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663A - 의료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663A
KR20070088663A KR1020077012296A KR20077012296A KR20070088663A KR 20070088663 A KR20070088663 A KR 20070088663A KR 1020077012296 A KR1020077012296 A KR 1020077012296A KR 20077012296 A KR20077012296 A KR 20077012296A KR 20070088663 A KR20070088663 A KR 20070088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habilitation
display
displayed
schema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끼 유야마
다까오 쯔다
마사노리 사와끼
마꼬또 오끼시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70088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재활의 종류를 간단하게 특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부위가 어떤 재활에 관한 것인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진찰 단말(3), 재활 단말(2) 및 서버(1)를 네트워크 접속한다. 진찰 단말(3)은 재활 계획 입력부(53) 및 스키마부(52)를 구비한 표시 수단(44)과, 표시 수단(44)에 환자 정보를 표시시킨 상태로 스키마부(52)에 원하는 스키마를 표시시키고, 스키마에 부위를 특정하는 기입을 행하기 위한 입력 수단(46)과 표시 수단(44)에 환자 정보를 표시시키고, 입력 수단(46)에 의해 스키마부(52)에 원하는 스키마를 표시시킨 상태로 재활 계획 입력부(53)에서 선택된 재활 항목에 대해 부위를 특정하는 기입을 행할 경우, 재활 항목간에서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는 제어 수단(43)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서버, 재활 단말, 표시부, 출력부, 입력부, 기억부

Description

의료 지원 시스템 {MEDICAL CARE SUPPORTING SYSTEM}
본 발명은 의료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스플레이에 스키마를 표시시켜 펜을 이용하여 스키마에 직접 기입, 해당 부위를 특정할 수 있게 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4467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스키마에 부위를 특정하기 위한 도형 등을 입력할 수 있는 것뿐이다. 재활 의학(이하, 재활이라 약칭함)의 경우, 환자에 따라서는 복수의 부위에 재활을 실시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이 많이 있지만, 동일 스키마에 입력하면, 이들이 어떤 재활에 해당하는 것인지의 판별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재활의 종류를 간단히 특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부위가 어떤 재활에 관한 것인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한 의료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진찰 단말, 재활 단말 및 서버를 네트워크 접속하고, 상기 진찰 단말은 재활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재활 계획 입력부 및 스키마를 표시하는 스키마부를 구비한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환자 정보를 표시시킨 상태로 스키마부에 원하는 스키마를 표시시키고, 상기 스키마에 부위를 특정하는 기입을 행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환자 정보를 표시시키고,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스키마부에 원하는 스키마를 표시시킨 상태로, 상기 재활 계획 입력부에서 선택된 재활 항목에 대해 부위를 특정하는 기입을 행할 경우, 재활 항목간에서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진찰 단말에서 표시된 환자 정보에 재활 부위를 기입한 스키마를 관련지어 저장하는 기억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표시 수단에 원하는 스키마를 표시시켜 재활 항목을 선택하고, 스키마에 직접 재활 부위를 기입할 수 있다. 재활 항목이 복수인 경우, 동일 스키마에 기입할 수 있어 스키마수를 증가시키는 일이 없다. 이로 인해, 데이터 용량이 증대되는 일이 없는 동시에, 어느 하나의 재활에 대한 스키마인지의 판단을 행할 필요도 없다. 게다가, 각 재활 항목에 대응하는 부위는 서로 식별 가능하게 표시되므로, 단일의 스키마라도 보기 용이함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상기 진찰 단말의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된 재활 계획 입력부에서 재활 항목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재활 항목에 대응하는 지시전(指示箋)의 내용을 표시시키는 지시전부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재활 단말에서 재활 환자를 일람 표시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이 재활 단말에 진찰 단말에서 재활 부위를 기입한 각 환자의 스키마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진찰 단말의 표시 수단에 있어서의 재활 계획 입력부에서의 재활 항목의 선택은 화면에 복수 영역으로 분할된 부위 선택용 사람 형상(人形) 패널을 표시시키고, 상기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선택됨으로써 행하면, 입력하는 재활 부위를 시각에 의해 인식하면서 입력할 수 있어 조작성이 좋아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진찰 단말의 제어 수단은, 상기 부위 선택용 사람 형상 패널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어 재활 부위가 특정됨으로써, 스키마부에 표시되는 스키마에 그 내용을 반영시키면, 스키마로의 입력의 수고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진찰 단말의 표시 수단은 재활 계획 입력부에서 재활 항목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재활 항목에 대응하는 지시전의 내용을 표시시키는 지시전부를 표시하면, 재활 항목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지시전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재활 단말은, 상기 서버의 기억부에 저장된 환자 정보를 판독하고, 환자명 및 재활 항목을 일람 표시시키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스키마를 표시시키기 위한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 수단에서 선택한 환자에 대해, 상기 재활 항목에 대응시켜 재활 부위를 기입한 스키마를, 상기 서버의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복수의 환자의 재활 항목을 일람 표시하여 한눈에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각 재활 항목에 대해 표시하는 행을 결정해 두면, 어떤 재활을 어느 환자가 행하는 것일지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재활 기기로의 환자의 할당을 간단하면서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재활 단말의 표시 수단은 일람 표시시킨 재활 항목과 함께 체크란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체크란이 체크됨으로써, 대응하는 재활 항목을 반전 표시하고, 어떤 환자의 전체 재활 항목이 체크됨으로써, 재활 종료라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재활 단말의 표시 수단에 일람 표시된 재활 항목을 확인하면서 환자에 재활을 행하면 좋다. 그리고, 재활을 종료할 때마다 체크란에 체크하는 것만으로, 그 환자에 대한 전체 재활이 완료된 것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재활을 포함하는 환자가 행해야 할 각 행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우선 순위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순위를 따라서 재활 다음으로 우선도가 높은 행위를 다음 행선지로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미리 환자가 행해야 할 각 행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해 두면, 재활이 완료되면, 환자가 다음에 가야 할 장소를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지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환자의 행선지를 미리 설정한 식별 가능한 상태로 표시하도록 하면, 행선지의 지시는 보다 한층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다.
상기 재활 단말의 표시 수단은 환자가 행한 재활에 대해 실시 기록 표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지정한 환자의 재활의 내용을, 상기 실시 기록 표시 화면에 시계열로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활 단말의 표시 수단에 실시 기록 표시 화면을 표시시킨 상태로, 상기 재활 항목을 변경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재활 항목이 변경됨으로써, 상기 표시 수단에서의 표시 내용을 다른 것과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재활 항목의 변경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잘못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재활 항목을 변경한 자를 변경 사항과 관련지어 기억시켜 둠으로써, 책임의 소재를 명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키마에 복수의 재활 항목에 대한 재활 부위를 기입할 경우, 서로 식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으므로, 단일의 스키마만을 준비하면 좋고, 데이터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가능한 영역이 제한되는 표시 수단에 있어서는 단일의 스키마만을 표시하는 것뿐이므로, 화면의 절환 등도 필요 없고 보기 용이함을 손상시키는 일도 없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 지원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재활 단말 및 진찰 단말에 표시되는 각 화면의 천이 흐름도이다.
도3은 도1의 진찰 단말에 표시되는 로그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도1의 진찰 단말에 표시되는 재활 관리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 다.
도5는 도1의 진찰 단말에 표시되는 재활 실시 입력 일람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도1의 진찰 단말에 표시되는 재활 종료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도1의 진찰 단말에 표시되는 환자 상세 정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도1의 진찰 단말에 표시되는 실시 기록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도1의 진찰 단말에 표시되는 SOAP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도1의 진찰 단말에 표시되는 진료 기록 카드 정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도1의 진찰 단말에 표시되는 환자 지정 다이얼로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도1의 재활 단말에 표시되는 재활 계획 작성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A는 도1의 재활 단말에 표시되는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B는 도13A의 입력 화면으로부터 표시시킨 부위 선택용 사람 형상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C는 도13B의 부위 선택용 사람 형상 패널에서, 어느 하나의 분할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부위 선택 다이얼로그 화면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는 도1의 회계(접수) 단말의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진찰 정보 등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는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 지원 시스템의 처리 내용의 전체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6은 도1의 진찰 단말에서 행하는 재활 계획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7은 도1의 재활 단말에서 행하는 재활 의학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8은 도1의 재활 단말에서 행하는 재활 의학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9는 도1의 재활 단말에 표시되는 환자 상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은 도1의 재활 단말에 표시되는 종료 처리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서버
2 : 재활 단말
3 : 진찰 단말
4 : 회계(접수) 단말
11 : 입출력부
12 : 기억부
13 : 제어부
14 : 표시부
15 : 출력부
16 : 입력부
17 : 종료자 버튼
18 : 표시 갱신 버튼
19 : 재활 개시 버튼
20 : 재활 종료 버튼
21 : 우선란
22 : 실시 시간란
23 : 실시 내용란
24 : 시행자란
25 : 버튼
26 : 환자 상세 버튼
27 : 실시 기록 버튼
28 : 환자 정보란
29 : 소견 등 입력란
30 : 지시 수행자란
31 : 스키마란
32 : SOAP 버튼
33 : 진료 기록 카드 버튼
34 : 환자 버튼
35 : 표시 버튼
41 : 입출력부
42 : 기억부
43 : 제어부(제어 수단)
44 : 표시부(표시 수단)
45 : 출력부
46 : 입력부(입력 수단)
47 : 환자 정보란
48 : 실시 기록란
49 : 진단란
50 : 주된 증상 입력란
51 : 지시전 표시란
52 : 스키마란(스키마부)
53 : 재활 계획 입력란(재활 계획 입력부)
54 : 코멘트 입력란
55 : 부위 셀
56 : 대분류 칩
57 : 부위 선택 다이얼로그 화면
58 : 대분류란
59 : 상세 분류란
60 : 표시란
101 : 체크 박스
102 : 재활 항목
111 : 「과거 계획」버튼
112 : 「최신 계획」버튼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 지원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다. 이 의료 지원 시스템은 서버(1)에 재활 단말(2), 진찰 단말(3) 및 회계(접수) 단말(4)을 네트워크 접속한 것이다. 또한, 이들 단말(2, 3, 4)에 대해서는 1 부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또한 다른 단말(예를 들어, 처치실 등에 설치한 단말)을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서버(1)는 어느 하나의 단말(2, 3, 4)에 내장시키도록 해도 좋다.
서버(1)의 기억부에는 재활 계획 파일, 재활 실적 파일, 접수 정보 파일, 진료 기록 카드 정보 파일, 기타 마스터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재활 계획 파일에는 재활 행위 내용, 재활 부위 등, 진찰 단말(3)의 재활 계획 작성 화면에서 작성한 내용이 저장되어 있다. 재활 실적 파일에는 재활 단말(2)에서 입력된 재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접수 정보 파일에는 접수 단말(4)에서 입력된 문진 등이 저장되어 있다. 진료 기록 카드 정보 파일에는 진찰 단 말(3)에서 입력된 진료 기록 카드 내용이 저장되어 있다. 마스터 파일로서는, 각 재활 행위마다 일련의 재활 내용(점수, 훈련, 부위 등)을 등록한 재활 마스터 파일이 포함된다. 이 재활 마스터 파일은 진찰 단말(3)에서의 재활 계획 작성 시에 저장하여 사용함으로써, 입력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재활 단말>
재활 단말(2)은 입출력부(11), 기억부(12) 및 제어부(13)를 구비한다.
입출력부(11)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14) 및 버저 등의 통지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15)와,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등의 입력부(16)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14)에는, 도2에 도시한 화면 천이 흐름을 따라서 표시 화면이 천이된다.
초기 화면으로서, 도3에 도시한 로그인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명과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도4에 도시한 재활 관리 메뉴 화면으로 절환된다. 재활 관리 메뉴 화면에는 재활 버튼과 환경 설정 버튼이 표시된다. 재활 버튼을 조작하면, 재활 실시 입력 일람 화면으로 절환된다.
재활 실시 입력 일람 화면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열의 헤더(최상행 및 2행째)에, 재활 계획 정보 및 재활을 행하는 환자명이 각각 표시된다. 재활 계획 정보로서는 새로운 환자가 도착하였을 경우(일람 표시에 환자명이 새롭게 추가되었을 경우), ◆ 표시가 표시되어 식별 가능해진다. 이 경우, 도착음에 의해 이용자에게 알리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재활 실시 입력 일람 화면에 의해, 복 수 환자의 재활 상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정 환자의 상세 정보의 확인이나 데이터의 갱신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재활 실시 입력 일람 화면의 각 행의 헤더(좌단부열)에는 재활 항목, 담당자, 유도처 등이 표시된다. 최상행의 좌단부란(재활 인원수란)에는 재활 상태를 나타내는 각 인원수, 즉 재활 대기, 재활 중 및 재활 종료의 각 인원수가 표시된다. 최상행의 하방 5행에는 재활의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 등이 표시된다. 각 열의 재활 환자의 각 란에는 그 환자가 재활을 행하는 항목에 대해서만 체크 박스(101) 및 재활 항목(102)이 표시된다. 체크 박스(101)를 클릭하면, 그 체크 박스(101) 및 항목이 반전 표시된다. 그리고, 그 환자의 모든 체크 박스(101) 및 항목이 반전 표시되면, 재활이 종료되었다고 하여 등록되고, 재활 인원수란의 표시 인원수에 반영된다. 재활 항목란에는, 재활실에서 행하는 재활(재활 의학)의 내용이 열기된다. 여기서는, 초기 표시하는 각 항째의 순서가 정해져 있고, 위로부터 「견인 : 허리」, 「견인 : 목」… 으로 되어 있다. 담당자란에는, 재활을 실제로 담당하는 담당자명이 표시된다. 유도처란에는, 재활을 종료한 환자가 다음에 가야 할 장소가 표시된다. 여기서는 유도처가 회계 이외이면, 그 유도처마다 미리 결정된 색이 배경색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표시되는 항목의 순서는 보수 화면에서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재활 실시 입력 일람 화면의 상부에는 각종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즉, 상부 좌측에는 종료자, 표시 갱신, 재활 개시, 재활 종료, SOA, 환자 상세의 각 버튼이 상부 우측에는 실시 기록, 진료 기록 카드, 환자, 종료의 각 버튼이 각각 마련 되어 있다.
종료자 버튼(17)을 클릭하면, 각 열의 헤더에 이미 재활을 종료한 환자만이 일람 표시된다. 표시 갱신 버튼(18)을 클릭하면, 진찰 단말(3)에서 어떤 환자에 재활의 지시가 입력되어 있으면, 그 내용이 반영된다.
재활 개시 버튼(19)을 클릭하면, 선택된 환자의 재활 개시 시각이 결정되고, 그 개시 시각이 재활의 개시 시간의 란에 반영된다.
선택한 환자의 재활이 종료되면, 재활 종료 버튼(20)을 클릭함으로써 종료 시간의 란에 그 시각이 반영된다. 또한, 재활 종료 화면이 다른 창에서 표시된다. 재활 종료 화면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란(21), 실시 시간란(22), 실시 내용란(23), 시행자란(24) 등이 표시된다. 우선란(21)에는 환자가 행해야만 하는 행위의 모두가 일람 표시된다. 지시열과 실시열의 각 란에 체크 박스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는 재활을 종료할 경우이므로, 재활에 대한 실시 란의 체크 박스를 체크하게 되어 있다. 실시 시간란(22)에는 재활 개시 버튼(19)을 조작함으로써 결정된 재활의 개시 시간과, 재활 종료 버튼(20)을 조작함으로써 결정된 종료 시간이 각각 표시된다. 각 시간은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 내용란(23)에는 진찰 시에 설정된 재활 항목 외에, 먼저 중지한 항목도 액티브 상태로 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다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밖에는 그레이 표시이며, 체크 불가능하다. 이들의 표시 내용은 서버(1)의 기억부(채용 점수 마스터 파일)로부터 취득한다. 시행자란(24)에는 재활의 담당자명이 표시된다. 시행자란(24)은 다른 시행자를 풀다운 표시하여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 내용 란(23)에 표시된 정보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회계 처리에서의 점수 계산이 행해진다.
도5에 도시한 SOA의 각 버튼(25)을 클릭하면, 각 버튼(「S」,「O」 또는「A」)에 대응하여, 키보드 등을 사용하여 해당하는 항목마다 텍스트 문서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입력 화면이 팝업 표시된다.
환자 상세 버튼(26)을 클릭하면, 선택한 환자의 환자 상세 정보 화면이 다른 창에서 표시된다. 도7에 표시된 환자 상세 정보 화면을 나타낸다. 이 화면에서는 상부에 환자 ID, 환자 이름 등의 환자 정보란(28)이 표시되는 것 외에, 소견 등 입력란(29), 지시전란(30), 스키마란 등이 표시된다. 소견 등 입력란(29)에는 키보드 등을 사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지시전란(30)에는 후술하는 재활 계획 작성 화면에서 입력된 내용이 반영된다. 지시전란(30)의 텍스트의 표시색은 재활 계획 작성 화면에서 지정된 색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스키마란(3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진찰 단말(3)의 재활 계획 작성 화면에서 재활 부위를 입력된 스키마가 표시된다. 이에 의해, 재활을 행해야 할 부위가 어느 부위인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재활 부위를 나타낸 도형의 색채는 지시전란(30)에 개별적으로 색 구분 표시된 재활 항목의 표시색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담당자는 표시된 스키마 화면을 보면서 어느 부위에 어떤 재활 처리를 행하면 좋을지를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다.
실시 기록 버튼(27)을 클릭하면, 실시 기록 표시 화면으로 절환된다. 실시 기록 표시 화면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정한 환자의 전체 재활 기록이 시계 열로 표시된다. 원하는 열을 선택함으로써 열 최상부가 선택색이 되고, 날짜란에 마우스를 댐으로써 SOAP 정보를 소정 시간(여기서는 1초) 늦춰서 팝업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 기록 표시 화면의 상방에는 월별 간이 실시 기록란이 표시되고, 좌단부의 년란 및 월란에서 선택한 년월의 실시 기록이 재활수로서 표시된다. 재활수에는 재활 단위수 또는 재활 횟수가 표시된다. 재활 단위수라 함은, 여기서는 20분을 1단위로서 어느 정도의 시간 재활을 행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수이다. 재활 횟수라 함은, 재활의 종류에 상관없이 몇 회 재활을 행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수이다. 또한, 실시 기록 표시 화면의 최하부에는 환자의 정보, 즉 환자 ID, 환자 이름, 연령, 성별, 원인 질환이 표시된다.
실시 기록 표시 화면에서 SOAP 버튼(32)이 클릭되면, 도9에 도시한 SOAP 표시 화면이 다른 창에서 표시된다. SOAP 표시 화면에서는 선택된 환자의 S(Subjective Information :주관 정보), O(Objective Information : 객관 정보), A(Assessment Information : 평가 정보) 및 P(Plan Information : 계획 정보)가 시계열로 표시된다(여기서는 3일분이 표시되지만, 몇 일분을 표시해도 상관없다. 또한, 최좌측열이 최신으로 되어 있지만, 최우측열이라도 상관없음). 각 열의 날짜란을 클릭하면, 그 날짜에 행한 내용이 팝업 표시된다. 재활 계획이 변경되었을 경우, 그 열의 문자가 다른 열과는 식별 가능하게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실시 기록 표시 화면에서 진료 기록 카드 버튼(33)을 클릭하면, 선택한 환자의 진료 기록 카드 정보 화면이 다른 창에서 표시된다. 도10에 표시된 진료 기록 카드 정보 화면을 나타낸다. 환자 버튼(34)을 클릭하면, 환자 검색 화면 이 팝업 표시되고, 원하는 환자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억부(12)는 서버(1)의 기억부(12)에 저장한 재활 계획 파일과 재활 실적 파일로부터 판독한 특정한 환자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작성된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제어부(13)는 표시부(14)에 소정의 표시를 행하고, 표시부(14)에서의 표시 내용을 기초로 하여 입력부(16)를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입력을 행해짐으로써, 후술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진찰 단말>
진찰 단말(3)은 상기 재활 단말(2)과 마찬가지로, 입출력부(41), 기억부(42) 및 제어부(43)를 구비한다.
입출력부(41)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44) 및 버저 등의 통지부로 이루어지는 출력부(45)와,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등의 입력부(46)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44)에는 전자 진료 기록 카드 화면이 표시되고, 재활 계획 버튼 혹은 텐키의 재활 계획키를 조작함으로써 환자 지정 다이얼로그 화면이 표시된다.
도11에 환자 지정 다이얼로그 화면을 나타낸다. 이 환자 지정 다이얼로그 화면에서는 키워드를 입력하는 등에 의해 환자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키워드로서는 환자 ID, 이름, 생년월일, 성별, 최종 진단일 등을 들 수 있다. 입력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레코드가 일람 표시되고, 그 중에서 해당하는 환자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환자가 특정되면, 재활 계획 작성 화면으로 절환된다.
재활 계획 작성 화면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 정보란(47), 실시 기록란(48), 진단란(49), 주된 증상 입력란(50), 지시전 표시란(51), 스키마란(52), 재활 계획 입력란(53), 코멘트 입력란(54)을 구비한다.
환자 정보란(47)은 상기 도7에 도시한 환자 정보의 표시 부분과 동일하다.
실시 기록란(48)에는 현재까지의 재활 실시 기록이 대상 년월란에서 년월을 지정함으로써, 1월 단위로 간이하게 시계열로 표시된다.
진단란(49)에는 환자 정보란(47)에 표시된 환자의 등록 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는 진단명 및 개시일 등이 표시된다.
주된 증상 입력란(50)에는 키보드 등을 사용하여 텍스트 입력되는 주된 증상, 소견, 주의 사항 등의 내용이 표시된다.
지시전 표시란(51)에는 재활 지시전의 내용이 표시된다. 스키마란(52)에는 전체 스키마(분류 표시)와 부분 스키마의 2종류가 표시된다. 선택한 스키마에 마우스나 펜 등을 사용하여, 선택한 임의의 표시 방법에 의해 묘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표시색은 재활 행위마다 미리 등록한 것이며, 표시색을 보면 어떤 재활 행위에 관한 것인지를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다. 또한, 부분 스키마는, 후술하는 재활 계획 입력란(53)에서 선택 가능하다.
재활 계획 입력란(53)에는 태그를 절환함으로써, 지시, 점수, 원인 질환, 담당자, 스키마의 각 표시 내용으로 절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지시 표시에서는 요법, 부위, 부하, 시간이 일람 표시되고, 현재의 지시되어 있는 요법의 좌단부 란에 체크가 표시된다. 체크하는 요법은 마우스를 조작하여 임의로 선택 및 비선택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위 표시에서는 해당 부위를 클릭함으로써, 도13A에 도시한 입력 화면이 팝업 표시되므로, 이 입력 화면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입력 화면에는 대분류란과 상세 분류란이 있고, 그 안에서 선택한 내용이 반전 표시되고, 화살표 키(「→」)를 조작함으로써 우측의 표시란에 표시된다. 그리고, 표시란에 적절한 부위가 표시된 상태에서 OK 버튼이 조작됨으로써, 그 표시 내용이 지시 표시의 표시 내용으로서 반영된다.
또한, 지시 표시에서는 도13A에 도시한 입력 화면에서 부위 셀(55)을 클릭함으로써, 도13B에 도시한 부위 선택용 사람 형상 패널로 절환하여 부위의 입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표시된 부위 선택용 사람 형상 패널은 직사각 형상의 복수 영역[대분류 칩(56)]으로 분할되어 있고, 이 대분류 칩(56)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도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위 선택 다이얼로그 화면(57)이 다른 창에서 표시된다. 부위 선택 다이얼로그 화면(57)은 대분류란(58) 및 상세 분류란(59)을 구비하고, 각각 해당하는 것을 선택하면, 우측의 표시란(60)에 선택한 부위의 명칭이 표시된다. 그리고, OK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그 내용이 지시 표시의 표시 내용으로서 반영된다. 또한, 「스키마 상에 자동으로 작화함」이 체크되어 있으면, 스키마에 그 내용이 반영된다. 이 경우, 스키마에는 선택한 대분류 및 상세 분류의 내용을 따라서 해당 부위에 타원의 도형이 표시된다.
점수 표시는 종별, 구분, 단위로 이루어지는 일람표로 이루어지고, 해당하는 것에 체크를 부여하게 되어 있다. 원인 질환 표시에는, 진찰 시에 의사에 의해 진료 기록 카드에 기입된 질환 중, 그 질환이 원인으로 재활이 대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일람 표시된다. 담당자 표시에는 담당자명 및 직종으로 이루어지는, 재활 담당자의 일람표가 표시된다. 스키마 표시에는 부분 스키마에 표시시킬 수 있는 몸의 부위가 일람 표시된다.
코멘트 입력란(54)에서는 입력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입력용 다이얼로그가 표시되고, 이 입력용 다이얼로그 상에서「학습 리스트」등을 사용하여 임의의 문자열이 입력된다.
제어부(43)는 표시부(44)에 전술의 각 화면을 표시하고, 그 표시 내용을 기초로 하여 입력부(46)가 조작되어 소정의 입력이 행해짐으로써, 후술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회계(접수) 단말>
회계(접수) 단말(4)은, 상기 재활 단말(2) 및 진찰 단말(3)과 동일한 구성이며, 구성 자체에 그만큼 특징은 없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환자의 접수 시, 표시 수단인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에서 그 환자가 행해야 할 각 행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수 화면으로부터 다른 창에서 기동한 진찰 정보 등록 화면에서, 환자가 행해야 할 각 행위를 선택하고, 그 우선도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는 복수 설정된 행위 중, 진찰, 소변 검사 및 점적이, 이 순으로 선택되고, 그 내용이 일람표로서 반영되어 있다. 각 행위의 우선도는 순서를 변경시키고 싶은 행위를 선택한 상태에서,「위로 이동」또는「아래로 이동」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행위는 식별 가능하게 다른 색채로 표 시되어 있다. 이 색채는, 후술하는 재활 단말(2)에 표시시키는 재활 실시 입력 일람 화면에서의 행선지 표시에 반영된다.
<의료 지원 시스템의 처리 내용>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의료 지원 시스템의 처리 내용에 대해, 우선 전체의 개략(환자의 움직임)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에 진찰 단말(3)과 재활 단말(2)에서의 각 처리를 차례로 설명한다.
<전체의 개략>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회계(접수) 단말(4)로 환자의 접수 처리를 행한다(단계 S1). 접수 처리에서는 환자의 이름 등의 입력을 행한다. 이미 등록되어 있는 환자에 대해서는 등록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한, 환자의 문진 내용을 기입한다. 계속해서, 환자의 동선, 즉 환자가 병원 내를 어떻게 이동하면 좋을지를 결정한다(단계 S2). 통상은, 진찰로부터 개시하지만, 재활만을 행하는 환자나 약을 처방만 하는 환자도 존재하므로, 접수에 의해 판단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진찰 단말(3)에서는 의사가 환자의 진찰을 행한 결과가 전자 진료 기록 카드에 기입된다(단계 S3). 그리고, 재활의 계획이 세워져, 그 내용이 입력된다(단계 S4). 이들 일련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처치실 등에서는 진찰의 결과 지시된 주사 등의 처치를 행하여 기록한다(단계 S5). 처치실 등에는 전술의 각 단말과는 별도로 마련한 단말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단말로부터 처치가 완료된 것 등을 입력한다.
재활 단말(2)에서는 진찰 단말(3)에서 입력된 재활 계획에 따라서 재활을 실행하여 그 내용을 입력한다(단계 S6). 재활이 완료될 때마다 그 내용을 기록한다(단계 S7).
그 후, 진찰 단말(3), 처치실 등의 단말 및 재활 단말(2)에서의 입력 등이 완료되면, 회계(접수) 단말(4)에서 회계 처리를 행한다(단계 S8).
<진찰 단말에서의 처리 내용>
진찰 단말(3)에서는, 도16의 흐름도를 따라서 재활 계획 처리를 실행한다. 즉, 로그인 화면에서 사용자명과 패스워드를 입력하면(단계 S11 : 도2 중, a로 나타냄),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S12). 그리고, 메뉴 화면에서「재할 계획을 작성함」버튼을 클릭함으로써(단계 S13 : 도2 중, b로 나타냄), 환자 지정 화면(환자 지정 다이얼로그 화면 혹은 환자 검색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S14). 여기서, 환자를 검색 등에 의해 특정하면(단계 S15), 도12에 도시한 재활 계획 작성 화면으로 절환되고(도2 중, c로 나타냄), 거기에 특정한 환자에 관한 정보가 반영된다(단계 S16). 단계 S11에서 로그인을 행함으로써, 진찰을 어떤 의사가 행하는지가 특정된다. 또한, 후술하는 재활 단말(2)이라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자 진료 기록 카드 화면에서「재활 계획」버튼을 클릭함으로써도(도2 중, d로 나타냄), 도12에 도시한 재활 계획 작성 화면으로 절환할 수 있다.
재활 계획 작성 화면에서는, 상기 단계 S15에서 특정한 환자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단계 S17). 즉, 환자 ID 등의 개인 정보 외에, 진찰 결과 의사에 재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질환명이나 과거 재활의 실시 기록이 표시된다. 환자의 개인 정보는 환자 정보란(28)에 표시된다. 진찰 결과는 진단란에 표시된다. 질환명은 원인 질환으로서 주된 증상 입력란의 헤더 부분에 표시된다. 재활의 실시 기록은 실시 기록란에 선택된 년월 단위로 표시된다. 주된 증상 입력란에는 키보드 등을 사용하여 입력한 주된 증상, 소견, 주의 사항 등, 의사가 재활 시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사항이 표시된다.
재활 계획 입력란에는 재활 항목 및 재활 부위 등이 일람 표시되므로, 그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선택하여 체크하면(단계 S18), 그 내용이 지시전란에 반영된다(단계 S19). 이 경우, 재활 부위의 특정은 재활 계획 입력란에서 부위 셀(55)을 클릭함으로써, 부위 선택용 사람 형상 패널을 표시시켜 해당하는 부위를 선택함으로써 해도 좋다.
또한, 스키마란에는 선택한 요법에 대해 미리 설정한 색채로 재활 항목이 표시된다(단계 S20). 도12에 도시한 재활 계획 작성 화면에서는 재활 항목으로서, 재활 계획 입력란의 지시 표시로 체크된 간섭파와 레이저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원, 타원, 사각 등의 여러 가지의 형상 중에서 적당한 버튼을 선택하고(단계 S21), 마우스 등으로 표시한 스키마에 직접 선택한 도형을 입력할 수 있다(단계 S22). 입력하는 도형은 표시 장소나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소거나 새로 고침(undo)도 용이하다. 또한, 도형은 선택한 재활 항목에 대응하는 색채로 표시되므로, 어떤 재활에 대응하는 것인지의 식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내용 즉 스키마가 관련된 환자 정보는 서버(1)의 기억부의 진료 기록 카드 정보 파일에 저장된다(단계 S23). 이에 의해, 저장한 스키마를 재활 단말(2)로 개방할 수 있으므로, 재활 담당자는 재활 단말(2)의 화면을 보면서 어떤 재활을 어떻게 행하면 좋을지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부위 선택용 사람 형상 패널로부터 재활 부위를 선택할 경우,「스키마 위에 자동으로 작화함」에 체크를 해 둠으로써, 상기 단계 S18에서 선택한 재활 항목에 대응하는 색채로 재활 부위에 타원 형상을 자동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과거의 재활 내용을 확인할 경우, 도시하지 않은 지시 세트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사전에 등록된 내용을 재활 항목별로 일람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일람 표시된 재활 항목을 선택하여 OK 버튼을 클릭하면, 그 내용이 지시전란에 표시되어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재활 계획 작성 화면에서「과거 계획」버튼(111) 또는「최신 계획」버튼(112)을 조작함으로써, 과거의 재활 계획 내용 또는 최신의 재활 계획 내용(즉, 실시 기록 : 도2 중, e로 나타냄)을 다른 창에서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과거의 재활 계획이 복수인 경우, 날짜를 일람 표시시켜 그 안에서 해당하는 것을 선택함으로써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재활 단말에서의 처리 내용>
재활 단말(2)에서는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서 재활 처리를 실행한다. 즉, 로그인 화면에서 사용자명과 패스워드를 입력하면(단계 S31 : 도2 중, g로 나타냄),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S32). 그리고, 메뉴 화면에서「재활 의학」버튼을 클릭함으로써(단계 S33), 재활 실시 입력 일람 화면으로 절환된다(단계 S34 : 도2 중, h로 나타냄).
재활 실시 입력 일람 화면에는 진찰 단말(3)에서 입력된 재활 환자가 일람 표시된다. 재활 실시 입력 일람 화면을 연 상태로 진찰 단말측에서 새롭게 재활 환자가 추가되면, 그 환자의 이름이 차례로 표시된다. 추가 표시된 환자에게는 열 헤더에 ◆ 표시가 부여되어 다른 환자와의 식별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환자가 추가 표시된 시점에서 도착음을 발생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알리게 해도 좋다.
재활 실시 입력 일람 화면에서는 종료자 버튼을 클릭함으로써(단계 S35), 재활이 완료된 환자만을 일람 표시시킬 수 있다(단계 S36). 또한, 표시 갱신 버튼을 클릭함으로써(단계 S37), 표시 내용을 갱신하는 것도 가능하다(단계 S38).
재활을 행하는 환자가 선택되면(단계 S39), 선택된 환자를 표시하는 열의 헤더를 선택색으로 변경한다(단계 S40). 이 상태에서, 재활 개시 버튼, 환자 상세 버튼, SOA의 각 버튼, 재활 종료 버튼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재활 개시 버튼이 클릭되면(단계 S41), 개시 시간에 클릭 시의 시각이 입력되고(단계 S42), 그 환자가 행하는 재활 항목(102)이 표시된다(단계 S43). 그리고, 재활 항목(102)의 체크 박스(101)에 체크 가능해진다. 선택한 환자의 재활이 종료되어 체크 박스(101)가 클릭되면(단계 S44), 표시 내용이 반전된다(단계 S45).
환자 상세 버튼이 클릭되면(단계 S46), 도19에 도시한 환자 상세 화면이 팝업 표시된다(단계 S47). 이용자는 이 환자 상세 화면을 봄으로써, 어느 부위에 어떤 재활을 행하면 좋을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환자 상세 화면에서는, 각 재활 항목의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 데이터와, 스키마에 표시된 도형 등이 동일 색으로 표시된다. 이로 인해, 재활 항목과 재활 부위의 대응이 명확해진다.
SOA의 어느 하나의 버튼이 클릭되면(단계 S48), 각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 화면이 팝업 표시된다(단계 S49). 키보드 등을 사용하여 해당하는 문장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시된 모든 재활이 종료되고, 모든 항목이 반전 표시된 상태에서 재활 종료 버튼이 클릭되면(단계 S50), 도20에 도시한 종료 처리 화면이 팝업 표시된다(단계 S51). 이용자에 따라, 해당 부위 즉 재활의 실시란이 체크되어 종료 버튼이 클릭됨으로써(단계 S52), 재활의 실시 기록으로서 등록되고(단계 S53), 재활 인원수란의 표시 인원수가 자동적으로 변경된다(단계 S54). 즉, 재활 중의 인원수가 1명 감소되고, 재활 종료의 인원수가 1명 증가된다.
또한, 재활 실시 입력 일람 화면에서는 유도처란에 환자가 재활 종료 후, 다음에 가야 할 장소(유도처)가 표시된다(단계 S55). 유도처가 회계 이외의 경우, 그 유도처마다 미리 설정한 배경색이 표시된다. 이에 의해, 환자를 다음에 어느 장소로 유도하면 좋을지가 한눈에 판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각 단말에서 입력된 데이터 등은 모두 서버(1)의 기억부에 저장되므로,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진찰 단말(3)의 표시부(44)로 각종 통계를 표시 및 인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도2 중, f로 나타냄). 예를 들어, 환자마다 년별, 월별 실시 결과, 스탭마다 년별, 월별 실시 결과, 원내에서의 년별, 월별 실시 결과, 재활 행위에 관한, 년별, 월별 실시 결과 등을 표시 및 인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9)

  1. 진찰 단말, 재활 단말 및 서버를 네트워크 접속하고,
    상기 진찰 단말은,
    재활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재활 계획 입력부 및 스키마를 표시하는 스키마부를 구비한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환자 정보를 표시시킨 상태로 스키마부에 원하는 스키마를 표시시키고, 상기 스키마에 부위를 특정하는 기입을 행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환자 정보를 표시시키고,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스키마부에 원하는 스키마를 표시시킨 상태로, 상기 재활 계획 입력부에서 선택된 재활 항목에 대해 부위를 특정하는 기입을 행할 경우, 재활 항목간에서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진찰 단말에서 표시된 환자 정보에 재활 부위를 기입한 스키마를 관련지어 저장하는 기억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찰 단말의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된 재활 계획 입력부에서 재활 항목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재활 항목에 대응하는 지시전의 내용을 표시시키는 지시전부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찰 단말의 표시 수단에 있어서의 재활 계획 입력부에서의 재활 항목의 선택은, 화면에 복수 영역으로 분할된 부위 선택용 사람 형상 패널을 표시시키고, 상기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선택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찰 단말의 제어 수단은 상기 부위 선택용 사람 형상 패널의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어 재활 부위가 특정됨으로써, 스키마부에 표시되는 스키마에 그 내용을 반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단말은,
    상기 서버의 기억부에 저장된 환자 정보를 판독하여 환자명 및 재활 항목을 일람 표시시키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스키마를 표시시키기 위한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 수단에서 선택한 환자에 대해, 상기 재활 항목에 대응시켜 재활 부위를 기입한 스키마를, 상기 서버의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단말의 표시 수단은 일람 표시시킨 재활 항목과 함께 체크란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체크란이 체크됨으로써, 대응하는 재활 항목을 반전 표시하고, 어떤 환자의 전체 재활 항목이 체크됨으로써, 재활 종료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재활을 포함하는 환자가 행해야 할 각 행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우선 순위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순위를 따라서 재활 다음으로 우선도가 높은 행위를 다음 행선지로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단말의 표시 수단은 환자가 행한 재활에 대해 실시 기록 표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지정한 환자의 재활 내용을, 상기 실시 기록 표시 화면에 시계열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단말의 표시 수단에 실시 기록 표시 화면을 표시시킨 상태로, 상기 재활 항목을 변경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재활 항목이 변경됨으로써, 상기 표시 수단에서의 표시 내용을 다른 것과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KR1020077012296A 2004-12-01 2005-11-30 의료 지원 시스템 KR200700886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48195 2004-12-01
JP2004348195A JP4802487B2 (ja) 2004-12-01 2004-12-01 医療支援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663A true KR20070088663A (ko) 2007-08-29

Family

ID=36565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296A KR20070088663A (ko) 2004-12-01 2005-11-30 의료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02487B2 (ko)
KR (1) KR20070088663A (ko)
WO (1) WO20060596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666B1 (ko) * 2013-02-14 2014-08-01 (주)세화하이테크 네트워크를 통한 재활 치료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재활 치료 관리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1868B2 (en) * 2007-02-26 2010-03-0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visual cues indicative of the level of severity or importance
JP2010277550A (ja) * 2009-06-01 2010-12-09 Fujitsu Ltd プログラム、表示方法、表示装置及び診療情報管理装置
JP5444036B2 (ja) * 2010-02-23 2014-03-19 株式会社Lassic 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及び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プログラム
JP2015061579A (ja) * 2013-07-01 2015-04-02 株式会社東芝 動作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056A (ja) * 1993-07-19 1995-02-07 Toshiba Corp 医用診断支援装置
JP2000268113A (ja) * 1999-03-15 2000-09-29 Sanyo Electric Co Ltd シェーマ図編集装置及び同方法
JP3772046B2 (ja) * 1999-06-04 2006-05-10 株式会社亀田医療情報研究所 医療計画作成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媒体
JP2003271733A (ja) * 2002-03-15 2003-09-26 Toshiba Corp 医療システム
JP2003290200A (ja) * 2002-04-02 2003-10-14 Konica Corp 医用画像撮影管理装置、医用画像撮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57829B2 (ja) * 2002-11-28 2009-11-04 信吉 姫野 電子カルテの表示装置
JP4202790B2 (ja) * 2003-03-07 2008-12-24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診療レポートシステム
JP2004298217A (ja) * 2003-03-28 2004-10-2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医用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撮影オーダ情報の管理方法
JP4405172B2 (ja) * 2003-04-03 2010-01-27 株式会社東芝 医用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666B1 (ko) * 2013-02-14 2014-08-01 (주)세화하이테크 네트워크를 통한 재활 치료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재활 치료 관리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02487B2 (ja) 2011-10-26
JP2006149920A (ja) 2006-06-15
WO2006059635A1 (ja)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15346B2 (ja) 医療計画支援システム
US7577573B2 (en) Medical support system
CA2350766C (en) Patient healthcare system
CA2121245A1 (en) Health care management system
JP2004021380A (ja) 診療支援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O'Neill et al. Knowledge acquisition, synthesis, and validation: a model for decision support systems
KR101646298B1 (ko) 발달 모니터링 시스템
JP3717425B2 (ja) 医療項目確認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Gulliksen et al. Domain‐specific design of user interfaces
KR20070088663A (ko) 의료 지원 시스템
JP3869386B2 (ja) 医療計画及び記録支援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媒体
JP4891678B2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及びその電子カルテサーバの表示方法
JP4568902B2 (ja) 看護過程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メモリ
JP2003331059A (ja) 薬歴管理業務支援システム、薬歴管理業務支援方法、薬歴管理業務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薬歴管理業務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5353086A (ja) 医療項目確認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199557A (ja) 診療支援装置
Lincoln Medical informatics: the substantive discipline behind health care computer systems
JP5251945B2 (ja) 医療支援システム
JP2002245176A (ja) 問診方法、問診プログラム、問診システム
JP2005259163A (ja) 医療項目確認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H06105812A (ja) 情報表示装置
Wadsworth When Healthcare Data Analysts Fulfill the Data Detective Role
Domańska Rethinking interfaces to medical records
de Andrade Ferreira Osler-Computer-Assisted Anamnesis
Weed Shedding our illusions: a better way of medic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