교해서 설치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건식 세정 장치(213)의 종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되는 건식 세정 장치(213)의 선 8B-8B에 있어서의 횡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에 의한 세정 장치(13)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세정 장치(213)는 연락로(32)에 있어서 케이싱(30)의 내측면(30A)에 돌기(55)가 마련된다.
실시형태 1에 의한 세정 장치(13)에서는, 연락로(32)의 길이(32L)나 폭(32C)을 크게 하면 수지편(10C)과 면(30A, 31B)과의 스침에 의해 얻어지는 세정 효과가 저하된다.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락로(32)에 있어서의 케이싱(30)의 내측면(30A)에 돌기(55)를 마련하는 것으로, 수지편(10C)이 연락로(32)를 지날 때에 돌기(55)와 충돌해서 서로 문질러져, 부착물(15A)을 보다 강하게 분리할 수 있다. 게다가, 분리한 부착물(15A)은 연락로(32)를 유입구(34)로부터 세정부(18)로 흐르는 공기류(36)에 의해, 회수부(33)로 향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뿜어 올릴 수 있다. 그 결과, 회수 기구(41)에 회수된 수지편(10C)에 혼입하는 부착물(15A) 등의 불필요물을 더 삭감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다른 건식 세정 장치(313)의 종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하는 건식 세정 장치(313)의 선 9B-9B에 있어서의 횡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에 의한 세정 장치(13)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세정 장치(313)는 연락로(32)에 있어서 케이싱(30)의 내측면(30A)과 내통(31)의 외측면(31A)에 복수의 난류 돌기(56)가 마련된다. 복수의 난류 돌기(56)는 서로 높이가 다르다.
난류 돌기(56)는 연락로(32) 내의 공기의 흐름을 흐트러뜨릴 수 있다. 이로써 수지편(10C)은 돌기(56)에 충돌할 뿐만 아니라, 연락로(32)에서의 케이싱(30)의 내측면(30A)에도 빈번하게 충돌하고, 더 나아가 수지편(10C) 끼리 충돌하여, 서로 문질러 진다. 이로써 회수구(41)에 회수된 수지편(10C)에 혼입하는 부착물(15A) 등의 불필요물을 더 삭감할 수 있다.
또, 도 8b에 도시하는 세정 장치(213)에서는 돌기(55)가 연락로(32)에서의 케이싱(30)의 내측면(30A)에만 마련되고, 도 9b에 도시하는 세정 장치(313)에서는 난류 돌기(56)를 연락로(32)에서의 케이싱(30)의 내측면(30A) 및 내통(31)의 외측면(31B)의 쌍방에 마련한다. 돌기(55, 56)를 마련하는 위치는, 연락로(32)의 폭(32C)이나, 회수되는 수지편(회수물; 10C)의 특성에 따라 적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내지 3에 의한 건식 세정 장치(13, 113, 213, 313)는 폐기물로서 수지 성형품으로부터 회수물인 수지편(10C)을 회수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등의, 풍력에 의한 선별기를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는 다른 폐기물로부터 회수물을 회수할 수 있고,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건식 세정 장치는 경량의 부착물과 무거운 회수물의 혼합물을 부착물과 회수물을 혼재시키는 일없이 분리, 회수할 수 있어, 회수물을 재이용하기 위한 재활용 처리 장치에 유용하다.

Claims (9)

  1. 중량물과, 상기 중량물보다 비중이 작은 경량물의 혼합물로부터 상기 중량물을 선별할 수 있는 건식 세정 장치에 있어서,
    대략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갖는 통형상이고, 상기 중심축에 대략 평행하는 내측면을 갖는 케이싱과,
    돌출하는 중앙부를 갖는 상면과, 상기 케이싱의 상기 내측면에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는 부분을 갖는 외측면을 갖고, 상기 케이싱내에 마련된 내통과,
    상기 내통의 아래쪽에 마련된, 상기 중량물을 회수하는 회수부와,
    상기 혼합물을 상기 내통의 상기 상면의 윗쪽에 투입하는 투입부와,
    상기 내통의 상기 상면의 하방에서 상기 케이싱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기 내측면과 상기 내통의 상기 외측면 사이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유입구와,
    상기 내통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윗쪽에서, 또한 상기 투입부보다 하방에서 상기 케이싱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기 내측면과 상기 내통의 상기 외측면 사이로부터 공기와 상기 경량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건식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내통의 상기 외측면의 상기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을 갖고,
    상기 케이싱의 상기 내측면의 상기 부분과 상기 내통의 상기 외측면의 상기 부분 중 적어도 한쪽에 마련된 돌기를 더 구비하는
    건식 세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케이싱의 상기 내측면과 상기 내통의 상기 외측면 사이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교란하는
    건식 세정 장치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내통의 상기 외측면의 상기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을 갖고,
    상기 케이싱의 상기 내측면의 상기 부분과 상기 내통의 상기 외측면의 상기 부분 중 적어도 한쪽에 마련된 복수의 돌기를 더 구비하는
    건식 세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의 높이는 서로 다른
    건식 세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내통의 상기 외측면의 상기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을 갖고,
    상기 내통의 상기 외측면의 상기 부분과 상기 케이싱의 상기 내측면의 상기 부분은 연락로를 형성하고,
    상기 내통의 위치를 변경해서 상기 연락로의 상기 중심축의 방향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위치 변경부를 더 구비하는
    건식 세정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상기 외측면의 상기 부분과 상기 케이싱의 상기 내측면의 최단 거리는 상기 중량물의 평균 입자직경의 2배 이상인
    건식 세정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상기 외측면의 상기 부분의 상기 중심축의 방향의 길이는 상기 중량물의 평균 입자직경의 2배 이상인
    건식 세정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에 마련된 자석을 더 구비하는
    건식 세정 장치.
KR20077015987A 2005-01-13 2006-01-13 건식 세정 장치 KR200700900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05910 2005-01-13
JPJP-P-2005-00005910 2005-0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006A true KR20070090006A (ko) 2007-09-04

Family

ID=3667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15987A KR20070090006A (ko) 2005-01-13 2006-01-13 건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67138B2 (ko)
EP (1) EP1837088B1 (ko)
JP (2) JP4670814B2 (ko)
KR (1) KR20070090006A (ko)
CN (1) CN101098762B (ko)
ES (1) ES2415878T3 (ko)
HK (1) HK1110830A1 (ko)
WO (1) WO20060757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633B1 (ko) * 2010-11-10 2014-10-0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건식 세정 케이스 및 건식 세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0896B2 (en) 2006-09-06 2010-06-08 Ricoh Company, Limited Dry cleaning device and dry cleaning method
JP4951019B2 (ja) * 2009-04-10 2012-06-13 株式会社カワタ 粉粒体洗浄装置
JP2011078915A (ja) * 2009-10-07 2011-04-21 Sumitomo Forestry Co Ltd 異物除去装置
CN102189079B (zh) * 2011-02-23 2013-02-06 潍坊盛泰药业有限公司 淀粉加工用玉米除杂装置
CN103409815B (zh) * 2013-07-15 2016-01-20 东华大学 一种喷丝板自动吹干机
DE102017208329A1 (de) * 2017-05-17 2018-11-22 Ejot Gmbh & Co. Kg Berührungsfreie Reinigungsvorrichtung
KR101956670B1 (ko) * 2017-11-29 2019-06-19 주식회사 크러텍 분진 제거 장치
CN108080346A (zh) * 2017-12-18 2018-05-29 长沙深湘通用机器有限公司 一种清洗工艺
CN108554816A (zh) * 2018-04-25 2018-09-21 济源市中特陶瓷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氧化铝粉的高效节能气流分选机
US20230019663A1 (en) * 2020-01-23 2023-01-19 Hans W. Fechner Method of glue-coating plant p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36A (en) * 1867-11-26 Thomas h
US2645345A (en) * 1950-09-09 1953-07-14 Safety Car Heating & Lighting Grain aspirating machine
GB715176A (en) * 1951-07-17 1954-09-08 Miag Muehlenbae Und Ind G M B New or improved apparatus for treating and particularly for separating loose material such as gravel and the like
US2795329A (en) * 1952-07-25 1957-06-11 Ruhrchemie Ag Separation of granular materials
JPS6394583A (ja) * 1986-10-09 1988-04-25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除霜用発熱体装置
DE3909721A1 (de) * 1989-03-23 1990-10-04 Hermann Jacob Fein- und feinstanteilabscheider zur verwendung bei der regenerierung von giessereialtsand
JP3162740B2 (ja) 1991-07-05 2001-05-08 日本ニューマチック工業株式会社 気流分級機
CN2260668Y (zh) * 1995-12-14 1997-08-27 徐五亨 塑胶胶皮分离装置
JP3236535B2 (ja) * 1997-07-15 2001-12-10 ホソカワミクロン株式会社 表面付着粉体の除去装置
JP2000070860A (ja) * 1998-09-02 2000-03-07 Nippon Alum Co Ltd フロス分離器
DE19957993B4 (de) 1999-12-02 2004-07-22 Bückmann GmbH Kegelsichter und Verfahren zum Sichten von eingeschränkt oder nicht rieselfähigem Schüttgut und Halterungsstrebe
JP2001187377A (ja) * 1999-12-28 2001-07-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風力選別機
JP2001276743A (ja) 2000-03-29 2001-10-09 Tadano Ltd 風力選別機
JP3672864B2 (ja) * 2001-11-26 2005-07-20 Jfeプラント&サービス株式会社 渦気流分別装置
JP2005324170A (ja) 2004-05-17 2005-11-24 Kissei Pharmaceut Co Ltd 振動篩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633B1 (ko) * 2010-11-10 2014-10-0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건식 세정 케이스 및 건식 세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7088A4 (en) 2011-04-27
JP4670814B2 (ja) 2011-04-13
JP4952837B2 (ja) 2012-06-13
WO2006075791A1 (ja) 2006-07-20
ES2415878T3 (es) 2013-07-29
CN101098762A (zh) 2008-01-02
JPWO2006075791A1 (ja) 2008-06-12
EP1837088A1 (en) 2007-09-26
EP1837088B1 (en) 2013-05-15
JP2011098342A (ja) 2011-05-19
US20090188843A1 (en) 2009-07-30
CN101098762B (zh) 2011-07-13
US8167138B2 (en) 2012-05-01
HK1110830A1 (en) 200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0006A (ko) 건식 세정 장치
Feil et al. Mechanical recycling of packaging waste
AU20163657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materials using stirring motion, stratification, and vertical motion
US8640879B2 (en) Inclined chute sorter
KR20100114062A (ko) 기류식 체분리 방법 및 장치
JP2010264745A (ja) ブラスチックの多段階分離
US3941684A (en) Scrap salvage system
KR100582028B1 (ko) 송풍식 선별장치
JP2011167652A (ja) 比重選別方法及び装置
KR101785001B1 (ko)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KR20010088626A (ko) 건조성을 향상시킨 진동선별기와 그 진동선별기의 선별공정
JP4383073B2 (ja) サイクロン型気流応用分離装置
KR101372912B1 (ko) 알루미늄 그래뉼 입도 및 정전선별장치
US20080145104A1 (en) Apparatus and process to reclaim toner from a toner/carrier mixture
JP2003159567A (ja) 渦気流分別装置
US6214071B1 (en) Oil separator structure for an oil collector blower
KR100589755B1 (ko) 제트 순환류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기
CN214288837U (zh) 多级分沙装置
KR20100113754A (ko) 폐냉장고의 미세 플라스틱 스크랩 선별장치
JPH05220425A (ja) 粉粒体分離装置
JP2013227135A (ja) 供給装置、回収装置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樹脂選別装置
JP2023004990A (ja) 粉取機
CN112791867A (zh) 多级分沙装置及分沙方法
KR900004732Y1 (ko) 미소입자형 원료의 이물질 선별장치
JP2002102743A (ja) 廃棄ペットボトル処理用分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016

Effective date: 2011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